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27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277A
KR20180023277A KR1020160108329A KR20160108329A KR20180023277A KR 20180023277 A KR20180023277 A KR 20180023277A KR 1020160108329 A KR1020160108329 A KR 1020160108329A KR 20160108329 A KR20160108329 A KR 20160108329A KR 20180023277 A KR20180023277 A KR 20180023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uct
drum
ai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례
노현우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277A/ko
Priority to AU2017316015A priority patent/AU2017316015B2/en
Priority to RU2019107562A priority patent/RU2710801C1/ru
Priority to PCT/KR2017/006821 priority patent/WO2018038380A1/en
Priority to US15/638,864 priority patent/US10590588B2/en
Priority to EP17182365.1A priority patent/EP3287559B1/en
Priority to EP19177975.0A priority patent/EP3569760B1/en
Priority to TR2019/10643T priority patent/TR201910643T4/tr
Priority to CN201710646637.1A priority patent/CN107780120B/zh
Publication of KR2018002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277A/ko
Priority to US16/741,041 priority patent/US1098889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06F39/045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06F39/004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인덕션부, 상기 터브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제1덕트와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제2덕트 및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구성되는 공기유로부 및 상기 제2덕트로부터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에 의해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의 전방에 구비된 드럼개구부를 지나 상기 제1덕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인덕션 히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탁기는 건조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드럼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펄세이터 세탁기와,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기 내부에 세탁 대상물 및 세제 등이 투입된 후, 세탁기 외부에 구비된 코스 선택부 및/또는 서브 코스 입력부 등의 조작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인 코스 선택부를 통해 복수개의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코스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코스에 따른 설정 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코스는 표준 세탁, 아기옷, 삶음, 스피드 워시, 란제리, 이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설정 인자들은 헹굼 코스에서의 헹굼 횟수, 탈수 코스에서의 탈수 강도 및 세탁수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코스 선택부를 통해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면, 의류처리장치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세탁 부하에 따라서 기 설정된 세탁수가 의류처리장치 내로 투입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의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세탁물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세탁기는 상기 세탁물의 살균처리를 위해서 상기 세탁물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세탁기는 외부의 급수원에서 온수를 직접 공급받아 세탁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여 세탁물이 잠겨있는 세탁수를 가열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세탁물의 온도를 높였다.
즉,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세탁수를 세탁물 전부가 잠기는 수위까지 급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세탁물뿐만 아니라 세탁수까지 가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세탁물을 가열함에 있어서, 세탁수를 공급해야 하거나 세탁수를 가열해야 하므로 물질 및 에너지 차원에서 심각한 낭비를 초래하였다.
한편, 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의류이나 물에 젖은 의류(이하,'세탁물')를 고온에 노출시켜 건조하는 장치이다.
상기 건조기는 일반적으로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여 세탁물에 노출시켜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행정을 수행하였다.
즉, 종래 건조기는 배기식 건조기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나뉘어 지는데, 이는 모두 히터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산하고, 상기 열풍을 세탁물에 노출시켰다.
이때, 열풍이 상기 세탁물에 고르게 접촉하지 않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특히 세탁물이 다량이거나 서로 뭉쳐있는 경우 열풍이 세탁물의 전반에 고르게 공급되지 않으므로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탁물의 일부가 건조되지 않아 이를 완전히 건조하도록 열풍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건조가 완료된 부분까지 열풍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기지 않아도 세탁물을 불리거나 살균처리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수를 가열하지 않고도 세탁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물이 뭉쳐있거나 다량이더라도 세탁물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수 및 에너지 소비 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효율 및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인덕션부, 상기 터브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제1덕트와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제2덕트 및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구성되는 공기유로부 및, 상기 제2덕트로부터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에 의해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의 전방에 구비된 드럼개구부를 지나 상기 제1덕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터브는 본체를 구성하는 터브바디 및 상기 터브의 전방에 형성되는 터브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터브개구부 또는 상기 터브바디와 연통하고,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터브바디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터브바디를 구성하는 터브바디전방면 또는 상기 터브바디를 구성하는 터브바디원주면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터브바디를 구성하는 터브바디후방면 또는 상기 터브바디원주면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연통되고,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2덕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사이의 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브는 본체를 구성하는 터브바디 및 성기 터브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터브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덕션부는 상기 터브바디를 구성하는 터브바디원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의 일단은 각각 상기 터브와 연통되고, 상기 제1덕트의 타단과 상기 제2덕트의 타단은 상기 터브의 