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554A -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 - Google Patents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554A
KR20190095554A KR1020197023170A KR20197023170A KR20190095554A KR 20190095554 A KR20190095554 A KR 20190095554A KR 1020197023170 A KR1020197023170 A KR 1020197023170A KR 20197023170 A KR20197023170 A KR 20197023170A KR 20190095554 A KR20190095554 A KR 2019009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points
counting
axle counter
axle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125B1 (ko
Inventor
프랑크 힐머
라이너 클렘
Original Assignee
탈레스 매니지먼트 앤드 서비씨즈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레스 매니지먼트 앤드 서비씨즈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탈레스 매니지먼트 앤드 서비씨즈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9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6Devices for counting axles; Devices for counting vehicles
    • B61L1/162Devices for counting axles; Devices for counting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rror cor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6Devices for counting axles; Devices for counting vehicles
    • B61L1/161Devices for counting axles; Devices for counting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count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6Devices for counting axles; Devices for counting vehicles
    • B61L1/163Detection devices
    • B61L1/165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6Devices for counting axles; Devices for counting vehicles
    • B61L1/169Diagn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운팅 포지션(CP1, CP2, CP3)에 의하여 제한되는 소저의 트랙 섹션(TS1, TS2)의 점유 상태(F, O)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차축 카운터 시스템(AC1, AC2, AC3, AC4, AC5, AC6)의 구동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인-포지션 및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아웃-포지션이 제공되고,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CP1, CP2, CP3)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포인트(DP1, DP2, DP3)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 포지션(CP1, CP2, CP3)에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DP1, DP2, DP3, RDP1, RDP2, RDP3)가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통과하는 차축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검출 포인트들(DP1, DP2, DP3)에 의하여 차축 카운터 값들(#)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b) 각각의 검출 포인트(DP1, DP2, DP3)의 차축 카운터 값(#)을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ACE1, ACE2, ACE3, ACE4, ACE5)에 전송하고;
(c) 카운팅-인-포지션에서 차축 카운터 값들(#)을 카운팅-아웃-포지션에서의 것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ACE1, ACE2, ACE3, ACE4, ACE5)에 의하여 상기 트랙 섹션(TS1, TS2)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고; 및
(d) 상기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에 따라 트랙 점유 상태(F, O) 보고를 아웃풋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c) 전에,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 대하여 다른 카운팅 포지션의 선택과 무관하게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하여 정확히 하나의 검출 포인트가 선택되고;
단계 (c)에서, 선택된 검출 포인트들의 카운터 값들을 사용하여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고, 선택되지 않은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카운터 값들을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REDUNDANCY SWITCHING OF DETECTION POINTS}
본 발명은 카운팅 포지션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소정의 트랙 섹션의 점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구동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인-포지션 및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아웃-포지션이 제공되고,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포인트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 포지션에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가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통과하는 차축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검출 포인트들에 의하여 차축 카운터 값들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b) 각각의 검출 포인트의 차축 카운터 값을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에 전송하고;
(c) 카운팅-인-포지션에서 차축 카운터 값들을 카운팅-아웃-포지션에서의 것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에 의하여 상기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고; 및
(d) 상기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에 따라 트랙 점유 상태 보고를 아웃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방법은 DE 10 2005 048 852 A1에 공지되어 있다.
차축 카운터는 통과하는 열차를 검출하고 철도 트랙 섹션이 클리어한지 열차에 의하여 점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철도 상의 장치이다.
검출 포인트로 불리우는 이중 센서는 섹션 내로 들어가는 차축을 모니터링한다. 차축이 센서를 통과함에 따라, 전압 펄스 ("휠 펄스")가 검출 포인트에 유발됨으로써 최초 전압을 변화시킨다. 센서들 중 하나가 영향을 받자마자, 그 섹션은 안전을 이유로 점유된 것으로 보고된다. 검출 포인트의 두 센서들은 그들 모두가 시간 중복으로 단일 휠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에 충분히 가까이 장착되어야 하나, 이동하는 휠이 시간 차로 두 센서들 모두에 영향을 미침을 보증하기에 충분히 서로로부터 멀리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휠 또는 기차 각각의 이동 방향은 차축 카운터 시스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섹션 내로 이동하는 모든 차축들은 차축 카운터를 증가시킬 것이고; 섹션 밖으로 이동하는 모든 차축들은 차축 카운터를 감소시킬 것이다. 최종 카운트가 0으로 평가되면, 그 섹션은 클리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중심에 위치하는 "평가 장치"로 불리우는 안전성 관련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된다. 검출 포인트들이 전용 동 케이블을 통하여 또는 전기통신 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평가 장치에 연결된다. 이는 검출 포인트들이 상기 평가 장치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배치됨을 허용한다.
