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995A - 자루 걸레 - Google Patents

자루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995A
KR20190107995A KR1020180029400A KR20180029400A KR20190107995A KR 20190107995 A KR20190107995 A KR 20190107995A KR 1020180029400 A KR1020180029400 A KR 1020180029400A KR 20180029400 A KR20180029400 A KR 20180029400A KR 20190107995 A KR20190107995 A KR 20190107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upport plate
protrusion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엽
이인환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18002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7995A/ko
Priority to CN201910192505.5A priority patent/CN110269551A/zh
Publication of KR2019010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는 개구가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일면에 결합후크가 돌출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결합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거나 걸림돌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루 걸레{MOP}
본 발명은 자루 걸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루 걸레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주로 바닥면을 닦을 때 사용되고 있는 청소용품이다. 종래의 자루 걸레는 청소포가 부착되어 바닥면을 문지르는 바디 및 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 막대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선 자세로 손잡이 막대를 통해 바디를 밀고 당겨서 바닥면을 닦게 된다.
한편, 종래에 자루 걸레에 사용되는 청소포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건조한 청소포(dry sheet), 젖은 청소포(wet sheet) 등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청소포의 경우 사용 목적에 따라 두께가 상이 하기 때문에 각각의 두께에 적합한 자루 걸레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건조한 청소포의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구비되며, 정전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바디의 상면에 청소포를 간단히 인입하여 사용하는 자루 걸레가 사용되었으며, 젖은 청소포의 경우 건조한 청소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구비되며, 바닥면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닦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청소포를 보다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루 걸레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자루 걸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용도에 따라 자루 걸레를 별개로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청소포를 용도에 맞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루 걸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는 개구가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일면에 결합후크가 돌출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결합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거나 걸림돌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에는 다양한 종류의 청소포가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에서 일측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 패드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에 청소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에서 일측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1)는 바디(100) 및 지지 플레이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자루 걸레(1)의 상부를 규정할 수 있으며, 사출 성형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디(100)는 개구(111)가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110) 및 개구(111)를 개폐하도록 바디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는 청소포(P, 도 10참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1)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걸림돌기(21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개구(111)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장변(110a)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보스(112)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보스(112)는 지지 플레이트(200)와의 체결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보스(112)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에 형성된 결합홀(230)에 삽입되어 지지 플레이트(200)에 체결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의 타면에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113)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13)를 파지한 상태로 자루 걸레(1)를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113)는 조인트부(114)를 통해 바디 플레이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조인트부(114)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손잡이(113)는 조인트부(114)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조인트부(11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13)와 조인트부(114)는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와 같이 회동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110)의 타면에는 덮개(12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120)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단변(110b) 방향 양측에 장변(110a)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덮개(120)는 내측 단부가 바디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덮개(120)의 회전축은 바디 플레이트(110)의 장변(110a)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120)가 회전하는 경우, 바디 플레이트(110)의 개구(111)는 외부로 노출 되거나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덮개(120)에는 결합후크(12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후크(121)는 개구(111)에 대응되는 덮개(120)의 일면에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120)가 회전하는 경우 결합 후크(121)는 개구(111)에 배치되는 걸림돌기(210)에 삽입되거나 걸림돌기(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덮개(120)에는 손잡이(113) 및 조인트(114)와의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한 요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120)에는 금속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금속부재(122)에 대응하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에는 자석(240)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금속부재(122) 및 자석(240)의 구비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덮개(120)에 자석을 구비하고, 지지 플레이트(200)에 금속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덮개(120) 및 지지 플레이트(200) 모두에 자석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말해, 덮개(120)의 일측에는 제1 자석이 구비되고, 덮개(120)의 일측에 대응하는 지지플레이트(200)의 일면에는 제2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덮개(120)에는 금속부재(122)가 구비되고,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에는 자석(240)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금속부재(122)와 자석(240)부재에 의해 덮개(120)는 바디 플레이트(110)에 자력(magnetic force)으로 결합될 수 있다. 금속부재(122)는 덮개(120)의 저면에 압입결합되거나 본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금속부재(122)를 덮개(120)에 사출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부재(122)를 덮개(12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200)는 바디(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1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보스(112)가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200a)에 형성된 결합홀(230)에 압입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200)는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에는 걸림돌기(210)가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200)와 바디(100)의 결합 시, 걸림돌기(210)는 개구(111)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돌기(210)에는 덮개(120)의 결합후크(12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덮개(120)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개구(111)를 덮는 경우, 결합후크(121)는 걸림돌기(2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덮개(120)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개구(111)를 외부로 노출 시키는 경우 결합후크(121)는 걸림돌기(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걸림돌기(210)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제1 돌기(211) 및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고 제1 돌기(211)의 외측에서 제1 돌기(2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돌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211)와 제2 돌기(212) 사이에는 결합후크(121)가 삽입되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211)와 제2 돌기(212)의 저부에는 각각 곡부(211a, 21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곡부(211a, 212a)에 의해 제1 돌기(211)와 제2 돌기(212)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한 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돌기(211)는 제2 돌기(212)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제 1돌기(211)의 상향 절곡된 길이(L1)은 제2 돌기(212)의 상향 절곡된 길이(L2)보다 길수 있다.
