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250A -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250A
KR20190094250A KR1020197022396A KR20197022396A KR20190094250A KR 20190094250 A KR20190094250 A KR 20190094250A KR 1020197022396 A KR1020197022396 A KR 1020197022396A KR 20197022396 A KR20197022396 A KR 20197022396A KR 20190094250 A KR20190094250 A KR 20190094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transparent adhesive
optically transparent
thermosetting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354B1 (ko
Inventor
다이스케 다카기
히로키 나이토
유키 호소카와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04Polymers of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7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allophan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이 우수하고, 후막화가 가능한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고습도환경 중에서의 보관에 의해 발생하는 백화 및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이 억제된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열경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광학투명점착시트로서,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이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방을 포함하고, 온도 85℃, 습도 85%의 고온고습환경하에 3시간 투입하는 시험을 실시하였을 경우에, 흡습률이 3600ppm 이하이다.

Description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본 발명은,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광학투명점착(OCA : Optically Clear Adhesive)시트는, 광학부재의 접합에 이용되는 투명한 점착시트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형 게임기,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분야에서 터치패널의 수요가 급속하게 신장하고 있고, 이에 따라 터치패널을 다른 광학부재에 접합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OCA 시트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터치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는, 통상적으로는 액정패널 등의 표시패널, ITO(산화인듐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도전막을 표층(表層)에 구비하는 투명부재(터치패널 본체), 및 투명도전막을 보호하는 커버패널 등의 광학부재가 적층된 구조를 갖고, 광학부재 사이의 접합에 OCA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다만 표시패널과 터치패널 본체와의 사이에는, 표시패널의 프레임인 베젤(bezel)의 단부(端部)가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광학부재 사이의 간격보다도 넓어, OCA 시트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어 갭(air gap)이라고 불리는 공기층(空氣層)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광학부재 사이에 공기층인 에어 갭이 존재하면, 공기층 및 광학부재의 굴절율의 차이에 의하여 계면반사가 생기기 때문에, 표시패널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표시패널과 터치패널 본체와의 접합에 적합한 후막(厚膜)의 OCA 시트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표시패널과 터치패널 본체의 접합에 사용되는 OCA 시트에는, 베젤의 두께에 따라 형성되는 단차를 피복할 수 있을 것도 요구된다. 따라서 유연성(柔軟性)(단차추종성(段差追從性))이 뛰어나며 또한 후막화(厚膜化)가 가능한 OCA 시트가 필요하였다.
OCA 시트에 관한 선행기술을 개시한 문헌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3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1에는, 50℃, 90% RH에서의 포화 흡수율이 0.60중량% 이하이고, 또한 박리측(剝離側)의 피착체(被着體)에 대한 90도 박리 접착력이 600g/20㎜ 이하인 점착제층을 광학필름 소재의 편면(片面) 또는 양면(兩面)에 구비하는 광학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90℃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이 0.8% 이상인 광학필름 소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90℃에 있어서의 100% 모듈러스가 2∼4g/㎟이고 또한 인장파단까지의 신장이 3000% 이상이며 또 50℃, 90% RH에서의 포화 흡수율이 0.4중량% 이하인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광학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3에는, 접착제층(A) 및 점착제층(B)이 적층된 점접착시트로서, 상기 접착제층(A)에 있어서 온도 40℃ 및 주파수 1.0Hz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貯藏彈性率)이 1.0×104Pa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접착제층(A)에 있어서 온도 70℃ 및 주파수 1Hz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104Pa 미만이며, 상기 점착제층(B)에 있어서 온도 40℃ 및 주파수 1.0Hz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104Pa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B)에 있어서 온도 70℃ 및 주파수 1Hz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이 1.0×104Pa 이상인 점접착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9-281336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44293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24320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유연성이 뛰어나고 후막화가 가능한 OCA 시트의 재료로서,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성막(成膜)할 수 있는 열경화 폴리우레탄에 착안하였다. 그러나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OCA 시트에 대하여 다양하게 검토한 결과, OCA 시트를 글라스에 접합시킨 후에 고온(高溫)·고습(高濕)환경(온도 85℃·습도 85%) 등의 고습도환경 중에 보관하면, 글라스와 OCA 시트의 계면에 박리로 인하여 후발적으로 생성되는 기포(딜레이드 버블(delayed bubble(delay bubbles)), 지연 기포)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딜레이드 버블의 주원인은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이며, 가스의 주성분은 수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은 열경화 폴리우레탄 특유의 현상이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OCA 시트는 고온·고습환경에서 흡습(吸濕)이 일어나기 쉽지만, 점착력이 높고 또한 가스투과성도 높기 때문에, 딜레이드 버블이 특별히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었다. 실리콘 수지를 사용한 OCA 시트는 점착력이 낮지만, 고온·고습환경에서 흡습이 일어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딜레이드 버블이 특별히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었다.
