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333A -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멀티-웨지 단부 종단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멀티-웨지 단부 종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333A
KR20190091333A KR1020197019481A KR20197019481A KR20190091333A KR 20190091333 A KR20190091333 A KR 20190091333A KR 1020197019481 A KR1020197019481 A KR 1020197019481A KR 20197019481 A KR20197019481 A KR 20197019481A KR 20190091333 A KR20190091333 A KR 20190091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s
belt
wedge
elevator
op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랭크 듀드
피터 펠드휴즌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9009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용의 단부 종단 (4) 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외부 플레이트들 (14a, 14b); 외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유지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안내 요소들 (24a, 24b); 및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 (32) 로서, 안내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대향 웨지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벨트 (8) 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웨지들은 엘리베이터 벨트에 대한 체결력을 증가시키도록 서로를 향해 변형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멀티-웨지 단부 종단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부 종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멀티-웨지 단부 종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카,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웨이트,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상호연결하는 2 개 이상의 로프,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는 모터 장치, 및 빌딩, 카, 카운터웨이트 및/또는 모터 장치의 프레임과의 연결 지점에서의 로프의 각각의 단부를 위한 단부 종단을 포함한다. 로프는 전통적으로 압축 단부 종단에 의해 쉽고 확실하게 종단처리된 꼬아진 또는 연선 강선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현재, 업계는 작은 단면 코드 (cords) 와 고분자 재킷을 갖는 벨트 또는 플랫형 로프를 사용하는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업계에서 현재 사용되는 플렉시블 플랫 로프 또는 벨트의 종단 및 로드 (load) 전달을 최적화하는 플랫 로프 또는 벨트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단부 종단이 현재 필요하다.
단부 종단은, 단부 종단이 벨트 단부와 구조 요소 또는 이동 부품,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및/또는 카운터웨이트 사이에서 로드를 전달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부품이다. 단부 종단의 오작동은 엘리베이터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승객에게 심각한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단부 종단에서 벨트가 미끄러지거나 끊어지는 경우, 종단에 연결된 벨트가 느슨해져서 카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에 로드를 전달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벨트 단부 종단 사이의 로드 전달은 가능한한 원활해야 한다. 벨트가 단일 웨지 주위에 배치되는 웨지-타입 단부 종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웨지와 벨트는 함께 웨지 하우징에 유지된다. 그러나, 이 웨지-타입 단부 종단 장치를 사용하면, 각각의 작동 상황에서 원활하고 규정된 로드 전달을 달성하기가 종종 어렵다. 단일 웨지-타입 단부 종단 장치에 의한 로드 전달은 종종 가변적이며 예측할 수 없으므로, 원하는 로드 전달을 정확하게 달성하기가 어렵다.
전술한 견지에서, 카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원활한 로드 전달을 제공하는 단부 종단이 필요하다. 또한,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현재 사용되는 벨트 타입에 맞는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로드 전달 곡선을 제공하는 단부 종단이 필요하다. 또한, 체결된 벨트 길이에 걸쳐 조정할 수 있는 벨트 체결력을 제공함으로써 규정된 로드 전달 곡선을 제공하는 단부 종단이 필요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end termination) 은,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외부 플레이트들; 외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유지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안내 요소들; 및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 (wedges) 로서, 안내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대향 웨지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벨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웨지들은 엘리베이터 벨트에 대한 체결력을 증가시키도록 서로를 향해 변형된다.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공동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단부 종단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진 두 개의 대향 내부 측 에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내 요소들의 각각은 외부 플레이트들 중의 하나의 외부 플레이트의 경사진 내부 측 에지들 중의 하나의 내부 측 에지와 각각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경사진 연장 부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안내 요소들은 외부 플레이트들의 공동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안내 요소들의 이동에 의해 웨지들의 대향 단부들에 힘이 부여되어 웨지들이 서로를 향해 변형되어, 벨트 당김력에 기반하여 엘리베이터 벨트 상에서의 체결력의 분포가 조정되고, 단부 종단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벨트의 가역적인 미끄러짐이 허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웨지는 그 제 2 측상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그 제 1 측상에 가질 수도 있다. 제 1 웨지의 제 1 측이 제 2 웨지의 제 2 측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웨지들은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웨지는 상부 부재 및 상부 부재에 대향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이들 사이에 공기 갭을 한정할 수도 있다.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은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될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 벨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포될 수도 있다. 각각의 안내 요소는 각각의 웨지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한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양태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벨트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벨트 및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 종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부 종단은,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외부 플레이트들; 외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유지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안내 요소들; 및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로서, 안내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대향 웨지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벨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웨지들은 엘리베이터 벨트에 대한 체결력을 증가시키도록 서로를 향해 변형될 수도 있다.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공동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단부 종단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진 두 개의 대향 내부 측 에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내 요소들의 각각은 외부 플레이트들 중의 하나의 외부 플레이트의 경사진 내부 측 에지들 중의 하나의 내부 측 에지와 각각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경사진 연장 부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안내 요소들은 외부 플레이트들의 공동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안내 요소들의 이동에 의해 웨지들의 대향 단부들에 힘이 부여되어 웨지들이 서로를 향해 변형되어, 벨트 당김력에 기반하여 엘리베이터 벨트 상에서의 체결력의 분포가 조정되고, 단부 종단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벨트의 가역적인 미끄러짐이 허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웨지는 그 제 2 측상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그 제 1 측상에 가질 수도 있다. 제 1 웨지의 제 1 측이 제 2 웨지의 제 2 측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웨지들은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웨지는 상부 부재 및 상부 부재에 대향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이들 사이에 공기 갭을 한정할 수도 있다.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은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고 엘리베이터 벨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포될 수도 있다. 각각의 안내 요소는 각각의 웨지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한정할 수도 있다.
