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596A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596A
KR20190097596A KR1020180017202A KR20180017202A KR20190097596A KR 20190097596 A KR20190097596 A KR 20190097596A KR 1020180017202 A KR1020180017202 A KR 1020180017202A KR 20180017202 A KR20180017202 A KR 20180017202A KR 20190097596 A KR20190097596 A KR 2019009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
air
duct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008B1 (ko
Inventor
박비오
김범준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008B1/ko
Priority to EP19156575.3A priority patent/EP3524727B1/en
Priority to PCT/KR2019/001656 priority patent/WO2019156526A1/ko
Priority to US16/273,651 priority patent/US11427954B2/en
Publication of KR2019009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1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가 전방에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측면이 원주면으로 형성된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인덕션 히터,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덕트; 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터브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의 전방 개구부 및 상기 터브의 원주면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의 전방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를 거친 공기는 상기 터브의 원주면으로 유입되며, 상기 터브 내로 투입된 공기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 드럼 내부로 유동되어 순환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인덕션 히터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로서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기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수류와 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포를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여기서 드럼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포가 수용되는 드럼이 배치되며, 드럼은 포가 수용되어 회전한다. 이때 터브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장되어 세탁수를 통해 세탁행정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세탁수의 가열은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에 장착된 전기 히터를 통해서 수행된다. 전기 히터는 세탁수에 잠겨 있고 세탁수에는 이물질이나 세제가 포함된다. 따라서, 전기 히터 자체에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은 전기 히터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공기의 가열은 공기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같은 구성뿐만 아니라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덕트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공기의 가열을 위해서 전기 히터나 가스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기 가열 방식의 효율은 높지 않다.
최근에는 히트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압축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 에어컨에서 실내 공기를 낮추기 위해서 실내기에 응축기가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히트 펌프 건조기에서는 증발기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히트 펌프 건조기는 구성들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세탁물 처리장치에서 가열수단으로서의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 펌프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사이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열 수단으로 유도 가열을 이용한 세탁물 처리장치에 대한 컨셉들(일본등록특허 JP2001070689, 한국등록특허 KR10-922986)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선행 기술들은 세탁기에서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기본 컨셉들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유도 가열 모듈 구성들, 세탁물 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과의 연결 및 작용 관계, 그리고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내지는 구성들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유도 가열 원리를 적용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서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기술 사상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유도 가열을 이용하면서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인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인덕션 히터를 적용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서 드럼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인덕션 히터를 통해 발생하는 열량을 드럼 내부로 최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열풍 순환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터브 상측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배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과제는, 열교환기와 인덕션 히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과제는, 유로의 방향을 고려한 적절한 위치로의 린트 필터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터브, 터브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드럼을 가열시키는 인덕션 히터, 드럼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덕트를 포함하고, 덕트는 터브의 상측에 위치하고 드럼의 전방 개구부 및 터브의 원주면과 연통되어 있으며, 드럼의 전방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덕트로 유입되고, 덕트를 거친 공기는 터브의 원주면으로 유입되며, 터브 내로 투입된 공기는 드럼의 원주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 드럼 내부로 유동되어 순환한다.
덕트에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덕트로 유입시키는 팬,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 필터, 터브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덕트 내로 유입된 공기는 린트 필터, 팬, 열교환기를 차례로 거쳐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하는 응축수 및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배출부는 하측으로 소정의 기울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부는 경사를 통해 흐르는 응축수의 방향을 바꿔 응축수를 배출하는 가림막을 구비할 수 있고, 가림막이 응축수와 만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관을 통해 응축수를 배출할수도 있고, 응축수가 터브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 내려서 배출될수도 있다.
열교환기는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배출부는 하측으로 소정의 기울기가 형성되고, 배출부에는 가림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부를 통과한 응축수는 터브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 배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는 공기를 송풍하여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구비하며, 인덕션 히터는 터브의 상측에 구비되고, 냉각팬은 열교환기 뿐만 아니라 인덕션 히터도 함께 냉각시킬 수 있다.
