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439A -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배관계의 가열장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그리고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배관계의 가열장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그리고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439A
KR20190109439A KR1020197023278A KR20197023278A KR20190109439A KR 20190109439 A KR20190109439 A KR 20190109439A KR 1020197023278 A KR1020197023278 A KR 1020197023278A KR 20197023278 A KR20197023278 A KR 20197023278A KR 20190109439 A KR20190109439 A KR 20190109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nductive
hole
piping system
heat
c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690B1 (ko
Inventor
카오리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2Bolts or sleeves for positioning of machine parts, e.g. notched taper pins, fitting pins, sleeves, eccentric position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4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using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e.g. using induction, dielectric or microwav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부착이나 탈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도 피복체를 제공한다. 열전도 피복체(10)는 연결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열전도부재(11)와 연결 구멍(12c)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열전도부재(1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열전도 피복체(10)는 연결 구멍(11c)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3a)와 연결 구멍(12c)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3b)를 구비하고 있는 연결부재(13)를 포함하고 있다. 삽입부(13a), (13b) 중 적어도 한쪽은 연결부재(13)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배관계의 가열장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그리고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본 발명은, 배관이나 배관에 접속되어 있는 밸브 등으로 구성되는 배관계를 덮는 열전도 피복체, 그리고 배관계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나 액체 등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예를 들면 반도체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유체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배관의 외측에 히터가 부착될 경우가 있다. 직경이 작은 배관이 이용될 경우, 배관의 외측에 히터가 밀착되지 않으므로, 배관의 일부의 온도가 낮아져, 배관 전체의 온도가 균일화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 블록으로 배관의 외측을 덮고, 블록의 외측을 히터로 덮을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이 블록을 여기에서는 "피복 블록"이라 칭한다). 피복 블록은 원통 형상이며, 그 내측에 배관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피복 블록에 히터를 비교적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 전체의 온도를 균일화하기 쉬워진다.
JP 2007-2986 A
피복 블록은, 각각이 원통의 절반의 형상을 구비하는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여기에서는, 이 부재를 "블록 반체"라 칭한다). 이 2개의 블록 반체가 합체됨으로써 원통 형상의 피복 블록이 구성된다. 2개의 블록 반체의 합체에는, 피복 블록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이나 나사 등의 고정 도구가 이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 도구를 이용하는 구조에서는, 피복 블록의 부착(attachment)이나 탈착(detachment) 작업성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부착이나 탈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도 피복체, 가열장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그리고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열전도 피복체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을 가지고 있는,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1 열전도부재와,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 향하고 그리고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합체되어 상기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2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구멍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를 합체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이 열전도 피복체에 따르면, 열전도부재의 부착이나 탈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열장치는, 상기 열전도 피복체와, 상기 열전도 피복체를 덮고 그리고 상기 열전도 피복체를 통해서 상기 배관계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열장치에 따르면, 열전도부재의 부착이나 탈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들 방법에 따른 열전도 피복체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을 가지고 있는,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1 열전도부재와,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 향하고 그리고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합체되어 상기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2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구멍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부를 상기 제1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1 열전달부재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열전도 피복체의 부착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열전도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가 상기 배관계를 덮도록 이들을 합체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 삽입부를 상기 제2 열전도부재의 상기 제2 구멍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들 방법에 따른 가열장치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을 가지고 있는,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1 열전도부재와,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 향하고 그리고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합체되어 상기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2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구멍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열전도 피복체를 덮고, 상기 열전도 피복체를 통해서 상기 배관계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부를 상기 제1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1 열전달부재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장치의 부착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열전도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가 상기 배관계를 덮도록 이들을 합체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 삽입부를 상기 제2 열전도부재의 상기 제2 구멍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열장치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가열장치가 포함하고 있는 열전도 피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열장치의 단면도이며, 그 절단면의 위치는 도 1의 III-III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히터는 열전도 피복체의 외측을 둘러싸고 있다.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으로 나타낸 절단면에서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밸브 유닛에 부착되어 있는 열전도 피복체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예시한 열전도 피복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a 및 도 6b에서 예시하는 열전도 피복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VIII-VI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가열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히터(20)가 열려 있는 양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가열장치(1)가 구비하고 있는 열전도 피복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열장치(1)의 단면도이며, 그 절단면의 위치는 도 1의 III-III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도 1과는 달리, 히터(20)가 열전도 피복체(10)의 외측을 덮고 있는 양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다. 도 5은 도 4의 V-V선으로 나타낸 절단면에서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가열장치(1)는 배관계의 외측을 덮는 열전도 피복체와, 열전도 피복체의 외측을 덮고 배관계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배관계란, 배관이나, 배관에 접속되어 있는 밸브, 배관의 이음새, 엘보우(elbow) 등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장치(1)는 직선 상으로 뻗고 있는 배관(100)을 덮는 열전도 피복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열장치(1)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외측을 덮는 히터(20)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100)은, 예를 들면 1/8인치 배관이나, 1/4인치 배관, 3/8인치 배관, 1/2인치 배관 등 직경이 비교적 작은 배관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도 피복체(10)는 통 형상이며, 그 내측에 배관(100)이 배치되어 있다. 열전도 피복체(10)는, 전체로서, 예를 들면 대략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통 형상이다. 열전도 피복체(10)는 거의 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통 형상이어도 된다. 열전도 피복체(10)는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열전도부재(11, 12)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축선(C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부재이다. 바꿔 말하면, 열전도부재(11, 12)의 각각은, 원통의 대략 절반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열전도부재(11, 12)는 축선(C1)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합체되어, 원통 형상의 열전도 피복체(10)를 구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열전도 피복체(10)는, 배관계를 사이에 끼우거나 또는 덮을 수 있게 열전도부재(11, 12)끼리 합체되어 이루어진다.
