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85Y1 -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85Y1
KR200467085Y1 KR2020110009206U KR20110009206U KR200467085Y1 KR 200467085 Y1 KR200467085 Y1 KR 200467085Y1 KR 2020110009206 U KR2020110009206 U KR 2020110009206U KR 20110009206 U KR20110009206 U KR 20110009206U KR 200467085 Y1 KR200467085 Y1 KR 200467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aw
hole
fixing bracket
vertical
hol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475U (ko
Inventor
양동광
Original Assignee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8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6Bone-shears; Bone-cr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절기의 기체 내부에 회전자재 되게 설치되는 띠톱이 기체의 외부로 노출된 구간에서 안전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은 이를 위해 골절기(10) 기체(12)의 상부 후방 벽으로는 수직 관통공(112)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11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수직 관통공으로는 지주봉(120)을 관통시키되 그 상단으로 이탈방지와셔(122)를 나사(124)로 고정하여 상기 수직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지주봉의 하단으로 형성된 나사부(126)로는 유동방지편(130)의 일 측으로 형성된 조절장공(132)을 끼우되 그 상 하단으로는 와셔(134)를 각각 끼움 함과 동시에 너트(136)를 체결하여 이를 조이고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띠톱(14)의 회전 가이드 위치가 좌우로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 구성하고, 상기 유동 방지편의 타 측으로는 띠톱이 관통 설치되는 세장형의 유동 방지홈(138)을 형성하되 상기 유동 방지홈에 관통 지지되는 띠톱은 상기 유동 방지편에 고정 설치되는 안전커버(140)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주봉으로는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깊어지도록 경사지게 요설되는 가이드 홈(12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으로는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 관통공과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나사공(114)에 나사 결합되는 핸들(150)의 나사축(152)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핀(154)이 상호 걸림 조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지주봉(120)이 상기 고정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낙하되지 않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

Description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BAND SAW MACHINE BAND SAW ROTATION GUIDE DEVICE}
본 고안은 골절기용 띠톱(band saw) 회전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체의 외부로 노출된 구간에서 회전되는 띠톱의 가이드 위치 조절이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또 설치에 따른 안전성 및 편리성이 강화된 새로운 구조를 갖는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골절기(骨切機)는 축산물의 냉동육이나 뼈를 비롯하여 냉동 수산물 등의 절단물들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품절단기계로서, 그 개략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골절기는, 기체(1)의 내부 상 하부로는 띠톱 휠(2)(3)이 각각 장착되고, 각 띠톱 휠(2)(3)의 사이로는 띠톱(4)이 걸어지며, 하부의 띠톱 휠(3)의 후방으로는 모터(5)가 연결 설치되며, 절단물을 올려놓고 절단하기 위하여 기체(1)의 소정 지점으로 고정 설치되고 띠톱 휠(2)(3) 사이에 걸어진 띠톱(4)이 노출되게 관통 설치되는 슬라이스 판(6) 및 절단물의 절단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기체(1)에 대하여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께 조절판(7) 및 띠톱 유동 방지구(8)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띠톱은 절단물을 절단하기 위하여 기체(1)의 상 하부 설치된 띠톱 휠(2)(3) 사이에 무한 궤도상으로 걸어져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절단물을 절단하기 때문에 띠톱(4)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유동되거나 떨리는 등의 문제로 인해 이를 보상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종래에는 띠톱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의 일환으로서 도 1과 같은 띠톱 유동 방지구(8)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 사용되고 있는 띠톱 유동 방지구(8)는 단순히 띠톱을 커버하는 정도의 안전성만이 강구되었을 뿐 골절기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그 회전 가이드 위치를 각각 달리하는 경우에는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각각의 골절기에 맞추어 설계되어야 하는 구조상의 문제가 있다. 