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375A - 기능성 세절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375A
KR20190097375A KR1020180016718A KR20180016718A KR20190097375A KR 20190097375 A KR20190097375 A KR 20190097375A KR 1020180016718 A KR1020180016718 A KR 1020180016718A KR 20180016718 A KR20180016718 A KR 20180016718A KR 20190097375 A KR20190097375 A KR 20190097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llection box
cutting
main body
wast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757B1 (ko
Inventor
구정훈
Original Assignee
구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훈 filed Critical 구정훈
Priority to KR102018001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7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문서를 포함하는 세절 대상체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구비하는 헤드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헤드부에 이웃되게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세절 대상체를 세절하는 세절 유닛;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세절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되 쓰레기 낙하용 통공을 구비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격벽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세절 유닛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세절 유닛을 통해 세절되어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으로 낙하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지지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투입개구가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에 이웃될 수 있도록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위치를 조절하는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세절기{Functional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능성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종전처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성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세절기는 대상체를 잘게 절단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문서를 세절하는 문서 세절기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세절기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의 세절기는 일측에 투입부(11)가 마련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 내의 투입부(11) 영역에 마련되며, 투입되는 문서를 세절하는 세절 유닛(130)과, 본체부(10)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12)와, 본체부(10) 내에 마련되는 세절함(20)을 포함한다.
이에, 문서 등을 투입부(11)에 넣고 세절기를 가동시키면 문서 등이 세절 유닛(130)을 지나면서 잘게 세절되며, 세절된 쓰레기는 세절함(20) 내로 낙하되어 수거된다.
세절함(20) 내의 쓰레기가 다 찬 경우에는 도 1처럼 도어(12)를 열고 세절함(20)을 꺼내어 세절함(20) 내의 쓰레기를 버리면 된다.
한편,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세절기의 경우, 세절함(20)이 단순히 박스(box) 형상의 통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세절함(20)이 다 찼을 경우에는 본체부(10)에서 세절함(20)은 꺼낸 후, 세절함(20) 내의 쓰레기를 다른 상자나 비닐로 옮겨 담아 버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울 수밖에 없다.
특히, 세절함(20) 내의 쓰레기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때는 먼지가 발생될 소지가 높고, 또한 쓰레기를 주변에 흘릴 우려가 높아서 바닥청소를 더 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기능성 세절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700361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1159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3143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93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종전처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성 세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문서를 포함하는 세절 대상체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구비하는 헤드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헤드부에 이웃되게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세절 대상체를 세절하는 세절 유닛;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세절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되 쓰레기 낙하용 통공을 구비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격벽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세절 유닛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세절 유닛을 통해 세절되어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으로 낙하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지지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투입개구가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에 이웃될 수 있도록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위치를 조절하는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는, 상기 도어가 위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본체부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사이드를 푸싱(pushing)하는 다수의 사이드 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푸싱 유닛은, 푸싱 플레이트; 및 상기 푸싱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는,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다운 구동 유닛은,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사이드에 경사형 스토퍼가 마련되는 로딩 플레이트;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 및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업/다운(up/down)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입력버튼과,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되 상기 헤드부 상에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구름 이동이 가능한 다수의 휠과, 상기 휠의 구름 이동을 구속시키는 다수의 브레이크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문서를 포함하는 세절 대상체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구비하는 헤드부; 손잡이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헤드부에 이웃되게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되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세절 대상체를 세절하는 한 쌍의 세절 커팅 모듈과, 상기 한 쌍의 세절 커팅 모듈을 구동시키는 모듈 구동부를 구비하는 세절 유닛;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세절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되 쓰레기 낙하용 통공을 구비하는 격벽부재; 상기 격벽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세절 유닛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세절 유닛을 통해 세절되어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으로 낙하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지지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투입개구가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에 이웃될 수 있도록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위치를 조절하는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 다수의 입력버튼과,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되 상기 헤드부 상에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는, 상기 도어가 위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본체부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사이드를 푸싱(pushing)하는 다수의 사이드 푸싱 유닛; 및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푸싱 유닛은, 푸싱 플레이트; 및 상기 푸싱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업/다운 구동 유닛은,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사이드에 경사형 스토퍼가 마련되는 로딩 플레이트;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 및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업/다운(up/down)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 내의 쓰레기 수거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내부 관찰창이 형성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다수의 엠보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 내에는 상기 로딩 플레이트에 로딩되는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종전처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기능성 세절기에 사이즈가 작은 제1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기능성 세절기에 사이즈가 큰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기능성 세절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세절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기능성 세절기에 사이즈가 작은 제1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3의 기능성 세절기에 사이즈가 큰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7은 도 2의 기능성 세절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100)는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종전처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 내에 마련되는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100)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헤드부(120)를 비롯해서 세절 유닛(130),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 등의 구성들이 탑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체부(110)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100)의 위치 이동이 자유롭도록 본체부(110)의 하단부에는 구름 이동이 가능한 다수의 휠(111)이 탑재된다.
