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505A -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 - Google Patents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505A
KR20190101505A KR1020197024810A KR20197024810A KR20190101505A KR 20190101505 A KR20190101505 A KR 20190101505A KR 1020197024810 A KR1020197024810 A KR 1020197024810A KR 20197024810 A KR20197024810 A KR 20197024810A KR 20190101505 A KR20190101505 A KR 2019010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designed
person
sitt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213B1 (ko
Inventor
케이쓰 구누라
오글라 모토빌로바
다니엘 파피
Original Assignee
누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네 아게 filed Critical 누네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10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용 시트 유닛(25)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 및 걷기 모드에서 사용되도록 조절 가능한 그리고/또는 자기 조절식 시트 표면(28)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시팅 수단(26)과, 프레임 수단(27) - 상기 프레임 수단은 상기 프레임 수단(27)에 장착된 시팅 수단(26)에 앉은 사람(11)의 무게 힘을 수용하도록 설계됨 -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시트 유닛(25)을 구비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SEAT UNIT FOR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본 발명은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세 보조 장치는 문헌 WO 2015/028373 A1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착용 안락감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되는 한편,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및 추가 개발예는 종속항 및 추가적인 독립 청구항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이 제안되고,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 및 걷기 모드에서 사용될 조절 가능한 및/또는 자기 조절식 시트 표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시팅 수단과, 상기 프레임 수단에 장착된 시팅 수단에 앉은 사람의 무게 힘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프레임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람의 체격에 적응할 수 있는 시트 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시트 유닛은 사람의 자세, 특히 걷기 자세, 앉은 자세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 자기 조절된다. 프레임 수단을 포함하기 때문에, 시팅 수단은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요약하면, 구성 요소, 특히 시팅 수단의 적어도 일 부분의 개인 맞춤화를 허용하는 시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착용 편의감을 높일 수 있다. "제공된"이란 용어는 특히 구체적으로 프로그래밍되고, 설계되고 및/또는 구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시팅 장치"는 적어도 부분들 중 하나가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에 앉은 사람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시트 표면을 형성하는 부분 또는 부분들의 그룹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라 함은 앉은 자세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사람의 무게 힘을 받아 지상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특히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는 무게 힘을 수신하고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는 걷기, 기립 또는 일부 하중을 들어올리는 동안 사람을 보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어 가능한 힘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프레임 수단"은 사람의 무게 힘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시트 표면을 단독으로 형성하지 않는 부분 또는 부분 그룹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조절 및/또는 자기 조절식 시트 표면"이라 함은 특히 시트 표면 또는 시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자기 조절되는 시트 표면이 생기게 하는 사람의 무게 힘에 의해, 또는 조절 가능한 시트 표면이 생기게 하는 조절 가능한 연결에 의해 프레임 수단에 대해 조절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시트 유닛은 시팅 수단과 프레임 수단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프레임 수단에 대한 시팅 수단의 적어도 일 부분의 배향을 조절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시팅 수단은 상이한 위치에 있는 사람의 각 다리 및 엉덩이에 유리하게 조절 및/또는 유리하게 조절될 수 있다. "회전 가능 연결부"는 특히 앉는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프레임 수단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의 연결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프레임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해 시팅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회전 가능한 축을 제공한다. 여기서, 시팅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시트 표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시트 표면을 형성하는 시팅 수단의 부분에 적어도 강성으로 연결된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표면의 자기 조절을 위해 제공된다.
시트 유닛은 프레임 수단에 대하여 시팅 수단의 적어도 일 부분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설계된 프레임 수단과 시팅 수단 사이의 변위 가능 연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트 유닛의 상대 위치는 사람의 다리의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트 유닛을 사람의 해부학적 구조로 조절할 수 있다. "변위 가능 연결부"는 특히, 시팅 수단의 적어도 일 부분과 프레임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사이의 연결부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연결부는 프레임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해 시팅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시팅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시트 표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시트 표면을 형성하는 시트 수단의 부분에 적어도 강성으로 연결된다. 변위 가능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표면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시팅 수단은 시트 표면을 형성하고 프레임 수단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시팅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계된 시팅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이것은 특히 앉은 자세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다른 시팅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시팅 요소에 앉게 한다. "적어도 2개의 시팅 위치"는 시팅 요소가 조절될 수 있는 2개의 분리된 시팅 위치뿐만 아니라 2개의 시팅 위치 사이의 연속적인 이동성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착석 표면의 자기 조절을 제공한다.
또한, 시트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팅 위치에 제공되는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표면의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람의 상부 다리 및/또는 엉덩이의 해부학적 구조를 따른다. 더욱이, 시트 유닛은 앉아 있거나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굴곡된 형상은 시팅 요소에 작용하는 시팅 각도 의존성 힘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시트 표면을 자체 조절식으로 설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시트 표면의 형상"은 특히, 시트 요소의 주요 연장 방향을 따라 배향된 단면을 따른 시트 표면의 형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시트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팅 위치에 제공되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제안된다. 따라서, 시트 유닛 상에 안정적으로 앉아 있을 수 있다. 또한, 그 사람은 평평한 표면에 앉은 느낌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시트 표면의 일부가 굴곡된 형상을 가지며, 시트 표면의 일 부분이 편평한 형상을 갖는 조합은 시트 요소에 작용하는 시트 각도 의존성을 생성하는데 유용하며, 시트 표면을 자기 조절식으로 설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편평한 형상을 갖는 시트 표면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앉은 자세에 제공되는 반면, 굴곡된 형상을 갖는 시트 표면의 부분은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시팅 위치에 대해, 시팅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10도만큼 편향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시트 유닛은 앉을 때 또는 부분적으로 앉을 때 사람의 상부 다리와 하부 다리 사이의 각도에 따라 상이한 시팅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은 평범한 의자 또는 스툴에 앉는 것과 같이 평평한 수평면에 앉은 느낌을 가지고 있다. "편향된"이라 함은 특히, 시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표준화된 배향이 적어도 10도 편향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는 시팅 요소의 적어도 일부의 편향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팅 요소는 프레임 요소보다 클 수 있으며, 그 결과 프레임 요소는 서브 영역에서만 시팅 요소를 지지한다. 따라서 시팅 요소는 가상 의자 에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시트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들어지고 시트 립을 형성하는 경우, 시트 요소의 가상 에지는 프레임 요소가 시트 요소를 지지하는 지면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를 착용한 사람이 앉은 자세 보조 장치에 앉은 경우, 사람은 무게 힘의 더 좋은 부분이 시팅 위치의 가상 에지보다 프레임 조인트로부터 멀리 또는 보다 멀리 있는 시트 요소의 부분을 통해 전달된다는 인상을 받을 것이다. 또한, 특히, 시팅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이면, 시팅 요소는 좌석 립을 특징으로 하도록, 특히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시팅 요소는 시팅 각도에 따라 돌출부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비-슬립 표면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와 독립적으로, 시팅 요소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 중합체 또는 임의의 적절한 미끄럼 방지 재료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시팅 요소는 사람의 무게 힘에 의해 편향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유닛은 앉거나 부분적으로 앉을 때 사람의 상부 다리와 하부 다리 사이의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다른 시팅 위치로 조절한다. 또한, 사람은 상이한 시팅 위치에 대해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평평한 수평면에 앉는 느낌을 갖고, 이는 다른 자세로 안전하게 앉을 수 있는 느낌을 준다.
시트 유닛은 시팅 요소를 기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복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따라서, 시트 유닛의 용이한 핸들링이 달성된다. 또한,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시트 요소의 적절한 위치 설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복원 수단"은 특히, 시팅 요소를 기본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수단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원 수단은 기계적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서, 특히 스프링과 같은 압축성 요소, 특히 가스 스프링 또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복원 수단은 또한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걷기 모드에서, 시트 표면은 적어도 주로 프레임 수단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유닛을 착용하면서 정상적인 걷기가 가능하다. 또한, 시트 표면은 적어도 걷기 시에 사람의 대퇴부 후방 측과 평행하게 되어, 대퇴부와 시트 표면 사이의 편안한 접촉을 초래한다. 이 문맥에서, "배향된"은 특히 표면의 정규화된 배향, 즉 표면에 수직인 벡터의 배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기본 자세는 걷기 모드에 제공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시팅 요소는 시트 표면이 적어도 주로 사람의 대퇴부 후방 측에 평행한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더욱이, 정상적인 걷기는 시트 유닛을 착용할 때, 특히 앉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위치로부터 직립 직후에 언제든지 가능하다.
또한, 시팅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 가상의 의자 에지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은 앉은 자세, 특히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시트 유닛에 안전하게 앉은 느낌을 갖는다. 더욱이, 사람은 종래의 의자 또는 의자에 앉은 것과 유사하게 에지를 갖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표면 상에 앉은 느낌을 갖는다.
