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893A -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 Google Patents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893A
KR20190112893A KR1020180034812A KR20180034812A KR20190112893A KR 20190112893 A KR20190112893 A KR 20190112893A KR 1020180034812 A KR1020180034812 A KR 1020180034812A KR 20180034812 A KR20180034812 A KR 20180034812A KR 20190112893 A KR20190112893 A KR 2019011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rotrusion
tape roll
drum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068B1 (ko
Inventor
오용철
Original Assignee
오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철 filed Critical 오용철
Priority to KR102018003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68B1/ko
Priority to CN201890000331.7U priority patent/CN210150447U/zh
Priority to PCT/KR2018/016763 priority patent/WO2019190029A1/ko
Publication of KR2019011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는 테이프 롤이 끼워지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롤이 회전하여 테이프가 풀리면서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디스펜서에서, 상기 드럼에서 일부 구간이 테이프의 회전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서 절개된 부분이 상방으로 들려 올려져 있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절개부가 절개된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테이프 롤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소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는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동작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Tape dispenser structure with tape fixing}
본 발명은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 디스펜서에 끼워진 테이프롤이 테이프가 풀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물품이 담긴 박스 등을 밀봉할 경우, 일반적으로 박스 덮개 부위의 절개된 부분에 테이프를 발라 이어서 붙임으로서 밀봉하게 된다.
이러한 박스 밀봉 방식은 롤러형 방식의 테이프 디스펜서에 의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종래의 롤러형 테이프 디스펜서의 경우 블레이드(칼날) 부위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테이프 절단 시 절삭력이 테이프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한번에 테이프가 절단되지 않고 수차례 힘을 가하여 절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특허의 출원인은 커터 블레이드 부분이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게 하여 절삭력을 향상시킨 테이프 디스펜서를 개발하였으며(선행기술 1), 이에 의해 종래에 비해 테이프를 한번에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도 1에는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절삭력을 향상시킨 테이프 디스펜서(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a)는 상기 테이프 디스펜서(1)에 접착 테이프가 끼워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테이프롤(2)은 테이프 디스펜서(1) 하단에 구비된 원형의 드럼(10’)에 끼워지고, 작업자가 원하는 접착부위를 따라 테이프 디스펜서를 이동시키면 회전하면서 테이프롤(2)이 풀리게 되고, 풀린 테이프(2)는 가이드 롤러(20)에 의해 인도되어 풀려 나가면서 접착 부위에 접착되게 되고, , 접착부위가 끝나면 해당 위치에서 커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게 된다.
한편, 도 1 (b)는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테이프 디스펜서(1)에서 테이프롤(2)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테이프롤(2)이 끼워지는 드럼(10’)은 테이프롤(2)이 걸림 없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테이프롤(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표면을 매끈하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드럼(10’) 표면에 어떠한 걸림도 없기 때문에 드럼(10’)에 끼워진 테이프롤(2)은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롤(2)은 ‘a’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풀리게 되는 것이 정상이나, ‘b’ 화살표 방향, 즉, 역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테이프롤(2)이 역회전하게 되면, 테이프롤(2)에서 인출되어 절단된 선단부가 다시테이프롤(2) 쪽으로 말려들어가 테이프롤(2)에 접착되게 되므로, 차후에 사용시 다시 테이프롤에 접착된 선단부를 찾아서 이를 테이프롤(2)로부터 떼어내고 잡아당겨 블레이드에 다시 붙인 후에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은 상당시간이 소요되므로 신속한 테이핑 작업을 하는데 큰 방해요인이 된다.
