KR100559126B1 - 복수화상 재현장치 - Google Patents

복수화상 재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126B1
KR100559126B1 KR1020030036650A KR20030036650A KR100559126B1 KR 100559126 B1 KR100559126 B1 KR 100559126B1 KR 1020030036650 A KR1020030036650 A KR 1020030036650A KR 20030036650 A KR20030036650 A KR 20030036650A KR 100559126 B1 KR100559126 B1 KR 100559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ns
paper
lens group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635A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라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코 filed Critical (주)라이코
Priority to KR102003003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126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재현하는 장치로서 특히 축소된 화상을 재현할 때 렌즈의율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여 화질을 개선한 데 특징이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복수의 피사체 화상을 화소 단위로 분할한 뒤 이를 일정배율로 축소하여 평면에 분산 기록한 합성화상지와, 상기 합성화상지를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화소 수에 대응하는 수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과, 상기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을 이차원적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지와 렌즈군을 상대 운동시킴으로써, 합성화상지에 기록한 화소군을 선택하여 렌즈군을 매개로 이들 각 분할 화소군으로부터 특정화상을 통일적으로 재현하는 화상재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화상지에 기록된 화소는 화상 재현시 상기 렌즈의율에 의한 화상 왜곡을 바로잡도록 보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의율, 보정, 화상, 화상재현, 화상합성, 상대운동, 화소, 축소, 배율,

Description

복수화상 재현장치{IMAGES DISPLAY DEVIC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1/2배 축소화상을 기록한 화상합성지의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재현을 위한 2배 렌즈군의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라 보정된 축소화상의 개념도
도 1d는 본 발명에 따라 보정된 축소화상을 렌즈로 재현한 그림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화상이 1/3배인 경우의 합성화상지 구조도
도 1f는 렌즈의 형태보정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재현 개념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거치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양면재현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3: 합성화상지 홀더
5: 합성화상지 7: 렌즈군
9; 지지부 11: 제어부
13: X축 모터 15: Y축 모터
30: X축 제2랙기어 31,33:X축 제2피니언기어
35: X축운동 전달바아 37,38: X축 제1랙기어
39: X축 제1피니언기어 40: Y축 제1랙기어
42: Y축 피니언 기어 50: 회동부
52: 센서 54: 조정버튼
본 발명은 다수의 축소화상을 평면화상지에 일정한 순서로 기록한 뒤, 축소화상에 대응하는 확대렌즈로써 축소 전 크기의 화상으로 연속적으로 재현하는 장치로서, 특히 축소화상을 재현할 때 렌즈의율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여 화상재현의 정밀도를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은 일본국 특허 제1805218호(발명의 명칭:축소화상촬영장치와 합성축소화상 및 화상표시장치, 공개번호 평2-240644, 발명자 및 출원인: 熊谷 卓, 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서 개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문헌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의 관련 부분으로 포함된다.
상기 문헌에서 개시하고 있는 종래기술은 축소화상을 촬영하는 장치와, 동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동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축소합성된 화상 및 이들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상기 문헌에서는 광학적 촬영장치를 개시하고 화상재현장치(화상표시치)는 이같은 광학적 촬영장치와 가역적이기 때문에 광학적 촬영장치에 치중하여 자신의 발명을 매우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위 종래기술에서 화상재장치 특히 정립허상을 재현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개시할 것이므로 촬영장치와 실상의 재현시 수반되는 광학적 재현수단 등 관련도가 떨어지는 부분의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상기 종래기술을 요약하면(괄호 안의 용어는 상기문헌의 용어), 그 구성은 케이스와, 복수의 피사체 화상을 화소 단위로 분할한 뒤 이를 일정배율로 축소하여 평면에 분산 기록한 합성화상지(영상담체, 이하 같다)와, 상기 합성화상지를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화소 수에 대응하는 수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과, 상기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을 이차원적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작동은 상기 합성지와 렌즈군을 상대 운동시킴으로써, 합성화상지에 기록된 화소군을 선택하여 렌즈군을 매개로 이들 각 분할 화소군으로부터 특정화상을 통일적으로 재현(표시, 이하 같다)함과 아울러 이들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의 상대운동에 의해 각 통일화상을 일정한 순서로 재현하는 화상재현장치라 할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원통형 렌티큘라 렌즈를 사용하는 화상재현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서, 원통형렌티큘라의 광학적 특성상 화상의 축소, 확대비율이 7배정도로 한정되기 때문에 하나의 합성화상지에 대한 화상의 수납수가 적어 재현할 수 있는 화상도 7개 정도로 한정되어 연속 화상 재현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명세서의 도 1b(상기 문헌의 제3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개개의 볼록렌즈를 격자형으로 연접하여 렌즈군을 구성하고, 이 렌즈 크기에 대응하는 단위 색션(A)으로 분할된 합성화상지에 렌즈의 배율에 따른 단위 화소를 축소 기록하는 방식을 택하여(본 명세서의 도 1a),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을 X축 또는/및 Y축으로 방향으로 상대운동을 시킴으로서, 재현 화상의 수를 늘린 것이다. 여기서 인접화상이 보이는 문제는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화소축소율과 크기의 관계설정, 또는 투영방식의 개량을 시도한 것이다.