또한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2개의 다리 유닛을 갖고, 각각은 사람의 무게 힘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유닛을 구비하고, 무게 힘을 지면에 전달하도록 설계된 하부 지지부,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를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 및 조인트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를 착용한 사람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앉은 자세 유지 보조 장치는, 사람의 자세, 특히 걷기 자세, 앉은 자세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 자기 조절되어 있다.
이러한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는 모듈식이며, 구성 요소의 개인 맞춤화가 가능하다. 또한, 낡은 부품은 전체 장치를 교체할 필요 없이 별도로 교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앉은 자세 보조 장치의 일부의 "주된 연장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특히,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조인트의 축에 수직인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맥에서, "차단"은 특히 조인트의 움직임의 댐핑 속도의 증가, 특히 조인트의 강성 연결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시트 유닛은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 사이의 시팅 각도에 따라 편향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걷기 시 또는 앉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앉을 때, 특히, 착용자의 하부 다리와 상부 다리 사이의 각도에 따라,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를 착용하는 사람의 자세에 조절될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은 도면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면, 설명 및 청구범위는 복수의 특징을 조합하여 포함한다. 당업자는 의도적으로 그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것이고 더 편리한 조합을 발견할 것이다.
도 1은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를 착용한 사람을 도시한다.
도 2는 착용식 앉은 자세 자세 보조 장치의 다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리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사시도로 도시된 다리 유닛의 시팅 수단을 나타낸다.
도 5는 제2 사시도로 도시된 시팅 수단을 나타낸다.
도 6은 시팅 수단의 제1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시팅 수단의 제2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리 유닛의 차단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2개의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 방식을 도시한다.
도 9는 다리 유닛의 차단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3개의 동작 모드를 갖는 제어 방식을 도시한다.
도 10은 시팅 센서의 센서 신호를 사용하는 제어 방식을 도시한다.
도 11은 시팅 센서의 센서 신호를 사용하는 또 다른 제어 방식을 도시한다.
도 1은 앉은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사람(11)을 보조하기 위해 설계된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도시한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는 앉은 자세,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 및 걷기 모드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는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가 앉은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11)을 보조하는 차단된 상태,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하면서 사람(11)이 걸을 수 있는 차단 해제 상태를 특징으로 한다.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는 사람의 다리의 각각의 하나에 각각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2개의 다리 유닛(12, 12')를 갖는다. 다리 유닛(12, 12')은 동등하게 설계된다. 이 때문에, 단지 하나의 다리 유닛(12, 12')만이 상세히 설명된다.
다리 유닛(12)은 사람(11)의 무게 힘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상부 지지부(13), 무게 힘을 지면(15)에 전달하도록 설계된 하부 지지부(14), 상부 지지부(13) 및 하부 지지부(14)를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16), 및 조인트(16)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17)을 포함한다(도 2 참조). 상부 지지부(13) 및 하부 지지부(14)는 조인트(16)가 차단 수단(17)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무게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차단 상태에서, 사람(11)의 무게 힘은 상부 지지부(13)에 의해 수용되고 조인트(16) 및 차단 수단(17)에 의해 하부 지지부(14)로 전달된다. 차단된 상태에서,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는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이 앉을 수 있는 시트를 형성한다.
상부 지지부(13) 및 하부 지지부(14)는 각각 앉은 자세 유지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의 각 다리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부(13)는 사람(11)의 대퇴부에 연결하기 위한 대퇴 연결 수단(18)과, 사람(11)의 신체에 착용되는 신체 착용 유닛(19)을 포함한다. 하부 지지부(14)는 사람(11)의 발 또는 신발을 연결하기 위한 발 연결 유닛(20)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부 지지부는 사람의 하부 다리에 연결하기 위한 하부 다리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는, 하부 지지부(14)를 신발 또는 하부 다리에 연결하고, 상부 지지부(13)를 대퇴부에 연결함으로써, 걷기 모드에서의 사람(10)의 다리의 움직임을 추종한다. 하부 지지부(14)는 사람(11)의 하부 다리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상부 지지부(13)는 사람(11)의 대퇴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조인트(16)는 사람의 무릎(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관절부(16)는 무릎 관절을 형성하며, 무릎 관절은 사람(11)의 무릎과 적어도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어야 한다. 사람(11)이 걷는 동안, 조인트(16)는 사람(11)의 무릎의 축에 대하여 변위될 때 적어도 대략 사람(11)의 무릎의 움직임을 따른다. 조인트(16)가 차단 수단(17)에 의해 차단되면,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차단 수단(17)은 조인트(16)를 상이한 시팅 각도(21)으로 차단하도록 설계된다. 시팅 각도(21)는 사람(11)이 앉은 자세인지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인지에 의존한다. 앉은 자세에서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 사이의 시팅 각도(21)는 45도 이상이다.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 사이의 시팅 각도(21)은 45도 미만이다. 조인트(16)의 완전히 신장된 상태는 0 °의 시팅 각도(21)에 대응한다. 앉은 자세가 낮을수록 시팅 각도(21)가 커진다.
차단 수단(17)은 상부 지지부(13)에 연결된 제1 차단 요소(22) 및 하부 지지부(14)에 연결된 제2 차단 요소(23)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차단 수단(17)은 차단 요소(22, 23) 중 하나로서 각각 기능하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는 유압 댐퍼와 같이 설계된다. 비 차단 상태에서, 2개의 차단 요소(22, 23)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차단 상태에서, 2개의 차단 요소(22, 23)는 서로 강성으로 연결된다. 차단 수단(17)은 특히 유압 차단 수단으로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전기 기계적 차단 수단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13)는 조인트(16)에 의해 하부 지지부(14)에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24)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24)은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를 연결하는 조인트(16)를 위한 제1 조인트 요소를 형성한다. 제1 차단 요소(22)는 베이스 프레임(24)에 연결된다. 베이스 프레임(24)은 사람(11)의 무게 힘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상부 지지부(13)에 작용하는 무게 힘은 베이스 프레임(24)에 의해 완전히 수용된다. 그 다음, 무게 힘은 차단 수단(17) 및 조인트(16)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4)으로부터 하부 지지부(14)로 전달된다.
상부 지지부(13)는 시트 유닛(25)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시트 유닛(25)은 시팅 수단(26) 및 프레임 수단(27)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프레임 수단(27)을 포함한다. 시팅 수단(26)은 시트 표면(28)을 형성한다. 시트 표면(28)은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에 앉아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사람(11)의 대퇴부와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시팅 수단(26)을 사람(11)의 해부학적 구조에 적응시키기 위해, 시팅 표면(28)은 조절 가능하다. 앉은 자세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착석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팅 표면(28)은 자기 조절식이다. 상기 대퇴부 연결 수단(18)은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의 대퇴부에 시트 표면(28)을 접촉시키도록 설계된 대퇴부 스트랩을 포함한다.
시트 유닛(28)은, 0°의 시팅 각도(21)에 대응하는 기립 자세에서 시작하여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도의 최대 시팅 각도(21)를 갖는 앉은 자세까지 상이한 자세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그런데, 최대 시팅 각도(21)은 또한 90도보다 클 수 있다. 시트 유닛(25)은 앉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할 때뿐만 아니라 걷기 모드에서도 착용하도록 설계된다. 다른 앉아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 대해, 시트 유닛(25)의 시팅 수단(26)은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이 시팅 수단(26)에 앉거나 부분적으로 앉을 수 있는 상이한 시팅 위치를 제공한다.
시트 유닛(25)의 프레임 수단(27)은 시팅 수단(26) 상에 앉아 있거나 부분적으로 앉은 사람(11)의 무게 힘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에 앉거나 부분적으로 앉을 때, 사람(11)의 무게 힘은 시팅 수단(26)을 통해 시트 유닛(25)의 프레임 수단(27)에 전달된다. 시트 유닛(25)의 프레임 수단(27)으로부터 무게 힘이 상부 지지부(13)의 베이스 프레임(24)으로 전달된다. 또한, 무게 힘은 상부 지지부(13)의 베이스 프레임(24)에서 조인트(16)로 전달되고,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를 연결하고 하부 지지부(14)로 전달되는 차단 수단(17)으로 전달된다. 하부 지지부(14)를 통해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에 앉은 사람(11)의 무게 힘은 지면(15)에 전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부(14)는 적어도 앉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지면(15)과 접촉한다. 대안으로서, 하부 지지부(14)가 사람(11)의 신발을 통해 사람(11)의 무게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11)이 걷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시트 유닛(25)을 사용할 수 있는 걷기 모드에서는, 하부 지지부(14)가 지면(15)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승된다.