그리고 휠(111)의 주변에는 다수의 브레이크(112)가 마련된다. 다수의 브레이크(112)는 휠(111)의 구름 이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13)가 마련된다. 도어(113)에 손잡이홈(113a)이 형성된다. 도어(113)를 열고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 도 5 및 도 6 참조)를 버리면 된다.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헤드부(120)가 마련된다. 헤드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 구조물을 이루되 그 일측에는 문서를 포함하는 세절 대상체가 투입되는 투입부(121)가 형성된다.
헤드부(120)에 이웃되게 본체부(110) 내에는 세절 유닛(130)이 마련된다. 세절 유닛(130)은 세절 대상체, 즉 문서를 실질적으로 세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절 유닛(130)은 헤드부(120)에 이웃되게 상기 본체부(110) 내에 마련되되 투입부(121)로 투입되는 세절 대상체를 세절하는 한 쌍의 세절 커팅 모듈(131)과, 한 쌍의 세절 커팅 모듈(131)을 구동시키는 모듈 구동부(132)를 포함한다.
세절 유닛(130)의 하부에는 격벽부재(115)가 마련된다. 격벽부재(115)는 본체부(110) 내의 횡 방향으로 배치된다.
격벽부재(115)에는 세절 유닛(130)에 의해 세절이 완료된 쓰레기가 낙하되는 쓰레기 낙하용 통공(116)이 형성된다. 이때, 세절 유닛(130)의 위치 상 쓰레기 낙하용 통공(116)은 격벽부재(115)의 전체 영역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는 격벽부재(115)를 사이에 두고 세절 유닛(130)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다.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는 세절 유닛(130)을 통해 세절되어 쓰레기 낙하용 통공(116)으로 낙하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를 지지하며,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의 투입개구가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116)에 이웃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를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는 다수의 사이드 푸싱 유닛(150)과, 업/다운 구동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푸싱 유닛(150)은 도어(113)가 위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본체부(110)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의 사이드를 푸싱(pushing)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드 푸싱 유닛(150)들이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의 사이드를 푸싱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의 위치가 원하는 위치로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푸싱 유닛(150)은 푸싱 플레이트(151)와, 푸싱 플레이트(151)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 액추에이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업/다운 구동 유닛(160)은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업/다운 구동 유닛(160)이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를 업/다운 구동시키기 때문에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의 위치가 원하는 위치로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업/다운 구동 유닛(160)은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사이드에 경사형 스토퍼(162)가 마련되는 로딩 플레이트(161)와, 로딩 플레이트(16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로딩 플레이트(161)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163)와, 수직 액추에이터(163)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며, 로딩 플레이트(161)의 업/다운(up/down)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16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100)는 입력부(127)와 컨트롤러(180)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127)는 헤드부(120)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입력버튼(125)과, 디스플레이창(126)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창(126)을 확인하면서 다수의 입력버튼(125)을 통해 입력신호, 예컨대 세절 시간, 강도, 회수 등을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는 도어(113)를 연 상태에서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의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27)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력부(127)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사이드 푸싱 유닛(150)들, 그리고 업/다운 구동 유닛(160)이 동작되어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가 도 5 및 도 6처럼 쓰레기 수거 위치에 잘 배치될 수 있게끔 한다.
