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744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744A
KR20190088744A KR1020180007209A KR20180007209A KR20190088744A KR 20190088744 A KR20190088744 A KR 20190088744A KR 1020180007209 A KR1020180007209 A KR 1020180007209A KR 20180007209 A KR20180007209 A KR 20180007209A KR 20190088744 A KR20190088744 A KR 2019008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battery
housing
ga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481B1 (ko
Inventor
이용석
박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481B1/ko
Priority to US16/252,057 priority patent/US11158885B2/en
Priority to EP23210935.5A priority patent/EP4300692A2/en
Priority to CN201980006646.1A priority patent/CN111512619B/zh
Priority to PCT/KR2019/000771 priority patent/WO2019143185A1/en
Priority to EP19740784.4A priority patent/EP3718293B1/en
Publication of KR2019008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744A/ko
Priority to US17/450,360 priority patent/US116162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6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3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mounted) 가스 센서 모듈; 및 상기 가스 센서 모듈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벽(wall)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벽들은 상기 배터리에서 누출된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전자 장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2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condition of batter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겐 알리는 방법에 관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손목 시계(Wrist watch),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다양한 전자 장치를 통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 및 급속 충전 등에 관한 이슈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배터리는 전자 장치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른 종류 및 다른 환경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는 과충전, 고온에의 노출 및 내부 단락 등에 의해 전해질이 분해됨에 따라 가스가 발생되거나 파열되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감지할 수 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배터리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감지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배터리의 비정상적인 이벤트를 감지하여 로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mounted) 가스 센서 모듈; 및 상기 가스 센서 모듈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벽(wall)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벽들은 상기 배터리에서 누출된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전자 장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2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제 1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mounted) 가스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간 내에 상기 배터리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배터리에서 누출되는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제 1 개구부; 및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을 제외한 제 1 공간의 일부 영역에 상기 가스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mounted) 가스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벤트(vent); 상기 배터리를 포함(containing)하는 배터리 챔버; 상기 배터리 챔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에서 누출된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홀(hole); 및 상기 배터리 챔버와 상기 벤트 사이에 배치되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센서는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고온에 노출되거나 발열에 의해 발생하는 배터리의 가스 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배터리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에 의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전자 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배터리 이상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고, 배터리 이상 이벤트에 관한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출 가능한 가스의 저항값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배터리 이상 동작을 통지(notification)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210), 배터리 챔버(battery chamber, 220) 및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cavity, 231, 23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 예를 들어, 측면에 베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적어도 하나의 벤트(vent, 211,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이물 유입을 방지하고 원활한 공기 소통을 위해서 이물 방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에 포함된 이물 방지 구조는 방수 가능한 직물(예를 들어, 고어텍스® )등을 이용하는 막(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는 적어도 하우징(210)의 일부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이크 홀, 스피커 홀 및 커넥터 홀(예, USB 및 이어폰 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는 외기와 내기의 기압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시에 마이크 홀, 스피커 홀 및 커넥터 홀과 별도로 타공 또는 성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는 카메라 모듈(180)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와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241, 242)이 각각 배치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wall)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241, 24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는 금속 산화물(metal oxide, MOX)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 일부 공간에 배치되어 하우징(210) 내에 배치된 배터리(189)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241, 242) 각각은 기압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는 각각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와 연결되고, 각각 일부가 홀(hole, 250)과 연결될 수 있다.