상기 장치에서 재현할 수 있는 화상수는 렌즈의 배율이 2배이면 도 1a에서 보듯 4개가 되며, 배율이 3배이면 도 1e에서 보듯 9개가 되고, 배율이 4배이면 16개, n배이면 이론상 n2개가 된다.
상기 장치에서 재현화상의 축소기록과 재현의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면, 렌즈의 배율이 2배인 경우 합성화상지에 기록할 수 있는 화상은 도 1a에서 보듯, a,b,c,d 4개가 되며, 이들 화상은 합성화상지 크기의 화상이 각각 a11, a12, a13, a21, a22, a23, a31, a32, a33, b11, b12, b13, b21, b22, b23, b31, b32, b33.....와 같이 각각 9개의 단위 화소로 분할되어 1/2 크기(면적으로 보면 1/4)로 축소되어 각 섹션에 기록(a11,b11,c11,d11)되며, 이렇게 기록된 화상은 상대운동에 의해 렌즈군(7)의 재현 위치가 a에 오버랩되면 a11, a12, a13, a21, a22, a23, a31, a32, a33의 화소가 확대되어 축소전 크기로 합성되어 통일적으로 재현되는 것 이다.
상기 장치에서 재현화상이 늘어날 수 있는 것은 고배율의 볼록렌즈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5배율의 렌즈를 사용하게 되면 재현화상 수는 25개로 늘어나므로 25컷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재현할 수 있어 간이한 동영상의 구현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표시장치로 재현할 수 있는 화상수는 늘어났지만, 위 표시장치는 여전히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축소기록된 화소를 렌즈군을 통해 재현할 때, 렌즈의 의율에 의해 화상의 왜곡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렌즈형태를 보정할 필요가 있으나, 렌즈의 보정은 제작이 어렵고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렇다고 렌즈를 보정하지 않으면, 화상 재현시 정밀도가 낮아 화상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상으로 재현하는 경우 인접화상이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를 사용해야 하고, 마스크 사용시에도 각 화소의 경계영역을 중복하거나 마스크와 합성화상지의 거리 또는 마스크의 개구부 크기 등의 관계설정을 정밀하게 해야하므로 제작이 까다롭고, 이같은 정밀도의 요구로 인한 불량품이 발생하여 재현화상의 화질이 떨어질 우려가 높다.
