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304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304A
KR20220031304A KR1020200113074A KR20200113074A KR20220031304A KR 20220031304 A KR20220031304 A KR 20220031304A KR 1020200113074 A KR1020200113074 A KR 1020200113074A KR 20200113074 A KR20200113074 A KR 20200113074A KR 20220031304 A KR20220031304 A KR 2022003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air
clothes
pan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지
이혁수
이연주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304A/ko
Priority to PCT/KR2021/011921 priority patent/WO2022050755A1/en
Priority to CN202180054814.1A priority patent/CN116096957A/zh
Priority to US17/467,014 priority patent/US20220074119A1/en
Priority to JP2023514972A priority patent/JP2023540986A/ja
Priority to AU2021336000A priority patent/AU2021336000A1/en
Priority to EP21194829.4A priority patent/EP3971340A1/en
Publication of KR2022003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06F58/40Control of the initial heating of the drying chamber to its operating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2Humidity or dryness of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2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 D06F37/38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in opposite dir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열교환부를 통해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단계;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는 제1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1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1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장치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건조기)는 가열된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배기식 건조시스템과 순환식 건조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순환식 건조시스템은 의류가 저장된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뒤 상기 수용공간에 재공급하는 방식이고, 배기식 건조시스템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기하는 방식이다.
의류가 설정된 목표건조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건조시간은 드럼으로 공급된 공기와 의류의 열교환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어떤 건조시스템을 가진 의류처리장치이든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된 공기와 의류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제어는 의류의 건조가 목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 매우 중요한 설계적 고려사항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공기가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동안 드럼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의류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히는 제어방법을 구비한 것이 있었다(등록번호 10-1594368). 그러나,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과정을 구성하는 예열구간, 항율건조구간, 및 감율건조구간에서 드럼의 모션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종래 제어방법은 건조시 드럼의 회전수가 1G 이상의 원심력을 유발하는 회전수로 유지되어야만 드럼으로 공급된 공기가 드럼의 원주면에 형성된 드럼 관통홀을 통해 터브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드럼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동안 드럼의 회전수를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낮추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제어방법은 예열구간 및 감율건조구간에서 의류를 손상시키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은 건조도의 변화는 거의 없고(함수율의 변화는 거의 없고) 의류의 온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구간(수분이 의류에서 배출되는 온도까지 의류의 온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구간)이고, 항율건조구간은 의류의 건조도는 급격히 높아지고(함수율은 급격히 낮아지고) 의류의 온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이며, 상기 감율건조구간은 의류의 건조도는 거의 변화없고 의류의 온도는 급격히 높아지는 구간이다. 상기 예열구간과 감율건조구간에서 의류와 드럼의 마찰력이 커지면(의류에 큰 원심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면), 의류에 포풀이 발생하거나 의류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중에는 예열구간, 항율건조구간, 및 감율건조구간을 구분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제어(출원번호 10-2006-0023715)관리하는 것이 있었지만, 상기 제어방법 역시 어떻게 구간 별로 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건조시간의 단축과 건조성능 향상에 유리한지 게시된 바 없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건조도에 따라 드럼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구비한 것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방법은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었는데, 배기식 건조시스템은 드럼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으로 공급하되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드럼의 외부에 버리는 방식을 의미한다.
건조행정의 초기(예열구간)에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건조행정의 중기(증발구간)에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으며, 건조행정의 말기(과열구간)에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적용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건조행정의 진행 시점(의류의 건조도)을 판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가 건조행정을 구성하는 상기 구간들 중 어떤 구간을 실행 중인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공기와 의류가 얼마나 열교환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출원은 예열구간, 항율건조구간, 및 감율건조구간으로 구분되는 건조과정의 각 구간 별로 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건조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건조 초기에 의류와 드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의류에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건조 말기에 마찰력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의류의 건조도 감지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변경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단계;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는 제1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1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1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속모드와 상기 제1감속모드의 교번적 실행은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단계는 예열구간(preheating period), 항율건조구간(constant rate period), 및 감율건조구간(falling rate period)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예열구간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는 의류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공급덕트는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는 흡열부, 냉매의 열을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발열부, 및 냉매가 상기 냉매관을 따라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준건조도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냉매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 공기온도에 도달하면, 의류의 건조도는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2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2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2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2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감율건조구간의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는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공기공급행정에 설정된 목표건조도보다 작게 설정된 제2기준건조도에 도달하면 종료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공급덕트는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는 흡열부, 냉매의 열을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발열부, 및 냉매가 상기 냉매관을 따라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준건조도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냉매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속모드와 상기 제1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의 비는 상기 제2가속모드와 상기 제2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의 비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은 상기 제1감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속모드의 실행시간과 제1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의 비는 3:1 내지 10:1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은 상기 제2감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2감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모드와 제2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의 비는 1:1 내지 3:1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1G 미만의 원심력을 유발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교반모션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항률건조구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고,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분산모션 실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에 설정된 상기 드럼의 회전수는 상기 교반모드 실행단계에 설정된 상기 드럼의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감지모션 실행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의류가 접촉하도록 구비된 전극을 통해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공기공급행정에 설정된 목표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공기공급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면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로터;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배기구;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패널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로터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공급구;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공기유입구;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구를 감싸고, 타단은 상기 드럼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감싸는 유로형성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안내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단계;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는 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단계는 예열구간(preheating period), 항율건조구간(constant rate period), 및 감율건조구간(falling rate period)으로 구분되고, 상기 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예열구간과 상기 감율건조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밀착된 의류에 공기를 배출 가능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하는 링의 반지름은 상기 드럼의 후방면 반지름의 1/2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면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로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링 기어;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드럼의 후방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축과 동심축을 형성하는 제2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축의 타단이 고정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 제1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에 결합된 제2기어가 구비된 종동기어;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배기구;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패널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로터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공급구;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는 공기유입구;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구를 감싸고, 타단은 상기 드럼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감싸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안내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단계;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는 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단계는 예열구간(preheating period), 항율건조구간(constant rate period), 및 감율건조구간(falling rate period)으로 구분되고, 상기 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예열구간과 상기 감율건조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예열구간, 항율건조구간, 및 감율건조구간으로 구분되는 건조과정의 각 구간 별로 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건조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건조 초기에 의류와 드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의류에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건조 말기에 마찰력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의류의 건조도 감지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변경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9는 동력전달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냉각유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a)는 가속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 (b)는 감속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제1모션 실행단계에서 의류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 (a)는 분산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 (b)는 