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418A -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 - Google Patents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418A
KR20190089418A KR1020180007875A KR20180007875A KR20190089418A KR 20190089418 A KR20190089418 A KR 20190089418A KR 1020180007875 A KR1020180007875 A KR 1020180007875A KR 20180007875 A KR20180007875 A KR 20180007875A KR 20190089418 A KR20190089418 A KR 2019008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electrode
adhesive
lamin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843B1 (ko
Inventor
김도영
김운조
박주용
김지헌
양재춘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0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843B1/ko
Priority to EP19741480.8A priority patent/EP3667790A4/en
Priority to JP2020513540A priority patent/JP6989180B2/ja
Priority to CN201980004461.7A priority patent/CN111095641B/zh
Priority to PCT/KR2019/000700 priority patent/WO2019143148A1/ko
Priority to US16/644,667 priority patent/US11424467B2/en
Publication of KR2019008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4Temporary supports, e.g. de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M8/0284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6Processes for forming se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 중 적층된 중간체인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LAMINATE}
본 명세서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 중 적층된 중간체인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대체에너지의 하나로서 연료전지, 금속 이차 전지, 플로우 배터리 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에너지의 하나로서 연료전지는 고효율이고, NOx 및 SOx 등의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며 사용되는 연료가 풍부하여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막 전극 접합체(MEA)인데, 이는 전해질막(M)과 이 전해질막(M)의 양면에 형성되는 애노드(A) 및 캐소드(C)로 구성된다.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애노드(A)에서는 수소 또는 메탄올, 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등의 연료(F)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 수소 이온(H+) 및 전자(e-)가 발생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M)을 통해 캐소드(C)으로 이동한다. 캐소드(C)에서는 전해질막(M)을 통해 전달된 수소 이온과, 산소와 같은 산화제(O) 및 전자가 반응하여 물(W)이 생성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외부회로에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15-0060599 호 (2015.06.03 공개)
본 명세서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 중 적층된 중간체인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기재 상에 전극 촉매층을 형성하여 전극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의 일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고, 타면에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점착력이 작은 제2 점착층을 형성하여 엣지씰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엣지씰 필름의 제1 점착층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전극 필름의 전극 촉매층이 형성된 면과 마주하도록 부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전해질막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점착층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전해질막과 마주하도록 상기 전해질막의 적어도 일면 상에 상기 적층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50℃ 이상의 온도로 열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와 제1 점착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전극 촉매층;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 상기 기재와 보호 필름 사이에 구비된 50℃ 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유지 또는 저하되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보호 필름 상에 구비된 50℃ 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점착층의 접착력보다 작은 것인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엣지씰 필름과 전극 필름이 적층된 적층체를 먼저 제조함으로써, 이를 이용해 1회의 열압착 공정만으로 막 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여 공정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료전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전극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엣지씰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막 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막 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막 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본 명세서는 기재 상에 전극 촉매층을 형성하여 전극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의 일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고, 타면에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점착력이 작은 제2 점착층을 형성하여 엣지씰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엣지씰 필름의 제1 점착층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전극 필름의 전극 촉매층이 형성된 면과 마주하도록 부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전해질막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점착층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전해질막과 마주하도록 상기 전해질막의 적어도 일면 상에 상기 적층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50℃ 이상의 온도로 열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와 제1 점착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6에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었다.
[전극 필름 제조]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기재 상에 전극 촉매층을 형성하여 전극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에 기재 상에 전극 촉매층이 형성된 전극 필름을 나타내었다.
상기 기재의 재질은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될 전극 촉매층을 지지할 수 있고 전해질막으로 전사 시 이형성이 좋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기재를 채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전극 촉매층은 전극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촉매층의 형성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프레이 코팅, 테이프 캐스팅, 스크린 프린팅, 블레이드 코팅 콤마 코팅 또는 다이 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성물은 전극 촉매층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전극 조성물은 촉매, 폴리머 이오노머(polymer ionomer)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촉매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촉매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전이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입자는 솔리드 입자, 중공 금속 입자, 보울형 입자, 코어-쉘 입자 등일 수 있다.