홀(250)은 배터리 챔버(220)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홀(250)은 배터리(189)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통로가 될 수 있다. 홀(250)은 전자 장치(101) 제조 시에 타공 또는 성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는 홀(25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포집되어 포집된 가스를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가 분석할 수 있게 하고, 포집된 가스가 다시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하우징(210)의 내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배터리 챔버(220)는 배터리(189)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되어 배터리(189)를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배터리(189)를 내부 공간 상에 배치하고,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다른 장치와 격리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의 일부 일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wall)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적어도 일부에 홀(250)을 포함하고, 홀(250) 통해 배터리(189)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로 전달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된 홀(250),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 232),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는 배터리(189)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관(duct)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홀(25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211, 212)는 개구부로 통칭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210), 배터리 챔버(220) 및 캐비티(2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전자 부품, 배터리(189) 및 가스센서(3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적어도 하나의 벤트(vent, 212,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01)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이물 유입을 방지하고 원활한 공기 소통을 위해서 이물 방지 구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에 포함된 이물 방지 구조는 방수 가능한 직물(예를 들어, 고어텍스® )등을 이용하는 막(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는 하우징(210)의 일부에 형성(또는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이크 홀, 스피커 홀 및 커넥터 홀(예, USB 및 이어폰 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는 외기와 내기의 기압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시에 마이크 홀, 스피커 홀 및 커넥터 홀과 별도로 하우징(210)의 일부에 타공 또는 성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는 카메라 모듈(180)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벤트(212)는 카메라 모듈(180) 인근의 하우징(210)의 일부를 통해 배치되거나, 카메라 모듈(180)을 포함하는 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벤트(213)는 예를 들어, 마이크 홀, 스피커 홀 및 커넥터 홀(예, USB 및 이어폰 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벤트(213)는 하우징(210)의 일부에. 예를 들어, 마이크 홀, 스피커 홀 및 커넥터 홀(예, USB 및 이어폰 잭) 등의 형태로 형성(또는 배치)될 수 있다.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는 캐비티(231)와 연결될 수 있다.
캐비티(231)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31)내에 센서 모듈(예, 도 2의 241)이 배치 될 수 있다. 센서 모듈(예, 도 2의 241)은 가스센서(311) 및/또는 기압센서(3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센서(311)는 배터리(189)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다. 가스센서(311)는 감지하고 분석된 가스 정보를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기압센서(312)는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를 통해 유입되는 하우징(210)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기압을 측정할 수 있다.
가스센서(311) 는 금속 산화물(metal oxide, MOX)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스센서(311) 는 캐비티(231) 일부 공간에 배치되어 하우징(210) 내에 배치된 배터리(189)가 배출하는 가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캐비티(231)는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와 연결되고, 일부가 홀(hole, 250)과 연결될 수 있다.
홀(250)은 배터리 챔버(22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홀(250)은 배터리(189)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통로가 될 수 있다. 홀(250)은 전자 장치(101) 제조 시에 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에 타공 또는 성형될 수 있다.
캐비티(231)는 홀(25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포집되어 포집된 가스를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311)가 분석할 수 있게 하고, 포집된 가스가 다시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캐비티(231)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wall)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하우징(210)의 내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배터리 챔버(220)는 배터리(189) 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되어 배터리(189)를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배터리(189)를 내부 공간 상에 배치하고,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다른 장치와 격리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의 일부 일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wall)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는 적어도 일부에 홀(250)을 포함하고, 홀(250) 통해 배터리(189)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캐비티(231)로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챔버(220)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에 홀(250), 캐비티(231),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는 배터리(189)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관(duct)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홀(25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 213)는 개구부로 통칭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4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가스 센서(예, 도 3의 311)는 기체(예를 들어, 가스)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4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가스 센서(예, 도 3의 311)가 기체 발생 여부를 검출하지 못하면, 401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4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가스 센서(예, 도 3의 311)가 기체 발생을 검출하면, 403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4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120)는 가스 센서(예, 도 3의 311)로부터 가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가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기체에 포함된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일 수 있다.
4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120)는 가스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스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4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가스 센서(예, 도 3의 311)는 가스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스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가스 정보를 분석하는 동작은 가스의 종류 및 농도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동작일 수 있다.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120)는 특정 가스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120)는 특정 가스가 기준치 이하면 401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120)는 특정 가스가 기준치 이상이면 409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가스 센서(예, 도 3의 311)는 특정 가스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가스 센서(예, 도 3의 311)는 특정 가스가 기준치 이하면, 401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의 가스 센서(예, 도 3의 311)는 특정 가스가 기준치 이상이면, 409 동작으로 분기할 수 있다.