감지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교반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4 (a)는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 (b)는 드럼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건조행정의 각 구간별 드럼의 모션 및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으로 고온의 건조공기(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실내 공기의 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의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급부(3),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및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7)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13)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5)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6),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6)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방커버(22)에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리프터(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6)는 상기 전방커버(22)에서 후방커버(23)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이,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드럼의 원주면에서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2)에는 상기 드럼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 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드럼(2)은 바디 제1방지지부(12)와 바디 제2지지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구동부(D)를 통해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방커버(22)는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12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지지패널(12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방패널(11)의 후방면(지지패널을 향하는 면)은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지지패널 관통홀(122),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123),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투입구(111)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1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은 상기 지지패널(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드럼 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 투입구(22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형성하는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이 상기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는 링 형상의 댐퍼(124, 연결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댐퍼(124)는 상기 드럼(2)이 회전하거나 진동할 때 상기 드럼 투입구(221)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는 위험(드럼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으로 누출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 댐퍼(124)는 압축성 재질(외력에 의해 부피의 증감이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댐퍼(124)는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의 가장자리(전방커버의 자유단)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후술할 후방지지부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 상기 드럼(2)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사이에서 진동할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221)가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섬유를 압축함으로써 제작되는 펠트(felt)가 상기 연결 댐퍼(124)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전방패널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의 타단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 지지패널 관통홀(122), 드럼 연결바디(123), 및 드럼 투입구(22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는 상기 후방커버(23)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고정패널(15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후방면(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구동부(D)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동부 장착홈(1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드럼의 후방커버(23)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드럼(2)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155)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이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후방커버(23)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 바디(21)의 개방된 전방면과 후방면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에 비해 드럼의 강성이 높아진다. 드럼의 강성이 높아지면,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바디(21)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며, 이는 드럼 바디(21)의 변형 시 드럼 바디와 지지패널 사이의 공간, 드럼 바디와 고정패널 사이의 공간에 의류가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구동부의 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를 관통하는 드럼 배기구(제1배기구, 12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패널 배기구(제2배기구, 157) 및 공급구(15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158)는 상기 고정패널(15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다수의 관통홀들은 구동부 장착홈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3)는 상기 제1배기구(128)와 제2배기구(157)를 연결하는 배기덕트(31), 상기 제2배기구(157)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구(158)로 안내하는 공급덕트(32),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구(128)에는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배기덕트(31)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1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31)는 상기 제1배기구(128)에 연결된 제1덕트(311), 상기 제2배기구(157)에 연결된 제2덕트(312), 상기 제1덕트(311)와 제2덕트(312)를 연결하는 제3덕트(3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13)는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열교환부(34)가 히트펌프(heat pump) 및 팬(349)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의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341), 상기 배기덕트(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343), 및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거친 뒤 상기 공급덕트(32)로 이동하게 하는 팬(359)을 포함한다. 도 1은 상기 팬(349)이 상기 발열부(343)와 제2덕트(312) 사이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341)와 상기 발열부(343)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냉매는 상기 배기덕트(31)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345)에 의해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348)에는 상기 발열부(343)에서 상기 흡열부(341)로 이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47)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34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를 냉각(냉매를 증발)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발열부(343)는 상기 압축기(3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를 가열(냉매를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덕트(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배기구(157)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급구(158)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상기 공급구(158)가 링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덕트(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배기구(157)와 상기 공급구(158)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바디(321), 및 상기 덕트 바디(3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로터 수용부(3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321) 및 로터 수용부(322)가 구비된 공급덕트(32)는 대략 링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 고정된 구동부(D)는 상기 로터 수용부(322)에 의해 상기 공급덕트(32)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공급구(158)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드럼(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2)에는 상기 후방커버(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공기 유입구(23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공급구(15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233)로 안내하는 유로형성부(1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는 상기 후방커버(23)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들이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159)는 일단(고정패널에 고정된 일단)은 상기 공급구(158)를 감싸고, 타단(드럼에 접촉하는 일단)은 상기 공기 유입구(233)를 감싸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고정패널(151)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로형성부(159)는 큰 탄성을 가진 재질(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가 형성하는 링의 반지름은 상기 후방커버(23) 반지름의 1/2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를 통해 드럼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3)는 상기 드럼이 1G 이상의 원심력을 유발하는 회전수로 회전할 때(의류가 드럼의 원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할 때)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공급부(3)는 상기 제1배기구(128)와 상기 제2배기구(157)를 연결하는 배기덕트, 외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 또는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 내부에 위치된 의류의 건조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감지부(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는 의류가 접촉한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통해 건조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건조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건조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감지부(13)가 의류의 전기적 저항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감지부(13)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된 제1전극(131) 및 제2전극(1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상기 지지패널(121)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1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전극(131, 133)은 의류가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될 경우(의류가 드럼의 최하점에 위치될 경우) 쉽게 의류에 접촉 가능할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지면 의류에 잔류하는 수분의 양이 감소할 것이므로,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감지부(13)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크기는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되는 전류의 크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추정 가능할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가 낮으면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낮고,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13)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3)는 상기 배기덕트(31)에 구비된 온도센서(135, 공기온도 감지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에 따라 냉매관을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도 달라지므로, 상기 감지부(13)는 냉매관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흡열부에서 압축기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 또는 압축기에서 발열부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 등)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감지부(13)가 상기 압축기(345)에서 상기 발열부(343)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7, 냉매온도 감지센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지부(13)는 의류의 전기적 저항을 측정하는 두 전극(131, 133),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5), 및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7)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D)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 위치하는 모터(5),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드럼(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D)의 무게 및 구동부(D)의 작동 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패널(151)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는 상기 모터(5)와 상기 동력전달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동부 브라켓(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6)는 상기 구동부 브라켓(4)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5)는 상기 동력전달부(6)와 상기 구동부 브라켓(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브라켓(4)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금속(고정패널보다 강도보다 큰 강도를 가진 금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구동부 브라켓(4)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6)에 고정되는 코어(511), 상기 코어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코어 관통홀(512), 및 상기 코어(511)의 원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전자석(513,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는 원판형상(disk)의 로터 바디(52a), 상기 로터 바디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로터 원주면(52b), 및 상기 로터 원주면에 고정된 다수의 영구자석(525)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들(525)는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로터 원주면(52b)에 고정된다.