또한, 테이프롤(2)이 역회전 할 경우에는 테이프가 원활하게 풀리지 않게 되고, 테이프롤(2)을 절단할 경우 잘못된 지점에서 절단되어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되지 않는 문제점 또한 추가로 발생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등록 제 10-1649461호, “테이프 디스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테이프 디스펜서의 드럼에 끼워진 테이프롤이 회전하는 경우, 역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테이프의 절단된 선단부가 테이프롤에 되감겨 접착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테이핑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 롤이 끼워지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롤이 회전하여 테이프가 풀리면서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디스펜서에서, 상기 드럼에서 일부 구간이 테이프의 회전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서 절개된 부분이 상방으로 들려 올려져 있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절개부가 절개된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테이프 롤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소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동작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는 테이프롤이 회전하여 풀릴 때, 역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테이프의 절단된 선단부가 테이프롤에 되감겨 접착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테이핑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부속이나 부재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종래기술에 비해서 생산공정이 복잡해지거나, 생산단가가 상승하지 않고도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프롤의 지름이 미세하게 차이가 나는 경우라도 이와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여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롤 지름의 크기 차이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테이프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드럼에 테이프롤이 끼워졌을 경우에 돌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지름이 상이한 테이프롤을 드럼에 끼웠을 경우 돌기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각각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테이프 디스펜서의 구성과 일측면에서는 유사하나, 종래기술과는 상이하게 테이프롤(2)을 끼우는 드럼 (10)의 일측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절개부(110)는 드럼(10)을 구성하는 원형의 벽면 중 소정의 구간을 접착 테이프가 회전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110)에 의해 드럼(10)의 벽면과 분리되어 구별되는 구성인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0)는 드럼(10)의 벽면보다 외측으로 들어올려져 드럼(10)의 벽면과 구별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돌출부(120) 상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절개부(110)가 절개된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30)는 테이프롤(2)이 끼워질 때, 돌출부(120)에 의해 테이프롤(2)이 걸리지 않고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테이프롤(2)이 끼워진 후에는 테이프롤(2)의 롤 내측과 맞닿게 된다.
상기의 절개부(110), 돌출부(120) 및 돌기부(130)를 포함하여 테이프롤(2)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도 3은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절개부(110)에서 절개하는 부분은 드럼(10)의 벽면 일측 끝단에서 절개가 시작되어 타측 끝단 방향으로 가로질러 절개되되, 타측 끝단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에서 절개부(110)위가 끝나도록 함으로서, 타측 일부 구간은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다.
즉, 절개부(110)의 일측 끝단은 개방되되(이하 ‘개방부(111)’), 타측 끝단은 폐쇄(이하 ‘폐쇄부 (112)’)되어 있는 구조가 된다.
절개되지 않은 타측 끝단의 폐쇄된 부분은 상기 절개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120)가 드럼(1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돌출부(120)가 내외측으로 움직이는 때 축 역할을 겸하는 구조가 된다.
한편, 절개부(110)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120)는 절개부(110)의 폐쇄부(112)에서 개방부(111)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개방부(111) 측이 있는 절개부(110)의 끝단이 드럼(10) 외측으로 들어올려져 돌출되게 된다.
돌출부(120)는 절개부(110)의 양 측 폐쇄부(112)를 지지대와 축으로 삼아, 드럼(10) 내측으로 눌렸다가 외측으로 올라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는 테이프롤(2)이 드럼(10)에 끼워지면서 돌출된 돌출부(120)를 누르게 되었다가, 테이프롤(2)을 제거하면 탄성에 의해 돌출부(120)가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면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테이프롤(2)이 드럼(10)에 끼워져 눌려질 때, 돌출부(120)는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힘이 발생하고, 이 탄성력은 드럼(10) 외측방향으로 작용하는 바, 결과적으로 돌출부(120)에 의해 테이프롤(2)의 롤 내측에는 드럼(10) 외측으로 미는 힘을 가해지게 되면서 테이프롤(2)이 고정된다.
한편, 돌출부(120) 상면에 형성된 돌기부(130)는 드럼(10)에 테이프롤(2)이 끼워질 경우, 테이프롤(2)의 롤 내측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도 4는 드럼(10)에 테이프롤(2)이 끼워졌을 경우에 돌기부(13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도 4 (a)는 돌기부(130)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경우를 확대한 것이고, 도 4 (b)는 돌기부(130)를 일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돌기부(130) 상방 끝단은 테이프롤(2)의 롤 내측과 맞닿아 있어 돌출부(120)에 의한 탄성력을 테이프롤(2)로 전달하게 된다.
