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812B1 -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812B1
KR102259812B1 KR1020200181990A KR20200181990A KR102259812B1 KR 102259812 B1 KR102259812 B1 KR 102259812B1 KR 1020200181990 A KR1020200181990 A KR 1020200181990A KR 20200181990 A KR20200181990 A KR 20200181990A KR 102259812 B1 KR102259812 B1 KR 102259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aw
cutting
cut
swit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효
Original Assignee
서민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효 filed Critical 서민효
Priority to KR102020018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4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26D5/2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including a meter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6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wherein control means on the work feed means renders the cutting member operative
    • B26D5/28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wherein control means on the work feed means renders the cutting member operative the control means being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8Cutting members therefor in the form of wi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단 대상물이 올려지는 무게 및 높이감지에 따라 띠톱 회전의 구동제어와 띠톱의 고속회전시 절단 대상물이 절단될 높이 만큼까지만 슬라이드바의 높이를 조절하여 테이블 상에서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통상의 띠톱을 가려주고 절단 대상물을 얇게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띠톱의 안전사고를 테이블상에 마련된 스위치 누름 및 해제신호로서 띠톱구동을 제어하여 효율적이면서 안전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Cutting safety device of band saw machine}
본 발명은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골절기의 사용시 부주의에 의한 톱날로부터 대상물의 절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기, 또는 띠톱기계는 띠톱날(Band Saw Blade)이 본체의 상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 구성되는 띠톱 휠 사이에 걸어져 무한 궤도상으로 회전하면서 절단물, 예컨대 각종 고기 뼈나 냉동식품 등을 테이블에 올려 넣고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기계장치이다.
상기 골절기에서 절단되는 절단 대상물은 주로 식육용 뼈(骨)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근자에는 그 절단 용도가 확대되어 뼈를 비롯하여 냉동 참치 등 각종 냉동육이나 어류, 또는 식품들을 절단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골절기는 본체의 상 하부에 배치되는 띠톱 휠을 포함하여 각종 부품의 유지보수나 이물질 제거 등을 위해 상기 본체의 일 측으로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통 상기 띠톱 휠은 본체 내에 상,하부로 회전되게 배치되고, 상부측 띠톱 휠은 상부에 마련된 나사식 조절기를 통해 상하유동 간격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하부측의 띠톱 휠에 걸쳐져 장착되는 띠톱을 걸어 띠톱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띠톱은 오픈된 본체의 외부로 그 일부가 드러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측에는 수평으로 절단 대상물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되며, 상기 띠톱은 테이블을 경유하는 형태로 테이블측 회전하는 띠톱에 절단대상물을 위치시켜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 상부의 일측에는 두께 조절판이 구비되어 띠톱 기준으로 절단 대상물을 자르고자 하는 두께에 맞게 절단 대상물의 일측을 받쳐 요구하는 두께로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의 하부는 받침부가 마련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측 띠톱 휠을 경유하고 있는 띠톱에서 톱날 사이 사이에 끼인 골분, 육분(이하, 이를 '톱밥'이라 총칭함)이 상기 하부측 띠돝 휠에 접촉함에 따라 받침부의 상부에 마련된 통공을 통해 떨어지는 톱밥을 받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수거함이 서랍형태로 구비되어 일정시간 절단작업의 경과한 후에는 상기 수거함을 본체로부터 꺼내어 수거함 내의 톱밥을 처리하고, 본체에 수거함을 장착시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골절기 및 골절기의 안전장치 관련 기술구성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9-000144호(명칭: 육류골절기의 안전장치, 공개일자: 1999년 01월 15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1'이라 칭함) 및 등록실용 제20-0310332호(명칭: 안전밀대가 구비된 골절기, 등록일자: 2003년 03월 31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2'라 칭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살피면, 작업중 예리한 띠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용이한 골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육류골절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그 구성은 육류골절기 커버체 상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 중앙에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양측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압압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힌지설치되는 핸들, 상기 브라켓의 하방에 설치되어 핸들의 회동량을 제한하는 스톱퍼로 구성된다.
