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153A -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153A
KR20190093153A KR1020190011452A KR20190011452A KR20190093153A KR 20190093153 A KR20190093153 A KR 20190093153A KR 1020190011452 A KR1020190011452 A KR 1020190011452A KR 20190011452 A KR20190011452 A KR 20190011452A KR 20190093153 A KR20190093153 A KR 2019009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ilm
stretchable
represented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355B1 (ko
Inventor
준 하타케야마
모토아키 이와부치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1Polysiloxanes
    • C08G18/615Polysiloxanes containing carboxylic aci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47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 C08G18/085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the solvents being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8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289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12Poly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yclo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93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1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74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74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08G18/667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05Unsaturated polymers not provided for in the groups C08G18/671, C08G18/6795, C08G18/68 or C08G18/6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2Combination of two or more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3Chemically modified polymers
    • C08G18/837Chemically modified polymers by 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5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ureth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 C08J23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04Polysiloxanes
    • C08J24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1 및/또는 (1)-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2)-1 및/또는 (2)-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이다. 이에 의해,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한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STRETCHABLE FILM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축성과 강도와 발수성을 겸비한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의 보급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시계나 안경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의료 분야나 스포츠 분야에서도 몸의 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앞으로의 성장 분야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는, 몸에 접착하여 항상 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통상, 몸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검지하기 위한 생체 전극, 전기 신호를 센서로 보내기 위한 배선, 센서가 되는 반도체 칩과 전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통상, 피부에 점착하기 위한 점착 패드도 필요하다. 생체 전극 및 이 주위의 배선이나 점착 패드의 구조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1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 전극의 주위에 실리콘계 점착막이 배치되고, 생체 전극과 센서 디바이스의 사이는 신축성의 우레탄막으로 피복된 쟈바라 형태의 신축가능한 은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레탄막은 신축성과 강도가 높아, 신축 배선의 피복막으로서 우수한 기계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우레탄막에는 가수분해성이 있기 때문에, 가수분해에 의해서 신축성과 강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실리콘막에는 가수분해성이 없지만, 강도가 낮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우레탄 결합과 실록산 결합의 양쪽을 폴리머 주쇄에 갖는 실리콘 우레탄 폴리머가 검토되고 있다. 이 폴리머의 경화물은, 실리콘 단독보다는 고강도이며, 폴리우레탄 단독보다는 낮은 가수분해성이다. 그러나, 이 폴리머의 경화물에서는 폴리우레탄 단독의 강도, 실리콘 단독의 발수성에는 미치지 못하여, 실리콘과 폴리우레탄의 중간의 강도와 발수성밖에 얻지 못한다.
고신축의 우레탄막은 닿았을 때에 표면이 끈적거리는 특성이 있다. 표면이 끈적거리면 막끼리를 붙였을 때에 떨어지지 않으며, 이 막 위에 스크린 인쇄를 행했을 때에 판과 막이 달라붙어 인쇄 불량이 발생한다. 한편, 실리콘막은 박리성이 높기 때문에, 막끼리 달라붙는 일은 없다. 단, 실리콘은 강도가 낮기 때문에, 박막의 실리콘막은 늘리면 간단하게 끊기어 떨어져 버린다. 실리콘막 상에 스크린 인쇄를 행하면, 판과 달라붙음으로 인한 인쇄 불량은 일어나지 않지만, 잉크와의 접착성이 낮기 때문에, 경화 후의 잉크가 벗겨져 버린다. 이것은 실리콘 표면의 박리성이 높음에 의한 것이다. 한편, 우레탄막의 잉크와의 접착력은 높고, 경화 후의 잉크가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실리콘이 펜던트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막은, 신축성, 강도, 발수성의 밸런스가 우수하지만, 막 표면이 끈적거리기 때문에 막끼리 달라붙어 버리거나, 스크린 인쇄 시에 판과 달라붙어 버리는 결점이 있다. 실리콘이 주쇄에 블록 공중합되어 있는 폴리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막은, 막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은 없지만, 강도가 약하다.
