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639A - 섬유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639A
KR20190113639A KR1020190034855A KR20190034855A KR20190113639A KR 20190113639 A KR20190113639 A KR 20190113639A KR 1020190034855 A KR1020190034855 A KR 1020190034855A KR 20190034855 A KR20190034855 A KR 20190034855A KR 20190113639 A KR20190113639 A KR 2019011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methyl
naphthalen
yloxy
octendi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명
김광수
Original Assignee
크리스탈지노믹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탈지노믹스(주) filed Critical 크리스탈지노믹스(주)
Priority to RU202013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RU2020132922A/ru
Priority to CA3093779A priority patent/CA3093779A1/en
Priority to US16/982,309 priority patent/US20210015772A1/en
Priority to BR112020017776-8A priority patent/BR112020017776A2/pt
Priority to PCT/KR2019/003619 priority patent/WO2019190214A1/ko
Priority to JP2020545550A priority patent/JP2021516683A/ja
Priority to CN201980020179.8A priority patent/CN111867571A/zh
Priority to EP19774914.6A priority patent/EP3777847A4/en
Publication of KR2019011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piracetam, ethosux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카바모일 나프탈렌일옥시 옥테노일 하이드록시아마이드,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섬유성 조직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섬유화증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IBROSIS}
본 발명은 알킬카바모일 나프탈렌일옥시 옥테노일 하이드록시아마이드,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화증은 섬유성 결합조직들의 고도한 침적을 의미하며, 이는 섬유성 조직들의 증식과 분해 간의 불균형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질병들의 일반적인 특징은 섬유화 세포의 과잉증식으로 조직 및 기관 섬유화증은 흔히 폐 섬유화증, 간 섬유화증, 만성 췌장염, 피부경화증, 신 사구체 섬유화증 및 방사선화학 요법 및 조직 이식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다발성 장기 섬유화증이 포함된다.
신장섬유화증은 신장조직에 발생한 염증으로 인해 축적된 흉터로 섬유화가 발생하는 질병으로 신장의 일부가 굳어 그 기능이 상실된다. 이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이어지며, 만성 신부전은 빈혈, 혈액응고 장애, 고혈압, 심폐 및 위장관의 각종 합병증과 감염을 동반한다. 신장 기능이 정상인의 15% 이하가 되면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의 신장 내 생산이 저하되며, 이는 적혈구 생성 감소로 이어진다. 또한 오줌의 분비가 활발히 일어나지 않아 발병되는 요독증은 적혈구의 수명을 감소시켜 강력한 빈혈을 야기 시킨다. 또한 요독증 발병으로 전신성 감염이 야기될 확률이 증가하며, 이는 패혈증 발병의 주요 요인이 된다.
폐 섬유화증은 특발성 폐 섬유화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이 대표적으로 섬유화를 일으키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상피세포 혹은 대상세포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손상을 가하고 손상 부위의 치유과정 이상으로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자극인자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폐의 염증이 폐 섬유화를 직접적으로 일으킨다고는 할 수 없으나 먼저 폐의 염증이 선행되고 이어 정상 조직으로 치유되는 과정에서 특발성 폐 섬유화증 환자와 정상인의 차이에 의해 폐 섬유화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섬유화의 또 다른 주요한 기전으로 T helper type 2 사이토카인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활성화와 증식을 통해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침착 및 섬유화가 유발된다.