린트 필터는 캐비닛과 터브 사이에서 세탁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의 상측에 구비되고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터브의 후면과 캐비닛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인덕션 히터는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을 가열하고, 드럼 외주면 바깥의 공기는 드럼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열풍의 순환에 이용되는 덕트를 터브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서, 기존에 덕트가 위치하였던 터브 후면과 캐비닛 사이의 공간을 삭제하여 드럼 내부 공간의 확장을 통한 드럼의 세탁물 수용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인덕션 히터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드럼을 가열하여 터브에서 드럼으로 열풍이 유입되는바, 드럼의 전방 개구부를 통하여 열풍이 덕트로 배출되고,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터브 측면으로 유입되며, 터브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드럼 내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여 인덕션 히터에 최적화된 열풍 순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터브 상측 덕트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기를 통해 발생한 응축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열교환기를 포함한 배출부 부분이 소정의 기울기를 형성하여, 열교환기를 벗어난 응축수가 배출부를 통해 터브 외주면을 타고 흘러 내리며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배수 구조 필요 없이 간단하게 응축수 배출을 해결할 수 있는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터브 상측에 마련된 인덕션 히터와 열교환기가 모두 냉각이 필요한 점에 착안하여, 냉각팬을 통하여 인덕션 히터와 열교환기를 모두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팬 공용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의 린트가 덕트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린트 필터를 통해 필터링 되게 하고, 필터를 착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필터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분리된 형태의 인덕션 히터 모듈이 터브에 장착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브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터브 후면의 공간을 삭제하고 덕트를 터브의 상측에 구비토록 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 순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열풍 순환 방향이 역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열교환기를 통한 응축수의 배수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필터, 팬, 열교환기 및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경사져서 형성된 배출부 및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냉각팬이 인덕션 히터 및 열교환기에 모두 적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착탈이 가능한 린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방향과 관련된 용어, 예를들면, 상, 하측, 좌, 우측, 전, 후방,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배치위치 또는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방향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분리된 형태의 인덕션 히터 모듈이 터브에 장착된 개념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덕션 히터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그리고 상기 드럼(30)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인덕션 히터(70)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30)을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을 수용한다. 상기 드럼(30)의 전방에는 개구부(62)가 구비되고, 세탁물이 드럼(3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30)을 가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에 개구부(62)를 구비한 터브(20),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드럼(30)을 전자기장으로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와 드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20)와 드럼(3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드럼(30)이 지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형태의 세탁물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을 상기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40)는 모터(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41)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는 회전축(4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2)은 드럼(30)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30)을 터브(20)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스파이더(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3)는 드럼(30)과 회전축(42)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회전축(42)의 회전력을 드럼(30)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3)는 드럼(30)의 후벽에 적어도 일부분 삽입된 형태로 드럼(3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드럼(30)의 후벽은 드럼(30)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파이더(43)는 드럼(30)의 회전 중심 부분에서 더욱 드럼(30)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럼(30)의 후단 부분에는 스파이더(43)로 인해서 세탁물이 수용되지 않게 된다.
상기 드럼(30)의 내부에는 리프터(50)가 구비된다. 상기 리프터(50)는 드럼(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50)는 세탁물을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50)는 세탁물을 상부로 올리게 된다.
상부로 이동한 세탁물은 중력에 의해서 리프터(50)와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세탁물이 낙하에 의한 충격력으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세탁물의 교반은 건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세탁물은 드럼(30) 내부에서 전후로 골고루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50)는 드럼(30) 후단에서 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상기 드럼(30)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여 상기 드럼(30)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코일(71)과 상기 코일(71)을 수용하는 히터커버(72)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커버(72)는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는 영구자석일 수 있으며, 페라이트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커버(72)는 상기 코일(71)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체는 상기 코일(7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코일(71)은 하부에 위치되는 드럼(30)을 향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코일(71)의 상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상기 드럼(30)의 가열에 사용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자기장은 코일(71)의 상부가 아닌 코일(71)의 하부로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체를 통해서 자기장을 코일(71)의 하부 즉 드럼(30)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코일(71)이 터브(20)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제는 코일(7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71)은 강자성체와 드럼(30) 사이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터커버(72)는 일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럼(30)을 향하는 면이 개구되며 반대의 면은 막혀있는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커버(72)의 내부에 코일(71)이 위치되거나 상기 코일(71)의 상부를 상기 히터커버(72)가 덮게 된다. 상기 히터커버(72)는 상기 코일(7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터커버(72)는 코일(71)과의 사이에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여 코일(71)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코일(71)이 상기 드럼(30)을 가열하여 상기 드럼(30) 자체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30)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30)의 가열을 통해서 상기 드럼(30)과 접하는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으며 상기 드럼(30) 내주면과 접촉하는 세탁물을 가열할 수 있다. 물론, 드럼(30) 내부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드럼(30)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세탁물 또한 가열할 수 있다. 응
따라서,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세탁수, 세탁물 그리고 드럼(30)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서 세탁물, 드럼(30) 그리고 드럼(30)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코일(71)을 포함하는 인덕션 히터(70)가 드럼(30)을 가열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를 권선하여 코일(71)을 형성하게 되는데, 따라서 코일(71)은 중심을 갖는다. 상기 와이어에 전류를 공급하면 코일(71) 형상에 의해서 전류는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코일(71)을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방향의 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71)에 전류의 위상차가 달라지는 교류전류가 통과하면 시간에 따라 방향이 달라지는 교류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교류자기장은 인접한 도체에 상기 교류자기장과 반대방향의 유도자기장이 발생하며, 상기 유도자기장의 변화는 상기 도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유도전류 및 유도자기장은 전기장 및 자기장의 변화에 대한 관성의 형태로서 이해할 수 있다. 즉, 드럼(30)이 도체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30)은 상기 코일(71)에서 발생된 유도자기장으로 인해 유도전류의 일종인 와전류(eddy current)또는 맴돌이 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드럼(30) 도체의 저항에 의해 상기 와전류는 소산되면서 열로 전환된다. 즉,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30)은 상기 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며, 드럼(30) 내부의 온도는 상기 드럼(30)이 가열됨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드럼(30)이 철(Fe)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도체로 구비되면 상기 터브(20)에 구비된 코일(71)의 교류전류에 의해 가열되게 될 수 있다. 최근에는 강도 및 위생성 향상을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의 드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스테인리스 재질은 전기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므로 전자기장의 변화에 의해서 쉽게 가열될 수 있다.