이처럼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가 도 5 및 도 6처럼 쓰레기 수거 위치에 잘 배치되어야 쓰레기 수거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며, 추후에 흘리지 않고 잘 버릴 수 있다.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가 다 찼을 때는 종전처럼 옮겨 담을 필요 없이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를 그대로 버리면 되기 때문에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옮겨 담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고 나아가 먼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바닥 청소를 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제1 및 제2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1,B2)를 버린 이후에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27)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27)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종전처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200) 역시, 본체부(110)를 구비하며, 본체부(110)에 헤드부(120)를 비롯해서 세절 유닛(130),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 등의 구성들이 탑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200)에는 내부 관찰창(215)이 형성된다. 즉 도어(213)의 외측에서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2) 내의 쓰레기 수거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213)의 중앙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내부 관찰창(215)이 형성된다. 내부 관찰창(215)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일 수 있다.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의 업/다운 구동 유닛(260)을 이루는 로딩 플레이트(261)의 표면에는 다수의 엠보 돌기(265)가 형성된다. 엠보 돌기(265)들은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2)가 로딩 플레이트(261)에 완전히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로딩 플레이트(261) 내에는 로딩 플레이트(261)에 로딩되는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2)를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266)가 내장된다.
히터(266)는 필요할 때만 가동되며, 혹시라도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2) 내에 젖은 쓰레기가 수거되거나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B2) 자체가 약간 젖어 있는 경우, 강제로 건조시킴으로써 부패에 의한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종전처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세절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300) 역시, 본체부(110)를 구비하며, 본체부(110)에 헤드부(120)를 비롯해서 세절 유닛(130),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 등의 구성들이 탑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300)에는 투입량 감지부(390)와 알림부(392)가 더 구비되며, 이들은 컨트롤러(380)에 의해 컨트롤된다. 알림부(392)는 램프 혹은 부저일 수 있다.
이에, 쓰레기가 꽉 찬 경우에는 투입량 감지부(390)가 이를 감지해서 컨트롤러(380)로 전송하게 되며, 컨트롤러(380)는 알림부(392)의 동작을 컨트롤함으로써 관리자가 쓰레기를 버릴 수 있게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종전처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세절기(400) 역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 내에 마련되는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 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부(110)의 외벽면에 상하 조절용 레버부(491)와 좌우 조절용 레버부(492)가 마련된다.
상하 조절용 레버부(491)와 좌우 조절용 레버부(492)는 본체부(11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140)의 동작을 위해 마련된다. 이때, 전원이 없는 경우에는 상하 조절용 레버부(491)와 좌우 조절용 레버부(492)가 수동의 기계식 구조이면 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하 조절용 레버부(491)와 좌우 조절용 레버부(492)가 버튼 방식이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세절함 내의 쓰레기를 종전처럼 별도의 다른 상자나 비닐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세절기 110 : 본체부
111 : 휠 112 : 브레이크
113 : 도어 113a : 손잡이홈
115 : 격벽부재 116 : 쓰레기 낙하용 통공
120 : 헤드부 121 : 투입부
125 : 입력버튼 126 : 디스플레이창
127 : 입력부 130 : 세절 유닛
131 : 세절 커팅 모듈 132 : 모듈 구동부
140 :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 150 : 사이드 푸싱 유닛
151 : 푸싱 플레이트 152 : 수평 액추에이터
160 : 업/다운 구동 유닛 161 : 로딩 플레이트
162 : 경사형 스토퍼 163 : 수직 액추에이터
164 : 가이드 180 : 컨트롤러

Claims (7)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문서를 포함하는 세절 대상체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구비하는 헤드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헤드부에 이웃되게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세절 대상체를 세절하는 세절 유닛;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세절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되 쓰레기 낙하용 통공을 구비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격벽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세절 유닛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세절 유닛을 통해 세절되어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으로 낙하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지지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투입개구가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에 이웃될 수 있도록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위치를 조절하는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는,
    상기 도어가 위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본체부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사이드를 푸싱(pushing)하는 다수의 사이드 푸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싱 유닛은,
    푸싱 플레이트; 및
    상기 푸싱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는,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구동 유닛은,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사이드에 경사형 스토퍼가 마련되는 로딩 플레이트;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 및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업/다운(up/down)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입력버튼과,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되 상기 헤드부 상에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
  7. 구름 이동이 가능한 다수의 휠과, 상기 휠의 구름 이동을 구속시키는 다수의 브레이크가 하단부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형성하되 문서를 포함하는 세절 대상체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구비하는 헤드부;
    손잡이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헤드부에 이웃되게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되 상기 투입부로 투입되는 세절 대상체를 세절하는 한 쌍의 세절 커팅 모듈과, 상기 한 쌍의 세절 커팅 모듈을 구동시키는 모듈 구동부를 구비하는 세절 유닛;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세절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되 쓰레기 낙하용 통공을 구비하는 격벽부재;
    상기 격벽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세절 유닛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세절 유닛을 통해 세절되어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으로 낙하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지지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투입개구가 상기 쓰레기 낙하용 통공에 이웃될 수 있도록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위치를 조절하는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
    다수의 입력버튼과, 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되 상기 헤드부 상에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상자 위치 조절부는,
    상기 도어가 위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본체부의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의 사이드를 푸싱(pushing)하는 다수의 사이드 푸싱 유닛; 및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푸싱 유닛은,
    푸싱 플레이트; 및
    상기 푸싱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평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업/다운 구동 유닛은,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사이드에 경사형 스토퍼가 마련되는 로딩 플레이트;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수직 액추에이터; 및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업/다운(up/down)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 내의 쓰레기 수거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내부 관찰창이 형성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다수의 엠보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 내에는 상기 로딩 플레이트에 로딩되는 상기 일회용 쓰레기 수거상자를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절기.