고신축, 고강도이며 표면이 끈적거리지 않고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가 가능하며, 인쇄 후의 잉크가 벗겨지지 않는 신축성 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실리콘 우레탄막으로 표면이 덮이고, 그 내부가 우레탄막, 더욱 내부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이륜차 시트용 가죽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최표면을 실리콘 우레탄막으로 함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실리콘은 표면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끈적거리지 않고, 이에 따라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03346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1-018329호 공보
이러한 배경에서,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실리콘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발수성, 나아가서는 막끼리 달라붙지 않는 자립성의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한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 막으로서,
하기 일반식 (1)-1 및/또는 (1)-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2)-1 및/또는 (2)-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신축성 막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식 중, R1, R4는 탄소수 1∼40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티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2, R3, R5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6, R11, R12, R1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2R3)s-OSiR2R3R5기이다. R7, R9는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며, R7 및 R9의 탄소수의 합계가 1 또는 2이다.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상의 알킬기이고, R10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A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m, n은 1∼100 범위의 정수이고, p는 2∼10 범위의 정수이며, q, r,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본 발명과 같은 신축성 막이라면,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한 신축성 막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3)-1 및/또는 (3)-2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2
(식 중, R 1 ∼R5, m, n, p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고, R14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t, u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t≤100, 1≤u≤3 범위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4)-1 및/또는 (4)-2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3
(식 중, R2, R3, R5∼R13, q, r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R14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t, u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t≤100, 1≤u≤3 범위의 정수이다.)
이러한,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를 갖는 것을 이용하면, 보다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보다 우수한 신축성 막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신축성 막이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800%의 범위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률의 신축성 막이라면, 신축 배선의 피복막으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성 막이,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접촉하는 막으로서 이용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특히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일반식 (2)-1 및/또는 (2)-2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을, 가열 및/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표면 상에, 하기 일반식 (1)-1 및/또는 (1)-2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을, 가열 및/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4
(식 중, R1, R4는 탄소수 1∼40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티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2, R3, R5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6, R11, R12, R1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2R3)s-OSiR2R3R5기이다. R7, R9는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며, R7 및 R9의 탄소수의 합계가 1 또는 2이다.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상의 알킬기이고, R10은 수소 원자 또는메틸기이다. A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m, n은 1∼100 범위의 정수이고, p는 2∼10 범위의 정수이며, q, r,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본 발명과 같은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이라면,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도 우수한 신축성 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이라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은 주쇄가 실록산 결합의 실리콘과 같은 정도나 그 이상의 우수한 발수성과,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는 신축성 막으로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실리콘이 펜던트된 폴리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층의 표면에, 실리콘이 주쇄에 블록 공중합되어 있는 폴리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층이 형성된 복합 신축성 막은, 고강도이며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는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을 도전성 배선에 접촉시키거나, 도전성 배선의 한 쪽이나 양면을 피복하거나 하여 얻어지는 복합 신축성 배선 막이라면, 신축성 및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어 촉감이 양호하며, 발수성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생체 전극과 센서를 접속하는 배선부뿐만 아니라, 생체 전극이나 센서 모두를 실을 수 있는 신축성 막으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이라면, 상술한 것과 같이 신축성 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 상에 형성한 심전계를 생체 전극 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을 기판 상에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 상에 심전계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선과 센터 디바이스를 신축성 막의 제2층으로 덮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신축성 막의 제1층의 양면을 신축성 막의 제2층으로 덮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신축성 막 상에 심전계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선과 센터 디바이스를 신축성 막의 제2층으로 덮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폴리우레탄은 충분한 신축성과 강도를 갖지만, 발수성이 낮아, 가수분해에 의해서 강도와 신축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고, 실리콘은 발수성이 높지만 강도가 낮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우레탄 결합과 실록산 결합의 양쪽을 주쇄에 갖는 실리콘 우레탄 폴리머의 경화물에서는, 막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작고 발수성이 우수하지만 강도가 낮은 결점이 있고, 측쇄에 실리콘이 펜던트되어 있는 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막은, 고강도, 고신축, 고발수이지만 표면이 끈적거리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강도도 충분히 높고, 또한 실리콘과 같은 정도나 그 이상의 우수한 발수성과 표면 경도를 갖는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관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고신축, 고강도, 고발수성이지만 표면이 끈적거리는 측쇄 실리콘형 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층의 표면 상에, 실리콘과 우레탄의 양쪽을 주쇄에 갖는 실리콘 우레탄을 베이스로 하는 층을 형성하여, 복합막으로 함으로써, 고신축, 고강도, 고발수성이며, 표면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어 막끼리 달라붙지 않는 우수한 신축성 막으로 되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신축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신축성 기판막으로서 특히 적합한 것으로 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신축성 막으로서,
하기 일반식 (1)-1 및/또는 (1)-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2)-1 및/또는 (2)-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신축성 막이다.
Figure pat00005
(식 중, R1, R4는 탄소수 1∼40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티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2, R3, R5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6, R11, R12, R1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2R3)s-OSiR2R3R5기이다. R7, R9는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며, R7 및 R9의 탄소수의 합계가 1 또는 2이다.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상의 알킬기이고, R10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A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m, n은 1∼100 범위의 정수이고, p는 2∼10 범위의 정수이며, q, r,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신축성 막>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은, 일반식 (1)-1 및/또는 (1)-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06
(식 중, R1, R4는 탄소수 1∼40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티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2, R3, R5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m, n은 1∼100 범위의 정수이고, p는 2∼10 범위의 정수이다.)
