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87957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87957A1
WO2021187957A1 PCT/KR2021/003455 KR2021003455W WO2021187957A1 WO 2021187957 A1 WO2021187957 A1 WO 2021187957A1 KR 2021003455 W KR2021003455 W KR 2021003455W WO 2021187957 A1 WO2021187957 A1 WO 20211879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ct
drum
tub
cabinet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34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범준
노현우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80022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298385A/zh
Priority to EP21770476.6A priority patent/EP4123083A4/en
Priority to US17/912,785 priority patent/US20230145222A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3616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17981A/ko
Publication of WO20211879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879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 드럼;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에서 상기 드럼 측으로 연장되는 관상의 연장부; 상기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 덕트;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 상기 제1 덕트의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제1 팬; 그리고, 상기 제1 덕트에 연결된 입구를 갖고, 상기 제1 덕트에서 상기 드럼의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제2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입구의 면적보다 상기 출구의 면적이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건조기능을 포함한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물이 저장된 터브내에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상기 세탁기는 물을 가열하거나 세탁물 건조를 위한 가열수단을 구비하기도 한다.
상기 건조기는 캐비닛 내에서 드럼을 회전시키고, 드럼 내부의 세탁물에 열을 가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가열 또는 건조를 위해 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열수단으로서 전기히터 또는 히트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건조과정에서는 종래 터브와 외부 순환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세탁물을 건조하는 열풍 건조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 상에 열선을 배치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다.
상술한 열풍 건조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선을 가열할 수 있는 가스 히터나 전기 히터가 필요하나, 가스 히터는 안전성과 배기가스에 대한 문제가 있으며, 전기 히터는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으며 과도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열풍 건조방식 외에도 히트펌프를 이용한 저온 제습 건조방식이 있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압축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 위의 열풍 건조방식과 저온 제습 건조방식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공기를 이용한 간접 건조방식이므로, 세탁물이 뭉쳐져 있거나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많을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새로운 가열수단으로서 인덕션 모듈(또는, 인덕션 히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세탁기,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인덕션 모듈에는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대상(세탁기의 드럼)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인덕션 모듈은 드럼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열풍 건조방식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터브로 안내하는 순환덕트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순환덕트를 구비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건조행정 시, 린트(Lint)가 캐비닛 도어의 배면, 터브의 전방, 개스킷 등에 축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8-0023276(2018.03.07.)건은 인덕션부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의 구조에 있어서 인덕션 모듈이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의 공기유동을 위한 구조가 개시되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 도어의 배면, 터브의 전방, 개스킷 등에 린트가 축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사, 인덕션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드럼을 직접 유도가열하고, 가열된 공기가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선해하더라도, 터브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린트의 축적 문제를 방지할 수는 없다.
또한, 공개특허의 경우 인덕션 모듈을 냉각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인덕션 모듈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열에 코일의 열화가 진행되어 유도가열모듈의 성능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인덕션 히터를 구비한 건조기, 세탁기, 세탁기 겸용 건조기 또는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 등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은 목적은, 건조시 전력 소비량을 절감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드럼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도어, 터브, 개스킷 등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도어, 터브, 개스킷 등에 린트의 축적을 예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인덕션 히터의 코일의 과열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과, 드럼 외부에 구비되는 덕트와, 드럼을 가열하고 덕트 내에 배치되는 인덕션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에 마주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잇다. 상기 드럼은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럼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에서 상기 드럼 측으로 연장되는 관상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제1 덕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 덕트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제1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기란 상기 캐비닛과 상기 드럼 사이의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터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외기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의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제1 덕트에 연결된 제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에 연결된 입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에서 상기 드럼의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연결된 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입구의 면적보다 상기 출구의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드럼의 개구부 전방에서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드럼 내부의 세탁물에서 분리된 린트가 도어, 터브 전방면, 후술하는 개스킷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 폭과,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정의되는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의 제1 폭은 상기 제2 덕트의 제2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연장부 내측으로 드럼 반경방향으로 넓고 드럼 폭 방향으로 얇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의 출구의 제1 폭은 상기 제2 덕트의 입구의 제1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팬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덕트와 연통하는 팬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제1 덕트의 중심에 대해 상기 제2 덕트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드럼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제1 덕트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해 상기 팬 하우징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와 연통하는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개비닛 외부를 연통하는 제3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를 포함하지 않는 건조기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및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내부에 상기 드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마주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터브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의 출구는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는 상기 터브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모터(또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팬 모터, 상기 드럼 모터 및 상기 인덕션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션 히터를 구동하며 상기 팬모터를 통해 상기 팬을 기 설정된 제1 회전속도보다 작은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을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회전시킨 후, 상기 팬 모터를 통해 상기 팬을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큰 제2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속도는 60 내지 100rpm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회전속도는 60rpm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회전속도는 100 내지 200rpm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회전속도는 