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98A -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298A
KR20190115298A KR1020180038152A KR20180038152A KR20190115298A KR 20190115298 A KR20190115298 A KR 20190115298A KR 1020180038152 A KR1020180038152 A KR 1020180038152A KR 20180038152 A KR20180038152 A KR 20180038152A KR 20190115298 A KR20190115298 A KR 2019011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volume
stem cells
thistl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786B1 (ko
Inventor
김한영
고훈건
이혜숙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3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78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재생을 증진시키고 줄기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켜 지방세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줄기세포뿐 아니라 손상된 피부세포를 회복시켜 주므로, 피부의 볼륨과 탄력을 부여해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promoting skin volume or renewing}
본 발명은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줄기세포의 재생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키고 손상된 피부세포를 회복시킨다. 이런 효능으로 피부의 볼륨과 탄력을 부여해 피부의 주름을 개선시키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피부의 노화는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으로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진행 속도에 차이가 있다.
사람의 피부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각질(keratin)이라는 방어 기능을 갖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로 이루어진다. 진피를 구성하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은 약 70%의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와 30%의 gel-like matrix, 1%의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로 이루어져 있다. 피하지방은 지방전구세포와 지방전구세포가 분화하여 만들어지는 성숙한 지방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하조직을 구성하는 피하지방층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피부의 볼륨을 유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호르몬 분비와 생화학적 변화 등 내부 원인에 의해 표피와 피하 지방층이 얇아진다. 또한, 진피층의 콜라겐 섬유와 엘라스틴 섬유의 유실로 주름지고 탄력이 떨어지는 피부 노화 과정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노화로 인한 얼굴의 변화는 깊어지는 주름과 볼 주위의 볼륨 감소로 나타나며,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한 피부 고민이다.
이러한 노화로 인한 피부 볼륨과 탄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지방이식수술이 있다. 하지만 단순 지방이식은 지방이 체내로 흡수되어 시술의 생착률이 낮은 편이라(S Eremia et al., Dermatol. Sur. 2000, 26: 1150-1158) 이식된 지방이 금방 빠지게 된다. 따라서 지방이식수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체하면서 피하지방층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피부 탄력 증진 원료로는 콜라겐이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분자의 크기가 커 피부 속으로 흡수되는데 어려움이 있고 침투 과정에서 분자가 분해되어 아미노산 형태로 진피층에 도달한다 해도 콜라겐 본연의 성분을 잃은 채 침투되어 효과성이 낮다(Zague et al., Arch. Dermatol. Res. 2008, 300: 479-483). 또, 화장품 원료로 섬유아세포를 활성화해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다량 생성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시키는 레티놀은 효능에 비해 소량을 피부에 적용해도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이, 피부 자극이 없고 안전한 천연 식물성 원료를 이용한 피부의 볼륨감 및 탄력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장품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피부의 피하지방조직에 의해서 피부의 기본적인 구조가 유지되고, 볼륨과 강도가 좌우된다. 기존에 사용되는 피부 외곽층의 진피나 표피에 탄력을 부여하는 방법보다는 지방조직의 부피 증가로 인한 피하지방층의 강화가 피부의 볼륨감과 탄력을 제공해 주름 개선의 또 다른 좋은 방향성이 될 수 있고, 이와 관련한 논문들이 발표되어 있다(Kim WS et al., J. Dermatol. Sci. 2009, 53(2): 96-102 ; Trottier V et al., Stem Cells. 2008, 26(10): 2713-23 ; Park BS et al., Dermatol. Surg. 2008, 34(10): 1323-1326).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한 천연 식물성 원료로 피부의 줄기세포성을 증진시키고 피하지방층에 지방조직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은 피부의 볼륨감 및 탄력 개선에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손상된 상처의 표면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층에 의해 덮이면서 새로운 표피가 생성되고 증식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s)가 콜라겐을 형성하면서 피부의 상처치유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이동성을 촉진함으로 상처 치유에도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에 자극이 없고 지방유래 줄기세포 활성화 및 지방조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해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과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피부 볼륨감, 피부탄력을 증가시키고 피부 주름 개선과 상처치유에 효과적이고, 피부에 자극이 적고 천연 유래의 식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도 1은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산화 스트레스를 가한 지방유래 줄기세포에 처리했을 때, 줄기세포 증식 마커(2a CD44 및 2b CD73)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지방세포로의 분화 