R1, R4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2, R3, R5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식 (1)-1 및/또는 (1)-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은, 일반식 (3)-1 및/또는 (3)-2로 표시되는, 말단이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7
(식 중, R1∼R5, m, n, p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고, R14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t, u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t≤100, 1≤u≤3 범위의 정수이다.)
일반식 (1)-1 및/또는 (1)-2의 구조를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 (1)-1',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8
(식 중, R1∼R5, m, n, p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 포함되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은 일반식 (2)-1 및/또는 (2)-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09
(식 중, R2, R3, R5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6, R11, R12, R1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2R3)s-OSiR2R3R5기이다. R7, R9는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며, R7 및 R9의 탄소수의 합계가 1 또는 2이다.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상의 알킬기이고, R10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A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q, r,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또한, 일반식 (2)-1 및/또는 (2)-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은, 일반식 (4)-1 및/또는 (4)-2로 표시되는, 말단이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0
(식 중, R2, R3, R5∼R14, A, X, q, r, t, u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일반식 (2)-1로 표시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디올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1
(식 중, R2, R3, R5∼R10, A, q, r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일반식 (2)-1'로 표시되는 단쇄 실리콘이 펜던트된 디올 화합물은, 예컨대 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와 SiH기를 갖는 단쇄 실록산 화합물을 백금 촉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일반식 (2)-2로 표시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디올화 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4
(식 중, R11∼R13, X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일반식 (2)-2'로 표시되는 단쇄 실리콘이 펜던트된 디올 화합물은, 예컨대 디히드록시디알케닐화합물과 SiH기를 갖는 단쇄 실록산 화합물을 백금 촉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식 중 반복수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 포함되는 일반식 (1)-1, (1)-2, (2)-1, (2)-2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수지는, 일반식 (1)-1', (1)-2', (2)-1', (2)-2'에 표시되는 규소 함유기를 갖는 화합물을 원료로 하고, 이들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1', (1)-2', (2)-1', (2)-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식 중, l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 특히,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일반식 (1)-1', (1)-2', (2)-1', (2)-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일반식 (3)-1, (3)-2, (4)-1, (4)-2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킴에 의해서도, 일반식 (3)-1, (3)-2, (4)-1, (4)-2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일반식 (1)-1', (1)-2', (2)-1', (2)-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이것을 컨트롤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보관중에 대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실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보관에는 습도를 충분히 막는 등의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래서, 이들 사태를 막기 위해서,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치환기로 보호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는 가열에 의해서 블록기가 탈보호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로 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알코올, 페놀, 티오알코올, 이민, 케티민, 아민, 락탐, 피라졸, 옥심, β-디케톤 등으로 치환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들 수 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탈보호 온도를 저온화시키기 위해서, 촉매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 촉매로서는,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유기 주석, 비스무트염, 2-에틸헥산산아연이나 아세트산아연 등의 카르복실산아연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 특허공개 2012-152725호 공보에서는, 카르복실산으로서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아연을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해리 촉매로서 포함함으로써, 탈보호 반응의 저온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 (1)-1', (1)-2', (2)-1', (2)-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더하여,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쇄 길이 연장이나 분자간 가교가 이루어진다.
쇄 길이 연장을 행함으로써, 신축성이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양 말단이 히드록시기인 폴리에테르계의 쇄 길이 연장제를 도입함으로써 신축성이 향상된다. 양 말단이 히드록시기인 폴리에스테르계의 쇄 길이 연장제는 신축성과 강도의 양쪽을 향상시켜, 폴리카보네이트계 쇄 길이 연장제를 도입하면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식 중, 괄호가 부여된 반복 단위의 반복수는 임의의 수이다.)