외부에서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터브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수냉식 또는 공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열교환기는 수냉식 열교환기와 공냉식 열교환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인덕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인덕션부 또는 상기 컨트롤러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덕트 및 상기 외부공기공급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외부공기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인덕션부가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조행정 또는 탈수행정 시, 냉각수가 상기 터브 내면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브의 후면에는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냉각수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인덕션부와 상기 터브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제1덕트와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제2덕트와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구성되는 공기유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의류를 세탁하고 헹구는 세탁헹굼행정 및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건조행정을 포함하고, 상기 탈수건조행정에서 상기 드럼은 회전하고 상기 인덕션부는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탈수건조행정에서 상기 팬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탈수건조행정에서 냉각수가 상기 터브 내면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브의 후면에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냉각수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세탁헹굼행정에 있어서, 급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때 상기 드럼은 회전하고 상기 인덕션부는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기지 않아도 세탁물을 불리거나 살균처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수를 가열하지 않고도 세탁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물이 뭉쳐있거나 다량이더라도 세탁물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수 및 에너지 소비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효율 및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유입구가 구비된 터브바디후방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터브(20),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드럼(30),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드럼(30)을 전자기장으로 가열하는 인덕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회전하는 상기 드럼(3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는 몸체를 이루는 터브바디(21), 의류가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터브개구부(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브개구부(22)는 터브바디(21)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터브는 터브지지부(24)에 의해 캐비닛(10) 내부에서 지지되며, 캐비닛 하부에서는 댐퍼(242)가 터브바디(21)를 지지하고 캐비닛 상부에서는 스프링(241)이 터브바디(21)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터브(20)는 터브전방바디와 터브후방바디를 연결하는 이음부(26, 도 2)가 더 구비되며, 인덕션부(70)와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25, 도 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드럼(30)은 몸체를 이루는 드럼바디(31)와 의류가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드럼개구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드럼개구부(32)는 드럼바디(31)를 구성하는 드럼바디전방면(31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은 세척수 및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33)이 구비되며, 드럼(30)의 회전시 의류가 벽에 붙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리프트(34)가 더 구비된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을 상기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일반적으로 모터(41)에 해당하며 스테이터와 로터로 구성되며, 상기 로터는 회전축(4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2)은 드럼(30)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30)을 터브(20)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인덕션부(70)는 상기 드럼(30)을 직접 가열하는 장치이다. 인덕션부(70)는 코일(74)과 상기 코일(74)을 수용하는 수용부(72)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74)은 코일선(coil)이 다수개의 원 형태로 감긴 형태에 해당하며, 상기 코일(74)에 전류를 가하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발생된다. 상기 코일(74)에 교류전류를 가하면 시간에 따라 방향이 변하는 교류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때 코일(74) 주변에 도체가 위치하면, 상기 도체에 교류자기장이 가해지게 되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소용돌이 형태의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한다. 상기 와전류(eddy current)는 상기 도체의 저항에 의해 줄(joule)열로 변환되며 도체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유도된 자기력의 손실 또한 금속의 온도를 높이는 원인 중 하나이다.
수용부(72)는 코일(74)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코일(74) 내부에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경우,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코일(74)의 자기장 생성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인덕션부(70)는 터브(20)에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나 외부 중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터브(20)의 외부면에 구비된다.
터브(20) 내부는 습한 공기나 세척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전기가 흐르는 코일을 포함하는 인덕션부(70)가 터브(20) 내부에 구비될 경우, 감전이나 고장 등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터브(20)의 외부면에 인덕션부(70)가 구비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인덕션부(70)는 터브(20)의 외부에 구비되되 터브바디(21)를 구성하는 터브바디전방면(211), 터브바디후방면(212), 터브바디원주면(213) 중 드럼(30)을 가열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면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인덕션부(70)는 터브바디원주면(213)에 구비된다. 드럼(30) 내부에서 의류는 드럼바디(31)를 구성하는 드럼바디원주면(313)에 놓이고, 드럼바디원주면(313)은 터브바디원주면(213)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인덕션부(70)가 터브바디원주면(213)에 구비되는 경우에 가열 효율이 가장 높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인덕션부(70)가 터브바디원주면(213)에 구비되되 터브바디원주면(213)의 상부면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인덕션부(70)가 작동될 때 드럼(30)은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된다. 인덕션부(70)가 터브바디원주면(213)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드럼(30)이 회전하지 않으면 드럼(30)의 일부, 즉 드럼바디원주면(313)의 일부면만 지속적으로 가열되며 가열되는 부위 주변에 위치한 의류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인덕션부(70)의 작동될 때 드럼(30)은 회전된다.
