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248B1 - 정전압 생성 회로 - Google Patents

정전압 생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248B1
KR101231248B1 KR1020040113614A KR20040113614A KR101231248B1 KR 101231248 B1 KR101231248 B1 KR 101231248B1 KR 1020040113614 A KR1020040113614 A KR 1020040113614A KR 20040113614 A KR20040113614 A KR 20040113614A KR 101231248 B1 KR101231248 B1 KR 10123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ming
current
bipolar transistor
transis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5059A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24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05Substrate bias-voltage gener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동이 존재할 수 있는 전원전압으로부터 고정된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정전압 생성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전압 생성 회로는, 각 콜렉터가 전원전압단(VCC)쪽에 연결되며, 각 이미터가 접지전압단(GND)쪽에 연결되며, 서로 병렬 연결 관계인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및 전원전압단(VCC) 사이와 상기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및 전원전압단(VCC) 사이에 배치되는 출력 전압 레벨 조정용 저항 집합;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 유동 경로 상의 제1 노드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 유동 경로 상의 제2 노드의 전위차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상기 증폭기 출력에 따라 전원전압단(VCC)으부터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경로 조절 모스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출력단이 연결되는 트리밍 전류 공급부를 포함한다.
커런트 트리밍, 정전압원, bandgap reference, 내부전압 생성, 반도체