또한,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아미노기가 반응하면, 요소 결합이 형성된다. 우레탄 결합과 요소 결합의 부분은 하드 세그멘트라고 불리며, 이들의 수소 결합에 의해서 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우레탄 결합뿐만 아니라, 이것에 요소 결합을 더함으로써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쇄 길이 연장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디올 화합물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소프트 세그멘트라고 불리고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신축성이 높은 것은 폴리에테르이고, 이어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의 순으로 신축성은 저하한다. 한편, 인장 강도의 순은 신축성의 순과 역순이다. 소프트 세그멘트의 종류나 반복 단위의 선택에 의해서 강도와 신축성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 형성에 이용되는 실리콘 우레탄 수지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치로서는 500,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800%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률이라면, 신축 배선의 피복막으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접촉하는 막으로서 이용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특히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이라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은 실리콘과 같은 정도의 우수한 발수성과,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는 표면을 갖는 신축성 막으로 된다.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식 (2)-1 및/또는 (2)-2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을, 가열 및/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표면 상에, 일반식(1)-1 및/또는 (1)-2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을, 가열 및/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일반식 (2)-1' 및 또는 (2)-2'로 표시되는 디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경우에 따라서는 쇄 길이 연장을 위한 디올 화합물, 아민 화합물, 촉매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제막(製膜)하고, 가열 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경화시켜 베이스가 되는 제1층의 신축성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상기 일반식 (1)-1' 및/또는 (1)-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경우에 따라서는 쇄 길이 연장을 위한 디올 화합물, 아민 화합물, 촉매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제막하고, 가열 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경화시켜 베이스가 되는 제1층의 신축성 막 위에 제2층의 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의 일례로서는, 제1층, 제2층 모두 예컨대 일반식 (2)-1', (2)-2', (1)-1',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보호 또는 미보호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쇄 길이 연장이나 가교를 위한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과, 경우에 따라서는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제1층은 기판 상에, 제2층은 제1층 위에 도포하여 가열 경화시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의 반응에 의해서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면서 고분자량화함으로써 폴리머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히드록시기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3개 이상인 화합물을 첨가하면 가교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신축성은 저하하지만, 막 강도는 높아진다. 따라서, 히드록시기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2개 혹은 3개인 화합물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경도, 신축성, 강도의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경화 후에 기판으로부터 막을 벗겨냄으로써, 독립된 신축성 막을 얻을 수 있다.
혼합물 중에 있어서의 히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의 비율로서는, 히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같은 몰수이거나 혹은 히드록시기 쪽이 많은, 즉 히드록시기의 몰수를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로 나눈 수치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 쪽이 적으면, 잉여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물과 반응하여 탄산 가스가 발생하는 일은 없어지기 때문에, 막 내에 발포에 의한 구멍이 생겨 버릴 우려가 없다. 발포 우레탄을 제작할 때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과잉으로 하지만,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서는, 고강도의 특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막 내에 발포에 의한 구멍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 있어서의 수지를, 상기한 것과 같이 히드록시기의 몰수가 이소시아네이트기보다 많은 상태로 형성하면, 폴리머 말단에서는, 일반식 (2')-1, (2')-2으로 표시되는 디올 화합물의 한쪽에만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Figure pat00027
(식 중, R2, R3, R5∼R13, A, X, q, r은 전술한 것과 같다.)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고분자체(프리폴리머)를 형성하고, 그 후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추가 혼합하여 가열 경화하는 프리폴리머법에 의해서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프리폴리머를 형성하는 경우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어느 한쪽을 과잉으로 하여 분자량을 높인다.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한 번에 막을 형성하는 원샷 쪽보다도 미반응의 잔류 이소시아네이트량을 적게 할 수 있고, 미가교 부분을 저감하여 고강도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경화시킬 때의 가열 온도는 실온에서부터 200℃의 범위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60℃의 범위이고, 시간은 5초부터 60분의 범위이다. 가열 경화시킬 때에, 박리막으로 막의 한쪽을 덮는 경우와 막의 양쪽을 덮는 경우 가 있고, 롤로 권취하면서 경화하는 경우는 한쪽, 매엽(枚葉) 경화의 경우는 양측 쪽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의 반응에 의해서 우레탄 폴리머를 합성하고, 이것에 일반식 (3)-1, (3)-2, (4)-1, (4)-2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형성하고, 이 폴리머를 제막하여 가열 및/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경화시킴으로써 신축성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반식 (1)-1', (1)-2', (2)-1', (2)-2'로 표시되는 디올 화합물에, 보호 또는 미보호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쇄 길이 연장이나 가교를 위한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중합하여, 폴리머 말단이 (메트)아크릴레이트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를 합성한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를 제막하고, 열 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이것을 경화하여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라디칼로 반응시켜 가교한다. 라디칼 가교하는 방법으로서는 라디칼발생제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라디칼발생제로서는, 열분해에 의해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열라디칼발생제, 광조사에 의해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광라디칼발생제가 있다.
열라디칼발생제로서는 아조계 라디칼발생제, 과산화물계 라디칼발생제를 들 수 있고, 아조계 라디칼발생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계 라디칼발생제로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데카노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호박산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로에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라디칼발생제로서는, 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벤질, 벤질, 벤조인, 벤조페논, 2-벤조일안식향산,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4-벤조일안식향산,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벤조일안식향산메틸, 2-(1,3-벤조디옥솔-5-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벤질-2-(디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부티로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4-디에틸티오크산텐-9-온,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1,4-디벤조일벤젠, 2-에틸안트라퀴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히드록시-4'-(2-히드록시에톡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이소니트로소프로피오페논, 2-페닐-2-(p-톨루엔술포닐옥시)아세토페논(BAPO), 캄파퀴논을 들 수 있다.