열전도부재(11, 12)는 비교적 높은 열전도율을 구비하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열전도부재(11, 1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열전도부재(11, 12)는 예를 들면 구리로 형성되어도 된다. 열전도부재(11, 12)의 각각은 금속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열전도부재(11, 12)는, 축선(C1)의 방향으로 재료를 압출하는 압출 성형이나, 주조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부재(11, 12)에는 구멍(11c, 12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11c, 12c)은 성형품에 절삭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도부재(11, 12)는 서로 마주 향하는 면(11a, 12a)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면(11a, 12a)을 "대향면"이라 칭한다). 제1 열전도부재(11)의 대향면(11a)에는 홈(1lb)이 형성되고, 제2 열전도부재(12)의 대향면(12a)에는 홈(12b)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홈(11b, 12b)의 내측에 배관(100)이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11b, 12b)의 내면은 배관(100)의 외면에 맞춰서 만곡되고, 배관(100)의 외면에 밀착된다. 즉, 홈(11b, 12b)의 내면의 전체가 배관(100)의 외면에 접한다. 이것에 의해, 배관(10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열전도부재(11, 12)의 구조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열전도부재(11, 12) 중 한쪽에만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배관(100)이 배치되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 사이에 배관(100)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향면(11a, 12a) 사이에는 간극(G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홈(11b, 12b)의 내면과 배관(100)의 외면의 밀착성이 확보되기 쉬워진다. 또 배관(100)으로부터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탈착시킬 때에는, 간극(G1)에 손가락을 걸어서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서로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구체적으로는 탈착 효율 또는 해체 효율)이 좋다. 또, 이러한 간극(G1)은 반드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열전도부재(11)의 대향면(11a)에는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열전도부재(12)의 대향면(12a)에는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이하에서는 이들 구멍(11c, 12c)을 "연결 구멍"이라 칭한다). 연결 구멍(11c, 12c)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축선(C1)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마주 향하고 있다. 열전도 피복체(10)는 열전도부재(11, 12)와는 별개로 형성된 연결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재(13)는 연결 구멍(11c, 12c)에 삽입되어서 열전도부재(11, 12)를 합체시킨다. 열전도 피복체(10)의 예에서는, 연결부재(13)는 그 삽입 방향으로 세장형의 핀 형상이다.
