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337A -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 Google Patents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337A
KR20190106337A KR1020180027683A KR20180027683A KR20190106337A KR 20190106337 A KR20190106337 A KR 20190106337A KR 1020180027683 A KR1020180027683 A KR 1020180027683A KR 20180027683 A KR20180027683 A KR 20180027683A KR 20190106337 A KR20190106337 A KR 20190106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ircuit
node
voltage
f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965B1 (ko
Inventor
이수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965B1/ko
Priority to US16/170,595 priority patent/US11009403B2/en
Publication of KR2019010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18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linear resistance, e.g.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 G01K7/2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linear resistance, e.g.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in a specially-adapted circuit, e.g. bridge circuit
    • G01K7/21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linear resistance, e.g.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in a specially-adapted circuit, e.g. bridge circuit for modify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e.g. linear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5/00Testing or calibrating of thermometers
    • G01K15/005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18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linear resistance, e.g.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 G01K7/2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linear resistance, e.g.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in a specially-adapted circuit, e.g. bridge circ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1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ing elements having PN jun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50Adjustable resis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switc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는, 제1 노드의 제1 전압과, 제2 노드의 제2 전압이 동일하도록 생성하는 전압 생성 회로; 상기 제1 노드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제2 전류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회로 및 제2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저항 가변을 통해 온도 기울기를 가변하는 전류 생성 회로; 및 상기 제2 전류의 전류 미러링을 통해 제3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단에 제공하는 전류 미러 회로;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TIME DOMAIN TEMPERATURE SENSOR CIRCUIT WITH IMPROVED RESOLUTION}
본 발명은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적회로(IC)에 내장된 온도센서 회로는, 집적회로의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집적회로의 성능저하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존에는 밴드갭 기준(BGR) 회로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ADC) 회로를 사용하는 전압 도메인(Voltage Domain) 온도 센서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ADC) 회로없이 심플&스몰(Simple & Small) 사이즈로 설계 가능한 타임 도메인(Time Domain) 온도 센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도 센서에 있어 중요한 성능지수는 해상도와 에러율이다.
한편, 온도 센서의 해상도는 (온도에 따른 출력신호의 변화량)/(온도 변화량)로 결정되는데, 선형성과 해상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값으로 온도 센서를 설계하고 있지만, 집적회로로 구현하여 측정하였을 때 출력신호의 변화량이나 선형성이 설계값과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서, 원하는 성능을 얻어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기존의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는, 2개의 제1 및 제2 전류제어발진기(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CCO)를 포함하고, 전류제어 발진기는, 공급받는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각기 다른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데, 제1 전류제어 발진기(CCO)는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전류를 생성하므로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발진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전류제어 발진기(CCO)는 온도에 독립적인 전류를 생성하므로 온도에 따라 변함없는 일정한 발진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온도 센서 회로에서는, 저온의 경우와 고온의 경우에 제1 클럭(clock(Linear))은 온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만, 제2 클럭(clock(constant))은 온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거나 미미하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클럭의 카운트값(counting value)이 크게 달라진다. 이 카운트값의 차에 의해 온도 센서의 온도를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온도 센서 회로는, 선형성, 해상도, 또는 신호레벨을 튜닝할 수 없어서, 설계 이후의 튜닝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해상도 및 에러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KR 2010-0020146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발진기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전류의 기울기 및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1 노드의 제1 전압과, 제2 노드의 제2 전압이 동일하도록 생성하는 전압 생성 회로; 상기 제1 노드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제2 전류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회로 및 제2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저항 가변을 통해 온도 기울기를 가변하는 전류 생성 회로; 및 상기 제2 전류의 전류 미러링을 통해 제3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단에 제공하는 전류 미러 회로;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가 제안된다.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저항;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 각각에 직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하는 제1 내지 제n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저항;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하는 제1 내지 제n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생성 회로는,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을 갖는 제1 FET; 상기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1 FET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2 FET;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전압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ET 및 제2 FET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는 연산 증폭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1 BJT일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 소자는, 상기 가변 저항 회로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2 BJT일 수 있다.