200rpm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 터브 내부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팬 모터를 통해 상기 팬을 상기 제2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는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 함유율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터브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터브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와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팬 모터를 통해 상기 팬을 상기 제2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와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브 내부의 습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와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 함유율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수분 함유율을 기초로 상기 팬 모터를 통해 상기 팬을 제2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수분 함유율이 기준 값보다 작을 때, 상기 팬을 제2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은 5퍼센트 내지 18퍼센트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은 15퍼센트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터를 통해 상기 팬을 기 설정된 제1 회전속도 이하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을 상기 제1 회전속도 이하의 속도로 회전한 후, 상기 팬 모터를 통해 상기 팬을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빠른 제3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제1 회전속도 이하의 속도로 회전과 상기 팬의 제3 회전속도로 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3 회전속도는 100 내지 200rpm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속도는 상기 제2 회전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들어 제3 회전속도는 100rpm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션 히터를 구동할 때,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중력보다 크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IH 모듈이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또는 개스킷에서 발생되는 린트를 저감할 수 있는 공기순환구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터브의 전방에서 터브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순환유동을 발생시켜 터브 전방의 도어 또는 개스킷에 린트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IH 모듈이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IH 모듈의 냉각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어 또는 개스킷에 린트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IH 모듈의 구동과 공기순환유동을 위한 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IH 모듈의 냉각, 세탁물의 건조 및 린트가 도어 또는 개스킷에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IH 모듈이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 시, 드럼의 내주면에 세탁물이 부착되도록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세탁물의 마찰에 의한 린트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고 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드럼과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개스킷과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와 상기 개스킷을 연통하여,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덕트와 상기 제1덕트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및 상기 제1덕트의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제1팬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여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덕트와 상기 캐비닛을 연통하는 제2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의 갭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는, 터브 개구부 및 상기 터브의 본체를 구성하는 터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 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터브 바디에서 상기 터브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서 상기 제1덕트의 일단과 상기 터브 개구부를 연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의 회전, 상기 인덕션 모듈 및 상기 제1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팬은 상기 인덕션 모듈의 작동에 기초하여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팬은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작동됨과 동시에 또는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작동된 후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팬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드럼은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작동된 후, 소정시간 동안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RPM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은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작동된 후,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제1RPM보다 더 높은 제2RPM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 시,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RPM으로 드럼이 회전하는 구간이 적어도 한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 시,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RPM보다 더 높은 제2RPM으로 회전하는 구간이 적어도 한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고 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드럼과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상기 드럼의 개구부 사이에 구비되는 개스킷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과 상기 인덕션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터브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인덕션 모듈에 외기를 공급하는 팬을 포함하여, 상기 팬을 통해 상기 덕트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인덕션 모듈을 냉각시킨 후, 상기 개스킷의 전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개스킷을 향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를 포함하여 건조시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덕션 히터를 덕트내에 배치하여 간단한 구조로 드럼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덕트의 출구를 드럼 전방에 배치하여, 도어, 터브, 개스킷 등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고, 린트의 축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시 린트 발생량이 많은 시간 구간에 덕트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린트의 축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건조성능을 유지하며 축적된 린트를 제거, 린트 축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드럼 내주면에서 낙하하지 않고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린트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인덕션 히터를 덕트 내부에 배치하여, 인덕션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덕션 히터가 내부에 수용된 제1 덕트와 개스킷(또는, 연장부)를 연결하는 제2 덕트의 입구 면적보다 출구 면적이 작아, 에어커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덕트는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폭이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정의되는 제2 폭보다 작아 넓고 빠른 공기유동을 통해 에어커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팬 하우징을 제2 덕트 반대측에 배치하여 인덕션 히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인덕션 모듈, 터브 및 제1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8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인덕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코일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코일이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의 형상에 따른 드럼의 위치별 온도 상승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세탁물의 섬유의 수분 함유율과 세탁물에서 분리된 린트의 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팬 모터의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린트의 축적을 예방하는 팬 모터의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면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의 세부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방향을 정의하자면, 의류처리장치의 중앙을 기준으로 도어(12)를 향하는 방향이 전방(Front)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이 후방(Rear)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우측(Right) 및 좌측(Left) 방향은 위에서 정의된 전후방 방향에 종속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 또는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를 포함하지 않는 건조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로서 건조 겸용 세탁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 드럼(3)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4, 이하, '인덕션 모듈'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일례로, 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 또는 리프레쉬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의류를 세탁수에 의해 세탁하는 경우 이를 세탁대상물이라 할 수 있고, 젖은 의류를 열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 이를 건조대상물이라 할 수 