Description

정전압 생성 회로{stat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갭 정전압 생성 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갭 정전압 생성 회로의 회로도,
도 3은 도 2의 정전압 생성 회로에서 출력 정전압과 트리밍 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변동이 존재할 수 있는 전원전압으로부터 고정된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정전압 생성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집적회로의 내부에 사용되는 밴드갭을 이용한 정전압 생성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의 경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그대로 내부의 구성요소들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외부 전원전압을 가지고 소정의 정전압 생성기에서 내부 전원전압을 내부 구성요소들에 공급한다. 이는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가 일정하다는 품질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정전압 생성 회로를 구비하여 품질 을 보장할 수 있는 내부 전원전압을 생성-사용하는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 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된 전압 기준을 얻기 위해 p-n접합간의 밴드갭을 이용하며, 이를 적용한 정전압 생성 회로가 밴드갭 정전압 생성 회로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갭 정전압 생성 회로는, 3개의 저항(R1, R2, R3); 병렬 연결된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전류 유동 경로 상의 제1 노드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전류 유동 경로 상의 제2 노드의 전위차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AMP); 및 상기 증폭기(AMP) 출력에 따라 전원전압단(VCC)으부터 상기 제1/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Q2)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경로 조절 모스트랜지스터(MP1)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정전압 생성 회로의 출력 정전압(Vref)의 레벨은 다음 식 1에 의한 값을 가진다.
Vref = Vbe1 + Vt × (R2/R3) × ln(n)
( n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area비,
R1 = R2 )
상기 식에서 출력 정전압(Vref)의 레벨이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Vbe1)에 따라 결정됨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관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우선, 외부의 환경 변화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품질의 열화등에 의해 상기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이 변동하는 경우 바람직한 정전압 특성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식 1의 관계는 다른 관점에서는 정전압 생성 회로의 출력 정전압 레벨을 용도에 맞게 의도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으로 될 가능성이 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압 생성 회로는 이와 같은 장점을 살릴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출력 정전압의 스테틱(static) 특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정전압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 정전압의 레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정전압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압 생성 회로는, 소정의 특정 전류의 크기로써 출력 정전압이 결정되는 정정압 생성 회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류의 유동 경로에 소정의 트리밍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트리밍 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 1의 종래기술의 밴드갭 정전압 생성 회로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밴드갭 정전압 회로가 출력하는 정전압의 레벨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Vbe)에 비례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Vbe)은 다음 식 2에 따라, 콜렉터 전류(Ic)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Vbe = Vt × ln(Ic/Is)
( Ic는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
Is는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의 역포화 전류,
Vt는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의 thermal Voltage )
상기 식 1 및 식 2로부터, 상기 도 1의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류(Ic)를 변경하여 밴드갭 정전압 생성 회로의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연결되는 노드에 소정의 트리밍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트리밍 전류 생성부(200)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정전압 생성 회로는, 각 콜렉터가 전원전압단(VCC)쪽에 연결되며, 각 이미터가 접지전압단(GND)쪽에 연결되며, 서로 병렬 연결 관계인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전원전압단(VCC) 사이와 상기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및 전원전압단(VCC) 사이에 배치되는 출력 전압 레벨 조정용 저항 집합(120);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전류 유동 경로 상의 제1 노드(A)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전류 유동 경로 상의 제2 노드(B)의 전위차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상기 증폭기 출력에 따라 전원전압단(VCC)으부터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경로 조절 모스트랜지스터(MP1); 및 상기 제1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출력단이 연결되는 트리밍 전류 생성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부를 이루는 트리밍 전류 생성부(200)는, 트리밍 저항기(Rt); 상기 트리밍 저항기(Rt)의 저항값에 따른 원시 트리밍 전류(Itr)를 생성하기 위한 원시 트리밍 전류 생성부(220); 및 상기 제1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상기 원시 트리밍 전류(Itr)가 미러링된 트리밍 전류(Itrm)를 공급하기 위한 트리밍 전류 공급부(MP4)를 포함한다.
도시한 상기 출력 전압 조정용 저항 집합(120)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쪽에 연결되는 제1 저항기(R1)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쪽에 연결되는 제2 저항기(R2) 및 제3 저항기(R3)로 구성하였다. 제1 저항기 내지 제3 저항기(R1, R2, R3)의 각 저항값은 식 1의 파라미터가 되어 출력 정전압(Vref)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지만, 상기 3개의 저항기(R1, R2, R3)의 저항값들과 2 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Q2)의 특성 수치(area 면적, 도핑 노도 등)는 상호 밀접하게 매칭되어 있어서, 어느 한 저항기의 저항값을 변경하여 출력전압을 변경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본 실시예의 트리밍 저항기(Rt)는, 상기 2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Q2)의 전류 유동 경로에서 격리되어 있으므로, 그 저항값의 변경은 제1 저항기 내지 제3 저항기(R1, R2, R3) 및 제1 내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Q2)의 상호 매칭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원시 트리밍 전류 생성부(220)는, 소스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며 상호간 전류 미러를 형성하는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MP2)와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MP3); 드레인이 상기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MP2)의 드레인에 연결되며, 소스가 접지전압단(GND)에 연결되는 제1 엔모스트랜지스터(MN1); 및 드레인이 상기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MP3)의 드레인에 연결되며, 소스가 상기 트리밍 저항기(Rt)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MP3)와 전류 미러를 형성하는 제2 엔모스트랜지스터(MN2)를 포함한다.
2개의 전류 미러를 구성하는 2쌍의 모스트랜지스터 중 서로 대각선 위치에 있는 2개의 모스트랜지스터(MP3와 MN1, 또는 MP2와 MN2)의 드레인과 게이트를 연결함으로써, 2개의 전류 유동 경로에 흐르는 전류의 동일성 및 정전류성(static)을 보장한다. 상기 2개의 전류 유동 경로에 흐르는 각 전류를 원시 트리밍 전류(Itr)라 칭하기로 하는데, 원시 트리밍 전류(Itr)는 상기 제2 엔모스트랜지스터(MN2)의 소스와 접지전압단(GND) 사이에 연결되는 트리밍 저항기(Rt)의 저항값에 따라 크기 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트리밍 저항값이 커지면 원시 트리밍 전류(Itr)는 작아지고, 트리밍 저항이 작아지면 원시 트리밍 전류(Itr)는 커지게 된다.
상기 트리밍 전류 공급부(MP4)는 소스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연결되며,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MP2) 및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MP3)와 전류 미러를 형성하는 트리밍 전류 공급 모스트랜지스터(MP4)로 이루어진다. 트리밍 전류 공급 모스트랜지스터(MP4)는 피모스트랜지스터이며, 그 게이트는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리밍 전류 공급 모스트랜지스터(MP4)의 드레인에서 출력되는 트리밍 전류(Itrm)는 원시 트리밍 전류(Itr)와 크기가 같게 된다.
따라서, 원시 트리밍 전류 생성부(220) 및 트리밍 전류 공급부(MP4)를 포함하는 트리밍 전류 생성부(200)는 트리밍 저항기(Rt)의 저항값으로써 조절이 가능한 트리밍 전류(Itr)를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류(Ict)에 추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에 따라, 트리밍 저항값의 조절은 트리밍 전류(Itr)의 변동을 가져오며, 트리밍 전류(Itr)의 변동은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류(Ict)에 추가되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류(Ict)의 변동은 식 2에 따라 제1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Vbe)의 변동을 초래한다. 식 1에 따라 제1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Q1)의 베이트-이미터간 전압(Vbe) 변동은 본 실시예의 정전압 생성 회로가 출력하는 정전압의 변동을 초래한다. 즉, 트리밍 저항값의 조절이 트리밍 전류(Itr)의 변동을 거쳐 출력 정전압(Vref)의 변동을 야기하는데, 도 3에 트리밍 전류(Itr)와 출력 정전압(Vref)과의 관계를 도시였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밍 전류(Itr)와 출력 정전압(Vref)은 거의 선형적인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반도체 소자 내에 구현하는 경우, 외부의 트리밍 저항기(Rt)를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 2개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도체 소자의 내부 전원전압 튜닝(정밀조정) 과정은, 상기 입출력 단자에 가변 저항기를 연결하여, 가변 저항값을 변경하면서 내부 전원전압을 측정하여 원하는 내부 전원전압을 얻을 수 있는 저항값(트리밍 저항값)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반도체 소자가 포함되는 제품의 양산시에는 상기 결정된 트리밍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기를 연결하여 생산하게 된다. 또는 양산 자체를 가변 저항기로 트리밍 저항기를 구현하고, 각 제품마다 튜닝토록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을 종래의 밴드갭 정전압 생성 회로에 적용한 정전압 생성 회로를 실시하면, 출력 정전압의 레벨을 결정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을 강제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정전압 특성 품질의 향상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정전압 생성 회로가 내장되는 반도체 소자의 외부에 위치한 트리밍 저항의 크기에 따라, 요망하는 레벨로 정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각 콜렉터가 전원전압단쪽에 연결되며, 각 이미터가 접지전압단쪽에 연결되며, 서로 병렬 연결 관계인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및 전원전압단 사이와 상기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및 전원전압단 사이에 배치되는 출력 전압 레벨 조정용 저항 집합;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 유동 경로 상의 제1 노드와,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 유동 경로 상의 제2 노드의 전위차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상기 증폭기 출력에 따라 전원전압단으부터 상기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경로 조절 모스트랜지스터;
    상기 제1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출력단이 연결되는 트리밍 전류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정전압 생성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전류 생성부는,
    트리밍 저항;
    상기 트리밍 저항의 저항값에 따른 원시 트리밍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원시 트리밍 전류 생성부; 및
    상기 제1 바이폴라 모스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상기 원시 트리밍 전류가 미러링된 트리밍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트리밍 전류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정전압 생성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트리밍 전류 생성부는,
    소스가 전원전압단(VCC)에 연결되며 상호간 전류 미러를 형성하는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와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며, 소스가 접지전압단에 연결되는 제1 엔모스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며, 소스가 상기 트리밍 저항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와 전류 미러를 형성하는 제2 엔모스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정전압 생성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저항은,
    정전압 생성 회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가변 저항기인 정전압 생성 회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조절 모스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에 정전압 출력 라인이 연결되는 정전압 생성 회로.
KR1020040113614A 2004-12-28 2004-12-28 정전압 생성 회로 KR10123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614A KR101231248B1 (ko) 2004-12-28 2004-12-28 정전압 생성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614A KR101231248B1 (ko) 2004-12-28 2004-12-28 정전압 생성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059A KR20060075059A (ko) 2006-07-04
KR101231248B1 true KR101231248B1 (ko) 2013-02-08