제1 열전도부재(11)의 대향면(11a)에는 복수의 연결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열전도부재(12)의 대향면(12a)에도 복수의 연결 구멍(12c)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열전도부재(11)의 대향면(11a)은, 홈(1lb)의 한쪽측과, 홈(1lb)을 사이에 끼고 반대측에 연결 구멍(11c)을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또한, 대향면(11a)은, 열전도 피복체(10)의 축선(C1)에 따른 방향(배관(100)의 연신방향)에 있어서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 구멍(11c)을 구비하고 있다. 열전도 피복체(10)의 일례에서는, 제1 열전도부재(11)의 양단부에 2개의 연결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열전도부재(11)와 마찬가지로, 제2 열전도부재(12)의 대향면(12a)은, 홈(12b)의 한쪽측과, 홈(12b)을 사이에 끼고 반대측에 연결 구멍(12c)을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또한, 대향면(12a)은, 열전도 피복체(10)의 축선(C1)을 따른 방향(배관(100)의 연신방향)에 있어서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 구멍(12c)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구멍(11c, 12c)의 수나 위치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열전도부재(11, 12)의 각각은 축선(C1)을 따른 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연결 구멍(11c, 12c)을 구비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3)는 제1 열전도부재(11)의 연결 구멍(11c)에 삽입되는 부분(13a)과, 제2 열전도부재(12)의 연결 구멍(12c)에 삽입되는 부분(13b)을 구비하고 있다(이하에서는, 부분(13a)을 "제1 삽입부"라 칭하고, 부분(13b)을 "제2 삽입부"라 칭한다). 연결부재(13)는, 삽입부(13a, 13b)가 연결부재(13)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 즉, 연결 구멍(11c, 12c)의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삽입부(13a)는 제1 열전도부재(11)의 연결 구멍(11c)의 크기에 맞춰서 탄성변형 가능하다. 제2 삽입부(13b)는 제2 열전도부재(12)의 연결 구멍(12c)의 크기에 맞춰서 탄성변형 가능하다. 열전도 피복체(10)의 이 구조에 의하면, 나사나 열전도부재(11, 12)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고정 도구를 이용해서 열전도부재(11, 12)를 합체시키는 구조에 비해서, 열전도부재(11, 12)의 부착이나 탈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3)는 금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3)는 스테인리스, 강철 등의 철합금,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된다. 연결부재(13)의 재료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3)는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도 피복체(10)의 예에서는, 연결부재(13)는, 연결부재(13)의 삽입 방향으로 뻗고 있는 통 형상이며, 연결부재(13)에는, 연결부재(13)의 연신방향을 따른 슬릿(13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13)는 소위 스프링 핀이다. 슬릿(13c)은 제1 삽입부(13a)와 제2 삽입부(13b)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슬릿(13c)은 연결부재(13)의 한쪽 단부(도 3에 있어서 상단)로부터 연결부재(13)의 다른 쪽의 단부(도 3에 있어서 하단)까지 계속되고 있다. 슬릿(13c)의 폭(W1)(도 5 참조)이 변화됨으로써, 연결부재(13)의 직경은 변화된다. 바꿔 말하면, 연결부재(13)는 그 직경이 변화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다. 열전도 피복체(10)의 예에서는, 슬릿(13c)은 연결부재(13)의 연신방향으로 뻗고 있는 파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슬릿(13c)은 직선상이어도 된다.
연결부재(13)(제1 삽입부(13a)와 제2 삽입부(13b))의 자유상태의 외경은, 연결 구멍(11c, 12c)의 직경 이상으로 되어 있다("자유상태"는 연결부재(13)가 연결 구멍(11c, 12c)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 연결부재(13)가 연결 구멍(11c, 12c)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부재(13)의 자유상태보다도, 슬릿(13c)의 폭은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3)가 연결 구멍(11c, 12c)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부재(13)의 외면은 그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 구멍(11c, 12c)의 내면에 압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연결부재(13)의 외면과 연결 구멍(11c, 12c)의 내면 사이에 마찰이 생기고, 연결부재(13)의 삽입부(13a, 13b)는 연결 구멍(11c, 12c)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재(13)의 형상·구조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삽입부(13a)와 제2 삽입부(13b) 중 한쪽의 삽입부만이, 그 직경이 변화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해도 된다. 즉, 한쪽의 삽입부에만 슬릿(13c)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다른 쪽의 삽입부는 연결 구멍에 압입되어도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연결부재(13)는 2개의 연결 구멍(11c, 12c)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판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연결 구멍(11c)의 내면에 압압되고, 판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연결 구멍(12c)의 내면에 압압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부재(13)는 복수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열전도 피복체(10)의 예에서는, 연결부재(13)는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통 형상이다(도 5 참조). 연결 구멍(11c, 12c)은 평면에서 보아서 원형의 구멍이다. 이 구조에 따르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3)의 외면이 넓은 범위에 걸쳐서 연결 구멍(11c, 12c)의 내면에 접한다. 그 때문에, 열전도부재(11, 12)의 합체 강도가 확보되기 쉬워진다. 