상기 동력전달부(6)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하우징(6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링 기어(62), 일단은 상기 로터 바디(52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63, 입력축), 상기 제1축(63)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631), 상기 주동기어(631)와 상기 링 기어(62)를 연결하는 종동기어(677), 상기 종동기어에 의해 상기 하우징(61) 내부에서 회전하는 케이지(67),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지(67)에 고정된 제2축(65, 출력축)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63)에 의한 로터 바디(52a)의 변형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축(63)은 고정판(524)을 통해 상기 로터 바디(52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5)은 상기 제1축(63)과 동심축(concentric axis)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축(65)과 제1축(63)이 동심축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드럼(2)의 회전 시 상기 동력전달부(6)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우징(61)은 상기 구동부 브라켓(4)을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코어 관통홀(512)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61)을 상기 코어 관통홀(512)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D)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61)은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제1하우징(61a), 제1하우징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61a)에 결합하여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면을 폐쇄하는 제2하우징(61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a)에는 제1축 지지부(611) 및 상기 제1축 지지부(611)를 관통하는 제1축 관통홀(6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63)은 상기 제1축 관통홀(6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61a)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제1축 지지부(611)에는 상기 제1축(63)을 상기 제1하우징(61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축 베어링(6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 지지부(611)는 상기 제1하우징(61a)에서 상기 로터 바디(52a)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하우징(61a)에서 상기 제2하우징(61b)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축 지지부(611)가 상기 제1하우징(61a)에서 상기 제2하우징(61b)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제1하우징에서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로 구비되면, 상기 하우징(61)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구동부의 부피 최소화, 의류처리장치의 부피 최소화 가능한 효과).
상기 제2하우징(61b)에는 제2축 지지부(616) 및 상기 제2축 지지부(616)를 관통하는 제2축 관통홀(6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5)은 상기 제2축 관통홀(617)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61b)을 관통하며, 상기 제2축 지지부(616)에는 상기 제2축(65)을 상기 제2하우징(61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축 베어링(6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 지지부(616)는 상기 제2하우징(61b)에서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드럼의 후방커버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 베어링(613)은 상기 제1축(6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축 제1베어링(613a) 및 제1축 제2베어링(613b)을 포함하고, 상기 제2축 베어링(618)은 상기 제2축(65)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축 제1베어링(618a) 및 제2축 제2베어링(618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 베어링 및 제2축 베어링이 각각 두 개 이상의 베어링들(613a, 613b, 618a, 618b)로 구비되면, 상기 로터(52)이 회전 시 상기 제1축(63)과 제2축(65)이 편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구동부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가능).
여러 개의 베어링들은 회전축을 따라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베어링이 구비된 구동부(D)는 부피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한된 부피의 캐비닛(1)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다수의 베어링이 회전축을 지지하게 설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하우징(61)이 스테이터의 코어 관통홀에 위치하는 구조, 및 상기 제1축 지지부(611)가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 구조 등을 통해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하고, 이를 통해 베어링(613, 618)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61a)의 지름과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은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61a)의 지름은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링 기어(62)는 링 기어 바디, 상기 링 기어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링 기어 바디 관통홀, 및 상기 링 기어 바디의 내측 원주면(링 기어 바디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기어 이(gear teeth)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 기어(62)는 상기 제1하우징(61a)과 제2하우징(61b) 중 지름이 작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61a)의 지름이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된 경우, 상기 링 기어(62)는 상기 제1하우징(61a)의 원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67)는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하는 베이스(671), 상기 종동기어(677)를 상기 베이스(6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축(675), 및 상기 연결축(675)의 일단에 고정된 링 형상의 베이스 커버(6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5)은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671)와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5)의 회전에 의한 상기 후방커버(23)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상기 제2축(65)의 일단이 고정되는 축 브라켓(65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브라켓(651)에 의해 드럼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상기 축 브라켓(651)이 고정되는 축 브라켓 장착홈(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브라켓 장착홈(231)은 상기 후방커버(23)가 상기 고정패널(15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됨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브라켓 장착홈(231)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축 브라켓 장착홈(231)의 지름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의 지름보다 더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2)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 충돌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종동기어(677)는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다수의 기어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종동기어(677) 및 상기 연결축(675)은 120도씩 이격된 3개의 기어 및 축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종동기어(677)들은 상기 연결축(675)을 통해 상기 베이스(6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677a), 제1바디(677a)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631)에 결합된 제1기어(677b), 상기 제1바디(677a)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바디(677c), 및 상기 제2바디(677c)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62)에 결합된 제2기어(677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63)의 자유단에 고정된 상기 주동기어(631)는 상기 제1기어들(677b) 각각에 연결되도록 상기 종동기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 지지부(611)의 자유단은 상기 베이스 커버(673)의 중앙에 형성된 베이스 커버 관통홀(674)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커버(673)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제1축 지지부와 베이스 커버의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특징이다(구동부의 부피 최소화).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을 밀폐하기 위해(드럼으로 공급된 공기가 캐비닛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 브라켓(4) 또는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실링부(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브라켓(4)이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61)은 상기 코어 관통홀(512)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 브라켓(4)에 고정될 경우, 상기 실링부(41)는 상기 구동부 브라켓(4)과 상기 제2하우징(61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동부(D)는 상기 스테이터(51)가 하우징(61)에 고정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4에 도시된 구동부(D)와 구조가 동일하다. 즉, 도 4의 구동부(D)는 상기 스테이터(51)가 구동부 브라켓(4)을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는 반면, 도 5의 구동부(D)는 상기 스테이터(51)가 동력전달부의 하우징(61)을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하우징(61)에 고정될 경우, 상기 코어(511)에는 코어 브라켓(515)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61)에는 코어 장착부(6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어(511)는 상기 코어 브라켓(515)을 상기 코어 장착부(619)에 고정하는 코어 체결부(517)를 통해 상기 하우징(6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장착부(619)는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하우징(61b)의 원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구동부(D)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축(63) 및 주동기어(63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주동기어(6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종동기어들(677)은 제1기어(677b)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기어(677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기어(677d)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링 기어(62)가 고정패널(15)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기어(677d)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671) 및 제2축(6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드럼(2)과 상기 베이스(671)는 상기 제2축(65)을 통해 연결되므로, 상기 드럼(2)은 상기 로터(5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하우징(1)에 고정되면, 상기 제1축(63)과 제2축(65)의 동심도 및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하우징(61)이 아닌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제2축(65)에는 드럼의 진동 및 고정패널(151)의 진동이 전달되고, 상기 제1축(63)에는 고정패널(151)의 진동이 전달될 것이다. 