이는 인덕션 히터(70)를 통해 드럼(30)을 가열하기 위해서 새로운 형태나 재질의 드럼을 특별히 제작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드럼, 즉 히트펌프 형태의 세탁물 처리장치나 전기 히터(sheath heater)를 사용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서의 드럼을 인덕션 히터(70)를 적용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코일(71)과 상기 히터커버(72)를 포함한 인덕션 히터(70)는 터브(20)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자기장은 거리에 따라 그 세기가 감소하므로,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드럼(30)과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터브(2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브(20)는 세탁수를 수용하게 되고, 상기 드럼(30)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하므로 안전을 위해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터브(20) 내부는 매우 다습한 환경이므로 코일의 절연성 및 안정성을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덕션 히터(7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인덕션 히터(70)와 드럼(30)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가능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71)은 상기 터브(20)의 외주면 전체를 적어도 1회 이상 감기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코일(71)이 상기 터브(20)의 둘레 전체를 따라 감기게 되면 상기 코일(71)이 너무 많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터브(20)에서 유출된 세척수가 접촉되어 합선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71)이 상기 터브(20)의 둘레 전체를 따라 감기게 되면 유도자기장이 상기 터브(20)의 개구부(62) 및 구동부(40)에 발생하게 되어, 드럼(30)의 외주면을 직접 가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71)은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터브(20)의 외주면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코일(71)은 상기 터브(20)의 외주면 전체를 감도록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터브(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정 면적에 적어도 1회 이상 감기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인덕션 히터(70)의 출력 대비 드럼(30)의 발열량에 대한 효율을 감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터브(20)와 캐비닛(10) 사이의 공간을 고려하여 전체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작 효율성을 감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71)은 단일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가 복수 개의 층으로 권선되지 않고 단일층으로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가 복수 개의 층으로 권선되면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에는 갭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바닥층의 와이어와 바닥층 상부층의 와이어 사이에는 갭만큼의 거리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바닥층 상부층의 코일과 드럼(30) 사이의 거리는 증가될 수 밖에 없다. 물론, 이러한 갭이 물리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바닥층 상부층의 코일과 드럼(30) 사이는 코일의 층이 증가될 수록 멀어지므로 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코일(71)은 단일 층으로 형성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는 동일한 와이어 길이를 사용하면서 최대한 드럼(30)과 접하는 코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또한 의미하게 된다.
도 3에서는 상기 인덕션 히터(70)가 상기 터브(20)의 상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상기 터브(20)의 상측, 하측,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덕션 히터(70)가 상기 터브(20)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71)은 상기 인덕션 히터(70) 내에서 상기 인덕션 히터(70)가 터브(20)와 인접한 면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감기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상기 드럼(30)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유도자기장을 방사하여 상기 드럼(30)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30)의 외주면을 직접 가열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외부 전력공급원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덕션 히터(70)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제어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인덕션 히터(70)의 온/오프 그리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인덕션 히터(70)는 내부 코일(7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면 어느 곳에서 전력을 공급받아도 무방하다.
상기 인덕션 히터(70)에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인덕션 히터(7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코일(71)에 교류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드럼(30)은 가열된다.