외란되지 않은 열차 운항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들 시스템이 기술적으로 기능적으로 모두 신뢰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열차가 점유 섹션 내로 들어가지 않음을 보증하는 널리 알려진 방법은 카운팅 시스템의 외란(disturbance)이 일어날 때마다 섹션을 "점유된"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외란의 이유는 미스카운트, 입환(shunting) 중 두 센서들 중 하나만의 영향, 열차가 신호에서 중단할 때 센서에서 중단하는 휠, 또는 기술적 결함 또는 외부 영향으로 인한 센서 자체의 오작동일 수 있다.
심각한 문제는 외란이 일어나는 섹션은 클리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개, 열차 회사의 고용인은 그 섹션을 검사하고 그것이 "클리어"함을 선언하여야 한다. 열차가 혼잡한 트랙 상에서, 이는 심각한 간섭 및 지연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최근의 개발은 예를 들어 중복(redundant)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외란의 부정적 영향을 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왔다.
DE 101 28 762 A1은 두 개의 연속 섹션들을 하나의 더 긴 섹션으로 합침으로써 외란된 검출 포인트의 우회를 시도하는 방법을 도입한다. 나아가, 상기 문헌은 또한 추가적인 검출 포인트들 (중복 검출 포인트들) 및/또는 추가적인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들의 사용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는 더 긴 섹션, 및 따라서 덜 정확하고 아마도 덜 효과적인 열차 관리를 초래한다.
DE 10 2005 048 852 A1은 트랙 섹션 내 차축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도입한다. 시스템의 오차 허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 두 개의 검출 포인트들이 제공되고, 트랙의 한 면에 설치된다. 검출 포인트가 오차를 가질경우, 그 결과는 무시될 것이고, 트랙 섹션의 점유 상태는 모든 작동하는 카운팅-인-검출 포인트들의 차축 카운트들과 모든 작동하는 카운팅-아웃-검출 포인트들과 비교함으로써 계산될 것이다.
상기 방법은 결국 점유 상태 결정을 위하여 많은 수의 차축 카운트 합들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다소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 트랙 상에 열차 운항의 신뢰할 수 있고 고도의 오차-허용 작업을 가능케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 및 상기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단계 (c) 전에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 대하여 다른 카운팅 포지션의 선택과 무관하게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하여 정확히 하나의 검출 포인트가 선택되고, 단계 (c)에서 선택된 검출 포인트들의 카운터 값들을 사용하여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고, 선택되지 않은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카운터 값들을 무시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에 대하여, 다른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들과 무관한 선택이 수행된다. 따라서,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서, 최상으로 작동하는 검출 포인트가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는 적어도 두 개의 검출 포인트들 (기본 검출 포인트 및 중복 검출 포인트)을 포함한다.
트랙을 따라 기준 방향이 정의된다. 열차가 기준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지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여부에 따라, 검출 포인트의 차축 카운터 값이 증가 또는 감소된다.
상기 트랙 섹션은 카운팅 포지션들에 의하여 제한된다. 열차가 기준 방향으로 트랙 섹션 내로 들어오는 (또는 반대 방향으로 트랙 섹션을 떠나는) 위치에 카운팅-인 포지션들이 제공되는 반면, 열차가 기준 방향으로 트랙 섹션을 떠나는 (또는 반대 방향으로 트랙 섹션 내로 들어오는) 위치에 카운팅-아웃-포지션들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차가 기준 방향을 따라 카운팅-인-포지션에서 검출 포인트를 통과하면, 카운터 값이 증가된다. 열차가 기준 방향을 따라 카운팅-아웃-포지션에서 검출 포인트를 통과하면, 카운터 값이 감소된다. 종래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들로부터 공지된 임의의 다른 카운팅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트랙 섹션은 포인트들 또는 크로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열차는 2 이상의 철로를 통하여 기준 방향으로 트랙 섹션 내로 들어오고/거나 떠날 수 있다. 따라서, 트랙 섹션은 각각 카운팅 포지션을 구비하는 2 이상의 말단들을 포함한다. N 이상의 철로가 트랙 섹션 내로 들어오거나 떠나는 경우, 트랙 섹션이 비었는지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N 카운팅 포지션들 (각각의 트랙 섹션 내로 들어오는 열차에 대하여 하나 및 각각의 트랙 섹션을 떠나는 열차에 대하여 하나)이 요구된다.