또한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수성(疎水性)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흡습성이 낮은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제작한 경우에는, 고온·고습환경하에서 백화(白化)할 우려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연성이 뛰어나고 후막화가 가능한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고습도환경 중에서 보관함에 따라 일어나는 백화 및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이 억제된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내환경성(耐環境性)의 향상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방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백화 및 딜레이드 버블의 억제에 유효한 것을 찾아냈다. 또한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이 열경화 폴리우레탄의 흡습성을 조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유효해서, 이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을 특정한 범위내로 제어함으로써 고습도환경 중에서의 백화 및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이 억제된 광학투명점착시트가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열경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광학투명점착시트로서,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방을 포함하고, 온도 85℃, 습도 85%의 고온고습환경하에 3시간 투입하는 시험을 실시하였을 경우에 흡습률이 36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이 4×103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교반 혼합해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방의 면을 덮는 제1이형필름과,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타방의 면을 덮는 제2이형필름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합 구조물은, 제1피착체와, 제2피착체와, 상기 제1피착체와 상기 제2피착체를 접합하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에 의하면, 유연성이 우수하고 후막화가 가능한 열경화 폴리우레탄의 우위성을 얻으면서, 고습도환경 중에서의 보관에 의해 발생하는 백화 및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구조물에 의하면, 투명하고 기포가 없는 접합계면을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사용한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작에 사용하는 성형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3은, 실시예1의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점착력의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optically clear adhesive sheet)는, 열경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광학투명점착시트로서,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이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양방을 포함하고, 온도 85℃, 습도 85%의 고온고습환경하에 3시간 투입하는 시험을 실시한 경우에 흡습률이 36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투명점착시트」란, 「광학투명점착필름」과 같은 의미이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온도 85℃, 습도 85%의 고온고습(高溫高濕) 환경하에 3시간 투입하는 시험(이하, 간단하게 「고온고습시험」이라고도 한다)을 실시한 경우에 흡습률(吸濕率)이 3600ppm 이하이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상기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이 3600ppm을 초과하면, 환경 중의 수분을 흡습하기 쉽기 때문에, 피착체와의 계면에서 흡습한 수분의 가스화가 원인이라고 예상되는 박리(흡습에 의한 딜레이드 버블)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우계(雨季)나 고습도환경에 있어서의 장기보존이나, 차량탑재대상 디스플레이 등의 사용환경으로서 상정되는 고온고습도환경에서는, 광학투명점착시트와 터치패널과의 접합계면 등에서 박리가 일어나버린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와 터치패널과의 접합계면에 미소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이물질의 주위에서는 기포가 커져 박리를 야기하기 쉬워진다. 상기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은, 바람직하게는 0∼3600ppm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600∼3200ppm이다. 상기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이 2600ppm 미만이면, 고온고습에 노출되었을 때에 광학투명점착시트가 하얗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은, 열경화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조성 및/또는 열경화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α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중의 친수성 유닛의 양이나 종류(분자량),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예를 들면 몰비), 가소제의 첨가의 유무나 배합량, 가교온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貯藏剪斷彈性率)(G’)이 4×103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을 점접착성의 지표로 하는 것이 유효해서,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이 4×103Pa 미만이면, 85℃의 고온환경하의 점착력이 상온(常溫)환경하의 점착력보다 현저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고온환경하에 있어서 피착체로부터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흡습에 의한 딜레이드 버블의 불량도 발생하기 쉬워진다.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4000∼100000Pa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Pa이다.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이 100000Pa를 넘으면, 광학투명점착시트가 지나치게 딱딱해져 피착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단차(예를 들면 가식부(加飾部) 단차)에 대한 단차추종성이 저하하여, 접합불량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은, 열경화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조성 및/또는 열경화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α비(폴리올 성분 유래의 OH기의 mol수/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유래의 NCO기의 mol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중의 친수성 유닛의 양이나 종류(분자량),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예를 들면 몰비), 가소제의 첨가의 유무나 배합량, 가교온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열경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경화시킨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은,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고, 하기 식(A)로 나타내는 구조를 구비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A) 중에서, R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NCO기를 제외한 부위를 나타내고, R’은 폴리올 성분의 OH기를 제외한 부위를 나타내고, n은 반복단위수를 나타낸다.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아크릴 변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주쇄(主鎖) 중에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부위가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 폴리우레탄이 아크릴 변성되면 소수화되기 때문에, 고온·고습하에 있어서 수분의 응집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수분의 응집은, 백화(白化), 발포(發泡) 등을 야기하여 광학특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아크릴 변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함으로써, 고온·고습하에 있어서 백화, 발포 등에 의한 광학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단위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단위의 합계량이, 열경화 폴리우레탄 전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단위의 80mo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단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단위만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모두 상온(23℃)에서 액체인 것을 사용할 수 있어,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얻을 수 있다. 태키파이어(tackifier) 등의 다른 성분은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중에서 어느 하나에 첨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성분에 첨가된다. 이와 같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제작하는 경우, 용제의 제거가 필요없기 때문에 균일한 시트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표시패널과 투명도전막을 표층에 구비하는 투명부재(터치패널)와의 접합에 사용할 경우에, 베젤의 단차를 피복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두껍게 형성해도 광학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투명성(헤이즈(haze))의 저하, 착색, 발포(피착체와의 계면에서의 기포의 발생)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연해서, 인장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잘 신장되어 매우 끊기 어렵다. 이 때문에 풀이 잔류하지 않고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유연함과 동시에 후막화할 수 있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투명도전막을 표층에 구비하는 투명부재와 커버패널과의 접합에 사용할 수 있고, 또 다른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시패널 또는 투명도전막을 표층에 구비하는 투명부재와, 다른 부재와의 접합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열경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유전율이 높아 종래의 아크릴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학투명점착시트보다 높은 정전용량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의 접합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폴리올 성분]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트리올, 폴리프로필렌테트라올,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트리올, 이들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이들에 측쇄(側鎖)를 도입하거나 분기구조(分岐構造)를 도입한 유도체(誘導體), 변성체(變成體), 또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프로락톤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트리올, 폴리카프로락톤테트라올, 이들에 측쇄를 도입하거나 분기구조를 도입한 유도체, 변성체, 또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디알킬카보네이트와 디올의 반응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등의 디알킬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의 디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알킬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상기 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도데칸디올, 2-에틸-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4-디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3-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디올로서는, 탄소수가 4∼9인 지방족 또는 지환족(脂環族) 디올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4-디메틸-1,5-펜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2-메틸-1,8-옥탄디올 및 1,9-노난디올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올로서는, 1,6-헥산디올과 3-메틸-1,5-펜탄디올로 이루어지는 코폴리카보네이트디올, 1,6-헥산디올과 1,5-펜탄디올로 이루어지는 코폴리카보네이트디올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카보네이트트리올, 폴리카보네이트테트라올, 이들에 측쇄를 도입하거나 분기구조를 도입한 유도체, 변성체, 또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디카르복시산과 글리콜 성분을 탈수축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옥살산, 말론산, 호박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아젤라산(azela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5-펜탄디올, 1,9-노난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글리콜; p-크실렌디올 등의 방향족 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이상에서 예시한 디카르복시산 및 글리콜 성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선상(線狀)의 분자구조를 구비하지만, 3가 이상의 에스테르 형성성분을 사용한 분지상(分枝狀)의 분자구조를 구비하는 폴리에스테르이더라도 좋다. 디카르복시산과 글리콜 성분은, 몰비 1.1∼1.3으로 150∼300℃에서 반응시키면 좋다.