또한, 열전도 피복체(10)가 구비하고 있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재(13)에 따르면, 연결부재(13)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3)는 작은 판 형상부재를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재(13)는, 그 자유상태에 있어서, 한쪽 단부에서 다른 쪽 단부에 걸쳐서 같은 외경을 구비하고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상태"란 연결부재(13)가 연결 구멍(11c, 12c)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제2 열전도부재(12)의 연결 구멍(12c)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열전도부재(11)의 연결 구멍(11c)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구멍(12c)의 개구 단부 부근의 부분(12d)은, 연결 구멍(11c)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구비하고 있다(이 부분(12d)을, 이하에서는 "대직경부"라 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구멍(12c)의 가장자리는 챔퍼링(즉, 모따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연결 구멍(11c)을 향해서(즉, 연결 구멍(12c)의 개구 단부를 향해서) 연결 구멍(12c)의 직경이 서서히 커지도록, 대직경부(12d)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13)를 연결 구멍(12c)에 삽입할 때에, 연결부재(13)의 선단이 이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열전도부재(11)의 연결 구멍(11c)에는 그러한 챔퍼링은 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연결부재(13)의 제1 삽입부(13a)가 연결 구멍(11c)에 고정되어 있는 힘은, 제2 삽입부(13b)가 연결 구멍(12c)에 고정되어 있는 힘보다도 크다. 이 구조에 의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분리할 때, 연결부재(13)가 제1 열전도부재(1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열전도 피복체(10)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챔퍼링을 이용하는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제2 열전도부재(12)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도부재(11, 12)에는 복수의 연결 구멍(11c, 12c)이 형성되어 있다. 모든 연결 구멍(12c)은 연결 구멍(11c)보다도 큰 직경을 구비하는 대직경부(12d)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분리할 때, 모든 연결부재(13)가 제1 열전도부재(1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열전도 피복체(10)의 탈착 작업성이나, 그 후의 부착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 구멍(12c)의 대직경부(12d)에 형성되는 것은 반드시 경사면(챔퍼링)이 아니어도 된다. 즉, 대직경부(12d)의 직경은 연결 구멍(12c)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해도 된다.
열전도 피복체(10)의 예에서는, 연결 구멍(12c)의 직경은 연결 구멍(11c)의 직경보다도 크다(연결 구멍(12c)의 직경은, 예를 들면 연결 구멍(11c)의 직경의 1.1배 이하, 1.3배 이하, 1.5배 이하, 또는 1.7배 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연결부재(13)의 제1 삽입부(13a)가 연결 구멍(11c)에 고정되어 있는 힘이, 제2 삽입부(13b)가 연결 구멍(12c)에 고정되어 있는 힘보다도 커진다. 그 결과,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분리할 때, 연결부재(13)가 제1 열전도부재(1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열전도 피복체(10)의 탈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1 삽입부(13a)의 연결 구멍(11c)에의 고정력(마찰력)이, 제2 삽입부(13b)의 연결 구멍(12c)에의 고정력(마찰력)보다도 커지도록, 연결부재(13)가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삽입부(13a)의 외경이 제2 삽입부(13b)의 외경보다도 커도 된다. 이 경우, 제1 열전도부재(11)의 연결 구멍(11c)의 직경은 제2 열전도부재(12)의 연결 구멍(12c)의 직경과 동등해져도 된다. 그 밖의 예로서, 제1 삽입부(13a)의 길이와 제2 삽입부(13b)의 길이에 대해서 한쪽이 다른 쪽보다 길어지도록 구성하여, 연결 구멍(11c, 12c)에의 고정력(마찰력)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도 피복체(10)의 예에서는, 연결 구멍(11c)은 제1 열전도부재(11)를 관통하고 있지 않다. 즉, 연결 구멍(11c)은 저부를 지니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열전도부재(11)의 외주면(11e)(히터(20)가 접하는 면, 도 1 참조)에는, 연결 구멍(11c)은 나타나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연결 구멍(12c)은 제2 열전도부재(12)를 관통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2 열전도부재(12)의 외주면(12e)(히터(20)가 접하는 면, 도 1 참조)에는, 연결 구멍(12c)은 나타나 있지 않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도부재(11, 12)가 합체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재(13)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외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하면, 열전도 피복체(10)의 외주면에 히터(20)에 접하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전도 피복체(10)의 예와 달리, 연결 구멍(11c)은 제1 열전도부재(11)를 관통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연결 구멍(12c)은 제2 열전도부재(12)를 관통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연결부재(13)는, 그 단부가 제1 열전도부재(11)의 외주면(11e)과 제2 열전도부재(12)의 외주면(12e)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길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3)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13)가 열전도부재(11, 12)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체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재(13)의 적어도 한쪽 단부가 연결 구멍(11c, 12c)의 저부(가장 깊은 부분)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열전도부재(11, 12) 사이의 간극(G1)이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다. 