다음의 항목들에서 추가의 양태들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항목 1: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으로서,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외부 플레이트들;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유지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안내 요소들; 및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로서, 상기 안내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대향 웨지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벨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상기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대한 체결력을 증가시키도록 서로를 향해 변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2: 항목 1 에 있어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공동을 형성하고, 또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단부 종단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진 두 개의 대향 내부 측 에지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 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의 각각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 중의 하나의 외부 플레이트의 경사진 내부 측 에지들 중의 하나의 내부 측 에지와 각각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경사진 연장 부재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4: 항목 2 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상기 안내 요소들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의 공동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5: 항목 4 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웨지들의 대향 단부들에 힘이 부여되어 상기 웨지들이 서로를 향해 변형되어, 벨트 당김력에 기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 상에서의 체결력의 분포가 조정되고, 상기 단부 종단 내에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가역적인 미끄러짐이 허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는 그 제 2 측상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그 제 1 측상에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7: 항목 6 에 있어서, 제 1 웨지의 제 1 측이 제 2 웨지의 제 2 측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는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에 대향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는 이들 사이에 공기 갭을 한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상기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포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 요소는 각각의 웨지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한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항목 11: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벨트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 종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종단은,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외부 플레이트들;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유지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안내 요소들; 및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로서, 상기 안내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대향 웨지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벨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상기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대한 체결력을 증가시키도록 서로를 향해 변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12: 항목 11 에 있어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공동을 형성하고, 또한 두 개의 대향하는 경사진 내부 에지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13: 항목 12 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의 각각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 중의 하나의 외부 플레이트의 경사진 내부 에지들 중의 하나의 내부 에지와 각각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경사진 연장 부재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14: 항목 12 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상기 안내 요소들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의 공동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15: 항목 14 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웨지들의 대향 단부들에 힘이 부여되어 상기 웨지들이 서로를 향해 변형되어, 벨트 당김력에 기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 상에서의 체결력의 분포가 조정되고, 상기 단부 종단 내에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가역적인 미끄러짐이 허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16: 항목 1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는 그 제 2 측상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그 제 1 측상에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17: 항목 16 에 있어서, 제 1 웨지의 제 1 측이 제 2 웨지의 제 2 측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18: 항목 1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는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에 대향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는 이들 사이에 공기 갭을 한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19: 항목 11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상기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포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항목 20: 항목 11 내지 항목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 요소는 각각의 웨지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한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추가의 세부 사항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혀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부 종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된 단부 종단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단부 종단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단부 종단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단부 종단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단부 종단의 분해도이다.