상기 폴리올 성분의 수평균분자량(數平均分子量)은 300이상, 50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이 300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반응이 지나치게 빨리 일어나서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균일한 시트로 성형하기 어려워지거나, 열경화 폴리우레탄의 유연성이 저하해서 깨지는 경우가 있다. 폴리올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이 5000을 넘는 경우에는, 폴리올 성분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균일한 시트로 성형하기 어려워지거나, 열경화 폴리우레탄이 결정화(結晶化)해서 백탁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올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은 500이상, 2000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즉 주쇄가 폴리올레핀 또는 그 유도체로 구성된 것이다.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1,2-폴리부타디엔폴리올, 1,4-폴리부타디엔폴리올, 1,2-폴리클로로프렌폴리올, 1,4-폴리클로로프렌폴리올 등의 폴리부타디엔계 폴리올이나, 폴리이소프렌계 폴리올, 그들의 2중결합을 수소 또는 할로겐 등으로 포화화(飽和化)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부타디엔계 폴리올 등에, 스티렌,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올레핀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폴리올이나 그 수소첨가물이더라도 좋다. 상기 폴리올 성분은, 직쇄(直鎖 : normal chain)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더라도 좋고, 분기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은, 1종류만 사용되어도 좋고 2종류 이상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폴리올 성분은,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을 80mol%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 중에서 공지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데미쓰코산사(Idemitsu Kosan Co.,Ltd.) 제품의 수산기 말단 폴리이소프렌을 수소첨가해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폴리올(「EPOL(에폴, 등록상표)」, 수평균분자량:2500), 니혼소다사(Nippon Soda Co., Ltd.) 제품의 양쪽말단 수산기 수소화 폴리부타디엔(「GI-1000」, 수평균분자량:1500), 미쓰비시화학사(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제품의 폴리히드록시폴리올레핀 올리고머(「폴리테일(POLYTAIL)(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친수성 유닛(친수기(親水基))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방을 포함한다.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습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을 조정하는 것이 특히 중요해진다.
상기 친수성 유닛은, 용해성 파라미터(SP값)가 8.5MPa1/2 이상인 구성단위를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SP값이 9.0MPa1/2 이상인 구성단위이다. SP값은, Fedors법(R.F.Fedors:Polym.Eng.Sci.,14[2], 147-154(1974) 참조)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Fedors법에 의한 SP값의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간사이페인트사(Kansai Paint Co.,Ltd.) 발행의 「도료의 연구 152호(2010년 10월 발행)」 중의 논문 「첨가제의 용해성 파라미터에 관한 고찰」에도 기재되어 있다. 또한 친수성 유닛이란,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나 뷰렛 구조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기 유래의 구조와는 다른 것으로, 친수성의 관능기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부가해서 결합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친수성 유닛으로서는, 에틸렌옥시드 유닛이 적합하다. 상기 친수성 유닛이 포함됨으로써 흡습에 의한 백화를 억제하는 작용이 얻어진다. 상기 에틸렌옥시드 유닛의 함유량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전체에 대하여 0.1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백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함유량이 20중량%를 넘으면, 저극성의 올레핀계 폴리올 성분, 태키파이어, 가소제 등과의 상용성(相溶性)이 저하함으로써 헤이즈 등의 광학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상기 에틸렌옥시드 유닛의 함유량은 0.1∼5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5중량%를 넘으면, 상기 고온고습환경에서의 흡습량이 지나치게 많아질 우려가 있다.