간 섬유화는 만성 간 내 염증으로 인한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과다한 침착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세포 외 기질의 과다한 침착으로 만성간질환이 지속되는 경우 결국은 간내 구조의 변형과 간세포수의 감소로 간경변으로 진행되게 된다. 간 섬유화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세포로는 간성상세포 (hepatic stellate cell), 쿠퍼세포 (Kupffer cell), 내피세포 (endothelial cell) 등이 있다. 간성상세포는 세포 외 기질을 생산하는 주 생산원으로 활성화되며 교원질을 포함한 각종 세포 외 기질의 생성 증가에 관여한다. 쿠퍼세포는 간 내 동모양 혈관강(sinusoidal space)내에 존재하며 활성화된 쿠퍼세포에서 생성된 물질들은 주위 간세포, 내피세포, 그리고 간성상세포에 영향을 주게 되어 간 섬유화를 촉진시킨다. 내피세포는 간 내 혈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외에도, 염증이나 간 섬유화 등에 의해 간성상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성장인자와 세포외기질의 생성에도 관여한다. 간 섬유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토카인으로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등이 있다. TGF-β는 간성상세포의 가장 강력한 섬유화 촉진 사이토카인이며 간성상세포 자체가 TGF-β의 주 생산원이다. PDGF는 간성상세포의 가장 강력한 분열과 증식 촉진 사이토카인이다. 과거 오랫동안 간 섬유화 과정은 비가역적 현상으로 인식되었지만 최근 가역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사실이 보고되어 역동적 변화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화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화학식의 알킬카바모일 나프탈렌일옥시 옥테노일 하이드록시아마이드,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섬유화증을 억제하고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킬카바모일 나프탈렌일옥시 옥테노일 하이드록시아마이드,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페닐, C1- 3알콕시, C1- 3알콕시C1 - 3알킬, 사이클로헥산일, 퓨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 이미다졸리딜C1 - 3알킬, C1- 3알킬아미노, 다이C1 - 3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페닐,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세닐, 옥소피롤리디닐, C1-3알콕시페닐, 다이C1-3알킬아미노페닐, C1-3알킬피롤리디닐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 3알킬; C3- 8사이클로알킬, C3- 8사이클로알킬C1 - 3알킬, 벤질, C1- 3알킬 또는 C3- 8사이클로알킬카보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피롤리딘; 또는 C1-3알킬 또는 C3-8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피페리딘; 퓨란; 또는 C3-8사이클로알킬이고, 단, 치환되지 않은 C1-2알킬 및 C1-2알킬피롤리디닐로 치환된 C1-2알킬은 제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 (E)-N1-(3-(1H-이미다졸-1-일)프로필)-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텐다이아마이드,
2) (E)-N8-하이드록시-N1-(4-하이드록시페네틸)-2-((나프탈렌-1-일 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3) (E)-N1-(3-(다이메틸아미노)-2,2-다이메틸프로필)-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텐다이아마이드,
4) (E)-N1-(2-(다이아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텐다이아마이드,
5) (E)-N8-하이드록시-N1-(1-메톡시프로판-2-일)-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6) (E)-N8-하이드록시-N1-(4-메톡시벤질)-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7) (E)-N1-(4-플루오로페네틸)-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8)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9) (E)-N1-(2-사이클로헥세닐에틸)-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0)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2-옥텐다이아마이드,
11) (E)-N1-(퓨란-2-일메틸)-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2) (E)-N1-(4-(다이메틸아미노)벤질)-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3) (E)-N8-하이드록시-N1-(2-메톡시에틸)-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4) (E)-N1-사이클로헥실-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5)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티오펜-2-일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6) (E)-N8-하이드록시-N1-(4-메톡시페네틸)-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7)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2-옥텐다이아마이드,
18) (E)-N1-(1-(사이클로헥실메틸)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9) (E)-N1-(1-사이클로펜틸피페리딘-4-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0) (E)-N1-(1-벤질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1) (E)-N8-하이드록시-N1-(1-아이소프로필피롤리딘-3-일)-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2) (E)-N1-(1-(사이클로헥산카보닐)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3) (E)-3-(8-(하이드록시아미노)-2-((나프탈렌-1-일옥시)메틸)-8-옥소-2-옥텐아미도)피롤리딘-1-카르복실산t-부틸에스터,
24)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피롤리딘-3-일)2-옥텐다이아마이드,
25) (E)-N1-(1-사이클로헥실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2-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6) (E)-N1-(1-사이클로프로필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7) (E)-N1-(1-사이클로프로필피페리딘-4-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8) (E)-N1-(1-에틸피페리딘-4-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9) (E)-N1-(1-에틸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30) (E)-N8-하이드록시-N1-(2-(1-메틸피롤리딘-2-일)에틸)-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및