연결부재(13)의 직경(D)과 길이(L)의 비(L/D)는, 예를 들면 1.8 내지 12.5의 범위이다. 또한, 연결부재(13)의 직경(D)과 두께(t)의 비(t/D)는, 예를 들면 0.09 내지 0.19의 범위이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3)의 직경(D)은 약 2㎜(구체적으로는 2.15㎜ 내지 2.25㎜)이다. 이 경우, 연결부재(13)의 길이(L)는 예를 들면 약 4㎜ 내지 약 20㎜이며, 연결부재(13)의 두께(t)는 예를 들면 약 0.2㎜ 내지 약 0.4㎜로 할 수 있다. 연결부재(13)의 치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3)의 직경(D)은 2㎜보다 작아도 되고, 2㎜보다 커도 된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3)의 치수는, 직경(D)이 약 1.6㎜ 내지 2.75㎜의 범위, 길이(L)가 약 3㎜ 내지 20㎜의 범위, 두께(t)가 약 0.15㎜ 내지 0.5㎜의 범위로 구성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삽입부(13a)의 길이(L1)는 제1 삽입부(13a)의 직경(D1)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삽입부(13b)의 길이(L2)는 제2 삽입부(13b)의 직경(D2)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삽입부(13a, 13b)의 연결 구멍(11c, 12c)에의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삽입부(13a, 13b)의 직경(D1, D2)(즉, 연결부재(13)의 직경(D))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약 2㎜이다. 이 경우, 삽입부(13a, 13b)의 각각의 길이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장치(1)는 히터(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터(20)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외측을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는다. 히터(20)는, 예를 들면 열전도 피복체(10)의 외측을 덮도록 둥글게 하거나, 열전도 피복체(10)를 노출시키도록 넓히거나 할 수 있는 유연성을 구비한다. 이 경우, 히터(20)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외측을 덮도록 둥글게 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예를 들면, 히터(20)의 외측에 벨트(도시 생략)가 감기거나, 히터(20)의 가장자리에 면 패스너(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히터(20)의 구조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가열장치(1)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히터(20)는 반드시 유연성을 지니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이 경우, 히터(20)는 각각이 원호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그들이 조합됨으로써, 히터(20)는 열전도 피복체(10)의 외측을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장치(1)의 예에서는, 히터(20)는 전기를 받아서 발열하는 전열선(21)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선(21)은 예를 들면 니크롬선이나 스테인리스선이다. 또한, 히터(20)는 전열선(21)을 수용하는 수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22)는, 예를 들면 백(bag)(22a)(도 3 참조)과, 열전도성을 지니는 섬유나 입자로 구성되고, 백(22a)의 내측에 충전되는 열전도부(22b)(도 3 참조)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도 피복체(10)는, 연결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는 대향면(11a)을 구비하고 있는 제1 열전도부재(11)와, 연결 구멍(12c)이 형성되어 있는 대향면(12a)을 구비하고 있는 제2 열전도부재(12)와, 연결 구멍(11c)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3a)와 연결 구멍(12c)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3b)를 구비하고,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합체시키는 연결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삽입부(13a)와 제2 삽입부(13b)는, 연결부재(13)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이 열전도 피복체(10)에 따르면, 배관(100)에의 열전도부재(11, 12)의 부착 작업성이나, 열전도부재(11, 12)의 탈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전도 피복체(10) 및 가열장치(1)의 제조 과정에서는, 연결부재(13)의 제1 삽입부(13a)가 제1 열전도부재(11)의 연결 구멍(11c)에 삽입된다. 복수의 연결 구멍(11c)이 제1 열전도부재(11)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 연결 구멍(11c)에 제1 삽입부(13a)를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2 삽입부(13b)가 제1 열전도부재(11)의 대향면(11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연결부재(13)가 제1 열전달부재(11)에 부착된다. 열전도 피복체(10) 및 가열장치(1)의 배관계에의 부착 과정에 있어서는, 제2 삽입부(13b)가 제1 열전도부재(11)의 대향면(11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삽입부(13b)가 제2 열전도부재(12)의 연결 구멍(12c)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가 합체되어, 배관계를 덮는다. 그 후, 히터(20)로 열전도 피복체(10)를 덮는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배관(100)은 굴곡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열전도부재(11, 12)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굴곡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가열장치(1)는, 배관(100)의 연신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열전도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연결 구멍은 열전도부재의 단부면(예를 들어, 도 2의 부호 (11f, 12f) 참조)에 형성되고, 연결부재(13)는 배관(100)의 연신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열전도부재의 합체에 이용되어도 된다.