섹션의 카운팅-아웃 검출 포인트들을 연속적인 섹션에 대하여 카운트-인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변형은 품질 값이 결정되고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이 품질 값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검출 포인트에 대한 품질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에 의하여 수행된다.
오차의 경우 오차 메시지가 오차 발생 검출 포인트에 의하여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로 전송되고, 품질 팩터가 오차 관련성에 따라 각각의 오차 메시지에 할당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각각의 검출 포인트에 대한 품질 값은 각각의 검출 포인트의 전송된 오차 메시지들의 품질 팩터들을 더함으로써 결정된다. 품질 팩터들의 합은 소정의 시간 프레임 내에서 수행된다. 시간 프레임 후반에 품질 값은 0으로 재설정된다. 상기 시간 프레임은 품질 값의 재설정이 두 열차들의 통과 사이에, 특히 1 분 미만, 예를 들어 30 초 내에 수행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변형의 추가적인 변형은 오차 메시지가 품질 팩터 QF1을 가지는 결함 경고(DFW), 품질 팩터 QF2를 가지는 카운팅없는 휠 펄스(ROZ), 품질 팩터 QF3을 가지는 드리프팅 경고(DRW) 및 품질 팩터 QF4를 가지는 롱 휠 펄스(LRP)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드리프팅 경고(DRW)는 센서들 중 하나의 최초 전압이 소정의 값 밖인 경우 검출 포인트에 의하여 분배되고;
- 카운팅없는 휠 펄스(ROZ) 오차 메시지는 검출 포인트 중 단지 하나의 센서만이 휠을 카운트하거나 최초 전압의 드리프트가 시간 중복 부재를 초래하여 이동 방향의 결정이 임박한 경우 검출 포인트에 의하여 분배되고;
- 결함 경고(DFW)는 검출 포인트가 카운팅없는 몇몇 휠 펄스들을 검출하는 경우, 즉 검출 포인트가 실패와 정상적인 열차 운동을 구별하지 못하거나, 시간 중복이 수 회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검출 포인트에 의하여 분배되고;
- 롱 휠 펄스(LRP) 오차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소정의 값보다 긴 지속 기간의 펄스를 등록하는 경우 검출 포인트에 의하여 분배된다.
다음 식:QF1 ≠ QF2 ≠ QF3 ≠ QF4이 적용되도록, 상이한 오차 메시지들에 상이한 품질 팩터들이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차 관련성에 따라 오차 메시지에 가중치를 주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즉 QF1 > QF2 > QF3 > QF4, 바람직하게 QF1 : QF2 : QF3 : QF4 = 8:3:2:1.
본 발명의 방법의 대안적인 변형은, 각각의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에 대하여,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의 기본 검출 포인트들 및 관련 중복 검출 포인트의 차축 카운터 값들 간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운터 값들 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을 수행하고, 차축 카운터 값들의 차이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더 높은 카운터 값을 가지는 검출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이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은 품질 값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 및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의 계산은 공통의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차축 카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축 카운터 시스템은 트랙을 따라 카운팅 포지션들에 설치되는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포인트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 포지션에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가 제공되고, 모든 검출 포인트들이 하나의 공통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는 검출 포인트들을 선택하고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용어 "모든 검출 포인트들"은 단일 검출 포인트 (카운팅 포지션에서 하나의 단일 검출 포인트) 및 기본적 및 중복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가 품질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는 적어도 두 개, 바람직하게 세 개의, 독립적인 데이터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이는 중복을 제공함으로써 오차 허용을 증가시킨다.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의 검출 포인트들(기본적 검출 포인트 및 관련되는 중복 검출 포인트)이 서로 이격되어 트랙의 동일한 면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포인트 또는 크로싱에 트랙의 다른 면들 상에 검출 포인트를 설치할 공간이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황에 따라,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의 검출 포인트들이 트랙의 반대 면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셋업은 열차의 일면 상에만 종종 위치하는, 열차 상의 전기 장치로부터 초래되는, 원치 않는 유도 신호에 관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상이한 주파수로 임의의 검출 포인트의 각각의 센서들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이는 각각의 센서 리시버가 상응하는 에미터의 신호를 수신함을 보증한다. 부가적으로, 외부 영향, 예를 들어 주파수들 중 하나에서 유도 신호를 야기하는 열차 상의 전기 장치들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센서가 차축의 정확한 수를 여전히 검출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 트랙 상에 열차 운항의 신뢰할 수 있고 고도의 오차-허용 작업을 가능케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 및 상기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고, 예증적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차 허용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오차의 경우 도 1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5는 검출 포인트들이 트랙의 동일한 면 상에 배열되는,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및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6은 품질 팩터를 결정하는,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및 방법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7은 차축 카운터 차이를 결정하는,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에 따른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통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열차에 대하여, 첫번째 카운팅 포지션 CP1은 첫번째 트랙 섹션 TS1 내로 카운팅-인 포지션으로서 역할을 하고, 카운팅 포지션 CP3은 카운팅-아웃 포지션으로서 역할을 한다. 카운팅 포지션 CP2는 트랙 섹션 TS1 밖으로 카운팅-아웃 포지션이고 트랙 섹션 TS2로 카운팅-인 포지션이다. 검출 포인트들 DP1, DP3, DP3이 트랙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카운팅 포지션들 CP1, CP2, CP3은 부가적인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을 구비한다.