31) (E)-N8-하이드록시-N1-(1-아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E)-N1-(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트-2-엔다이아마이드((E)-N1-(3-(dimethylamino)propyl)-N8-hydroxy-2-((naphthalen-1-yloxy)methyl)oct-2-enediamide)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섬유화증은 신장 섬유화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섬유화증은 폐 섬유화증일 수 있고, 상기 폐 섬유화증은 일반적인 블레오마이신(bleomycin) 유도 모델뿐만 아니라,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유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는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G), 클로로메틸 이소티아졸리논(chloromethyl isothiazolinone, CMIT), 메틸이소티아졸리논(methyl isothiazolinone, MIT), 염화에톡시에틸구아디닌(Oligo(2-(2-ethoxy)ethoxyethyl guanidinium chloride, PG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폐 섬유화증은 블레오마이신,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PHMG),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및 염화에톡시에틸구아디닌(PGH)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섬유화증은 간 섬유화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인산염, 타르타르산염, 스테아르산염, 글루콘산염, 푸마르산염, 나프토산염, 및 1-하이드록시-2-나프토익산염(1-Hydroxy-2-naphth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골수 내, 경막 내, 심장 내, 경피, 피하, 복강 내, 비강 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 내, 근육 내, 관절 내, 활액낭 내, 흉골 내, 경막 내, 병소 내 및 두개골 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기관지 내 흡입,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 mg/kg 또는 0.001 내지 5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상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질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 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급성신부전으로 유도된 신장 섬유화증 동물모델과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G) 등으로 유도된 폐 섬유화증 동물모델에서 세포의 섬유화 마커인 α-SMA (alpha-smooth muscle actin)의 발현을 억제하고 조직의 항섬유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장기 섬유화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급성신부전으로 유도된 신장 섬유화증 동물모델에 30 mg/kg/day의 (E)-N1-(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트-2-엔다이아마이드(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로서, 이하 "CG200745"로 칭함)를 섭취한 CG200745 섭취군 및 용매 대조군의 신장 조직 절편과 음성대조군으로 정상 신장인 동물모델의 왼쪽 신장 조직 절편에, 헤모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수행한 조직 병리학적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급성신부전으로 유도된 신장 섬유화증 동물모델에 30 mg/kg/day의 CG200745를 섭취한 CG200745 섭취군 또는 용매대조군의 신장 조직과 음성대조군으로 정상 신장인 동물모델의 왼쪽 신장 조직 세포에서 각각 분리된 RNA를 실시간 중합효과 연쇄반응을 수행하여 α-SMA (alpha-smooth muscle actin)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블레오마이신으로 유도된 폐 섬유화증 동물모델에서 15,30,60 mg/kg/day의 CG200745를 투여한 CG200745 투여군 또는 용매대조군의 폐 조직 절편과 헤모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수행한 조직병리학적 분석결과이다.
도 4는 블레오마이신으로 유도된 폐 섬유화증 동물모델에서 15,30,60 mg/kg/day의 CG200745를 투여한 CG200745 투여군 또는 용매대조군의 기관지 폐 세포 세척액으로 Sircol assay를 수행하여 collagen의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블레오마이신으로 유도된 폐 섬유화증 동물모델에서 15,30,60 mg/kg/day의 CG200745를 투여한 CG200745 투여군 또는 용매대조군의 폐 조직세포의 섬유화증 표적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PHMG로 유도된 폐 섬유화증 동물모델에서 1,15,30,60 mg/kg/day의 CG200745를 투여한 CG200745 투여군 또는 용매대조군의 폐 조직 절편과 헤모톡실린&에오신 염색 및 Masson trichrome 염색을 수행한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PHMG로 유도된 폐 섬유화증 동물모델에서 1,15,30,60 mg/kg/day의 CG200745를 투여한 CG200745 투여군 또는 용매대조군의 기관지 폐포 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에서 Sircol assay를 시행하여 collagen의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PHMG로 유도된 폐 섬유화증 동물모델에서 1,15,30,60 mg/kg/day의 CG200745를 투여한 CG200745 투여군 또는 용매대조군의 폐 조직세포의 섬유화증 표적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 실시예 1> 일측성 요관 폐색 (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신부전) 마우스 모델 평가
1-1. 일측성 요관 폐색 마우스 모델 제작
8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C57BL/6 마우스의 복부 개복 후 두 개의 요관 중 한 개의 요관을 6-0 면사로 폐쇄하였다. 요관 폐쇄 후 복부를 봉합하고 소독하였다. 수술 직후 숙주 마우스를 비 섭취군인 용매대조군과 CG200745 섭취군으로 분류하고 CG200745 섭취군에는 증류수에 녹인 CG200745 (30 mg/kg/day)를 증류수에 녹여 섭취토록 하였다. 수술 후 7일째, 용매 대조군과 CG200745 섭취군 마우스를 안락사 시킨 후 각각 정상 신장과 요관 폐쇄 후 급성신부전이 야기된 신장을 적출하였다.