도 7 은 도 2 의 단부 종단에 사용된 웨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외부 프레임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도 2 의 단부 종단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2 의 단부 종단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 은 벨트 상에 단부 종단에 의해 가해진 힘을 나타내는 도 2 의 단부 종단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2 의 단부 종단에 사용된 웨지 쌍에 대응하는 로드 전달 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a 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되지 않은 위치에서의 웨지 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2b 는 변형된 위치에서의 도 12a 의 웨지 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 바와 같은 공간 배향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 배향된 바와 같이 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참조된 실시형태와 관련된다. 그러나, 이하 기술되는 실시형태는 많은 다른 변형 및 구성을 가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거나 또는 여기에 설명된 특정 부품, 장치, 특징 및 동작 순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멀티-웨지 단부 종단에 관한 것이다. 단부 종단의 부품들의 특정한 바람직한 비제한적인 양태들이 도 1 내지 도 1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부 종단 (4) 을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이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은 엘리베이터 카 (6) 및 엘리베이터 카 (6) 를 상승 및/또는 하강시키는 복수의 벨트 (8) 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3)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카운터웨이트 및 엘리베이터 카 (6) 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4 개의 벨트 (8) 를 포함한다. 각각의 벨트 (8) 의 각각의 단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다른 부품 상에 유지된 개별 단부 종단 (4) 에 유지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다른 부품은 엘리베이터 카 (6), 엘리베이터 카 (6) 및/또는 카운터웨이트의 지지 빔 또는 구조물 (10),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일부, 또는 카운터웨이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은 엘리베이터 카 (6) 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로드 전달을 제어하기 위해 8 개의 개별 단부 종단 (4) 을 이용한다. 모터 장치 (12) 는 엘리베이터 카 (6) 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벨트 (8) 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0 을 참조하면, 단부 종단 (4) 이 도시되고 기술된다. 일 양태에서, 단부 종단 (4) 은 조정가능한 로드 전달 기능을 갖는 멀티-웨지 단부 종단 (4) 일 수도 있다. 단부 종단 (4) 의 동작 및 사용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단부 종단 (4) 은 단부 종단 (4) 의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고정구들 (16) 과 함께 유지되는 전방 외부 웨지 플레이트 (14a) 및 후방 외부 웨지 플레이트 (14b) (외부 플레이트들이라고도 함)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은 작업자가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을 분해하여 단부 종단 (4) 의 임의의 내부 부품들을 대체할 수 있도록 고정구들 (16) 에 의해 서로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구들 (16) 은 볼트, 스크류 또는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유형의 기계적 고정구일 수도 있다.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은 함께 용접되거나 일체형 구조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일 양태에서,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고 공동 (18a, 18b) 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공동 (18a, 18b) 의 내부 측 표면들 또는 에지들은 단부 종단 (4) 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서 약간 경사질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부 웨지 플레이트 (14a, 14b) 의 하부 단부는 로드 (rod) 홀더 (20) 에 연결될 수도 있다. 