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814A -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 Google Patents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814A
KR20190106814A KR1020190027110A KR20190027110A KR20190106814A KR 20190106814 A KR20190106814 A KR 20190106814A KR 1020190027110 A KR1020190027110 A KR 1020190027110A KR 20190027110 A KR20190027110 A KR 20190027110A KR 20190106814 A KR20190106814 A KR 20190106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s
cylindrical portion
piezoelectric motor
resonator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863B1 (ko
Inventor
파스깔 라고르제뜨
파스깔 마이어
Original Assignee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filed Critical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Publication of KR2019010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1Driving devices, e.g. vibrato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91Cases for clock parts, e.g. for the escapement or the electric mot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8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 G04C3/12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mechanical oscillator other than a pendulum or balance, e.g. by a tuning fork, e.g. electrostatically driven by piezoelectric means; driven by magneto-stri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5Mechanical details, e.g. housings
    • H02N2/0055Supports for driving or driven bodies; Means for pressing driving body against driven bod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5Mechanical details, e.g. housings
    • H02N2/0055Supports for driving or driven bodies; Means for pressing driving body against driven body
    • H02N2/006Elastic elements, e.g.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H02N2/103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by pressing one or more vibrators against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H02N2/1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본 발명은 회전 압전 모터 (100; 101; 102) 에 관한 것이고, 그 회전 압전 모터 (100; 101; 102) 는:
- 한 쌍의 아암들 (31', 32') 을 갖는 공진기 (30') 를 포함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한 쌍의 아암들 (31', 32') 은 접속 영역 (33') 에서 그들의 단부들 중 일방의 단부에서 접속되고, 다른 2 개의 단부들 (310', 320') 은 '자유단' 으로서 지칭되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
- 상기 공진기 (30') 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원통부 (20) 를 포함하는 수동 엘리먼트로서, 상기 원통부 (20) 는 상기 원통부 (20) 상의 상기 아암들 (31', 32') 의 자유단들 (310', 320') 의 마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상기 수동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각 자유단 (310', 320') 은, 돌출부들 (41, 42) 이 서로를 향해 연장되어서 함께 상기 원통부 (20) 의 부분 (21) 에 대한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하는 돌출부 (41, 42) 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100; 101; 102) 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원통부 (20) 의 상기 부분 (21) 을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51, 52; 6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ROTATING PIEZOELECTRIC MOTOR WITH RADIAL PRELOAD}
본 발명은 회전 압전 모터들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회전 압전 모터는 종래에 수동 엘리먼트 (passive element), 및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그 수동 엘리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actuator) 를 갖는다. 도 1 을 참조하면, 특히, 수동 엘리먼트가 원통 (20) 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튜닝 포크 형상의 또는 U-형상의 접속 영역 (33) 에서 서로에 대해 접속된 한 쌍의 아암들 (arms) (31, 32) 로 형성된 공진기 (resonator) (30) 를 압전 액추에이터가 포함하는 회전 압전 모터들 (10) 이 알려져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2 개의 압전 엘리먼트들 (표시되지 않음) 을 더 포함하고, 그 2 개의 압전 엘리먼트들의 각각은 한 쌍의 아암들 (31, 32) 중 하나에 부착되고, 거기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해 아암들에 대한 여기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수동 엘리먼트 (20) 는 공진기 (30) 의 아암들 (31, 32) 사이를 통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동 엘리먼트 (20) 의 측면의 하나의 영역은 양측에서 아암들 (31, 32) 의 자유단들 (310, 320) 과 접촉하여, 수동 엘리먼트 (20) 는 접촉 영역에서의 아암들 (31, 32) 의 자유단들 (310, 320) 의 마찰에 의해 회전된다.
이 타입의 모터는 모터에의 전력공급 없이, 즉, 아암들의 여기 없이 유지 토크를 설정하기 위해 공진기와 원통부 사이의 계면에서 프리로딩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로드 시스템에 맞추어진 회전 압전 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 압전 모터에 관한 것이고, 이 회전 압전 모터는:
- 한 쌍의 아암들을 갖는 공진기를 포함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piezoelectric actuator) 로서, 그 한 쌍의 아암들은 접속 영역에서 그들의 단부들 중 일방의 단부에서 접속되고, 다른 2 개의 단부들은 '자유단 (free)' 으로서 지칭되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
- 공진기에 대해 직교하여 (orthogonally) 연장되는 원통부 (cylindrical part) 를 포함하는 수동 엘리먼트로서, 그 원통부는 원통부 상의 아암들의 자유단들의 마찰 (friction) 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상기 수동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각 자유단 (free end) 은, 돌출부들이 서로를 향해 연장되어서 함께 원통부의 부분 (portion) 에 대한 하우징 (housing) 을 형성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모터는 하우징 내부에 원통부의 상기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돌출부 (protuberance)' 는 돌출하는 상승된 부분, 확장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경방향 프리로드 (radial preload) 가 원통부와 공진기 사이에서 형성된다: 반경방향 힘은 공진기 아암들의 각 단부에서 형성된 돌출부들에 대하여 원통부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다. 용어 '반경방향 (radial)' 은 원통부의 반경을 지칭한다.