이로인해, 인덕션부(70)가 터브바디원주면(213)의 어느 한 곳에만 구비되어도 드럼(30)의 전체가 가열될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인덕션부(70)를 짧게 구동시킬 경우, 드럼(30)이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인덕션부(70)에 의해 터브(20)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브(20)는 부도체로 구성된다. 터브(20)의 가열이 방지됨으로 인해 터브(20)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코일(74)은 터브바디원주면(213)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구비되거나, 터브바디원주면(213)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기술한 인덕션부(70)로 인하여, 세척수 없이도 세탁물의 살균처리가 가능하다. 즉, 세탁물의 살균처리를 위해 세탁물이 세척수에 잠길 필요가 없으므로 세탁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세탁이 완료된 후 터브(20) 및 드럼(30)의 살균을 할 때,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거나 소량의 세척수만 사용하여 살균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소량의 세척수를 사용하여도 같은 세척효과를 볼 수 있으며, 비열이 높은 세척수를 많이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또한,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공기를 별도로 가열하지 않아도 되며 공기의 유동만 만들어주면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터브 하부에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해 히터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히터 구조를 생략할 수 있어 터브의 용적을 더 키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모드가 진행되는 동안 공기의 흐름에 대한 구성 및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와의 비교를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종래의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도록 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 내부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되 터브(20) 외부에서 공기를 응축 및 가열한 후 의류로 가열된 건조 공기를 공급하였다.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덕트(101)의 일단은 터브(20)의 전방면 상단에 구비되고 타단은 터브(20)의 후방면 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공기덕트(101) 내부는 응축부(103),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02) 및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104)이 구비된다.
응축부(103)를 지나면서 건조해진 공기는 히터(102)를 거쳐 가열된 뒤, 터브(20) 내부로 공급된다. 이 때, 터브(20)의 전방면 상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드럼(30) 내부로 바로 공급되어 의류를 건조시키지만, 일부는 터브(20)와 드럼(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의류와의 열교환 없이 터브(20) 후방면과 드럼(30) 후방면 사이를 지나 공기덕트(101)로 배출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터브(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당량(45%)이 의류와 열교환하지 않는다. 이는 불필요한 공기를 가열함으로 인해 전력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고하여 종래 의류처리장치와의 차이점 및 더 나아진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터브(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식 구조가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터브(20) 내부의 의류를 건조시키고 건조가 완료된 습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식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브(20)를 구성하는 터브바디원주면(213)에는 인덕션부(70)가 더 구비된다. 또한 터브(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유로부(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공기유로부(80)는 터브개구부(22)와 연통되는 제1덕트(81), 터부바디후방면(212)과 연통되는 제2덕트(82)로 구성된다.
순환식 시스템인 경우, 제1덕트(81)의 타단과 제2덕트(82)의 타단은 서로 연통된다. 공기는 제1덕트(81), 터브(20), 제2덕트(82)를 순차적으로 지나 다시 제1덕트(81)로 향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덕트(82), 터브(20), 제1덕트(81)를 순차적으로 지나 다시 제2덕트(82)로 향할 수 있다.
배출식 시스템인 경우, 제1덕트(81)의 타단과 제2덕트(82)의 타단은 각각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와 연통된다. 외부의 공기가 제1덕트(81)를 통해서 터브(20) 내부로 유입된 후 제2덕트(8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제2덕트(82)를 통해서 터브(20) 내부로 유입된 후 제1덕트(8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덕트(81)는 제1덕트유입구(811), 제1덕트배출구(812) 및 제1덕트바디(813)로 구성된다.
제1덕트유입구(811)는 터브개구부(22)를 구성하는 터브개구부원주면(221)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1덕트유입구(811)는 터브바디원주면(213)과 연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덕트유입구(811)는 터브개구부원주면(221) 중 최상부에 연통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브개구부원주면(221) 중 상부에 연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덕트유입구(811)는 터브바디원주면(213)의 최상부 또는 상부에 연통될 수 있다. 이 때 터브바디원주면(213) 중 터브바디전방면(211)과 더 가깝게 구비되거나 터브바디후방면(212)과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제1덕트배출구(812)는 배출식인 경우 캐비닛(10)과 연통되어 외부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거나 캐비닛(1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순환식인 경우, 제2덕트(82)와 연통된다.