상기 특허문헌 2는, 띠톱에 대하여 냉동육이나 뼈를 간접적으로 밀어 절단하기 위한 안전밀대의 상부 재침시 기체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고 안전하게 정지 가능하도록 한 안전밀대가 구비된 골절기에 관한 기술이며, 이에 대한 구성은 기체의 내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각기 장착되는 띠톱 휠과, 이들 사이에 걸어진 띠톱과, 상기 하부의 띠톱 휠에 연결 설치된 모터와, 상기 기체에 고정되고 절단물을 올려놓기 위한 슬라이스 판과, 상기 절단물의 절단 두께를 조절 가이드하기 위한 두께 조절판 및 띠톱 유동 방지구 및 상기 띠톱과의 사이에 개재된 절단물을 간접적으로 밀어 절단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구비된 안전밀대로 이루어진 공지의 골절기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외측으로 설치된 브라켓에 대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 가능하게 유설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띠톱 유통 방지구에 대하여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절단물을 띠톱에 대하여 강제로 밀어주기 위한 밀대로 구성된 안전밀대 및; 상기 안전밀대의 세움 조작시 임의적인 회동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조작되는 정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 및 2는 제자리에서 고속 회전하는 톱날에 대하여 절단 대상물을 톱날측으로 밀어 직접 작업자의 손이 톱날에 닿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이다.
통상적으로 골절기를 이용함에 있어, 먼저 톱날을 고속 회전시키고, 절단 대상물을 테이블 상부에 얹혀 놓고 절단하는 작업은 두가지 형태로 나누어진다.
이는 절단대상물의 양측을 잡고 톱날에 대상물의 대략 중간지점을 절단하는 예와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 조절판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요구하는 두께로 절단시에는 회전하는 톱날까지 절단대상물을 밀어 절단하면서 최종적으로는 톱날부분에 손이 닿지 않게 절단물을 밀어내면서 절단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두번째 예는 특허문헌 1,2에서 톱날에 대한 작업자의 손이 닿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해당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안전성은 확보되나 절단 대상물을 자른 다음, 재차 절단하는 작업속도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절단 대상물을 잡고 밀어내는 방식보다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는 절단 대상물이 잘려나간 상태에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위치에 맞게 위치시키고, 안전장치들을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기 위한 동작들은 수회 절단하는 작업에서 번거롭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상기와 같은 안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절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대부분의 작업자들이 실질적으로 골절기의 톱날에 다치게 되는 경우는 절단 대상물의 절단시 보다는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고속 회전하는 톱날에 닿게 되어 다치는 경우이거나, 절단 대상물의 최하 절단두께를 무시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다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골절기의 톱날로부터 대상물의 절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테이블에 올려진 상태 여부를 감지하고, 더불어 대상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필요한 만큼의 톱날을 노출시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대상물의 최하 절단 두께를 벗어난 상태를 감지하여 톱날의 고속 회전을 정지시켜 보다 안전한 절단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 상,하부 측 띠톱 휠에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이 걸어지고, 본체의 외부에서 하부측 띠톱 휠과 연결되어 띠톱 휠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 및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를 경유하는 띠톱의 위치에 절단 대상물을 받쳐 절단 작업하기 위한 테이블이 본체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 일측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띠톱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절단 대상물의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두께 조절판이 구비되며, 본체의 하부에는 회전하는 띠톱에서 떨어져 나간 톱밥을 받아 수집하는 수거함이 서랍형태로 구비된 통상의 골절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테이블상에 노출되는 띠톱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평행하며, 절단 대상물의 높이에 따라 본체커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테이블의 저부에 구비되어 절단 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띠톱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로드셀과; 상기 테이블상에 구비되어 띠톱으로부터 절단 대상물의 절단 두께를 제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1스위치 및 제1스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스위치와; 상기 높이조절수단, 로드셀,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1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하부 전면에 다수개의 높이감지센서가 일렬로 다수개 배열 설치되고, 양측 길이방향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전면에 랙기어부가 형성되어 본체커버로부터 관통 설치되고, 측면에 상향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본체커버의 내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바의 가이드홈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바의 랙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온기어 및 피니온기어를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어 절단 대상물의 누름 여부에 따라 제어부를 통한 띠톱 구동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는, 절단 대상물이 올려지는 무게 및 높이감지에 따라 띠톱 회전의 구동제어와 띠톱의 고속회전시 절단 대상물이 절단될 높이 만큼까지만 슬라이드바의 높이를 조절하여 테이블 상에서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통상의 