있고, 마른 의류를 열풍, 냉풍 또는 스팀 등을 이용하여 리프레쉬(Refresh)하는 경우 이를 리프레쉬 대상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드럼(3)을 통해서 의류를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구비되어 대상물이 출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는 도어 프레임(121)과 상기 도어 프레임(121)의 중앙부에 구비된 투시창(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상부 측에는 세제박스(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7)를 통해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7)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상부 측에는 컨트롤 패널(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각종 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에 따른 정보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상기 컨트롤 패널(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1)의 하면과 나란하거나, 소정각도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전방에 터브 개구부(2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2)는 상기 터브 개구부(21)와 터브의 본체를 구성하는 터브 바디(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 바디(22)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22)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터브 개구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제2지지부(132)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하면(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132)는 지지바(1321)와 댐퍼(1322)를 구비하여 상기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터브(2)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2)의 상면은 상기 캐비닛(1)의 상면에 고정된 제1지지부(13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31)를 통해 상기 터브(2)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131) 및 제2지지부(13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서 상기 터브(2)를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터브(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드럼(3)은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은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3)의 바디는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3)의 바디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3)에 복수의 관통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1)의 하면(바닥면)과 나란하거나 또는 소정각도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대상물을 수용하며, 전방에는 상기 터브 개구부(21)와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 대한 상기 터브(2)와 상기 드럼(3)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각도는 동일한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드럼(3)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3)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을 통해 드럼(3) 내부와 터브(2) 내부 사이의 공기와 세탁수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럼(3)의 내주면에는 드럼(3)의 회전 시 대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리프터(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35)는 드럼(3)의 내주면에서 드럼(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드럼(3)의 내주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터브(2)의 후방에 구비된 구동부(6, 또는 '드럼 모터'라고도 함)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61),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3),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과 로터(63)를 연결하는 회전축(6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61)는 터브(2)의 배면에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66)의 후방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63)는 스테이터(61)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로터 자석(632) 및 상기 로터 자석(632)과 회전축(65)을 연결하는 로터 하우징(6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의 내부에는 회전축(65)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어링(68)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의 배면에는 로터(63)의 회전력을 드럼(3)에 용이하게 전달시키는 스파이더(6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파이더(67)에는 로터(63)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65)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호스는 터브(2)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4)는 터브(1) 내부의 물이 이동하는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배수관(142) 및 상기 배수관(142)을 통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관(142) 내부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배수펌프(1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상기 배수관(142)은 상기 터브(2)의 하면과 상기 배수펌프(141)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1421) 및 일단이 상기 배수펌프(141)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배수관(1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투입구와 터브 개구부(21) 사이에는 개스킷(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13)은 상기 터브 개구부(21)와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는 투입구(11)를 연결한다. 상기 개스킷(13)은 터브(2) 내부의 물이 캐비닛(1)으로 누수되는 문제와 터브(2)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개스킷(13)은 캐비닛(1)의 투입구에서 터브(2) 또는 드럼(3)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개스킷(13)을 연장부(13)라고도 한다.
상기 터브(2) 내에는 복수개의 온도센서(133a, 13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들은 터브(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부 온도센서(133a)는 터브(2)의 상부에 위치되어 인덕션 모듈(4)을 통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하부 온도센서(133b)는 터브(2)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탁수 또는 습공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들은 인덕션 모듈(4)에 의해 목표 온도까지 공기가 가열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후술하는 제어부(8)에 의해 인덕션 모듈(4)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터브(2) 내에 드럼(2) 내의 세탁물의 수분 함유율과 연관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습도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상기의 온도센서(133a, 133b)일 수 있다. 제어부(8)는 제1 온도센서(133a)가 감지한 온도와 제2 온도센서(133b)가 감지한 온도에 기초하여 터브(2) 내부의 습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8)는 제1 온도센서(133a)가 감지한 온도와 제2 온도센서(133b)가 감지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 함유율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인덕션 모듈, 터브 및 제1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을 유도가열하기 위한 인덕션 모듈(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4)은 세탁수의 가열 또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드럼(3)을 가열할 수 있다. 인덕션 모듈(4)을 이용하여 드럼(3)을 가열하는 원리는 아래와 같다.
인덕션 모듈(4)은 터브(2)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와이어가 권선된 코일(42)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드럼(3)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와이어는 심선과 심선을 감싸는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선은 단일 심선일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심선이 얽혀 하나의 심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두께 내지는 선경은 심선과 코팅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 권선된 코일(42)에 전류의 위상이 변하는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앙페르 회로 법칙에 따라 코일(42)은 방사형의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교류자기장은 투자율이 큰 도체 이루어진 드럼(금속 재질) 쪽으로 집중되게 된다. 상기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이란, 매질이 주어진 자기장에 대해 자화하는 정도를 말한다. 이 때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드럼(3)에는 와전류(eddy current)가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와전류는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을 타고 흐르다가 드럼(3) 자체의 저항에 의해 줄 열(Joule heat)로 전환되어 드럼(3)의 내벽이 직접 가열된다.
드럼(3)의 내벽이 직접 가열되면, 드럼(3) 내부의 공기온도와 드럼(3)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세탁물의 온도가 같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직접가열이 가능하므로 간접 가열방식인 열풍 건조방식이나, 저온 제습 건조방식만을 사용하는 건조 장치에 비해 더 빠른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세탁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별도의 열선과 유로를 구비하지 않고도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세탁수는 고온으로 가열된 드럼(3)의 내외벽에 계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터브 하부에 별도의 유로와 열선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술한 방식에 의하면 터브 하부에 별도의 유로와 열선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더 빠른 세탁수의 가열이 가능하다.