또한, 열 또는 광라디칼발생제의 첨가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50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메트)아크릴레이트나 티올을 갖는 가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라디칼 가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나, 규소 함유기나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용액의 점도를 저하시켜, 더 박막의 신축성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모노머가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고 있으면, 막의 경화시에 막 중에 고정화된다.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는,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베헤닐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2∼6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2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로서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이소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메타크릴프로필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프로폭시화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3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로서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5-6 작용의 아크릴레이트로서는, 디펜타에리스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디펜타에리스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디펜타에리스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를 메타크릴레이트로 변경한 모노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경우, 열경화와 광경화를 조합하여 경화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이스가 되는 신축성 막은 열경화로 형성해 두고, 그 위의 신축성 막은 광경화로 형성할 수도 있다. 광경화의 장점은, 가열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것과, 단시간에 경화가 가능한 것이다. 단점은, 빛이 닿지 않는 부분의 경화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열경화와 광경화를 조합함으로써, 각각의 장점을 살린 경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식 (4)-1, (4)-2로 표시되는 베이스 폴리머와 라디칼발생제를 혼합한 용액을 기판 상에 도포하고, 열 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이것을 경화시켜 제1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3)-1, (3)-2로 표시되는 베이스 폴리머와 라디칼발생제를 혼합한 용액을 도포하여 제2층을 도포하고, 열 또는 광조사에 의해서 이것을 경화시켜 신축성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층을, 일반식 (2)-1', (2)-2'로 표시되는 디올 화합물에, 보호 또는 미보호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쇄 길이 연장이나 가교를 위한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과, 경우에 따라서는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경화시켜 형성하고, 제2층을, 일반식 (3)-1, (3)-2로 표시되는 베이스 폴리머와 라디칼발생제를 혼합한 용액을 도포하여 열 또는 빛으로 경화시켜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제1층을, 일반식 (4)-1, (4)-2로 표시되는 베이스 폴리머와 라디칼발생제를 혼합한 용액을 도포하여 열 또는 빛으로 경화시켜 형성하고, 제2층을, 일반식 (1)-1',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보호 또는 미보호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쇄 길이 연장이나 가교를 위한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과, 경우에 따라서는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경화시켜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제1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조성물을 평판 기판 상이나 롤 상에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스핀 코트, 바 코트, 롤 코트, 플로우 코트, 딥 코트, 스프레이 코트, 닥터 코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포 막 두께가 1 ㎛∼2 mm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이 있는 부품의 밀봉에는, 롤 코트나 스프레이 코팅 등의 방법이나, 스크린 인쇄 등으로 필요한 부분에만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다양한 코팅이나 인쇄를 행하기 위해서 혼합 용액의 점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저점도로 하는 경우는 유기 용제를 혼합하고, 고점도로 할 때는 실리카 등의 충전제를 혼합한다.
유기 용제로서는, 대기압에서의 비점이 115∼200℃의 범위인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옥타논, 2-노나논,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2-헥사논, 3-헥사논, 디이소부틸케톤, 메틸시클로헥사논, 아세토페논, 메틸아세토페논,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부테닐,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페닐, 포름산프로필, 포름산부틸, 포름산이소부틸, 포름산아밀, 포름산이소아밀, 발레르산메틸, 펜텐산메틸, 크로톤산메틸, 크로톤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가열에 의해서 경화시키는 경우, 가열 경화는, 예컨대, 핫플레이트나 오븐 중 혹은 원적외선의 조사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가열 조건은 30∼150℃, 10초∼60분간이 바람직하고, 50∼120℃, 30초∼20분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베이크 환경은 대기 중이라도 불활성 가스 중이라도 진공 중이라도 상관없다.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광조사에 의해서 경화시키는 경우, 광조사에 의한 경화는 파장 200∼500 nm의 빛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엑시머 레이저, 메탈 할라이드 램프, L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빔의 조사라도 좋다. 조사량은 1 mJ/㎠∼100 J/㎠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일반식 (2)-1 및/또는 (2)-2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표면에, 일반식 (1)-1 및/또는 (1)-2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복합 신축성 막이지만,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은,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양면 또는 한면 어느 것을 덮고 있어도 상관없다.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막에 비해서 얇은 쪽이 고강도인 점에서 바람직하다.