즉, 골절기의 크기가 종류에 따라 띠톱의 회전 가이드 위치를 각각 달리하는 경우 이에 맞추어 띠톱 유동 방지구(8)의 가이드 위치를 상하 좌우로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로하지만 이러한 기능이 상실되어 있기 때문에 적정한 가이드 위치로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띠톱 유동 방지구(8)는 그 구조가 시급히 개선되어 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332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골절기의 크기가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띠톱의 회전에 따른 가이드 위치 조절이 상하좌우로 가능하게 되고, 특히 상하 조절시 회전 가이드편이 기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급격하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에 따른 안정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는, 기체의 상부 후방 벽으로는 수직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수직 관통공으로는 지주봉을 관통시키되 그 상단으로 고정와셔를 나사로 고정하여 상기 수직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지주봉의 하단으로 형성된 나사부로는 유동방지편의 일 측으로 형성된 조절장공을 끼우되 그 상하단으로는 와셔를 각각 끼움 함과 동시에 너트를 체결하여 이를 조이고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띠톱의 회전 가이드 위치가 좌우로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 구성하고, 상기 유동 방지편의 타 측으로는 띠톱이 관통 설치되는 세장형의 유동 방지홈을 형성하되 상기 유동 방지홈에 관통 지지되는 띠톱은 상기 유동 방지편에 고정 설치되는 안전커버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주봉으로는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깊어지도록 경사지게 요설되는 가이드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으로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수직 관통공과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핸들의 나사축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핀이 상호 걸림 조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지주봉이 상기 고정 브라켓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점에 그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주봉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봉이 관통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의 수직 관통공 역시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띠톱을 이용하여 절단물을 절단하는 골절기의 크기가 형태가 상이하더라도 하나의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되는 띠톱의 회전 가이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설치시 기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을 중심으로 유동 방지편이 구비된 지주봉이 하중에 의해 급격하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에 따른 안전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띠톱 유동 방지구가 채용된 골절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가 채용된 골절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의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의 발췌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지주봉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구조를 보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의 (a)(b)(c)는 도 6의 B1-B1, B2-B2, B3-B3의 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를 이용하여 띠톱의 회전 가이드위치에 맞추어 유동 방지편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를 이용한 띠톱의 회전 가이드 위치에 맞추어 유동 방지편을 좌우로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의 (a)(b)는 지주봉의 상하 조절시 손잡이의 가이드 핀에 의해 가이드 홈이 걸려 과도한 하강이 방지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11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지주봉의 각 단면 형상 예를 보인 평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물의 절단을 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띠톱(14)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골절기(10)의 기체(1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진다.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1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의 외부로 노출된 구간에서 회전되는 띠톱을 회전 가이드하기 위하여 기체(12)의 상부 후방 벽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1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110)으로는 수직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수직 관통공으로는 지주봉(120)이 관통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지주봉은 그 상단으로 구비되는 이탈방지 와셔(122)를 나사(124)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직 관통공(1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주봉(120)의 하단으로는 나사부(126)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부로는 유동 방지편(130)의 일 측으로 형성된 조절 장공(132)이 좌우 조절 가능하게 끼워 설치된다. 즉, 상기 지주봉(120)의 나사부(126)로 끼워지는 유동 방지편(130)의 조절 장공(132)은 그 상 하단으로 와셔(134)를 각각 끼움 함과 동시에 하단에서 너트(136)를 체결하고 이를 조이고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상기 지주봉(120)을 중심으로 띠톱의 회전 가이드 위치에 맞추어 좌우로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 방지편(130)의 타 측으로는 띠톱(14)이 관통 설치되는 세장형의 유동 방지홈(1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 방지홈에 관통 지지되는 띠톱은 상기 유동 방지편에 고정 설치되는 안전커버(140)에 의해 보호되도록 커버 구성되어 진다.