즉, 돌출부(120) 상단에 형성된 돌기부(130)에서 테이프롤(2)의 롤 내측을 드럼(10) 외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면서 테이프롤(2)이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돌기부(130)는 돌출부와 이루는 각이 수직일 때를 기준으로 테이프롤(2)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30)의 일측 끝단 역시 테이프롤(2)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4 (a)를 참조하면, 테이프롤(2)은 (a)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돌기부(130) 역시 돌출부(120)와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테이프롤(2)의 회전방향 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부(130)가 기울진 방향과 회전방향이 동일하므로 테이프롤(2)이 회전할 때 돌기부(130)와 맞닿는 테이프롤(2)의 내측이 돌기부(130)에 걸리지 않게 되어 테이프롤(2)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반면, 테이프롤(2)이 ‘b’ 방향(역회전)으로회전할 경우, 즉 돌기부(130)가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돌기부(130)와 맞닿는 테이프롤(2)의 내측이 돌기부(130)에 걸리면서 ‘b’ 방향으로 회전하기 어려워 진다. 결과적으로, 돌기부(130)가 테이프롤(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테이프롤(2)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30)의 일측 끝단 역시 테이프롤(2)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돌기부(130)가 테이프롤(2)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에 대응한 것이다.
만약, 돌기부(130)의 일측 끝단면을 평평할 경우, 돌기부(130)가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프롤(2)의 내측과 밀착되는 돌기부(130)의 끝단면의 면적이 매우 좁아지게 되므로서 마찰력이 감소하여 역회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동시에, 돌기부 일측 끝단과 테이프롤(2) 내측과 밀착되는 부분이 예각을 이루게 되므로 테이프롤이 ‘a’ 방향(정회전)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오히려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반면, 돌기부(130)가 경사진 방향과 동일하게 돌기부가(130)가 경사진 소정의 각도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각도로 돌기부 일측 끝단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테이프롤(2) 내측과 밀착되는 돌기부(130)의 끝단면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기부(130)의 일측 끝단과 테이프롤(2)의 내측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서 역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의 방향이 ‘a’ 방향(정회전)과 동일한 방향이므로 테이프롤(2)이 정회전을 할 때는 회전에 장애가 되지 않게 된다.
한편, 테이프롤(2)의 지름은 제품마다 미세하게 차이가 있기 때문에 테이프롤(2)을 드럼(10)에 끼워 돌기부(130)가 눌려질 경우, 눌려지는 정도가 테이프롤(2)의 지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돌기부(130)가 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눌려지는 정도가 달라지더라도 테이프롤(2)을 용이하게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 (b)는 지름이 상이한 테이프롤(2)을 드럼(10)에 끼웠을 경우, 돌기부(130)를 측면에서 바라본 각각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같은 경우 돌기부(130)를 정면에서 바라본 각각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b)에서 상단은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테이프롤 (2’)를 끼웠을 때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지름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테이프롤(2’) 내측이 돌기부(130)를 누르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돌출부(120)가 비교적 적게 내려가게 된다. 이는 도 5 (b)와 대응되는데, 도 5 (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눌려져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되게 된다.
반면, 도 4 (b)에서 하단은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테이프롤(2)를 끼웠을 때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테이프롤(2) 내측이 돌기부(130)를 누르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돌출부(120)가 비교적 많이 내려가게 된다. 이는 도 5 (a)와 대응되는데, 도 5 (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눌려져 낮게 위치되게 된다.
이 때, 돌기부(130)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기부(130)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도 4 (b) 참조),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테이프롤(2’)이 끼워질 경우, 높이가 낮은 우측은 테이프롤(2) 내측과 접촉하지 못하고 공간(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간(30)은 비교적 지름이 큰 테이프가 끼워져 테이프롤(2) 내측에 의해 돌기부(130)가 더 강하게 눌려질 경우, 상기 공간만큼 돌출부(120)가 더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여유 공간이 된다.
도 4 (b)의 하단 도면을 참조하면, 돌출부(120)가 더 강하게 눌려 상기 공간(30)만큼 돌출부가 더 내려가면서 공간이 사라지고 돌기부(130) 상면이 테이프롤(2)과 맞닿게 된다.