박막의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유기 용제를 혼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용액 쪽에는 유기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은, 단독의 자립막으로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섬유 상이나 멤브레인막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도 7에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6) 상에 형성한 심전계(1)를 생체 전극 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성 막(6)을 기판(7) 상에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신축성 막(6) 상에 심전계(1)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심전계(1)의 신축하는 배선(3)과 센터 디바이스(4)를 신축성 막(6)으로 덮은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의 심전계(1)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심전계(1)는, 3개의 생체 전극(2)이 전기 신호를 통전하는 배선(3)에 의해서 연결되어, 센터 디바이스(4)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3)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금, 은, 백금, 티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이나 카본 등의 도전성 재료가 이용된다. 또한, 신축성을 내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쟈바라 형상의 배선으로 할 수도 있고, 신축성 필름 상에 전술한 도전성 재료의 가루나 와이어화한 도전성 재료를 접착하거나, 전술한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도전 잉크를 인쇄하거나, 도전성 재료와 섬유가 복합된 도전성 천을 이용하거나 하여 배선(3)을 형성하여도 좋다.
심전계(1)는 피부에 접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3, 도 4에서는, 생체 전극(2)이 피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생체 전극(2)의 주위에 점착부(5)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생체 전극(2)이 점착성을 갖는 것인 경우는, 주변의 점착부(5)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 심전계(1)를,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인 신축성 막(6) 상에 제작한다. 신축성 막(6)은, 표면의 끈적거림이 적기 때문에, 이 위에 스크린 인쇄 등으로 인쇄를 실시한 경우, 판 분리가 양호하다. 판 분리가 불량인 경우, 판이 떨어질 때에 잉크 분리가 일어나, 신축막 상에 잉크가 전사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나아가서는, 신축하는 배선(3)을 신축성 막(6)으로 덮을 수도 있다. 이 때의 신축성 막(6)은 복합형일 필요는 없고, 신축성 막 제1층(6-1), 신축성 막 제2층(6-2) 어느 하나의 층만의 막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도 4에서는 신축하는 배선(3)을 신축성 막 제2층(6-2)으로 덮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 2에서 형성한 신축성 막을 반전시켜, 신축성 막 제1층(6-1)의, 신축성 막 제2층(6-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도 신축성 막 제2층(6-2)을 형성한 신축성 막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신축성 막을 이용한 심전계의 단면도를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이라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은 높은 발수성과 낮은 점착성을 갖는 신축성 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에 배합한 실리콘 펜던트 디올 화합물 1∼5, 실리콘 디올 화합물 1, 실리콘 화합물 1,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5, 히드록시 화합물 1∼5를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28
(식 중 반복수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29
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에,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배합한 실리콘 펜던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1∼8, 실리콘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1∼3을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식 중의 반복수는 평균값을 나타낸다.)
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에 첨가제로서 배합한 광라디칼발생제 1∼3을 이하에 나타낸다.
광라디칼발생제 1: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광라디칼발생제 2: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광라디칼발생제 3: (±)-캄파퀴논
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에 배합한 유기 용제를 이하에 나타낸다.
유기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에 배합한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를 이하에 나타낸다.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실시예, 비교예]
표 1에 기재한 조성으로, 실리콘 펜던트 디올 화합물, 실리콘 디올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히드록시 화합물, 유기 용제를 혼합, 탈포하여, 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신축성 막 재료 1-1∼1-9)을 조제했다. 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히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의 비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Figure pat00034
표 2에 기재한 조성으로,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실리콘우레탄 화합물, 알킬기나 아릴기를 갖는 모노머, 광라디칼발생제 1∼3, 유기 용제를 혼합하여, 신축성 막 형성용 조성물(신축성 막 재료 2-1∼2-14)을 조제했다.
Figure pat00035
(신축성 막의 제작)
폴리에틸렌 기판 상에, 제1층 신축성 재료 1-1∼1-5를 바코트법으로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 하 130℃에서 20분간 베이크하여 기판 상에 신축성 막의 제1층을 제작했다. 제1층 신축성 재료 2-1∼2-8에서는, 폴리에틸렌 기판 상에 바코트법으로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빛을 조사하여 신축성 막의 제1층을 경화시켰다.
제1층 상에, 제2층 신축성 재료를 제1층보다도 박막 도포용의 바코트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제2층 신축성 막 재료 1-6, 1-7에서는 질소 분위기 하 130℃에서 20분간 베이크하여 경화시키고, 2-9∼2-11에서는 도포 후 110℃에서 10분간 베이크한 후,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빛을 조사하여 신축성 막의 제2층을 경화시키고, 2-12∼2-14에서는 질소 분위기 하 1,000 W의 크세논 램프로 500 mJ/㎠의 빛을 조사하여 신축성 막의 제2층을 경화시켜, 신축성 막을 형성했다.
