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030A -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030A
KR20190098030A KR1020180138844A KR20180138844A KR20190098030A KR 20190098030 A KR20190098030 A KR 20190098030A KR 1020180138844 A KR1020180138844 A KR 1020180138844A KR 20180138844 A KR20180138844 A KR 20180138844A KR 20190098030 A KR20190098030 A KR 2019009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silane compound
insulating film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김병묵
김태희
김상태
이승용
최한영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096B1/ko
Priority to SG10201901030TA priority patent/SG10201901030TA/en
Priority to CN201910110765.3A priority patent/CN110157434B/zh
Publication of KR2019009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6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with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et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은 인산, 규소 원자와 링커를 통해 결합된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제1 실란 화합물, 및 상기 제1 실란 화합물보다 작은 수용성을 갖는 제2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한다. 제1 실란 화합물에 의해 산화막이 패시베이션되고 용해성이 향상되어 식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INSULATION LAYER ETCH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산 기반의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의 백-플레인 기판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각종 화소 회로가 배열되며, 도전성 구조물들을 절연시키는 층간 절연막, 게이트 절연막, 비아 절연막 등과 같은 절연막들이 형성된다.
또한, 메모리 소자와 같은 반도체 장치에서도, 예를 들면, 실리콘 혹은 게르마늄 기판 상에 소자 분리막, 층간 절연막, 게이트 절연막 등과 같은 절연막들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막들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도록 증착되어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절연 패턴 형성시, 특정한 막에 대해 선택적으로 식각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질화막에 대한 선택적 식각 공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콘 산화막은 충분히 보호하면서 실리콘 질화막만을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보호하기 위해 식각액 조성물에 추가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추가 성분이 식각 성분으로 작용하는 산과 용해성이 떨어지는 경우 오히려 전체적인 식각률이 저하되고, 충분한 실리콘 산화막의 보호 효과도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3461호는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질화막을 함께 식각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선택적 식각 공정이 구현되기는 어렵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3461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식각 선택성 및 식각 균일성을 갖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기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한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인산; 규소 원자와 링커를 통해 결합된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제1 실란 화합물, 및 상기 제1 실란 화합물보다 작은 수용성을 갖는 제2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의 상기 인산 용해성기는 디메탄올아민기, 포스포네이트기, 우레아기, 암모늄염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기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의 상기 링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alkylene)기,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렌(alkenylene)기, 및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키닐렌(alkynylene)기 중 선택되고, 상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및 알키닐렌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사슬 내에 에테르(ether) 결합, 티오에테르(thioether) 결합 또는 디설파이드(disulfide) 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1 내지 1-5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pat00001
[화학식 1-2]
Figure pat00002
[화학식 1-3]
Figure pat00003
[화학식 1-4]
Figure pat00004
[화학식 1-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들 중, "Et"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1-5 중, R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아실기이며, n은 2 내지 10인 정수임).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 및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알콕시기, 할로겐, 아세톡시기 및 포스페이트기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산화막 패시베이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에 포함된 상기 산화막 패시베이션기의 수가 상기 제1 실란 화합물보다 많은,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2 및 3중, X1 내지 X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불소를 제외한 할로겐, 아세톡시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이며, Y는 탄소수 1 내지 4의 2가의 유기기임)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2-1 내지 화학식 2-4, 및 화학식 3-1 내지 화학식 3-4의 화합물들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화학식 2-1]