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상기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출력단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2 FET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3 FE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해, 제1 노드의 제1 전압과, 제2 노드의 제2 전압이 동일하도록 생성하는 전압 생성 회로; 상기 제1 노드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선형적인 온도 기울기를 갖는 제2 전류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회로 및 제2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류 생성 회로; 상기 제2 전류의 전류 미러링을 통해 제3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미러 회로; 및 상기 온도 기울기의 가변시 상기 제2 전류의 가변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3 전류에 기초하여 출력전류를 조절하여 출력단에 제공하는 전류 조절 회로;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가 제안된다.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저항;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 각각에 직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하는 제1 내지 제n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저항;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하는 제1 내지 제n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생성 회로는,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을 갖는 제1 FET; 상기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1 FET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2 FET;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전압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ET 및 제2 FET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는 연산 증폭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1 BJT일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 소자는, 상기 가변 저항 회로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2 BJT일 수 있다.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상기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출력단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2 FET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3 F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조절 회로는, 상기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노드에 접속된 드레인 및 게이트, 접지된 소스를 갖는 제4 FET; 상기 제4 FET의 전류를 독립적으로 전류 미러링 하기 위한 제1 및 제n 전류미러 FET; 및 상기 제1 및 제n 전류미러 FET 각각을 선택하여 츌력단을 통해 선택된 전류를 합하여 제1 내지 제n 전류미러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발진기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전류의 기울기 및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형성 및 해상도를 튜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계 이후의 튜닝을 통해 에러율을 최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의 제1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의 제2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저항 회로의 제1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저항 회로의 제2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의 온도에 대한 전류의 선형성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 조절 회로의 일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의 제1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는, 전압 생성 회로(100), 전류 생성 회로(200) 및 전류 미러 회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생성 회로(100)는, 제1 노드(N1)의 제1 전압(V1)과, 제2 노드(N2)의 제2 전압(V2)이 동일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생성 회로(200)는, 상기 제1 노드(N1)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전류(I1)를 생성하는 제1 반도체 소자(Q1)와, 상기 제2 노드(N2)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제2 전류(I2)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회로(220) 및 제2 반도체 소자(Q2)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회로(220)는 저항 가변을 통해 온도 기울기를 가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 기울기는 온도 변화에 대한 전류 변화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상기 전류 미러 회로(300)는, 상기 제2 전류(I2)의 전류 미러링을 통해 제3 전류(I3)를 생성하여 출력단(OUT)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대해,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각 도면에 대해 가능한 차이점에 대한 사항이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의 제2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는, 전압 생성 회로(100), 전류 생성 회로(200), 전류 미러 회로(300) 및 전류 조절 회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생성 회로(100)는, 제1 노드(N1)의 제1 전압(V1)과, 제2 노드(N2)의 제2 전압(V2)이 동일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생성 회로(200)는, 상기 제1 노드(N1)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전류(I1)를 생성하는 제1 반도체 소자(Q1)와, 상기 제2 노드(N2)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선형적인 온도 기울기를 갖는 제2 전류(I2)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회로(220) 및 제2 반도체 소자(Q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미러 회로(300)는, 상기 제2 전류(I2)의 전류 미러링을 통해 제3 전류(I3)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조절 회로(400)는, 상기 온도 기울기의 가변시 상기 제2 전류(I2)의 가변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3 전류(I3)에 기초하여 출력전류(Iout)를 조절하여 출력단(OUT)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생성 회로(200)에서 생성되는 선형적인 온도 기울기를 갖는 제2 전류(I2)는, 그 생성 과정에서 원하지 않게 가변(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가변된 전류는 상기 전류 조절 회로(400)에서 가변된 전류크기 만큼 보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전압 생성 회로(100)는, 제1 FET (M11), 제2 FET (M12) 및 연산 증폭기(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FET (M11)는, 전압전원(VDD)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1 노드(N1)에 접속된 드레인을 포함하는 PMOS FET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FET (M12)는, 상기 전압전원(VDD)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2 노드(N2)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1 FET (M11)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포함하는 PMOS FET가 될 수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A1)는, 상기 제1 전압(V1)과 상기 제2 전압(V2)의 전압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ET (M11) 및 제2 FET (M12)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연산 증폭기(A1)의 동작에 의해서, 제1 노드(N1)의 제1 전압과 제2 노드(N2)의 제2 전압은 같아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전류 생성 회로(200)의 제1 반도체 소자(Q1)는, 상기 제1 노드(N1)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P타입의 제1 BJT(Q1)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생성 회로(200)의 제2 반도체 소자(Q2)는, 상기 가변 저항 회로(220)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P타입의 제2 BJT(Q2)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류 미러 회로(300)는 제3 FET (M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FET (M31)는, 상기 전압전원(VDD)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출력단(OUT)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2 FET (M12)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포함하는 PMOS FET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FET (M11), 제2 FET (M12) 및 연산 증폭기(A1)에 의해서, 상기 제1 노드(N1)의 제1 전압(V1)과, 상기 제2 노드(N2)의 제2 전압(V2)은 동일하게 된다.
