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056A - 밤 알갱이와 돼지감자의 분쇄물을 이용한 경단 및 그에 의한 요리법 - Google Patents

밤 알갱이와 돼지감자의 분쇄물을 이용한 경단 및 그에 의한 요리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056A
KR20190094056A KR1020180013656A KR20180013656A KR20190094056A KR 20190094056 A KR20190094056 A KR 20190094056A KR 1020180013656 A KR1020180013656 A KR 1020180013656A KR 20180013656 A KR20180013656 A KR 20180013656A KR 20190094056 A KR20190094056 A KR 20190094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nut
chestnuts
dough
sujebi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혁
Original Assignee
이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혁 filed Critical 이광혁
Priority to KR102018001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056A/ko
Publication of KR2019009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밤 경단 수제비 및 그 요리방법은, 밤을 잘라 쪄서 살짝 건조한 밤 알갱이를 다양한 전분으로 버무린 반죽을 1cm만한 크기로 뭉친 다음 국물에 간을 하여 요리해 내는 수제비 및 그 요리방법에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 껍질을 벗긴 밤을 작은 알갱이로 잘라 쪄서 살짝 건조하고, (2) 물기를 제거한 작은 밤 알갱이에 소정의 가루분말을 넣고 간을 맞추어 반죽하며, (3) 상기 반죽을 먹기에 좋도록 소정의 크기로 뭉친 후 일정량의 돼지감자 분쇄물을 포함한 국물에 집어넣어 끓여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밤의 영양분을 살림과 동시에 밤만의 독특한 맛과 밤알갱이가 씹히는 느낌 등 보다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밤 알갱이와 돼지감자의 분쇄물을 이용한 경단 및 그에 의한 요리법{Chestnut Matzo balls and Toninambour Soup, and there's Cooking Method}
본 발명은 밤과 돼지감자를 이용한 음식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밤을 잘게 자른 밤알갱이에 전분으로 버무린 반죽을 1cm 크기의 경단으로 만들고, 그 다음에 돼지감자의 곱게 갈은 분쇄물을 넣은 국물에 간을 하여 요리함으로써 밤의 영양분을 살리면서 밤알맹이가 씹혀 밤 특유의 식감을 더하며 돼지감자의 건강에 대한 효능이 가미된 효과가 있는, 밤 경단 및 돼지감자를 이용한 요리방법을 제시한다.
현대에는 음식에도 새로운 먹거리가 다양화되었다. 상점의 진열대에 쌓여 있는 이러한 먹거리는 그 종류가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넘쳐나고 있으며, 더욱 새로운 먹거리가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음식을 먹능 때 그 음식에 추억이 배어있는 경우에는 그 풍미와 정감의 기억 때문에 보다 깊은 맛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 음식 하나하나에는 그 당시의 시대상이 반영되는 것이 당연하며, 거기에 더하여 가난했던 시절이나 잊을 수 없는 일 등을 떠올릴 수 있는 음식이라면 그네 따른 아련한 추억을 잊을 수 없게 된다.
해안선이 삼면으로 길고 사계절이 뚜렷 대한민국은 바다음식, 계절음식,그리고 육지음식 등 그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여러 음식이 있다. 한 민족의 식생활은 그 민족이 생활하는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처지에 따라 형성되고 발전되기 마련이며, 우리나라 음식 역시 계절적인 결과와 지역적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유음식은 조화된 맛을 중히 여겼고 각기의 식품 배합이 섬세하게 잘 이루어져 있어서 정성과 노력이 많이 드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음식의 재료 역시 향토적인 냄새가 짙게 배어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쌀과 보리 등의 주요한 주식과 더불어, 그 주식을 구하기 어려웠던 서민들의 주식으로 자리잡았던 것이 고구마, 감자, 옥수수, 밤 등과 같은 주식성 재료이다.
밤은 가을에 시골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으로, 한 겨울 주전부리로 귀히 여겼을 뿐만아니라, 각종 요리 재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밤을 이용한 전통적인 음식은 주로 굽거나 찌거나 떡에 넣거나 삼계탕에 부재료로 넣는 등의 제한적이용이 거의 전부였지만 감자옹심이의 경단이 그러하듯이 밤의 식감과 영양과 맛을 살린 반죽으로 전통적인 경단의 모양을 입혀 새로운 식재료를 만든다.
돼지감자는 시골이나 산골 후미진 곳에 흔히 다량으로 자생하며 요새는 재배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영양학적, 건강학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풍미있게 섭취하는 방법이 제한되어 있다. 그 단점을 극복하고자 밤 경단 요리의 풍미를 제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즙액에 형태로 가미하여 요리의 품위를 높이고자 한다.