상기 인덕션 모듈(4)은 코일(42)이 권선되는 베이스 하우징(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41)은 터브 바디(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411)과 상기 터브 바디(22)의 결합을 위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41)에는 체결부(4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2)는 상기 체결부(4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덕트(10)는 상기 터브(2)의 체결부(42)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체결부(41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체결부(110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체결구조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41)은 상기 터브(2)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덕트(10)는 상기 인덕션 모듈(4)을 수용하면서 상기 터브(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10)의 상부에는 팬 하우징(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덕트(10)에서 터브 바디(22)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팬(91)이 구비된다. 상기 팬 하우징(110)은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흡입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1)를 통해 외기가 상기 제1덕트(1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 상기 팬 하우징(110)은 상기 제1덕트(10)를 관통하며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덕트, 인덕션 모듈 및 터브의 체결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도4 및 도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체결구조는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코일(42)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드럼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순환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제1덕트(10)는 상기 터브(2)의 외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인덕션 모듈(4)을 수용하면서 유로(11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로(112)는 상기 제1덕트(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4)은 상기 제1덕트(10) 내에 구비되어 인덕션 모듈(4)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4)은 상기 터브 바디(22)의 원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덕트(10)는 상기 인덕션 모듈(4)을 수용하며, 상기 터브 바디(22)의 후방에서 상기 터브 개구부(21)를 향해 연장되어 구비된다.
제1 팬(91)은 상기 제1덕트(10) 내에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팬(91)은 제1덕트(10) 또는 제1 덕트(10)에 연결된 유로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덕트(10)는 상기 제1덕트(10)의 내부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
팬 모터(미도시)는 제1 팬(9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8)는 팬 모터를 제어하여 제1 팬(9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팬(91)은 상기 제1덕트(10)에서 상기 터브 바디(22)의 후방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9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덕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터브(2)의 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팬(91)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터브 바디(22)의 후방 측에서 유입되어 터브 개구부(21)를 향해 안내됨으로써, 상기 인덕션 모듈(4)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덕트(10)의 일측은 제2덕트(20)와 연통된다. 상기 제2덕트(20)는 상기 제1덕트(10)와 개스킷(13)을 연통하여 상기 제1덕트(10)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개스킷(13)의 전방으로 토출시킨다.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건조대상물에서 발생하는 린트(Lint)가 상기 개스킷(13)과 터브 개구부(21) 측에 축적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인덕션 모듈(4)이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된 공기순환을 위한 덕트와는 다른 구조의 덕트가 적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인덕션 모듈(4)을 통해 드럼(3)을 가열하기 때문에 별도의 열선 등과 같은 히터부재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하부측에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히터부재가 구비되며, 순환식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히터부재로부터 터브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덕트에 구조가 적용된다. 그리고 배기식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부재와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히터부재가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고온의 공기는 터브의 전면과 연결되는 덕트로 토출되어 린트가 개스킷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인덕션 모듈이 적용되면서 상술한 종래의 히터부재가 구비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드럼의 용적량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수용할 수 있는 세탁물의 양이 늘어나며, 건조행정 시 발생하는 린트의 양도 증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개스킷의 전방으로 고온의 공기를 안내하여 개스킷과 터브의 개구부측에 축적되는 린트를 제거하고, 또한 터브의 개구부측에서 터브의 바디 내부 또는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일종의 에어 커튼(Air cotton)을 형성하여 린트가 개스킷과 터브의 개구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덕트(20)는 제1 덕트(10)에 연결된 입구를 가질 수 있다. 제2 덕트(20)는 제1 덕트(10)에서 드럼(3)의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덕트(20)는 개스킷(13, 또는 연장부)의 외주면에 연결된 출구를 가질 수 있다.
제2 덕트(20)는 상기 입구의 면적보다 상기 출구의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제2 덕트(20)는, 드럼(3)의 길이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 폭과, 드럼(3)의 반경방향으로 정의되는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덕트(20)의 상기 제1 폭은 제2 덕트(20)의 상기 제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덕트(20)의 상기 출구의 상기 제1 폭은 제2 덕트(20)의 상기 입구의 상기 제1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드럼의 개구부 전방에서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드럼 내부의 세탁물에서 분리된 린트가 도어, 터브 전방면, 후술하는 개스킷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연장부 내측으로 드럼 반경방향으로 넓고 드럼 폭 방향으로 얇게 유동할 수 있다.
제2 덕트(20)는 제1 덕트(10)의 중심에 대해 팬하우징(11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덕트(10)는 상기 드럼 상측에 위치하고, 제2 덕트(20)는 제1 덕트(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덕트(20)는 제1 덕트(10)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해 팬하우징(110)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덕트 구조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린트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덕션 모듈(4)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제1덕트(10) 및 제2덕트(2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제1덕트(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덕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제1덕트(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인덕션 모듈(4)을 냉각시킨 후 제2덕트(20)로 안내된다.
상기 제2덕트(20)는 상기 제1덕트(10)와 상기 개스킷(13)을 연통하여 상기 제2덕트(20)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개스킷(13)의 전방을 향해 토출된다.