1-2. 조직 병리학 분석
상기 적출된 정상 신장과 급성신부전이 야기된 신장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킨 후, 파라핀으로 덮고 3 μm 두께로 조직 절편을 제작하였다. 완성된 조직 절편에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수행하여 신장 조직 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헤마톡실린 염색은 신장 조직절편을 Gill`s 헤마톡실린으로 5분간 염색하고 수돗물로 세척한 후, 95% 에탄올을 처리하였다. 에오신 염색은 에오신과 필록신 (phloxine)으로 1분간 염색하였다. 이후 조직 절편은 에탄올과 자일렌 (xylene)으로 탈수하고 Canada balsam으로 고정하였다. 제작한 신장 조직 절편은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급성신부전이 야기된 신장인 용매대조군은 정상 신장인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섬유화가 진행된 반면, CG200745 섭취군 신장은 용매 대조군과 비교하여 섬유화 진행이 억제되었다.
1-3. 섬유화증 마커 α-SMA (alpha-smooth muscle actin) 발현 확인
상기 적출된 정상 신장과 급성신부전이 야기된 신장인 용매대조군 및 CG200745 섭취군의 신장으로부터 RNA를 분리하여 역전사로 cDNA를 합성하고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을 수행하여 섬유화증 마커인 α-SMA (alpha-smooth muscle actin)의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신장피질을 Trizol 용액 (Invitrogen, Carlsbad, CA)으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한 신장피질로부터 클로로폼 (chloroform)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고,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로 침전한 후, 75%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RNA는 증류수에 녹인 후, 260nm (Ultraspec 2000; Pharmacia Biotech, Cambridge, UK)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농도를 확인하였다. cDNA는 oligo(dT) primer와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II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5 mg RNA를 역전사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cDNA는 Smart Cycler II System (Cepheid, Sunnyvale, CA)을 이용하여 SYBR Green으로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10 mM forward primer, 10 mM reverse primer, 2X SYBR Green Premix Ex Taq (TAKARA BIO INC, Seta 3-4-1, Japan), 0.5 mL cDNA를 혼합한 후, 최종부피가 20 mL이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Rotor-GeneTM 3000 Detector System (Corbette research, Mortlake, New South Wales, Australia)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으며, α-SMA mRNA의 상대정량을 비교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다음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1) 95℃, 5분
2) 95℃, 20초
3) 58~62℃, 20초
4) 72℃, 30초
5) 85℃ 6초
이중 2)~5)단계는 64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마지막 싸이클 최종온도는 60℃에서 95℃로 증가시켜 melting curve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PCR 발현량 비교는 SYBR Green 측정값으로 확인하였다. 다음과 같은 프라이머 서열을 사용하였다:
사람 α-SMA 정방향, 5`-ACTGGGACGACATGGAAAAG-3` 과 역방향, 5`-CATCTCCAGAGTCCAGCACA-3`, 사람 GAPDH 정방향, 5`-TGTGTCCGTCGTGGATCTGA-3` 과 역방향, 5-GATGCCTGCTTCACCACCTT-3`.
그 결과, 도 2와 같이 요관 폐색을 통하여 신부전이 야기된 신장에 CG200745를 30 mg/kg을 섭취한 CG200745 섭취군에서 비 섭취 대조군인 용매대조군보다 50% 이상 감소된 α-SMA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블레오마이신 유도 마우스 모델 평가
2-1. 블레오마이신 유도 마우스 제작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모델은 7주령 C57BL/6 암컷 생쥐를 사용하고, 블레오마이신 투여군, 블레오마이신 투여 후 CG500745 15, 30, 60 mg/kg과 대조군으로 총 5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우스의 기도를 절개하고 2 mg/kg의 블레오마이신을 50 μl의 부피로 기도 내로 주입하였다. 주입 후 절개 부위는 5-0 나일론으로 봉합하였다. 블레오마이신 주입 후, 약물투여는 복강 투여하였고, 총 2주간 투여하였다.