상기 검출 포인트들 DP1, DP3, DP3의 신호는 연결된 첫번째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1에 의하여 등록된다. 상기 부가적인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의 신호는 연결된 두번째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1'에 의하여 등록된다. 두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1, ACE1' 모두 점유 상태 F, O를 결정하고 있으며, 그들의 결정된 점유 상태 F, O를 연결된 인터록 IL로 보고한다. 상태는 트랙이 프리 F하거나 점유된 O 것으로 보고할 수 있다. 그러나, 때때로,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DP1', DP2', DP3'는 결함이 있으며, 점유 상태가 정확히 결정될 수 없다. 이 경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1, ACE1'는 트랙이 점유된 O것으로 보고하거나 결함 D으로 보고한다. 인터록에서, 어떤 점유 상태 F, O가 트랙 섹션 TS1에 주어지는지 결정된다. 안전성 이유로, 트랙 상태가 불분명하거나 결정될 수 없다면 상태는 점유된 O로 설정될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다른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2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모든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 DP1', DP2', DP3'이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2에 보고한다.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2는 검출 포인트들 DP1, DP3, DP3, DP1', DP2', DP3'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고 있다.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DP1 + #DP2 + #DP3
#DP1 + #DP2' + #DP3
#DP1 + #DP2' + #DP3'
#DP1 + #DP2 + #DP3'
#DP1' + #DP2 + #DP3
#DP1' + #DP2' + #DP3
#DP1' + #DP2' + #DP3'
#DP1' + #DP2 + #DP3'
#는 특정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DP1', DP2', DP3'의 차축 카운터 값이다.
이상적으로, 8 개의 합들은 동일할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의 문제는 합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어떠한 합을 신뢰해야 하는지이다. 종래 기술은 안전한 작업을 보증하기 위하여 결정 루틴을 도입한다. 불확실하게, 트랙 섹션은 점유된 것으로 보고될 것이다.
도 3은 검출 포인트들 중 하나에서 (여기서 부가적인 검출 포인트 DP2') 명백한 오차가 있는, 도 2와 동일한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2의 개략도이다. 이 경우, 오차 발생 검출 포인트 DP2'의 차축 카운터 값들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합들이 결정으로부터 제외되며, 이는 주어진 예에 대한 점유 상태의 결정을 위하여 4 합들을 남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3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상기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3은 트랙 섹션 TS1을 따라 카운팅 포지션 CP1, CP2, CP3을 포함한다. 도 4에서,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 CP1, CP2, CP3에,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가 제공되고, 각각의 세트는 기본적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및 중복 검출 포인트 RDP1, RDP2, RDP3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카운팅 포지션들이 단지 하나의 검출 포인트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방법이 작동하는 것으로 언급될 것이다. 도 4에서, 카운팅 포지션 CP3 및 CP2는 카운팅-아웃 포지션으로 처리되고; 카운팅 포지션 CP1은 트랙 섹션 TS1에 대한 카운팅-인 포지션으로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 RDP1, RDP2, RDP3이 하나의 공통의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3에 연결된다.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 CP1, CP2, CP3에 대하여,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3은 하나의 검출 포인트 (기본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또는 중복 검출 포인트 RDP1, RDP2, RDP3)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즉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 CP1, CP2, CP3에 대하여, 다른 카운팅 포지션에서의 선택 결과와 무관하게,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하여 고려되는 하나의 검출 포인트가 선택된다. 따라서, 최상으로 작동하는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이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 CP1, CP2, CP3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의 차축 카운터 값들 # (선택된 검출 포인트들의 것들만)을 사용하여, 모든 카운팅-인 포지션 (여기서:CP1)의 선택된 검출 포인트 DP1의 차축 카운터 값에서 모든 카운팅-아웃 포지션 (여기서, CP2, CP3)의 선택된 검출 포인트 RDP2, DP3의 차축 카운터 값들을 뺌으로써, 트랙 섹션 TS1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한다. 도 4에 제공되는 예에서,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DP1 - (#RDP2 + #DP3). 다른 카운팅-인 포지션 DPX가 예를 들어 크로싱에 존재하는 경우(도 4에 도시되지 않음),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DP1 + #DPX) - (#RDP2 + #DP3).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열차에 대하여, CP2 및 CP3는 카운팅-인 포지션으로 처리되고, 도 4의 제공된 실시예를 계속하면, RDP2 및 DP3이 카운팅-인 포지션들의 선택된 검출 포인트들일 것이다. 따라서,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RDP2 + #DP3) - #DP1.