열전도 피복체(10)는 배관계에 설치되는 밸브를 덮어도 된다. 이 경우, 열전도 피복체(10)는 복수의 판 형상의 열전도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열전도부재가 합체됨으로써 밸브를 둘러싸는 상자 형상의 열전도 피복체(10)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판 형상의 열전도부재의 표면이나 단부면에 연결 구멍이 형성되고, 그 연결 구멍에 연결부재(13)가 삽입되어도 된다.
도 6a, 도 6b, 도 7 및 도 8은 상자 형상의 열전도 피복체의 일례인 열전도 피복체(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밸브 유닛(120A, 120B)에 부착되어 있는 열전도 피복체(110)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열전도 피복체(1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VIII-VIII선에서의 열전도 피복체(110)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배관계는 밸브 유닛(120A, 120B)과 연결관(121)을 구비하고 있다. 각 밸브 유닛(120A, 120B)은 밸브를 수용하고 있는 본체(120a)와, 본체(120a)에 부착되어 있는 액추에이터(120b)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관(121)은 2개의 밸브 유닛(120A, 120B)의 본체(120a)를 연결하고 있다.
열전도 피복체(110)는 복수의 판 형상의 열전도부재로 구성되고, 이들이 서로 합체됨으로써 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도 피복체(110)는 열전도부재로서, 예를 들어, 밑바닥 플레이트(111), 사이드 플레이트(112), 상부 플레이트(113) 및 경계 플레이트(114)를 구비한다. 밸브 유닛(120A, 120B)의 본체(120a)는 밑바닥 플레이트(111)의 앞부분에 배치되고, 밑바닥 플레이트(111)에 부착되어 있다. 밑바닥 플레이트(111)의 뒷부분의 우측 및 좌측에 사이드 플레이트(112)가 배치되고, 사이드 플레이트(112)의 위쪽에 상부 플레이트(113)가 배치되어 있다. 밑바닥 플레이트(111), 사이드 플레이트(112) 및 상부 플레이트(113)는 상자 형상이고, 연결관(121)을 둘러싸고 있다. 2개의 밸브 유닛(120A, 120B) 사이에 경계 플레이트(114)가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111 내지 114)는, 전술한 열전도부재(11, 1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111 내지 114)는 예를 들면 구리로 형성되어도 된다.
서로 이웃하는 2매의 플레이트는, 전술한 연결부재(13)에 의해서 합체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밑바닥 플레이트(111)는, 연결 구멍(111c)이 형성되어 있는 대향면(111a)을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12)는, 연결 구멍(112c)이 형성되어 있는 대향면(112a)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재(13)는, 연결 구멍(111c)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3a)와 연결 구멍(112c)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13a)와 제2 삽입부(13b)는, 연결부재(13)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부 플레이트(113)와 사이드 플레이트(112)의 합체, 및 경계 플레이트(114)와 밑바닥 플레이트(111)의 합체에도 연결부재(13)가 사용되어 있다. 이 열전도 피복체(110)에 따르면, 배관계에의 플레이트(111 내지 114)의 부착 작업성이나, 플레이트(111 내지 114)의 탈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2매의 플레이트의 합체에는 복수의 연결부재(13)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열전도 피복체(110)는 히터(20)에 의해 덮여도 된다.
또, 밸브 유닛(120A, 120B)이나 연결관(121)의 구조는, 도 6a, 도 6b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열전도 피복체(110)의 구조도, 밸브 유닛(120A, 120B)이나 연결관(121)의 구조에 맞춰서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열전도 피복체(110)는 1개의 밸브 유닛의 본체를 둘러싸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열전도 피복체(10)는 배관계에 설치되는 엘보우(elbow)를 덮어도 된다. 이 경우, 열전도 피복체(10)의 열전도부재(11, 12)에는, 전술한 직선적으로 뻗는 홈(11b, 12b) 대신에, 엘보우에 맞춰서 만곡되는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열전도부재(11, 12) 중 한쪽에는, 온도 센서의 검지부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멍은, 예를 들어, 열전도부재(11, 12)의 외주면(11e, 12e)에 형성된다.