Figure pat00008
[화학식 2-2]
Figure pat00009
[화학식 2-3]
Figure pat00010
[화학식 2-4]
Figure pat00011
[화학식 3-1]
Figure pat00012
[화학식 3-2]
Figure pat00013
[화학식 3-3]
Figure pat00014
[화학식 3-4]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들 중, "Et"는 에틸기, "OAc"는 아세톡시기임).
8.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은 상온에서 물 100g에 1g 양만큼 혼합하고, 상온에서 1분간 교반 후 추가적으로 5분간 상온에서 방치 이후에 상분리 또는 파티클이 관측되지 않는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9. 기판 상에 산화막 및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질화막을 위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질화막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은 인산과의 상분리 없이 실란 화합물이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포 및 용해될 수 있어, 상기 실란 화합물의 응집 혹은 겔화(gelation) 없이 균일한 식각률 및 산화막 패시베이션을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실리콘 산화막의 식각은 억제하면서 실리콘 질화막을 식각하는 질화막의 선택적 식각 공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은 처리매수가 증가하여도 실리콘 질화막의 식각 속도의 저하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며, 산화막 대비 질화막에 대해 높은 식각선택성을 갖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을 활용한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실란 화합물" 또는 "실란"은 적어도 하나의 규소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에테르"는 산소 원자를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인 대칭 에테르(symmetrical ether)와 비대칭인 비대칭 에테르(unsymmetrical ether)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티오에테르"는 황 원자를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인 대칭 티오에테르(symmetrical thioether)와 비대칭인 비대칭 에테르(unsymmetrical thioether)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디설파이드"는 -S-S-를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인 대칭 에테르(symmetrical disulfide)와 비대칭인 비대칭 에테르(unsymmetrical disulfide)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절연막 식각 조성물>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인산; 인산 용해성기 및 상기 인산 용해성기와 규소 원소 사이의 링커를 포함하는 제1 실란 화합물; 및 제1 실란 화합물보다 수용성이 작은 제2 실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산화막(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및 질화막(예를 들면, 실리콘 질화막)을 동시에 포함하는 구조물에 공급되어 상기 산화막은 실질적으로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질화막만을 고선택비로 식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실리콘 질화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인산은 예를 들면, H3PO4의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질화막 식각을 위한 주 식각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중 80 내지 9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인산의 함량이 80중량% 미만이면 식각액 조성물의 전체적인 식각 속도가 과도하게 저하될 수 있고, 95중량% 초과이면 질화막 뿐만 아니라 산화막 또는 금속막과 같은 도전막의 식각 속도가 함께 증가하여 질화막에 대한 식각 선택비가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산의 함량은 80 내지 95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함량의 인산을 사용하면 식각액의 식각 속도와 식각 선택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은 규소(Si) 원자 및 상기 규소 원자에 결합된 3개의 패시베이션 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 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히드록실기, 할로겐 원자, 아세톡시기 또는 포스페이트기를 포함하며, 실리콘 산화막 표면에 흡착 또는 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규소 원자는 상기 3개의 패시베이션기들을 제외한 나머지 결합 사이트를 통해 인산 용해성기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제1 실란 화합물은 인산 용해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인산 용해성"은 85 중량% 인산 수용액 10g에 실란 화합물 1g을 가하고, 상온에서 1분간 교반 후, 추가적으로 1분간 상온에서 방치 했을 때 상 분리가 관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규소 원자와 상기 인산 용해성기 사이에는 링커가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인산 용해성기는 상기 규소 원자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링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렌기 및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키닐렌기 중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및 알키닐렌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사슬 내에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또는 디설파이드 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소 사슬 내에 에테르 결합을 포함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CH2-가 -O-로 치환됨을 의미할 수 있다. 