제2덕트(82)는 제2덕트유입구(821), 제2덕트배출구(822) 및 제2덕트바디(826)로 구성된다.
제2덕트바디(826)은 제2덕트(82)의 몸체를 구성하며, 공기가 흐르는 통로가 된다. 또한 공기유로부(80)가 순환식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습해진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 열교환기(8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유입구(821)는 배출식인 경우 캐비닛(10)과 연통되어 외부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거나 캐비닛(1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순환식인 경우, 제1덕트배출구(812)와 연통된다.
제2덕트배출구(822)는 터브바디후방면(212)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덕트배출구(822)는 터브바디원주면(213)과 연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2덕트배출구(822)는 터브바디후방면(212)중 하부에 연통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브바디후방면(212)의 어디에 연통되어도 무방하다.
제2덕트배출구(822)가 터브바디원주면(213)과 연통되는 경우, 터브바디원주면(213)의 하부에 구비되거나 터브바디원주면(213)의 후방부(터브바디후방면(212)와 더 가까운 쪽)에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브바디원주면(213)의 어디에 연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1덕트유입구(811), 제1덕트배출구(812), 제2덕트유입구(821) 및 제2덕트배출구(822)는 필요에 따라 설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제1덕트(81)는 드럼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연통되고, 제2덕트(82)는 드럼의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2덕트(82)로 유입된 공기가 드럼 내부를 대각선으로 흐른 후에 제1덕트(81)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드럼 내부에서 공기가 대각선으로 흘러야 공기가 세탁물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진다.
제2덕트(82)로 유입되는 공기는 터브(20)와 드럼 사이의 갭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럼에 직접 공급되는 방향으로 제2덕트(8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세탁 건조 효율을 가장 높일 수 있도록 터브(20) 내부에서 공기의 큰 흐름이 대각선 방향을 이루도록 제1덕트유입구(811)와 제2덕트배출구(822)를 배치한다.
제1덕트유입구(811)는 터브개구부원주면(221)의 상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1덕트유입구(8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공기는 드럼개구부(32)를 거쳐 직접 유입되고, 제1덕트유입구(811)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공기는 드럼개구부(32)를 거쳐 드럼(30) 내부로 직접 유입된다. 즉, 터브개구부(22)와 드럼개구부(32)를 거쳐 장애물 없이 공기의 입 출입이 가능하므로 공기의 진입 및 배출이 자유롭다.
제2덕트배출구(822)는 터브바디후방면(212)의 하부와 연통된다. 즉, 상기와 같은 제1덕트유입구(811)와 제2덕트배출구(822)의 위치 구조 덕분에 터브(20)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대각선을 이루게 된다. 다시말해, 공기가 터브(20) 내부의 의류와 가장 많이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공기의 흐름을 대각선으로 만들 수 있는 실시예는 다양하다.
제1덕트유입구(811)가 터브개구부원주면(221)의 상부에 연통되고, 제2덕트배출구(822)는 터브바디원주면(213)에 연통되되 터브바디원주면(213)의 하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덕트유입구(811)가 터브바디원주면(213)에 연통되되 터브바디원주면(213)의 상단 전방(터브바디전방면(211)에 더 가까운 쪽)에 배치되고, 제2덕트배출구(822)는 터브바디원주면(213)에 연통되되 터브바디원주면(213)의 하단 후방(터브바디후방면(212)에 더 가까운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덕트유입구(811)가 터브바디원주면(213)에 연통되되 터브바디원주면(213)의 상단 전방(터브바디전방면(211)에 더 가까운 쪽)에 배치되고, 제2덕트배출구(822)는 터브바디후방면(212)의 하단에 연통될 수 있다.
즉, 공기유로부(80)는 터브(20)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대각선으로 형성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공기의 흐름이 터브(20) 내부에서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공기의 온도를 높이기가 수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30)을 인덕션부(70)를 이용해서 가열하며, 공기유로부(80)에 별도의 가열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즉, 공기유로부(80)에 구비된 팬(825)의 작동에 의해 터브(2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해줄 뿐이다. 인덕션부(70)에 의해 드럼(30)이 가열되고, 터브(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드럼(30)과 열교환하여 가열된 후 드럼(30) 내부의 의류를 건조시킨다.