조건하에서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처리 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로 유도한 후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b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처리한 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상대적 지방분화 수치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지방유래 줄기세포에 처리했을 때, 줄기세포 분화 마커(4a aP2 및 4b PPARγ)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에 의해 피부 각질세포(keratinocytes)의 이동이 촉진됨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b는 상처 면적을 수치화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에 의해 피부 섬유아세포(fibroblasts)의 이동이 촉진됨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b는 상처 면적을 수치화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s)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줄기세포성 증진과 피하지방층에 지방세포를 제공하여 피부에 대한 불륨과 탄력을 부여하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제공하며,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지느러미엉겅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crispus)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서, 아시아 온대 지방과 유럽이 원산이며, 북아메리카에도 퍼져 있고 지느레미엉겅퀴, 엉거시라고도 부른다. 들이나 길가에서 자라고 지느러미 모양의 날개가 세로로 달리며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줄기처럼 날카로운 가시가 달린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줄기 끝마다 대롱꽃으로만 된 보라색 두상화가 핀다. 생약 이름은 비렴(飛廉)으로 엉겅퀴처럼 잎을 살짝 데쳐서 쓴맛을 빼낸 뒤 나물로 무쳐 먹고 해열, 소염, 지혈, 거풍에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으로 감기, 가려움증, 관절염, 요도염, 대하증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이다.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이 0.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피부볼륨감, 피부탄력,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피부볼륨감, 피부탄력, 피부주름 증진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으며, 화장료 등으로 제조시 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은 지방세포 및 지방조직을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볼륨감 증진은 피부층의 볼륨이 늘어나고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피부 겉표면의 모양이 볼륨감이 증진되고, 팽팽해져 건강하게 보이는 것을 의미하거나, 손상된 피부 조직이 수복되어 원 상태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볼륨감 증가는 늘어났던 피부층의 부분의 체적이 증가하면서 피부 표면이 함께 펴지게 되어 피부 탄력의 손실에 따른 주름 생성 등과 같은 피부 노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부탄력 증진은 피부 주름과 관련된 능력을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부 진피층의 교원섬유인 콜라겐(collagen)과 탄력 섬유인 엘라스틴(elastin)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탄력을 주관하는데, 콜라겐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 외적 영향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부세포는 자연노화로 인하여 세포활성이 감소되면 콜라겐 섬유의 감소가 일어나거나, 또는 외적 요인으로서 자외선의 과량 조사되거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분해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을 증가시키고, 탄력을 감소시켜 피부노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재생, 피부주름개선, 항노화용 또는 피부상처 치료 증진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재생은 전반적인 피부노화 및 피부표피 등에 유발된 상처 등에 대응하여 새로운 각질세포를 생성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상기 피부주름개선, 항노화는 햇빛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진피 속의 콜라겐섬유, 탄력섬유 등에 변성이 일어나고, 피부노화에 의해서 피부탄력이 떨어져 피부가 접히게 되면서 주름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개선하고,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피부상처 치료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증식시키고,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를 촉진시키며,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활성화시켜 배양액내로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게 함으로써, 피부의 겉 부분만이 소실되는 찰과상, 긁혔을 때 나타나는 열상,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환경에 의해 일어나는 피부손상이 일어났을 때 이를 빠른 시간에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 derived stem cell: ADSC)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인간의 지방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s, hADSC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줄기세포는 개체의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성(pluripotent)이거나, 전능성(totipotent)이 있는 자가-재생산능(self-renewal)을 갖는 세포를 의미하며, 배양하는 줄기세포는 특정의 줄기세포로 한정되지 않으며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와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를 모두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 성체줄기세포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 탯줄혈액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uman cord blood-derived stem cells, CB-MSCs), 피부 유래 줄기세포, 또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s) 이다.