시팅 수단(26)을 프레임 수단(27)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해, 시팅 유닛은 시팅 수단(26)의 적어도 일부와 시팅 유닛(25)의 프레임 수단(27)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도 6 참조)를 구비한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는 프레임 수단(27)에 대한 시팅 수단(26)의 적어도 일부의 배향을 자기 조절하기 위해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팅 수단(26)과 프레임 수단(27) 사이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는 프레임 수단(27)과 시팅 수단(26) 사이의 각도가 시팅 수단(26)의 프레임 수단(27)에 대한 회전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각도는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를 연결하는 조인트(16)의 축에 평행한 방향을 갖는 평면 내에 형성된다. 시팅 수단(26)과 프레임 수단(27) 사이의 회전 가능 연결부(29)는 시팅 수단(26)을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의 다리와 정렬시킨다. 사람(11)이 앉아 있는지 또는 부분적으로 앉이 있는지 여부는 특히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에 의해 둘러싸인 시팅 각도(21)에 의존한다. 사람(11)이 앉거나 부분적으로 앉아 있으면, 사람(11)의 무게 힘은 시팅 수단(26)을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에 의해 둘러싸인 시팅 각도(21)에 의존하는 위치로 강제한다.
또한, 시트 유닛(25)은 프레임 수단(27)에 대한 시팅 수단(26)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설계된 시팅 수단(26)과 프레임 수단(27) 사이의 변위 가능 연결부(30)를 갖는다(도 5 참조). 시팅 수단(26)과 프레임 수단(27) 사이의 변위 가능 연결부(30)는 앉는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의 다리의 길이로 시트 유닛(25)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변위 가능 연결부(30)는 프레임 수단(27)의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시팅 수단(26)의 이동 가능성을 제공한다. 시팅 수단(26)과 프레임 수단(27) 사이의 변위 가능 연결부(30)는 시팅 수단(26)의 일부인 캐리지 부재(32), 프레임 수단(27)의 일부인 레일 요소(33), 및 레일 요소(33)에 대해 캐리지 요소(32)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고정 수단(34)을 수용한다. 고정 수단(34)은 캐리지 부재(32)에 연결되고, 따라서 시팅 수단(26)의 일 부분에 연결되지만, 프레임 수단(27)의 일부일 수도 있다. 고정 수단(34)은 레일 요소(33)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캐리지 요소(32)의 래칭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pawl)(35)을 포함한다. 변위 가능 연결부(30)를 고정함으로써, 시팅 수단(26)의 위치가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조절된 후에 변위 가능 연결부(30)에 대해 시팅 수단(26)이 프레임 수단(27)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위 가능 연결부(30)는 형태에 맞게 3개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특히 변위 가능 연결부(30)가 강제 끼워 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경우에, 고정 수단(34)은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시팅 수단(26)의 축 방향 위치를 연속적으로 규정된 범위 이상으로 조절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시팅 수단(26)은 프레임에 대해 이 범위 내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팅 수단(26)과 프레임 수단(27) 사이의 변위 가능 연결부(30)는 적어도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실질적으로 시팅 수단(26)의 최대 조절 가능성을 갖는 2개의 정지점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요소를 특징으로 한다.
시팅 수단(26)은 시트 표면(28)을 형성하는 시팅 요소(36)를 포함한다. 시팅 요소(36)가 구성되는 재료에 따라, 시팅 수단(26)은 시팅 요소(36)를 부분적으로 지지 또는 조이는 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팅 요소(36)는 지지 구조체를 구현한다. 그 결과, 시팅 요소(36) 및 지지 구조체는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시팅 수단(26)은 시팅 요소(36)를 지지하거나 또는 조이기 위한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추가 프레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트 요소(36)는 시트 수단(26)의 프레임 요소를 통해 프레임 수단(27)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시팅 요소(36)는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특히 앉은 자세를 위해 의도된 제1 시팅 위치와, 특히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위한 제2 시팅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시트 표면(28)을 형성하는 시트 요소(36)는 사람(11)이 앉은 자세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할 때 사람의 대퇴부 및/또는 엉덩이의 후방 측면에 대해 자기 조절된다. 시팅 요소(36)는 제1 시팅 위치와 제2 시팅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팅 요소(36)는 강성 재료, 예를 들면 강철로 제조된다. 플라스틱, 탄소 복합 재료 또는 경금속을 사용하여 치수 안정성이 양호한 시트 표면(28)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팅 요소(36)는 또한 가요성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시팅 요소(36)는 조인트(16)의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과 관련하여, 시트 표면(28)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 제1 부분(37) 및 제2 부분(38)을 가지며, 제2 부분(38) 28)은 굴곡된 모양을 갖는다(도 6 참조). 시트 표면(28)의 형상은 상부 지지부(13)의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형성된다. 이들 두 부분(37, 38) 사이의 전이부를 참조하면, 시트 표면(28)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 부분(37)은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를 연결하는 조인트(16)를 향해 연장된다. 시트 표면(28)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 시트 요소의 부분(37)은 사람의 대퇴부(11)의 후방 측과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이 부분(37)은 특히 앉은 자세를 위한 것이다. 시트 표면(28)이 굴곡된 형상을 갖는 시트 요소(36)의 부분(38)은 사람의 엉덩이와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이 부분(38)은 특히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위한 것이다.
프레임 수단(27)은 시팅 수단(26)이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변위 가능 연결부(30)에 의해 이동 가능한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된 주 연장 방향(31)을 갖는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는 시팅 요소(36)가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회전 가능한 시팅 수단(26)의 주 회전 축(39)을 한정한다. 주 회전 축(39)을 한정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는 베어링, 특히 롤러 베어링, 바람직하게는 플레인 베어링을 포함한다. 베어링은 굴곡된 형상을 갖는 시트 표면(28)의 부분(38)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 시트 표면(28)의 부분(37) 사이의 전이부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시팅 수단(26)의 주 회전축(39)은 시트 표면(28)의 형상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주 회전축(39)을 한정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는 변위 가능 연결부(30)의 시팅 요소(36) 및 캐리지 부재(32)에 의해 제공된 베어링을 포함한다. 베어링은 시트 요소(29)에 삽입되는 리셉터클, 시트 요소(36)에 대해 적어도 선형으로 고정되는 액슬(40), 및 캐리지 부재(32)에 삽입되는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시팅 수단(26)이 시팅 요소(36)용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은 시팅 요소(36) 내로 삽입되는 대신에 프레임 요소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이한 시팅 위치에 대해, 시팅 요소(36)는 적어도 5도 편향되도록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팅 요소(36)는 적어도 30도만큼 편향될 수 있는 반면, 더 높은 편향 가능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앉은 자세를 위해 설계된 제1 시팅 위치는 0도의 시팅 요소(36)의 각도에 대응하고, 제1 시팅 위치는 특히 50도 이상의 시팅 각도(21)에 대해 설계된다.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위해 설계된 제2 시팅 위치는 특히 30도 미만의 시팅 각도(21)에 대응한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는 제1 베어링의 주 회전축(39)에 평행한 2개의 다른 축(41, 42)을 갖는 3-피벗-장착부를 제공한다. 3-피벗-장착부의 회전축(41, 42)은 프레임 수단의 주 연장 방향(31)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캐리지 부재(32)에 삽입된 리셉터클은 베어링의 축(40)을 선형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된 가이드 구조를 제공한다. 가이드 구조에 의해 제공된 선형 방향은 프레임 수단(27)의 주 연장 방향(31)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가이드 구조를 통해, 시트 요소(36)의 주 회전 축(39)은 선형 이동 가능하다. 시트(36)의 장착으로 인해 슬라이딩-롤링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가이드 구조는 캐리지 부재(32) 내로 삽입된 가이드 채널로서 형성된다.
시팅 요소(36)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에 앉은 사람(11)의 무게 힘에 의해 편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서의 사람(11)의 무게 힘은 시팅 수단(26)의 주 회전축(39) 둘레로 시팅 요소(36)를 회전시키는 토크로서 작용한다.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서, 굴곡된 형상을 갖는 착석면의 부분(38)에 작용하는 무게 힘은 평면 형상을 갖는 시팅 요소의 부분(37)에 작용하는 무게 힘보다 크다. 앉은 자세에서 무게 힘은 다른 방향으로 작용한다. 사람(11)의 무게에 의해 제공된 토크는 시트 요소(36)를 다른 시팅 위치로 강제한다. 토크가 시팅 각도(21)에 의존하기 때문에, 시팅 요소(36)에 의해 취해진 시팅 위치는 시팅 각도(21)에 의존한다. 시팅 요소(36)의 편향은 적어도 하나의 정지 요소에 의해 제한된다. 시팅 요소(36)의 시팅 위치가 제1 시팅 위치로부터 제2 시팅 위치로 변화하는 시팅 각도(21)의 범위는 다양할 수 있다. 그 범위가 매우 작기 때문에, 앉는 자세 보조 장치(10)에 앉은 사람(11)은 시팅 요소(36)의 시팅 위치가 소정의 시팅 각도(21)로 기울어진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팅 위치가 변화하는 범위는 40°의 시팅 각도(21)와 50°의 시팅 각도(21) 사이에 설정된다.