KR1020180016718A 2018-02-12 2018-02-12 기능성 세절기 KR102023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18A KR102023757B1 (ko) 2018-02-12 2018-02-12 기능성 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18A KR102023757B1 (ko) 2018-02-12 2018-02-12 기능성 세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75A true KR20190097375A (ko) 2019-08-21
KR102023757B1 KR102023757B1 (ko) 2019-09-20

Family

ID=6780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718A KR102023757B1 (ko) 2018-02-12 2018-02-12 기능성 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7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390A (ja) * 2000-04-18 2001-10-23 Shigumaa Giken Kk 細断紙片類圧縮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文書細断機
KR20030011590A (ko) 2001-07-25 2003-02-11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지중매설 박스용 벨마우스 및 지중매설 박스의 제조방법
KR20040031436A (ko) 2002-10-07 2004-04-13 김창주 자궁내 피임장치의 교정 및 제거 기구
US20070145170A1 (en) * 2005-07-01 2007-06-28 Acco Uk Limited Shredder
KR20100009355U (ko) 2009-03-16 2010-09-29 주유보 다용도 수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390A (ja) * 2000-04-18 2001-10-23 Shigumaa Giken Kk 細断紙片類圧縮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文書細断機
KR20030011590A (ko) 2001-07-25 2003-02-11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지중매설 박스용 벨마우스 및 지중매설 박스의 제조방법
KR20040031436A (ko) 2002-10-07 2004-04-13 김창주 자궁내 피임장치의 교정 및 제거 기구
US20070145170A1 (en) * 2005-07-01 2007-06-28 Acco Uk Limited Shredder
KR20100009355U (ko) 2009-03-16 2010-09-29 주유보 다용도 수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757B1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7065A (en) Collecting container for paper shredders of similar comminuting devices
US7337999B2 (en) Document shredder with a continuously wound vinyl bag
US7926753B2 (en) Material and packaging shredding machine
GB0513480D0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hredders
KR102023757B1 (ko) 기능성 세절기
CN210853563U (zh) 一种内科用采血管箱
CA2313344A1 (en) Self-cleaning litter box
JP2001321232A (ja) 収納装置及び厨房装置
KR101115048B1 (ko) 판재절단가공장치
JP6560946B2 (ja) 解剖台
JP2008055269A (ja) シュレッダー
JP7470410B2 (ja) 廃棄物収容装置
JP5118993B2 (ja) 畳切断装置
JP3118647B2 (ja) 細断屑拡散、圧縮装置付き文書細断機、およびその拡散圧縮装置
JP4823972B2 (ja) 機密書類廃棄用キャビネット
CN209903274U (zh) 一种纸张裁切碎末回收一体化设备
JPS6028491Y2 (ja) 文書細断機
JP2007307552A (ja) 自動紙送りシステムを持っているペーパーシュレッダー
JP2015136651A (ja) シュレッダ
KR102228677B1 (ko) 자동 인출식 수거함이 구비된 골절기
KR970014839A (ko) 문서 재단기의 안전기구
JP2531353Y2 (ja) ドクター装置の掻き屑処理構造
JPH06114477A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打ち抜き屑の回収処理装置
JP3105100U (ja) シュレッダーを具えたペダル式ごみ箱
JP4756177B2 (ja) 紙類細断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