에틸렌옥시드 유닛 이외의 친수성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산기, 카르복시산의 알칼리금속염기, 술폰산기, 술폰산의 알칼리금속염기, 히드록실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등을 포함하는 유닛을 들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의 알칼리금속염, 술폰산기 함유 공중합체, 술폰산기 함유 공중합체의 알칼리금속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알칼리금속염,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에틸렌옥시드 유닛을 구비하는 에테르 화합물과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착색이나 변색이 더 발생하기 어려워져서, 장기(長期)에 걸쳐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투명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옥시드 유닛을 구비하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킨 변성체로 함으로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친수성 부분(에틸렌옥시드 유닛)의 작용에 의해 백화를 억제할 수 있고, 소수성 부분(그 밖의 유닛)의 작용에 의해 저극성의 태키파이어, 가소제 등과의 상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옥시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그들의 변성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변성체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알로파네이트 변성 및/또는 우레탄 변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시드 유닛을 구비하는 에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알코올류, 페놀류 및/또는 아민류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을 들 수 있고, 친수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1분자당 3개 이상의 에틸렌옥시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알코올류로서는, 예를 들면 1가 알코올류, 2가 알코올류(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3-부틸렌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 3가 알코올류(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상기 페놀류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로퀴논, 비스페놀류(비스페놀A, 비스페놀F 등), 페놀 화합물의 포르말린 저축합물(노볼락 수지, 레졸의 중간체)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상기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1분자당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는, 평균 2.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가 평균 2.0미만이면, 가교밀도의 저하에 의하여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충분히 경화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옥시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수소첨가 MDI),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NBDI, 하기 화학식 참조), 수소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그들의 변성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Figure pct00002
상기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배합비율은, 백화 방지와 흡습률 저감의 양립을 도모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9:1∼1:9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3∼3:7이다.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α비(폴리올 성분 유래의 OH기의 mol수/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유래의 NCO기의 mol수)가 1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α비가 1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배합량이 폴리올 성분의 배합량에 대하여 과잉이기 때문에, 열경화 폴리우레탄이 딱딱해져 광학투명점착시트에 요구되는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유연성이 낮으면, 특히 터치패널 등의 광학부재를 접합시킬 경우에 접합면에 존재하는 요철 및 단차를 피복할 수 없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에 요구되는 점착력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α비는 1.3<α<2.0을 충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α비가 2.0이상인 경우에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충분히 경화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태키파이어]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태키파이어(점착부여제)를 더 함유하더라도 좋다. 태키파이어는,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보통 분자량이 수백∼수천인 무정형(無定型) 올리고머이고, 상온에서 액상(液狀) 또는 고형(固形)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태키파이어를 함유함으로써,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태키파이어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석유수지계 태키파이어, 탄화수소수지계 태키파이어, 로진계 태키파이어, 테르펜계 태키파이어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만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태키파이어로서는, 상기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 등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석유수지계 태키파이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석유수지계 태키파이어 중에서도, 디시클로펜타디엔과 방향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수소첨가해서 얻어지는 수소첨가 석유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디시클로펜타디엔은 C5유분(留分)으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디시클로펜타디엔과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비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기준으로 디시클로펜타디엔:비닐 방향족 화합물 = 70:30∼2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40∼40:6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첨가 석유수지의 바람직한 연화점(軟化點)은 90∼160℃, 바람직한 비닐 방향족 화합물 단위함유량은 35질량% 이하, 바람직한 브롬가(bromine number)는 0∼30g/100g, 바람직한 수평균분자량은 500∼1100이다. 상기 수소첨가 석유수지 중에서 공지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데미쓰코산사 제품의 「아이마부(I-MARV)P-100」을 들 수 있다.
상기 태키파이어로서는, 상기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 등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탄화수소수지계 태키파이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화수소수지계 태키파이어 중에서도 지환족 포화탄화수소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지환족 포화탄화수소수지 중에서 공지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카와화학공업사(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의 「아르콘(ARKON)P-100」을 들 수 있다.
상기 태키파이어는, 산가가 1mgKOH/g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가가 1mgKOH/g이하이면, 태키파이어가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의 반응을 저해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키파이어의 연화점은 80℃ 이상,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연화점이 80℃ 이상, 120℃ 이하인 경우에는, 태키파이어를 폴리올 성분 중에 용해시킬 때에 폴리올 성분이 열에 의해 열화(劣化)해버리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태키파이어의 함유량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대하여 1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태키파이어의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점착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특히 고온·고습하에 있어서의 점착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태키파이어의 함유량이 20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의 반응을 저해하고, 열경화 폴리우레탄 중에 우레탄 가교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고온·고습하에 있어서 광학투명점착시트가 용해되어 형상이 변화되거나, 태키파이어가 석출(블리드(bleed))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우레탄 가교를 충분히 형성하기 위해서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반응시간을 길게 하면 생산성이 저하한다.
[가소제]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가소제를 더 함유하더라도 좋다. 가소제의 첨가에 의하여 저경도화(低硬度化) 됨으로써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취급성이나 단차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소제의 첨가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에 의하면 다소 점착력이 저하되더라도 충분한 점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화합물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상용성 및 내후성(耐候性)의 관점으로부터, 카르복시산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시산계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산디운데실,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이소노닐, 프탈산디이소데실, 프탈산디부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프탈산계 가소제)나,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디이소노닐에스테르, 아디핀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말레인산에스테르, 안식향산에스테르, 폴리-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만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카르복시산계 가소제 중에서 공지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BASF사 제품의 「DINCH」, 신일본리화사(New Japan Chemical Co., Ltd.) 제품의 「산소사이저(SANSO CIZER)DUP」, 이네오스올리고머즈사(Ineous Oligomers) 제품의 「Durasyn(등록상표)148」을 들 수 있다.
[촉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촉매를 더 함유하더라도 좋다. 촉매로서는, 우레탄화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라우릴산디-n-부틸주석, 디라우릴산디메틸주석, 디부틸주석옥시드, 옥탄주석 등의 유기주석 화합물; 유기티탄 화합물; 유기지르코늄 화합물; 카르복시산주석염; 카르복시산비스무트염;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민계 촉매를 들 수 있다.
상기 촉매로서는, 비아민계 촉매가 바람직하다. 아민계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학투명점착시트가 변색되기 쉬워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촉매는 디라우릴산디메틸주석이다.