407 동작에서, 특정 가스는 배터리(189) 배출되는 가스로서, 배터리(189)가 이상 상태에 있으면 높은 농도로 배출되는 수소(H2)가스 또는 유기화합 가스일 수 있으며, 기준치는 특정 농도일 수 있다. 특정 농도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으며, 폭발 임계치에 가까운 농도일 수 있다.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예, 도 1의 120) 제어 하에, 특정 가스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배터리(189)의 이상(abnormal)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예, 도 1의 120) 제어 하에, 특정 가스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배터리(189)가 이상(abnormal) 동작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4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예, 도 1의 120) 제어 하에,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동작은 사용자에게 배터리(189) 이상 동작을 통지(notification)하고, 로그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배터리(189) 이상 동작을 통지(notification)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표시 장치(160)에 배터리(189) 이상과 관련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로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은 카메라 모듈(180)을 통해서, 촬영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카메라 모듈(180)의 인근에 적어도 하나의 벤트(212)가 배치되면, 가스가 카메라 모듈(180)의 윈도우 또는 이미지 센서 위를 통과하게 된다. 특정 농도 이상의 가스로 인해서 전자 장치(101)가 폭발 또는 발화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80)를 통해 연소가스나 발화 장면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한 이미지를 로그 정보로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로그 정보에는 이상 징후가 감지될 때의 감지되는 가스의 농도 및 종류, 가스 감지 시간, 전자 장치(101)의 시리얼 넘버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로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은 로그 정보를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동작 또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서버(예, 도 1의 108)로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검출 가능한 가스의 저항값에 관한 그래프이다.
X축은 가스의 농도이고, Y축은 저항값이다. 가스의 농도가 높을수록 저항값은 낮아진다. 전자 장치(101)는 농도에 따른 저항값을 룩업 데이터로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농도에 따른 저항값을 룩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세서(예, 도 1의 120) 및/또는 가스센서(예, 도 3의 311)는 도 4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에게 배터리(189) 이상 동작을 통지(notification)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어, 배터리(189)로부터 누출되는 가스의 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가스 센서(311)에 의해 감지되면,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가스 누출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배터리의 이상이 감지되어 전원을 오프(off) 합니다"또는 "보다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전원을 종료하고 가까운 서비스센터에서 점검 받으세요"와 같은 경고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배터리(189)로부터 누출되는 가스의 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네트워크(예: 도 1의 제 2 네트워크(199))를 통해, 예를 들면, 서비스 센터의 서버(예: 도 1의 서버(108))로 전자 장치(101)의 시리얼 넘버 및 감지된 가스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 장치(101)의 전원을 오프(off)하여, 배터리(189)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mounted) 가스 센서 모듈; 및
    상기 가스 센서 모듈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벽(wall)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벽들은 상기 배터리에서 누출된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전자 장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방향으로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개구부는
    카메라 모듈의 인근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는
    스피커 홀, 마이크 홀, 커넥터 홀,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가스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결정(determine) 하고,
    상기 결정에 적어도 기반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상태와 연관된 로그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동작을 상기 지정된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써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상기 지정된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써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제 1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mounted) 가스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간 내에 상기 배터리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배터리에서 누출되는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제 1 개구부; 및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전자 장치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을 제외한 제 1 공간의 일부 영역에 상기 가스 센서가 배치된 전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방향으로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인근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는
    스피커 홀, 마이크 홀, 커넥터 홀,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가스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결정(determine) 하고,
    상기 결정에 적어도 기반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상태와 연관된 로그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동작을 상기 지정된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써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상기 지정된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써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mounted) 가스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벤트(vent);
    상기 배터리를 포함(containing)하는 배터리 챔버;
    상기 배터리 챔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에서 누출된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홀(hole); 및
    상기 배터리 챔버와 상기 벤트 사이에 배치되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센서는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방향으로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벤트는상기 카메라 모듈의 인근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스피커 홀, 마이크 홀, 커넥터 홀,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가스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결정(determine) 하고,
    상기 결정에 적어도 기반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상태와 연관된 로그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동작을 상기 지정된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써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상기 지정된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써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배터리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상기 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 1 개구부; 및