한편, 상기 문헌에서 화소를 얻는 과정는 광학적 촬영장치이어서 실제 화상지를 제작하는 과정에 이같은 촬영장치를 구입하고 조작하여 인화하는 작업이 수반 되므로 전문성과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화상을 재현하는 장치에 있어서, 재현을 위한 렌즈의 구면수차를 보정하되, 렌즈형태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화상을 간단히 보정함으로써 화질을 개선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있어서 인접화상이 보이는 문제를 렌즈형태를 보정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략한 구조의 상기 재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본구조는 케이스와, 복수의 피사체 화상을 화소 단위로 분할한 뒤 이를 일정배율로 축소하여 평면에 분산 기록한 합성화상지와, 상기 합성화상지를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화소 수에 대응하는 수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과, 상기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을 이차원적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지와 렌즈군을 상대 운동시킴으로써, 합성화상지에 기록한 화소군을 선택하여 렌즈군을 매개로 이들 각 분할 화소군으로부터 특정화상을 통일적으로 재현함과 아울러 이들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의 상대운동에 의해 각 통일화상을 일정한 순서로 재현하는 화상재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화상지에 기록된 화소는 화상 재현시 상기 렌즈의율에 의한 화상 왜곡을 바로잡도록 보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이다.
상기 합성화상지에 기록된 화소의 보정방법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렌즈의 광학적 곡면의 곡률에 의한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방법에는 물리적으로 3차이론과 5차이론이 있는데 비교적 소형인 경우에는 3차이론이 적용된다.
그러나 본발명과 같이 수많은 렌즈군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공이 까다로우므로 렌즈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화소)를 보정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다. 화소 보정은 렌즈형태의 보정과 가역적이기 때문에 렌즈형태의 보정계수를 구하는 식을 응용하여 화소보정 계수를 구한 다음 이같은 화소보정계수를 이미지에 적용하여 화소를 보정하는 것이다.
즉, 도 1f를 참조하면, 임의의 지점 P(위치계수)에서의 렌즈의 곡면형태계수(q)는,
q=(r2+r1)/(r2-r1) 또는 - [2(n2-1)P]/(n+2)로 정의된다. (r은 렌즈의 곡률반경,n은 굴절계수).
즉, P=(i-O)/(i+O)이며(i는 상까지의 거리, O는 목적물까지의 거리),
보정계수는 L은, L=1/i1-1/i2이라고 하면, L=f(n,Pq)로 정의할 수 있다(f는 촛점거리).
렌즈의 설계에서는 구면수차를 줄이기 위해 L이 최소가 되도록 q값을 결정한 다. 즉, dL/dq=Φ가 되는 q값을 결정하면 p와 q의 결합으로 최소의 구면수차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발명에 적용되는 화소의 보정계수 q는,
q=[2(n2-1)P]/(n+2)가 되며,
화소에서 보정된 위치계수값 P'n은,
P'n=i+(i-q)가 된다.(i는 보정되기 전 이미지 위치데이터값).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화소를 보정하는 것이다. 물론 이같은 보정작업은 이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이미지보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예컨대, 이미지보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보정해야 할 이미지를 불러온 다음 보정옵션 화면에서 n(굴절계수),f(촛점거리),r(렌즈의 구면반경)을 입력하고(P=위치계수는 자동으로 설정된다), 보정작업을 수행하면, 위의 식에 따라 컴퓨터가 필요한 연산을 행하여 이미지를 수정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정된 화소의 개념도는 도 1a 내지 도 1f에 나타냈다. 즉, 도 1a에서 원 안에 표시한 격자무늬는 보정전의 화상(a11)이며, 이 화상을 렌즈(7A)로 재현하면 도 1b의 원안의 화상(5A')과 같이 왜곡되어 나타난다. 그리하여 위의 방법으로 보정한 것이 도 1c의 a11'이며, 이를 다시 렌즈(7A)로 재현하면 왜곡되지 않은 화상(a11'')으로 보정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위치계수로 보면 n을 임의의 지점이라 할 때, Pn, P'n,P"n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은 시차에 따라 인접화상이 보이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렌즈형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면만 볼록렌즈인 경우 합성화상지에 접하는 쪽의 렌즈면을 축소된 화소의 크기(h)와 같거나 약간 작은(합성화상지와 렌즈면의 이격거리(od)를 고려하면 항상 약간 작게 된다) 정방형(H)으로 확보하고 나머지 부분(e)를 사선으로 잘라내는 것이다. 