상기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인간의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일종의 성체 줄기세포일 수 있으며, 지방조직은 통상적으로 시행되는 지방흡입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어 충분한 양의 줄기세포를 용이하게 얻고 배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골수 채취에 비해 안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지방유래 줄기세포 표지 마커인 분화 클러스터 44(cluster of differentiation 44; 이하 CD44) 및 분화 클러스터 73(cluster of differentiation 73; 이하 CD 73)의 발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CD44 및 CD73의 발현량 증가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활성이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방조직을 증가시켜서 피부에 볼륨감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피부노화 및 재생 등에 실용적이며, 상처 치료에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지방유래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화란 덜 특화된 세포가 특정한 세포로 발달하여 세포의 크기나 모양, 막전위, 대사활성, 신호에 대한 반응이 특정한 유형의 세포로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지방세포의 분화는 지방조직이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지방조직 성장에 있어서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지방세포(adipocyte)로 전환되는 일련의 과정을 일컬으며 우리 몸에서 일생 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상기 지방유래 줄기세포로의 분화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의 지방전구세포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중간엽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지방유래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지느러미엉겅퀴를 분쇄하여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일정 시간 침전시키면서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교반한 후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하는 통상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느러미엉겅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볼륨감, 피부탄력, 피부주름개선, 항노화용 조성물로써 구체적으로 화장수, 젤, 팩, 영양 크림, 에센스, 샴푸,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연고, 겔, 크림, 패치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재생, 피부상처 치료용 조성물로써,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하기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지느러미엉겅퀴 메탄올 추출물 준비
본 실험에서 사용된 지느러미엉겅퀴는 추출용매로는 메탄올(99.9%)을 사용하였고, 추출물 시료는 감압하에서 건조된 상태로 50℃에서 추출하였으며, 이때 추출된 시료의 중량은 튜브(tube)당 22.71±0.51mg이었다. 이 시료를 DMSO로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의 세포독성 측정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hADSCs, Invitrogen, USA)를 100mm Cell culture dish에 계대배양 하며, CO2배양기(CO2 Incubator)에서 37℃, 5.0% CO2 조건 하에서 배양을 하였다.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5, 10, 20, 50, 100ppm의 농도로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에 처리하고, 세포독성을 MTT assay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5, 10, 20ppm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걸 확인할 수 있었고, 도 1에 위와 같은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 실험예 2>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의 줄기세포 표지 마커 (CD44, CD73) 유전자의 발현량 측정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면역학적으로 줄기세포가 발현하는 양성의 세포표면 단백질 인자인 CD44, CD73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20ppm으로 배지에 첨가하였고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산화스트레스는 과산화수소수를 200uM 농도로 24시간 처리하였다.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100mm Cell culture dish에서 계대배양 후, 12 웰 플레이트에 적정농도로 옮겼다. 시료에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다음, RNA 정제 키트(RNA-spin TM kit, Intron biotechnology)로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역전사 키트(maxime RT premix, Intron biotechnology)로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에서 CD44, CD73 유전자의 발현패턴을 사이버그린(Power SYBR Green, Applied Biosystems)시약을 이용해 비교했고, 줄기세포의 표지 마커인 CD44, CD73 유전자의 발현량이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도 2a 및 2b(2a CD44, 2b CD73)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3> 인간의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촉진 효능 및 정량적 측정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줄기세포 분화유도 배지를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상기 배지 조성물은 DMEM 고농도 글루코오스(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igh glucose)배지에 10% 소태아혈청(feral bovine serum), 1% 항생제인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0.5mM 3-이소부틸-1-메틸잔틴(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u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200uM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배지 조성물을 3일에 한 번씩 14일간 교체하면서 줄기세포 분화를 유도하였으며,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 시에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20ppm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14일 동안,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유도된 줄기세포에 대하여 오일 레드 오 염색(Oil red O staining)을 이용하여 현미경 및 510nm의 파장에서 흡광도 측정을 통해 분화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이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더 촉진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도 3a 및 3b(3a현미경 사진, 3b흡광도)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4>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의 줄기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의 발현량 측정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험예 3>에서의 배지 조성물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으며, 분화 유도 시에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20ppm으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3일에 한 번씩 14일간 배지를 교체하면서 줄기세포 분화를 진행하였다.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100mm Cell culture dish에서 계대배양 후, 12 웰 플레이트에 적정농도로 옮기고 <실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역전사 키트(maxime RT premix, Intron biotechnology)로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에서 aP2, PPARγ 유전자의 발현패턴을 사이버그린(Power SYBR Green, Applied Biosystems)시약을 이용해 비교했으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지방세포로의 분화 마커(aP2, PPARγ)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도 4a 및 4b(4a aP2, 4b PPARγ)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5> 인체 각질세포의 이동 증가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의 상처 치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질세포에 상처를 가한 후 상처 치유 활성을 확인하였다.