시팅 수단(26)은 시팅 요소(36)를 기본 위치(도 7 참조)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복원 수단(43)을 포함한다. 기본 위치는 앉는 자세를 위해 설계된 제1 시팅 위치에 해당한다. 복원 수단(43)은 베어링의 축(40)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44)을 포함하며, 축(40)은 시팅 수단(26)의 주 회전 축(39)을 형성한다. 시트 요소(36)를 지지하는 액슬(40)은 스프링(44)의 일 단부에 장착된다. 스프링(44)의 압축 또는 압축 해제 중에, 스프링(40)에 연결된 액슬(40)은 가이드 구조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구조의 선형 방향은 프레임 수단의 주 연장 방향(31)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스프링(44)은 액슬(40)과 레일 요소(33) 사이에 장착된다. 스프링(44)은 가스 스프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44)에 선택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센서와 액추에이터의 조합이 시트 요소(36)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29)에 따라, 복원 수단(43)은 또한 시트 요소(36)에 작용하는 토크를 직접 생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원 수단(43)은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3-피벗-장착부를 제공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는 2개의 다른 축(41, 42)을 제공하는 레버(45)를 포함한다. 레버(45)는 캐리지 부재(32)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단부 및 시트 요소(36)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단부를 갖는다. 레버(45)는 레버(45)의 제1 단부에 의해 주어진 주 회전축(39)과 축(41)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레버(45)는 적어도 45 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제공된다. 시트 요소(36)의 제1 시팅 위치에서, 레버(45)는 프레임 수단(27)의 주 연장 방향(3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제2 시팅 위치에서, 레버(45)는 제1 시팅 위치에 대해 회전된다.
시트 요소(36)는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상이한 시팅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11)이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에 앉아 있거나 부분적으로 앉아 있으면, 시팅 요소(36)는 사람(11)의 대퇴부 및/또는 엉덩이에 밀착되어 있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이 앉으면, 편평한 형상을 갖는 시트 표면(28)의 부분(37)은 사람(11)의 대퇴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것은 특히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 사이의 시팅 각도가 50도 이상 90도 미만인 경우에 해당한다. 특히, 사람(11)의 대퇴부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 시트 요소(36)에 의해 형성된 시트 표면(28)의 부분(37)과 접촉한다. 시팅 각도(21)가 작으면, 특히 40도 미만이면, 사람(11)의 엉덩이가 굴곡된 모양을 갖는 시트 표면(28)의 부분(38)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사람(11)의 무게 힘은 스프링(44)에 대해 작용하고, 축(40)은 레버(45)를 향해 이동되고, 시트 요소(36)는 편향된다. 따라서, 스프링(44)은 매우 컴팩트한 복원 수단을 제공한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11)이 걷고 있는 경우, 시팅 요소(36)는 대퇴부 및/또는 사람(11)의 엉덩이에 최대로 느슨하게 접촉한다. 복원 수단(43)은 시트 요소(36)를 제1 시팅 위치에 대응하는 기본 위치로 이동시킨다. 기본 위치에서, 편평한 형상을 갖는 시트 표면(28)의 부분(37)은 프레임 수단(27)의 주 연장 방향(3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다리 유닛(12)는 걷기 모드에서 차단 수단(17)이 차단 해제됨에 따라 걷는 동안 사람의 다리(11)의 움직임을 따른다. 대퇴부 연결 수단(18)과 발 연결 유닛(20)는 다리 유닛(12)을 사람(11)의 다리에 접촉 유지시킨다.
하부 지지부(14)는 베이스 프레임(46) 및 베이스 프레임(46)에 연결된 발 연결 유닛(20)을 포함한다(도 2 참조). 베이스 프레임(46)은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를 연결하는 조인트(16)를 위한 제2 조인트 요소를 형성한다. 차단 수단(17)의 제2 차단 요소(23)는 하부 지지부(14)의 베이스 프레임(46)에 연결된다.
발 연결 유닛(20)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프레임(46)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발 연결 유닛(20)은 베이스 프레임(46)에 대해 회전 가능한 신발 커넥터(47)를 포함한다. 발 연결 유닛(20)은 베이스 프레임(46) 상에 장착된 접지 접촉 요소(48)와, 신발 프레임 커넥터(47)를 베이스 프레임(4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열하는 회전 가능한 연결부(49)를 포함한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49)는 서로 수직인 적어도 2개의 축(50, 51)을 갖는다. 제1 축(50)은 조인트(16)의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2 축(51)은 조인트(16)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다.
신발 커넥터(47)는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11)의 신발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 스트래핑 요소(52)와 마운팅 브래킷(53)을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1 참조). 스트래핑 요소(52)와 장착 브래킷(53)은 함께 사람(11)의 신발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신발 스트래핑 요소(52)는 발 연결 유닛(20)의 회전 연결부(49)의 제2 축(51)에 평행한 축(54) 둘레로 장착 브래킷(53)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발 연결 유닛(20)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프레임(46)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신발 커넥터(47)는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의 발 및/또는 신발의 움직임을 추종할 수 있다. 접지 접촉 요소(48)는 사람이 앉아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앉아 있을 때 지면(15)과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사람의 무게 힘은 지면(15)으로 전달된다.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이 서 있거나 또는 걷는 경우, 상부 지지부(13)가 사람(11)의 대퇴부에 연결됨에 따라, 접지 요소(48)는 지면(15)과의 접촉을 잃는다. 신발 커넥터(47)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49)로 인해, 하부 지지부(13)는 장착 브래킷(53)을 기준으로 상승되도록 의도된다.
신발 스트래핑 요소(52)는 장착 브래킷(53)에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신발 스트래핑 요소(52)는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의 신발에 조절될 수 있다. 장착 브래킷(53)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장착 스트래핑 요소(52)가 장착 브래킷(53)에 클립핑될 수 있는 클리핑 영역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 커넥터(47)는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의 발 및/또는 신발의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신발 스트래핑 요소(52)는 마운팅 브래킷(53)에 연결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운팅 브래킷(53)과 접촉하는 중앙 부분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 부분은 각 단부에 있는 하나의 스트랩 마운트에서 끝나는 브레이스로 구성된다. 신발 스트래핑 요소(52)는 스트랩 마운트를 통해 장착 브래킷(53)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발 스트래핑 요소(52)는 장착 브래킷(5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 커넥터(47)의 장착 브래킷(53)은 원-사이드일 수 있다.
전체 신발 커넥터(47)는 접지 요소(48)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제2 축(51)을 제공하는 신발 커넥터(47)와 접지 접촉 요소(48) 사이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49)의 부분은 신속 해제 고정구로서 설계된다. 신발 커넥터(47)를 사람(11)의 신발에 연결할 때, 신발 커넥터(47) 전체는 하부 지지부(14)의 베이스 프레임(4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신발 스트래핑 요소(42) 및/또는 장착 브래킷(53)이 사람(11)의 신발에 조절되고 신발 커넥터(47)가 사람(11)의 신발과 연결될 때, 신발 커넥터(47)는 접지 요소(48)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발 커넥터(47)는 마모된 경우에 대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지 접촉 요소(48)는 사람(11)의 무게 힘을 지면(15)에 전달하기 위해 지면(15) 상에 배치되도록 설계된 접지 접촉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지 접촉 요소(48)와 신발 커넥터(47) 사이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49)는 사람(11)의 무게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람(11)이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에 앉거나 부분적으로 앉으면, 무게 힘은 접지 접촉 요소(48)를 통해 신발 커넥터(47)에 전달된다. 그 다음, 무게 힘은 신발 연결 유닛(47)으로부터 직접 또는 사람의 신발을 통해 지면(15)으로 전달된다.
다리 유닛(12)은 차단 수단(17)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액추에이터(55)를 포함한다. 차단 수단(17)은 차단 수단(17)이 차단되어 있는 동안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이 일어서도록 하는 보안 기구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단 수단(17)은 액추에이터(55)에 의해 폐쇄되도록 설계된 밸브를 포함한다. 밸브는 배압 밸브처럼 설계되어 사람이 일어날 때 개방된다. 액추에이터(55)는 전동기로서 설계되어 밸브를 개폐할 수 있다.