탄소 사슬 내에 티오에테르 결합을 포함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CH2-가 -S-로 치환됨을 의미할 수 있다. 탄소 사슬 내에 디설파이드 결합을 포함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CH2-CH2-가 -S-S-로 치환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링커에 의해 상기 인산 용해성기 및 상기 실란기 사이의 적정 거리가 유지되므로, 상기 인산 용해성기의 입체 장애에 의해 상기 실란기를 통한 산화막 패시베이션 효과가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링커에 의해 상기 실란기의 상호 응집이 방지되어 상기 실란 화합물의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이 산화막 표면에 흡착되어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링커가 노출되어 무기산인 인산의 침투를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산화막 상에 추가적인 배리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의 용해성과 산화막 패시베이션 효과를 고려할 때, 상기 링커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일 수 있고, 상기 알킬렌기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제1 실란 화합물은 수용성 실란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수용성"은 상온에서 물 100g 에 실란 화합물 1g 양만큼 혼합하고, 상온에서 1분간 교반 후 추가적으로 5분간 상온에서 방치 이후에 상분리 또는 파티클이 관측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산 용해성기는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기,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기, 우레아(urea)기, 암모늄염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 ethylene glycol)기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구조의 작용기는 인산 용해성 및 수용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인산 수용액에 빠르게 용해될 수 있어서, 가수분해에 이은 겔화가 진행되기 전에 인산수용액에 고르게 용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제1 실란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1 내지 1-5의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16
[화학식 1-2]
Figure pat00017
[화학식 1-3]
Figure pat00018
[화학식 1-4]
Figure pat00019
[화학식 1-5]
Figure pat00020
상기 화학식들에서 "Et"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5 중, R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아실기일 수 있다. 예들 들면, n은 2 내지 10인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상기 제1 실란 화합물보다 많은 산화막 패시베이션 기(예를 들면, 알콕시기, 할로겐, 포스페이트기, 아세톡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표면에 대한 가수분해물의 강한 흡착 또는 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용이하게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함으로써 질화막에 대한 높은 식각 선택비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21
[화학식 3]
Figure pat00022
화학식 2 및 3중, X1 내지 X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불소를 제외한 할로겐, 아세톡시기 또는 포스페이트기를 나타낼 수 있다. Y는 탄소수 1 내지 4의 이가의 유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Y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실란 화합물로서 하기의 화학식 2-1 내지 2-4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pat00023
[화학식 2-2]
Figure pat00024
[화학식 2-3]
Figure pat00025
[화학식 2-4]
Figure pat00026
화학식 2-1 내지 2-4 중 "Et"는 에틸기, "OAc"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실란 화합물로서 하기의 화학식 3-1 내지 3-4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1]
Figure pat00027
[화학식 3-2]
Figure pat00028
[화학식 3-3]
Figure pat00029
[화학식 3-4]
Figure pat0003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은 상기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실란 화합물 및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은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을 통해 증폭된 산화막에 대한 패시베이션 효과를 가지며. 질화막에 대한 높은 식각 선택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산 용해성기를 통해 수용성이 향상된 제1 실란 화합물을 통해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의 수용액 내에서의 가수분해에 의한 겔화 또는 상 분리를 완화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규소 원자에 4개의 패시베이션기(예를 들면, 알콕시기, 할로겐)들이 결합된 실란 화합물 혹은 실록산 화합물(-Si-O-Si- 구조 포함)들은, 인산 수용액에 투입되는 경우, 상기 인산 수용액에 용해되기 전에 가수분해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된 분해물끼리 서로 응집할 경우 겔화(gelation) 또는 상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겔화된 응집체 혹은 상 분리가 다시 제거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각액 조성물은 상기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산 수용액에서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물이 겔화되기 전에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이 먼저 용해되며,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제1 실란 화합물의 패시베이션 기가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물과 