이때, 상기 드럼(30)이 회전하지 않으면 상기 드럼(30)의 일면만 가열되게 되므로, 상기 일면은 과열될 수 있고 상기 드럼(30)의 나머지 면은 가열되지 않거나 가열되는 정도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에 열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 히터(70)가 작동되면 상기 구동부(40)가 회전하여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드럼(30) 외주면의 모든 면이 상기 인덕션 히터(70)와 마주볼 수 있다면 상기 구동부(40)가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속도는 어느 속도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30)의 모든 면이 가열될 수 있고, 상기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은 고르게 열에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인덕션 히터(70)가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의 상측, 하측, 양측부 등 곳곳에 설치되지 않고 한 곳에만 설치되어도 상기 드럼(30) 외주면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히터(70)의 구동에 의해서 드럼(30)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서 섭씨 120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만약, 드럼(30)이 정지된 상태 또는 매우 느린 회전 속도인 상태에서 인덕션 히터(70)가 구동되면 드럼(30)의 특정 부분은 매우 빠르게 과열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열된 드럼(30)에서 세탁물로 충분히 열전달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럼(30)의 회전 속도와 인덕션 히터(70)의 구동 사이의 상관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덕션 히터(70)가 구동되고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것보다, 드럼(30)을 회전시키고 인덕션 히터(70)를 구동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불림 처리하기 위해 세탁물이 세탁수에 전부 잠길 필요가 없으므로 세탁수를 절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세탁수와 접촉하는 드럼(30)의 일부분은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즉, 가열된 부분이 세탁수와 접촉하여 세탁수를 가열하고 다시 세탁수와 분리되어 가열되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과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세탁물과 접촉하는 드럼(30)을 가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기지 않고도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일례로, 살균 처리하기 위해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길 필요가 없으므로 세탁수를 절약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세탁물이 세탁수를 통해 열을 공급받는 것이 아닌 드럼(30)을 통해서 열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젖은 세탁물이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스팀이나 수증기를 통해 드럼(30) 내부가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가변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살균 효과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세탁수에 세탁수가 잠겨 세탁되는 삶음 세탁이 세탁수의 양을 훨씬 적게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비열이 높은 세탁수를 가열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세탁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세탁수의 공급 시간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포적심 후 추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양 및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탁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세제를 함유하는 세탁수의 수위는 드럼(30)의 최저 수위보다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순환 펌프를 통해서 터브(20) 내부의 세탁수를 드럼(3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적은 세탁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터브(20) 하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터브(20)의 용적을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터브(20) 내부의 히터는 가열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히터의 표면적이 공기 또는 세탁물과 접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다. 그러나, 반대로 드럼(30) 자체의 표면적 또는 드럼(30) 원주면 자체의 표면적은 매우 크다. 따라서, 가열 면적이 커지므로 즉각적인 가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세탁 시의 터브(20) 히터를 통한 가열 메커니즘은 터브(20) 히터가 세탁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세탁수가 드럼(30), 세탁물 그리고 드럼(30)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고온으로 가열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0) 원주면 자체는 세탁수, 세탁물 그리고 드럼(30) 내부의 공기와 접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따라서, 가열된 드럼(30)은 직접 세탁수, 세탁물 그리고 드럼(3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한다. 그러므로, 세탁 시 가열원으로써 인덕션 히터(70)는 터브 히터에 비해서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세탁시 세탁수를 가열하는 경우 드럼(30)의 구동은 정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수위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세탁수에 잠긴 터브 히터를 구동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세탁수를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세탁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반면에, 인덕션 히터(70)를 이용한 세탁수의 가열시에는 드럼이 반드시 회전하여야 한다. 이는 드럼이 회전되지 않을 경우 드럼의 일부분만이 가열되어 세탁수가 고르게 가열되지 않고 드럼의 일부만 가열됨으로 인하여 제품의 손상이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수를 가열하면 세탁수의 유동에 따른 세제 용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가열된 드럼의 원주면이 세탁수와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짐으로 인하여 세탁수를 가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브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터브 후면의 공간을 삭제하고 덕트를 터브의 상측에 구비토록 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 순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 순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럼(3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덕트(120)는 터브(20)의 상측에 위치한다. 