이렇게 렌즈형태를 구성하면 설사 인접화면이 시차에 의해 비치더라도 흐릿하게 되어 선택된 화상만 명료하게 재현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한쪽면만 볼록렌즈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양면이 볼록렌즈인 경우에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성화상지(5)를 렌즈의 촛점거리(fd) 이내에 배치함으로써 항상 확대된 정립허상이 보이도록 했다. 따라서 합성화상지에 화상을 기록할 때에도 화소를 뒤집어 기록할 필요가 없으며 정위치로 축소 기록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재현장치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단면 재현장치, 도 4b는 양면재현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단면 재현장치를 보면, 본 발명인 화상재현장치는 합성화상지(5)와 합성화상지를 지지하는 합성화상지 홀더(3)와 합성화상지 전면에 렌즈군(7)이 배치되고 이들 구성요소를 고정하는 케이스(1)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을 상대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X축모터(13)와, 제1랙기어(37,38)가 형성된 전달바아(35) 와, 제1,2피니언기어(39,31)와, 합성화상지 지지홀더 측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가 연동되어 X축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Y축 방향의 운동은, Y축모터(15)가 피니언 기어(42)를 매개로 합성화상지 지지홀더 하단에 형성된 랙기어(40)를 움직임으로써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이같은 구동은 제어판(11)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된다. 즉, 운동의 방향 및 이동시간화상의 재현순서,재현시간을 특정하여 프로그램화하여 원하는 화상의 재현 모드를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군(7)은 고정되고, 합성화상지(5)가 이동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합성화상지는 투명하거나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것을 사용한다. 합성화상지가 이동할 경우 합성화상지가 힘을 받게 되므로 합성화상지를 지지하는 홀더(3)를 사용하여 이동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이 때 홀더는 판형으로 하고 일정간격으로 홀더 표면에 미세한 돌기(32)를 형성함으로써 합성화상지를 지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렌즈군(7) 안쪽 표면에도 미세한 돌기(7';도4b)를 형성하여, 렌즈군과 합성화상지 사이의 간격(od)을 확보하고 상대운동시 마찰력을 극소화 하였다.본 실시예에서는 렌즈군과 합성화상지 사이의 간격(od)은 0.1 mm∼0.2mm 정도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간격은 합성화상지가 렌즈의 초점거리 이내에서 렌즈의 두께와 연동되어 넓어질 수도 있다. 이는 합성화상지가 렌즈의 촛점에 가까워질수록 정립허상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이다(배율이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을 고정하고 렌즈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배율을 조정하였지만, 렌즈두께를 조절하는 대신 상기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옥외 광고판나 고정식 광고판 등에 응용될 경우에는 상기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화상재현장치는 충분히 구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는 사용하지 않았으나 마스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마스크의 구성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헌 개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며, 설치방법도 동일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이를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사람이 지나다니는 장소에 거치할 경우의 장치이므로, 하단에 지지부(9)를 추가하고, 나아가 상기 지지부 위에서 상기 장치가 회동하도록 회동부(5)를 설치하였으며, 회동부에 회동범위를 한정하도록 가이드홈(도면부호 미부여)을 두었다. 또한 지지부 전면부에 센서(52)를 설치하여 지나가는 사람을 감지하도록(이 경우 센서는 열집적 렌즈를 사용한 열감지 센서가 바람직하다)하였고, 동센서와 연동하여 장치의 재현부가 지나가는 사람을 따라 회동하도록 하고, 아울러 음향 및 음성 송출부(54)를 구비하여 미리 입력된 음성이 프로그램에 따라 송출되어 지나가는 사람의 주의를 끌도록 구성하였다. 이같은 구성은 프로그램에 입력되어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는 합성화상지를 교체하기 위한 교체홈 덮개, 54는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의 초점을 조정하는 미세조정 버튼이다.