터브(20)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대각선을 형성하는 경우, 터브(2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된 드럼(30)과 열교환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술한 공기의 유동이 터브(20) 내부에서 대각선을 형성함을 전제로 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다루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덕트(81), 터브개구부(22), 드럼(30), 제2덕트(82)를 차례로 지나 다시 제1덕트(81)로 공기가 흐르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1덕트유입구(811)를 통해 터브개구부원주면(221)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드럼개구부(32)를 통해 드럼바디(31) 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드럼바디원주면(313)과 터브바디원주면(213) 사이로 유입된다.
이 경우, 드럼개구부(32)를 통해 드럼바디(31) 내부로 바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제로 가열이 일어나는 드럼바디원주면(313)과의 접촉 없이 드럼개구부(32)를 통해 드럼바디(31)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온도가 높지 않다. 즉, 드럼바디(31)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한 건조효율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의류와의 건조를 마친 공기는 드럼바디원주면(313)과 뒤늦게 열교환을 한 후(도 7에서 큰 화살표) 제2덕트배출구(822)를 통해 터브(2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드럼바디원주면(313)과 터브바디원주면(213)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의류와의 접촉 없이 드럼바디후방면(312)과 터브바디후방면(212) 사이를 거쳐 제2덕트배출구(822) 토출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2덕트(82), 터브(20), 드럼(30) 제1덕트(81)를 차례로 지나 다시 제2덕트(82)로 공기가 흐른다.
터브바디후방면(212) 또는 터브바디원주면(213)의 후방면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제2덕트배출구(8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대다수는 드럼바디(31)에 구비된 통공(33)을 거쳐 드럼바디(31) 내부로 유입(도 8의 굵은 화살표)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드럼바디원주면(313)을 거쳐 드럼바디(31)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인덕션부(70)에 의해 가열된 드럼바디원주면(313)과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고, 가열된 공기는 드럼바디(31)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건조시킨다.
건조를 마친 습한 공기는 드럼개구부(32)를 지나 터브개구부원주면(221)의 상부에 연통된 제1덕트유입구(811)로 배출된다.
제1덕트유입구(811)를 통해 제1덕트바디(813)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제2덕트(826) 내에 구비된 열교환(823)기에서 응축된다.
상기 열교환기(823)은 공냉식 또는 수냉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823)에서 열교환을 마치고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해진 공기는 다시 제2덕트배출구(822)를 통해서 터브(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열교환기(823)는 공냉식과 수냉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공냉식을 이용하는 제1열교환기와 수냉식을 이용하는 제2열교환기를 모두 구비하여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공기유로부(80)가 배출식인 경우, 제2덕트(82)를 통해 외부 공기가 터브(20) 내부로 유입되고 터브(20) 내부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의류와 열교환을 한 후 제1덕트(81)를 통해 외부로 습한 공기가 배출된다. 이 경우, 열교환기(823)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8과 같이 공기 유로가 형성되면, 공기유로부(80) 내부에 공기를 가열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어도 공기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의류와 접촉되기 전에 공기가 터브(20) 하부에서 드럼바디원주면(313)과 열교환을 하기 때문에 공기가 가열되지 않고 의류와 접촉되는 도 7의 공기 유동에 비해서 건조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드럼바디원주면(313) 하부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을(825) 회전하는 전력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브(20) 하부로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드럼바디원주면(313)과 열교환을 한 후 의류를 건조시키기 때문에 낭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브(20) 하부로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이 의류의 건조에 참여하기 때문에 터브(2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기존보다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에 비해 팬(825)의 RPM을 낮추더라도 같은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뿐만 아니라 가열된 드럼바디(31) 자체도 드럼바디(31) 내부와 직접 접촉하는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어 공기만을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기존의 의류처리장치 구조에 비해 더 나은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인덕션부(70) 및 상기 인덕션부(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 외부의 공기를 상기 인덕션부(70)와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덕트(미도시) 및 상기 외부공기공급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터브(20)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공기배출덕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부(70) 및 컨트롤러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인덕션부(70)의 성능 저하 및 컨트롤러가 오작동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상기 인덕션부(70)와 컨트롤러의 냉각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인덕션부(70)를 이용하여 드럼(30)을 가열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 상기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행정 및 드럼(30) 및 터브(20)를 살균처리하는 살균행정 시 인덕션부(70)를 작동시킨다.