따라서, 제1 돌기(211)와 제2 돌기(212)의 상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후크 삽입구(213)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후크(121)가 걸림돌기(210)에 결합되거나 걸림돌기(2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결합후크(121)는 제2 돌기(212)와 접촉되고 제1 돌기(121)와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후크(121)가 제2 돌기(212)에만 접촉되면서 걸림돌기(210)에 착탈됨으로써, 사용자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부드럽게 결합후크(121)와 걸림돌기(210)를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결합후크(121)와 걸림돌기(210)를 구비함으로써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1)는 다양한 두께의 청소포(P)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1)는 결합후크(121)를 통해 청소포(P)를 걸림돌기(210)에 압입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후크(121)와 걸림돌기(210)의 체결구조에 의해 청소포(P)가 바디(100)에 결합되는 경우, 청소포(P)는 복수 회 절곡되어 결합하게 된다(도 10 참조). 따라서 다양한 두께의 청소포(P)가 바디(100)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덮개(120)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청소포를 바디(10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에는 자석(240)이 안착되는 안착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220)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일면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안착부(220)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석(240)은 안착부(2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의 타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보스(250)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보스(250)는 사용자가 자루 걸레(1)를 사용하는 경우, 청소포(P)와 청소 대상면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보스(250)는 복수 개가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지지보스(250)의 높이를 상이하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보스(250)가 지지 플레이트(200)의 타면(200b)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보스(251) 및 제1 지지보스(250)의 외측에 제1 지지보스(251)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제2 지지보스(252)를 포함하도록 지지보스(25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 걸레(1)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타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300) 및 지지 플레이트(20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테두리는 바디 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러버 패드(400)를 더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300)는 예를 들어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합성수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200)의 타면 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300)의 테두리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러버 패드(400)는 자루 걸레(1)의 하부를 규정할 수 있다. 러버 패드(400)의 외면은 청소포(P)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러버 패드(400)에는 복수 개의 패턴(4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패턴(410)에는 복수 개의 돌기(4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410)에 형성된 돌기(411) 사이의 간격은 러버 패드(400)의 외측에 형성된 패턴(410)에서 러버 패드(400)의 내측에 형성된 패턴(410)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자루 걸레(1)를 사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경우, 먼지 등은 러버 패드(400) 내측으로 용이하게 포집될 수 있다.
더하여, 러버 패드(400)에 형성된 패턴(410) 중 지지 플레이트(200)의 지지보스(250)에 대응하는 패턴(410a)에 형성된 돌기(411)는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돌기(411a), 제1 방향과 엇갈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돌기(411b) 및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엇갈린 제3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 개 제3 돌기(4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411a), 제2 돌기(411b) 및 제3 돌기(411c)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의 경계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60° 엇갈린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60° 엇갈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개구가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일면에 결합후크가 돌출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결합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거나 걸림돌기로부터 분리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2는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제1 돌기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제1 돌기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돌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3은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상측 단부 사이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구가 형성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4는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2 돌기보다 길게 구비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5는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거나 걸림돌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결합 후크는 상기 제2 돌기와 접촉되고 상기 제1 돌기와는 접촉되지 않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6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 보스가 돌출 구비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7은 상기 지지 보스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보스 및 상기 제1 지지보스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지보스 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제2 지지보스를 포함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8은 상기 덮개에는 금속부재 및 자석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에 구비되는 상기 금속부재 및 상기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금속부재 및 상기 자석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9는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제1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의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제2 자석이 구비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금속부재 또는 상기 자석이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1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자석이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2는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3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테두리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러버 패드를 더 포함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4는 상기 러버 패드의 외면은 곡면으로 구비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3은 상기 러버 패드에는 복수 개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6은 상기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러버 패드의 외측에 형성된 패턴에서 상기 러버 패드의 내측에 형성된 패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7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지지보스에 대응하는 상기 패턴에 형성된 상기 돌기는,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 돌기, 상기 제1 방향과 엇갈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엇갈린 제3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3 돌기를 포함하는 자루 걸레이다.
항목 18은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조인트부 및 상기 조인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자루 걸레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자루 걸레 100: 바디
110: 바디 플레이트 111: 개구
120: 덮개 121: 결합후크
200: 지지 플레이트 210: 걸림돌기
220: 안착부 230: 결합홀
240: 자석 300: 완충부재
400: 러버 패드 410: 패턴