인간 각질세포 HaCaT 세포를 75cm2 T-flask에 배양하여 5.0×105 cells/ml의 인간 각질세포 HaCaT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세포 단일층에 상처를 내야 하는데, 일정한 간격을 위해서 2 웰 인서트(Culture-Insert 2 well, ibidi, Germany)를 사용하였다. 6 웰 플레이트에 부착시킨 인서트 각 웰에 3.5×104 cells/70 ul의 HaCaT 세포를 넣어 주고, CO2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조건은 37℃, 5.0% CO2 조건으로 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2 웰 인서트를 멸균된 핀셋으로 제거하고 HaCaT 세포의 배양액을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대조군으로 기본 배양액을, 실험군으로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20ppm 첨가된 배양액을 1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상처면적이 감소되어 각질세포의 이동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a는 상처 면적을 현미경으로 비교한 사진이며, 도 5b는 상기 결과를 Image J 프로그램(Java-based image processing program)을 이용하여 면적비를 구하여 그래프로 정리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각질세포의 이동을 촉진시켜 대조군에 비하여 상처 치유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6> 인체 섬유아세포의 이동 증가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의 상처 치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 상처를 가한 후 상처 치유 활성을 확인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s)를 100mm Cell culture dish에 배양하여 <실험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섬유아세포에 상처를 내었다. 24시간 배양 후, 2 웰 인서트를 멸균된 핀셋으로 제거하고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을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대조군으로 기본 배양액을, 실험군으로는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20ppm 첨가된 배양액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상처면적이 감소되어 섬유아세포의 이동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a는 상처 면적을 현미경으로 비교한 사진이며, 도 6b는 상기 결과를 Image J 프로그램(Java-based image processing program)을 이용하여 면적비를 구하여 그래프로 정리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섬유아세포의 이동을 촉진시켜 대조군에 비하여 상처 치유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7> 피부볼륨감 및 피부탄력 증진 효과 측정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명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1.0 - 20
글리세린 5.0 5.0 5.0
스테아린산 8.0 8.0 8.0
스쿠알란 5.0 5.0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2.5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1.5 1.5
프로필렌 글리콜 4.0 4.0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0.2 0.2
바셀린 2.0 2.0 2.0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본 발명의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사용 시 피부볼륨감, 피부탄력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크림을 10명씩 3 그룹으로 나누어 1일 2회씩 아침 세안 후와 저녁 세안 후, 4주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제품 사용 후 피부볼륨 증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안면 피부 처짐 촬영을 통해 확인하였다. 안면 3차원 촬영장치인 PRIMOS® body (GFMesstechnik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측면을 사진촬영 하였고, 이미지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 측면의 볼륨을 분석하여 변화 정도를 수치화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볼륨감 증진(%)
실시예 1 8.9
비교예 1 1.3
비교예 2 0.9
피부탄력 증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부에 음압을 걸어주었다 놓았다 하는 방식으로 피부 탄력을 측정하는 기기인 큐토미터(Cutometer,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탄력 개선도(%)
실시예 1 48
비교예 1 26
비교예 2 28
상기 표 2, 3의 결과에서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1을 4주동안 사용했을 때, 비교예 1, 2와 비교하여 피부볼륨감 증진, 피부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하기에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이용한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skin toner)
성분명 함량 (중량%)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1.0
글리세린 5.0
1,3 - 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5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 astrigent )
성분명 함량 (중량%)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1.0
글리세린 3.0
구연산 0.1
에탄올 10.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0
소르비톨 2.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3> 로션 (emulsion)
성분명 함량 (중량%)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1.0
글리세린 5.0
1,3 - 부틸렌글리콜 8.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트리에탄올아민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4> 크림 (cream)
성분명 함량 (중량%)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1.0
글리세린 5.0
스테아린산 8.0
스쿠알란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프로필렌 글리콜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바셀린 2.0
산화방지제 적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5> 연고제(ointment)
성분명 함량 (중량%)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 1.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2.0
스테아린산 1.0
밀납 4.0
스쿠알란 7.0