2-2. 블레오마이신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의 조직 병리학적 분석
마우스 희생 후 개흉한 뒤 폐를 적출하여 4% paraformaldehyde 로 고정하였다. 48시간동안 4% paraformaldehyde에 담가 놓고 4℃에서 고정한 후 파라핀블록을 제작하여 파라핀 포매조직을 4 μ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붙인다. 헤모톡실린&에오신 염색과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였다.
헤모톡실린&에오신 염색은 슬라이드를 Xylene 5분씩 2번, 에탄올 100%, 95%, 70%로 각 2분씩 한번 시행하고 흐르는 증류수에 세척하였다. 세척 후 슬라이드를 hematoxylin에 1분 동안 담가 둔 후 흐르는 증류수에 여러 번 세척 후 eosin에 30초간 담그고 흐르는 증류수로 여러 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70%, 95%, 100% ethanol에 각 1분씩 시행하고, xylene에 2분씩 2번 담가두었다. 마지막으로 mounting medium xylene을 이용하여 cover-slide를 영구 부착하고, 이러한 샘플들을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은 collagen과 근섬유를 염색하기 위해 시행하였고, 슬라이드를 xylene 5분씩 2번, 에탄올 100%, 95%, 70%로 각 2분씩 한번 시행하고 흐르는 증류수에 세척하였다. 세척 후 슬라이드를 항온수조를 56~64℃로 맞춘 후, Bouin's fluid에 1시간 반응시킨 후 10분간 냉각시켰다. 흐르는 증류수에 여러 번 세척 후, iron hematoxylin 5분 진행하고 따뜻한 물에 2분간 헹군 후, 증류수로 한번 더 세척하였다. Biebrich scarlet/Acid Fuchsin solution으로 5분 염색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solution으로 15분 염색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Anilin Blue solution으로 10분 염색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1% acetic acid solution으로 5분 진행하였다. 그 다음 70%, 95%, 100% ethanol에 각 1분씩 시행하고, xylene에 2분씩 2번 담가두었다. 염색된 collagen과 근섬유는 광학현미경에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블레오마이신 처리에 의해 증가된 fibrosis 정도와 collagen 축적이 CG200745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여 정상화됨을 확인하였다.
2-3. 블레오마이신 유도 마우스모델에서의 Sircol assay 분석
2주간 약물 투여 후, 마우스의 기도부위 피부를 절개한 후 기도를 노출시키고 기관 내로 PBS 800 μl를 넣어 세척하여 500 μl를 다시 회수하여 기관지 폐포 세척액을 얻었다. 기관지폐포 세척액을 4℃, 1,200 rpm,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을 얻었다. 기관지폐포 세척액 50 μl과 sircol dye reagent 1 ml을 30분간 혼합하였다. 4℃,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버리고, Acid-salt wash reagent 750 μl 넣고 세척해준 후, 1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은 버리고 Alkali reagent를 1 ml 넣고 풀어준 후, 55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블레오마이신에 의해 증가된 collagen이 CG200745 농도의존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2-4. 블레오마이신 유도 마우스모델에서의 섬유화증 마커 발현 확인
조직 내 폐 섬유화증과 관련 마커들(α-SMA, collagen I, PAI-1, E-cadherin, N-cadherin)과 Acetylated H3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수행하였고, 마우스 희생 후 개흉한 뒤 폐를 적출하여 하루 동안 냉동보관하고, 마우스 조직을 갈아서 단백질로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를 SDS-PAGE를 수행하여 분획된 단백질들을 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 멤브레인에 옮겼다. 단백질들이 옮겨진 PVDF 멤브레인을 1X TBST에 5% 스킴 밀크(skim milk)로 희석한 블로킹 완충용액에서 1시간 동안 흔들어 블로킹시킨 다음, 토끼 유래의 폴리클론 1차 항체를 블로킹 완충용액에 1000배 희석하여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은 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HRP가 접합된 토끼에 대한 2차 항체를 블로킹 완충용액에 2000배 희석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은 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세척된 멤브레인에 ECL로 반응시켜 확인하였다.
cont 두마리의 평균을 1로 보고 상대적인 수치를 기록하여 덴시토메트리(densitometry)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CG200745 농도의존적인 histone acetylation 증가와 블레오마이신 처리에 의해 증가된 섬유화증 마커(α-SMA, Collagen I, PAI-1)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유도 마우스 모델 평가
3-1.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폐 섬유화증 마우스모델 제작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G) 모델은 7주령 C57BL/6 암컷 생쥐를 사용하고,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투여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투여 후 CG200745 15, 30, 60 mg/kg과 대조군으로 총 5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우스의 기도를 절개하고 1 mg/kg의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을 50 μl의 부피로 기도 내로 주입하였다. 주입 후 절개 부위는 5-0 나일론으로 봉합하였다.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주입 후, 약물투여는 복강 투여하였고, 총 2주간 투여하였다.