상기 촉매들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계 담체에 담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담체로는 탄소계 물질로는 흑연(그라파이트),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덴카 블랙, 캐천 블랙, 활성 카본, 중다공성 카본,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탄소나노혼, 탄소나노링, 탄소나노와이어, 플러렌(C60) 및 수퍼P블 랙(Super P blac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한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이오노머로는 나피온 이오노머 또는 술포네이티드 폴리트리플루오로스티렌과 같은 술포네이티드 폴리머가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용매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는 물, 부탄올,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틸 아세테이트, 글리세롤 및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엣지씰 필름 제조]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의 일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고, 타면에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점착력이 작은 제2 점착층을 형성하여 엣지씰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란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개구부 또는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의 90% 내지 110%의 크기를 갖는 개구부를 의미한다.
상기 엣지씰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유지 또는 저하되는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필름의 타면에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하는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엣지씰 필름의 보호필름은 PET, PE, PP, PEN 및 PV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점착층의 제조]
상기 제1 점착층은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의 일면에 일부 또는 전부 구비되고, 50℃ 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층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전극 필름의 기재와 접촉하여 엣지씰 필름이 상기 전극 필름에 고정되도록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층의 접착력은 상온에서 30gf/in 이상 500gf/in 이하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력은 Peel test로 측정된 값이다.
상기 제1 점착층은 상온에서 접착력을 가지며 온도가 상승할수록 점점 접착력이 약해지고 50℃ 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100gf/in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 접착력은 낮을수록 이형성(release performance)이 좋으므로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0gf/in 이상일 수 있다.
[제2 점착층의 제조]
상기 제2 점착층은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의 타면에 구비되고,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층은 후술할 전해질막과 접촉하여 적층체가 전해질막에 고정되도록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층의 접착력은 상온에서 20gf/in 이하 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점착층의 접착력은 상온에서 0gf/in 이상 10gf/in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층은 상온에서 거의 접착력을 가지지 않으며 온도가 상승할수록 접착력이 강해지고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500gf/in 이상으로 상승 할 수 있다. 접착력이 높을수록 접착성이 좋으므로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3000gf/i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점착층의 접착력은 50℃ 이상의 온도에서 500gf/in 이상이며 3000gf/in 이하이며, 구체적으로 500gf/in 이상 2000gf/in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제 2점착층은 상온에서의 접착력과 50℃이상의 온도에서의 접착력의 차이는 500gf/in 이상이며, 그 차이가 클수록 접착성이 좋으므로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3000gf/in 이하일 수 있다. 제 2점착층의 성분은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되기 시작하며, 일정 구간의 온도에서 접착력의 상승 및 유지가 진행되며, 구체적으로 50℃ 이상, 200℃ 이하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유지된다. 도 5에 엣지씰 필름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적층체 제조]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점착층에 의해, 상기 전극 필름에 상기 엣지씰 필름을 부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열을 가하지 않고, 제1 점착층의 접착력으로 전극 필름에 상기 엣지씰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10kgf/㎠ 내지 50kgf/㎠ 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점착층에 의해 상기 전극 필름과 상기 엣지씰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보호 필름의 개구부가 상기 전극 필름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전극 활성면적이 보호필름에 의해 덮혀지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다.
[전해질막 준비]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전해질막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을 준비하는 단계는 외부에서 제조된 전해질막을 입수하거나, 직접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은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며, 다공성 지지체 기공 내에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함침시켜 제조된 강화막이거나, 다공성 지지체 없이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경화시켜 제조된 순수막일 수 있다.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이온 교환을 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탄화수소계 고분자, 부분불소계 고분자 또는 불소계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고분자는 플루오린기가 없는 탄화수소계 술폰화(sulfonated) 고분자일 수 있으며, 반대로 불소계 고분자는 플루오린기로 포화된 술폰화(sulfonated) 고분자일 수 있고, 상기 부분불소계 고분자는 플루오린기로 포화되지 않은 술폰화(sulfonated)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퍼플루오르술폰산계 고분자, 탄화수소계 고분자, 방향족 술폰계 고분자, 방향족 케톤계 고분자, 폴리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고분자, 폴리포스파젠계 고분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피롤계 고분자 및 폴리아닐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 는 둘 이상의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술폰화(sulfonated)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양이온 전도성을 가지는 고분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퍼플루오르술폰산계 고분자, 술폰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sPEEK,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 술폰화 폴리에테르케톤 (sPEK, sulfonated (polyetherketone)),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그라프트-폴리스티렌 술폰산 (poly (vinylidene fluoride)-graft-poly(styrene sulfonic acid), PVDF-g-PSSA) 및 술폰화 폴리플루로레닐 에테르케톤 (Sulfonated poly (fluorenyl ether ket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체 배치]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 점착층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전해질막과 마주하도록 상기 전해질막의 적어도 일면 상에 상기 적층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접합하는 단계]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적층체를 50℃이상의 온도로 열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접합하는 단계는 적층체와 전해질막 전면에 50℃이상의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적층체의 전극 촉매층이 전해질막에 전사되고, 적층체의 제2 점착층이 열에 의해 접착력이 상승되어 적층체의 엣지씰 필름이 전해질막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열접합하는 단계에서,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저하되는 제1 점착층은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점착층 제거]
본 명세서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기재와 제1 점착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접합하는 단계의 열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에 의해 부착되었던 기재를 제거할 수 있다.