이는 상기 드럼(2)의 진동폭과 고정패널(151)의 진동폭이 달라질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축과 제2축의 간격 및 동심도(concentricity), 및 스테이터의 코일(513)과 로터의 영구자석(525) 사이의 간격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테이터(51)가 하우징(61)에 고정된다면, 외부에서 제1축과 제2축에 전달되는 진동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677b)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631)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어(677d)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631)의 지름보다는 길고 상기 제1기어(677b)의 지름보다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기어(677d)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631)의 지름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어, 제2기어, 및 주동기어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면, 상기 구동부(D)는 상기 로터(52)의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D)는 감속기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는 링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관통홀들(158a, 158b)이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제2배기구(157)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관통홀들에 골고루 공급하는 유로가이드(3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기는 유로 저항이 작은 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유로가이드(324)가 구비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100)의 경우, 상기 제2배기구(157)를 통해 상기 덕트 바디(321)로 유입된 공기는 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양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양이 서로 다른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시계방향을 따라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양이 반시계방향을 따라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양보다 많으면, 기준선(L)의 좌측에 위치된 관통홀들(158a)에는 많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지만 상기 기준선(L)의 우측에 위치된 관통홀들(158b)에는 적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술한 공기 공급량의 불균형은 드럼(2) 내부에 있는 의류가 공급받는 공기량의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다. 즉, 의류의 위치에 따라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달라지는 현상은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 일부 의류는 과건조 상태가 되고 일부 의류는 미건조 상태가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 7의 유로가이드(324)는 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양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덕트 바디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양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유지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324)는 상기 제2배기구(157)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기준선(L) 좌측으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배기구(157)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나머지는 기준선(L)의 우측으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가이드(324)에 의해 상기 덕트 바디(321)로 유입된 공기는 일부는 상기 기준선(L)의 좌측에 위치된 관통홀들(158a)로 이동하고, 나머지는 상기 기준선(L)의 우측에 위치한 관통홀들(158b)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기준선(L)은 상기 로터 수용부(322)의 중심과 상기 제2배기구(157)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기준선(L)은 상기 로터 수용부(322) 내부의 한 점과 상기 제2배기구(157) 내부의 한 점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급덕트(32)에는 상기 덕트 바디(321)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돌출벽(3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벽(323)은 상기 덕트 바디(321)에서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고정패널(151)에서 상기 덕트 바디(321)를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돌출벽(323)이 상기 덕트 바디(321)에서 고정패널(151)을 향해 돌출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돌출벽(323)의 자유단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패널(151)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 돌출벽(323)의 자유단과 상기 고정패널(151)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돌출벽(323)은 상기 기준선(L)의 좌측에 위치하는 관통홀들(158a)의 개수와 상기 기준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관통홀들(158b)의 개수를 동일하게 하는 만드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선(L)이 관통홀들의 개수를 양분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돌출벽(323)은 상기 기준선(L)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덕트 바디(321)가 상기 모터(5)를 감싸는 구조이기 때문에(모터가 로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5)가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모터(5)의 효과적 냉각을 위해(스테이터의 냉각을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냉각유로(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유로(35)는 상기 덕트 바디(321)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 수용부(322)를 폐쇄하는 덕트 커버(355), 상기 덕트 바디(321)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 수용부(322)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351), 및 상기 덕트 바디(321)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 수용부(322) 내부의 공기를 상기 로터 수용부(322)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유로(3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351) 및 상기 배기유로(353)는 상기 덕트 바디(321)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53)가 상기 덕트 바디(321)의 상부면이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돌출벽(323)은 상기 배기유로(35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고정패널(151)로 돌출된 상기 덕트 바디(321)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의 회전 시 외기는 상기 공급유로(351)를 통해 상기 로터 수용부(322)로 유입되고, 상기 로터 수용부(322) 내부의 공기는 배기유로(353)를 통해 상기 로터 수용부(322)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공급유로(35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35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모터의 효과적 냉각을 위해), 상기 로터(52)에는 베인(523, vane)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인(523)은 상기 로터 바디(52a)에서 상기 덕트 커버(355)를 향해 돌출된 판(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인(523)은 하나의 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수의 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베인(523)은 상기 로터 바디(52a)의 지름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인(523)이 로터 바디의 지름방향에 평행한 판으로 구비되면,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임펠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스테이터(51)에서 발생하는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로터 수용부(322)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로터(52)는 상기 로터 바디(52a)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로터 관통홀(5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 관통홀(521)은 다수의 홀들이 상기 제1축(63)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 관통홀(521)은 상기 로터 바디(52a)의 지름방향에 대한 길이가 상기 로터 바디(52a)의 원주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길게 설정된 슬릿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인(523)은 상기 로터 바디(52a)의 지름방향에 평행한 상기 로터 관통홀(521)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로터 수용부(322)로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는 안내유로(3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로(357)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유로(353)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상기 모터(5)의 냉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상기 공급유로(351), 상기 로터(52)의 회전중심, 및 상기 배기유로(353)는 하나의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공급유로(351), 상기 로터(52)의 회전중심, 상기 안내유로(357), 및 상기 배기유로(353)가 상기 기준선(L) 상에 배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동력전달부(6)는 상기 로터(52)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로터(52)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드럼(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구조(운동에너지가 순방향으로 전달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로터(52)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로터(52)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드럼(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순행, 역행, 및 순행하는 구조(운동에너지가 역방향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 (a)는 로터의 운동에너지가 순방향으로 전달되는 구조의 동력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로터의 운동에너지가 순방향, 역방향, 및 순방향을 따라 전달되는 동력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a)의 종동기어(677)는 상기 베이스(6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677a), 상기 제1바디(677a)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631)에 결합된 제1기어(677b), 상기 제1바디(677a)에서 상기 드럼(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바디(677c), 및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62)에 결합된 제2기어(677c)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어(677b)는 상기 제1하우징(61a)과 상기 링 기어(6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제1기어(677b)와 상기 제2하우징(61b)의 일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제1기어(677b)는 상기 제1하우징(61a)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제2하우징(61b)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a)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로터(52)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제1축(63)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631)의 운동에너지로 전달되고, 상기 주동기어(631)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제1기어(677b) 및 제2기어(677d)로 전달되며, 상기 제2기어(677d)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베이스(671) 및 제2축(65)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운동에너지의 이동은 상기 로터(52)에서 상기 드럼(2)을 향해 순차적이므로, 도 9 (a)는 순방향 동력전달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 (b)의 종동기어(677)는 상기 베이스(6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677a), 상기 제1바디(677a)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631)에 결합된 제1기어(677b), 상기 제1바디(677a)에서 상기 로터(5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바디(677c), 및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62)에 결합된 제2기어(677c)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어(677b)는 상기 베이스(671)와 상기 링 기어(6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제1기어(677b)와 상기 제1하우징(61a)의 일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제1기어(677b)는 제2하우징(61b)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제1하우징(61a)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b)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로터(52)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제1축(63)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631)의 운동에너지로 전달되고, 상기 주동기어(631)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제1기어(677b)로 전달된다(운동에너지의 순방향 전달). 상기 제1기어(677b)의 운동에너지는 제2기어(677d)에 전달되는데,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드럼이 위치된 방향이 아니라 로터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677b)의 운동에너지는 역방향으로 전달된다. 이후, 상기 제2기어(677d)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베이스(671)를 통해 상기 제2축(65)에 전달되는데, 상기 베이스(671)는 상기 제1기어(677b)와 제2하우징(61b)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2기어(677d)의 운동에너지는 순방향을 따라 상기 제2축(65)에 전달된다.