상기 제2덕트(20)로 토출된 공기는 개스킷(13)의 전방에서 터브 개구부(21)를 거쳐 터브(2)의 내부 공간 또는 드럼(3)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덕트(20)로 토출된 공기는 개스킷(13)과 터브 개구부(21) 측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으며, 린트가 개스킷(13)과 터브 개구부(21)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터브(2)의 내부 공간 또는 드럼(3)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3덕트(30)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0)는 터브(2)와 캐비닛(1)을 연결하여 상기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제3덕트(30)의 내부에 린트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3덕트(30)와 캐비닛(1)을 연통하는 제2팬(92)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팬(92)을 통해 제3덕트(30)로 안내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드럼(3)을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제3덕트(30)로 안내되어 캐비닛(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대적으로 무거운 린트들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제3덕트(30)의 내부에 축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팬(92)을 통해 보다 강한 기류를 형성하여 제3덕트(30)의 내부에 린트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팬(91)을 통해 상기 제1덕트(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터브(2)와 상기 캐비닛(1) 사이의 갭(gap)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들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4 내지 도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성은 제어부(8), 인덕션 모듈(4), 구동부(6) 및 팬 모듈(9)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모든 구성들이 제어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온도센서(133a,133b)들 역시 제어부(8)에 의해 온도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온도센서들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덕션 모듈(4), 구동부(6) 및 팬 모듈(9)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일부 제어 구성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8)는 상기 구동부(6)를 제어하여 드럼(2)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2)이 회전할 시, 상기 인덕션 모듈(4)을 작동시켜 상기 드럼(2)을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4)은 상기 드럼(2)이 회전한 후,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럼(2)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2)이 작동될 경우 드럼(2)이 국부적으로 가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드럼(2)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면, 드럼 내에 수용되는 대상물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또는 인덕션 모듈(4)의 주변 전자기기들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 모듈(4)은 상기 드럼(2)의 국부적인 가열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2)이 소정 RPM 이상으로 회전한 후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인덕션 모듈(4)은 반드시 상기 드럼(2)의 회전 후에만 작동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덕션 모듈(4)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모드에 따라 드럼(2) 내부를 건조시키기 위해 드럼(2)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건조 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세탁물의 섬유 수분 함유율(FMC; fiber moisture content)이 감소(즉, 세탁물의 건조)하고, 발생된 린트(Lint)의 양이 증가한다.
특히, 린트는 건조 행정의 중반 이후에 급격히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120분경 린트 발생율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또한, 건조 행정의 후반에는 린트가 천천히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180분경 린트 발생율이 감소한다.
이를 통해, 세탁물의 건조 정도와 린트 발생율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의 수분함유율이 18퍼센트 내지 5퍼센트 범위 내일 때, 린트 발생양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가 진행되며 섬유의 수분함유율이 감소하고, 섬유의 수분함유율이 15퍼센트일 때, 린트 발생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8)는 섬유의 수분함유을에 기초하여 팬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는 섬유의 수분함유율이 15퍼센트일 때 팬 모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8)는, 인덕션 히터(4)의 구동하며 팬(91)을 회전시켜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덕션 히터(4)의 구동과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팬(91)의 회전과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인덕션 히터(4)의 구동과 팬(91)의 회전은 같은 시간구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된 팬(91)은, 60rpm 이하로 회전시, 공기를 터브(2)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나, 공기 유속이 느리고 유량이 적어 린트 발생을 예방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60rpm 이상으로 회전시 린트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정도의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100rpm 이상으로 회전시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에어커튼(또는 에어젯)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8) 팬 모터를 통해 상기 팬을 제1 회전속도(예를 들어 60rpm) 이하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도 11의 a, b, c 구간). 제어부(8)는 팬(91)을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회전시킨 후, 팬(91)을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큰 제2 회전속도(예를들어 200rpm)로 회전시킬 수 있다(도 11의 d 구간).
예를들어, 제1 회전속도는 60 내지 100rpm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회전속도는 60rpm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회전속도는 100 내지 200rpm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회전속도는 200rpm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8)는, 인덕션 히터(4)의 구동하며 팬(91)을 회전시켜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덕션 히터(4)의 구동과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팬(91)의 회전과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인덕션 히터(4)의 구동과 팬(91)의 회전은 같은 시간구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8)는 팬(91)을 기 설정된 제1 회전속도(예를들어 60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팬(91)을 상기 제1 회전속도 이하의 속도로 회전한 후, 팬(91)을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빠른 제3 회전속도(예를들어 100rpm)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8)는 팬(91)의 제1 회전속도 이하의 속도로 회전과 상기 팬의 제3 회전속도로 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3 회전속도는 100 내지 200rpm 범위 내일 수 있다.