상기 제1 노드(N1)와 접지 사이에 흐르는 제1 전류(I1)는, 제1 노드(N1)의 제1 전압과 제1 반도체 소자(Q1)의 저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노드(N2)와 접지 사이에 흐르는 제2 전류(I2)는, 제2 노드(N2)의 제2 전압과 제2 반도체 소자(Q2) 및 가변 저항 회로(220)의 저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변 저항 회로(220)에 의해서 저항이 가변되면 상기 제2 전류(I2)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미러 회로(300)는, 상기 제2 전류(I2)의 전류 미러링을 통해 제3 전류(I3)를 생성하고, 상기 제2 FET (M12)와 제3 FET (M31)의 사이즈 비율에 따라 상기 제3 전류(I3)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류 미러 회로(300)에서 출력되는 전류(I3)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1에서, VEB1은 제1 반도체 소자(Q1)의 에미터-베이스 전압이고, VEB2는 제2 반도체 소자(Q2)의 에미터-베이스 전압이고, R220은 가변 저항 회로(220)의 저항값이고, VT는 BJT의 열전압이고, Ln(16)는 제1 반도체 소자(Q1)와 제2 반도체 소자(Q2)의 비율로 16은 16배를 의미한다.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학식1에서, 룸 온도(Room Temperature)에서 가변 저항 회로(220)의 저항값(R220)은 100KΩ, n=16인 경우에 대한 제2 전류(I2)를 유도한 예시이다.
상기 수학식1에 따르면, 가변 저항 회로(220)의 저항값(R220)의 온도특성에 의해 온도에 따라 제2 전류(I2)가 바뀌어 질 수 있다. 즉, 제2 전류가 온도에 따라 바뀌어 진다는 의미는 하기 수학식2를 참조하면 온도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진다는 의미이므로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주파수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가변 저항 회로(220)의 저항에 대한 온도에 대한 기울기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2
예를 들어, 상기 가변 저항 회로(220)는, 선형적인 온도 기울기를 갖는 제2 전류(I2)를 생성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 회로(220)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저항 각각은 서로 다른 온도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 반도체 공정은 다양한 온도계수를 갖는 저항이 제공될 수 있고, 즉 온도에 대해 +10%로 변화하는 저항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온도에 대해 -20% 변하는 저항이 있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온도 기울기를 갖는 저항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온도에 대해 다양한 기울기를 갖는 저항값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저항 회로의 제1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회로(220)는, 제1 내지 제n 저항(R2-1~R2-n), 및 제1 내지 제n 스위치(SW2-1~SW2-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R2-1~R2-n)은,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스위치(SW2-1~SW2-n)는,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R2-1~R2-n) 각각에 직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저항 회로의 제2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 회로(220)는, 제1 내지 제n 저항(R31-1~R3-n), 및 제1 내지 제n 스위치(SW3-1~SW3-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R31-1~R3-n)은,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스위치(SW3-1~SW3-n)는,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R31-1~R3-n)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R2-1~R2-n)은, 상온에서 같은 100KΩ의 저항을 가질 수 있고, 온도에 따른 저항의 기울기가 서로 다르도록 설계된 저항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저항(R2-1)은 모든 온도범위에 대해 +10%의 온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제2 저항(R2-2)은 +20%의 온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제n 저항(R2-n)은 -10%의 온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른 저항을 접속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온도 기울기의 PTAT 전류를 생성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의 온도에 대한 전류의 선형성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전류의 온도 기울기를 튜닝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온도에 따라 저항의 특성이 선형적이지 않을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저항을 제작하는 반도체 공정의 특성이다.
