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696A -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696A
KR20190089696A KR1020180071735A KR20180071735A KR20190089696A KR 20190089696 A KR20190089696 A KR 20190089696A KR 1020180071735 A KR1020180071735 A KR 1020180071735A KR 20180071735 A KR20180071735 A KR 20180071735A KR 20190089696 A KR20190089696 A KR 20190089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extract
present
eye
isolated therefr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미
김대기
송혜선
박민
강사행
이다슬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9/00078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43197A1/ko
Priority to KR1020190007086A priority patent/KR1022013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빛승마(Cimicifuga dahurica)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눈빛승마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 효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이나 피부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를 위한 화장료, 약학, 피부 외용제, 의약외품 및 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Cimicifuga dahurica extract or an active ingredient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빛승마(Cimicifuga dahurica)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오염은 일반 생활의 장애를 초래하는데, 특히 인체 보호막으로서 피부질환이 증가할 뿐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인식 변화로 인해 피부 관련 미용과 질환 완화 치료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공해의 심화와 함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등으로 하얀 피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고, 투명 화장으로 보다 맑고 깨끗한 피부를 추구함에 따라 피부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현대 가치관의 다양화와 개성화가 두드러지면서 상기와 같은 관심의 증가는 미백, 보습, 세포 재생, 주름개선 등의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제품의 안전성을 지향하는 화장품 업계는 천연물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신체의 가장 바깥 부분에 위치하는 표피는 기저층, 유극층, 각질층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 종류 중 멜라닌 세포(melanocyte)는 모발색과 피부색을 결정하는 페놀류의 생체고분자 물질로 검은 단백질의 복합체인 멜라닌(melanin)을 합성하고 분비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막아줄 뿐 아니라 독성 약물의 흡수 등 여러 중요한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나 멜라닌의 과잉 생산은 기미, 주근깨와 같은 피부 질환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피부암의 유발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색은 멜라닌의 함량과 분포 등에 따라 결정되며,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된 후 세포 외부로 방출되는 멜라노좀(melanosome)의 수와 분포에 관련이 있다. 멜라닌은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이라는 피부 세포의 소기관에서 만들어져 주위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멜라닌은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신을 산화시키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산화 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진다. 피부의 과색소 침착은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 질환, 자외선 조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주된 요인은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에 의한 것이다.
미적 기능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활성과 발현을 조절함으로서 미백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레티놀(retinole), 알부틴(arbutin) 등이 있다. 그러나 강력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활성을 보이는 소재는 대부분 색소세포의 변성 또는 치사를 일으키고, 세포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눈빛승마(Cimicifuga dahurica)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끼멸가리라고도 불리며, 눈빛승마와 그 동속식물의 뿌리줄기는 약용으로 사용된다. 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이 있다. 뿌리줄기는 굵은 마디 모양으로 고르지 않으며 길이 6~8cm, 지름 10~25cm이다. 바깥면은 갈색 혹은 흑색으로 뿌리줄기의 위쪽에 몇 개의 큰 줄기자국이 있고, 많은 뿌리의 잔기가 붙어 있다. 눈빛승마의 생리활성 효과에 대해서는 눈빛승마 추출물이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고, 눈빛승마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비스나진이 혈압을 강화시키고 칼슘의 유입을 억제함으로써 혈관 평활근 수축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눈빛승마의 다양한 약리 효과에 대해 알려져 있으나, 눈빛승마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이 미백 활성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소재인 눈빛승마를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눈빛승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의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색소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색소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눈빛승마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 효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이나 피부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를 위한 화장료, 약학, 피부 외용제, 의약외품 및 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눈빛승마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눈빛승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눈빛승마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눈빛승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의 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눈빛승마 추출물 처리 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눈빛승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처리 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눈빛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눈빛승마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세척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건조방법으로는 양건, 음건, 열풍건조, 자연 건조하는 방법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눈빛승마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추출 또는 분획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눈빛승마의 뿌리로부터 추출 또는 분획되는 것이다.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분리 및 분획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분리 및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디데하이드로시미제놀(didehydrocimigenol)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7,8-디데하이드로시미제놀(7,8-Didehydrocimigenol, C30H46O5 Molecular weight = 486.33)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5-안하이드로-7,8-디데하이드로시미제놀(25-Anhydro-7,8-didehydrocimigeno, C30H44O4 , Molecular weight = 468. 32396)인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눈빛승마로부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수득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로는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주정)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주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온도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 또는 환류냉각추출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눈빛승마 추출물을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한 후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어진 것이다.