[적층체]
본 명세서는 기재; 전극 촉매층; 보호 필름; 제1 점착층; 및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상기 적층체는 상술한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의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전극 촉매층]
상기 전극 촉매층은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촉매층은 애노드의 촉매층 및 캐소드의 촉매층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애노드의 촉매층은 연료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캐소드의 촉매층은 산화제의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전극 촉매층의 두께는 각각 3㎛ 이상 30㎛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애노드의 촉매층과 캐소드의 촉매층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은 보호 필름에 덮여지지 않고 연료 또는 산화제에 노출되어 전극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은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체 면적이거나,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체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이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체 면적과 동일한 경우, 상기 보호필름의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전극 촉매층의 크기와 동일하다.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이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체 면적보다 좁은 경우, 상기 보호필름의 개구부의 크기가 상기 전극 촉매층의 크기보다 작아 전극 촉매층의 면적 중 일부가 보호 필름에 의해서 덮어질 수 있다.
[제1 점착층]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기재와 보호 필름 사이에 구비되며,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저하된다.
상기 제1 점착층은 니트릴고무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페놀계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점착층]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보호 필름 상에 구비되며,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된다.
상기 제2 점착층은 니트릴 고무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페놀계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열경화성을 가지는 에폭시계 또는 페놀계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막]
본 명세서에 따른 적층체는 상기 제2 점착층 상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적층체는 제1 단위 및 제2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따른 적층체는 제1 단위, 제2 단위 및 상기 제1 단위와 상기 제2 단위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및 제2 단위는 각각 상기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전극 촉매층;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 상기 기재와 보호 필름 사이에 구비된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저하되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보호 필름 상에 구비된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 따른 적층체는 상기 제1 단위의 제2 점착층과 상기 제2 단위의 제2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전지]
본 명세서는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에서, 상기 전기화학 전지가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캐소드는 방전될 때 전자를 받아 환원되는 전극을 의미하고, 충전될 때 산화되어 전자를 내보내는 애노드(산화전극)일 수 있다. 상기 애노드는 방전될 때 산화되어 전자를 내보내는 전극을 의미하고, 충전될 때 전자를 받아 환원되는 캐소드(환원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전기화학 전지는 화학반응을 이용한 전지를 의미하며 고분자 전해질막이 구비된다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전기화학 전지는 연료전지, 금속 이차 전지 또는 흐름전지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전기화학 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화학 전지 모듈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 상태에 따른 단위 전지 사이에 바이폴라(bipolar)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스택킹(stack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 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
도 2는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는 전해질막(10)과, 이 전해질막(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캐소드(50) 및 애노드(5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에는 전해질막(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캐소드 촉매층(20)과 캐소드 기체확산층(40)이 구비되고, 상기 애노드에는 전해질막(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애노드 촉매층(21) 및 애노드 기체확산층(4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연료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는 스택(60), 산화제 공급부(70) 및 연료 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택(60)은 상술한 막 전극 접합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며, 막 전극 접합체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세퍼레이터는 막 전극 접합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막고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 및 산화제를 막 전극 접합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 공급부(70)는 산화제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산소 또는 공기를 산화제 공급부(70)로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료 공급부(80)는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81) 및 연료 탱크(81)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펌프(82)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연료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가스를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엣지씰 필름]
페놀수지 등이 함유된 열융착 필름의 점착면의 반대면에 아크릴수지계 양면점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약 10kgf/㎠ 압력으로 압착하여 엣지씰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융착필름은 대현에스티의 PET 재질 열융착필름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아크릴수지계 양면점착테이프는 3M사의 아크릴계 점착층의 4910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전극 필름]
백금 담지 카본 촉매(Pt/C)를 나피온 용액, 1-프로필알코올, 소량의 물과 글리콜을 첨가하여 고속교반하여 촉매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촉매 슬러리의 백금 담지 카본 촉매(Pt/C), 20% 나피온 용액, 1-프로필알코올, 물 및 글리콜의 중량비는 1:2:10:1:1이다.