로드 홀더 (20) 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또 다른 부품으로부터 연장하는 로드 (2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다름 부품은 엘리베이터 카 (6) 의 지지 구조체 (10) 이다. 로드 홀더 (20) 는 단부 종단 (4) 의 개구를 통해 가변 길이를 갖는 느슨한 벨트 단부를 안내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구들 (16) 은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의 하부 단부를 통해 그리고 로드 홀더 (20) 를 통해 연장하여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을 로드 홀더 (20) 에 연결한다.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종단 (4) 은 또한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 개의 안내 요소들 (24a, 24b)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안내 요소 (24a, 24b) 는 베이스 부재 (26a, 26b) 및 적어도 2 개의 경사진 연장 부재들 (28a, 28b, 28c, 28d)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부 종단 (4) 이 조립될 때, 연장 부재들 (28a-28d) 이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에 의해 형성된 공동들 (18a, 18b) 내로 연장되도록 안내 요소들 (24a, 24b) 이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사이에 유지될 수도 있다. 이 배치에서, 연장 부재들 (28a-28d) 의 경사진 표면들은 공동들 (18a, 18b) 내의 대응하는 경사진 측 표면들과 접촉한다. 경사진 연장 부재들 (28a-28d) 은 안내 요소 (24a, 24b) 의 상부로부터 안내 요소 (24a, 24b) 의 하부까지 폭이 증가하는 경사진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경사진 표면은 단부 종단 (4) 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각도 β 로 연장할 수도 있다. 각도 β 는 0.1 도 내지 10 도의 범위일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안내 요소 (24a, 24b) 의 상부에서의 연장 부재들 (28a-28d) 의 폭은 각각의 안내 요소 (24a, 24b) 의 하부에서의 연장 부재 (28a-28d) 의 폭보다 작다. 각각의 안내 부재 (24a, 24b) 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부 종단 (4) 의 다른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 (30a, 30b) 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6) 와 벨트 (8) 사이에서 원활하고 일정한 로드 전달을 생성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적어도 2 개의 웨지들 (32) 이 단부 종단 (4)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적어도 2 개의 웨지들 (32) 의 일 그룹은 단부 종단 (4) 에서 벨트 (8) 의 일 측에 제공될 수도 있고, 적어도 2 개의 웨지들 (32) 의 다른 그룹은 단부 종단 (4) 에서 벨트 (8) 의 대향 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웨지 (32) 의 일부는 벨트 (8) 에 대해 체결력을 생성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작동 중에 벨트 (8) 에 대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각각의 웨지 (32) 의 일부는 안내 요소들 (24a, 24b) 에 의해 한정된 슬롯들 (30a, 30b) 내에 유지될 수도 있다. 단부 종단 (4) 의 조립 상태에서, 벨트 (8) 는 안내 요소들 (24a, 24b) 에 의해 형성된 슬롯들 (30a, 30b) 내에서 웨지들 (32) 사이에 유지된다. 일 양태에서, 7 개의 웨지들 (32) 이 벨트 (8) 의 일 측에 유지될 수도 있고, 7 개의 웨지들 (32) 이 단부 종단 (4) 내에서 벨트 (8) 의 대응하는 대향 측에 유지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웨지들 (32) 은 단부 종단 (4)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차곡차곡 적층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웨지들 (32) 은 하나의 웨지 (32) 의 하부 표면이 인접 웨지 (32) 의 상부 표면 상에 놓이도록 차곡차곡 적층된다. 단부 종단 (4) 의 최상부 위치에 있는 웨지들 (32) 은 각각의 슬롯 (30a, 30b) 의 상부 단부에서 노우즈에 대해 놓인다.