모노스테아린 글리세린 3.0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폴리솔베이트 80 3.0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4.0
향료 적량
바세린 잔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 4 내지 8과 같이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러 제형을 조성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볼륨, 피부탄력, 주름개선, 항노화, 피부재생 및 피부상처 치료 증진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9)

  1.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지방유래 줄기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지방유래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재생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은 지방유래 줄기세포 표지 마커인 분화 클러스터 44(CD44) 및 분화 클러스터 73(CD73)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재생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주름개선, 항노화,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료 개선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은 지방세포 및 지방조직 증가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80038152A 2018-04-02 2018-04-02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50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52A KR102500786B1 (ko) 2018-04-02 2018-04-02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52A KR102500786B1 (ko) 2018-04-02 2018-04-02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98A true KR20190115298A (ko) 2019-10-11
KR102500786B1 KR102500786B1 (ko) 2023-02-17

Family

ID=6821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152A KR102500786B1 (ko) 2018-04-02 2018-04-02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271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필코리아 피부 자입 및 리프팅용 코팅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921A (ko) * 2002-01-29 2003-08-06 삼진제약주식회사 혈당강하 및 진통제 조성물
KR20050114677A (ko) * 2003-03-25 2005-12-06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I형 콜라겐 및/또는 엘라스틴 생산 촉진용 조성물
KR20170025375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43488B1 (ko) * 2010-11-30 2017-06-07 (주)아모레퍼시픽 비피더스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용 및 피부세포 증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921A (ko) * 2002-01-29 2003-08-06 삼진제약주식회사 혈당강하 및 진통제 조성물
KR20050114677A (ko) * 2003-03-25 2005-12-06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I형 콜라겐 및/또는 엘라스틴 생산 촉진용 조성물
KR101743488B1 (ko) * 2010-11-30 2017-06-07 (주)아모레퍼시픽 비피더스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용 및 피부세포 증식용 조성물
KR20170025375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동만. Biological Activities of Apigenin Isolated from Milk Thistle(Carduus crispus). 건국대학교대학원 응용생명과학과 박사청구논문, 2011년8월 *
김은미 외 1명. 자생 엉겅퀴의 부위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효과. KOREAN J. FOOD COOKERY SCI., Vol. 25, No. 4, pp. 406~414 (200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271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필코리아 피부 자입 및 리프팅용 코팅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786B1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9522B1 (en) Use of egg cellular extracts for wound treatment
EP2566583B1 (en) Process for preparing fish egg cellular extract
JP5517955B2 (ja) 低分子及び高分子ヒアルロン酸と楡根皮とから抽出した多糖類を含有する老化防止用組成物
JP2019532108A (ja) 化粧品向けの使用のためのアニゴザントス・フラビダスの抽出物
JP2014521698A (ja) 天然原料の組み合わせを含有するスキンケア組成物
DE102011000471A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KR101841461B1 (ko) 저분자 콜라겐이 포함된 당나귀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123092B2 (ja) 皮膚外用剤
TW201922276A (zh) 間葉系幹細胞引誘劑
KR101124971B1 (ko)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6447A (ko) 돼지 태반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물 및 그 추출 단백질을 함유한 화장료용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7970278B (zh) 莲雾水萃取物的水解产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101798632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500786B1 (ko) 피부볼륨감 증진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92856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2107B1 (ko) 화장료 조성물
CN109662938B (zh) 一种植物多糖保湿因子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10117068A (ko) 자연유래 지느러미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보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648054B (zh) 江氏龍鬚菜水萃取物的水解產物及其製備方法與用途
KR20120053260A (ko) 산뽕나무, 한련초, 지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3989928A1 (en) Use of a hydro-alcoholic extract of evening primrose for hydrating skin and increasing barrier function
JP2011001300A (ja) 皮膚老化防止剤、表皮細胞分裂回数減少に対する抑制剤、及び表皮厚減少に対する抑制剤
KR20190113169A (ko) 피부 주름 개선, 보습, 항산화 및 염증 완화 효과가 증가된 진피, 후박, 현호색, 아선약의 에탄올 추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