덕트(120)의 일단은 드럼(30)의 전방 상측 개구부(62a)에 위치하여, 상기 드럼(30)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연통된 덕트(120)를 통하여 덕트(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드럼(30)의 전방과 연통된 덕트(120)는 터브(20)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덕트(120)의 타단은 터브(20) 후방의 측면 원주면과 연통된다. 따라서 드럼(30)의 전방 상측 개구부(62a)를 통하여 덕트(1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120)를 통과하여 터브(20) 후방의 측면 원주면에 위치한 연통구를 통하여 다시 터브(2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종래의 덕트 연결 구조는, 드럼 전방의 상측 개구부(62a)와 연결된 덕트가 터브의 상측 공간(S1)을 지나 터브(20)의 후면 공간(S2)까지 연장되어 터브의 후면 하측에서 터브 내부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때 터브 후면 공간(S2)까지 덕트 구조가 삽입됨으로써, 드럼의 공간이 삽입된 덕트의 공간만큼 협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120)의 바디는 터브(20)의 상측 공간(S1)에만 구비되어 있고, 덕트(120)의 양단 연통구는 모두 상측의 덕트(120)에서 하측의 터브(20)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구조와 달리 터브(20) 후면의 공간(S2)에 더 이상 덕트(120) 구조가 위치하지 않게 되어 터브(20) 후면의 공간(S2)을 확보할 수 있고, 드럼(30)의 수용 공간을 기존 터브(20)의 후면 공간(S2)까지 확대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드럼(30)의 용량을 증가시켜 보다 큰 수용력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드럼(30)의 전방 상측 개구부(62a)에 형성된 덕트(120)의 연통구에는 린트 필터(80)가 설치되어 있다. 린트는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푸라기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상기 린트 필터(80)를 통해 세탁물을 통해 발생하는 린트를 필터(80)를 통해 포집 가능하도록 하여, 세탁물의 세정도를 향상시키고, 이물질의 순환으로 인한 세탁물 처리장치의 파손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후술할 공기의 유동 방향에 따라 드럼(30) 전방 상측 개구부(62a)의 덕트(120) 연통구로 배출되는데, 드럼(30) 내부의 린트들이 린트 필터(80)를 거쳐서 덕트(120) 내로 유입되므로, 드럼(30)에서 발생한 린트들을 먼저 제거 한후 덕트(120)를 통과하게 된다.
덕트(120) 내부의 린트 필터(80) 상단에는 팬(90)이 설치되어 있다. 팬(90)은 드럼(30) 내부의 공기를 덕트(120)를 통해 순환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팬(90)이 회전됨으로써, 드럼(30) 내부의 공기가 전방 상측 개구부(62a)로 빠져나와 린트 필터(80)를 거쳐서 팬(90)을 통과하게 된다.
팬(90)을 통과한 공기는 덕트(120)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100)를 통과한다. 드럼(30) 내부의 공기가 덕트(120)로 유입되어 열교환기(100)를 통과함에 따라, 드럼(30) 내부의 습한 공기가 건조한 공기로 바뀌어 다시 드럼(30)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 순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열풍 순환 방향이 역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드럼(30)의 전방 상측 개구부(62a)를 통해 덕트(120)의 일단으로 유입된다. 덕트(120)로 유입된 공기는 린트 필터(80)를 통해 필터링되고, 필터링 된 공기는 드럼(30) 내부의 공기를 덕트(120) 내부로 유도하는 팬(90)을 통과하게 된다. 팬(90)을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100)를 거쳐 다시 건조 공기로 바뀐 후 덕트(120)의 타측에 구비된 연통구를 통해 터브(20) 내측으로 배출된다. 터브(20) 내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드럼(30) 원주면 상에 구비된 통공(30h)을 통하여 드럼(30) 내부로 유동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덕션 히터(70)가 터브(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인덕션 히터(70)가 드럼(30)을 가열한다. 드럼(30)은 회전하기 때문에 드럼(30)의 원주면은 골고루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된 드럼(30)의 원주면과 주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므로, 터브(20)와 드럼(30) 사이의 원통형 공간은 인덕션 히터(70)에 의해 고온의 공기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 공간의 가열된 공기가 드럼(30)에 형성된 통공(30h)을 통하여 드럼(30)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탈취한 습한 공기는 드럼(30) 전방의 상측 개구부(62a)를 통하여 덕트(120)로 배출된다. 덕트(120)의 입구에서 린트 필터(80)를 통해 필터링된 습한 공기는 팬(90)을 거쳐 열교환기(100)에 다다른다.
열교환기(100)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을 마치고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해진 공기는 다시 덕트(120)를 통하여 터브(20) 상단 내부로 유입된다.
드럼(30)의 전면이나 후면에는 통공(30h)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드럼(30)의 원주면을 통한 공기의 유동 이외의 다른 공기의 유동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공기의 유로를 일원화 시키고, 그로 인하여 불필요한 공기의 가열로 인한 전력 손실을 방지하며 동시에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건조 행정을 위한 열풍 순환 구조는, 터브의 바깥에 히터가 구비되어 있어서,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팬을 통해 드럼 내부로 불어 넣어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습한 공기를 배출시켜 응축기를 통해 다시 건조한 공기로 만들어 히터로 재유입되는 순환 방식을 가진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은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터브의 전방면 상단을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가열된 공기의 상당한 양이 터브와 드럼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어 세탁물과의 열교환 없이 터브의 후방면과 드럼의 후방면 사이를 지나 공기덕트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120) 구조는 인덕션 히터(70)를 이용하여 드럼(30)을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덕트(120) 내부에 히터가 필요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화되고, 드럼(30)이 직접적으로 가열되므로 가열에 따른 불필요한 열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터브(20)로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이 세탁물의 건조에 참여하기 때문에 터브(2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기존보다 줄일 수 있다.