도 9 (a)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바디(677c)가 제1바디(677a)에서 상기 제2하우징(61b)을 향해 돌출된 원기둥으로 구비되는 반면, 도 9 (b)의 동력전달부는 제2바디(677c)가 제1바디에서 제1하우징(61a)을 향해 돌출된 원기둥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9 (b)의 종동기어들(677)은 제2기어들(677d) 사이에 상기 제1축 지지부(611)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 가능하므로, 도 9 (b)의 동력전달부(6)의 부피는 도 9 (a)의 동력전달부의 부피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도 9 (b)의 경우, 상기 제1축 베어링(613)을 구성하는 다수의 베어링(613a, 61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2기어들(677d)이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 관통홀(612)에 구비된다면, 상기 동력전달부(6)의 부피를 더욱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D)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9 (a) 및 도 9 (b)에 구비된 동력전달부(6)는 상기 제1하우징(61a)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코어 관통홀(512)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는 상기 구동부(D)를 통해 상기 고정패널(1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드럼의 전방커버(22)는 상기 연결 댐퍼(124)를 통해 상기 지지패널의 드럼 연결바디(12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진동에 의해 상기 드럼(2)이 의류처리장치의 후방(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면 상기 드럼 투입구(221)는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에서 분리(드럼으로 공급된 공기가 드럼의 외부로 누출)될 것이고, 이는 에너지의 낭비, 건조시간 증가, 및 건조효율의 감소와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면, 의류는 전방커버와 드럼 연결바디 사이의 공간에 끼일 수 있고, 이로 인해 모터에 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7, 8), 및 상기 후방커버(23)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전방지지부(7, 8) 및 후방지지부(9)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방지지부(7, 8)는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지지패널(121)의 높이방향(Z축 방향) 및 지지패널의 너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방지지부(9)는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지지패널(121)에서 멀어지는 방향(X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전방커버(22)의 원주면 중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지지하는 전방 제1지지부(7), 상기 전방커버(22)의 원주면 중 상기 수평선(H)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지지하는 전방 제2지지부(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제1지지부(7)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롤러(71) 및 제2롤러(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9)는 상기 후방커버(23)의 원주면 중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패널(12)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베이스패널 및 고정패널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순환식 건조 시스템을 구비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배기식 건조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순환식 건조 시스템은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한 뒤 상기 드럼으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재공급하는 건조방식을 말한다. 배기식 건조 시스템은 외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2)으로 공급하고, 열교환을 마친 후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기하는 건조방식을 말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상기 배기식 건조 시스템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부(3)는 상기 제1배기구(128)와 상기 제2배기구(157)를 연결하는 배기덕트, 외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 또는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컨트롤패널(115)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건조코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건조코스의 선택 및 선택된 건조코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공기공급단계(S11)를 실행한다. 상기 공기공급단계(S11)는 상기 팬(349)과 열교환부(34)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2)으로 상온보다 높고 실내 습도보다 낮은 습도의 공기(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상기 공기공급단계(S11)의 실행 중 상기 제어방법은 감지단계(S12, 제1감지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감지단계(S12)는 상기 감지부(4)가 측정하는 데이터로부터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S12)는 기 설정된 주기(S13)마다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기공급단계(S11)의 진행 중 실시간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공급단계(S11)의 진행 중 상기 제어방법은 제1모션 실행단계(S3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는 상기 드럼(2)이 제1모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상기 제1모션은 상기 드럼이 가속모드(S31, 제1가속모드)와 감속모드(S33, 제1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드럼의 동작 패턴을 의미한다. 상기 공기공급단계(S11)와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는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단계가 다른 하나의 단계보다 먼저 개시될 수도 있다.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속모드(S31)는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제1회전수는 의류에 1G 이상의 원심력을 유발시키는 회전수 또는 의류가 드럼의 원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하는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속모드(S31)에서 상기 드럼(2)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D)의 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도면은 상기 드럼(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가속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속모드(S31)의 진행 시 의류는 상기 드럼(2)의 원주면에 펼쳐질 뿐만 아니라 드럼의 원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의류는 드럼 바디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1가속모드(S31)에서 의류는 드럼 내부에서 낙하되지 않고, 드럼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속모드(S31)가 건조 과정의 초기에 실행되면, 의류가 드럼 내부에서 미끄러지거나 낙하할 때 발생하는 의류와 드럼의 마찰을 최소화 가능하며, 이를 통해 건조초기 의류가 마찰력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하다.