촉매 슬러리를 잉크젯 코터를 이용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시트에 코팅하였다. 이때 코팅량은 건조 후 Pt 중량으로 0.4㎎/㎠Pt 를 코팅하였다.
촉매 슬러리를 코팅 후 35℃에서 30분, 100℃에서 1시간 경화, 건조를 진행하여 전극 필름을 형성하였다.
[적층체]
제조된 전극 필름의 전극 촉매층과 전술한 엣지씰 필름의 제1 점착층 면과 맞닿게 하여 10kgf/㎠의 압력으로 1~2초간 압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압착을 통해 제1 점착층은 전극 촉매층의 기재와 맞닿게 되었다.
[막 전극 접합체]
상기 적층체에서 제 2점착층과 전해질막이 맞닿게 배치하여 130℃, 120kgf/㎠에서 5분간 열압착하고,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에 의해 부착되었던 기재를 기계적 박리방법을 통해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막 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극 필름을 제조하였다.
전해질막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열융착 필름을 배치하여 80℃ 10초 간 열압착하였다. 제조된 전해질막-열융착 필름 결합체에 전극 필름을 배치하고 130℃, 120kgf/㎠에서 5분간 열압착하여 막 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전해질막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열융착 필름을 배치하여 80℃ 10초 간 열압착하였다. 제조된 전해질막-열융착 필름 결합체에 실시예 1의 촉매 슬러리를 제조한 후 직접 코팅하였다. 이때 코팅량은 건조 후 Pt 중량으로 0.4㎎/㎠Pt 를 코팅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막 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손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사진을 촬영하였고, 이를 도 7(실시예 1), 도 8(비교예 1) 및 도 9(비교예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은 활성면적이 안정되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막 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은 활성면적의 전사가 불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전극 필름
11: 전극 촉매층
12: 기재
20: 엣지씰 필름
21: 제2 점착층
22: 보호 필름
23: 제1 점착층
30: 적층체
40, 100: 전해질막
50: 막 전극 접합체
60: 스택
70: 산화제 공급부
80: 연료 공급부
81: 연료 탱크
82: 펌프
200: 캐소드 촉매층
210: 애노드 촉매층
400: 캐소드 기체확산층
410: 애노드 기체확산층
500: 캐소드
510: 애노드

Claims (7)

  1. 기재 상에 전극 촉매층을 형성하여 전극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의 일면에 제1 점착층을 형성하고, 타면에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점착력이 작은 제2 점착층을 형성하여 엣지씰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엣지씰 필름의 제1 점착층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전극 필름의 전극 촉매층이 형성된 면과 마주하도록 부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전해질막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점착층이 형성된 면이 상기 전해질막과 마주하도록 상기 전해질막의 적어도 일면 상에 상기 적층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50℃이상의 온도로 열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와 제1 점착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10kgf/㎠ 내지 50kgf/㎠ 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점착층에 의해 상기 전극 필름과 상기 엣지씰 필름이 부착되는 것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3. 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유지 또는 저하되고, 상기 제2 점착층은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하는 것인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4.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전극 촉매층;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
    상기 기재와 보호 필름 사이에 구비된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유지 또는 저하되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보호 필름 상에 구비된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점착층의 접착력보다 작은 것인 적층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 상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적층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제1 단위 및 제2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및 제2 단위는 각각
    상기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전극 촉매층;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 촉매층의 전극 활성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보호 필름;
    상기 기재와 보호 필름 사이에 구비된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유지 또는 저하되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보호 필름 상에 구비된 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력이 증가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기 제1 점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점착층의 접착력보다 작고,
    상기 제1 단위의 제2 점착층과 상기 제2 단위의 제2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더 포함하는 적층체.
  7. 상기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니트릴고무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페놀계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층체.