상기 눈빛승마 분획물을 분획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특히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지는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으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물, 분획물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티로시나아제 효소 실험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시킨다. 또한 멜라닌 축적이 유도된 세포 모델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미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색소침착 질환”은 멜라닌 과다 생성으로 인한 피부 질환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기미, 주근깨, 피부암, 잡티, 흑색종 및 반점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구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부위에 국부적으로 사용되는 피부외용제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보존제, 의약 침투를 보조하는 용매, 연고 및 크림의 경우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탄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과 같은 통상적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나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유효성분, 즉 눈빛승마 추출물이나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구강, 심장내, 골수내, 경막내, 경피, 장관, 피하, 설하 또는 국소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 내지 10,000㎎/㎏/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일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건강기능식품, 식품 첨가제 또는 식이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이 식품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미백 작용이 미미할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의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눈빛승마 추출물의 제조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 눈빛승마(Cimicifuga dahurica, CD) 뿌리 50g을 환류추출장치를 이용하여 50%(v/v) 에탄올로 50~100℃에서 2회 반복 추출하여 눈빛승마 추출물 13.81g(수율 27.6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눈빛승마 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눈빛승마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1L에 현탁시킨 후 핵산을 1L씩 2회 분획하여 핵산 분획물을 얻었다. 이어서 물 분획물에 동량의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였고, 나머지를 물 분획물로 하였다. 각 분획물로부터 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해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Kieselgel 60, 70-230, 및 230-400 mesh, Merck, Darmstadt, Germany)와 YMC RP-18 resins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눈빛승마 디클로로메탄 분획물로부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을 얻었으며, 분획으로부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35E-CH-4, 35E-CH-6)을 동정하였다.
[화합물 1] 7,8-Didehydrocimigenol (C30H46O5 Molecular weight = 486.33)
Figure pat00003
[화합물 2] 25-Anhydro-7,8-didehydrocimigenol (C30H44O4 Molecular weight = 468. 32396)
Figure pat00004
실시예 3.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3-1.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활성성분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활성성분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서 추출 또는 분리한 눈빛승마 활성성분을 이용하여 효소실험인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눈빛승마 추출물을 각각 8, 40, 200 μl/mL 의 농도로 5% DMSO에 녹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한 눈빛승마 활성성분을 각각 0.4, 2, 10 μM 의 농도로 5% DMSO에 녹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무처리군과 10mM 알부틴을 처리하여 비교하였다. 버섯에서 추출한 티로시나아제 효소는 250U/ml의 농도로, 기질인 L-DOPA는 5mM의 농도로 50mM 인산염 버퍼에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티로시나아제 효소 20μl,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100μl, 인산염 버퍼 40μl 및 L-DOPA 40μl를 넣고 37℃에서 10분 동안 배양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눈빛승마 추출물과 유효성분인 눈빛승마 활성성분은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실시예 4. 세포 생존력 분석
4-1. B16F10 세포 배양
마우스 멜라닌 세포주는 미국세포주은행에서 구매하였으며, 10% 소 태아 혈청 및 1% 페니실린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2회 이상의 계대배양을 거쳐 세포가 안정화되었을 때 실험에 사용하였다.
4-2. 눈빛승마 활성성분의 세포 생존력 분석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서 수득한 추출물 또는 활성성분의 처리에 의한 세포 생존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배양된 B16F10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DMEM 배지를 사용하여 5×104cell/ml의 농도로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기에 배양한 후, 배양배지를 바꿔준 후 독성이 없는 눈빛승마의 적정 농도를 찾기 위해 눈빛승마 추출물을 각각 8, 40, 200 μl/mL 의 농도와 눈빛승마 활성성분을 각각 0.4, 2,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후 MTT 완충액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비교하였다. 이 실험 과정은 기준 시료 및 샘플을 3세트로 실험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 (%)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100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눈빛승마 추출물과 눈빛승마 활성성분은 고농도, 즉 눈빛승마 추출물 200 μl/mL, 눈빛승마 활성성분 10 uM의 농도에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5-1. 눈빛승마 활성성분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서 수득한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1에서 배양된 B16F10 세포내 멜라닌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B16F10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1×105cell/well의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눈빛승마 추출물을 각각 8, 40, 200 μl/mL의 농도와 눈빛승마 활성성분을 각각 0.4, 2, 10 uM의 농도로 α-MSH 100 nM와 동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α-MSH를 처하지 않은 군을 정상군으로, 대조군으로는 α-MSH만을 처리한 군과 α-MSH+10mM 알부틴을 처리한 군을 비교하였다. 이후, 세포를 떼어서 4℃, 1,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만 모았다. 세포에 10% DMSO가 포함된 1M NaOH 300를 넣고 80℃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96-웰 플레이트에 상기 배양물을 200μl씩 넣고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및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눈빛승마 추출물과 유효성분인 눈빛승마 활성성분은 B16F10 세포에서 α-MSH로부터 유도된 멜라닌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눈빛승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눈빛승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이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바, 본 발명의 눈빛승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및 피부색소침착 질환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제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의 제조
1-1. 유연화장수 제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0.1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한다.