다리 유닛(12)는 상부 지지부(13)와 하부 지지부(14) 사이의 시팅 각도(21)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시팅 각도 센서(5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팅 각도 센서(56)는 차단 수단(17)의 2개의 차단 요소(22, 23)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선형 센서로서 설계된다. 대안으로, 회전 센서 또는 각도 센서로도 충분할 것이다. 다음에서, 100 퍼센트의 센서 신호는 완전히 신장된 다리 유닛(12)을 나타내며, 그에 의해 0 도의 시팅 각도(21)를 나타내고, 0 퍼센트의 센서 신호는 완전히 굴곡된 다리 유닛(12) 및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도인 최대 시팅 각도(21)를 나타낸다.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는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2개의 차단 수단(17)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제어 유닛(57)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57)은 2개의 차단 수단(17)을 조합하여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액추에이터(55) 및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시팅 각도 센서(56)는 제어 유닛(57)에 연결된다. 따라서, 차단 수단(17)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 유닛(57)은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시팅 각도 센서(56)의 센서 신호를 구별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유닛(57)은 각 다리 유닛(12, 12')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또한 설계된다.
다리 유닛(12, 12')을 조합하여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어 유닛(57)은 각 시팅 각도 센서(56)의 센서 신호에 따라 차단 수단(17)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제어 유닛(57)은 각각의 시팅 각도 센서(56)의 센서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각 다리 유닛(12, 12')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은 각 다리 유닛(12, 12')의 실제 시팅 각도(21)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57)은 차단 수단(18)을 제어하기 위한 두 가능성을 모두 사용하도록 설계된 차단 기능을 갖는다.
다리 유닛(12, 12')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제어하기 위해, 차단 기능은 센서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각 다리 유닛(12, 12')의 움직임과 유휴 상태를 구별하도록 설계된다. 차단 기능은 각 다리 유닛(12, 12')의 차단 수단(17)을 차단하고 차단 해제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유닛(57)은 수동 차단 모드를 가지며, 제어 유닛(57)은 사람(11)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 다리 유닛(12, 12')의 차단 수단(17)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한다. 양 다리 유닛(12, 12')이 제어 유닛에 연결되면, 양 다리 유닛(12, 12')의 차단 수단(17)은 동시에 차단된다.
제어 유닛(57)은 앉는 자세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11)에 의해 사용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58)를 포함한다. 입력 요소(58)는 "예" 및 "아니오" 상태를 갖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입력 요소(58)는 사람(11)에 의해 눌려질 때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58)가 버튼으로서 설계된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 상태는 버튼의 눌려진 상태에 대응하는 반면, "아니오" 상태는 버튼의 해제된 상태에 대응한다. 특히, 차단 기능은 사람(11)이 입력(58) 요소를 누를 때마다 차단 수단(17)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제공된다. 제어 유닛(57)은 차단 기능을 이용하여 차단 수단(17)의 상태를 차단 상태에서 차단 해제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한다.
각각의 다리 유닛(12, 12')의 차단 수단(17)이 차단되고, 제어 유닛(57)이 다리 유닛(12, 12') 중 하나의 이동을 검출하면, 제어 유닛(57)은 차단 수단(17)을 차단 해제하도록 제공된다. 이것은 특히 사람(11)이 앉아 있거나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 있고 그 다음에 차단 수단(17)이 차단되는 동안 일어서기를 허용하는 보안 기구를 사용하여 일어서는 경우이다. 센서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각 다리 유닛(12, 12')의 움직임과 유휴 상태를 구별하도록 설계된 차단 기능은 또한 차단 수단(17)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센서 신호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기간을 결정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다리 유닛(12, 12')을 조합하여 제어하기 위해, 제어 유닛은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시팅 각도(21)을 비교하도록 설계된 비교 기능을 포함한다. 비교 기능은 특히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시팅 각도(21)가 한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2개의 시팅 각도(21)는 5도 이상 차이가 나지 않으면 동일하게 정의된다. 비교 기능은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차단 수단(17)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의 작동 프로그램은 2개의 다리 유닛(12, 12')을 동일한 시팅 각도(21)로 차단하도록 설계된 차단 모드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시팅 각도(21)가 정해진 기간 동안 동일하다면, 차단 수단(17)은 차단된다. 차단 모드에서, 작동 프로그램은 비교 기능에 의해 2개의 시팅 각도(21)을 비교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유닛(57)은 시팅 각도(21)를 저장하고 저장된 각도(21)를 복원하도록 설계된 메모리 기능을 갖는다. 메모리 기능은 실제 시팅 각도(21)를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유닛은 메모리 기능을 호출하도록 제공된 입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입력 요소(59)를 포함한다. 사람이 입력 요소(59)를 누르면, 제어 유닛(57)은 바람직하게는 차단 수단이 차단 또는 차단 해제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실제 시팅 각도(21)를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시팅 각도(21)를 복원한다.
작동 프로그램은 차단 기능 및 메모리 기능에 의해 저장된 시팅 각도(21)에서 다리 유닛(12, 12')을 차단하도록 설계된 메모리 모드를 갖는다. 메모리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어 유닛은 추가 입력 요소(60)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57)은 입력 요소(60)가 눌려질 때마다 수동 차단을 위한 차단 모드와 자동 차단을 위한 차단 모드에서 특히 분할될 수 있는 차단 모드와 메모리 모드 사이를 전환하도록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57)은 3개의 입력 요소(58, 59, 6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요소(58, 59, 60)가 두 번 사용되면 다수의 입력 요소(58, 59, 60)가 감소될 수 있다.
작동 프로그램은 다리 유닛(12, 12')을 차단 및 차단 해제하기 위해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시팅 각도(21)를 비교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다리 유닛(12, 12')의 시팅 각도(21)가 동일한 각도의 비교를 위해 주어진 범위 내의 저장된 시팅 각도(21)와 동일한 경우, 다리 유닛(12, 12')은 단지 차단된다. 사람이 앉으면, 두 다리 유닛(12, 12')은 동일한 시팅 각도(21)로 굴곡된 다. 시팅 각도(21)가 저장된 시팅 각도(21)에 도달하자마자, 제어 유닛(57)은 차단 수단(17)을 차단하고 사람은 저장된 시팅 각도(21)에 대응하는 앉은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했다. 사람이 일어날 때, 제어 유닛은 차단 수단을 차단 해제한다. 메모리 모드를 사용하면 입력 요소 중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도 여러 번 일어서고 앉을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신체 착용 유닛(19)에 부착된다. 신체 착용 유닛(19)은 제어 유닛(57)이 장착되는 장착부(61)를 포함하며, 장착부(61)는 다리 유닛(12, 12)을 향해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각 다리 유닛(12, 12')은 액추에이터(55)와 각 다리 유닛(12, 12')의 시팅 각도 센서(56)를 제어 유닛(57)에 연결하는 커넥터로 구성된다. 다리 유닛(12, 12')이 동등하기 때문에, 다리 유닛(12, 12')을 제어 유닛(57)에 연결하는 순서 및 배치는 중요하지 않다. 각 다리 유닛(12, 12')은 왼쪽 다리 또는 오른쪽 다리에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다리 유닛(12, 12')은 동등하고 제어 유닛은 다리 유닛(12, 12')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는 모듈 방식으로 설계된다. 제어 유닛(57), 신체 착용 유닛(19) 및 각 다리 유닛(12, 12')은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는 특히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신체 착용 유닛(19)을 포함한다. 신체 착용 유닛은 적어도 허리 벨트 유닛(62)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신체 착용 유닛(19)은 어깨 벨트 유닛(63)을 부가로 포함한다. 다리 유닛(12, 12')은 허리 벨트 유닛(62)에 부착된다. 다리 유닛(12, 12') 각각은 상부 지지부(13)와 허리 벨트 유닛(62)의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는 스트랩(64)을 포함하고, 기계적 연결을 분리 가능하게 하는 스트랩 커넥터(65)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다리 유닛(12, 12')은 액추에이터(55) 및 시팅 각도 센서(56)와 제어 유닛(58)과의 분리 가능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66)를 포함한다. 스트랩 연결부(65) 및 전기 커넥터(66)는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이 함께 부착되고 분리되도록 제공된다.