3-2.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폐 섬유화증 마우스모델에서의 조직 병리학적 평가
마우스 희생 후 개흉한 뒤 폐를 적출하여 4% paraformaldehyde 로 고정하였다. 48시간동안 4% paraformaldehyde에 담가 놓고 4℃에서 고정한 후 파라핀블록을 제작하여 파라핀 포매조직을 4 μm두께로 박절하여 슬라이드에 붙였다. 헤모톡실린&에오신염색과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였다.
헤모톡실린&에오신염색은 슬라이드를 Xylene 5분씩 2번, 에탄올 100%, 95%, 70%로 각 2분씩 한번 시행하고 흐르는 증류수에 세척하였다. 세척 후 슬라이드를 hematoxylin에 1분 동안 담가 둔 후 흐르는 증류수에 여러 번 세척 후 eosin에 30초간 담그고 흐르는 증류수로 여러 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70%, 95%, 100% ethanol에 각 1분씩 시행하고, xylene에 2분씩 2번 담가두었다. 마지막으로 mounting medium xylene을 이용하여 cover-slide를 영구 부착하고, 이러한 샘플들을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은 Collagen과 근섬유를 염색하기 위해 시행하였고, 슬라이드를 xylene 5분씩 2번, 에탄올 100%, 95%, 70%로 각 2분씩 한번 시행하고 흐르는 증류수에 세척하였다. 세척 후 슬라이드를 항온수조를 56~64℃로 맞춘 후, Bouin's fluid에 1시간 반응시킨 후 10분간 냉각시켰다. 흐르는 증류수에 여러 번 세척 후, iron hematoxylin 5분 진행하고 따뜻한 물에 2분간 헹군 후, 증류수로 한번 더 세척하였다. Biebrich scarlet/Acid fuchsin solution으로 5분 염색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solution으로 15분 염색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Anilin Blue solution으로 10분 염색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1% Acetic acid solution으로 5분 진행하였다. 그 다음 70%, 95%, 100% ethanol에 각 1분씩 시행하고, xylene에 2분씩 2번 담가둔다. 염색된 collagen과 근섬유는 광학현미경에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에 의해 유도된 폐 섬유화가 CG200745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3-3.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폐 섬유화증 마우스모델에서의 Sircol assay 분석
2주간 약물 투여 후, 마우스의 기도부위 피부를 절개한 후 기도를 노출시키고 기관 내로 PBS 800 μl를 넣어 세척하여 500 μl를 다시 회수하여 기관지 폐포 세척액을 얻었다. 기관지폐포 세척액을 4℃, 1,200 rpm,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을 얻었다. 기관지폐포 세척액 50 μl과 Sircol dye reagent 1 ml을 30분간 혼합하였다. 4℃,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버리고, Acid-salt wash reagent 750 μl을 넣고 세척해준 후,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은 버리고 Alkali reagent를 1 ml 넣고 풀어준 후, 55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에 의해 증가된 collagen이 CG200745 농도의존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3-4.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폐 섬유화증 마우스모델에서의 섬유화 마커 발현 확인
조직 내 폐 섬유화증과 관련 마커들(α-SMA, collagen I, PAI-1, E-cadherin, N-cadherin)과 Acetylated H3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수행하였고, 마우스 희생 후 개흉한 뒤 폐를 적출하여 하루 동안 냉동보관하고, 마우스 조직을 갈아서 단백질로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를 SDS-PAGE를 수행한 다음 분획된 단백질들을 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 멤브레인에 옮겼다. 단백질들이 옮겨진 PVDF 멤브레인을 1X TBST에 5% 스킴 밀크(skim milk)로 희석한 블로킹 완충용액에서 1시간 동안 흔들어 블로킹시킨 다음, 토끼 유래의 폴리클론 1차 항체를 블로킹 완충용액에 1000배 희석하여 밤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은 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HRP가 접합된 토끼에 대한 2차 항체를 블로킹 완충용액에 2000배 희석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은 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세척된 멤브레인에 ECL로 반응시켜 확인하였다.