그밖의 상기 장치의 제어방식이나 기기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이를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의 보정방법을 3차이론에 의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장치가 대형인 경우에는 렌즈도 커지므로 5차이론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재현화상이 실상인 경우에도 적용되며, 장치 내부나 홀더판에 조명을 설치하여 야간에도 선명한 화상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거치식 장치뿐 아니라 옥외 광고판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며, 상기 실시예나 당업자의 변형사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화상재현 장치에 있어서, 렌즈의율에 의한 화소왜곡을 바로잡아 재현화상의 화질이 개선되며, 시차에 의해 인접화면이 보이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종래의 것보다 매우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공정이 용이해져 고화질의 화면을 재현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케이스와, 복수의 피사체 화상을 화소 단위로 분할한 뒤 이를 일정배율로 축소하여 평면에 분산 기록한 합성화상지와, 상기 합성화상지를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화소 수에 대응하는 수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과, 상기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을 이차원적으로 상대 운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지와 렌즈군을 상대 운동시킴으로써, 합성화상지에 기록한 화소군을 선택하여 렌즈군을 매개로 이들 각 분할 화소군으로부터 특정화상을 통일적으로 재현함과 아울러 이들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의 상대운동에 의해 각 통일화상을 일정한 순서로 재현하는 화상재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화상지에 기록된 화소는 화상 재현시 상기 렌즈의율에 의한 화상 왜곡을 바로잡도록 보정된 것으로, 상기 화소의 보정은 q=[2(n2-1)P]/(n+2) 식에 의해 산출된 Pn지점에서의 보정계수를 구하고, 이를 i+(i-q)=P'n 식에 의해 얻은 P'n값을 Pn지점에서의 보정값으로 하여 렌즈의율에 의한 화소왜곡을 보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화상지는 재현화상이 렌즈의 촛점거리 이내에 설치됨으로써 재현화상이 축소 전 화상의 크기의 정립 허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그 형상이 화상 재현시 시차에 의해 인접화상이 보이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렌즈의 측하단면을 커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화상 재현시 시차에 의해 인접화상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군과 합성화상지 사이에 마스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화상지 홀더에 다수의 합성화상지 지지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군의 안쪽면에는 합성화상지와 렌즈군의 상대운동시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운동은 합성화상지 홀더 측면 및 하단에 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에 상하 좌우방향 구동용 제1,제2의 모터와 연동된 피니언기어가 결합설 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단에 지지부가 추가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렌즈군 전면에 열감지 센서 및 회전구동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되 이 센서와 회전구동수단이 연동되어 렌즈군이 전면에 감지되는 물체로 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음향 및 음성 송출장치가 추가되어, 상기 렌즈군이 전면에 감지되는 물체로 향할 때 소정의 음향 및 음성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화상 재현장치
KR1020030036650A 2003-06-09 2003-06-09 복수화상 재현장치 KR100559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650A KR100559126B1 (ko) 2003-06-09 2003-06-09 복수화상 재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650A KR100559126B1 (ko) 2003-06-09 2003-06-09 복수화상 재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635A KR20040107635A (ko) 2004-12-23
KR100559126B1 true KR100559126B1 (ko) 2006-03-10

Family

ID=3738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650A KR100559126B1 (ko) 2003-06-09 2003-06-09 복수화상 재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87B1 (ko) 2008-10-29 2011-04-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버튼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87B1 (ko) 2008-10-29 2011-04-0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버튼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635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8141B2 (ja) 自動立体マルチユーザ・ディスプレイ
JP3966830B2 (ja) 立体表示装置
US7059729B2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6377295B1 (en) Observer tracking directional display
US5063441A (en) Stereoscopic video cameras with image sensor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sition
US20060227427A1 (en) Omnidirectional lenticular and barrier-grid image display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JP4714116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方法
CA2559994C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projection display system
US20070109505A1 (en) Projectio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US20080247042A1 (en) Sweet Spot Beam Splitter for Separating Images
IL136128A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panoramic images and movies
JP2001339672A (ja) マルチビジョン装置
JP2008067092A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方法
US20050083400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image data generating method
CN1231071C (zh) 立体系统
EP1083757A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559126B1 (ko) 복수화상 재현장치
JP4505559B2 (ja) スタジオセット用遠見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タジオセット
EP1221817A1 (en) Stereoscopic system
RU227575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смотра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отображаемого видеодисплейным средством (варианты)
JPWO2006077706A1 (ja)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モアレ軽減方法
WO2001002894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678339A (ja) 立体画像再生装置
JP3268798B2 (ja) 3次元表示装置
JP3080777B2 (ja) 投写型立体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