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034A -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034A
KR20190100034A KR1020190015633A KR20190015633A KR20190100034A KR 20190100034 A KR20190100034 A KR 20190100034A KR 1020190015633 A KR1020190015633 A KR 1020190015633A KR 20190015633 A KR20190015633 A KR 20190015633A KR 20190100034 A KR20190100034 A KR 2019010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water
water supply
inlet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태
Original Assignee
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태 filed Critical 정규태
Priority to KR102019001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0034A/ko
Publication of KR2019010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2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15D1/006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active means, e.g. supplying external energy or injecting fluid
    • F15D1/008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active means, e.g. supplying external energy or injecting fluid comprising fluid injection or s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물병을 개폐하는 급수용 캡과, 이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은, 물병의 입구를 감싸도록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 일측에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내부캡과, 내부캡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내부캡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내부캡과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외부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Cap for water supply and steam gene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병을 개폐하는 급수용 캡과, 이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1기압 환경에서 100℃ 내외의 스팀을 열원으로 하는 조리 방식의 경우, 피조리물의 염분, 기름, 트랜스 지방의 밀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팀 조리 방식에 의하면, 120~180℃의 고온 조리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는 아크릴 아마이드, 벤조피렌, 트랜스 지방의 생성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으며, 굽기나 튀기기, 또는 끓는 물로 삶는 조리방식보다 조리 효율이 더 높으면서 물 절약 효과도 탁월하여, 물 부족 시대에 권장할만한 조리방식이다.
다만, '번거롭고 손이 많이 간다'는 깊고 해묵은 불편의식이 존재하여, 일반적인 가정에서 스팀 조리의 활용성은 낮은 편이다.
그러나, 통상의 굽기와 튀기기 등의 조리 방식에 의하면 120℃ 이상의 고온의 조리 온도에서 건강 유해 물질인 아크릴 아마이드, 벤조피렌, 트랜스 지방 등의 생성 위험이 높고, 전자레인지 조리 방식의 경우 전자파 위해 논란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안심조리, 안전조리, 웰빙조리의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할 것이다.
한편, 종래의 스팀 조리 방식은 큰 밥솥이나 대형 시루에 용기째 넣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별도로 판매되는 고가의 스팀조리기를 구입해야 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용기나 스팀조리기의 규격이 커서 휴대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외에서 스팀조리 방식으로 음식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스팀을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생성하여 공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을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물병과 함께 휴대하기가 간편한 급수용 캡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성이 좋고, 야외에서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는 스팀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병의 입구를 감싸도록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 일측에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내부캡; 및 상기 내부캡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캡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내부캡과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외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캡의 내부와 상기 공간부가 연통될 때, 상기 물병에 담긴 유체가 상기 공간부를 거쳐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 캡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부캡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내벽과, 상기 내벽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캡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일측에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확장부와 대향하여 상기 공간부를 덮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일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에어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급수용 캡; 상기 급수용 캡의 내부캡에 입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결합되는 물병; 및 상기 급수용 캡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병으로부터 상기 급수용 캡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스팀생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급수용 캡의 배출구와 상기 보일러의 수조를 연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급수용 캡으로부터 상기 보일러의 수조로 물 공급시, 상기 급수용 캡의 공간부와 상기 수조의 수위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용 캡에 의하면, 물병의 입구에 결합되어 물병과 함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스팀조리시에는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물병으로부터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공급되게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생성장치는 소형 경량화, 컴팩트화되어 휴대 및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생성장치에 의하면, 야외에서도 스팀 조리에 필요한 스팀을 신속하게 생성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생성장치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100)은 물병(10, 도 3 참조)의 입구(11, 도 3 참조)를 개폐하도록 결합되며, 따라서 물병(10)과 함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때, 물병(10)은 입구(11)가 형성되는 주둥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통상적으로 생수병이나 음료수병으로 사용하는 페트병(PET bottl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물병(10)의 재질과 규격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100)은, 물병(10)의 주둥이에 나사 결합되어 물병(10)의 입구(11)를 개폐하는 내부캡(200)과, 내부캡(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내부캡(200)과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외부캡(300)을 포함하며, 예컨대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캡(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유입구(221)가 관통 형성되고, 외부캡(300)의 외주면 일측에는 배출구(321)가 관통 형성되는데, 물병(10)의 입구(11)를 급수용 캡(100)으로 밀봉한 경우, 물병(10)의 주둥이 외주면이 내부캡(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내부캡(200)의 유입구(221) 내측이 물병(10)의 주둥이에 의해 막혀서 밀폐된다.