cont 두마리의 평균을 1로 보고 상대적인 수치를 기록하여 덴시토메트리(densitometry)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와 같이 CG200745 농도의존적인 histone acetylation 증가와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처리에 의해 증가된 섬유화증 마커(α-SMA, Collagen I, PAI-1)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폐 섬유화증 모델은 상기에 기재된 성분 외에 블레오마이신,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및 염화에톡시에틸구아디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유도된 것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페닐, C1- 3알콕시, C1- 3알콕시C1 - 3알킬, 사이클로헥산일, 퓨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 이미다졸리딜C1 - 3알킬, C1- 3알킬아미노, 다이C1 - 3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페닐,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세닐, 옥소피롤리디닐, C1-3알콕시페닐, 다이C1-3알킬아미노페닐, C1-3알킬피롤리디닐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3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3-8사이클로알킬C1-3알킬, 벤질, C1-3알킬 또는 C3-8사이클로알킬카보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피롤리딘; 또는
    C1-3알킬 또는 C3-8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피페리딘; 퓨란; 또는 C3-8사이클로알킬이고,
    단, 치환되지 않은 C1-2알킬 및 C1-2알킬피롤리디닐로 치환된 C1-2알킬은 제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 (E)-N1-(3-(1H-이미다졸-1-일)프로필)-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텐다이아마이드,
    2) (E)-N8-하이드록시-N1-(4-하이드록시페네틸)-2-((나프탈렌-1-일 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3) (E)-N1-(3-(다이메틸아미노)-2,2-다이메틸프로필)-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텐다이아마이드,
    4) (E)-N1-(2-(다이아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텐다이아마이드,
    5) (E)-N8-하이드록시-N1-(1-메톡시프로판-2-일)-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6) (E)-N8-하이드록시-N1-(4-메톡시벤질)-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7) (E)-N1-(4-플루오로페네틸)-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8)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9) (E)-N1-(2-사이클로헥세닐에틸)-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0)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2-옥텐다이아마이드,
    11) (E)-N1-(퓨란-2-일메틸)-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2) (E)-N1-(4-(다이메틸아미노)벤질)-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3) (E)-N8-하이드록시-N1-(2-메톡시에틸)-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4) (E)-N1-사이클로헥실-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5)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티오펜-2-일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6) (E)-N8-하이드록시-N1-(4-메톡시페네틸)-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7)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2-옥텐다이아마이드,
    18) (E)-N1-(1-(사이클로헥실메틸)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19) (E)-N1-(1-사이클로펜틸피페리딘-4-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0) (E)-N1-(1-벤질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1) (E)-N8-하이드록시-N1-(1-아이소프로필피롤리딘-3-일)-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2) (E)-N1-(1-(사이클로헥산카보닐)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3) (E)-3-(8-(하이드록시아미노)-2-((나프탈렌-1-일옥시)메틸)-8-옥소-2-옥텐아미도)피롤리딘-1-카르복실산t-부틸에스터,
    24) (E)-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N1-(피롤리딘-3-일)2-옥텐다이아마이드,
    25) (E)-N1-(1-사이클로헥실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2-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6) (E)-N1-(1-사이클로프로필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7) (E)-N1-(1-사이클로프로필피페리딘-4-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8) (E)-N1-(1-에틸피페리딘-4-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29) (E)-N1-(1-에틸피롤리딘-3-일)-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30) (E)-N8-하이드록시-N1-(2-(1-메틸피롤리딘-2-일)에틸)-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및
    31) (E)-N8-하이드록시-N1-(1-아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2-((나프탈렌-1-일옥시)메틸)-2-옥텐다이아마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E)-N1-(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8-하이드록시-2-((나프탈렌-1-일옥시)메틸)옥트-2-엔다이아마이드((E)-N1-(3-(dimethylamino)propyl)-N8-hydroxy-2-((naphthalen-1-yloxy)methyl)oct-2-enediamide)인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화증은 신장 섬유화증인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화증은 폐 섬유화증인 것인,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 섬유화증이 블레오마이신,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및 염화에톡시에틸구아디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유도된 것인,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화증은 간 섬유화증인 것인,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인산염, 타르타르산염, 스테아르산염, 글루콘산염, 푸마르산염, 나프토산염 및 1-하이드록시-2-나프토익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인 것인, 약학 조성물.