KR1020180007875A 2018-01-22 2018-01-22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 KR10216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75A KR102169843B1 (ko) 2018-01-22 2018-01-22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
EP19741480.8A EP3667790A4 (en) 2018-01-22 2019-01-17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BRANE-ELECTRODES ASSEMBLY, AND STACKING
JP2020513540A JP6989180B2 (ja) 2018-01-22 2019-01-17 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CN201980004461.7A CN111095641B (zh) 2018-01-22 2019-01-17 膜电极组件的制造方法及层叠体
PCT/KR2019/000700 WO2019143148A1 (ko) 2018-01-22 2019-01-17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
US16/644,667 US11424467B2 (en) 2018-01-22 2019-01-17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st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75A KR102169843B1 (ko) 2018-01-22 2018-01-22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18A true KR20190089418A (ko) 2019-07-31
KR102169843B1 KR102169843B1 (ko) 2020-10-26

Family

ID=6730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875A KR102169843B1 (ko) 2018-01-22 2018-01-22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24467B2 (ko)
EP (1) EP3667790A4 (ko)
JP (1) JP6989180B2 (ko)
KR (1) KR102169843B1 (ko)
CN (1) CN111095641B (ko)
WO (1) WO2019143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859A (ko) * 2021-05-19 2024-01-19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개스킷 성형 방법, 연료전지, 연료전지의 제조 방법, 밀봉 방법 및 개스킷 성형 장치
CN114497621B (zh) * 2022-02-17 2023-12-22 中星慧业新能源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多功能燃料电池用双面密封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073A (ko) * 2005-10-14 2007-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전지용으로 보호 필름 층을 갖는 촉매 코팅된 막의제조방법
JP2007265733A (ja) * 2006-03-28 2007-10-11 Dainippon Printing Co Ltd 転写シート、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150060599A (ko)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막,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3442B2 (en) * 2005-10-14 2012-04-24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atalyst-coated membrane using mask
KR100792138B1 (ko) * 2005-10-27 2008-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막-전극-어셈블리의 제조방법
US8012284B2 (en) * 2006-12-15 2011-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roll good fuel cell subassemblies
JP5581618B2 (ja) * 2009-07-02 2014-09-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部材、エッジシール付き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エッジシール付き電極−電解質膜積層体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15097195A (ja) * 2013-10-09 2015-05-21 日東電工株式会社 燃料電池用膜/電極複合体の製造方法
WO2015147098A1 (ja) * 2014-03-25 2015-10-01 凸版印刷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膜電極接合体、およ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KR101628483B1 (ko) * 2014-09-19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극막 접합체의 제조방법
JP6515648B2 (ja) * 2015-04-08 2019-05-22 凸版印刷株式会社 触媒層転写基材、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膜電極接合体
JP5993987B2 (ja) * 2015-06-19 2016-09-21 東芝燃料電池システム株式会社 燃料電池の製造方法
KR20180007875A (ko) 2016-07-14 2018-01-24 (주)엘지하우시스 Plla 수지용 상용화제와 이를 이용한 plla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073A (ko) * 2005-10-14 2007-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전지용으로 보호 필름 층을 갖는 촉매 코팅된 막의제조방법
JP2007265733A (ja) * 2006-03-28 2007-10-11 Dainippon Printing Co Ltd 転写シート、触媒層−電解質膜積層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150060599A (ko)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막,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7790A1 (en) 2020-06-17
CN111095641A (zh) 2020-05-01
WO2019143148A1 (ko) 2019-07-25
KR102169843B1 (ko) 2020-10-26
CN111095641B (zh) 2023-04-04
JP2020533735A (ja) 2020-11-19
US11424467B2 (en) 2022-08-23
EP3667790A4 (en) 2020-12-23
US20210075048A1 (en) 2021-03-11
JP6989180B2 (ja)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7732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79820B1 (ko) 직접 산화형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4612569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膜電極構造体
JP2007035621A (ja) 高温用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193106A (ja) 膜−電極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る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20110043908A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제조 방법
JP6989180B2 (ja) 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KR102163539B1 (ko)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KR100999289B1 (ko) 복층 촉매층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용 전극및 그 제조방법
JP4392222B2 (ja) 膜−電極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312971B1 (ko) 불소계 이오노모를 이용하여 표면 개질한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 막 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JP2010192392A (ja) 燃料電池用多孔膜複合体、燃料電池用電解質膜−電極−多孔膜複合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090132214A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EP2933862B1 (en) Method for producing a fuel cell electrode sheet
KR102090860B1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JP2006338941A (ja) 電解質膜−電極接合体
JP2009026536A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電解質膜−電極接合体とその製造方法、これに用いる触媒転写フィルム、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JP2006338942A (ja) 電解質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JP2007026873A (ja) 燃料電池
JP6356436B2 (ja) 電解質膜・電極構造体
JP2009026468A (ja) 膜−ガス拡散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EP2120277B1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949933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표면 발수성 증대를 위한 다공성 필름 레이어를 포함하는 이형지
KR20170004747A (ko) 막 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140146014A (ko) 전해질 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와 연료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