열전도 피복체(10)는,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가 연결부재(13)에 의해 연결(합체)된 연결 상태로부터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분리(이간)시켜서 연결 해제하기 위한 연결 해제 홈을 구비해도 된다. 연결 해제 홈은, 예를 들어, 열전도부재(11, 12)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드라이버 등의 봉 형상 공구의 첨단부측이 삽입되는 홈(절결부)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이 홈은, 예를 들어, 열전도부재(11, 12)의 외주면(11e, 12e) 및/또는 단부면(11f, 12f) 그리고 대향면(11a, 12a)에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해제 홈에 봉 형상 공구를 삽입하고 있어서 이 원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재(13)에 의해 연결 상태에 있는 제1 열전도부재(11)와 제2 열전도부재(12)를 용이하게 분리해서 연결 해제시킬 수 있고, 열전도 피복체(10)의 탈착 작업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로서,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을 가지고 있는,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1 열전도부재와,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 향하고 그리고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합체되어 상기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2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구멍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를 합체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쌍방은,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뻗고 있는 통 형상이며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뻗고 있고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른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뻗고 있는 통 형상이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한쪽의 상기 삽입부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제1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힘은,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제2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구멍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의 개구 단부 부근의 부분은, 상기 제1 구멍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직경보다도 크고/크거나, 상기 제2 삽입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삽입부의 직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직경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의 비는 1.8 내지 12.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도부재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열전도부재의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는, 상기 배관계를 구성하는 배관이 배치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금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13. 배관계의 가열장치로서,
    제1항에 기재된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와,
    상기 열전도 피복체를 덮고, 상기 열전도 피복체를 통해서 상기 배관계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가열장치.
  14.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열전도 피복체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을 가지고 있는,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1 열전도부재와,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 향하고 그리고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합체되어 상기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2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구멍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부를 상기 제1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1 열전달부재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15.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의 부착 방법으로서, 상기 열전도 피복체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을 가지고 있는,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1 열전도부재와,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 향하고 그리고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합체되어 상기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2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구멍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열전도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가 상기 배관계를 덮도록 이들을 합체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 삽입부를 상기 제2 열전도부재의 상기 제2 구멍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의 부착 방법.
  16. 배관계의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가열 장치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을 가지고 있는,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1 열전도부재와,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 향하고 그리고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합체되어 상기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2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구멍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를 덮고,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를 통해서 상기 배관계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부를 상기 제1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1 열전달부재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17. 배관계의 가열장치의 부착 방법으로서, 상기 가열 장치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을 가지고 있는,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1 열전도부재와,
    금속으로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 향하고 그리고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합체되어 상기 배관계를 덮기 위한 제2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구멍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를 덮고,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를 통해서 상기 배관계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 방법은,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열전도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열전도부재와 상기 제2 열전도부재가 상기 배관계를 덮도록 이들을 합체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 삽입부를 상기 제2 열전도부재의 상기 제2 구멍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계의 가열장치의 부착 방법.