또한, 물병(10)을 거꾸로 세운 후 내부캡(200)을 약간 열어서 유입구(221)를 개방하면, 물병(10)에 담긴 물이 입구(11)를 통해 내부캡(200)의 내부로 쏟아진 후, 유입구(221)를 통해 외부캡(300)으로 유입되며, 배출구(32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내부캡(200)은 원통 형태로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210)와, 바닥부(210)의 둘레를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는 내벽(220)을 포함한다. 내벽(220)의 내주면에는 물병(10)의 주둥이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벽(220)의 일측에는 유입구(221)가 관통 형성된다.
외부캡(300)은 내부캡(200)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 형태로서, 내부캡(200)의 바닥부(210)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310)와, 확장부(310)의 둘레를 따라 내벽(220)과 평행하게 수직 형성되는 외벽(320)을 포함한다. 외벽(320)의 일측에는 배출구(321)가 관통 형성되는데, 이 배출구(321)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유입구(221)와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유입구(221)와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외부캡(300)의 외벽(320)이 내부캡(200)의 내벽(220)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됨에 따라, 내부캡(200)과 외부캡(300) 사이에는 내벽(220)과 외벽(320) 및 확장부(310)로 둘러싸이고 일측(도면상 상부)이 개방된 공간부(330)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3a는 급수용 캡에 의해 물병의 입구가 밀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급수용 캡을 약간 열어서 물병의 물이 급수용 캡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병(10)의 보관 및 휴대 이동시 급수용 캡(100)은 내부캡(200)이 물병(10)의 주둥이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물병(10)의 입구(11)를 밀폐한다.
이때, 물병(10)의 입구(11)가 내부캡(200)의 바닥부(210)에 밀착되고, 물병(10)의 주둥이 외주면이 내부캡(200)의 내벽(220)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물병(10)에 담긴 물의 누설이 방지되며, 내부캡(200)의 유입구(221)는 물병(10)의 주둥이에 의해 막히게 된다.
사용시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용 캡(100)이 물병(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물병(10)을 거꾸로 세운 후, 급수용 캡(100)을 약간 열어서 내부캡(200)의 유입구(221)를 개방한다. 이때, 물병(10)의 입구(11)는 내부캡(200)의 바닥부(210)로부터 이격하여 유입구(22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유입구(221)에 의해 내부캡(200)의 내부와 외부캡(300)의 공간부(330)가 서로 연통하게 된다.
물병(10)에 담긴 물은 물병(10)의 입구(11)를 통해 내부캡(200)의 내부로 쏟아지며, 유입구(221)를 통해 내부캡(200)의 외부로 흘러나와 공간부(330)로 유입된다. 공간부(330)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배출구(321)에 이르러면, 배출구(321)를 통해 급수용 캡(100)의 외부로 배출되며, 물병(10)의 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 급수용 캡(100)의 배출구(321)를 통해 물이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급수용 캡(100)은 공간부(330)의 일측(도면상 상부)이 개방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용 캡(100a)의 경우, 물병(10) 또는 급수용 캡(100a)의 유동에 의해 공간부(330)의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확장부(310)와 대향하도록 내벽(220)의 상단으로부터 외벽(320)의 상단까지 밀폐부(340)가 연장 형성되어 공간부(330)를 덮게 된다.
이때, 밀폐부(34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홀(341)이 관통 형성되며, 이 에어홀(341)은 공간부(330)의 압력을 낮춰 물병(10) 및 급수용 캡(100)에서 물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생성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생성장치(400)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10)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420)를 포함하며, 이때 급수부(410)는 전술한 급수용 캡(100)과 물병(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급수용 캡(100)을 이용하여 급수부(410)를 형성하는 경우, 급수용 캡(100)의 내부캡(200)에 물병(10)의 입구가 나사 결합되어 거꾸로 세워지며, 급수용 캡(100)의 배출구(321)와 보일러(420)가 연결관(43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보일러(42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421)와, 수조(42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4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연결관(430)의 일단이 수조(421)의 일측에 연통하도록 결합된다.
물병(10)에 결합된 급수용 캡(100)을 약간 열어서 내부캡(200)의 유입구(221)를 개방한 후 물병(10)을 거꾸로 세우면, 물병(10)에 담긴 물이 급수용 캡(100)을 거쳐 연결관(430)을 통해 보일러(420)의 수조(421)로 공급된다.