도 5에서, G1은 온도에 따라 전류의 온도 기울기가 커지는 그래프이고, G2는 온도에 따라 전류의 온도 기울기가 작아지는 그래프이고, G3은 온도에 따라 매우 선형적인 기울기인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G1,G2 및 G3을 참조하면, 온도에 따라 전류의 온도 기울기가 비선형적일 수 있으므로, 통상 온도에 따른 전류의 기울기가 크면 주파수의 변화율도 커지므로 해상도가 좋아지지만, 전류의 기울기가 큰 경우에도 선형성이 나쁠 때에는 전체적인 온도센서의 에러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 조절 회로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류 조절 회로(400)는, 제4 FET(M41), 및 제5 FET(M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FET(M42)는, 제1 및 제n 전류미러 FET(M41-1~M4-n), 그리고 제1 내지 제n 전류미러 스위치(SW4-1~SW4-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FET(M41)는, 상기 전류 미러 회로(300)의 출력노드(N3)에 접속된 드레인 및 게이트, 그리고 접지된 소스를 포함하는 PMOS FET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n 전류 미러 FET(M41-1~M4-n) 각각은, 상기 제4 FET(M41)의 전류를 독립적으로 전류 미러링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전류 미러 스위치(SW4-1~SW4-n)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n 전류 미러 FET(M41-1~M4-n) 각각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n 전류 미러 FET(M41-1~M4-n) 각각에 의해 생성된 전류는, 제1 내지 제n 전류 미러 스위치(SW4-1~SW4-n)에 의해 선택되어 합쳐져서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전류 조절 회로(400)를 이용하면, PTAT 전류의 미러링(mirroring) 되는 양을 조절하여 전류의 기울기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전류의 레벨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전류 조절 회로(400)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200)가 온도 기울기의 선형성을 위해 저항을 가변하는 과정에서의 전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도 3의 제1 및 제2 저항(R2-1~R2-2)이 동시에 선택되어 약 +15% 정도의 절대온도비례(PTAT:Proportional To Absolute Temperature) 전류가 생성된다고 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저항(R2-1~R2-2) 각각이 100KΩ이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두 저항의 병렬 합저항은 약 50KΩ이 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합 저항이 작아지므로 PTAT 전류는 대략 2배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발진주파수도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2배 증가하게 될 수 있고, 발진주파수의 범위가 일정수준 이상을 벗어나는 경우에 성능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일정한 범위안에서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 도 6의 전류 조절 회로(400)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2개의 저항이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최종 발진주파수를 예상치와 맞추기 위해 증가된 전류(NxIPTAT)의 크기를 반으로 줄이기 위해 제2 전류 미러 스위치(SW4-2)를 선택하여 최종 전류를 발진기(Oscillator)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류 생성 회로(200) 및 상기 전류 미러 회로(300)에서 2배로 증가한 전류가 전류 조절 회로(400)에 의해 다시 반으로 줄일 필요가 있다.
도 3에서 4개의 저항이 선택된다면 PTAT 전류는 4배가 될 것이고, 도 6에서 제1 전류 미러 스위치(SW4-1)를 선택하여 이 전류를 다시 1/4로 만들어 발진주파수의 범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에는 전류변화가 0.25배~2.5배 까지 가능하지만 전류 미러와 스위치 추가에 의해 충분히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전압 생성 회로
200: 전류 생성 회로
300: 전류 미러 회로
400: 전류 조절 회로

Claims (15)

  1. 제1 노드의 제1 전압과, 제2 노드의 제2 전압이 동일하도록 생성하는 전압 생성 회로;
    상기 제1 노드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제2 전류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회로 및 제2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저항 가변을 통해 온도 기울기를 가변하는 전류 생성 회로; 및
    상기 제2 전류의 전류 미러링을 통해 제3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단에 제공하는 전류 미러 회로;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저항;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 각각에 직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하는 제1 내지 제n 스위치;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저항;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하는 제1 내지 제n 스위치;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생성 회로는,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을 갖는 제1 FET;
    상기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1 FET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2 FET;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전압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ET 및 제2 FET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는 연산 증폭기;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1 BJT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소자는
    상기 가변 저항 회로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2 BJT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상기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출력단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2 FET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3 FET을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8. 제1 노드의 제1 전압과, 제2 노드의 제2 전압이 동일하도록 생성하는 전압 생성 회로;
    상기 제1 노드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반도체 소자와, 상기 제2 노드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선형적인 온도 기울기를 갖는 제2 전류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회로 및 제2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류 생성 회로;
    상기 제2 전류의 전류 미러링을 통해 제3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미러 회로; 및
    상기 온도 기울기의 가변시 상기 제2 전류의 가변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3 전류에 기초하여 출력전류를 조절하여 출력단에 제공하는 전류 조절 회로;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저항;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 각각에 직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하는 제1 내지 제n 스위치;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서로 온도 기울기가 서로 다르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저항;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저항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해당 저항을 선택하는 제1 내지 제n 스위치;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생성 회로는,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을 갖는 제1 FET;