상기 촉매의 첨가량은, 예를 들면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합계량에 대하여 0.01중량% 이상, 0.1중량% 이하이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더 함유하더라도 좋다.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분자 내에 1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구비하는 화합물로서,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옥타데실디이소시아네이트(ODI),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MOI),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AOI), 이소시안산옥틸, 이소시안산헵틸,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피온산에틸, 이소시안산시클로펜틸, 이소시안산시클로헥실, 2-메톡시에탄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아세트산에틸, 이소시아네이트아세트산부틸,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에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요구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착색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방휘제(防徽劑(antifungal agents)), 난연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두께는, 100㎛ 이상, 30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0㎛미만인 경우에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방의 면을 광학부재의 표면에 부착했을 때에, 광학투명점착시트에 의해 광학부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요철 또는 단차를 피복할 수 없고,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타방의 면과 다른 광학부재의 표면을 충분한 점착력으로 접합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가 두꺼울수록 흡습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흡습에 의한 딜레이드 버블이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두께가 3000㎛이하이면, 본 발명과 같이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과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을 조정함으로써 흡습에 의한 딜레이드 버블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두께의 더 바람직한 하한은 150㎛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50㎛이고, 더 바람직한 상한은 2000㎛이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는, 피착체의 부착면에 존재하는 요철 또는 단차의 높이에 대하여 3배 이상의 두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180° 박리시험에서의 점착력이 5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력이 5N/25㎜ 미만인 경우에는,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과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을 본 발명의 범위내로 하여도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점착력의 더 바람직한 하한은 7N/25㎜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N/25㎜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15N/25㎜이다. 상기 점착력이 15N/25㎜이하이면, 광학투명점착시트를 터치패널 등의 광학부재의 접합에 사용한 경우에, 풀 잔류 없이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리워크성(reworkability)이 우수하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점착력이 지나치게 커지면, 광학투명점착시트와 피착체의 사이에 들어간 기포를 빼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180° 박리시험의 시험방법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마이크로고무A 경도는, 0.5°이상, 2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고무A 경도가 0.5°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시(광학부재에 대한 부착시)의 취급성이 나쁘고 광학투명점착시트를 변형시켜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마이크로고무A 경도가 25°를 넘는 경우에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유연성이 낮아, 광학부재에 부착할 때에 광학부재의 표면 형상에 추종할 수 없고 공기가 들어가버림으로써 광학부재로부터 벗겨지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유연성이 낮으면, 특히 터치패널 등의 광학부재를 접합시킬 때에 베젤의 단차를 피복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마이크로고무A 경도의 더 바람직한 상한은 15°이다. 또한 마이크로고무A 경도는, 예를 들면 고분자계기사(Kobunshi Keiki Co., Ltd.) 제품의 마이크로고무 경도계 「MD-1타입A」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고무 경도계 「MD-1타입A」는, 스프링식 고무경도계(듀로미터(durometer))A형의 약 1/5의 축소모델로서 설계·제작된 경도계로, 측정대상물의 사이즈가 얇아도 스프링식 고무 경도계 A형의 경도와 일치하는 측정치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광학투명점착시트로서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헤이즈가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전광선투과율(全光線透過率)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 및 전광선투과율은, 예를 들면 일본전색공업사(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제품의 탁도계 「HazeMeter NDH200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헤이즈는 JIS K 7136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되며, 전광선투과율은 JIS K 7361-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양면(兩面)에는 이형필름(離型film)이 부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방의 면을 덮는 제1이형필름과,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타방의 면을 덮는 제2이형필름이 적층된 적층체(이하, 「본 발명의 적층체」라고도 한다)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이다. 제1 및 제2이형필름이 부착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표면을 피착체에 부착하기 직전까지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성의 저하나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착체 이외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이형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이형필름과 제2이형필름의 재질이나 두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제1이형필름의 접합강도(박리강도)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제2이형필름의 접합강도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강도에 차이를 둠으로써, 본 발명의 적층체로부터 제1 및 제2이형필름의 일방(접합강도가 약한 쪽의 이형필름)만을 박리하고, 노출시킨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1면과 제1피착체를 접합시키고, 그 후에 제1 및 제2이형필름의 타방(접합강도가 강한 쪽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노출시킨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2면과 제2피착체를 접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이형필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접하는 측의 표면 및 제2이형필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접하는 측의 표면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박리가 쉽게 되도록 처리(이박리처리(易剝離處理)(이형처리(離型處理)))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박리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처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용도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제1피착체와, 제2피착체와, 상기 제1피착체와 상기 제2피착체를 접합하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접합 구조물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이다. 제1 및 제2피착체로서는, 예를 들면 표시패널, 터치패널, 커버패널 등의 표시장치내의 각종 패널이나, 편광판, 수지판, 글라스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사용하여 표시장치내의 각종 패널을 접합시키면, 표시장치내의 공기층(에어 갭)을 없앨 수 있어 표시화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구조물로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표시패널과,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접합면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으로 구성되고, 수지판의 접합면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글라스뿐만 아니라 이들 수지에 대하여도 양호한 점착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글라스판에 부착하면, 글라스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사용한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본 발명의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표시장치(10)에서는, 표시패널(11), 광학투명점착시트(12), 터치패널(ITO 투명도전막 부착 글라스 기판)(13), 광학투명점착시트(12) 및 투명커버패널(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표시패널(11), 터치패널(13) 및 투명커버패널(14)의 3개의 광학부재는, 2매의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12)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표시패널(11)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정패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패널(유기EL패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패널(13)로서는, 예를 들면 저항막방식, 정전용량방식 등의 검출방식의 것이 사용된다.