만약, 돌기부(130)가 본 발명과는 다르게 수평으로 형성된다면, 상기의 공간(30)이 형성되지 않거나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과 비교하여 다양한 크기의 테이프를 수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테이프롤(2)과 돌기부(130)사이 접촉부분에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해야 하므로, 돌출부(120) 상면에 형성된 돌기부(130)는 한 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2, 2’ : 테이프롤
10, 10’ : 드럼
110 : 절개부
111 : 개방부
112 : 폐쇄부
120 : 돌출부
130 : 돌기부

Claims (5)

  1. 테이프 롤(2)이 끼워지는 드럼(10)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롤(2)이 회전하여 테이프가 풀리면서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드럼(10)에서 일부 구간이 테이프의 회전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110);
    상기 절개부(110)에서 절개된 부분이 상방으로 들려 올려져 있는 돌출부(120);
    상기 돌출부(120)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절개부(110)가 절개된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30)는 상기 테이프 롤(2)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30)는 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소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30)는 한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동작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디스펜서.
KR1020180034812A 2018-03-27 2018-03-27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KR102035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12A KR102035068B1 (ko) 2018-03-27 2018-03-27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CN201890000331.7U CN210150447U (zh) 2018-03-27 2018-12-27 具备胶带固定部的胶带座结构
PCT/KR2018/016763 WO2019190029A1 (ko) 2018-03-27 2018-12-27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12A KR102035068B1 (ko) 2018-03-27 2018-03-27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893A true KR20190112893A (ko) 2019-10-08
KR102035068B1 KR102035068B1 (ko) 2019-10-22

Family

ID=6805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812A KR102035068B1 (ko) 2018-03-27 2018-03-27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35068B1 (ko)
CN (1) CN210150447U (ko)
WO (1) WO20191900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59B1 (ko) * 2021-04-13 2021-09-03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070B2 (en) * 2002-02-21 2003-12-30 Harrison Huang Tape dispenser
KR101649461B1 (ko) 2013-09-30 2016-08-18 오용철 테이프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218Y1 (ko) * 1997-10-29 2000-04-01 최좌진 테이프 디스펜서
JP2002348028A (ja) * 2001-05-22 2002-12-04 Katsumi Nakatani 粘着テ−プホルダ−
DE10342085B3 (de) * 2003-09-10 2005-05-04 Henkel Kgaa Klebebandspender
JP4226640B2 (ja) * 2007-06-22 2009-02-18 有己 古野 空転防止機構を具えたテープカッ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070B2 (en) * 2002-02-21 2003-12-30 Harrison Huang Tape dispenser
KR101649461B1 (ko) 2013-09-30 2016-08-18 오용철 테이프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59B1 (ko) * 2021-04-13 2021-09-03 조영우 테이프 커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068B1 (ko) 2019-10-22
CN210150447U (zh) 2020-03-17
WO2019190029A1 (ko)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3854B2 (en) Adhesive tape roll fixing device for an adhesive tape dispenser
KR102035068B1 (ko)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US7334620B2 (en) Adhesive tape cutter
US3843037A (en) Carton spout
JP6139766B1 (ja) 包装箱
EP1783056A1 (en) Box with breakable and reclosable lid
US20200207510A1 (en) Safety opening cap
KR200432787Y1 (ko) 테이프 커팅기의 커팅장치 개폐도어
US10457517B2 (en) Device for separating gummed paper and lining paper of double-sided tape
JPH066232U (ja) ロール状に巻装されたシート状物の収納ケース
KR200480270Y1 (ko) 물티슈 용기
KR101970315B1 (ko) 고정 레버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JP6214306B2 (ja) 包装箱
KR200477901Y1 (ko) 종이포장용기
JP2003235654A (ja) 取付具
JP2804131B2 (ja) 巻回フィルムの紙箱
JP2007001625A (ja) 巻筒体収納箱
JPH0353391Y2 (ko)
KR20170029997A (ko) 물티슈 용기
JP2018058615A (ja) 包装箱
KR20220144110A (ko) 박스 테이프 커터
JP2015067339A (ja) 包装箱
JPH09208114A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JP2944418B2 (ja) ラップフイルムの収納箱
KR200206857Y1 (ko) 디스크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