프리로드 시스템은 따라서 돌출부들 및 유지 디바이스로 형성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유지 디바이스는 원통부의 부분에 대해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디바이스는, 고정 엘리먼트 (securing element), 및 한편으로는 고정 엘리먼트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원통부의 상기 부분에 대해 지탱 (bearing) 하는 탄성 엘리먼트 (elastic element), 예를 들어, 스프링, 스트립 (strip) 또는 고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유지 디바이스는 원통부의 부분에 대해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디바이스는 아암 접속 영역에 고정된 자석을 포함하고, 원통부의 부분은 자기 재료, 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를 포함하여, 자석과 원통부의 상기 부분 사이에 인력을 생성하도록 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비교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하나의 이점은 프리로드 시스템이 자기-지지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 다른 이점은, 원통부가 탄성 엘리먼트와의 접촉으로부터의 마찰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유지 디바이스는 공진기 아암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지 디바이스가 스프링과 같은 탄성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엘리먼트의 축은 공진기 아암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유지 디바이스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석은 아암들의 자유단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상술된 압전 모터를 포함하는 시계 (timepiece) 에 관한 것이다.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그 시계는 원통부의 일단에 고정된 핸드 (hand) 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부속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예시의 방식으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날 것이다.
- 도 1 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 압전 모터의 한 부분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2 는, 위에서 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압전 모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3 은 도 2 의 회전 압전 모터의 일부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압전 모터의 일부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압전 모터의 일부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6 은 도 4 의 회전 압전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고정된 핸드를 포함하는 시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압전 모터 (100) 의 일부를 도시하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압전 모터 (101) 를 도시하며,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압전 모터 (102) 를 도시한다. 모든 3 가지 경우들에서, 모터 (100, 101, 102) 는 원통부 (20) 를 포함하는 수동 에리먼트, 및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원통부 (20) 를 회전시키기 위한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발진할 수 있는 2 개의 아암들 (31', 32') 을 포함하는 공진기 (30') 및 압전 여기 수단 (표시되지 않음) 을 포함한다. 여기 수단은 유리하게는, 각각 상이한 아암에 부착된 2 개의 부분들로 형성된다. 하지만, 여기 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가능하다; 그것들은, 예를 들어, 아암들 사이의 조인트에서 배열된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적합한 전압이 여기 수단에 인가될 때, 여기 수단은 변형되고, 기계적 응력들이 아암들 (31', 32') 에 전달되고, 그러면 진동하기 시작한다. 여기 수단이 아암들 상에 적합한 방식으로 설계 및 탑재되는 경우에, 원하는 형태의 다차원적 진동들 (multi-dimensional oscillations) 이 달성될 수 있다.
아암들 (31', 32') 은 접속 영역 (33') 에서 접속되고, 상기 접속 영역 (33') 으로부터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공진기는 따라서 일반적으로 튜닝 포크 형상, 즉, U-형상이다. 하지만, 이 형상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접속 영역 (33') 에 접속되지 않는 아암들의 단부들은 자유단들 (free ends) (310', 320') 로서 지칭된다. 아암들 (31', 32') 의 진동의 진폭은 이들 단부들 (310', 320') 에서 최대이다.