KR1020197023278A 2017-02-16 2017-02-16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배관계의 가열장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그리고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KR102095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5723 WO2018150518A1 (ja) 2017-02-16 2017-02-16 配管系の熱伝導被覆体、配管系の加熱装置、熱伝導被覆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取付方法、並びに、加熱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の取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439A true KR20190109439A (ko) 2019-09-25
KR102095690B1 KR102095690B1 (ko) 2020-03-31

Family

ID=6182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278A KR102095690B1 (ko) 2017-02-16 2017-02-16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배관계의 가열장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그리고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9170B2 (ko)
JP (1) JP6305655B1 (ko)
KR (1) KR102095690B1 (ko)
CN (1) CN110382941B (ko)
TW (1) TWI645129B (ko)
WO (1) WO2018150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634B1 (ko) * 2020-07-24 2022-01-24 (주)화인 열전달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유체 라인 히팅 자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594U (ja) * 1992-10-29 1994-05-31 株式会社オスカー 配管用断熱被覆材
JP2003185086A (ja) * 2001-12-21 2003-07-03 Satoru Murayama 熱媒体流通管の被覆体
JP2007002986A (ja) 2005-06-27 2007-01-11 Nichias Corp 配管加熱用被覆体及び配管加熱構造
JP2019131011A (ja) * 2018-01-30 2019-08-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ービーム構造及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904310L (sv) * 1979-05-16 1980-11-17 Bulten Kanthal Ab Elektriskt element
US4553023A (en) * 1981-11-27 1985-11-12 Nordson Corporation Thermally insulated electrically heated hose for transmitting hot liquids
US4474493A (en) * 1982-09-09 1984-10-02 Modular Systems, Inc. Dowel fastener and joints including same
ES8607108A1 (es) * 1984-04-06 1986-06-01 Raychem Sa Nv Recubrimiento termorrecuperable y procedimiento para recu- brir un objeto de forma generalmente alargada
GB8523099D0 (en) * 1985-09-18 1985-10-23 Bissell & Co G E Spring tension pins
DE9103621U1 (ko) * 1991-03-23 1991-07-25 Feintool International Holding, Lyss, Ch
JP3514059B2 (ja) * 1997-01-28 2004-03-31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管カバー
DE10261334B4 (de) * 2002-12-28 2010-04-15 Tracto-Technik Gmbh Kanalrohr
JP4418201B2 (ja) 2003-09-30 2010-02-17 ニチアス株式会社 配管の断熱保温構造および断熱保温用具キット
US6991397B2 (en) * 2003-11-07 2006-01-31 Modular Systems, Inc. Dowel fastener and joints including same
JP2010071314A (ja) * 2008-09-16 2010-04-02 Aisin Ai Co Ltd スプリングピン及びこれを用いた2部材の結合構造
JP5351112B2 (ja) 2009-09-02 2013-11-27 ニチアス株式会社 断熱材
US20120061388A1 (en) * 2010-09-14 2012-03-15 Dekoron Unitherm LLC Pipe and Pipe Joint Covering Apparatus
JP6321621B2 (ja) 2013-02-28 2018-05-09 ニチアス株式会社 フッ素樹脂の接合部を含む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542231B (zh) * 2013-10-17 2017-01-25 王辉 燃气输送系统节能型保温装置
CN204372431U (zh) * 2014-11-25 2015-06-03 沈阳艾斯德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管道加热、解冻的中、高频电磁加热抱扣装置
CN205745834U (zh) * 2016-07-08 2016-11-30 天津亨旺机械有限公司 一种石油管道换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594U (ja) * 1992-10-29 1994-05-31 株式会社オスカー 配管用断熱被覆材
JP2003185086A (ja) * 2001-12-21 2003-07-03 Satoru Murayama 熱媒体流通管の被覆体
JP2007002986A (ja) 2005-06-27 2007-01-11 Nichias Corp 配管加熱用被覆体及び配管加熱構造
JP2019131011A (ja) * 2018-01-30 2019-08-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ービーム構造及び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5129B (zh) 2018-12-21
US11009170B2 (en) 2021-05-18
TW201831817A (zh) 2018-09-01
JPWO2018150518A1 (ja) 2019-02-21
WO2018150518A1 (ja) 2018-08-23
US20190376633A1 (en) 2019-12-12
CN110382941A (zh) 2019-10-25
KR102095690B1 (ko) 2020-03-31
CN110382941B (zh) 2021-05-04
JP6305655B1 (ja)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7569B2 (en) Two-shot tube retention fastener molding method
US8845762B2 (en) Batteries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assembling the same
CN108139183B (zh) 热交换器
CA2843531C (en) Universal mounting clamp
WO2016039132A1 (ja) 流体用の配管装置
US9490551B2 (en) Fitting equipped electrically conductive sheet
US20130038053A1 (en) Welding joint and welding method for same, welding device, welding joint, resin pipe weld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US10199750B2 (en) Press-fit terminal
KR20190109439A (ko) 배관계의 열전도 피복체, 배관계의 가열장치, 열전도 피복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그리고 가열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부착 방법
JP3180153U (ja) 管継ぎ手
CN108075242B (zh) 电线的接合结构以及电线束
JP2007010199A (ja) 多孔管及び多孔管の製造方法
JP2013145004A (ja) 二層管の分岐構造
JP6417241B2 (ja) 配線・配管材保持具
JP6696750B2 (ja) サーマルコネクタ
KR102354634B1 (ko) 열전달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유체 라인 히팅 자켓
JP5582759B2 (ja) 電線固定具
JP5789571B2 (ja) 流体継手、流体機器マニホールド
JP2017027777A (ja) 電気式ヒータ
KR20120058877A (ko) 공조용 덕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7195595A1 (ja) 端子金具
JP7262740B2 (ja) 配管接続構造
JP6786756B2 (ja) 線状体へのコルゲート管の取り付け治具、コルゲート管への線状体の挿通方法、コルゲート管への線状体の挿通時における取り付け治具の角度調整方法
JP2017125538A (ja) 管状体保持具
KR200230902Y1 (ko) 신축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