    상기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1 FET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2 FET; 및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전압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ET 및 제2 FET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는 연산 증폭기;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1 BJT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소자는
    상기 가변 저항 회로에 접속된 에미터와, 접지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2 BJT인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상기 전압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스와, 상기 출력단에 접속된 드레인과, 상기 제2 FET의 게이트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3 FET을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 회로는,
    상기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노드에 접속된 드레인 및 게이트, 그리고 접지된 소스를 갖는 제4 FET;
    상기 제4 FET의 전류를 독립적으로 전류 미러링 하기 위한 제1 및 제n 전류 미러 FET; 및
    상기 제1 및 제n 전류 미러 FET 각각을 선택하여 출력단을 통해 선택된 전류를 합하여 제공하는 제1 내지 제n 전류 미러 스위치;
    를 포함하는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KR1020180027683A 2018-03-08 2018-03-08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KR10205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83A KR102054965B1 (ko) 2018-03-08 2018-03-08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US16/170,595 US11009403B2 (en) 2018-03-08 2018-10-25 Time domain temperature sensor circuit with enhanced resolu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83A KR102054965B1 (ko) 2018-03-08 2018-03-08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37A true KR20190106337A (ko) 2019-09-18
KR102054965B1 KR102054965B1 (ko) 2019-12-11

Family

ID=6784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683A KR102054965B1 (ko) 2018-03-08 2018-03-08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09403B2 (ko)
KR (1) KR102054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2399B (zh) * 2019-12-11 2021-09-0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供电公司 一种温度传感器时域供电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52B1 (ko) * 2005-06-30 2008-08-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지털 온도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오실레이터 회로
JP2011215129A (ja) * 2010-03-16 2011-10-27 Renesas Electronics Corp 温度センサと、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較正方法
JP5836074B2 (ja) * 2011-11-11 2015-12-24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温度検出回路及びその調整方法
JP2016046617A (ja) * 2014-08-21 2016-04-0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074B2 (ja) 1981-06-19 1983-08-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基板の製造方法
KR101015049B1 (ko) 2008-08-12 2011-02-16 한국전기연구원 공정 드리프트에 대한 보정 기능을 가지는 온도 센서 회로 및 그 방법
US8373496B2 (en) * 2010-07-08 2013-02-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emperature compensated current source
KR20120051442A (ko) * 2010-11-12 2012-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택적 온도 계수를 가지는 전류원 회로
US8344793B2 (en) * 2011-01-06 2013-01-01 Rf Micro Devices, Inc. Method of generating multiple current sources from a single reference resistor
US8915646B2 (en) * 2012-03-30 2014-12-2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High accuracy temperature sensor
US20160246317A1 (en) * 2015-02-24 2016-08-2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and area efficient method for generating a bias reference
US9740232B2 (en) * 2015-04-29 2017-08-2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Current mirror with tunable mirror rati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52B1 (ko) * 2005-06-30 2008-08-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지털 온도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오실레이터 회로
JP2011215129A (ja) * 2010-03-16 2011-10-27 Renesas Electronics Corp 温度センサと、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較正方法
JP5836074B2 (ja) * 2011-11-11 2015-12-24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温度検出回路及びその調整方法
JP2016046617A (ja) * 2014-08-21 2016-04-0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77705A1 (en) 2019-09-12
US11009403B2 (en) 2021-05-18
KR102054965B1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274B2 (en) Trimmable bandgap voltage reference
KR101241378B1 (ko) 기준 바이어스 발생 회로
US7420359B1 (en) Bandgap curvature correction and post-package trim implemented therewith
US7839202B2 (en) Bandgap reference circuit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Zhu et al. A 4.6-ppm/° C high-order curvature compensated bandgap reference for BMIC
KR101888724B1 (ko) 단일 온도에서 트림가능한 곡률 보상된 밴드-갭 설계
JP6242274B2 (ja) バンドギャップリファレンス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半導体装置
US20180069531A1 (en) Low temperature coefficient clock signal generator
US10606292B1 (en) Current circuit for providing adjustable constant circuit
US10992288B2 (en) Oscillator device
GB2429307A (en) Bandgap reference circuit
US9600013B1 (en) Bandgap reference circuit
KR100276856B1 (ko) 집적 회로용 온도 모니터/보상 회로
KR102054965B1 (ko)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JP6413005B2 (ja) 半導体装置及び電子システム
US9304528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or with op-amp buffer
US8022744B2 (en) Signal generator
JP2011220777A (ja) 電圧発生回路
Gilbert Monolithic voltage and current references: Theme and variations
JP5925357B1 (ja) 温度補償回路
Dukic et al. A 11.3-ppm/° C, Two Temperature Points Trimmed Current Generator for Precise RC Oscillators
TWI830582B (zh) 振盪器以及用於調諧振盪器的方法及溫度補償電路
CN114035640B (zh) 基准电压电路及其设计方法
US20230324940A1 (en) Voltage reference generator and trimming system
KR101231248B1 (ko) 정전압 생성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