옛것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전통이 강조되는 현상은 음식에도 나타난다. 이제는 역사를 통하여 이어져 온 전통음식을 중요하게 여기고 보존하는 것은 물론, 보다 새로우면서도 고급스러움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밤의 알맹이를 잘게 자르고 이에 다양한 전분으로 버무린 반죽을 1cm 정도의 크기로 뭉친 다음 돼지감자 즙을 더한 국물에 간을 하여 요리해 냄으로써 밤의 영양분을 살리면서 밤알맹이가 씹히는 등 구수한 맛을 느낄 수 있는, 돼지감자즙을 가미한 밤알갱이 경단 및 그 요리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밤알갱이 경단 및 수제비는 신선한 밤을 잘게 잘라서 밤의 영양분을 살림과 동시에 밤 특유의 독특한 맛과 밤알갱이가 씹히는 느낌 등 보다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보다 고급스럽고 새로운 맛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부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실시예의 주재료인 밤은 거의 전세계적으로 재배되는 흔한 식품이다. 원산지에따라 한국 밤, 중국 밤, 일본 밤,미국 밤, 유럽 밤으로 나뉘는데 중국 밤은 알이 작고 단맛이 강해 군밤으로는 좋으나 해충에 약하다. 일본 밤은 알이 굵지만 단단하지가 않아 가공하기 적합하지 않다.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재래종 가운데 밤나무혹벌에 저항성이 있는 우량종과 일본 밤을 개량한 품종이 있다. 한국 밤은 서양 밤에 비해 육질이 좋고 단맛이 강해서 우수종으로 꼽히며 국내 생산량의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밤은 대부분 일본에서 도입된 품종으로 냉해에 약하기 때문에 주산지가 대부분 남쪽 지방에 편재되어 있다.
밤이라는 식물에서 식용으로 사용하는 부위는 밤나무의 과실에서 단단한 껍질과 부드러운 속껍질을 제거한 소위 알밤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9월 하순 쯤부터 남부지방으로부터 수확을 하게 된다.
밤은 흔하지만 이용되는 음식 분야는 제한적이다. 삶거나 굽거나 날로 간식으로 이용하게 되며 막걸리 원료, 과자의 원료, 밤양갱이나 식빵 같은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또한 죽이나 통조림 등으로 만들기도 한다.
밤은 필수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균형 잡힌 영양식품이다. 탄수화물, 단백질, 기타 지방, 칼슘, 비타민 등이 풍부해 항산화 작용이 있고 발육과 성장, 피부 미용, 피로회복, 노화방지에 좋다. 또한 생밤은 비타민C 성분이 있어 알코올의 산화를 돕기 때문에 순안주로 적합하며 밤 속 당분에는 위장기능을 강화하는 효소가 있어 성인병 예방과 신장 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돼지감자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국화과이며 일명 뚱딴지라고도 불린다. 뿌리가 비대해진 것으로 이름과 형태는 감자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식재이며 맛과 식감도 다르다. 생으로 먹으면 아삭하고 시원하다. 우어과 비슷한 느낌이며 단맛이 난다. 2011년 경부터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가 퍼지면서 대중의 관심을 얻기 시작했다. 콜레스테롤 개선, 배변 활동 원활, 식후 혈당 상승 억제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눌린이 많은 식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밤과 돼지감자를 주재료로 한 경단, 수제비 및 그 요리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신선한 밤의 껍질을 벗겨내고 3mm×3mm 정도의 크기로 자른다. 이걸 너무 말리지 않고 살짝 말려서 찌면 특유의 식감과 맛을 살릴 수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하면 물기가 적어서 반죽할 때 물의 조절이 쉽다.
돼지감자는 즙을 짜서 섬유질만 버리고 냉동해둔다.
이후 찐 밤 알갱이에 밀가루를 넣어 반죽을 한다. 이 때 필요에 따라서 감자전분과 같은 필요한 종류의 전분을 넣으면, 보다 다양한 맛을 낼 수가 있다. 아울러 다음의 단계에서와 같이 뭉쳐낼 수 있도록 반죽은 질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의 반죽시 수분(물기, 찐밤)이 제거된 밤알갱이(밤)는 약 20∼40 %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며, 밀가루나 필요한 전분 등을 포함한 가루분말은 약 58∼78 % 정도의 비율이 되며, 소금이나 간장 등을 포함한 조미료는 약2∼1 % 내외의 비율을 차지하게 된다.