도 7 을 참조하면, 웨지 (32) 가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웨지들 (32) 은 각각의 웨지 (32) 의 적어도 일부의 굽힘을 허용하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웨지들 (32) 은 209,000 N/mm2 의 탄성 계수 및 0.3 의 포아송 비 (탄소 강) 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탄성 계수는 150,000 내지 250,000 N/mm2 의 범위일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웨지들 (32) 은 스프링강, 탄소강 또는 다른 복합 재료와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각각의 웨지 (32) 는 상부 표면 또는 부재 (34a), 하부 표면 또는 부재 (34b), 및 2 개의 측 표면 또는 단부 (34c, 34d) 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웨지 (32) 는 또한 공동 (36) 을 규정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상부 표면 (34a) 및 하부 표면 (34b) 은 웨지 (32) 의 중심으로부터 만곡되는 대체로 아치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부 표면 (34a) 및 하부 표면 (34b) 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도 있다. 웨지들 (32) 의 측 표면들 (34c, 34d) 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웨지 (32) 의 일 측 (34e) 은 웨지 (32) 의 대향 측 (34f) 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웨지 (32) 의 두께는 웨지 (32) 의 일 측으로부터 웨지 (32) 의 대향 측까지 웨지 각도 α 로 증가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웨지 각도 α 는 0.1 도 내지 15 도일 수도 있다. 종단되는 벨트 또는 로프의 타입, 웨지 (32) 의 재료 또는 형상, 엘리베이터 시스템 (2) 내에서의 부품들의 배치,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이동 높이에 따라, 웨지 (32) 에 대해 다른 다양한 웨지 각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각각의 웨지 (32) 의 테이퍼 방향은 벨트 (8) 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각각의 웨지 (32) 는 또한 웨지 (32) 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웨지 (32) 에 의해 형성된 공동 (36)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돌출부 (38a, 38b)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돌출부들 (38a, 38b) 은 웨지 (32) 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다. 그러나, 돌출부들 (38a, 38b) 은 서로 접촉하도록 서로를 향해 멀리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에, 2 개의 돌출부들 (38a, 38b) 사이에 공기 갭 (40) 이 형성된다. 공기 갭 (40) 을 한정하기 위해, 돌출부들 (38a, 38b) 은 공동 (36)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일 양태에서, 공기 갭 (40) 은 벨트 (8) 에 대한 인장력의 인가시에 웨지 (32) 아래로부터의 압력 힘에 기인한 로드로부터 웨지 (32) 가 압력하에 내측으로 굽혀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공기 갭 (40) 은 0.1 mm 내지 2 mm 의 범위일 수도 있다. 공기 갭 (40) 의 길이는 웨지 (32) 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거리를 변경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갭 (40) 이 더 큰 경우에, 웨지 (32) 는 공기 갭 (40) 의 여분의 길이로 인해 더 큰 정도로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대조적으로, 공기 갭 (40) 이 더 작을 때는, 웨지 (32) 의 내측으로의 굽힘은 감소된다. 웨지 (32) 내의 공기 갭 (40) 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벨트 (8) 의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웨지들 (32) 에 의해 벨트 (8) 에 가해지는 체결 압력의 양이 또한 조정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종단 (4) 이 완전히 조립되면, 웨지 (32) 의 넓은 측이 벨트 (8) 의 제 1 에지 상에 위치되도록 벨트 (8) 의 제 1 측상의 웨지들 (32) 의 그룹이 정렬될 수도 있고, 웨지 (32) 의 넓은 측이 벨트 (8) 의 대향하는 제 2 에지 상에 위치되도록 벨트 (8) 의 제 2 측상의 웨지들 (32) 의 그룹이 정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웨지들 (32) 의 각 그룹에서의 웨지들 (32) 의 넓은 부분은 대향 측들 및 벨트 (8) 의 에지들에 제공된다. 각각의 웨지 (32) 의 종방향 축선이 벨트 (8) 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웨지들 (32) 은 단부 종단 (4) 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단부 종단 (4) 의 동작 및 사용이 설명된다. 