이하, 작동 프로그램의 4가지 구현예가 보다 상세히 예시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상기 구현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술한 모드들 및 기능들을 사용한다. 구현예는 상이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상이한 기능 블록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결정 단계"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신호가 분석되는 단계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결정 단계가 단지 하나의 후속 처리 경로를 갖는 한, 결정 단계는 이벤트 단계로 이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결정 단계는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유지된다. "공정 단계"는 특히, 예를 들어 다리 유닛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는 것과 같은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구현예는 메모리 모드를 특징으로 한다(도 8 참조). 제1 구현예는 입력 요소(58)에 의해 제공되고 상태가 "예" 및 "아니오"인 사람(11)의 입력 신호에 의존한다. 제1 공정 단계(67)에서, 모든 다리 유닛(12, 12')은 차단 해제된다. 제1 결정 단계(68)에서, 입력 요소(58)에 의해 제공된 입력 신호가 특히 눌려진 버튼에 대응하는 "예" 상태를 갖는다면, 추가의 결정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특히 릴리스된 버튼에 해당하는 상태 "아니오"를 가질 때까지 어떤 것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 후, 공정 단계(70)에서, 실제 시팅 각도(21)는 기준 시팅 각도(21)로서 저장된다. 후속하는 공정 단계(71)에서, 다리 유닛(12, 12')은 차단된다. 결정 단계(72)에서, 시팅 각(21)가 저장된 시팅 각도(21)에 대해 미리 정의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작동 프로그램은 제1 공정 단계(67)로 되돌아가서, 다리 유닛(12, 12')이 차단 해제된다. 결정 단계(68)에서 입력 신호가 "아니오"이면, 다음 결정 단계(73)에서 시팅 각도(21)가 저장되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시팅 각도(21)가 저장되었다면, 후속 결정 단계(74)에서, 실제 시팅 각도(21)는 저장된 시팅 각도(21)에 대한 사전 정의된 범위 내에 있는지 검사된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 프로그램은 초기 공정 단계(67)로 간다. 결정 단계(74)에서, 시팅 각도(21)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작동 프로그램은 다리 유닛(12, 12')이 차단되는 공정 단계(7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 프로그램은 초기 공정 단계(67)로 되돌아간다.
제2 구현예는 수동 차단 모드, 자동 차단 모드 및 메모리 모드를 특징으로 하며, 이들은 사람(11)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도 9 참조). 제2 구현예는 수동 차단 모드, 자동 차단 모드 및 메모리 모드 사이를 전환하도록 설계된 입력 요소(59)에 의해 제공된 입력 신호에 의존한다. 다리 유닛(12, 12')이 차단 해제되는 동안, 수동 차단 모드, 자동 차단 모드 또는 메모리 모드가 제1 결정 단계(76)에서 선택된다. 다리 유닛(12, 12')의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이 구현예는 공정 단계(75)를 갖는다. 메모리 모드는 제1 구현예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구현되며, 여기서 공정 단계(75)는 공정 단계(67)를 대체한다.
자동 차단 모드의 경우, 구현예는 다리 유닛(12, 12')의 움직임이 검사되는 제1 결정 단계(77)를 갖는다. 시팅 각도(21)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미리 정의된 공차 간격 내에서 일정한 경우, 다리 유닛(12, 12')은 공정 단계(80)에서 차단된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 프로그램은 공정 단계(75)로 복귀하고 다리 유닛(12, 12')은 차단 해제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차단 해제된다.
수동 차단 모드의 경우, 구현예는 입력 신호가 검사되는 제1 결정 단계(78)를 포함한다. 입력 신호가 특히 누름 및/또는 해제된 버튼에 대응하는 "예" 상태를 갖는다면, 모든 다리 유닛(12, 12')은 후속 공정 단계(79)에서 차단된다. 후속 결정 단계(81)에서, 시팅 각도(21)가 시팅 각도(21) 주변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확인되면, 다리 유닛(12, 12')은 차단된다. 시팅 각도(21)가 범위를 초과하면, 작동 프로그램은 초기 공정 단계(75)로 되돌아간다.
제3 구현예 및 제4 구현예는 적어도 하나의 시팅 센서(도 10 참조)를 갖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다리 유닛(12, 12')은 시팅 센서를 포함하며, 시팅 센서는 앉은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시팅 센서는 전달된 무게 힘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 하중-균형 센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접지 접촉 부재(48)의 접지 접촉을 포획하도록 제공된 접지 접촉 센서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제3 구현은 시팅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센서 신호의 분석에 의해 보완되는 수동 차단 모드를 특징으로 한다. 제3 구현예는 상태 "예" 또는 "아니오"를 갖는 입력 요소(58)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신호와, 앉아 있거나 또는 부분적인 앉은 자세에 대응하는 "예" 상태 및 서있는 자세 또는 걷기 자세에 대응하는 상태 "아니오"를 갖는 시팅 센서의 센서 신호에 의존한다. 초기 공정 단계(82)에서, 모든 다리 유닛(12, 12')은 차단 해제된다. 후속 결정 단계(83)에서, 입력 요소(58)에 의해 제공된 입력 신호는 상태 "예"를 갖는지 검사된다. 결정 단계(83)에서 입력 신호가 "예"인 경우, 추가 결정 단계(84)에서 시팅 센서의 센서 신호는 앉은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 대응하는 상태 "예"를 갖는지 또한 점검된다. 다음 공정 단계(85)에서 센서 신호가 "예"인 경우, 모든 다리 유닛(12, 12')이 차단된다. 결정 단계(84) 또는 공정 단계(85)에 후속하는 결정 단계(86)에서 센서 신호가 "아니오" 상태이면, 작동 프로그램은 초기 공정 단계(82)로 되돌아간다. 제3 구현예에서, 제어 유닛(58)은 시팅 센서가 활성인 경우에만 다리 유닛(12, 12')을 사람(11)의 대응 입력 신호 후에 차단할 것이다. 사람(11)이 일어서면, 다리 유닛(12, 12')은 즉시 차단 해제된다.
제4 구현예는 시팅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센서 신호의 분석과, 다리 유닛(12, 12')의 타이밍이 아닌 차단 해제를 방지하는 보안 타이머(도 11 참조)로 보완되는 수동 차단 모드를 특징으로 한다. 제4 구현예는 상태 "예" 또는 "아니오"를 갖는 입력 요소(58)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신호와, 앉아 있거나 부분적인 앉은 자세에 대응하는 "예" 상태 및 서 있는 자세 또는 걷기 자세에 대응하는 상태 "아니오"를 갖는 시팅 센서의 센서 신호에 의존한다. 초기 공정 단계(87)에서, 다리 유닛(12, 12')은 차단 해제된다. 후속 결정 단계(88)에서 입력 신호가 "예"이면, 공정 단계(89)에서 보안 타이머가 시작된다. 추가의 후속 공정 단계(90)에서, 다리 유닛(12, 12')은 차단된다. 후속 결정 단계(91)에서는 시팅 센서의 센서 신호가 "예" 또는 "아니오"의 상태인지 여부가 체크된다. 센서 신호가 "예"인 경우, 센서 신호가 "아니오" 상태가 될 때까지 다리 유닛(12, 12')은 차단 상태로 유지되며, 이는 서 있는 상태에 상응하고 추가 결정 단계(92)에서 체크된다. 이 경우, 작동 프로그램은 초기 공정 단계(87)로 되돌아간다. 결정 단계(91)에서 센서 신호가 "아니오"이면, 보안 타이머가 소정의 제한 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 단계(93)에서 검사한다. 제한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작동 프로그램은 결정 단계(91)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 프로그램은 초기 공정 단계(87)로 되돌아간다. 기한은 앉아 있거나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한 후에 사람(11)이 시팅 센서를 작동시키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미리 정해진 기간이다. 보안 기능으로서, 작동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사람(11)이 다리 유닛(12, 12')을 시기 적절하게 차단하는 경우, 다리 유닛(12, 12')이 차단 해제되기 전에 기간 동안만 다리 유닛(12, 12')을 차단한다. 사람(11)이 대응 입력 요소(58)를 작동시킬 때, 제어 유닛(58)은 항상 다리 유닛(12, 12')을 차단한다. 시팅 센서가 앉은 또는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에 대응하는 "예" 상태를 갖는 기간 동안, 다리 유닛(12, 12')은 차단된 채로 유지된다. 사람(11)이 일어서면, 다리 유닛(12, 12')은 즉시 차단 해제된다.