상기 건조행정, 상기 탈수행정 및 상기 살균행정은 독립적인 코스일 수도 있으나 병합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건조행정과 탈수행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건조탈수행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인덕션부(70)가 작동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건조행정 또는 탈수행정에 있어서, 인덕션부(70)가 작동되지 않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풍만으로 건조 또는 탈수를 진행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상기 인덕션부(70)가 작동하여 드럼(30)이 가열되는 경우, 드럼(30)은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되게 구비된다. 드럼(30)이 골고루 가열되어 건조행정, 탈수행정 및 살균행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존에 히터를 이용하여 터브(2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 공급된 열풍의 상당량이 드럼(30)과 터브(20) 사이로 새어나가기 때문에 터브(20)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동부(40)가 구비된 터브(20)의 후방면은 강성이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하며, 열풍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인덕션부(70)를 구비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덕션부(70)는 도체에 해당하는 드럼(30)만을 가열하고, 터브(20)는 가열시키지 않기 때문에 터브 강성 유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브(20)는 부도체에 해당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인덕션부(70)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다면 어떠한 소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추가적으로 터브(20) 내면으로 냉각수를 공급해줄 수 있다. 가열된 드럼(30)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터브(20)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터브(20) 내면으로 냉각수를 흘러주어 터브(2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바디후방면(212)을 나타낸 것이다. 터브바디후방면(212)에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유입구(28)가 더 구비된다.
냉각수유입구(28)는 터브바디후방면(212)의 중심을 지나고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터브바디후방면(212)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면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30)의 외면에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터브바디후방면(212)의 중심과 같거나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유입구(28)로 냉각수가 공급되면 터브(20) 내면을 따라서 냉각수가 흐르면서 터브(20)를 냉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냉각수유입구(28)가 터브바디후방면(212)에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브바디원주면(213)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터브바디원주면(213) 상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냉각수유입구(28)의 높이는 터브바디후방면(212)의 중심의 높이와 같거나 낮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덕션부(70)를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된 드럼(30), 상기 드럼(30)을 수용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30)을 가열시키는 인덕션부(70), 상기 터브(20)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제1덕트(81)와 상기 터브(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제2덕트(82)와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825)으로 구성되는 공기유로부(8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기본으로 하는 제어방법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세탁하고 헹구는 세탁헹굼행정 및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건조행정을 포함하며, 상기 탈수건조행정에서 상기 드럼은 회전하고 상기 인덕션부는 상기 드럼을 가열시킨다.
상기 탈수건조행정은 건조행정에만 해당하거나 탈수행정에만 해당할 수 있으며 건조와 탈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행정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탈수건조행정 중, 상기 팬(825)이 작동하여 공기의 유동을 만들어줄 수 있다. 인덕션부(70)로 인해 가열된 드럼(30)이 팬(825)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되고, 열교환된 공기는 드럼(30) 내부에 구비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시킨다.
인덕션부(70)를 이용하여 탈수건조행정을 진행함으로 인해 드럼(30)만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터브(20)에 불필요한 열 공급을 막을 수 있으며, 터브(2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탈수건조행정 중, 냉각수를 터브(20) 내면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인덕션부(70)를 이용해 드럼(30)만 선택적으로 가열되어도 가열된 드럼(30)에 의해 터브(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브(20)에는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각수유입구(2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수유입구(28)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세탁헹굼행정은 세탁행정에만 해당하거나 헹굼행정에만 해당할 수 있으며 세탁과 헹굼이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세탁헹굼행정 중, 급수된 세탁수를 가열이 필요한 경우, 상기 드럼(30)은 회전하고 상기 인덕션부(70)는 상기 드럼(30)을 가열시킬 수 있다.