또한,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에는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리프터(26)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가속모드(S31)로 드럼이 회전하면 의류는 상기 리프터(26)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드럼의 원주면(드럼 바디)을 향해 가압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를 통해 의류의 구김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후방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233)는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2축(65)을 감싸는 링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를 통해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드럼의 후방면에서 전방면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므로, 상기 제1가속모드(S31)는 의류와 공기의 접촉을 극대화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속모드(S33)는 상기 제1회전수보다 낮게 설정된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제2회전수는 의류에 1G 미만의 원심력을 유발시키는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모드(S33)에서 상기 드럼(2)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1 (b)는 상기 드럼(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감속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감속모드(S33)에서 의류는 상기 리프터(26), 원심력, 및 마찰력 등에 의해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보다 높은 지점까지 상승한 뒤 상기 드럼(2)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는 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제1감속모드(S33)의 진행 시 의류는 상기 드럼 회전궤적의 최저점(P1)에서 상승하는 운동, 상기 최저점에서 90도 이격된 지점(P2)과 180도 이격된 지점(P3)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서 낙하하는 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건조 초기(공기공급단계의 초기)에 실행되는 제1가속모드(S31)는 의류가 마찰력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하지만, 상기 제1가속모드(S31)가 중단없이 실행되면 의류의 특정 영역(드럼의 중심을 향하는 의류의 일면)만 상기 공급부(3)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단점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모드(S33)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제1가속모드(S31)와 상기 제1감속모드(S33)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면,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의류의 영역을 변경할 수 있어 의류의 일부 영역만 건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가속모드(S31)와 제1감속모드(S33)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면 의류에는 도 12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힘이 작용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제1가속모드(S31)와 제1감속모드(S33)를 반복하면, 의류에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는데, 이는 의류의 수축을 방지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마찰력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 의류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접촉면)을 극대화하는 효과, 및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효과를 구현하려면, 상기 제1가속모드(S31)의 실행시간은 상기 제1감속모드(S33)의 실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제1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이 제1가속모드의 실행시간보다 길어지면, 마찰력이 의류에 작용하는 시간 및 빈도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1가속모드(S31)의 실행시간과 상기 제1감속모드(S33)의 실행시간의 비는 3:1 내지 10:1로 설정될 수 있는데, 상술한 효과를 보다 두드러지게 구현하려면, 상기 제1가속모드(S31)의 실행시간과 상기 제1감속모드(S33)의 실행시간의 비를 5:1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속모드(S31)의 유지시간은 180초 이상으로 설정될 때 의류에 공급되는 마찰력의 최소화 및 구김 제거에 효과적이고, 상기 제1감속모드(S33)의 유지시간은 60초 이상으로 설정될 때 의류 교반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제1가속모드(S31)와 상기 제1감속모드(S33)의 교번적 실행이 2회 이상 반복되도록 설정되면, 상술한 효과를 보다 용이하게 달성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드럼의 지름이 24인치 내지 27인치로 설정될 경우, 상기 제1가속모드(S31)에 설정된 드럼의 회전수는 65RPM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감속모드(S33)에 설정된 드럼의 회전수는 50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D)에 입력되는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가속모드(S31)에 설정된 드럼의 회전방향과 상기 제1감속모드(S33)에 설정된 드럼의 회전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의류의 건조과정(공기공급단계)은 건조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고 의류의 온도가 증가하는 제1구간(예열구간, preheating period), 건조도는 급격히 증가(함수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의류의 온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 제2구간(항율건조구간, constant drying rate period), 건조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고 의류의 온도는 증가하는 제3구간(감율건조구간, falling drying rate period)으로 구분된다.
상술한 제1모션 실행단계(S30)는 상기 예열구간의 일부 기간에서만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예열구간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가 상기 예열구간의 일부 기간동안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는 상기 예열구간이 개시된 때 또는 상기 예열구간이 개시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때 시작하여, 상기 예열구간의 종료이전에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의 종료여부는 의류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가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는 상기 감지부(4)를 통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통해 판단(S35)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냉매관(348)을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냉매온도에 도달한 때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를 종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가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전극(131, 133), 또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5)를 통해 판단될 수도 있지만,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7)로 건조도를 판단하는 것이 정확도가 높다. 전극들(131, 133)로 건조도를 판단하는 것은 의류와 전극의 접촉빈도 등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지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로 건조도를 판단하는 것은 의류가 드럼 내부에서 분산된 정도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냉매의 온도는 의류가 드럼 내부에 분산된 상태에 비교적 작은 영향을 받는 데이터이므로, 상기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5)는 냉매의 온도를 기 설정된 제1냉매온도와 비교하는 단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냉매온도는 90도씨로 설정될 수 있다.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된 온도센서(137)는 상기 압축기(345)에서 발열부(343)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7)는 상기 냉매관(348)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냉매의 온도를 추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냉매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는 상기 제1가속모드(S31) 및 제1감속모드(S33)의 총 실행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기준시간은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따라 달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의 개시 전 상기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판단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기준시간은 실험을 통해 선정된 다수의 시간 데이터들 중에서 제어부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모드(S31)의 실행 시 의류가 엉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산모션 실행단계(S2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S20)는 상기 공급공급단계(S11)의 개시 전 실행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기공급단계(S11)와 동시에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의 개시 전 실행되도록 구비될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S20)가 상기 공기공급단계(S11)의 개시 후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의 개시 전 진행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S20)는 의류를 드럼 내부에 골고루 펼쳐줌으로써 드럼의 회전 시 의류가 엉킬 위험을 최소화하는 과정이다.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S20)에서 상기 드럼(2)은 분산모션을 실행한다.
도 1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산모션은 분산 회전수(제4회전수)로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드럼의 동작패턴이다. 상기 분산 회전수는 의류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1G 미만인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드럼의 지름이 24인치 내지 27인치로 설정될 경우 상기 분산 회전수는 30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분산모션의 진행 중 의류는 상기 드럼(2)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분산모션의 진행 시 의류는 상기 드럼 바디(21)에 구비된 리프터(26), 마찰력, 또는 원심력 등에 의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까지 상승한 뒤 상기 드럼의 최저점으로 미끄러지거나 구르는 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S20)는 기 설정된 분산 시간이 경과하면 종료(S25)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가 종료(S35)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모션과 다른 모션으로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교반모션 실행단계(S4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는 교반모드로 상기 드럼(2)을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4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모드는 상기 제1회전수보다 작은 제3회전수(교반 회전수)로 상기 드럼(2)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모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회전수는 회전궤적 최저점(P1)에서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90도 이격된 지점(P2)과 180도 이격된 지점(P3) 사이에서 의류가 드럼에서 분리되게 하는 원심력을 유발하는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회전수는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설정되거나, 상기 제2회전수(제1감속모드에 설정된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회전수는 상기 제2회전수보다는 작고, 상기 제4회전수(분산모드에 설정된 회전수)보다는 큰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 (a)는 상기 제3회전수로 상기 드럼(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 (b)는 상기 제3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교반모드는 드럼의 반시계방향 회전과 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에서 의류는 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상부 공간으로 상승하는 과정, 상기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으로 낙하하거나 구르는 과정, 반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선(H)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으로 상승하는 과정, 및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으로 낙하하거나 구르는 과정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는 상기 항율건조구간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는 상기 항율건조구간의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서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가 항율건조구간에서 실행되면, 공기에 접촉 가능한 의류의 공간(접촉면)이 극대화되므로 건조시간의 단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에서 의류는 드럼 내부에서 계속 움직여지기 때문에, 의류 간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이염의 위험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는 의류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교반종료 건조도(제3기준건조도)에 도달한 때 종료(S45)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교반모드의 실행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교반모션 실행시간)에 도달한 때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전자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후자의 경우,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의 진행시간은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S30)의 진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종료 건조도는 상기 항율건조구간이 종료되는 시점(감율건조구간이 개시되는 시점)의 건조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교반종료 건조도는 함수율이 10% 이하가 되는 건조도로 설정될 수 있다.