Claims (9)

  1. 2개의 다리 유닛(12, 12')을 갖고, 각각은 사람의 무게 힘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상부 지지부(13) - 각각은 시트 유닛(25)을 가짐 - 와, 상기 무게 힘을 지면(15)에 전달하도록 설계된 하부 지지부(14)와, 상기 상부 지지부(13)와 상기 하부 지지부(14)를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16)와, 상기 조인트(16)를 차단하는 차단 수단(17)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유닛(25)은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앉은 자세 및 걷기 모드에서 사용되도록 조절 가능한 그리고/또는 자기 조절식 시트 표면(28)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시팅 수단(26)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유닛(25)은 프레임 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수단은 상기 프레임 수단(27)에 장착된 시팅 수단(26)에 앉은 사람(11)의 무게 힘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시팅 수단(26)은 상기 시트 표면(28)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적어도 두 시팅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계된 시팅 요소(36)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유닛(25)은, 상기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상기 시팅 수단(26)의 적어도 일부분의 배향을 조절하도록 설계된 상기 시팅 수단(26)과 상기 프레임 수단(27)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29)를 포함하고, 상기 시팅 요소(36)의 적어도 일부(37, 38)가 사람(11)의 무게 힘에 의해 편향되도록 설계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25)은 상기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상기 시팅 수단(26)의 적어도 일 부분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설계된, 상기 시팅 수단(26)과 상기 프레임 수단(27) 사이의 변위 가능 연결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표면(28)의 적어도 일 부분(38)은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시팅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공되는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표면(28)의 적어도 일 부분(37)은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시팅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공되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시팅 위치에 대해, 상기 시팅 요소(36)는 적어도 10도만큼 편향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25)은 상기 시팅 요소(36)를 기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복원 수단(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걷기 모드에서, 상기 시트 표면(28)은 상기 프레임 수단(27)에 대해 적어도 주로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위치는 상기 걷기 모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팅 수단(26)은 적어도 부분적인 앉은 자세에 대한 가상의 의자 에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25)은 상기 상부 지지부(13)와 상기 하부 지지부(14) 사이의 시팅 각도(21)에 따라 편향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
KR1020197024810A 2015-10-21 2016-09-09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 KR102146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0895.1 2015-10-21
EP15190895.1A EP3158893B1 (en) 2015-10-21 2015-10-21 Seat unit for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PCT/EP2016/071361 WO2017067706A1 (en) 2015-10-21 2016-09-09 Seat unit for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013A Division KR20180082460A (ko) 2015-10-21 2016-09-09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05A true KR20190101505A (ko) 2019-08-30
KR102146213B1 KR102146213B1 (ko) 2020-08-20

Family

ID=543600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013A KR20180082460A (ko) 2015-10-21 2016-09-09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
KR1020197024810A KR102146213B1 (ko) 2015-10-21 2016-09-09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013A KR20180082460A (ko) 2015-10-21 2016-09-09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71660B2 (ko)
EP (1) EP3158893B1 (ko)
JP (1) JP6527293B2 (ko)
KR (2) KR20180082460A (ko)
CN (1) CN108366674A (ko)
WO (1) WO20170677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253B1 (ko) 2019-12-30 2021-05-03 현대로템 주식회사 내구성 향상 기능을 갖는 착용식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1246B2 (en) * 2014-11-26 2018-06-19 Sitzmann Tools, LLC Chest-mounted support device
JP6986749B2 (ja) * 2015-12-25 2021-12-22 株式会社ニットー 体支持装置
EP3241531A1 (en) * 2016-05-04 2017-11-08 noonee AG Leg unit for a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EP3318241B1 (en) * 2016-11-08 2020-04-29 noonee AG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KR102023239B1 (ko) * 2017-01-19 2019-09-19 박동관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USD868270S1 (en) * 2017-05-15 2019-11-26 Sheena Jean Nadeau Posture device
CN107692631A (zh) * 2017-08-17 2018-02-16 杭州壕车科技有限公司 一种齿轮定位式外骨骼座椅
USD865184S1 (en) * 2017-12-11 2019-10-29 Joshua Dorsey Posture brace
USD865188S1 (en) * 2018-08-20 2019-10-29 Joshua Dorsey Neck traction device
KR102588952B1 (ko) 2018-11-02 2023-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러스 구조를 갖는 착용식 의자
KR102603039B1 (ko) * 2018-11-20 2023-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절 링크 구조를 포함한 착용식 의자
KR102565354B1 (ko) 2018-11-22 2023-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차단 스위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한 착용식 의자
CN109318213B (zh) * 2018-12-06 2020-11-17 西安交通大学 一种腿部支撑外骨骼
KR20200081595A (ko) * 2018-12-27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의자
WO2020139115A1 (ru) * 2018-12-28 2020-07-02 Игорь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РЛОВ Способ поддержания позы человека и системы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D922785S1 (en) * 2019-03-29 2021-06-22 Noonee Wearable seat
USD903343S1 (en) * 2019-04-19 2020-12-01 John Buonincontro Wearable seat
WO2021021679A1 (en) * 2019-07-26 2021-02-04 Empower Robotics Corporation Lower body support system to facilitate floor level task execution by humans
CN110507102B (zh) * 2019-08-15 2022-09-27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可穿戴的外骨骼座椅
WO2021048206A1 (de) * 2019-09-09 2021-03-18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Sitzanordnung
RU198080U1 (ru) * 2019-12-20 2020-06-17 Максим Геннадьевич Мощенко Механический экзоскелет для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RU198079U1 (ru) * 2019-12-20 2020-06-17 Максим Геннадьевич Мощенко Механический экзоскелет для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CN112914805B (zh) * 2021-01-21 2022-09-30 韩红英 一种手足科术口防牵拉固定康复装置
WO2023200372A1 (ru) * 2022-04-14 2023-10-19 Ярослав Игоревич ГОДИН Опорный коленный блок для сидения на корточках (вариант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156A (en) * 1977-09-06 1979-02-06 Bonner Darcy R Wearable chair
JP2009279174A (ja) * 2008-05-22 2009-12-03 Honda Motor Co Ltd 歩行補助装置
KR101344117B1 (ko) * 2013-07-04 2013-12-23 김형준 의자가 결합된 의자바지
JP2014068866A (ja) * 2012-09-28 2014-04-21 Equos Research Co Ltd 歩行支援装置、及び歩行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28A (en) * 1889-07-02 Peters
US140662A (en) * 1873-07-08 Improvement in splints
US671638A (en) * 1900-07-24 1901-04-09 Edwin Slagle Stool and cane.
US699932A (en) * 1901-02-25 1902-05-13 James L Smith Portable seat.
US690122A (en) * 1901-07-18 1901-12-31 Edwin Slagle Combined stool and cane.
US2099345A (en) * 1937-01-06 1937-11-16 Peter A Olszanowski Body support or stool
US3451064A (en) * 1968-03-08 1969-06-24 Robert N Dolan Trousers type garment with seat and ground engaging support
US3538512A (en) * 1969-06-17 1970-11-10 Robert N Dolan Trousers associated ground engaging improved support for seat engagement by wearer
US4101163A (en) * 1977-02-16 1978-07-18 Morin Robert J Collapsible chair
US4641882A (en) * 1981-05-06 1987-02-10 John Young Orthopedic appliance
US4602627A (en) * 1984-09-06 1986-07-2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Cable controlled orthopedic leg brace
GB2206494B (en) * 1987-06-24 1991-04-17 Steeper Hugh Ltd Orthoses or prostheses for co-ordinating limb movement
US4930839A (en) * 1988-07-26 1990-06-05 Soft Energy Co., Ltd. Single-legged chair
US4969452A (en) * 1989-03-24 1990-11-13 Petrofsky Research, Inc. Orthosis for assistance in walking
AU634538B2 (en) * 1989-04-28 1993-02-25 Charles Humbert Orthopedic apparatus for persons handicapped in one leg
US5020790A (en) * 1990-10-23 1991-06-04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Powered gait orthosis
US5178595A (en) * 1992-02-13 1993-01-12 Macgregor Douglas Walking device to assist those with an injury to a lower limb
US5476441A (en) * 1993-09-30 1995-12-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rolled-brake orthosis
JPH1142259A (ja) * 1997-07-28 1999-02-16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歩行補助装具
US6062638A (en) * 1998-08-06 2000-05-16 Ferguson; Bobby J. Portable stool
US5927797A (en) * 1998-08-06 1999-07-27 Ferguson; Bobby J. Portable work stool
US6783555B2 (en) * 2000-10-27 2004-08-31 Mark R. Kuhn Gait orthosis
US6635024B2 (en) * 2001-05-14 2003-10-21 Bobby Joe Hatton Articulating knee supports