띠톱을 가려주고 절단 대상물을 얇게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띠톱의 안전사고를 테이블상에 마련된 스위치 누름 및 해제신호로서 띠톱구동을 제어하여 효율적이면서 안전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골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절기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적용된 본체 및 본체 커버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와 각 구성요소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블럭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절기의 테이블로부터 높이조절수단이 슬라이드바의 높이조절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8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 대상물의 절단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절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본체(10)의 내부 상,하부 측 띠톱 휠(W1,W2)에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S)이 걸어지고, 본체(10)의 외부에서 하부측 띠톱 휠과 연결되어 띠톱 휠(W2)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M1) 및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를 경유하는 띠톱(S)의 위치에 절단 대상물(1)을 받쳐 절단 작업하기 위한 테이블(12)이 본체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10) 일측에는 테이블(12)의 상면으로부터 띠톱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절단 대상물(1)의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두께 조절판(14)이 구비되며, 본체(10)의 하부에는 회전하는 띠톱(S)에서 떨어져 나간 톱밥을 받아 수집하는 수거함(16)이 서랍형태로 구비된 통상의 골절기(100)에 있어서,
고속 회전하는 상기 톱날(S)로부터 안전장치는 높이조절수단(20), 로드셀(30), 제1스위치(S1) 및 제2스위치(S2),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테이블(12)상에 노출되는 띠톱(S)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평행하며, 절단 대상물(1)의 높이에 따라 본체커버(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하부 전면에 다수개의 높이감지센서(21)가 일렬로 다수개 배열 설치되고, 양측 길이방향에 가이드홈(22a)이 형성되며, 전면에 랙기어부(22b)가 형성되어 본체커버(11)로부터 관통 설치되고, 측면에 상향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22c)가 구비된 슬라이드바(22)와, 상기 본체커버(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바(22)의 가이드홈(22a)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재(24)와, 상기 슬라이드바(22)의 랙기어부(22b)에 치합되는 피니온기어(26) 및 피니온기어(26)를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M2)로 구성된다.
상기 높이감지센서(21)는 테이블에 올려진 절단 대상물의 높이레벨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절단 대상물(1)의 해당 높이를 감지하면, 높이조절수단(2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바(22)를 상향 높이 조절되도록 하여 절단 대상물의 높이로부터 정면으로 과도하게 노출되는 띠톱(S)을 최대한 가리는 형태로 작동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드바(22)는 띠톱(S)의 톱날부분으로부터 그 전방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기 이전 전원스위치의 온(On) 상태에서는 고속으로 띠톱이 회전이 이루어질 때 그 전방에 위치되어 절단방향의 정면을 가리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재(24)는 브라켓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등간격지게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본체커버(11)의 내측에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슬라이드바(22)의 양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바(22)의 상하 이동시 수직으로 안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로드셀(30)은 테이블(12)의 저면에 부착되어 테이블 상면에 올려지는 절단 대상물의 무게 혹은 작업자의 손이 올려진 상탤ㄹ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12)의 상면에 올려지는 절단 대상물(1)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40)를 통한 띠톱(S)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제1스위치(S1)와 제2스위치(S2)는 상기 테이블(12)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테이블(12)의 상면으로부터 절단 대상물의 이동에 최대한 간섭이 없는 낮은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절단 대상물(1)의 누름 여부에 따라 제어부(40)를 통한 띠톱(S) 구동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스위치(S1)는 띠톱(S)으로부터 절단 대상물(1)의 절단 두께를 제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띠톱(S)이 관통되는 테이블상에 띠톱(S)과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절단 대상물(1)이 제1스위치(S1)를 벗어난 상태에서는 제2스위치(S2)와 함께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로서 상기 띠톱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40)는 높이조절수단(20)의 제2구동모터(M2), 로드셀(30), 제1스위치(S1), 제2스위치(S2) 및 제1구동모터(M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절단 안전장치를 갖는 골절기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골절기(100)는 본체(10)에 대해 본체커버(11)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통상적인 골절기와 같이 띠톱(S)의 교체는 물론, 하부측 수거함(16)을 통해 톱밥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점은 기존 골절기와 동일하다.
상기 골절기(100)의 기본적인 구동은, 제1구동모터(M1)의 구동에 따라 띠톱 휠(W1,W2)과 띠톱(S)이 회전하고, 테이블(12)의 상부에서는 절단 대상물(1)을 올려 해당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절단 대상물(1)을 테이블(12) 상부에 올려놓게 되면, 테이블(12)에 구비된 로드셀(30)은 절단 대상물(1)을 감지로 제1구동모터(M1)를 구동하여 띠톱 휠(W1,W2)을 통해 띠톱(S)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준다.