표시패널(11)은, 표시면측에 개구(開口)가 형성된 베젤(표시패널(11)의 프레임)(11A) 내에 수용되어 있고, 베젤(11A)의 개구의 가장자리(外緣(outer edge))에는, 베젤(11A)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차가 존재한다. 광학투명점착시트(12)는, 표시패널(11) 및 베젤(11A)의 표시면측을 덮어서 부착되어 있어, 베젤(11A)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차를 피복하고 있다. 광학투명점착시트(12)에는, 베젤(11A)의 두께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차를 피복하기 위해서, 단차부에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과, 베젤(11A)의 두께보다 두꺼울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베젤(11A)에 수용된 표시패널(11)과의 접합에 이용되는 광학투명점착시트(12)의 두께는, 예를 들면 7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700㎛ 이상의 두께이더라도 충분한 광학특성 및 유연성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베젤(11A)에 수용된 표시패널(11)과의 접합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하에서 사용해도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점착력이 저하되기 어려워 장기간에 걸쳐서 광학부재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각 광학부재와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사이에 공극(空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계면반사의 증가 등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예를 들면 카내비게이션 장치에 조립되는 표시장치 등의 차재탑재용의 표시장치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기기용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한 후에 이 조성물을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열경화시키면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교반혼합해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법의 일례로서는, 먼저 소정량의 태키파이어를 폴리올 성분에 첨가하고, 가온(加溫) 및 교반하여 용해시킴으로써 마스터 배치(masterbatch)를 조제한다. 계속하여, 얻어진 마스터 배치, 폴리올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촉매 등의 다른 성분을 혼합하고 믹서 등으로 교반함으로써 액상 또는 겔상(gel狀)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얻는다. 그 후에 바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성형장치에 투입하고, 제1 및 제2이형필름에 의하여 협지(挾持; sandwitched)된 상태에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동시키면서 가교경화시킴으로써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반경화(半硬化)되어, 제1 및 제2이형필름과 일체화된 시트를 얻는다. 그 후에 로(爐)에서 일정시간 가교반응시킴으로써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광학투명점착시트가 얻어져, 본 발명의 적층체가 완성된다.
도2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작에 사용하는 성형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2에 나타내는 성형장치(20)에서는, 먼저 경화전의 액상 또는 겔상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23)을, 사이를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성형 롤(22)로부터 연속적으로 송출되는 한 쌍의 이형필름(PET 필름)(21)의 간극(間隙)에 유입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이형필름(21)의 간극에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23)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경화반응(가교반응)을 진행시키면서 가열장치(24)내로 반입한다. 가열장치(24)내에 있어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23)은, 한 쌍의 이형필름(PET 필름)(21) 사이에 유지된 상태에서 열경화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광학투명점착시트(12)의 성형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법으로서는, 경화전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한 후에 각종 코팅장치, 바코트, 닥터 블레이드 등의 범용의 성막장치나 성막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원심성형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제작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원료)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해서 사용한 배합원료는 아래와 같다.
(A)폴리올 성분
·폴리올레핀폴리올(이데미쓰코산사 제품의 「EPOL(에폴, 등록상표)」, 수평균분자량:2500)
(B)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DI(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모노머
·HDI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소사(Tosoh Corporation) 제품의 「코로네이트(CORONATE)2760」)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소사 제품의 「코로네이트4022」)
·IPDI(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스미카바이엘우레탄사 제품의 「데스모듈I」)
(C)태키파이어
·수소첨가 석유수지계 태키파이어(이데미쓰코산사 제품의 「아이마부P-100」)
(D)촉매
디라우릴산디메틸주석(Momentive사 제품의 「Fomrez catalyst UL-28」)
또한 코로네이트2760은, 알로파네이트 변성 HDI와 HDI 트라이머의 혼합물이다. 또한 코로네이트4022는, HDI 및/또는 HDI 모노머를 출발물질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1분자당 평균 3개 이상의 에틸렌옥시드 유닛을 구비하는 에테르폴리올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다.
(실시예1)
먼저 120℃로 온도조절한 폴리올레핀폴리올에 고형상(固形狀)의 수소첨가 석유수지계 태키파이어를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폴리올레핀폴리올 중에 태키파이어를 용해시킨 태키파이어 마스터 배치를 얻었다. 태키파이어 마스터 배치 중의 태키파이어의 함유량은 30중량%로 조정하였다.
다음에 폴리올레핀폴리올 100중량부, HDI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2.5중량부, IPDI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6.3중량부, 태키파이어 마스터 배치 150중량부 및 촉매 0.02중량부를, 왕복회전식 교반기 아지터(AJITER)를 사용하여 교반혼합하여, α비=1.63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그 후에, 얻어진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도2에 나타낸 성형장치(20)에 주입하였다. 그리고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한 쌍의 이형필름(표면에 이형처리가 실시된 PET 필름)(21)에 의해 협지한 상태에서 반송하면서, 노(爐) 내(內)의 온도 70℃, 노 내의 시간 10분간의 조건으로 가교 경화시켜, 이형필름(21)을 갖는 시트를 얻었다. 그 후에 70℃로 조절한 가열장치(24)로 12시간 가교반응시켜, 양면에 이형필름(21)이 부착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광학투명점착시트(12)(이하에서는,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라고도 한다)를 제작하였다.
도3은, 실시예1의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이형필름(21),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광학투명점착시트(12) 및 이형필름(2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이었다. 광학투명점착시트(12)의 두께는 150㎛이었다.
(실시예2∼25 및 비교예1∼8)
하기 표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합 및 시트 두께를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2∼25 및 비교예1∼8에 관한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각각 제작하였다.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특성 및 평가)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물성확인이나 평가시험을 하였다. 하기 표1∼3에 결과를 나타냈다.