원통부 (20) 는 공진기 (30') 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즉, 공진기 (30') 의 아암들 (31', 32') 의 축들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2 개의 자유단들 (310', 320') 과 접촉한다. 아암들 (31', 32') 의 자유단들 (310', 320') 의 다차원적 진동들은 상기 원통부 (20) 에 대한 상기 단부들 (310', 320') 의 마찰에 의해 그것의 축 주위로 원통부 (20) 에 회전을 부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유단들 (310', 320') 은, 공진기 (30') 와 원통부 (20) 사이에 프리로딩이 생성되도록 허용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압전 모터의 유지 디바이스와 결합된, 특별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보다 엄밀히, 각 자유단 (310', 320') 은, 돌출부들 (41, 42) 이 서로를 향해 확장되도록, 돌출부 (41, 42) 를 포함한다. 각 돌출부 (41, 42) 는 서로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면 (411, 421) 을 갖는다. 원통부 (20) 는 이들 돌출부들 (41, 42) 의 경사진 면들 (411, 421) 과 접촉한다. 달리 말하면, (도 3 에서 볼 수 있는) 원통부 (20) 의 하나의 부분 (21) 은 경사진 면들 (411, 421) 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끼워진다. 유지력은, 아암들 (31', 32') 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접속 영역 (33') 을 향해, 상기 부분 (21) 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하여서, 부분 (21) 은 이들 경사진 면들 (411, 421) 상에서 지탱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유지 디바이스는 탄성 엘리먼트, 여기서는 스프링 (52), 및 정지부 (51) 를 포함한다. 스프링 (52) 은, 그것이 일 측에서는 부분 (21) 상에 지탱되고 다른 측에서는 정지부 (51) 상에 지탱되어서, 경사진 면들 (411, 421) 에 대해 원통부 (20) 를 밀도록 한다.
제 2 및 제 3 실시형태들에서, 유지 디바이스는 접속 영역 (33') 의 측면에 위치된 자석 (60) 을 포함하고, 부분 (21) 은 자기 재료, 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를 포함하여서, 자석 (60) 을 향하여, 그리고 결과적으로 경사진 면들 (411, 421) 에 대하여 부분 (21) 을 끌어당기도록 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자석 (60) 은 접속 영역 (33') 의 내측 면 (331) 에 고정되는 반면에, 제 3 실시형태에서, 자석 (60) 은 접속 영역 (33') 의 외측 면 (332) 에 고정된다. 내측 면 (331) 은 원통부의 맞은 편에 위치되는 면이고, 외측 면 (332) 은 내측 면 (331) 반대편의 면이다.
마지막으로,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압전 모터 (101) 의 원통부 (20) 의 상부 단에 고정된 핸드 (90) 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타입의 시계 (80) 를 나타낸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하나에 따른 압전 모터는 핸드가 아니라 디스크 (예를 들어 날짜 디스크 또는 달 위상 디스크), 휠 또는 링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들 및/또는 개선들 및/또는 조합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전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사진 면들 (411, 421) 은 예시된 실시형태들에서는 평편한 것으로서 표현되었지만, 그것들은 균등하게 오목하거나 볼록할 수 있을 것이다. 필수적인 점은 이들 면들이 원통부 (20) 의 부분 (21) 과 접촉하여 유지된다는 것이다.

Claims (9)

  1. 회전 압전 모터 (100; 101; 102) 로서,
    - 한 쌍의 아암들 (31', 32') 을 갖는 공진기 (30') 를 포함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한 쌍의 아암들 (31', 32') 은 접속 영역 (33') 에서 그들의 단부들 중 일방의 단부에서 접속되고, 다른 2 개의 단부들 (310', 320') 은 '자유단' 으로서 지칭되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
    - 상기 공진기 (30') 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원통부 (20) 를 포함하는 수동 엘리먼트로서, 상기 원통부 (20) 는 상기 원통부 (20) 상의 상기 아암들 (31', 32') 의 상기 자유단들 (310', 320') 의 마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상기 수동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각 자유단 (310', 320') 은, 돌출부들 (41, 42) 이 서로를 향해 연장되어서 함께 상기 원통부 (20) 의 부분 (21) 에 대한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하는 돌출부 (41, 42) 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100; 101; 102) 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원통부 (20) 의 상기 부분 (21) 을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51, 52; 60) 를 포함하는, 압전 모터 (100; 101; 102).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디바이스 (51, 52) 는 상기 원통부 (20) 의 상기 부분 (21) 에 대해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압전 모터 (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디바이스 (51, 52) 는, 고정 엘리먼트 (51) 및, 한편에서는 상기 고정 엘리먼트 (51) 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상기 원통부 (20) 의 상기 부분 (21) 에 대해 지탱하는 탄성 엘리먼트 (52) 를 포함하는, 압전 모터 (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엘리먼트 (52) 의 축은 상기 공진기 (30') 의 상기 아암들 (31', 32') 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압전 모터 (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디바이스 (60) 는 상기 원통부 (20) 의 상기 부분 (21) 에 대해 자기력 (21) 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압전 모터 (101; 102).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디바이스 (60) 는 상기 아암들 (31', 32') 의 상기 접속 영역 (33') 에 고정된 자석 (60) 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 (20) 의 상기 부분 (21) 은 상기 자석 (60) 과 상기 원통부 (20) 의 상기 부분 (21) 사이에 인력을 생성하도록 자기 재료를 포함하는, 압전 모터 (101; 102).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60) 은 상기 아암들 (31', 32') 의 상기 자유단들 (310', 320') 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열되는, 압전 모터 (101; 102).