단부 종단 (4)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에 설치된 후에, 단부 종단 (4) 은 벨트 (8) 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의 다른 부품 사이에서 원활한 로드 전달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안내 부재들 (24a, 24b) 은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사이에 유지될 수도 있다. 웨지들 (32) 이 단부 종단 (4) 을 통해 연장되는 벨트 (8) 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웨지들 (32) 은 안내 부재들 (24a, 24b) 에 의해 형성된 슬롯들 (30a, 30b) 내에 유지될 수도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당김력 (F당김) 이 벨트 (8) 에 작용하여 벨트 (8) 가 단부 종단 (4) 내에서 웨지들 (32) 의 일부에 대해 약간 미끄러지게 된다. 벨트 당김력 (F당김) 이 감소하면, 역전 슬립이 발생하고, 벨트 (8) 는 단부 종단 (4) 내에서 웨지들 (32) 의 일부에 대해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하기 시작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당김력 (F당김) 의 인가시, 안내 요소들 (24a, 24b) 은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에 대해 이동하기 시작하여, 외부 웨지 노멀 힘 (F노멀) 이 안내 요소들 (24a, 24b) 에 가해진다. 안내 요소들 (24a, 24b) 의 경사진 연장 부재들 (28a-28d) 은 외부 웨지 플레이트들 (14a, 14b) 에 형성된 공동들 (18a, 18b) 의 경사진 내부 에지들을 따라 미끄러진다. 도 9 를 참조하면, 경사진 연장 부재들 (28a-28d) 이 공동들 (18a, 18b) 의 경사진 내부 에지들을 따라 미끄러짐에 따라, 웨지 활성화 힘 (F합계) 이 단부 종단 (4) 의 웨지들 (32) 에 가해진다. 웨지 활성화 힘 (F합계) 이 벨트 (8) 의 양측에서 웨지들 (32) 의 측들 (34c, 34d) 에 가해져서, 웨지들 (32) 이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변형되어 벨트 (8) 에 체결력이 가해진다. 일 양태에서, 웨지들 (32) 은 서로를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웨지들 (32) 상에서 연장 부재들 (28a-28d) 에 의해 생성된 내향 웨지 활성화 힘 (F합계) 은 단부 종단 (4) 에서 대향 웨지들의 각 쌍에 대해 웨지 활성화 힘 (F웨지 쌍 x) 를 생성한다. 그럼으로써 웨지 활성화 힘 (F웨지 쌍 x) 은 웨지들 (32) 상에 측 로드 (Fs) 를 생성하여 (도 7 에 도시됨) 벨트 체결력을 가한다. 도 1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당김력 (F당김) 및 제어된 미끄러짐의 영향 하에서, 웨지들 (32) 내의 공기 갭 (40) 은 더 작아진다. 측 로드 (Fs) 는 각각의 웨지 (32) 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대향 웨지들 (32) 에 의해 벨트 (8) 에 체결력이 생성된다.
도 11 을 참조하면, 단부 종단 (4) 을 위한 멀티-웨지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웨지 (32) 가 단부 종단 (4) 과 벨트 (8) 사이의 로드 전달 기능의 프로그래밍을 허용하는 상이한 양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단부 종단 (4) 의 웨지들 (32) 의 각각의 쌍은, 도 11 의 예 1 및 예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종단 (4) 과 벨트 (8) 사이에 원하는 로드 전달 곡선을 달성하도록 특정 치수로 설계될 수도 있다. 로드 전달 곡선을 프로그래밍하는 또 다른 방법은 웨지 (32) 에 대한 변형된 슬롯 표면이다. 예를 들어, 변형된 슬롯은 각각의 웨지에 대한 상이한 측 운동이 원하는 체결력 분포에 도달하도록 허용한다. 웨지 (32) 의 탄성은 전통적인 웨지 단부 종단보다 더 양호한 로드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에서의 충격 로드, 예컨대 엘리베이터 시스템 (2) 내에서의 카운터웨이트 점프후의 충격의 경우에, 제어된 가역적인 미끄러짐을 제공한다. 로드 전달 기능은 각각의 특정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에 대한 원하는 로드 전달 기능을 달성하도록 벨트 (8) 의 충격 표면에 대한 높이 프로파일로 프로그래밍되거나 설계될 수도 있다. 도 11 의 높이 프로파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쌍들은 원하는 로드 전달 기능을 달성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예 1 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점진적이며 변화하는 로드 전달은, 더 낮은 웨지 쌍 체결력 (F체결 n) 을 제공하도록 제 1 웨지 쌍을 설계하고 더 높은 웨지 쌍 체결력 (F체결 n) 을 제공하도록 제 6 웨지 쌍을 설계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예 2 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매끄럽고 더 선형적인 로드 전달은, 각각의 웨지 쌍 사이의 웨지 쌍 체결력 (F체결 n) 을 동일한 양으로 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웨지 (32) 에 대해 상이한 재료 및/또는 상이한 형상 및 구성을 사용하여, 복수의 상이한 로드 전달 기능들이 멀티-웨지 단부 종단 (4) 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웨지 쌍들을 사용할 때, v 개의 웨지 쌍들을 갖는 단부 종단 (4) 에 대한 전체 체결력은 F체결, 합계 = Σv n=1F체결,n 이다. 적어도 단부 종단 (4) 의 하부 위치에 있는 웨지 쌍은 미끄러짐을 허용하지 않고, 이는 단부 종단 (4) 에서의 전체 벨트 (8) 운동이 가역적이게 한다.