다만 도 6b의 경우와 같이 공기의 순환이 역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비교해 보면, 역방향 유동의 경우에는 덕트(120)를 통과하여 터브(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드럼(30) 상측 개구부(62a)를 통해 드럼(30)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드럼(30) 원주면과 터브(20) 원주면 사이의 원통형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드럼(30) 상측 개구부(62a)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바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제로 가열이 일어나는 드럼(30) 원주면과의 접촉 없이 드럼(30) 상측 개구부(62a)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온도가 높지 않다. 따라서 역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경우에는 드럼(3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따른 건조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터브(20)의 원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면 필연적으로 드럼(30)을 거쳐서 드럼(3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도 7a는 열교환기를 통한 응축수의 배수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필터, 팬, 열교환기 및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경사져서 형성된 배출부 및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열교환기를 통한 응축수의 배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거쳐 습기를 머금은 공기는 드럼(30) 전방 상측 개구부(62a)와 연결된 덕트(120)의 연통부를 통하여 린트 필터(80)를 거쳐 팬(90)에 의하여 열교환기(100)까지 유입된다. 이때 열교환기(100)를 통하여 습한 공기가 건조한 공기로 바뀌어 배출된다. 또한 열교환기(100)는 터브(2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공기를 응축시키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응축수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가 열교환기(100)를 거친 후에는 건조한 공기 및 응축수를 배출하게 된다.
열교환기(100)는 덕트(120)에 설치되고, 터브(20)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때 열교환기(100)는 터브(20) 후면 방향 하측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경사(d1) 설치된다. 이는 열교환기(100)를 통과한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자연적인 배수가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열교환기(100)를 통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경사(d1)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흐른 뒤 배출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응축수는 터브(20) 외주면을 타고 터브(20) 하측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다.
이때 터브(20)를 타고 흐르는 응축수의 유로는 터브(20)의 형상대로 자유롭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만 배수관(d2)을 가림막(111)의 측면에 위치한 응축부 배출구(112)에 연결하여 배수관 입구가 가림막(111)에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수관으로 흘러들어 터브(20) 하측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응축수 및 열교환을 거친 공기는 배출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때 배출부(110)는 곡면인 호형의 단면을 가지는 가림막(111)을 기준으로 가림막(111) 전방으로는 응축수 배출구(112), 가림막(111) 후방으로는 공기 배출구(113)가 위치한다.
경사진 열교환기(100)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는 경사를 통하여 배출부(110) 방향으로 흐르다가, 가림막(111)에 의하여 응축수 배출구(112) 쪽으로 방향이 직각 전환되어 응축수 배출구(112)로 배출된다. 응축수 배출구(112)는 터브(20) 외주면과 연결되어 있고, 응축수 배출구(112)를 통과한 응축수는 터브(20) 외주면을 타고 하측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다.
열교환기(100)를 통과한 건조 공기는 가림막(111) 상측으로 유동되어 가림막(111) 후방의 공기 배출구(113)를 통하여 터브(20) 내로 유입된다. 가림막(111)의 형상이 호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서, 공기가 호형의 가림막(111)을 타고 자연스럽게 공기 배출구(113)로 배출될 수 있다.