즉, 인덕션부(70)는 세탁수 및 공기를 모두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캐비닛
20: 터브
21: 터브바디 22: 터브개구부
30: 드럼
31: 드럼바디 32: 드럼개구부 33: 통공
40: 구동부
50: 급수부
70: 인덕션부
80: 공기유로부
81: 제1덕트 82: 제2덕트 83: 코일덕트

Claims (19)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인덕션부;
    상기 터브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제1덕트,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제2덕트 및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구성되는 공기유로부; 및,
    상기 제2덕트로부터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에 의해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의 전방에 구비된 드럼개구부를 지나 상기 제1덕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본체를 구성하는 터브바디 및 상기 터브의 전방에 형성되는 터브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터브개구부 또는 상기 터브바디와 연통하고,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터브바디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터브바디를 구성하는 터브바디전방면 또는 상기 터브바디를 구성하는 터브바디원주면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터브바디를 구성하는 터브바디후방면 또는 상기 터브바디원주면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연통되고,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사이의 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본체를 구성하는 터브바디 및 성기 터브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터브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덕션부는 상기 터브바디를 구성하는 터브바디원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및 상기 제2덕트의 일단은 각각 상기 터브와 연통되고, 상기 제1덕트의 타단과 상기 제2덕트의 타단은 상기 터브의 외부에서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는 상기 터브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수냉식 또는 공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수냉식 열교환기와 공냉식 열교환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인덕션부 또는 상기 컨트롤러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덕트;및,
    상기 외부공기공급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외부공기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인덕션부가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건조행정 또는 탈수행정 시, 냉각수가 상기 터브 내면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후면에는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냉각수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인덕션부, 상기 터브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제1덕트와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제2덕트와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구성되는 공기유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의류를 세탁하고 헹구는 세탁헹굼행정; 및,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건조행정;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건조행정에서, 상기 드럼은 회전하고 상기 인덕션부는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건조행정에서 상기 팬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건조행정에서 냉각수가 상기 터브 내면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후면에는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냉각수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헹굼행정에 있어서, 급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때 상기 드럼은 회전하고 상기 인덕션부는 상기 드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08329A 2016-08-25 2016-08-25 의류처리장치 KR20180023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29A KR20180023277A (ko) 2016-08-25 2016-08-25 의류처리장치
AU2017316015A AU2017316015B2 (en) 2016-08-25 2017-06-28 Laundry apparatus
RU2019107562A RU2710801C1 (ru) 2016-08-25 2017-06-28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PCT/KR2017/006821 WO2018038380A1 (en) 2016-08-25 2017-06-28 Laundry apparatus
US15/638,864 US10590588B2 (en) 2016-08-25 2017-06-30 Laundry apparatus
EP17182365.1A EP3287559B1 (en) 2016-08-25 2017-07-20 Laundry apparatus
EP19177975.0A EP3569760B1 (en) 2016-08-25 2017-07-20 Laundry apparatus
TR2019/10643T TR201910643T4 (tr) 2016-08-25 2017-07-20 Çamaşır aparatı.
CN201710646637.1A CN107780120B (zh) 2016-08-25 2017-08-01 衣物处理装置
US16/741,041 US10988890B2 (en) 2016-08-25 2020-01-13 Laund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29A KR20180023277A (ko) 2016-08-25 2016-08-2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277A true KR20180023277A (ko) 2018-03-07

Family

ID=5938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29A KR20180023277A (ko) 2016-08-25 2016-08-2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590588B2 (ko)
EP (2) EP3569760B1 (ko)
KR (1) KR20180023277A (ko)
CN (1) CN107780120B (ko)
AU (1) AU2017316015B2 (ko)
RU (1) RU2710801C1 (ko)
TR (1) TR201910643T4 (ko)
WO (1) WO2018038380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064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3061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3063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87031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WO2021187957A1 (ko) * 2020-03-20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87919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87915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35080A (ko) * 2017-08-09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2270858A1 (ko) * 2021-06-21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385A (ko) * 2016-08-16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8038580A1 (ko) 2016-08-25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77240B1 (ko) * 2017-08-25 202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99327B1 (ko) 2017-08-09 2023-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77042B1 (ko) * 2017-08-09 202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876247B2 (en) * 2017-08-09 2020-12-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26543B2 (en) * 2018-05-18 2020-04-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nduction heating system for a dryer appliance
CN108923577A (zh) * 2018-08-15 2018-11-30 朱幕松 低噪音滚筒式洗衣机
CN111041761B (zh) * 2018-10-12 2023-05-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KR102661827B1 (ko) * 2018-10-30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070900A (ko) * 2018-12-10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3060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3062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98720B1 (ko) * 2018-12-26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85105A (ko) 2019-01-04 2020-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485358A (zh) * 2019-01-28 2020-08-0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US11598042B2 (en) 2019-03-28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nduction heat
CN111850932B (zh) * 2019-04-19 2022-11-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式洗衣机及其烘干方法
CN111850934B (zh) * 2019-04-19 2023-04-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式洗衣机及其烘干方法
CN113308841A (zh) * 2020-02-27 2021-08-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
EP4116480A4 (en) * 2020-03-02 2024-02-28 Lg Electronics Inc CLOTHING MANAGEMENT DEVICE
EP4123085A4 (en) * 2020-03-18 2024-05-01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DEVICE
CN113494009A (zh) * 2020-03-19 2021-10-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
CN111379151B (zh) * 2020-03-23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设备及控制方法
KR20220031304A (ko) * 2020-09-04 2022-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4318813A (zh) * 2020-09-30 2022-04-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
US20220145507A1 (en) 2020-11-06 2022-05-1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Heating The Clothes Load In A Tumbling Combination Washer/Dryer
EP4039872A3 (en) * 2021-02-08 2022-11-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66291C (nl) 1967-03-08 Fisher & Paykel Wasdroger.