이때의 슬라이드바(22)는 고속회전하는 띠톱(S)의 전방을 가리는 형태에서 슬라이드바의 전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높이감지센서(21)를 통해 절단 대상물(1)의 높이를 감지하며, 이러한 감지신호는 제어부(40)에서 제2구동모터(M2)를 작동하여 슬라이드바(22)를 상향 이동시켜 준다. 상기 슬라이드바(22)의 상승 제한은 절단 대상물(1)을 절단할 수 있는 최대 높이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슬라이드바(22)의 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스톱퍼(22c)가 슬라이드바(22)가 관통되는 본체커버(11)에 걸려 더이상 상승됨을 방지시켜 최대 높이로 띠톱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슬라이드바(22)의 상향이동은 높이감지센서(21)에서 감지된 높이에 따라 슬라이드바(22)를 상향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22)의 상향 작동은 랙기어부(22b)에 치합된 제2구동모터(M2)측 피니온기어(26)의 치합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바(22)가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올려짐으로 인해 그 뒤로 노출된 띠톱(S)의 전방으로 절단 대상물(1)의 양측을 양손으로 각각 잡고 톱날부분을 향해 이동시키면서 요구하는 크기로 절단, 등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단 대상물(1)의 등분절단은 띠톱(S) 기준으로 절단작업을 할 수 있으며, 가령 작업자가 절단된 절단 대상물을 양손으로 각각 잡고 테이블의 상면에서 이격시키면, 상기 로드셀(30)에서 감지무게가 제로 상태의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2구동모터(M2)의 역구동으로 피니온기어(26)를 역회전시켜 슬라이드바(22)를 하강시켜 주고, 이때 띠톱(S)의 회전은 정지시킨다.
상기와 달리 작업자가 등분된 절단 대상물(1)을 잡은 상태에서 테이블(12) 상부에 작업자의 양손이 올려진 상태라면 이때 슬라이드바(22)는 하강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띠톱(S)의 회전은 연속되는 상태로서 반복적인 등분절단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안전한 두께로 등분절단하는 작업과는 달리 비교적 좁은 두께로 절단 대상물(1)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첨부된 도 8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조절판(14)을 띠톱(S)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 세팅한 상태에서 절단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두께 조절판은 그 후방에 조절축이 구비되고, 이 조절축은 본체측에 마련되는 지지대에 안내 및 적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타입으로 세팅된다.
상기와 같이 두께 조절판을 사용한 절단작업의 예는 절단 대상물(1)의 일측은 두께 조절판(14)에 밀착시킨 상태로 작업자는 양손으로 절단 대상물을 잡고 톱날 절단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면서 요구하는 두께로 절단한다(도 8의 (b)참조). 도 8의 (a)는 테이블 상의 제1스위치(S1) 및 제2스위치(S2)는 모두 절단 대상물에 의해 눌려져 있는 상태로 띠톱(S)의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고, 도 8의 (b)는 제1스위치(S1)는 눌려진 상태, 제2스위치(S2)는 눌림 해제된 상태로 이때에도 띠톱(S)의 회전구동이 이루어지져 절단 대상물(1)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가령, 도 8의 (c)와 같은 상태는, 최대한 절단 대상물(1)을 이동시켜 제1스위치(S1) 및 제2스위치(S2)의 눌림이 모두 해제된 상태라면, 이러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제어부(40)를 통해 제1구동모터(M1), 띠톱(S) 회전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무리하게 절단 최하 두께로의 절단을 방지하여 띠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 11: 본체커버
12: 테이블 14: 두께 조절판
16: 수거함 20: 높이조절수단
21: 높이감지센서 22: 슬라이드바
22a: 가이드홈 22b: 랙기어부
22c: 스톱퍼 24: 가이드롤러부재
26: 피니온기어 30: 로드셀
40: 제어부 100: 골절기
M1: 제1구동모터 M2: 제2구동모터
W1,W2: 띠톱 휠 S: 띠톱
S1: 제1스위치 S2: 제2스위치

Claims (3)

  1. 본체(10)의 내부 상,하부 측 띠톱 휠(W1,W2)에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S)이 걸어지고, 본체(10)의 외부에서 하부측 띠톱 휠과 연결되어 띠톱 휠(W2)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M1) 및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를 경유하는 띠톱(S)의 위치에 절단 대상물(1)을 받쳐 절단 작업하기 위한 테이블(12)이 본체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10) 일측에는 테이블(12)의 상면으로부터 띠톱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절단 대상물(1)의 절단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두께 조절판(14)이 구비되며, 본체(10)의 하부에는 회전하는 띠톱(S)에서 떨어져 나간 톱밥을 받아 수집하는 수거함(16)이 서랍형태로 구비된 통상의 골절기(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로부터 테이블(12)상에 노출되는 띠톱(S)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평행하며, 절단 대상물(1)의 높이에 따라 본체커버(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20)과;