단부 종단 (4) 의 몇몇 양태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 의해 다른 양태들이 명백할 것이며 용이하게 만들어질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며, 청구범위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본 발명에 대한 모든 변경은 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end termination) 으로서,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외부 플레이트들;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유지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안내 요소들; 및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 (wedges) 로서, 상기 안내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대향 웨지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벨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상기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대한 체결력을 증가시키도록 서로를 향해 변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공동을 형성하고, 또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단부 종단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진 두 개의 대향 내부 측 에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의 각각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 중의 하나의 외부 플레이트의 경사진 내부 측 에지들 중의 하나의 내부 측 에지와 각각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경사진 연장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상기 안내 요소들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의 공동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웨지들의 대향 단부들에 힘이 부여되어 상기 웨지들이 서로를 향해 변형되어, 벨트 당김력에 기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 상에서의 체결력의 분포가 조정되고, 상기 단부 종단 내에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가역적인 미끄러짐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는 그 제 2 측상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그 제 1 측상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웨지의 제 1 측이 제 2 웨지의 제 2 측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는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에 대향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는 이들 사이에 공기 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상기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 요소는 각각의 웨지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단부 종단.
  11.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벨트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단부 종단
    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종단은,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외부 플레이트들;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유지되는 적어도 2 개의 대향 안내 요소들; 및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로서, 상기 안내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대향 웨지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벨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대향 웨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상기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대한 체결력을 증가시키도록 서로를 향해 변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는 공동을 형성하고, 또한 두 개의 대향하는 경사진 내부 에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의 각각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 중의 하나의 외부 플레이트의 경사진 내부 에지들 중의 하나의 내부 에지와 각각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경사진 연장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에 벨트 당김력을 인가하는 때에, 상기 안내 요소들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들의 공동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웨지들의 대향 단부들에 힘이 부여되어 상기 웨지들이 서로를 향해 변형되어, 벨트 당김력에 기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 상에서의 체결력의 분포가 조정되고, 상기 단부 종단 내에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가역적인 미끄러짐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는 그 제 2 측상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그 제 1 측상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웨지의 제 1 측이 제 2 웨지의 제 2 측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웨지는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에 대향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는 이들 사이에 공기 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의 복수의 웨지들 및 상기 제 2 의 복수의 웨지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의 대향 측들에 위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벨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 요소는 각각의 웨지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97019481A 2016-12-12 2017-12-07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멀티-웨지 단부 종단 KR20190091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76,140 2016-12-12
US15/376,140 US10183841B2 (en) 2016-12-12 2016-12-12 Multi-wedge end termination for an elevator system
PCT/EP2017/081806 WO2018108689A1 (en) 2016-12-12 2017-12-07 Multi-wedge end termination for an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333A true KR20190091333A (ko) 2019-08-05

Family