상기 지주봉(120)으로는 도 6 및 도 7의 (a)(b)(c)와 같이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깊어지도록(P1,P2,P3) 경사지게 요설되는 가이드 홈(12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28)으로는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 관통공(112)과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나사공(114)에 나사 결합되는 핸들(150)의 나사축(152)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핀(154)이 상호 조임 조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지주봉(120)이 급격하게 낙하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봉(120)은 원형을 비롯하여 다각형, 예컨대, 삼감,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주봉이 관통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 관통공(110) 역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지주봉(120)을 특히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수직 이동성을 더욱 용이하게 하면서도 임의적인 자전이 방지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지주봉에 형성된 가이드 홈(128)으로는 핸들(150)의 나사축(152)으로 구비된 가이드 핀(154)이 끼워져 있어 겉도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기는 하나 상기 가이드 핀이 가이드 홈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 특히 지주봉(120)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매우 유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100)를 이용하여 띠톱(14)의 회전 가이드 위치에 맞추어 고정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지주봉(120)에 구비된 유동 방지편(130)의 상하 조절상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정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유동 방지편(130)이 구비된 지주봉(120)을 상하로 조절하는 이유는 골절기(10)의 기체(12) 형태나 크기에 따라 띠톱(14)이 기체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달리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유동 방지편(130)의 적절한 상하 가이드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지주봉(120)에 구비된 유동 방지편(13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4의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잠금 상태에 있는 핸들(150)을 먼저 풀어준다. 그러면, 핸들의 나사축(152)에 구비된 가이드 핀(154)에 의해 밀착 지지되어 있던 지주봉(120)의 가이드 홈(128)은 조임 상태에서 해제되어 지고, 그 해제된 틈새만큼의 범위 내에서 상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띠톱(14)의 회전 가이드위치에 맞추어 유동 방지편(130)의 높이를 맞춤한 다음 다시 핸들(150)을 조임 조작하면, 다시 핸들의 나사축(152)이 고정 브라켓(110)의 수평 나사공(114)을 통해 조임 이동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핀(154)이 지주봉(120)의 가이드 홈(128)과 상호 밀착 걸림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지주봉(110)은 핸들(150)의 조임 조작을 통해 가이드 핀(154)이 지주봉(120)의 가이드 홈(128)에 각각 밀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핸들(150)을 인위적으로 풀지 않는 이상 그 가이드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지주봉(120)에 구비된 유동 방지편(130)에 의해 띠톱(14)은 안전하게 회전되어 진다.
한편, 지주봉의 상하 높낮이 조절시 지주봉(120)의 가이드 홈(128)이 도 6 및 도 7의 (a)(b)(c)와 같이 하향으로 깊어지도록 경사지게 파여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해 핸들(150)이 풀려있는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지주봉(120)을 갑자기 놓는다 하더라도 핸들(150)이 완전히 풀려 있지 아니하는 한, 예컨대 가이드 홈(154)으로부터 핸들의 나사축(152)에 구비된 가이드 핀(154)의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완전히 풀려져 있지 않은 이상 지주봉(120)의 낙하시, 도 10의 (a)(b)와 같이 지주봉(120)에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홈(128)이 나사축(152)에 구비된 가이드 핀(154)에 상호 걸림되어 지기 때문에 지주봉(120)의 급격한 낙하가 방지되어 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지주봉(120)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홈(128)에 의해 고정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지주봉이 낙하된다고 하더라도 낙하하는 도중 핸들(150)의 가이드 핀(154)에 걸림되기 때문에 급격한 낙하가 방지됨에 따라 결국,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100)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하는 띠톱(14)의 회전 가이드 위치에 맞추어 지주봉(120)에 구비된 유동 방지편(130)의 좌우 가이드 위치를 도 9와 같이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지주봉(120)의 나사부(126)에 나사 체결된 너트(136)를 풀어주는 것에 의해 상하로 배치된 와셔(134)에 의해 조절 장공(132)의 조임이 해제되고, 이러한 너트(136)의 해제 동작을 통해 유동 방지편(130)을 좌우로 조절하여 이에 형성된 유동 방지홈(138)에 대한 띠톱(14)의 회전 가이드 위치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고, 조절이 완료되면 다시 너트(136)를 조임하는 것에 의해 유동 방지편(130)의 좌우 조절이 완료되어 진다.