가림막(111)의 높이는 1~2cm 정도가 적당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높이의 가림막(111)을 설치할 수 있다. 가림막(111)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는 열교환기(100)에서 흘러내려오는 응축수가 자연스럽게 터브(20) 외주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응축수와 공기가 함께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응축수가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응축수에 따른 유로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림막(111)의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도 8은 냉각팬이 인덕션 히터 및 열교환기에 모두 적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냉각팬의 위치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교환기(100)는 냉매를 이용하여 덕트(120) 내의 습한 공기를 냉매의 증발과정에서 제습하고, 냉매의 응축과정을 통하여 제습된 공기를 다시 가열한다. 이러한 냉매의 증발과정과 응축과정 사이에 냉매의 압축이 필요하다. 이때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하고, 따라서 온도 상승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 저하 및 필요 전력 상승을 막기 위하여 냉각팬(101)을 구비한다. 냉각팬(101)을 통하여 열교환기(100)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인덕션 히터(70)의 경우에도 드럼(30)을 가열하는데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 발열량에 의한 히터의 고장 및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히터의 전원을 off 시킨 이후에도 인덕션 히터(70)에 잔열이 남아있어 건조 기능 및 이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상이 생길 우려가 있는바, 인덕션 히터(70)를 냉각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열교환기(100)도 터브(20)의 상측에 위치한 덕트(120)에 설치되고, 인덕션 히터(70)도 터브(20)의 상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하나의 냉각팬(101)을 사용하여 열교환기(100) 및 인덕션 히터(70)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각팬(101) 또한 터브(20) 상측에 위치시켜서 두 장치를 모두 냉각시킴으로써 냉각팬(101)의 공용화를 이루고, 동시에 그에 따른 전력 손실 절감 및 내부 구조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착탈이 가능한 린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린트 필터의 위치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린트는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푸라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린트 필터(80)는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린트를 필터링하여 보다 맑은 공기가 드럼(30) 내로 계속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린트 필터(80)는 드럼(30) 전방 상측 개구부(62a)에 위치한 덕트(120)의 연통구에 설치된다. 상기 위치는 캐비닛(10)과 터브(20)의 사이에 형성된 개스킷의 상측부 이기도 하다.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팬(90)의 회전에 의해 드럼(30) 전방 상측 개구부(62a) 상의 덕트(120) 연통구로 배출된다. 이때 린트 필터(80)가 드럼(30) 전방부의 덕트(120) 입구에 설치되어, 드럼(30) 내부로부터 덕트(1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덕트(12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린트가 덕트(120) 내부로 유입되어 누적되거나 유로를 폐쇄하여 공기 순환에 방해가 될 소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건조 성능의 저하를 막고 건조 행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토록 할 수 있다.
린트 필터(80)는 착탈이 가능하다. 따라서 린트 필터(80)에 문제가 생기거나 새 것으로 교체할 시기가 되었을 때, 린트 필터(80)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기존의 린트 필터(80)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에 위치하여 실제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필터(80)의 교체를 원할시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고 청소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린트 필터(80)는 세탁물 처리장치 전면부의 개스킷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필터(80)를 탈착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필터(80)의 사용성이 강화되고, 사용자가 실제로 필터(80)에 낀 린트를 확인하고 그 필터(80)를 청소함으로써 심리적인 청결감을 느낄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 하여야 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캐비닛 11 : 컨트롤 패널
12 : 세제박스 20 : 터브
21 : 전방 터브 22 : 후방 터브
25 : 연결부 26 : 터브 체결부
30 : 드럼 30h : 통공
40 : 구동부 41 : 모터
42 : 회전축 43 : 스파이더
50 : 리프터 60 : 도어
61 : 개스킷 62 : 개구부
62a : 상측 개구부 70 : 인덕션 히터
71 : 코일 72 : 히터커버
80 : 필터 90 : 팬
100 : 열교환기 101 : 냉각팬
110 : 배출부 111 : 가림막
112 : 응축수 배출구 113 : 공기 배출구
120 : 덕트

Claims (14)

  1. 캐비닛;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가 전방에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측면이 원주면으로 형성된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인덕션 히터;
    상기 드럼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덕트; 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터브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의 전방 상측 개구부 및 상기 터브의 원주면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의 전방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를 거친 공기는 상기 터브의 원주면으로 유입되며, 상기 터브 내로 투입된 공기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 드럼 내부로 유동되어 순환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기 덕트로 유입시키는 팬;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 필터;
    상기 터브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 가 설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린트 필터, 팬, 열교환기를 차례로 거쳐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하는 응축수 및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하측으로 소정의 기울기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경사를 통해 흐르는 응축수의 방향을 바꿔 응축수를 배출하는 가림막을 구비하며, 상기 가림막이 응축수와 만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 측면에 형성된 배수관을 통해 응축수를 배출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를 통과한 응축수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 배출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터브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인덕션 히터도 함께 냉각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필터는 착탈이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필터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서 세탁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의 상측에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후면과 상기 캐비닛은 인접하여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히터는 회전하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가열하고, 상기 드럼 원주면 바깥의 공기는 상기 드럼의 내부로 유동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80017202A 2018-02-12 2018-02-12 세탁물 처리장치 KR102619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02A KR102619008B1 (ko) 2018-02-12 2018-02-12 세탁물 처리장치