비교예를 위해서, 제1층 신축성 재료와 제2층 신축성 재료를 각각 단독으로 도포하여 경화시켰다. 신축성 막 재료 1-8, 1-9, 2-12∼2-14는, 각각 1-6, 1-7, 2-9∼2-11의 용제 희석하지 않은 조성물이며, 단독 막의 신축성이나 강도의 측정을 위해서 이용했다. 도포 후, 신축성 막 재료 1-8, 1-9는 1-6, 1-7과 동일한 조건, 2-12∼2-14는 2-9∼2-11과 동일한 조건으로 경화시켰다.
(막 두께·접촉각·신축률·강도의 측정)
경화 후의 신축성 막(실시예 1∼20), 비교예의 제1층 신축성 막(비교예 11∼14), 제2층 신축성 막(비교예 1∼10)에 있어서의 막 두께 및 표면의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손가락으로 닿았을 때의 점착감을 구했다. 또한, 신축성 막 표면의 물의 접촉각을 측정한 후에, 신축성 막을 기판으로부터 벗기고, JIS K 6251에 준한 방법으로 신축률과 강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3,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표 3,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신축성 막에서는, 발수성, 강도, 신축성이 높으며, 또한 표면의 점착성이 낮은 신축성 막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14와 같이 1층밖에 없는 막에서는, 제1층 신축성 막 단독(비교예 11∼14)에서는, 발수성, 강도, 신축성이 높지만 표면의 점착성이 있어, 막끼리 달라붙어 버리는 특성이며, 제2층 신축성 막 단독(비교예 1∼10)에서는, 표면 점착성이 없지만 강도가 뒤떨어졌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신축성 막이라면, 우수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또한 막 표면의 발수성과 저점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이용되는 신축성 배선이 인쇄가능한 막으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심전계, 2: 생체 전극, 3: 배선, 4: 센터 디바이스, 5: 점착부, 6: 신축성 막, 6-1: 신축성 막 제1층, 6-2: 신축성 막 제2층, 7: 기판.

Claims (10)

  1. 신축성 막으로서,
    하기 일반식 (1)-1로 표시되는 구조 및 (1)-2로 표시되는 구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2)-1로 표시되는 구조 및 (2)-2로 표시되는 구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Figure pat00038

    (식 중, R1, R4는 탄소수 1∼40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티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2, R3, R5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6, R11, R12, R1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2R3)s-OSiR2R3R5기이다. R7, R9는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며, R7 및 R9의 탄소수의 합계가 1 또는 2이다.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상의 알킬기이고, R10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A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m, n은 1∼100 범위의 정수이고, p는 2∼10 범위의 정수이며, q, r,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3)-1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 및 (3)-2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Figure pat00039

    (식 중, R1∼R5, m, n, p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고, R14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t, u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t≤100, 1≤u≤3 범위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4)-1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 및 (4)-2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Figure pat00040

    (식 중, R2, R3, R5∼R13, q, r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R14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t, u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t≤100, 1≤u≤3 범위의 정수이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이, 하기 일반식 (4)-1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 및 (4)-2로 표시되는, 말단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구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Figure pat00041

    (식 중, R2, R3, R5∼R13, q, r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R14는 수소 원자, 메틸기이다. t, u는 1 분자 중의 단위수이며, 1≤t≤100, 1≤u≤3 범위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막이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800% 범위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막이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800% 범위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막이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800% 범위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막이 JIS K 6251에 규정되는 인장 시험에서 신축률이 20∼800% 범위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막이,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배선에 접촉하는 막으로서 이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
  10. 신축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일반식 (2)-1에 표시되는 구조 및 (2)-2에 표시되는 구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을, 가열 및 광조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의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실리콘 펜던트형 우레탄층의 표면 상에, 하기 일반식 (1)-1에 표시되는 구조 및 (1)-2에 표시되는 구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는 실리콘 주쇄형 우레탄층을, 가열 및 광조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의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
    Figure pat00042

    (식 중, R1, R4는 탄소수 1∼40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 티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2, R3, R5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R6, R11, R12, R13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6의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OSiR2R3)s-OSiR2R3R5기이다. R7, R9는 단결합,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며, R7 및 R9의 탄소수의 합계가 1 또는 2이다.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상의 알킬기이고, R10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A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고, X는 탄소수 3∼7의 직쇄상, 분기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테르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m, n은 1∼100 범위의 정수이고, p는 2∼10 범위의 정수이며, q, r, s는 0∼20 범위의 정수이다.)