제3 회전속도는 상기 제2 회전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들어 제3 회전속도는 100rpm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8)는, 인덕션 히터(4)를 구동할 때, 드럼(3)의 회전에 의해 드럼(3)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중력보다 크도록 드럼(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부(8)는 드럼(3)을 60rpm 내지 100 rpm 범위 내의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팬(91)은 상기 인덕션 모듈(4)의 작동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팬(91)은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작동됨과 동시에 또는 상기 인덕션 모듈(91)이 작동된 후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8)는 상기 제1팬(91)에 의한 인덕션 모듈(4)의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 상기 인덕션 모듈(4)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제1팬(91)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온도에 따라 상기 제1팬(91)의 구동 시점을 상기 인덕션 모듈(4)의 작동시점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인덕션 모듈(4)이 작동된 후 소정시간 이후에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팬(91)은 상기 인덕션 모듈(4)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의한 건조행정 시, 상기 인덕션 모듈(4)에 의해 충분히 드럼(3)이 가열되어 목표온도가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4)은 단속적 온/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4)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건조는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행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린트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팬(91)은 지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팬(91)과 상기 인덕션 모듈(4)은 제어부(8)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또는 독립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 시,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인덕션 모듈(4)이 작동된 후 상기 드럼(2)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상기 제어부(8)는 상기 드럼(2)이 상기 인덕션 모듈(4)이 작동된 후 소정시간 동안 상기 드럼(2)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이 상기 드럼(2)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RPM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대상물의 양에 따라 또는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입력된) 목표온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린트(Lint)는 대상물의 마모에 의해 발생한다. 상기 대상물의 마모는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 시, 드럼 내부에서 대상물이 서로 부딪히거나 드럼 상부에서 드럼 내부로 떨어지면서 드럼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행정 시 대상물이 드럼 내주면에 부착되어 대상물 간의 부딪힘 또는 드럼 내주면과의 마찰을 최소화 하는 모션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린트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드럼(2)이 상기 제1RPM으로 회전하는 모션을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대상물이 상기 드럼(2)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대상물에 고르게 열풍을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조행정 시, 상기 대상물이 상기 드럼(2)의 내주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 린트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으나 오히려 대상물의 건조효율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인덕션 모듈(4)이 적용되어 인덕션 모듈(4)에 의해 드럼(3)을 직접 가열하는 구조에 있어서, 건조행정 시 상기 드럼(3)은 고온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대상물이 드럼(2)의 내주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대상물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8)에 의해 상기 드럼(3)이 제1RPM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되는 구간은 건조행정에서 소정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단속적으로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덕션 모듈(4)은 건조행정 시 목표온도에 도달할 경우 단속적으로 작동이 온/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에 의한 드럼(3)의 RPM 제어는 상기 인덕션 모듈(4)의 제어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드럼(3)의 RPM 제어가 상기 인덕션 모듈(4)의 제어와 독립적으로 제어될 경우,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인덕션 모듈(4)의 작동과 무관하게 상기 드럼(3)을 건조행정 구간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상기 제1RPM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 시,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인덕션 모듈(4)이 작동된 후 상기 드럼(2) 소정시간 동안 상기 드럼(2) 내부에 수용되는 대상물이 상기 드럼(2)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RPM 보다 더 높은 제2RPM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대상물의 양에 따라 또는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입력된) 목표온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RPM으로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간은 상기 드럼(2)의 내주면에 대상물을 부착시켜 린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구간이며, 상기 제2RPM으로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간은 상기 드럼(2)의 내부에서 강한 기류를 형성하여 린트를 제거하는 구간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드럼의 RPM 제어 구간이 반드시 린트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또는 린트를 제거하는 구간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RPM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 린트의 제거와 린트의 발생 예방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는 상기 드럼(3)을 상기 제2RPM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개스킷(13) 또는 터브 개구부(21) 측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상기 드럼(3)이 제2RPM으로 회전할 경우 터브 개구부(21) 측에서 드럼(3)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보다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스킷(13) 또는 터브 개구부(21) 측의 린트는 상술한 공기의 흐름에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술한 기류에 의해 개스킷(13) 또는 터브 개구부(21) 측으로 린트가 이동하여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RPM으로 드럼(3)이 회전할 경우 대상물은 드럼(3)의 내주면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린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한편, 제2RPM으로 드럼(3)이 회전하는 구간은 단속적으로 소정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상술한 제1RPM으로 드럼(3)이 회전하는 구간이 단속적으로 소정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과 유사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8)에 의한 드럼(3)의 RPM 제어는 상기 인덕션 모듈(4)의 작동과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 시 단속적으로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인덕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인덕션 모듈은, 도 3에서 설명된 인덕션 모듈(4)에서 영구자석(44)을 수용하기 위한 영구자석 하우징(43)과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43)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덕션 모듈(4)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인덕션 모듈(4)은 코일(42)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41)과 영구자석(44)을 수용하는 영구자석 하우징(43)과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43)을 덮어 상기 영구자석(44)이 탈거를 방지하는 커버 하우징(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44)은 차단부재 역할을 수행하며 드럼(3) 외에 주변의 다른 구성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코일(42)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드럼방향으로 집중시켜 가열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베이스 하우징(41)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의 형상이란,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또는 장방형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41)의 상부에는 코일(42)이 수용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41)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부(41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41)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411)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411)는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41)의 테두리에는 영구자석 하우징(43)의 후크(436)가 결합되는 고리(413)가 구비된다. 상기 고리(413)는 베이스 하우징(41)의 장변부의 양측에 각각 2개씩 모두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영구자석 하우징(43)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4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43)은 직사각형 또는 장방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영구자석 하우징(43)에는 영구자석(44)이 설치되는 장착부(433)가 구비된다. 또한 영구자석 하우징(43)은 한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수의 장착부(433)를 연결하는 연결부(4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434)는 상하로 막히는 구조보다는 상하로 개방되어 코일(4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부(434)에는 상하로 개방된 관통부(43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43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 하우징(41)의 중심 부근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433)는 영구자석(44)이 안착되는 부분이므로, 영구자석(44)과 대응되는 형상 즉 폭이 좁은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433)는 장변부 장착부(433a), 단변부 장착부(433b) 및 모서리부 장착부(433c)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부 장착부(433a)는 베이스 하우징(41)의 장변부의 대략 중앙 부근에 양쪽으로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단변부 장착부(433b)는 베이스 하우징(41)의 단변부의 대략 중앙 부근에 양쪽으로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모서리부 장착부(433c)는 베이스 하우징(41)의 중앙부에서 모서리 방향으로 각각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관통부(435)는 상기 장착부(433)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 예들 들어 상기 장착부(433)와 이웃하는 장착부(433)의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관통부(435)는 장착부(433)와 이웃하는 장착부 사이의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부(435)는 코일(4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영구자석 하우징(43)의 강도를 유지하는 한도에서는 가능한 넓은 면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영구자석(44)에 고온의 열이 가해지게 되면, 원자들이 무질서하게 운동하면서 자성을 잃게 되며, 이럴 경우 상기 인덕션 모듈(4)의 내구성 약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덕트에 의한 냉각유로 구조에 의해 상기 인덕션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킴으로써 인덕션 모듈의 내구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영구자석 하우징(43)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431)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431)는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구자석 하우징(43)의 테두리에는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후크(436)가 구비되고, 상기 후크(436)는 베이스 하우징(41)의 고리(413)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영구자석 하우징(43)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는 홈(432)이 구비되며, 상기 홈(432)은 커버 하우징(45)의 후크(433)와 결합된다.