Family

ID=3716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614A KR101231248B1 (ko) 2004-12-28 2004-12-28 정전압 생성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2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251B1 (ko) * 1987-07-16 1998-04-21 오오가 노리오 정전압 회로
KR100323721B1 (ko) * 2000-02-29 2002-02-19 박종섭 커런트 트리밍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251B1 (ko) * 1987-07-16 1998-04-21 오오가 노리오 정전압 회로
KR100323721B1 (ko) * 2000-02-29 2002-02-19 박종섭 커런트 트리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059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6773B (zh) 運算放大器、獨立於溫度的系統與能帶間隙參考電路
KR101241378B1 (ko) 기준 바이어스 발생 회로
JP6242274B2 (ja) バンドギャップリファレンス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半導体装置
KR100790476B1 (ko) 저전압 밴드갭 기준전압 발생기
KR20160038665A (ko) 밴드갭 회로 및 관련 방법
JPH08234853A (ja) Ptat電流源
US200800618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emperature dependent output signal
TWI694321B (zh) 提供可調恆定電流之電流電路
US20160246317A1 (en) Power and area efficient method for generating a bias reference
WO2009118267A1 (en) A bias current generator
US20120319793A1 (en) Oscillation circuit
US10613570B1 (en) Bandgap circuits with voltage calibration
KR102544302B1 (ko) 밴드갭 레퍼런스 회로
US9600013B1 (en) Bandgap reference circuit
US20180074532A1 (en) Reference voltage generator
JP6413005B2 (ja) 半導体装置及び電子システム
CN215867618U (zh) 低功耗高精度基准源
KR101231248B1 (ko) 정전압 생성 회로
US20120153997A1 (en) Circuit for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Under a Low Power Supply Voltage
KR100599974B1 (ko) 기준 전압 발생기
KR102054965B1 (ko) 해상도가 개선된 타임 도메인의 온도 센서 회로
KR100733422B1 (ko) 연산증폭기 및 그를 포함하는 밴드갭 기준전압 발생회로
JP4167122B2 (ja) 基準電圧発生回路
KR100804153B1 (ko) 저 전압용 밴드갭 기준전압 발생 회로
CN107728690B (zh) 能隙参考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