그리고, 띠톱(14)에 대한 상하 좌우 조절이 완료되면 띠톱(14)은 유동 방지편(130)에 형성된 세장형의 유동 방지홈(138)에 끼워져 유동 및 흔들림이 방지되면서 안전하게 회전되어 지고 동시에 측면으로 구비된 안전 커버(140)에 의해 안전하게 커버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100)에 따르면, 골절기(10)의 기체(12)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고정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지주봉(120)에 구비된 유동 방지편(130)의 상하 좌우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나 형태를 갖는 골절기(10)에 채용하여 기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간에서 회전되는 띠톱(14)의 좌우 유동 및 커버가 가능하면서도, 설치시 지주봉(120)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홈(128)의 깊이 차이에 따른 유동 방지편(130)의 급격한 낙하가 방지되어 설치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골절기 12: 기체
14: 띠톱 100: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110: 고정 브라켓 112: 수직 관통공
114: 수평 나사공 120: 지주봉
122: 이탈방지와셔 124: 나사
126: 나사부 128: 가이드 홈
130: 유동 방지편 132: 조절장공
134: 와셔 136: 너트
138: 유동 방지홈 140: 안전커버
150: 핸들 152: 나사축
154: 가이드 핀

Claims (2)

  1. 골절기(10)의 기체(12) 내부에 회전자재 되게 설치되는 띠톱(14)이 기체의 외부로 노출된 구간에서 안전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골절기(10) 기체(12)의 상부 후방 벽으로는 수직 관통공(112)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11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수직 관통공으로는 지주봉(120)을 관통시키되 그 상단으로 이탈방지 와셔(122)를 나사(124)로 고정하여 상기 수직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지주봉의 하단으로 형성된 나사부(126)로는 유동 방지편(130)의 일 측으로 형성된 조절 장공(132)을 끼우되 그 상 하단으로는 와셔(134)를 각각 끼움 함과 동시에 너트(136)를 체결하여 이를 조이고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띠톱(14)의 회전 가이드 위치가 좌우로 조절 가능하도록 조립 구성하고, 상기 유동 방지편의 타 측으로는 띠톱이 관통 설치되는 세장형의 유동 방지홈(138)을 형성하되 상기 유동 방지홈에 관통지지 되는 띠톱(14)은 상기 유동 방지편에 고정 설치되는 안전커버(140)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주봉으로는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깊어지도록 경사지게 요설되는 가이드 홈(12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으로는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 관통공과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나사공(114)에 나사 결합되는 핸들(150)의 나사축(152)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핀(154)이 상호 걸림 조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지주봉(120)이 상기 고정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120)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봉이 관통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10)의 수직 관통공(112) 역시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KR2020110009206U 2011-10-17 2011-10-17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KR200467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06U KR200467085Y1 (ko) 2011-10-17 2011-10-17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06U KR200467085Y1 (ko) 2011-10-17 2011-10-17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75U KR20130002475U (ko) 2013-04-25
KR200467085Y1 true KR200467085Y1 (ko) 2013-05-27

Family

ID=5242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206U KR200467085Y1 (ko) 2011-10-17 2011-10-17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812B1 (ko) * 2020-12-23 2021-06-01 서민효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32Y1 (ko) 2003-01-28 2003-04-21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안전밀대가 구비된 골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32Y1 (ko) 2003-01-28 2003-04-21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안전밀대가 구비된 골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812B1 (ko) * 2020-12-23 2021-06-01 서민효 골절기의 절단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75U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55302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removal of fixing tool for splitter in cutting machine
KR200467085Y1 (ko) 골절기용 띠톱 회전 가이드장치
CA2927444C (en) Setup platform apparatus for bench and pedestal grinders
US9707700B2 (en) Tile saw
JP2009166174A (ja) 畳床裁断装置
JP4852701B2 (ja) 鳥類の誘導営巣具
KR20130130145A (ko) 밀링커터의 각도조절장치
CN104139215B (zh) 保持式对准旋转弓锯条拉紧机构及相关的方法
JP6061208B2 (ja) 頭付ボルトの緩み止め構造
US11642732B1 (en) Electric saw
KR101894291B1 (ko) 모형 전류고정날개에 대한 스트레인 측정용 지그
KR20160027027A (ko) 전자장치 및 계기 함체를 위한 장착 프레임 및 레일
KR101718608B1 (ko)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JP2007285087A (ja) 床開口養生蓋
JP6105894B2 (ja) 土台締結用ナット
CN220164308U (zh) 一种立式旋转防散打包钢带架
JP5368710B2 (ja) 遊技機着脱装置
KR101239900B1 (ko) 고속절단기의 절단물 높이조절장치
KR200343949Y1 (ko) 휨방지 가드를 구비한 쇠톱
KR200459526Y1 (ko) 예초기 안전판
JP3237213U (ja) 切断装置の先端構造
JP2013240880A (ja) 削り節機
CN203917740U (zh) 用于对电动车的元器件剪脚的气剪防溅装置
KR200471582Y1 (ko) 너트 지지 지그
KR20120003813U (ko)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