결합하여 겔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 혼합 초기단계에서 겔화 혹은 상 분리가 발생하기 않고 바로 식각 공정에 사용되어 균일한 식각 특성 및 산화막 패시베이션 효과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패시베이션기 실란 화합물 혹은 실록산 화합물은 실리콘 산화물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오히려 인산에 의해 실리콘 산화막과 함께 분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성물의 온도가 150℃ 이상으로 올라가는 식각 공정 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분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기의 식각 특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각액 조성물의 경우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 응집체, 잔류물, 겔화의 발생 없이 통해 일정한 산화막 패시베이션 및 식각 특성(예를 들면, 식각률)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중 약 0.01 내지 3중량%의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인산의 식각 성능과 산화막 패시배이션 효과가 함께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화막 패시베이션 효과 및 인산 용해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중 약 0.1 내지 1.5중량%로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중 약 0.001 내지 0.5중량%의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겔화 방지 및 산화막 패시배이션 효과가 함께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중 약 0.01 내지 0.5중량%로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실란 화합물:제1 실란 화합물 중량비는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 내에서, 식각액 조성물의 겔화 방지효과 및 질화물에 대한 식각 선택비가 고르게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불소 이온 생성 종(예를 들면, 불화물 또는 불화 암모늄 염과 같은 불소 이온염)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소 이온에 의한 산화막의 식각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예를 들면 옥심계 화합물과 같이 식각 대상체에 잔류물 혹은 상분리를 초래할 수 있는 성분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여분의 물(예를 들면, 탈이온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산은 수용액 형태(예를 들면, 85% 인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인산 용해성기 함유 실란 화합물은 인산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상술한 함량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상술한 인산, 상기 제1 실란 화합물, 상기 제2 실란 화합물 및 여분의 물로 실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의 용해성 및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의 패시베이션 성능 및 인산의 식각효율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식각 증진제와 같은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턴 형성 방법>
도 1 내지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산화막(110) 및 질화막(1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0)은 단결정 실리콘, 단결정 게르마늄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산화막(110)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산화막(110)은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물리 기상 증착(PVD) 공정, 원자층 증착(ALD)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산화막(110)상에 질화막(13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질화막(130)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도록 CVD 공정, PVD 공정, 스퍼터링 공정, ALD 공정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질화막(120)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13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질화막(120) 상에 포토레지스트 막을 형성한 후, 선택적 노광 공정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질화막(12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패턴(130)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며,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된 질화막(120) 부분을 제거하여 질화막 패턴(1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은 상기 제1 실란 화합물 및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에 의해 조성물 내 겔화 및 상분리를 방지하면서 현저히 향상된 산화막 패시베이션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산화막(110) 표면은 실질적으로 식각 혹은 손상되지 않고, 질화막(120)만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식각 공정의 효율성을 위해, 상기 식각액 조성물의 온도는 약 15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인산 용해성기 함유 제1 실란 화합물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도 안정하므로, 초기의 식각률 및 패시베이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 패턴(130)은 이후, 스트립(strip) 공정 및/또는 애싱(ashing)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막(120)을 부분적으로 식각할 수도 있으나, 상기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질화막(120)을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산화막(110)의 상면 전체가 상기 실란 화합물에 의해 전체적으로 패시베이션 되어 