돼지감자는 국물에 가미하므로 그 양을 달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성분비율에서 제외시켜 주었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의 밤알갱이 경단 제조함에 있어서 돼지감자는 다만 국물 전체 량에서 10%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미한다. 너무 많이 들어가면 국물 고유의 맛을 낼 수가 없고 텁텁해질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후 끓이고 있는 국물에 밤알갱이가 포함된 반죽을 1cm 정도 크기로 뭉쳐낸 경단을 넣어 수제비를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본 발명의 밤 경단 수제비는 매실만한 크기로 불어나게 되며 한 입에 먹기에도 좋고, 밤경단 수제비의 크기는 원하는 대로 모양과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밤의 독특한 맛이 배어 있으며 밤의 씹히는 느낌으로 인해 보다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김치나 야채 등 필요에 따라 곁들여 먹으면 보다 풍부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죽에 포함되는 밤알갱이의 비율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키고 국물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에 따른 요리방법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깐 밤을 이용한 요리재료에 있어서,
    잘게 자른 밤알갱이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반죽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뭉쳐낸 반죽덩어리를 포함시켜 요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깐밤 경단 수제비.
  2. 감자를 이용한 요리재료에 있어서,
    (1) 껍질을 벗긴 밤을 작은 알갱이로 잘라서 살짝 말려 수분을 제거하고 찌는 단계.
    (2) 상기 물기를 제거한 작은 밤알갱이에 소정의 가루분말을 넣고 간을 맞추어 반죽하는 단계; 및
    (3) 상기 반죽을 먹기에 좋도록 소정의 크기로 뭉친 후 일정량의 국물에 집어넣어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경단 수제비 요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은
    밤(밤알갱이)············약 20∼40 %,
    가루분말(밀가루 또는 전분)·······약 58∼78 %,
    소금, 간장 등 기타 조미료·······약 2∼1 %을 포함하는 혼합성분을 버무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깐 밤 경단 수제비 및 그 요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 국물을 만들 때 전체 국물 양에서 돼지감자 분쇄물을 10% 정도 되게 넣어서 국물의 시원한 맛을 더하면서도 텁텁하지 않게 만드는 단계.
KR1020180013656A 2018-02-02 2018-02-02 밤 알갱이와 돼지감자의 분쇄물을 이용한 경단 및 그에 의한 요리법 KR20190094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656A KR20190094056A (ko) 2018-02-02 2018-02-02 밤 알갱이와 돼지감자의 분쇄물을 이용한 경단 및 그에 의한 요리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656A KR20190094056A (ko) 2018-02-02 2018-02-02 밤 알갱이와 돼지감자의 분쇄물을 이용한 경단 및 그에 의한 요리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056A true KR20190094056A (ko) 2019-08-12

Family

ID=6762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656A KR20190094056A (ko) 2018-02-02 2018-02-02 밤 알갱이와 돼지감자의 분쇄물을 이용한 경단 및 그에 의한 요리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0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kpa et al. Sub-Saharan African maize-based foods-processing practic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Saranraj et al. Traditional foods from tropical root and tuber crops: Innovations and challenges
Verma et al. Value added products from nutri-cereals: Finger millet (Eleusine coracana)
Srilakshmi Food science
KR20190048295A (ko) 영양 만두의 제조방법
WO2020031143A1 (en) Food preparations based on whole grain gluten-free cereals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Ekesa Selected superfoods and their derived super diets
KR20170085790A (ko) 닭갈비용 양념 소스 및 그 제조방법
JP4909324B2 (ja) 菊芋入り味噌
KR20170049126A (ko) 삼채 찰보리 라면 제조방법
Alamu et al. Evaluation of nutritional properties of cassava-legumes snacks for domestic consumption: consumer acceptance and willingness to pay in Zambia
Oduro-Obeng et al. Development, quality evaluation and estimated contribution of composite flour snack foods to nutrient requirements of young children aged 2 to 6 years
Deshpande et al. Product development from millets
KR20190094056A (ko) 밤 알갱이와 돼지감자의 분쇄물을 이용한 경단 및 그에 의한 요리법
KR20160113946A (ko) 흑미 피자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흑미 피자도우
CN104839687A (zh) 一种即食复合型甜玉米蛋花羹及其制备方法
JP4081528B2 (ja) 米菓及び米菓の製造方法
JP7478520B2 (ja) 麺皮用小麦粉組成物、麺皮、麺皮の製造方法、ならびに麺皮の加熱調理後の保形性の向上方法
KR20140120622A (ko) 발효 찹쌀 풀을 이용한 김치부각의 제조방법
KR101344865B1 (ko) 천연양념을 이용한 국내산 친환경 구운 나초스낵의 제조방법
Raghuvanshi et al. 25 Food Preparation and Use
KR102359724B1 (ko) 콩면과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혈당 강하용 식품
KR20090047695A (ko) 통곡을 함유하는 면류의 제조 및 그 조리방법
KR20170034196A (ko) 잡곡 피자 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잡곡 피자 도우
Bisht Small-Millet-Based Traditional and Unconventional Food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