냉매의 온도를 통해 건조도를 판단하도록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온도센서(137)가 측정한 냉매의 온도가 교반종료 냉매온도(함수율이 10% 이하인 때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 포량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음)에 도달한 때 상기 교반종료 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의 진행 중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교반종료 건조도 이상이면(S45), 상기 제어방법은 제2가속모드(S51) 및 제2감속모드(S53)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2모션 실행단계(S50)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50)에 구비된 제2가속모드(S51) 및 제2감속모드(S53)는 상기 제1가속모드(S31) 및 제1감속모드(S33)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50)에 구비된 제2가속모드(S51)는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되고, 상기 제2감속모드(S53)는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율건조구간은 의류의 건조도가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의류와 드럼이 마찰하는 빈도가 증가할수록 의류의 마모(보풀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감율건조구간에서 상기 제2가속모드(S51) 및 제2감속모드(S53)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2모션을 실행하면, 의류와 드럼의 마찰 횟수를 최소화하여 의류의 손상 위험을 낮출수 있다.
상기 교반모션 실행단계(S40)는 의류의 움직임을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의류에 많은 충격이 가해지면 의류가 수축되는 문제가 유발(섬유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50)는 의류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임으로써 의류가 수축될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50)에 구비된 제2가속모드(S51)의 실행시간과 제2감속모드(S53)의 실행시간의 비는 상기 제1가속모드(S31)의 실행시간과 제1감속모드(S33)의 실행시간의 비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모드(S51)의 시간이 제2감속모드(S53)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면 의류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의류가 손상될 위험도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가속모드(S51)에 설정된 실행시간은 상기 제2감속모드(S53)에 설정된 실행시간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2감속모드(S53)에 설정된 실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속모드(S51)의 실행시간과 제2감속모드(S53)의 실행시간의 비는 5:1 이하로 설정(3:1 내지 1:1로 설정됨이 바람직)되고, 제2가속모드(S51) 및 제2감속모드(S53) 각각의 유지시간은 60초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50)는 의류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2기준건조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된다(S55). 상기 제2기준건조도는 상기 교반종료 건조도보다는 높고, 사용자가 선택(S10)한 건조코스에 설정된 목표건조도(공기공급단계에 설정된 목표건조도)보다는 낮은 건조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가 제2기준건조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는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4)에서 전송되는 건조도 데이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압축기(345)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냉매온도에 도달한 때, 상기 제2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S55)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감지모션 실행단계(S60) 및 감지단계(S65, 제2감지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모션 실행단계(S60)는 드럼(2)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의류가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공간에서 유동하게 만드는 과정이고, 상기 제2감지단계(S65)는 상기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을 통해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과정이다.
상기 감지모션 실행단계(S60)에서 상기 드럼(2)은 도 13 (b)에 도시된 감지모드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모드에서 상기 드럼(2)은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데, 상기 감지모드에 설정된 드럼의 회전수(감지 회전수, 제5회전수)는 상기 분산모드에 설정된 드럼의 회전수(제4회전수)보다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드럼의 지름이 24인치 내지 27인치로 설정될 경우 상기 감지 회전수는 20RP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모션 실행단계(S60)의 진행 중, 의류는 유동 범위가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으로 제한될 뿐 아니라 이동 속도도 비교적 일정해진다(의류의 움직임을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된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으로도 비교적 정확히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모션 실행단계(S60)는 의류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의류와 공기의 열교환을 최소화함으로써), 과건조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위험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60)의 진행 중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제2기준건조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S55)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벼운 의류가 상기 제1배기구(128)를 폐쇄하는 문제(열교환부의 과열, 의류의 손상)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럼(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제어부가 상기 팬(315)의 회전수를 낮춤으로써 줄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모션 실행단계의 진행 중 측정(S65)된 건조도가 기 설정된 목표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S14),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공기공급단계(S11), 건조도 측정단계(S12), 및 드럼(2)의 회전을 종료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전극들(131, 133)을 통해 측정된 건조도, 및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7)를 통해 측정된 건조도가 모두 상기 목표건조도에 도달한 때 상기 공기공급단계(S11), 건조도 측정단계(S12), 및 드럼(2)의 회전을 종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5는 각 구간별 드럼의 모션 및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분산모션 실행단계(S20)에서 드럼은 분산모션을 실행함으로써 의류를 드럼에 골고루 펼쳐준다. 이후 제1모션 실행단계(S30)에서 드럼은 제1가속모드와 제1감속모드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의류와 드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교반모션 실행단계(S40)에서 드럼은 교반모드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의류와 공기의 열교환을 활성화시키며, 제2모션 실행단계(S50)에서 드럼은 제2가속모드와 제2감속모드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의류의 수축 및 손상을 최소화한다.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S50)의 완료 후 드럼은 감지모드에 따라 회전하므로, 상기 감지부(4)는 의류의 건조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의류처리장치(200)는 전방패널(11)에 투입구(111)가 구비된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4),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2),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2)에는 상기 드럼 내부를 상기 터브 내부에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터브(14)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141), 상기 터브 바디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45, 146), 상기 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147, 148, 14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141)는 터브 지지부(144)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141)의 전방면에는 원통형상의 가스켓(143)을 통해 상기 투입구(111)에 연결된 터브 투입구(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 바디(141)를 연결하는 급수관(145), 및 상기 급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4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펌프(147), 상기 터브 바디와 펌프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148), 및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149)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6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 바디(141)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공급부는 상기 터브 바디의 공기를 터브 바디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터브 바디로 안내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터브 바디(141)의 후방면은 도 1 내지 도 2의 실시예에 구비된 고정패널(151)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15: 컨트롤패널 12: 바디 제1지지부 121: 지지패널
122: 지지패널 관통홀 123: 드럼 연결바디 124: 연결댐퍼
126: 패널 연결바디 128: 제1배기구 129: 필터
13: 감지부 137: 온도센서 14: 터브
15: 바디 제2지지부 151: 고정패널 155: 고정패널 관통홀
157: 제2배기구 158: 공급구 159: 유로형성부
17: 베이스패널 2: 드럼 21: 드럼 바디
22: 전방커버 221: 드럼 투입구 23: 후방커버
231: 축 브라켓 장착홈 233: 공기 유입구 26: 리프터
3: 공급부 31: 배기덕트 32: 공급덕트
321: 덕트 바디 322: 로터 수용부 324: 유로가이드
34: 열교환부 341: 흡열부 343: 발열부
345: 압축기 349: 팬 D: 구동부
5: 모터 51: 스테이터 52: 로터
4: 구동부 브라켓 5: 모터 6: 동력전달부
61: 하우징 62: 링 기어 63: 제1축
631: 주동기어 65: 제2축 67: 케이지
7: 전방 제1지지부 8: 전방 제2지지부 9: 후방지지부

Claims (21)