식각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복수의 산화막들(210) 및 복수의 질화막들(220)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산화막들(210) 및 질화막들(220)을 관통하는 관통 패턴(23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막들(210) 및 질화막들(220)을 건식 식각을 통해 함께 식각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후, 상기 개구부 내에 충진 물질을 채워 관통 패턴(230)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 패턴(230)은 폴리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 또는 금속과 같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질화막들(220)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패턴(230) 측벽 상에 산화막들(210)이 잔류하고, 질화막들(220) 제거된 공간에 의해 갭들(240)이 정의될 수 있다. 갭들(240)에는 예를 들면, 금속막과 같은 도전막이 충진될 수 있다. 산화막들(210)은 상기 식각 공정 시 상기 실란 화합물에 의해 전체적으로 패시베이션 되어 식각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술한 패턴 형성 방법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연막 식각 조성물은 반도체 장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다양한 절연 구조 형성(예를 들면, 게이트 절연막, 배리어막, 소자 분리막 등)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포함하는 실험예를 제시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85 중량% 인산 수용액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중량%)의 실란 화합물을 첨가하여 절연체 식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화학식들에서 "Et"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구분 제1 실란 화합물(A) 제2 실란 화합물(B)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실시예 1 A-1 1.0 B-1 0.3
실시예 2 A-2 1.0 B-1 0.3
실시예 3 A-3 1.0 B-1 0.3
실시예 4 A-4 1.0 B-1 0.3
실시예 5 A-5 1.0 B-1 0.3
실시예 6 A-1 1.0 B-1 0.15
실시예 7 A-1 1.0 B-1 0.05
실시예 8 A-1 1.0 B-2 0.02
비교예 1 - - B-1 0.3
비교예 2 A-2 1.0 - -
비교예 3 A'-1 1.0 - -
A-1:
Figure pat00031
A-2:
Figure pat00032
A-3:
Figure pat00033
A-4:
Figure pat00034
A-5:
Figure pat00035
A'-1:
Figure pat00036
B-1: TEOS(Tetraethoxysilane)(위 화학식 2-1)
B-2:
Figure pat00037
실험예
(1) 겔(Gel)화 방지 특성(인산 용해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의 겔화 방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을 상온에서 1분간 교반 후, 추가적으로 1분간 상온에서 방치 했을 때 상분리 생성여부를 평가하였다.
<용해성 판정>
◎: 상온 방치 상태에서 미용해 폴리머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음.
○: 상온 상태에서 미용해 폴리머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으나, 상온 방치 상태에서 소량의 미용해 폴리머가 육안으로 확인됨.
×: 상온 상태에서 미용해 폴리머가 육안으로 확인됨.
(2) 수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의 겔화 방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물 100g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1g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1분간 교반 후 추가적으로 5분간 상온에서 방치 했을 때 상분리 생성여부를 평가하였다.
<용해성 판정>
◎: 상온 방치 상태에서 미용해 폴리머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음.
○: 상온 상태에서 미용해 폴리머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으나, 상온 방치 상태에서 소량의 미용해 폴리머가 육안으로 확인됨.
×: 상온 상태에서 미용해 폴리머가 육안으로 확인됨.
(3) 실리콘 질화막(SiN) 식각속도(Etch Rate: E/R) 측정
실리콘 질화막(SiN) 5000Å 두께의 웨이퍼를 2x2cm2의 크기로 잘라서 샘플을 제조하고, 상기 샘플을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들 내에 160℃의 온도에서 3분간 침지하였다. 이후, 탈이온수(DIW)로 세정 및 건조 후에,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막두께를 측정하여 식각 속도(Å/min)를 측정하였다.
(4) 실리콘 산화막(SiO 2 ) 식각속도 측정
실리콘 산화막(SiO2) 400Å 두께의 웨이퍼를 2x2cm2의 크기로 잘라서 샘플을 제조하고, 상기 샘플을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들 내에 160℃의 온도에서 30초간 침지하였다. 이후, 탈이온수(DIW)로 세정 및 건조 후에, 엘립소미터(Ellipsometer)로 막두께를 측정하여 식각 속도(Å /min)를 측정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구분 인산
용해성
수용성
평가
SiN 식각속도
(A)
SiO2 식각속도
(B)
식각 선택비
(A/B)
실시예 1 111 2.8 39.6
실시예 2 115 3.1 37.1
실시예 3 117 2.9 40.3
실시예 4 115 3.2 35.9
실시예 5 113 3.0 37.7
실시예 6 112 3.9 28.7
실시예 7 113 4.1 27.6
실시예 8 116 1.1 105.5
비교예 1 × × - - -
비교예 2 115 5.8 19.8
비교예 3 × 112 6.0 18.7
표 2를 참조하면, 인산 용해성기 함유 제1 실란 화합물 및 제2 실란 화합물을 함께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 인산 용해성 및 수용성 평과 결과가 우수하며, 식각 선택비가 우수하였다.
TEOS만 사용된 비교예 1의 경우, 인산 용해성 및 수용성이 불량하여 겔화 및 상분리 현상이 관측되었으며, 상기 겔화 현상으로 인해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막에 대한 식각 공정의 진행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2 및 3의 경우, 상 분리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리콘 산화막에 대한 충분한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지 못하여 식각 선택비가 좋지 않았다.
100, 200: 기판 110, 210: 산화막
120, 220: 질화막 130: 포토레지스트 패턴
230: 관통 패턴