KR1020190034855A 2018-03-28 2019-03-27 섬유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113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20132922A RU2020132922A (ru) 2018-03-28 2019-03-28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фиброза
CA3093779A CA3093779A1 (en) 2018-03-28 2019-03-2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fibrosis
US16/982,309 US20210015772A1 (en) 2018-03-28 2019-03-2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fibrosis
BR112020017776-8A BR112020017776A2 (pt) 2018-03-28 2019-03-28 Composição farmacêutica
PCT/KR2019/003619 WO2019190214A1 (ko) 2018-03-28 2019-03-28 섬유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0545550A JP2021516683A (ja) 2018-03-28 2019-03-28 線維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薬学組成物
CN201980020179.8A CN111867571A (zh) 2018-03-28 2019-03-28 用于预防或治疗纤维化症的药学组合物
EP19774914.6A EP3777847A4 (en) 2018-03-28 2019-03-2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IBRO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5523 2018-03-28
KR1020180035523 2018-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639A true KR20190113639A (ko) 2019-10-08

Family

ID=6820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55A KR20190113639A (ko) 2018-03-28 2019-03-27 섬유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15772A1 (ko)
EP (1) EP3777847A4 (ko)
JP (1) JP2021516683A (ko)
KR (1) KR20190113639A (ko)
CN (1) CN111867571A (ko)
BR (1) BR112020017776A2 (ko)
CA (1) CA3093779A1 (ko)
RU (1) RU20201329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489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류코노스톡 시트래움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2590B (zh) * 2019-11-04 2022-01-07 青岛大学 一种肺纤维化哺乳动物模型的构建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139B1 (ko) * 2005-11-01 2007-03-20 한국화학연구원 히스톤 디아세틸라제 저해활성을 갖는 알킬카바모일나프탈렌일옥시 옥테노일 하이드록시아마이드 유도체 및그의 제조방법
EP2089354A4 (en) * 2006-11-03 2014-08-13 Korea Res Inst Chem Tech NAPHTHALENYLOXYPROPENYL DERIVATIVES HAVING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Y ACTIVITY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489A (ko)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류코노스톡 시트래움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7847A4 (en) 2021-11-03
CA3093779A1 (en) 2019-10-03
CN111867571A (zh) 2020-10-30
US20210015772A1 (en) 2021-01-21
JP2021516683A (ja) 2021-07-08
BR112020017776A2 (pt) 2020-12-22
RU2020132922A (ru) 2022-04-28
EP3777847A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5815B (zh) 用於治療補體相關疾病之組合物及治療方法
EA011074B1 (ru) Гидразидсодержащие соединения - ингибиторы cftr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AU2019338896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fibrotic diseases, comprising benzhydryl thioacetamid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20190113639A (ko) 섬유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3030022A (ja) 線維症の処置
KR20200139721A (ko) 섬유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EP378262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myocardial cells
JP6811234B2 (ja) 新規なカテコール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
WO2019190214A1 (ko) 섬유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30321038A1 (en) Hdac inhibitors for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and other lung inflammatory disorders
JP2004534760A (ja) 腎線維症の治療
US2021019819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fibrosis
JP2004123716A (ja) 化学物質に起因する肝障害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医薬
CN110917351A (zh) Mbd2抑制剂在预防和治疗纤维化疾病中的用途
CN115212192B (zh) 二苯甲酮衍生物在制备抗肾脏纤维化药物中的应用
AU2021320511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KCA3.1 channel-mediated diseases comprising phenylalkyl carbamate compound
CN110604735B (zh) 一种治疗肝纤维化、硬皮病的化合物及其应用
US20240082271A1 (en) Methods of Treatment of Fibrotic Diseases
CN116036280A (zh) Myo9b抑制剂在用于制备预防和/或治疗个体纤维化疾病药物中的应用
CN116196308A (zh) 阿苯达唑在制备用于预防和/或治疗个体纤维化疾病的药物中的应用
JP2006182677A (ja) 尿細管間質障害の治療及び/又は予防剤
JPWO2004022543A1 (ja) 炎症性腸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医薬
JP2006514603A (ja) 全身性炎症反応症候群の治療用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