  1.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단계;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는 제1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1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1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단계는 예열구간(preheating period), 항율건조구간(constant rate period), 및 감율건조구간(falling rate period)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예열구간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는 의류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제1기준건조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공급덕트는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는 흡열부, 냉매의 열을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발열부, 및 냉매가 상기 냉매관을 따라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준건조도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냉매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2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2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제2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2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감율건조구간의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는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공기공급행정에 설정된 목표건조도보다 작게 설정된 제2기준건조도에 도달하면 종료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공급덕트는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는 흡열부, 냉매의 열을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발열부, 및 냉매가 상기 냉매관을 따라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준건조도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냉매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속모드와 상기 제1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의 비는 상기 제2가속모드와 상기 제2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의 비와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은 상기 제1감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속모드의 실행시간과 제1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의 비는 3:1 내지 10: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은 상기 제2감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2감속모드에 설정된 실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속모드와 제2감속모드의 실행시간의 비는 1:1 내지 3: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G 미만의 원심력을 유발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교반모션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항률건조구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 실행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고,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상기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분산모션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에 설정된 상기 드럼의 회전수는 상기 교반모드 실행단계에 설정된 상기 드럼의 회전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션 실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분산모션 실행단계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감지모션 실행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의류가 접촉하도록 구비된 전극들을 통해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 측정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공기공급행정에 설정된 목표건조도 이상이면, 상기 공기공급단계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면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로터;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배기구;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패널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로터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공급구;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공기유입구;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구를 감싸고, 타단은 상기 드럼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감싸는 유로형성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안내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단계;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는 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단계는 예열구간(preheating period), 항율건조구간(constant rate period), 및 감율건조구간(falling rate period)으로 구분되고,
    상기 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예열구간과 상기 감율건조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밀착된 의류에 공기를 배출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면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로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링 기어;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드럼의 후방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축과 동심축을 형성하는 제2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축의 타단이 고정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 제1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에 결합된 제2기어가 구비된 종동기어;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배기구;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패널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로터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공급구;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는 공기유입구;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구를 감싸고, 타단은 상기 드럼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감싸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안내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단계;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실행되는 모션 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1G 이상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가속모드; 및 상기 드럼을 상기 제1가속모드에 설정된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G 미만의 원심력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감속모드;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단계는 예열구간(preheating period), 항율건조구간(constant rate period), 및 감율건조구간(falling rate period)으로 구분되고,
    상기 모션 실행단계는 상기 예열구간과 상기 감율건조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113074A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31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74A KR20220031304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1/011921 WO2022050755A1 (en) 2020-09-04 2021-09-03 A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180054814.1A CN116096957A (zh) 2020-09-04 2021-09-03 一种用于处理衣物的设备及其控制方法
US17/467,014 US20220074119A1 (en) 2020-09-04 2021-09-03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3514972A JP2023540986A (ja) 2020-09-04 2021-09-03 衣類処理装置及び衣類処理装置の制御方法
AU2021336000A AU2021336000A1 (en) 2020-09-04 2021-09-03 A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194829.4A EP3971340A1 (en) 2020-09-04 2021-09-03 Control method for treating laund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74A KR20220031304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304A true KR20220031304A (ko) 2022-03-11

Family

ID=7764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074A KR20220031304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74119A1 (ko)
EP (1) EP3971340A1 (ko)
JP (1) JP2023540986A (ko)
KR (1) KR20220031304A (ko)
CN (1) CN116096957A (ko)
AU (1) AU2021336000A1 (ko)
WO (1) WO2022050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3876B (zh) * 2022-11-21 2024-01-12 江苏高倍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适用于固化碳纤维复合材料的固化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4191B2 (en) * 2008-07-31 2012-01-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ry dryer providing moisture application during tumbling and reduced airflow
JP2010104579A (ja) * 2008-10-30 2010-05-13 Toshiba Corp 洗濯機
JP2013150659A (ja) * 2012-01-24 2013-08-08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KR20170111261A (ko) * 2016-03-25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7724028B (zh) * 2016-08-12 2021-07-20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用于洗干一体机的烘干方法及洗干一体机
KR20180023277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9108005A1 (ko) * 2017-12-01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34129B1 (ko) * 2018-12-13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0986A (ja) 2023-09-27
US20220074119A1 (en) 2022-03-10
WO2022050755A1 (en) 2022-03-10
AU2021336000A1 (en) 2023-03-30
CN116096957A (zh) 2023-05-09
EP3971340A1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0711B2 (en) Structure for supplying hot air for drying clothes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WO2006041266A1 (en) Condensing type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22003130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73063A (ko)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901356A1 (en) Dryer control method
KR10266442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73061A (ko)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3182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0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111261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23540101A (ja) 衣類処理装置
KR20210116333A (ko) 의류처리장치
EP3964624A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EP436133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123077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P4375411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240183101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2016973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16151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3182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609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6974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088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1634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33706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