JP4315766B2 (ja) * 2003-05-21 2009-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4326259B2 (ja) * 2003-05-21 2009-09-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4093912B2 (ja) * 2003-05-21 2008-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4072094B2 (ja) * 2003-05-21 2008-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4112430B2 (ja) * 2003-05-21 2008-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US7549969B2 (en) * 2003-09-11 2009-06-23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Apparatus for assisting body movement
US20050242630A1 (en) * 2004-04-16 2005-11-03 Jason Miller Sportsman's lightweight adjustable one legged stool and walking aid
US7278979B2 (en) * 2004-09-07 2007-10-09 Honda Motor Co., Ltd. Walking assistance device having a pelvis support member that is easy to wear
US7524297B2 (en) * 2004-09-08 2009-04-28 Honda Motor Co., Ltd. Walking assistance device provided with a force sensor
US7429253B2 (en) * 2004-09-21 2008-09-30 Honda Motor Co., Ltd. Walking assistance system
US20060178605A1 (en) * 2004-11-10 2006-08-10 Herschel Sauber Tricentric orthotic hip joint and related hip brace
JP4426432B2 (ja) * 2004-12-17 2010-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脚体運動補助装具の補助モーメント制御方法
JP4344314B2 (ja) * 2004-12-28 2009-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体重免荷アシスト装置および体重免荷アシストプログラム
US7235059B2 (en) * 2005-01-12 2007-06-26 Breg, Inc. Releasably locking hinge for an orthopedic brace having adjustable rotation limits
US8273045B2 (en) * 2005-01-12 2012-09-25 Breg, Inc. Method for fitting an orthopedic brace to the body
US8277403B2 (en) * 2005-01-12 2012-10-02 Breg, Inc. Support assembly for an orthopedic brace having a length-adjusting mechanism
AU2006206394B2 (en) * 2005-01-18 2011-10-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w power lower extremity exoskeleton
US7479122B2 (en) * 2005-01-22 2009-01-20 Breg, Inc. Frame for an orthopedic brace including offset hinges
US7544155B2 (en) * 2005-04-25 2009-06-09 University Of Delaware Gravity balanced orthosis apparatus
BRPI0607755A2 (pt) * 2005-05-27 2009-10-06 Honda Motor Co Ltd aparelho de ajuda ao caminhar
US7731673B2 (en) * 2005-05-27 2010-06-08 Honda Motor Co., Ltd. Walking assisting device
WO2006126709A1 (ja) * 2005-05-27 2006-11-30 Honda Motor Co., Ltd. 歩行補助装置
JP4332136B2 (ja) * 2005-06-03 2009-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肢体アシスト装置および肢体アシストプログラム
JP4417300B2 (ja) * 2005-07-13 2010-0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US8660244B2 (en) 2006-02-17 2014-02-25 Microsoft Corporation Machine translatio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KR101040631B1 (ko) * 2006-06-29 2011-06-1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보행 보조 장치
US7578799B2 (en) * 2006-06-30 2009-08-25 Ossur Hf Intelligent orthosis
JP4712627B2 (ja) * 2006-07-10 2011-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4666644B2 (ja) * 2006-07-12 2011-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具の制御装置
JP5047692B2 (ja) * 2006-08-22 2012-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US7931571B2 (en) * 2006-11-28 2011-04-26 Gene Paul Bernardoni Hip flexion assist orthosis or hip knee extension assist orthosis
WO2008124017A1 (en) * 2007-04-06 2008-10-16 University Of Delaware Passive swing assist leg exoskeleton
JP4954804B2 (ja) * 2007-06-20 2012-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関節駆動型脚リンク機構及び歩行補助装置
JP2009090042A (ja) * 2007-10-12 2009-04-30 Honda Motor Co Ltd 歩行補助装置
JP4271712B2 (ja) * 2007-10-15 2009-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運動補助装置
JP4654447B2 (ja) * 2007-12-19 2011-03-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US7963933B2 (en) * 2008-04-09 2011-06-21 Nace Richard A Osteoarthritis knee orthosis
CN102026595B (zh) * 2008-05-14 2013-11-20 奥苏尔公司 腿支承件
JP5188279B2 (ja) * 2008-06-11 2013-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5128375B2 (ja) * 2008-06-12 2013-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の制御装置
JP5137704B2 (ja) * 2008-06-13 2013-02-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の制御装置
US8801641B2 (en) * 2008-07-23 2014-08-12 Ekso Bionics, Inc. Exoskelet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wing leg of the exoskeleton
JP5075759B2 (ja) * 2008-08-07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5075777B2 (ja) * 2008-09-23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US8096965B2 (en) * 2008-10-13 2012-01-17 Argo Medical Technologies Ltd. Locomotion assisting device and method
JP5165535B2 (ja) * 2008-11-05 2013-03-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5095581B2 (ja) * 2008-11-05 2012-1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5184304B2 (ja) * 2008-11-06 2013-04-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案内機構及び歩行補助装置
JP5073642B2 (ja) * 2008-12-17 2012-1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作補助装置
US8968222B2 (en) * 2008-12-18 2015-03-03 Ekso Bionics, Inc. Wearable material handling system
US7931567B2 (en) * 2009-03-06 2011-04-26 Leon Rosenberg Apparatus for isolating an injured ankle or foot during aerobic exercise
DE102010025578B4 (de) * 2009-06-29 2015-12-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tützapparat
CN102711678B (zh) * 2009-12-15 2015-06-10 扎克瑞托·阿克西涅奥·奥布斯凯斯托夫·瑙克诺-普罗兹沃德斯特文尼·岑特·奥格内克 下肢各节段病理畸形矫正方法及其实现装置
US8403408B2 (en) * 2010-02-18 2013-03-26 Eric Hosler Personal support device
JP5083461B2 (ja) * 2010-06-21 2012-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脚支援装置
CN103260576B (zh) * 2010-12-16 2015-04-2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行走辅助装置
JP5982767B2 (ja) * 2011-09-26 2016-08-31 ソニー株式会社 運動補助装置及び運動補助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30324899A1 (en) * 2012-06-01 2013-12-05 Lance W. Lance Brace with a securing device
CA2876206A1 (en) * 2012-06-15 2013-12-19 Vanderbilt University Movement assistance device
AU2014207668A1 (en) * 2013-01-16 2015-06-04 Ekso Bionics, Inc. Interface for adjusting the motion of a powered orthotic device through externally applied forces
US9427348B2 (en) * 2013-03-14 2016-08-30 Kevin C. Matthews Orthotic system and method utilizing hydrostatic compression of soft tissue to unload the knee and/or heel up to 100%
CN105324056A (zh) * 2013-07-04 2016-02-10 株式会社Ofrees 可穿戴式座椅装置
US9918892B2 (en) * 2013-07-09 2018-03-20 John Threlfall External structural brace apparatus
EP2842527A1 (en) 2013-08-26 2015-03-04 ETH Zurich Wearable posture assisting device
WO2015107576A1 (ja) * 2014-01-15 2015-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作業姿勢保持装置
DE102014117663B4 (de) * 2014-12-02 2017-02-02 Fior & Gentz Gesellschaft für Entwicklung und Vertrieb von orthopädietechnischen Systemen mbH Einrichtung zur elektrischen Muskelstimulation von am physiologischen Gangbild des Menschen beteiligten Muskeln sowie Orthese zum Unterstützen eines anatomischen Gelenkes mit einer solchen Einrichtung
US20160175180A1 (en) * 2014-12-23 2016-06-23 Reid Bond Weight Bearing Brac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156A (en) * 1977-09-06 1979-02-06 Bonner Darcy R Wearable chair
JP2009279174A (ja) * 2008-05-22 2009-12-03 Honda Motor Co Ltd 歩行補助装置
JP2014068866A (ja) * 2012-09-28 2014-04-21 Equos Research Co Ltd 歩行支援装置、及び歩行支援プログラム
KR101344117B1 (ko) * 2013-07-04 2013-12-23 김형준 의자가 결합된 의자바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253B1 (ko) 2019-12-30 2021-05-03 현대로템 주식회사 내구성 향상 기능을 갖는 착용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27293B2 (ja) 2019-06-05
EP3158893A1 (en) 2017-04-26
KR20180082460A (ko) 2018-07-18
US10271660B2 (en) 2019-04-30
US20180317662A1 (en) 2018-11-08
EP3158893B1 (en) 2021-04-28
JP2018534085A (ja) 2018-11-22
WO2017067706A1 (en) 2017-04-27
CN108366674A (zh) 2018-08-03
KR102146213B1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213B1 (ko)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시트 유닛
US20180304456A1 (en) Control unit for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KR102072323B1 (ko) 착용식 앉은 자세 보조 장치용 다리 유닛
JP2018531121A6 (ja) 着用可能な着座姿勢支援装置用の制御ユニット
EP2842527A1 (en) Wearable posture assisting device
EP1902700B1 (en) Walking assisting device
US9333109B2 (en) Motion assist apparatus
EP1905407B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US20110298249A1 (en) Ottoman device for variable-cushion-length seat
GB2471560A (en) Supporting device for leg braces
US20130113252A1 (en) Seat device for supporting a sitting person
US8894591B2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EP3375414A1 (en)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JP5841787B2 (ja) 装着型動作支援装置
EP2389914B1 (en) Moving means of an inclinable or articulated backrest joined to a chair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WO2018179431A1 (ja) 介助装置
KR101095279B1 (ko) 의자요추받이
US7549701B2 (en) Seatback adjustment
KR101820312B1 (ko) 착용형 체중지지장치
KR20200133216A (ko) 착용식 착석 자세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