KR1020190011452A 2018-01-31 2019-01-29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2160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4409 2018-01-31
JP2018014409 2018-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153A true KR20190093153A (ko) 2019-08-08
KR102160355B1 KR102160355B1 (ko) 2020-09-25

Family

ID=6739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452A KR102160355B1 (ko) 2018-01-31 2019-01-29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78317B2 (ko)
JP (1) JP7045767B2 (ko)
KR (1) KR102160355B1 (ko)
TW (1) TWI7069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0486B2 (ja) * 2018-08-02 2023-05-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7128161B2 (ja) * 2018-09-27 2022-08-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伸縮性膜の形成方法
JP7256729B2 (ja) 2018-12-26 2023-04-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配線膜の形成方法
JP7304260B2 (ja) * 2018-12-26 2023-07-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443A (en) * 1987-02-04 1989-06-13 Chisso Corporation Polysiloxane containing hydroxyl groups and a silicone-modified polyurethane using the same
JPH09316085A (ja) * 1996-05-23 1997-12-09 Nippon Unicar Co Ltd 反応性シロキサン化合物
JPH10101766A (ja) * 1996-10-02 1998-04-21 Shin Etsu Chem Co Ltd シリコーン変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18329A (ja) 1999-07-05 2001-01-23 Honda Motor Co Ltd 二輪車シート用ポリオレフィン系表皮材
JP2004033468A (ja) 2002-07-03 2004-02-05 Fukuda Denshi Co Ltd 生体電極
JP2007321014A (ja) * 2006-05-31 2007-12-13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帯電防止フィルムおよび帯電防止層形成用塗料
JP2017022236A (ja) * 2015-07-09 2017-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KR20170103673A (ko) * 2016-03-03 2017-09-13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생체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26406A (ko) * 2016-05-09 2017-11-17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생체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31248A (ko) * 2016-05-19 2017-11-2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배선 피복 기판의 제조 방법, 그리고 신축성 배선막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181B2 (ja) * 1987-05-22 1996-08-14 チッソ株式会社 シリコ−ン変性ポリウレ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20418A (ja) * 2004-05-07 2005-11-17 Shin Etsu Chem Co Ltd 紫外線硬化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CN103180402B (zh) * 2010-11-05 2015-09-23 3M创新有限公司 具有防滑性质的有机硅改性粘合剂
JP2012152725A (ja) 2011-01-28 2012-08-16 Tosoh Corp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解離触媒及びその用途
JP6823472B2 (ja) 2016-02-22 2021-02-03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伸縮性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919992B2 (ja) * 2017-01-30 2021-08-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伸縮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443A (en) * 1987-02-04 1989-06-13 Chisso Corporation Polysiloxane containing hydroxyl groups and a silicone-modified polyurethane using the same
JPH09316085A (ja) * 1996-05-23 1997-12-09 Nippon Unicar Co Ltd 反応性シロキサン化合物
JPH10101766A (ja) * 1996-10-02 1998-04-21 Shin Etsu Chem Co Ltd シリコーン変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18329A (ja) 1999-07-05 2001-01-23 Honda Motor Co Ltd 二輪車シート用ポリオレフィン系表皮材
JP2004033468A (ja) 2002-07-03 2004-02-05 Fukuda Denshi Co Ltd 生体電極
JP2007321014A (ja) * 2006-05-31 2007-12-13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帯電防止フィルムおよび帯電防止層形成用塗料
JP2017022236A (ja) * 2015-07-09 2017-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KR20170103673A (ko) * 2016-03-03 2017-09-13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생체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26406A (ko) * 2016-05-09 2017-11-17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생체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31248A (ko) * 2016-05-19 2017-11-2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배선 피복 기판의 제조 방법, 그리고 신축성 배선막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30899A (ja) 2019-08-08
US11078317B2 (en) 2021-08-03
TW201934620A (zh) 2019-09-01
KR102160355B1 (ko) 2020-09-25
JP7045767B2 (ja) 2022-04-01
US20190233645A1 (en) 2019-08-01
TWI706973B (zh) 202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263B1 (ko)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20190093153A (ko)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2126148B1 (ko) 신축성 막 재료 조성물,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CN111385968B (zh) 伸缩性配线膜及其形成方法
KR102290942B1 (ko) 신축성 막 및 신축성 막의 형성 방법
KR102405201B1 (ko)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2302104B1 (ko) 복합 신축성 막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2333619B1 (ko)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KR20190123240A (ko) 점착성 막, 점착성 막의 형성 방법, 및 우레탄 폴리머
KR20220124096A (ko) 실리콘 폴리우레탄, 신축성 막 및 그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