JPS6158694A (ja) 1984-08-31 1986-03-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H06121898A (ja) * 1992-10-09 1994-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JP2000213868A (ja) 1999-01-25 2000-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含水物乾燥装置
KR100446763B1 (ko) * 2001-10-16 200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포 가열장치
JP2004135998A (ja) * 2002-10-21 2004-05-13 Nippon Kouatsu Electric Co ドラム式衣類乾燥機
KR101041070B1 (ko) * 2003-06-13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US20050138973A1 (en) * 2003-12-18 2005-06-3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JP2005177331A (ja) 2003-12-22 2005-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EP1577433B2 (en) * 2004-02-17 2015-11-25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a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50101660A (ko) * 2004-04-19 2005-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US20050229647A1 (en) * 2004-04-20 2005-10-20 Lg Electronics Inc. Dryer washer
KR100743707B1 (ko) * 2005-02-03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장치가 구비된 터브 일체형 드럼 세탁기
KR100697020B1 (ko) 2005-04-06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JP3920299B2 (ja) * 2005-09-22 2007-05-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装置
KR101396408B1 (ko) * 2007-03-05 201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DE102008043281A1 (de) 2008-10-29 2010-05-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mit einer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izen einer Waschlauge und/oder von Wäschestücken in einer Trommel eines Hausgeräts
KR101821195B1 (ko) 2009-08-11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TR201005181A2 (tr) * 2010-06-25 2010-12-21 Vestel Beyaz E�Ya Sanay� Ve T�Caret Anon�M ��Rket�@ Bir indüksiyon ısıtma sistemi
WO2012165785A2 (ko) 2011-05-31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1779422B1 (ko) * 2011-06-02 201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540896B1 (en) * 2011-06-30 2016-04-1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ethod for washing laundry in a laundry washing machine
CN103590224A (zh) 2012-08-17 2014-02-1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及其衣物处理装置的工作方法
CN104846609A (zh) 2014-02-13 2015-08-19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一种洗衣装置和用于洗衣装置的衣物烘干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080A (ko) * 2017-08-09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073064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3061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3063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840794B2 (en) 2018-12-13 2023-12-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87031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US11891742B2 (en) 2019-01-10 2024-02-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WO2021187919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87915A1 (ko) * 2020-03-18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187957A1 (ko) * 2020-03-20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2270858A1 (ko) * 2021-06-21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7559A1 (en) 2018-02-28
CN107780120A (zh) 2018-03-09
AU2017316015B2 (en) 2020-02-27
RU2710801C1 (ru) 2020-01-14
US20200149207A1 (en) 2020-05-14
EP3569760A1 (en) 2019-11-20
AU2017316015A1 (en) 2019-03-21
CN107780120B (zh) 2020-11-06
TR201910643T4 (tr) 2019-08-21
US10988890B2 (en) 2021-04-27
US20180057995A1 (en) 2018-03-01
WO2018038380A1 (en) 2018-03-01
EP3287559B1 (en) 2019-07-03
EP3569760B1 (en) 2024-04-03
US10590588B2 (en)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0120B (zh) 衣物处理装置
US7228647B2 (en) Drying machine and drying machine with wash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1900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EP1526210B1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EP1992730A1 (en)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JP2020521608A (ja) 衣類処理装置
JP2012000313A (ja) 洗濯乾燥機
KR20160049735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37646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2239284A (ja) パルセーター方式の乾燥洗濯機
CN106757966A (zh) 洗衣干衣系统和具有其的洗衣干衣机
CN109695122B (zh) 用于衣物处理设备的烘干系统和衣物处理设备
JP2004261317A (ja) 洗濯乾燥機
JP2004194942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KR101740437B1 (ko) 건조기
KR100413439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US20230136799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N114318749A (zh) 一种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7164369A (ja) 洗濯乾燥機
JP2023153611A (ja) 衣類乾燥機
JP200611014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30020764A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