한편, 커버 하우징(45)의 형상은 대략 영구자석 하우징(4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하우징(45)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하우징(45)의 중앙에는 관통부(435)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435)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거나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배출될 수 있다.
커버 하우징(45)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451)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451)의 구멍은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하우징(45)의 하부에는 영구자석 하우징(43)의 홈(432)과 결합되는 후크(433)가 구비된다.
도 7과 같이 인덕션 모듈(4)에 영구자석 하우징 및 커버 하우징이 구비될 경우, 상술한 제1팬 하우징(11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 영구자석 하우징 및 커버 하우징의 관통부(455, 435a, 415a)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코일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코일이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의 형상에 따른 드럼의 위치별 온도 상승률을 나타낸 그래프다.
이하 도 8을 참고하여 코일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코일(42)은 터브(2)의 외주면 상에서 동심원, 타원, 트랙 형상 등 와이어가 권선되어 코일(42)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면 어떤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으나 권선된 모양에 따라 상기 드럼(3)의 가열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왜냐하면 도 8(b)에서 개시된 코일의 형태와 같이 곡선부의 곡률반경이 내측코일과 외측코일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면, 드럼(3)의 중심방향에 전달되는 자기장과 전방 및 후방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드럼(3)의 전후방 근처에 위치한 코일의 면적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3) 전후방 근처에 위치한 코일의 면적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3)의 원주면 전방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고, 중앙부에 위치한 코일의 면적은 넓기 때문에 드럼(3)의 원주면 중심부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드럼(3)을 균일하게 가열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42)은 도 8(a)에서 볼 수 있듯이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를 잇는 곡선부를 구비하도록 와이어가 권선될 수 있으며, 상기 곡선부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곡률 반경은 내측코일과 외측코일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의 코일과 도 8(b)에서의 코일에서 모서리 부분에서 코일의 면적은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와 곡선부의 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상기 직선부는 터브(2)의 외주면 전방에 구비된 전방 직선부와 터브(2)의 외주면 후방에 구비된 후방 직선부를 포함하는 가로 직선부와, 상기 가로 직선부와 수직하게 형성된 세로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곡선부는 가로 직선부와 세로 직선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게 된다.
즉, 상술한 직선부와 곡선부에 의해 본 실시예의 코일(42)은 상기 터브 바디(22)의 원주면에서 터브(2)의 전후방으로 장변을 형성하고, 터브(2)의 좌우측으로 단변을 형성하고, 장변부와 단변부를 잇는 모서리 부분이 곡선으로 구비되어 일종의 트랙(Track)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코일(42)의 형상 따라, 터브(2)의 전방에 인접한 코일 전단부와 상기 터브(2)의 후방에 인접한 코일 후단부를 포함하는 코일 양단부와, 상기 코일 양단부 사이에 위치한 코일 중앙부의 가로 폭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코일의 양단부에서 드럼(3)의 원주면 전방 및 후방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과, 코일의 중앙부에서 드럼(3)의 원주면 중앙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비슷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3)의 원주면 중앙과 전후방 모두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42)이 터브(2)의 전후방으로 장변을 갖는 트랙 형상으로 구비되고, 인덕션 모듈(4)은 상기 코일(42)의 형상에 대응되어 구비되므로, 제1덕트(10)는 터브(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덕션 모듈(4)을 수용한다.
이하 도 9를 참고하여 코일 형상에 따른 드럼의 온도 분포를 설명한다.
도 9를 참고하면, 각기 다른 세로길이를 가진 코일(42)과 상기 코일(42)의 세로폭에 따른 드럼(3) 원주면의 가열 분포가 나타나 있다.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드럼의 각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1'은 드럼의 외주면 후방이며 '5'는 드럼(3)의 외주면 전방을 나타내고 '2 내지 5'는 그 사이 구간을 나타낸다. 또한, 가로축은 드럼(3)의 온도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코일(42)의 세로폭 및 드럼(3)의 온도상승률은 도 9에 개시된 각각의 코일(42)을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도 9(a) 는 세로폭이 가장 넓은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며, 도 9(b)는 중간 정도 넓이의 세로폭을 가진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고, 도 9(c)는 가장 좁은 세로폭을 가진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다.