남아 있는 차축들의 계산된 수가 0인 경우, 그 트랙 섹션 TS1은 프리한 것으로 간주되고 점유 상태 "프리" F가 인터록 IL에 전송된다. 그렇지 않으면, 점유 상태 "점유된" O가 인터록 IL에 전송된다.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의 두 센서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센서들은 대개 다른 주파수에서 작동한다. 종종 사용되는 세팅은 한 센서에 대하여 28 kHz이고 다른 센서에 대하여 30 kHz이다. 기본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의 센서들이 동일한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관련된 중복 검출 포인트들 RDP1, RDP2, RDP3의 센서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운팅 포지션의 검출 포인트들은 대략 2 m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4에서, 기본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 및 관련되는 중복 검출 포인트들 RDP1, RDP2, RDP3은 따라서, 측면으로 약간 오프셋되어, 트랙의 반대 면들 상에 (트랙의 상이한 레일에) 설치된다. 이러한 측면 오프셋은 의무적인 것은 아니나, DP1, DP2, DP3 및 관련되는 중복 검출 포인트들 RDP1, RDP2, RDP3 간의 적절한 거리를 보증할 수 있다.
도 5는 기본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및 그의 관련 중복 검출 포인트 RDP1, RDP2, RDP3 간에 측면 오프셋되어,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4의 기본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 및 중복 검출 포인트들 RDP1, RDP2, RDP3이 트랙의 동일한 면 (동일한 레일) 상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C2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검출 포인트의 선택 및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의 평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측면 오프셋은 열차 또는 열차 일부가 (예를 들어, 완전히 분리된 객차) 적절히 등록되지 않고 기본 검출 포인트 및 그의 관련 중복 검출 포인트 사이에 서 있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게 선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 3 m).
도 6은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이 품질 값을 기준으로 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5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및 각각의 중복 검출 포인트 RDP1, RDP2, RDP3은 통과하는 차축들을 카운팅함으로써 카운터 값들 #을 생성한다. 각각의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의 카운터 값들 #은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4로 전송된다. 바람직하게, 차축 카운터 값들의 전송은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부가적으로, 오차의 경우, 해당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 RDP1, RDP2, RDP3은 오차 메시지 E를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에 보고한다.
모든 유형의 오차 메시지에 미리 설정된 품질 팩터 i(E), j(E)가 할당된다.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4는, 모든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에 대하여 품질 값 ∑i, ∑j를 결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 대개 30초에 걸쳐, 각각의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에 대한 품질 팩터들 i(E), j(E)을 합한다.
상기 품질 팩터 i(E), j(E)는 상이한 유형의 오차 메시지들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안전성-적합한 오차 메시지들에 덜 적합한 오차 메시지들보다 더 높은 품질 팩터 i(E), j(E)가 할당될 수 있다.
카운팅 포지션 CP1, CP2에 대하여, 최저 품질 값 ∑i, ∑j를 가지는 검출 포인트가 선택된다 (여기서: DP1, RDP2). 카운팅 포지션 CP3에서, 기본 검출 포인트 DP 및 중복 검출 포인트 RDP3 모두에 대하여, 동일한 품질 값이 결정되었다. 이 경우, 검출 포인트들 DP3, RDP3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DP3).