수조(421)에 공급된 물은 히터(422)에 의해 가열되는데, 이때 히터(422)는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복수 개의 전열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은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을 통해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야외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보일러(420)의 일측에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터(422) 가열에 의해 수조(421) 내에서 생성된 스팀은, 수조(42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토출구(423)를 통해 토출되며, 사용자는 이 토출구(423)에서 토출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다. 예컨대, 토출구(423)에 스팀공급관(미도시)의 일단을 결합한 후, 스팀공급관의 타단을 조리하고자 하는 식품이 수용된 용기에 연통하도록 결합함으로써, 토출구(423)와 스팀공급관을 거쳐 용기 내부로 토출되는 스팀에 의해 식품이 조리되게끔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급수용 캡(100)으로부터 수조(421)로 공급된 물의 수위가 일정 정도에 이르러면, 급수용 캡(100)과 수조(421)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수조(421)에서 스팀의 발생으로 인해 소진되는 물의 양만큼, 급수용 캡(100)이 지속적이고 실시간으로 수조(421)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생성장치(400)에 의하면, 급수용 캡(100)으로부터 일정량의 물이 수조(421)로 공급되어 가열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신속하게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급수용 캡(100)을 통해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조리에 필요한만큼 스팀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물병(10)과 급수용 캡(100) 및 보일러(420)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므로,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스팀을 이용한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물병 100,100a : 급수용 캡
200 : 내부캡 221 : 유입구
300 : 외부캡 321 : 배출구
330 : 공간부 340 : 밀폐부
341 : 에어홀 400 : 스팀생성장치
410 : 급수부 420 : 보일러
423 : 토출구 430 : 연결관

Claims (6)

  1. 물병의 입구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주면 일측에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내부캡; 및
    상기 내부캡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캡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외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캡의 내부와 상기 공간부가 연통될 때, 상기 물병에 담긴 유체가 상기 공간부를 거쳐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내벽과, 상기 내벽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캡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일측에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외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와 대향하여 상기 공간부를 덮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일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에어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 캡.
  4.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수용 캡;
    상기 급수용 캡의 내부캡에 입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결합되는 물병; 및
    상기 급수용 캡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병으로부터 상기 급수용 캡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스팀생성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캡의 배출구와 상기 보일러의 수조를 연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생성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캡으로부터 상기 보일러의 수조로 물 공급시, 상기 급수용 캡의 공간부와 상기 수조의 수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생성장치.
KR1020190015633A 2019-02-11 2019-02-11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KR20190100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33A KR20190100034A (ko) 2019-02-11 2019-02-11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33A KR20190100034A (ko) 2019-02-11 2019-02-11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87A Division KR101949637B1 (ko) 2018-02-19 2018-02-19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034A true KR20190100034A (ko) 2019-08-28

Family

ID=6777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633A KR20190100034A (ko) 2019-02-11 2019-02-11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0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1337B (zh) 用于用蒸汽加热和/或蒸煮容纳在容器中的食物的附件以及包括容器和该附件的蒸汽蒸煮器
AU2017383228B2 (en) Modular steamer accessory for steam-heating and/or -cooking food contained in a container
JP6473245B2 (ja) 容器に収容された食品を蒸気加熱および/または調理するための蒸気調理器付属装置
GB2515828A (en) Kettle
CN208925847U (zh) 炖蒸器具
KR101935162B1 (ko) 주전자 겸용 스팀 제너레이터
CN111481051A (zh) 一种分体式模块化蒸炖锅
CN205162748U (zh) 一种带盖沿的蒸汽发生装置及其容器
KR20100004287A (ko) 증기를 이용한 조리시스템
CN203943501U (zh) 电饭煲
KR20190100034A (ko)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KR101949637B1 (ko)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CN205994239U (zh) 煮饭器和蒸汽产生装置
CN110051213B (zh) 一种蒸汽加热用烹饪器具及蒸汽饭煲
CN208909799U (zh) 方便排水的煲蛋器
KR102130609B1 (ko)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CN209121932U (zh) 一种新型电饭煲内盖联动结构
KR100520424B1 (ko) 뚜껑에 가열통이 구비된 냄비
CN110051212B (zh) 一种烹饪器具用蒸汽进出装置及蒸汽饭煲
CN208551196U (zh) 烹饪器具
CN105627278A (zh) 一种缩短出汽时间的蒸汽发生器
KR20130028002A (ko) 일회용종이컵타입시루용기포장즉석식품
CN219661464U (zh) 一种锅盖淋油结构及其煲仔锅
CN213786801U (zh) 智能焖锅炉
KR200319825Y1 (ko) 자동압력 중탕기용 중탕전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