Claims (18)

  1. 개구가 형성된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일면에 결합후크가 돌출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결합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일면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거나 걸림돌기로부터 분리되는 자루 걸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제1 돌기;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제1 돌기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돌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자루 걸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상측 단부 사이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구가 형성되는 자루 걸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2 돌기보다 길게 구비되는 자루 걸레.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거나 걸림돌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결합 후크는 상기 제2 돌기와 접촉되고 상기 제1 돌기와는 접촉되지 않는 자루 걸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 보스가 돌출 구비되는 자루 걸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보스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1 지지보스; 및
    상기 제1 지지보스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지보스 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제2 지지보스;를 포함하는 자루 걸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금속부재 및 자석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에 구비되는 상기 금속부재 및 상기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금속부재 및 상기 자석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되는 자루 걸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제1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의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제2 자석이 구비되는 자루 걸레.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금속부재 또는 상기 자석이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자루 걸레.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자석이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자루 걸레
  12. 제10 항 및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의 상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루 걸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테두리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러버 패드;를 더 포함하는 자루 걸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의 외면은 곡면으로 구비되는 자루 걸레.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에는 복수 개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자루 걸레.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러버 패드의 외측에 형성된 패턴에서 상기 러버 패드의 내측에 형성된 패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자루 걸레.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지지보스에 대응하는 상기 패턴에 형성된 상기 돌기는,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 돌기;
    상기 제1 방향과 엇갈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엇갈린 제3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3 돌기;를 포함하는 자루 걸레.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조인트부; 및
    상기 조인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자루 걸레.
KR1020180029400A 2018-03-13 2018-03-13 자루 걸레 KR20190107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00A KR20190107995A (ko) 2018-03-13 2018-03-13 자루 걸레
CN201910192505.5A CN110269551A (zh) 2018-03-13 2019-03-13 拖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00A KR20190107995A (ko) 2018-03-13 2018-03-13 자루 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95A true KR20190107995A (ko) 2019-09-23

Family

ID=6795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400A KR20190107995A (ko) 2018-03-13 2018-03-13 자루 걸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07995A (ko)
CN (1) CN1102695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061A1 (ja) * 2019-12-02 2021-06-10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442B2 (ja) * 1995-12-28 2001-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掃除用具
KR200424529Y1 (ko) * 2006-06-02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밀걸레
JP4909714B2 (ja) * 2006-11-17 2012-04-04 Ykk株式会社 シート装着器具
JP5152723B2 (ja) * 2008-04-30 2013-0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携帯容器の蓋体
CN202051672U (zh) * 2011-05-20 2011-11-30 嘉兴市捷豪清洁用品有限公司 一种拖把头
CN203341677U (zh) * 2013-05-30 2013-12-18 宁波世家洁具有限公司 一种多面除垢拖把
KR200473432Y1 (ko) * 2013-07-15 2014-07-04 주식회사 우일 대걸레용 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69551A (zh)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519B2 (en) Sheet holding structure and cleaner having the same
KR200478494Y1 (ko) 물티슈 포장팩용 반자동 개폐 뚜껑
EP2861792B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GB2396895A (en) A vacuum cleaner pipe coupling having a locking member and an unlocking lever
KR20190107995A (ko) 자루 걸레
KR101831794B1 (ko) 물티슈 케이스 개폐구조
CN110301740B (zh) 牙刷盒及牙刷套装
JP2003116765A (ja) 掃除具
KR20190091418A (ko) 청소 도구
JP2002000475A (ja) 洗い具ホルダー
JP3224055U (ja) 家具のコンセント配置構造
KR200171466Y1 (ko) 진공청소기의 면걸레 착탈장치
JPH08196498A (ja) 掃除具
CN214804392U (zh) 一种马桶清洁工具
WO2022061711A1 (zh) 一种多功能沥水架
JP4338007B2 (ja) 蓋の開閉機構
JP2003111709A (ja) 清掃用器具
KR200224857Y1 (ko) 싱크대용 걸레받이
JPS5827732Y2 (ja) 蓋ヒンジ構造
JPH08322780A (ja) 拭布交換型拭き掃除具
JP4820385B2 (ja) 物品収納容器
JP2789428B2 (ja) 磁石取付構造およびその取付構造を用いたふきん掛け
JP3063728U (ja) 懐中鏡
KR20220128709A (ko) 차량의 범퍼 토잉커버 조립체
JPS6035725Y2 (ja) 尾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