각각의 선택된 검출 포인트들 DP1, RDP2, DP3의 차축 카운터 값들 #을 사용하여 트랙 섹션 TS1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한다. 트랙 섹션 TS1의 결정된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에 따라, 점유 상태 프리 F 또는 점유된 O가 인터록 IL에 보고된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의 오차 메시지 E가 인터록 IL에 보고되어, 상응하는 검출 포인트들 DP1, DP2, DP3, RDP1, RDP2, RDP3의 재설정이 개시되거나 필요하다면 서비스가 스케줄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6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의 선택은 카운팅 포지션 CP1, CP2, CP3의 기본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및 관련되는 중복 검출 포인트 RDP1, RDP2, RDP3의 차축 카운터 값들 #의 차 △#를 기준으로 수행된다. 각각의 기본 검출 포인트 DP1, DP2, DP3의 차축 카운터 값 #을 그의 관련된 중복 검출 포인트 RDP1, RDP2, RDP3의 차축 카운터 값 #과 비교한다. 차축 카운터 값들의 차 △#의 절대값이 소정의 역치 Th보다 크면, 더 높은 차축 카운터 값 #을 가지는 검출 포인트 DP1, DP2, DP3, RDP1, RDP2, RDP3를 선택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카운팅 포지션 CP2에 대하여, 중복 검출 포인트 RDP2의 차축 카운팅 값 #이 검출 포인트 DP2의 차축 카운팅 값 # 보다 현저히 크고, 차축 카운터 값들의 차 △#의 절대값은 역치 Th를 초과한다. 따라서, 중복 검출 포인트 RDP2를 카운팅 포지션 CP2에 대하여 선택한다.
카운팅 포지션 CP3에 대하여, 기본 검출 포인트 DP3 및 관련된 중복 검출 포인트 RPD3의 차축 카운터 값들 #의 차 △#는 역치 Th 보다 작다. 카운팅 포지션 CP1에 대하여, 검출 포인터 DP1 및 관련된 중복 검출 포인트 RPD1의 차축 카운터 값들 #은 동일하다.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은 도 6에 도시되고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은 품질 값을 근거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선택된 검출 포인트들 DP1, RDP2, DP3의 차축 카운터 값들을 이용하여 트랙 섹션 TS1 내에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점유 상태 F, O가 연관된 인터록 IL에 보고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블라인드" 검출 포인트들을 검출한다.
도 8은 세 개의 독립적인 데이터 프로세서들 P1, P2, P3을 포함하는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6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세 개의 프로세서 각각은 별개로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여, 높은 안전성 및 중복 수준에 도달한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차축 카운터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3, ACE4, ACE5 각각 대신에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ACE6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 대하여 하나의 검출 포인트의 선택을 수행한다. 어떠한 검출 포인트가 선택될 것인지의 선택은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의 검출 포인트들 모두의 상태 및 히스토리에 따를 것이다: 먼저, 두 검출 포인트들 모두 ok인 것으로 보인다면 두 검출 포인트들 중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 하나의 검출 포인트가 결함을 가진다면 다른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 카운팅 포지션의 검출 포인트들의 카운터 값들을 비교함으로써 및/또는 품질 팩터들로 가중치가 부여된 오차 메시지들을 기준으로 품질 값을 비교함으로써, 결함을 결정할 수 있다.