  8. 제 1 항에 따른 압전 모터 (100; 101; 102) 를 포함하는, 시계 (8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 (20) 의 일단에 고정된 핸드 (90) 를 포함하는, 시계 (80).
KR1020190027110A 2018-03-09 2019-03-08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KR102347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0979.3 2018-03-09
EP18160979.3A EP3537594A1 (fr) 2018-03-09 2018-03-09 Moteur piezoelectrique rotatif a precontrainte radia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801A Division KR20210022601A (ko) 2018-03-09 2021-02-19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814A true KR20190106814A (ko) 2019-09-18
KR102347863B1 KR102347863B1 (ko) 2022-01-05

Family

ID=616269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110A KR102347863B1 (ko) 2018-03-09 2019-03-08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KR1020210022801A KR20210022601A (ko) 2018-03-09 2021-02-19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801A KR20210022601A (ko) 2018-03-09 2021-02-19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83952B2 (ko)
EP (1) EP3537594A1 (ko)
JP (1) JP6792008B2 (ko)
KR (2) KR102347863B1 (ko)
CN (1) CN1102475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5471A (ja) * 2020-03-12 2021-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駆動装置、圧電モーター及びロボッ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2575A1 (en) * 1999-11-29 2003-03-20 Elmar Mock Piezoelectric drive
JP2007189802A (ja) * 2006-01-12 2007-07-26 Canon Inc 振動波駆動装置及び振動波駆動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990A (ja) 2003-02-06 2004-09-16 Seiko Epson Corp 駆動装置および稼動装置
CH696993A5 (de) * 2004-06-24 2008-02-29 Miniswys Sa Antriebseinheit.
JP2007037242A (ja) * 2005-07-25 2007-02-08 Seiko Epson Corp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子機器
JP2013059142A (ja) * 2011-09-07 2013-03-28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多自由度アクチュエータ
JP2016082835A (ja) * 2014-10-22 2016-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駆動装置、指アシスト装置及びロボット
JP6439466B2 (ja) 2015-01-30 2018-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駆動装置、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の駆動方法
JP6550823B2 (ja) * 2015-03-20 2019-07-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時計
CN107070300B (zh) 2017-04-27 2018-10-23 西安交通大学 一种具有钳位功能的双压电堆角位移作动器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2575A1 (en) * 1999-11-29 2003-03-20 Elmar Mock Piezoelectric drive
JP2007189802A (ja) * 2006-01-12 2007-07-26 Canon Inc 振動波駆動装置及び振動波駆動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80625A1 (en) 2019-09-12
JP6792008B2 (ja) 2020-11-25
EP3537594A1 (fr) 2019-09-11
CN110247582B (zh) 2021-06-08
US11183952B2 (en) 2021-11-23
KR20210022601A (ko) 2021-03-03
KR102347863B1 (ko) 2022-01-05
JP2019162019A (ja) 2019-09-19
CN110247582A (zh)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2372B2 (ja) 圧電駆動ユニット
US11632030B2 (e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with magnets and end cores into electrical energy
JP7234255B2 (ja) 機械的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ための電気機械発電機
JP5641800B2 (ja) 振動型駆動装置
JP2021519571A (ja) 機械的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ための電気機械発電機
KR102347863B1 (ko) 반경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KR102171672B1 (ko) 축선방향 프리로드를 갖는 회전 압전 모터
JP4282487B2 (ja) 圧電モータおよび圧電モータを駆動するための方法
JP6166847B2 (ja) 磁気的及び/又は静電気的な共振器
JP2012039819A (ja) 超音波モータ
JP2021164225A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ダンパーユニット
JP2008017603A (ja) 円筒型超音波モータ
CN116802986A (zh) 超声波电机
JPH0965674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CN110247581B (zh) 用于盘形件的旋转压电电机
JP2021173363A (ja) ダンパー部材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JP5153185B2 (ja) 振動波駆動装置及び振動子
JPH03190575A (ja) 超音波モータ
JPH04133678A (ja) 超音波モータ
JP2004112924A (ja) 振動波駆動装置
JPH04109881A (ja) 超音波モータ
JP2012070547A (ja) 回転駆動装置
JPH05168261A (ja) 超音波モータ用ロータ
JPH10248272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H02106179A (ja) 超音波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4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219

Effective date: 20210906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