EP19156575.3A EP3524727B1 (en) 2018-02-12 2019-02-12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9/001656 WO2019156526A1 (ko) 2018-02-12 2019-02-12 세탁물 처리장치
US16/273,651 US11427954B2 (en) 2018-02-12 2019-02-12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02A KR102619008B1 (ko) 2018-02-12 2018-02-12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96A true KR20190097596A (ko) 2019-08-21
KR102619008B1 KR102619008B1 (ko) 2023-12-28

Family

ID=6541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202A KR102619008B1 (ko) 2018-02-12 2018-02-12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27954B2 (ko)
EP (1) EP3524727B1 (ko)
KR (1) KR102619008B1 (ko)
WO (1) WO20191565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957A1 (ko) * 2020-03-20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87919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079B1 (ko) * 2017-08-09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626543B2 (en) * 2018-05-18 2020-04-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nduction heating system for a dryer appliance
US11008696B2 (en) * 2018-12-28 2021-05-18 Whirlpool Corporation Supplemental condensate delivery system having a snap-in drain member
US10765974B2 (en) * 2019-01-25 2020-09-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t collection assembly for a dryer appliance
KR20210111179A (ko) * 2020-03-02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2007903A (zh) * 2020-09-18 2020-12-01 浙江赛航机械有限公司 一种乳胶制品泡洗烘一体机
KR20220114167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1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998A (ja) * 2002-10-21 2004-05-13 Nippon Kouatsu Electric Co ドラム式衣類乾燥機
JP2013070921A (ja) * 2011-09-29 2013-04-22 Panasonic Corp 乾燥装置
KR20140095740A (ko) * 2013-01-25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49735A (ko) * 2014-10-28 201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059342A1 (en) * 2015-02-20 2016-08-2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of ope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846A (en) * 1977-10-05 1980-01-01 Cunningham Ronald J Rotary heating apparatus
EP0356689A1 (en) * 1988-08-10 1990-03-07 Hitachi, Ltd. Clothes dryer
KR950007270B1 (ko) * 1992-12-15 1995-07-07 대우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DE10135471A1 (de) * 2001-07-20 2003-01-3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schetrockner mit herausnehmbarem Filter
ES2342726T3 (es) 2006-10-19 2010-07-1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aquina lavadora domestica con calentamiento por induccion.
TR201005181A2 (tr) * 2010-06-25 2010-12-21 Vestel Beyaz E�Ya Sanay� Ve T�Caret Anon�M ��Rket�@ Bir indüksiyon ısıtma sistemi
EP2554740B1 (en) * 2011-08-01 2019-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7819B1 (ko) * 2012-02-29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140028406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와 이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48565B1 (ko) * 2012-10-22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수단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
KR102009278B1 (ko) * 2012-10-22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EP2948584B1 (en) * 2013-01-25 2020-03-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127383B1 (ko) * 2013-08-01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60258098A1 (en) * 2015-03-06 2016-09-08 Hg LAUNDRY SYSTEMS, LLC Combination washer/dryer apparatus
KR101694158B1 (ko) * 2015-05-11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1718042B1 (ko) * 2015-06-19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EP3246454B1 (de) * 2016-05-19 2019-11-06 Miele & Cie. KG Wäschetrockner
KR20180013535A (ko) 2016-07-29 2018-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세탁건조기 및 그의 건조운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998A (ja) * 2002-10-21 2004-05-13 Nippon Kouatsu Electric Co ドラム式衣類乾燥機
JP2013070921A (ja) * 2011-09-29 2013-04-22 Panasonic Corp 乾燥装置
KR20140095740A (ko) * 2013-01-25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49735A (ko) * 2014-10-28 201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059342A1 (en) * 2015-02-20 2016-08-2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of ope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operation state in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919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87957A1 (ko) * 2020-03-20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49355A1 (en) 2019-08-15
WO2019156526A1 (ko) 2019-08-15
EP3524727A1 (en) 2019-08-14
EP3524727B1 (en) 2021-10-27
US11427954B2 (en) 2022-08-30
KR102619008B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00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CN107780120B (zh) 衣物处理装置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US7024795B2 (en) Drying apparatus
KR10236467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304987A (ja) 衣類乾燥装置
KR20050099251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JP4507966B2 (ja) 洗濯乾燥機
KR102550766B1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2006204656A (ja) 洗濯乾燥機
JP4685588B2 (ja) 洗濯乾燥機
JP2006314503A (ja) 洗濯乾燥機
JP2004358028A (ja) 衣類乾燥装置
JP2004350825A (ja) 洗濯乾燥機
JP4594221B2 (ja) 洗濯乾燥機
JP2008000232A (ja) 洗濯乾燥機
JP2007289454A (ja) 洗濯乾燥機
JP6183633B2 (ja) 乾燥装置
JP2015054109A (ja) 衣類乾燥機
JP4356390B2 (ja) 洗濯乾燥機
KR20020095370A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JP2011056194A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2771053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670737B2 (ja) 洗濯乾燥機
JP4616151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