*AC 차축 카운터 시스템
ACE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
CP 카운팅 포지션
DP 기본 검출 포인트
DP' 추가적 검출 포인트
RDP 중복 검출 포인트
TS 트랙 섹션
IL 인터록
F 점유 상태: 프리
O 점유 상태: 점유된
D 결함
E 열거된 검출 포인트들의 오차 메시지
i(E), j(E) 오차 E의 품질 팩터
∑i(E),∑j(E) 품질 값
# 차축 카운터 값
△# 기본 검출 포인트 및 관련된 중복 검출 포인트 간의 차축 카운터 값의 차
Th 역치
P 데이터 프로세서

Claims (8)

  1. 카운팅 포지션(CP1, CP2, CP3)에 의하여 제한되는 소정의 트랙 섹션(TS1, TS2)의 점유 상태(F, O)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차축 카운터 시스템(AC1, AC2, AC3, AC4, AC5, AC6)의 구동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인-포지션 및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아웃-포지션이 제공되고,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CP1, CP2, CP3)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포인트(DP1, DP2, DP3)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 포지션(CP1, CP2, CP3)에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DP1, DP2, DP3, RDP1, RDP2, RDP3)가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통과하는 차축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검출 포인트들(DP1, DP2, DP3)에 의하여 차축 카운터 값들(#)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b) 각각의 검출 포인트(DP1, DP2, DP3)의 차축 카운터 값(#)을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ACE1, ACE2, ACE3, ACE4, ACE5)에 전송하고;
    (c) 카운팅-인-포지션에서 차축 카운터 값들(#)을 카운팅-아웃-포지션에서의 것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ACE1, ACE2, ACE3, ACE4, ACE5)에 의하여 상기 트랙 섹션(TS1, TS2)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고; 및
    (d) 상기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에 따라 트랙 점유 상태(F, O) 보고를 아웃풋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c) 전에,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 대하여 다른 카운팅 포지션의 선택과 무관하게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하여 정확히 하나의 검출 포인트가 선택되고;
    단계 (c)에서, 선택된 검출 포인트들의 카운터 값들을 사용하여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고, 선택되지 않은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카운터 값들을 무시하고,
    각각의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에 대하여,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의 두 검출 포인트들의 카운터 값들 간의 차이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카운터 값들 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을 수행하고, 카운터 값들의 차이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더 높은 카운터 값을 가지는 검출 포인트를 선택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AC1, AC2, AC3, AC4, AC5, AC6)의 구동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이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품질 값에 따라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AC1, AC2, AC3, AC4, AC5, AC6)의 구동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포인트들의 선택 및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의 계산을 공통의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AC1, AC2, AC3, AC4, AC5, AC6)의 구동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차축 카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축 카운터 시스템은 트랙을 따라 카운팅 포지션들에 배치되는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카운팅 포지션에 적어도 하나의 검출 포인트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카운팅 포지션에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가 제공되고,
    모든 검출 포인트들이 하나의 공통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는 검출 포인트들을 선택하고 트랙 섹션 내 남아 있는 차축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는 품질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축 카운터 평가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 데이터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의 검출 포인트들은 서로 이격되어 트랙의 동일한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중복 검출 포인트들의 세트의 중복 검출 포인트들은 트랙의 반대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축 카운터 시스템.
KR1020197023170A 2014-01-27 2015-01-19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 KR102061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2717.6 2014-01-27
EP14152717.6A EP2899093B1 (en) 2014-01-27 2014-01-27 Redundancy Switching of Detection Points
PCT/EP2015/050832 WO2015110371A1 (en) 2014-01-27 2015-01-19 Redundancy switching of detection poin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770A Division KR102061121B1 (ko) 2014-01-27 2015-01-19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554A true KR20190095554A (ko) 2019-08-14
KR102061125B1 KR102061125B1 (ko) 2019-12-31

Family

ID=500288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770A KR102061121B1 (ko) 2014-01-27 2015-01-19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
KR1020197023170A KR102061125B1 (ko) 2014-01-27 2015-01-19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770A KR102061121B1 (ko) 2014-01-27 2015-01-19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144439B2 (ko)
EP (1) EP2899093B1 (ko)
KR (2) KR102061121B1 (ko)
CN (1) CN106029466B (ko)
AU (2) AU2015208353C1 (ko)
DK (1) DK2899093T3 (ko)
ES (1) ES2674936T3 (ko)
PL (1) PL2899093T3 (ko)
PT (1) PT2899093T (ko)
WO (1) WO2015110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6562B (zh) * 2018-04-28 2021-07-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检测道岔位置信号的装置和方法以及道岔控制系统