    상기 벤트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07209A 2018-01-19 2018-01-1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KR10243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209A KR102432481B1 (ko) 2018-01-19 2018-01-1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US16/252,057 US11158885B2 (en) 2018-01-19 2019-01-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status of battery thereof
EP23210935.5A EP4300692A2 (en) 2018-01-19 2019-01-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status of battery thereof
CN201980006646.1A CN111512619B (zh) 2018-01-19 2019-01-18 检测其电池的状态的电子装置及方法
PCT/KR2019/000771 WO2019143185A1 (en) 2018-01-19 2019-01-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status of battery thereof
EP19740784.4A EP3718293B1 (en) 2018-01-19 2019-01-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status of battery thereof
US17/450,360 US11616255B2 (en) 2018-01-19 2021-10-0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status of batter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209A KR102432481B1 (ko) 2018-01-19 2018-01-1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744A true KR20190088744A (ko) 2019-07-29
KR102432481B1 KR102432481B1 (ko) 2022-08-16

Family

ID=6730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209A KR102432481B1 (ko) 2018-01-19 2018-01-19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58885B2 (ko)
EP (2) EP4300692A2 (ko)
KR (1) KR102432481B1 (ko)
CN (1) CN111512619B (ko)
WO (1) WO20191431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407A1 (ko) * 2021-02-22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압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229249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7609B2 (en) * 2018-05-31 2021-11-30 Goertek Inc. Test device and calibrating method
GB2581850A (en) * 2019-01-07 2020-09-02 Portable Multimedia Ltd Mount assembly
DE102019219220A1 (de) * 2019-12-10 2021-06-1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r Dichtigkeitsprüfung eines elektrischen Bauteils
CN113597708B (zh) * 2020-06-18 2022-12-20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具有泄压结构的电池包
DE102022204463A1 (de) * 2022-05-06 2023-11-09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tterieüberwachungssensor
CN116718317B (zh) * 2023-08-09 2024-02-20 江苏常丰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壳体检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9341A1 (en) * 2008-06-12 2011-03-10 Junichi Matsumoto Electric vehicle
US20170318135A1 (en) * 2016-04-28 2017-11-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0955A (ja) * 1990-12-20 1992-08-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燃料電池からのガス漏えい検知装置
JP3014293B2 (ja) * 1995-04-18 2000-02-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テリ・パック
KR0138556B1 (ko) * 1995-06-14 1998-06-15 김광호 전자기기용 축전지의 방수 케이스 어셈블리
KR100196535B1 (ko) * 1996-07-16 1999-06-15 손욱 2차 전지 누액 감지 장치
JP3769631B2 (ja) * 1997-07-30 2006-04-26 株式会社京浜理化工業 非水系二次電池用ガス漏れ検出装置及び非水系二次電池用ガス漏れ検出方法
US6545448B1 (en) * 2001-12-18 2003-04-08 Intel Corporation Detection of the end-of-life for a rechargeable battery
JP2004363773A (ja) * 2003-06-03 2004-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および携帯用電子機器
CN1582021A (zh) * 2003-08-14 2005-02-16 上海中策工贸有限公司 监测气体的多功能手机
JP4953551B2 (ja) * 2003-10-31 2012-06-13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池
US20070005267A1 (en) * 2005-06-22 2007-01-04 Inventec Appliances Cor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gas detecting function
JP2007027011A (ja) * 2005-07-20 2007-02-01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EP1841002B1 (en) * 2006-03-31 2009-05-20 Sony Deutschland Gmbh Battery leakage detection system
CN1901584A (zh) * 2006-07-13 2007-01-24 陈义 具有燃气泄漏报警功能的移动电话
US20080128285A1 (en) * 2006-12-04 2008-06-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ochemical gas sensor ch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331517B2 (ja) 2008-04-14 2013-10-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組電池を搭載した車両
JP4470124B2 (ja) * 2008-06-13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WO2010125226A1 (en) 2009-04-30 2010-11-04 Nokia Corporation Gas release from a battery cell
WO2012001858A1 (ja) 2010-06-30 2012-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US8417303B2 (en) * 2010-07-09 2013-04-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case
US9118061B2 (en) * 2010-08-13 2015-08-2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877370B2 (en) * 2010-11-12 2014-11-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having a sensor a gas sensor in the cap assembly
US10283796B2 (en) 2011-02-11 2019-05-07 Intelligen Energy Limited Fuel cell system
US20120208054A1 (en) * 2011-02-16 2012-08-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system and battery structure
KR101282473B1 (ko) 2011-09-21 2013-07-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팩
US9437854B2 (en) * 2011-11-11 2016-09-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pack
JP5969356B2 (ja) * 2012-11-05 2016-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密閉型電池の封止部材および密閉型電池
TWI544306B (zh) * 2012-11-30 2016-08-0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應用揚聲器組件的可攜式電子裝置
JP2014127285A (ja) * 2012-12-26 2014-07-07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 電池モジュールの液漏れ検査方法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CH707620A2 (fr) * 2013-02-21 2014-08-29 Swatch Group Res & Dev Ltd Dispositif électronique muni de moyens de détection automatique de fuite.