Claims (10)

  1. 인산;
    규소 원자와 링커를 통해 결합된 인산 용해성기를 포함하는 제1 실란 화합물, 및 상기 제1 실란 화합물보다 작은 수용성을 갖는 제2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의 상기 인산 용해성기는 디메탄올아민기, 포스포네이트기, 우레아기, 암모늄염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기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의 상기 링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alkylene)기,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렌(alkenylene)기, 및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키닐렌(alkynylene)기 중 선택되고, 상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및 알키닐렌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사슬 내에 에테르(ether) 결합, 티오에테르(thioether) 결합 또는 디설파이드(disulfide) 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1 내지 1-5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pat00038

    [화학식 1-2]
    Figure pat00039

    [화학식 1-3]
    Figure pat00040

    [화학식 1-4]
    Figure pat00041

    [화학식 1-5]
    Figure pat00042

    (상기 화학식들 중, "Et"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1-5 중, R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아실기이며, n은 2 내지 10인 정수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 및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알콕시기, 할로겐, 아세톡시기 및 포스페이트기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산화막 패시베이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에 포함된 상기 산화막 패시베이션기의 수가 상기 제1 실란 화합물보다 많은,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43

    [화학식 3]
    Figure pat00044

    (화학식 2 및 3중, X1 내지 X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불소를 제외한 할로겐, 아세톡시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이며, Y는 탄소수 1 내지 4의 2가의 유기기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란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2-1 내지 화학식 2-4, 및 화학식 3-1 내지 화학식 3-4의 화합물들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화학식 2-1]
    Figure pat00045

    [화학식 2-2]
    Figure pat00046

    [화학식 2-3]
    Figure pat00047

    [화학식 2-4]
    Figure pat00048

    [화학식 3-1]
    Figure pat00049

    [화학식 3-2]
    Figure pat00050

    [화학식 3-3]
    Figure pat00051

    [화학식 3-4]
    Figure pat00052

    (상기 화학식들 중, "Et"는 에틸기, "OAc"는 아세톡시기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란 화합물은 상온에서 물 100g에 1g 양만큼 혼합하고, 상온에서 1분간 교반 후 추가적으로 5분간 상온에서 방치 이후에 상분리 또는 파티클이 관측되지 않는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9. 기판 상에 산화막 및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질화막을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질화막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KR1020180138844A 2018-02-13 2018-11-13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098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24A KR102653096B1 (ko) 2018-02-13 2019-01-29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SG10201901030TA SG10201901030TA (en) 2018-02-13 2019-02-07 Insulation layer etch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using the same
CN201910110765.3A CN110157434B (zh) 2018-02-13 2019-02-12 绝缘层蚀刻剂组合物和使用该绝缘层蚀刻剂组合物形成图案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7450 2018-02-13
KR1020180017450 2018-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030A true KR20190098030A (ko) 2019-08-21

Family

ID=6780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44A KR20190098030A (ko) 2018-02-13 2018-11-13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98030A (ko)
SG (1) SG10201901030T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461B1 (ko) 2007-05-11 2008-04-21 테크노세미켐 주식회사 실리콘산화막 및 실리콘질화막 식각용 식각액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461B1 (ko) 2007-05-11 2008-04-21 테크노세미켐 주식회사 실리콘산화막 및 실리콘질화막 식각용 식각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01901030TA (en)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3096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102436721B1 (ko) 질화 규소를 포함하는 기판을 에칭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102629574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102602860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US10995268B2 (en) Etching composition effective to selectively wet etch a silicon nitride film
TW202122633A (zh) 濕式蝕刻組合物及方法
JP2022546293A (ja) 高度に選択的な窒化ケイ素エッチングのための改良された配合物
KR102629576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102469799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098030A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102443313B1 (ko)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090210A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099832A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102636960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030299A (ko) 실리콘 질화막에 대한 선택적 에칭을 위한 식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각 방법
KR20180106144A (ko) 질화막 식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102469797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102629575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102532774B1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128274A (ko) 인산염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127051A (ko) 실란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127050A (ko) 실란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127049A (ko) 실란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90097476A (ko) 절연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8930B1 (ko) 질화막 식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