    상기 테이블(12)의 저부에 구비되어 절단 대상물(1)의 무게를 감지하여 띠톱(S)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로드셀(30)과;
    상기 테이블(12)상에 구비되어 띠톱(S)으로부터 절단 대상물(1)의 절단 두께를 제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1스위치(S1) 및 제1스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스위치(S2)와;
    상기 높이조절수단(20), 로드셀(30), 제1스위치(S1), 제2스위치(S2) 및 제1구동모터(M1)와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은,
    하부 전면에 다수개의 높이감지센서(21)가 일렬로 다수개 배열 설치되고, 양측 길이방향에 가이드홈(22a)이 형성되며, 전면에 랙기어부(22b)가 형성되어 본체커버(11)로부터 관통 설치되고, 측면에 상향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22c)가 구비된 슬라이드바(22)와,
    상기 본체커버(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바(22)의 가이드홈(22a)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재(24)와,
    상기 슬라이드바(22)의 랙기어부(22b)에 치합되는 피니온기어(26) 및 피니온기어(26)를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M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S1) 및 제2스위치(S2)는 테이블(12)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어 절단 대상물(1)의 누름 여부에 따라 제어부(40)를 통한 띠톱(S) 구동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KR1020200181990A 2020-12-23 2020-12-23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KR10225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990A KR102259812B1 (ko) 2020-12-23 2020-12-23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990A KR102259812B1 (ko) 2020-12-23 2020-12-23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812B1 true KR102259812B1 (ko) 2021-06-01

Family

ID=7637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990A KR102259812B1 (ko) 2020-12-23 2020-12-23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8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238U (ko) * 1996-07-11 1998-04-30 이용수 육절된 육의 무게측정이 가능한 육절기
KR200467085Y1 (ko) * 2011-10-17 2013-05-27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KR101279809B1 (ko) * 2012-07-03 2013-06-28 이찬우 원형 톱을 이용한 절삭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238U (ko) * 1996-07-11 1998-04-30 이용수 육절된 육의 무게측정이 가능한 육절기
KR200467085Y1 (ko) * 2011-10-17 2013-05-27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KR101279809B1 (ko) * 2012-07-03 2013-06-28 이찬우 원형 톱을 이용한 절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2593B1 (en) Variable thickness bread slicer
EP1749445B1 (en) Meat slicing machine
US4287820A (en) Spiral meat slicer
CN109662130A (zh) 一种多功能切肉机
US20180178403A1 (en) Automatic Enclosed Food Slicer
US9475204B2 (en) Food slicer with support element
KR102259812B1 (ko)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CA2514864C (en) Bread slicer
CN115070853A (zh) 一种干性中草药自动切片装置
US3939749A (en) Band saw
JP2007160433A (ja) 帯鋸盤の安全装置および帯鋸盤
KR20160008936A (ko) 냉동 뼈 고기 절단기
JP5534829B2 (ja) 小口切断用バンドソー
CN213104735U (zh) 一种液压摆式自动送料剪板机
US4009630A (en) Device with movable end stop means for pieces of lumber to be cut into shorter pieces
KR20190014142A (ko) 식재료 깍뚝 썰기 장치
CN213187868U (zh) 一种食品加工专用的高效安全锯骨机
DE50010066D1 (de) Vorrichtung zum Aufschneiden von Lebensmittelprodukten
JPH0719748Y2 (ja) 食品用帯鋸盤
CN111038807A (zh) 拆包设备
CN213732071U (zh) 一种纸张分切机废料整理装置
CN220348502U (zh) 中药切片装置
CN220517017U (zh) 一种电路板分板机
GB2082967A (en) A machine for portioning meat
KR102228677B1 (ko) 자동 인출식 수거함이 구비된 골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