ID=6058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481A KR20190091333A (ko) 2016-12-12 2017-12-07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멀티-웨지 단부 종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3841B2 (ko)
EP (1) EP3551566B1 (ko)
KR (1) KR20190091333A (ko)
CN (1) CN110072794A (ko)
WO (1) WO2018108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7384B (zh) * 2016-12-14 2021-07-06 奥的斯电梯公司 具有约束的电梯系统悬挂构件端接
DE112018007842T5 (de) * 2018-07-20 2021-04-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eil-Abschlussstruktur
KR20210053320A (ko) * 2018-09-04 2021-05-11 티케이 엘리베이터 이노베이션 앤드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단부 단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14A (ja) * 1994-07-05 1996-01-2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制御ケーブル支持具
US5539961A (en) * 1994-10-18 1996-07-30 Fargo Mfg. Company Inc. Spring-loaded wedge dead end
US6256841B1 (en) 1998-12-31 2001-07-10 Otis Elevator Company Wedge clamp type termination for elevator tension member
US6820726B1 (en) * 1998-12-22 2004-11-23 Otis Elevator Company Traction enhanced controlled pressure flexible flat tension member termination device
US6484368B1 (en) 2000-01-11 2002-11-26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flat tension member termination device
US7875056B2 (en) * 2005-07-22 2011-01-25 Anpa Medical, Inc. Wedge operated retainer device and methods
GB0525941D0 (en) * 2005-12-21 2006-02-01 Muro Testing And Certification Clamp
WO2008020842A1 (en) * 2006-08-16 2008-02-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elt installation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a belt
ES2445181T3 (es) * 2006-08-29 2014-02-28 Otis Elevator Company Conjunto terminal de soporte de carga para elevador
JP2009051650A (ja) * 2007-08-29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主索端末装置
US8001660B2 (en) * 2007-10-31 2011-08-23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able gripping device
KR20090066048A (ko) 2007-12-18 2009-06-23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케이블 정착 유닛
WO2010000330A1 (de) 2008-07-04 2010-01-07 Inventio Ag Tragmittelendverbindung mit einem formbaren körper
US8375527B1 (en) * 2009-08-07 2013-02-19 The Crosby Group, Inc. Actuated wedge socket assembly
EP2354073A1 (de) 2010-02-10 2011-08-10 Inventio AG Tragmittelbefestigungseinrichtung einer Aufzugsanlage
FI124543B (en) * 2012-12-30 2014-10-15 Kone Corp Rope clamp assembly and elevator
EP2851325B1 (en) * 2013-09-24 2016-09-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P2860142B1 (en) * 2013-10-10 2016-09-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P2878563B1 (en) * 2013-11-29 2017-03-22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EP3028979A1 (en) * 2014-12-01 2016-06-08 KONE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tact arrangement and arrangement
ES2707982T3 (es) 2014-12-19 2019-04-08 Otis Elevator Co Terminación de correa para ascensor
EP3040301B1 (en) * 2014-12-30 2017-07-05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 hoisting apparatus
EP3103754A1 (en) * 2015-06-08 2016-12-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EP3127850A1 (en) * 2015-08-07 2017-02-08 Kone Corporation A method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72794A (zh) 2019-07-30
EP3551566A1 (en) 2019-10-16
US20180162696A1 (en) 2018-06-14
US10183841B2 (en) 2019-01-22
WO2018108689A1 (en) 2018-06-21
EP3551566B1 (en)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1333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멀티-웨지 단부 종단
EP3129676B1 (en) Improved gripping device
EP3127850A1 (en) A method a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EP2984245B1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US5297873A (en) Stopper assembly for use in a linear motion guide unit
CN1392846A (zh) 座位纵向调整装置
DE102008063920A1 (de) Befestigungsstruktur einer Klemme
CN112424104A (zh) 电梯绳索末端结构体
CN106882683B (zh) 绳索吊装工具和绳索吊装装置
CN104843558A (zh) 电梯
DE102016205068A1 (de) Gurtumlenkeinrichtung
DE112016001652T5 (de) Bewegungsführungsvorrichtung
US20100050397A1 (en) Connecting means for two crossing cable strands of cable play systems
US20050070149A1 (en) Damping arrangement with a cable loop arrangement serving as a damping member
US20160115979A1 (en) Fixture for a vehicle
DE112016001405T5 (de) Aufzugführungsschienen-haltevorrichtung
DE69933107T2 (de) Bandkabel-verbindungsanordnung
KR102534471B1 (ko)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DE112021006544T5 (de) Hängebeschlag
WO2017178158A1 (de) Lagerprofil und schienensystem
US20160114740A1 (en) Fixture for a vehicle
KR102667767B1 (ko) 구조용 케이블 시스템
JP2017137154A (ja) エレベーター
CN217102602U (zh) 电梯的绳索吊装装置
EP1188693A2 (de) Kettentragelement für ein Transfer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