(1)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
70℃로 조절한 가열장치로부터 온도 25℃, 습도 40%의 환경하로 꺼내어, 즉시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로부터 양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일방의 면에 글라스판이 부착되고 타방의 면이 노출한 상태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각 실시예 및 비교예당 2개씩 준비하였다. 그리고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온도 85℃, 습도 85%의 고온고습환경에 3시간 노출(폭로(暴露))시켰다. 노출의 전후에서 각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으로부터 흡습률을 구하였다.
흡습률(ppm)= (노출후 중량-노출전 중량)/(노출전 중량)
또한 흡습률은, 글라스판의 중량을 제외하고 광학투명점착시트 단독의 중량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2)저장전단탄성률(G’)
안톤파르사(Anton Paar Germany GmbH) 제품의 점탄성측정장치 「Physica MCR301」를 사용하여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저장전단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플레이트는 PP12를 사용하고, 측정조건은 비틀림 0.1%, 주파수 1Hz, 셀 온도 25℃∼100℃(승온속도 3℃/분)로 하였다. 하기 표1∼3에는, 85℃에 있어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의 측정치를 기재하였다.
(3)점착력
하기의 방법으로 180° 박리시험을 하여, 점착력(N/25㎜)을 측정하였다. 도4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점착력의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먼저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길이 75㎜×폭 25㎜로 절단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의 편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에 광학투명점착시트(12)측을 길이 75㎜×폭 25㎜의 슬라이드 글라스(31)에 부착하고 압력 0.4MPa로 30분간 유지하여, 광학투명점착시트(12)와 슬라이드 글라스(31)를 접합시켰다. 다음에 슬라이드 글라스(31)와는 반대측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도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투명점착시트(12)의 슬라이드 글라스(31)와는 반대측의 면에, 두께 125μm의 PET 시트(테이진듀퐁필름사(Teijin DuPont Films) 제품의 「메리넥스(Melinex)(등록상표)S」)(32)를 접합시켰다.
도4(a)에 나타내는 적층체를 상온·상습(常溫·常濕)(온도 23℃, 습도 50%)하에서 12시간 방치한 후에,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ET 시트(32)를 180° 방향으로 잡아당겨, 광학투명점착시트(12)를 슬라이드 글라스(31)와의 계면에서 박리시켜서, 슬라이드 글라스(31)에 대한 광학투명점착시트(12)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2개의 시험편을 준비해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2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측정결과로 하였다.
(4)고온고습방치후의 광학특성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편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에 광학투명점착시트측을 슬라이드 글라스(소다글라스제(製))에 부착하고, 압력 0.4MPa로 30분간 유지하여,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슬라이드 글라스를 접합시켰다. 그 후에 슬라이드 글라스와는 반대측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고온·고습하(85℃, 85%)에서 168시간 방치한 후,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 : 백화의 발생없음
× : 백화의 발생있음
(5)고온고습방치후의 딜레이드 버블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편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에, 광학투명점착시트 중에 포화상태까지 흡습시키기 위해서 고온·고습하(85℃, 85%)에서 3시간 방치하였다. 다음에 진공접합기로 커버 글라스와 접합시켰다. 계속하여 커버 글라스와는 반대측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에, 광학투명점착시트 중의 수분을 기화시키기 위해서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오븐에 넣고, 고온·상습하(95℃)에서 1일간 방치하였다. 또한 고온·상습 조건에서는, 송풍 오븐에 의해 온도만을 95℃로 설정하고 습도의 설정은 하지 않았다. 오븐에서 꺼낸 커버 글라스와 광학투명점착시트의 계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 : 벗겨짐(들뜸)의 발생없음
× : 벗겨짐(들뜸)의 발생있음
(6)고온방치후의 치수안정성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편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에 광학투명점착시트측을 슬라이드 글라스(소다글라스제)에 부착하고, 압력 0.4MPa로 30분간 유지하여,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슬라이드 글라스를 접합시켰다. 그 후에 상온·상습의 실내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에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오븐에 넣고 고온·상습하(85℃)에서 300시간 방치하였다. 오븐에서 꺼낸 광학투명점착시트에 대해서 시트형상의 변화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 : 시트형상의 변화없음
× : 시트형상의 변화있음
(7)고온방치후의 단차추종성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편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에, 광학투명점착시트를 φ100∼200㎛의 글라스 비즈를 작은 스푼으로 1스푼 살포한 글라스판상에 진공접합기로 접합하였다. 그 후에 글라스판 및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고온·상습하(85℃)에서 1일간 방치하였다. 방치후의 글라스판과 광학투명점착시트와의 계면을 비디오마이크로계를 사용하여 배율 100배로 관찰하였다. 관찰결과에 대해서 하기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하기 「단독거품(independent air bubble(s))」이란, 글라스판과 광학투명점착시트의 계면에 발생한 기포로서, 개개의 글라스 비즈의 주위에 형성된 점모양의 것을 가리킨다. 또한 하기 「연속거품(continuous air bubble(s))」이란, 복수의 단독거품 상호간이 이어져서 형성된 기포를 가리킨다.