DE102020204095A1 (de) * 2020-03-30 2021-09-30 Siemens Mobility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Datenverwaltung in einem Transportmittel
WO2022152352A2 (de) 2021-01-13 2022-07-21 Pintsch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überwachen von gleisabschnitten
CN113071534A (zh) * 2021-04-21 2021-07-06 湖北恒子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矢量铁路车轮计轴器
US11529977B1 (en) 2021-10-12 2022-12-20 Diane Albert Radar enabled determination of presence, axle count, speed, and direction of a rail car
DE102022201840A1 (de) 2022-02-22 2023-08-24 Gts Deutschland Gmbh Achszählverfahren und Achszählsystem
CN117208034A (zh) * 2023-10-07 2023-12-12 温州市铁路与轨道交通投资集团有限公司 二取二架构计轴设备数据处理方法、装置及计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88453A (en) * 1955-03-09 1958-01-02 Vickers Electrical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detection of railway vehicle wheels passing a fixed location
CN1217815C (zh) * 2001-03-15 2005-09-07 西门子公司 通过计轴进行线路空闲情况通报的方法
FR2825337B1 (fr) 2001-05-31 2003-08-15 Alstom Systeme de transport automatique et guide de personnes et procede de commande de modules de transport circulant dans un tel systeme
DE10128762A1 (de) 2001-06-07 2002-12-12 Siemens Ag Verfahren zur Erhöhung der Verfügbarkeit von dezentralen Achszähl- und Gleisfreimeldesystemen
DE50301156D1 (de) * 2003-07-18 2005-10-13 Alcatel Sa Verfahren und Zählpunkt zur Ermittlung des Belegungszustandes eines Gleisabschnittes
DE102005048852A1 (de) 2004-10-12 2006-04-20 Frausch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hlertoleranten richtungsorientierten Achszählung von Schienenfahrzeugrädern
WO2006040137A1 (de) 2004-10-12 2006-04-20 Frausch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hlertoleranten richtungsorientierten achszählung von schienenfahrzeugrädern
US7346469B2 (en) * 2005-03-31 2008-03-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data validation
DE102005023726B4 (de) 2005-05-23 2007-11-22 Frausch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ungewollten Beeinflussungen von Doppelsensoren
CN101311681A (zh) * 2007-07-10 2008-11-26 方阵(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计轴传感器
EP3659830B1 (en) * 2007-11-30 2023-08-30 Volvo Lastvagnar AB Method of identifying positions of wheel modules
DE102008040195A1 (de) * 2008-07-04 2010-01-21 ME-Meßsystem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von schienengebundenen Fahrzeugbewegungen
DE102009037369A1 (de) * 2009-08-11 2011-0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Kalibrieren eines Radsensors einer Gleisfreimeldeanlage, Radsensor sowie Gleisfreimeldeanlage
DE102010027017A1 (de) 2010-07-08 2012-01-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duktive Sensoreinrichtung sowie induktiver Näherungssensor mit einer induktiven Sensoreinrichtung
JP2016215662A (ja) 2015-05-14 2016-12-22 株式会社京三製作所 車軸センサおよび車軸検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61670A1 (en) 2019-11-28
KR102061125B1 (ko) 2019-12-31
CN106029466B (zh) 2018-09-07
PL2899093T3 (pl) 2018-11-30
KR20160113173A (ko) 2016-09-28
US10144439B2 (en) 2018-12-04
AU2015208353C1 (en) 2023-02-02
ES2674936T3 (es) 2018-07-05
WO2015110371A1 (en) 2015-07-30
CN106029466A (zh) 2016-10-12
PT2899093T (pt) 2018-10-18
EP2899093A1 (en) 2015-07-29
AU2019261670B2 (en) 2021-01-14
EP2899093B1 (en) 2018-06-13
AU2015208353B2 (en) 2019-11-14
AU2015208353A1 (en) 2016-07-21
DK2899093T3 (en) 2018-08-13
KR102061121B1 (ko) 2019-12-31
US20160332644A1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121B1 (ko) 검출 포인트의 중복 스위칭
EP3441279B1 (en) Rail breakage detection device
WO2013114622A1 (ja) 電気車の遮断器制御装置
EP2873585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balise
KR20190133939A (ko) 궤도회로 고장방지 장치 및 방법
US20190210622A1 (en) System, prediction unit, and method for predicting a failure of at least one unit for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transportation traffic
JP2015033989A (ja) 列車検知装置
JP2019131084A (ja) 車軸検知装置
US9038965B2 (en) Method and sequential monitoring overlay system for track circuits
EP3067246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signal connection
JP6824468B2 (ja) レール状態監視装置
JP6851113B2 (ja) 車軸計数装置
KR20170079682A (ko) 열차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장치
KR100666668B1 (ko) 열차추적방식에 의한 건널목 제어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671193B1 (ko) 머신러닝을 이용한 궤도회로 상태 진단 및 예측 장치 및 방법
JP4801521B2 (ja) 列車検知方法及び列車検知システム
AU2015100292A4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signal connection
JP6674209B2 (ja) バックアップ動作監視装置及び同バックアップ動作監視装置を備えた踏切保安装置
US202301667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block operational status control with long block time delay
KR200374785Y1 (ko) 열차추적방식에 의한 건널목 제어시스템
AU2019100656A4 (en) Speed Proving Method and Apparatus
JP5461357B2 (ja) Atcモニタ
KR20230006696A (ko) 머신러닝을 이용한 궤도회로 상태 진단 및 예측 장치 및 방법
JP2002308103A (ja) 踏切制御装置および集中電子踏切制御システム
JPH11139314A (ja) 踏切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