1-2. 밀크로션 제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0.1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밀크로션을 제조한다.
1-3. 영양크림 제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한다.
1-4. 마사지크림 제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유동파라핀 24.0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1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중량%, 폴리솔베이트 60 2.4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사지크림을 제조한다.
1-5. 세정용 바디클렌저 제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1g, 음이온계면활성제 18g, 비이온계면활성제 5g, 글리세린 7g, 소듐클로라이드 3g, 천연올리브액상비누 1.5g, 향료 1g 및 물 100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세정용 바디클렌저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약학 제제의 제조
2-1. 산제 제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20㎎, 유당 100㎎ 및 탈트 10㎎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2-2. 정제 제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1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2-3. 캡슐제 제조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10㎎, 결정성 셀룰로오스 3㎎, 락토오스 14.8㎎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3. 주사제 제조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2mL)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10㎎, 만니톨 180㎎,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및 Na2HPO4 · 2H2O 26㎎으로 제조하였다.
2-4. 액제 제조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20㎎, 이성화당 10g 및 만니톨 5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더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식품 제제의 제조
3-1. 건강식품 제조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눈빛승마 활성성분 1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g,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g, 비타민 C 10㎎, 비오틴 10g,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및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3-2. 건강음료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눈빛승마 추출물과 눈빛승마 활성성분 100㎎, 비타민 C 15g, 비타민 E(분말) 100g, 젖산철 19.75g, 산화아연 3.5g, 니코틴산아미드 3.5g, 비타민 A 0.2g, 비타민 B1 0.25g, 비타민 B2 0.3g 및 정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눈빛승마(Cimicifuga dahurica)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색소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071735A 2018-01-22 2018-06-22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90089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789 WO2019143197A1 (ko) 2018-01-22 2019-01-18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90007086A KR102201305B1 (ko) 2018-01-22 2019-01-18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7708 2018-01-22
KR1020180007708 2018-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96A true KR20190089696A (ko) 2019-07-31

Family

ID=674737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735A KR20190089696A (ko) 2018-01-22 2018-06-22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190007086A KR102201305B1 (ko) 2018-01-22 2019-01-18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086A KR102201305B1 (ko) 2018-01-22 2019-01-18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896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743B1 (ko) 2021-10-07 2022-09-06 주식회사 아이디플라코스메틱 감잎, 황금, 눈빛승마 및 회화나무꽃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탄력개선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0304B2 (en) * 2003-04-16 2006-06-13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kin whi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black cohosh extract
CN101057854B (zh) * 2006-05-31 2010-05-12 南京大学 升麻环菠萝蜜烷型三萜类化合物在抗骨质疏松及更年期综合症的用途
KR20090050856A (ko) * 2007-11-16 2009-05-20 학교법인 동의학원 승마 추출물의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와 이의제조방법
KR20090084309A (ko) * 2008-01-31 2009-08-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꽈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KR20110002198A (ko) * 2009-07-01 2011-01-07 학교법인 동의학원 미백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승마 추출물 및 그의 추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305B1 (ko) 2021-01-08
KR20190089748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852B1 (ko)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1201012A (zh) 包含积雪草不定根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皮肤美白及皱纹改善的化妆品组合物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39784B1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1289813B1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03504B1 (ko) 비단나무 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04345959A (ja) メラニン産生促進剤及びメラニン産生促進用組成物
KR102201305B1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040756A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83012B1 (ko)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US20220370317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carvone or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076932B1 (ko) 옥타데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17198B1 (ko)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89209B1 (ko) 구아이아콜, 피톨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4949B1 (ko) 흑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35188B1 (ko) 병풍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27374B1 (ko)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8118B1 (ko) 금강송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06459B1 (ko) 잣잎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68186B1 (ko) 벌노랑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