○ : 단독거품 및 연속거품이 발생하지 않았다
△ : 단독거품이 발생하고 있었다
× : 연속거품이 발생하고 있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표1 및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1∼25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소사 제품의 「코로네이트4022」)와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을 3600ppm 이하로 조정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실시예1∼25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친수성이 적절하게 제어되어 있고 고온고습방치후에 백화나 딜레이드 버블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1∼25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이 4×103Pa 이상으로 조정된 것이었으므로, 고온방치후의 치수안정성 및 단차추종성이 우수하였다.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1 및 2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배합비가 높고, 비교예3 및 4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만이 사용되고, 모두 고온고습시험 후의 흡습률이 3600ppm을 넘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비교예1∼4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고온고습방치후에 딜레이드 버블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1 및 2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친수성이 강하고 또한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이 높았기 때문에, 고온방치후의 단차추종성이 떨어졌다.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5∼8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만이 사용되었으므로, 고온고습방치후에 백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6 및 7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지나치게 많았기 때문에 경화불량에 의해 시트화할 수 없었다.
10 표시장치
11 표시패널
11A 베젤
12 광학투명점착시트
13 터치패널
14 투명커버패널
20 성형장치
21 이형필름
22 성형 롤
23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24 가열장치
31 슬라이드 글라스
32 PET 시트

Claims (6)

  1. 열경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광학투명점착시트로서,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이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방을 포함하고,
    온도 85℃, 습도 85%의 고온고습환경하에 3시간 투입하는 시험을 실시하였을 경우에 흡습률이 36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85℃에서의 저장전단탄성률이 4×103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교반 혼합해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방의 면을 덮는 제1이형필름과,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타방의 면을 덮는 제2이형필름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6. 제1피착체와, 제2피착체와, 상기 제1피착체와 상기 제2피착체를 접합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물.
KR1020197022396A 2017-01-31 2017-12-11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KR102093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15642 2017-01-31
JPJP-P-2017-015642 2017-01-31
PCT/JP2017/044362 WO2018142769A1 (ja) 2017-01-31 2017-12-11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250A true KR20190094250A (ko) 2019-08-12
KR102093354B1 KR102093354B1 (ko) 2020-03-25

Family

ID=6303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396A KR102093354B1 (ko) 2017-01-31 2017-12-11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24068A1 (ko)
EP (1) EP3578617A4 (ko)
JP (1) JP6371921B1 (ko)
KR (1) KR102093354B1 (ko)
CN (1) CN110225950A (ko)
TW (1) TW201835278A (ko)
WO (1) WO2018142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7991B2 (en) * 2017-08-02 2022-03-08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Transparent adhesive optical sheet, laminate and bonded structure
JP7141346B2 (ja) * 2019-02-06 2022-09-22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貼り合わせ構造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336A (ja) 1996-04-12 1997-10-31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H1044293A (ja) 1996-08-01 1998-02-17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30280536A1 (en) * 2010-12-23 2013-10-24 Sika Technology Ag Heat-curing sealant compositions having fast skin formation and high tensile strength
JP2015224320A (ja) 2014-05-29 2015-12-14 Dic株式会社 粘接着シート、物品ならびに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6204466A (ja) * 2015-04-17 2016-12-08 東ソー株式会社 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2液型ウレタン粘着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2500B1 (en) * 2007-07-24 2015-01-1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JP5676381B2 (ja) * 2011-07-11 2015-02-2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光学用積層シート
JP2013018856A (ja) * 2011-07-11 2013-01-31 Dic Corp 二液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粘着フィルム
JP5867371B2 (ja) * 2011-12-01 2016-02-24 東ソー株式会社 光学部材用ポリウレタン樹脂形成性組成物
JP2014066908A (ja) * 2012-09-26 2014-04-17 Bando Chem Ind Ltd 電子写真装置用ローラー
CN104830265B (zh) * 2014-02-12 2020-08-25 狮王特殊化学株式会社 粘合剂、添加交联剂的粘合剂制造用试剂盒、粘合片、粘合片的制造方法、及图像显示装置
JP2015209538A (ja) * 2014-04-30 2015-11-24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
JP6704671B2 (ja) * 2014-12-25 2020-06-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部材
EP3296373B1 (en) * 2015-05-08 2021-07-28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laminat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JP6371922B1 (ja) * 2017-03-28 2018-08-0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WO2018179608A1 (ja) * 2017-03-28 2018-10-04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US11267991B2 (en) * 2017-08-02 2022-03-08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Transparent adhesive optical sheet, laminate and bond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336A (ja) 1996-04-12 1997-10-31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H1044293A (ja) 1996-08-01 1998-02-17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30280536A1 (en) * 2010-12-23 2013-10-24 Sika Technology Ag Heat-curing sealant compositions having fast skin formation and high tensile strength
JP2015224320A (ja) 2014-05-29 2015-12-14 Dic株式会社 粘接着シート、物品ならびに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6204466A (ja) * 2015-04-17 2016-12-08 東ソー株式会社 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2液型ウレタン粘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71921B1 (ja) 2018-08-08
TW201835278A (zh) 2018-10-01
EP3578617A1 (en) 2019-12-11
JPWO2018142769A1 (ja) 2019-02-14
WO2018142769A1 (ja) 2018-08-09
CN110225950A (zh) 2019-09-10
KR102093354B1 (ko) 2020-03-25
EP3578617A4 (en) 2020-11-25
US20200224068A1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225B1 (ko)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KR102067120B1 (ko)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KR101999583B1 (ko)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EP3421565A1 (en) Optically clear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optically clear adhesive sheet, lamin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attached thereto
JP5987135B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EP3412740B1 (en)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production method, laminate, and touch panel-equipped display device
KR20190094250A (ko)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WO2018179608A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2019001001A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371922B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2019077781A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シート
JP2019099616A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シート
JP6795904B2 (ja) 光学部材の貼り合わせ方法、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9077780A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シート
JP2020019868A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2019077782A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シート
JP2018202621A (ja) 積層体、光学透明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