도 9(a)의 코일은 다른 코일에 비해 드럼(3)의 전후방과 중심부가 균일한 온도상승률을 보이고 있으며, 도 9(c)의 코일은 드럼(3)의 전후방과 중심부의 온도상승률 차이가 현격하며, 도 9(b)의 코일 역시 상대적으로 많은 온도 상승률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각각의 코일(42)의 가로폭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코일(42)의 세로폭이 길어질수록 드럼(3)의 전후방과 중심부가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됨을 볼 수 있다. 즉, 타원 또는 트랙 형상의 코일의 장축은 터브(2)의 전후방향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터브(2) 외주면에 코일(42)이 구비되는 경우로 해석하면, 코일(42)의 양단부가 터브(2)의 전방에 가깝게 구비될수록 터브(2) 내부에 구비된 드럼(3)의 원주면은 더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가로 직선부의 최외측 와이어가 터브(2) 전후방까지 확장되도록 구비되면 드럼(3)이 더 균일하게 가열될 수는 있겠지만, 이 경우 자기장이 전후방으로 지나치게 확장되어 구동부(6)나 도어(12) 등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들을 가열하게 되므로, 의류처리장치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터브(2)의 후방이 캐비닛(1) 내부에서 기울어져 구비되어 있는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터브(2)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인덕션 모듈(4)의 전방 상부 모서리와 캐비닛(1)의 상면과 간섭이 생겨 인덕션 모듈(4)과 캐비닛(1)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캐비닛(1)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컴팩트한 의류처리장치 구조를 구현할 수 없게 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직선부의 최외측 와이어는 터브(2)의 최전방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후방 직선부의 최외측 와이어는 상기 터브(2)의 최후방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간격은 10 내지 2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은 드럼(3) 외에 다른 구성을 불필요하게 가열하거나, 인덕션 모듈(4)과 캐비닛(1) 내부 상면이 간섭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동시에, 드럼(3)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코일(42)의 세로 직선부의 최외측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가로 직선부의 최외측 와이어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럼(3)의 둘레 방향으로 자기장이 지나치게 넓은 범위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3) 외에 다른 구성을 가열하지 않도록 하며, 터브(2)의 외주면상에 구비될 수 있는 스프링이나 다른 구성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와이어가 권선되어 코일(42)이 형성하는 면이 드럼(3)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럼(3)으로 향하는 자기장의 자속밀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인덕션 모듈(4)이 작동되면 드럼(3)을 회전시켜 드럼(3)의 원주면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0)

  1. 투입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에 마주하는 개구부를 갖고,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 드럼;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에서 상기 드럼 측으로 연장되는 관상의 연장부;
    상기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 덕트;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
    상기 제1 덕트의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제1 팬; 그리고,
    상기 제1 덕트에 연결된 입구를 갖고, 상기 제1 덕트에서 상기 드럼의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제2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입구의 면적보다 상기 출구의 면적이 작은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정의되는 제1 폭과,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정의되는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덕트의 제1 폭은 상기 제2 덕트의 제2폭보다 작은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의 출구의 제1 폭은 상기 제2 덕트의 입구의 제1 폭보다 작은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덕트와 연통하는 팬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제1 덕트의 중심에 대해 상기 제2 덕트 반대측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드럼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제1 덕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해 상기 팬 하우징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와 연통하는 배기구; 그리고,
    상기 배기구와 상기 캐비닛 외부를 연통하는 제3 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드럼이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마주하는 개구부를 갖는 터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터브 외측면에 장착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덕트의 출구는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배치된 배기구; 그리고,
    상기 배기구와 상기 캐비닛 외부를 연통하는 제3 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21/003455 2020-03-20 2021-03-19 의류처리장치 WO20211879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22781.2A CN115298385A (zh) 2020-03-20 2021-03-19 衣物处理装置
EP21770476.6A EP4123083A4 (en) 2020-03-20 2021-03-19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US17/912,785 US20230145222A1 (en) 2020-03-20 2021-03-19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4396 2020-03-20
KR10-2020-0034396 2020-03-20
KR1020210036163A KR20210117981A (ko) 2020-03-20 2021-03-19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36163 2021-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957A1 true WO2021187957A1 (ko) 2021-09-23

Family

ID=7777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3455 WO2021187957A1 (ko) 2020-03-20 2021-03-1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45222A1 (ko)
WO (1) WO202118795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788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
KR20130074790A (ko) * 2013-06-13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72604A (ko) * 2014-12-15 201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3277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23276A (ko)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097596A (ko)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788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
KR20130074790A (ko) * 2013-06-13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72604A (ko) * 2014-12-15 201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3277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23276A (ko)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097596A (ko)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5222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4414A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WO2018217029A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19031885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1136609A2 (en) Laundry apparatus
AU2017385761B2 (en) Clothing drying apparatus
WO2020145675A1 (ko)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WO2019156526A1 (ko) 세탁물 처리장치
WO2020138901A1 (en) Laundry machine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01054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9031886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02554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080556A1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20190074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2169325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0138914A1 (en) Laundry machine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9399394B2 (en) Laundry machine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O202118795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4208959A1 (en) Power generating device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118787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118792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0184983A1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WO202117770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123584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1201629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0143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704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704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