JP5739926B2 (ja) 2013-03-14 2015-06-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消費システム
ITMI20131096A1 (it) * 2013-06-28 2014-12-29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sensore di gas integrato, in particolare per il rilevamento di monossido di carbonio (co)
JP6314430B2 (ja) * 2013-11-05 2018-04-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ベルト
KR102161546B1 (ko) * 2014-02-05 2020-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의 운용 방법
US9553465B2 (en) 2014-04-21 2017-01-24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Battery management based on internal optical sensing
EP2765410B1 (en) * 2014-06-06 2023-02-22 Sensirion AG Gas sensor package
KR101738215B1 (ko) 2014-06-25 2017-05-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조립체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는 배터리 모듈
US10452105B2 (en) * 2016-01-19 2019-10-22 BEAM Authentic Inc. Mobile device case for holding a display device
KR101723035B1 (ko) * 2014-10-22 2017-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
DE102014224587A1 (de) * 2014-12-02 2016-06-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assensorvorrichtung zum Erfassen zumindest eines gasförmigen Analyten und Gassensorvorrichtung zum Erfassen zumindest eines gasförmigen Analyten
KR20160073141A (ko) * 2014-12-16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67608B2 (en) * 2015-01-27 2016-10-11 Moment Inc Auxiliary lens for mobile photography
KR102364846B1 (ko) 2015-05-19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KR102337490B1 (ko) * 2015-05-26 2021-1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407323B1 (ko) 2015-11-11 2022-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가스 센서의 활용 방법
US10440542B2 (en) * 2015-11-24 2019-10-08 NuGen Systems, Inc. Wireless batter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parachute deployment and auto load disengagement
US9954573B2 (en) * 2015-12-17 2018-04-24 I-Blades, Inc. Reversible mobile device case with integrated display
KR20170123207A (ko) 2016-04-28 201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260826B1 (ko) * 2016-09-06 2021-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367352B1 (ko) * 2017-03-31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장치,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9283227A (zh) * 2017-07-21 2019-01-29 苹果公司 化学稳健的微型气体传感器
CN207095784U (zh) * 2017-07-24 2018-03-13 东莞新易科电子有限公司 自动检测电芯漏液设备
KR101880465B1 (ko) * 2017-09-22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3716352B1 (en) * 2017-11-22 2022-08-10 TDK Corporation Battery pack
CN207600520U (zh) * 2017-12-28 2018-07-10 深圳市利和兴股份有限公司 手机电池检漏与电性能测试平台
CN208971564U (zh) * 2018-11-27 2019-06-11 英佰科技(沈阳)有限公司 一种手机电路板
CN209417009U (zh) * 2018-12-01 2019-09-20 广州智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池泄露挥发性气体探测与预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9341A1 (en) * 2008-06-12 2011-03-10 Junichi Matsumoto Electric vehicle
US20170318135A1 (en) * 2016-04-28 2017-11-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407A1 (ko) * 2021-02-22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압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229249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8293A4 (en) 2020-12-16
EP3718293A1 (en) 2020-10-07
EP4300692A2 (en) 2024-01-03
US11158885B2 (en) 2021-10-26
US20220029206A1 (en) 2022-01-27
EP3718293C0 (en) 2023-12-06
KR102432481B1 (ko) 2022-08-16
WO2019143185A1 (en) 2019-07-25
CN111512619A (zh) 2020-08-07
US20190229379A1 (en) 2019-07-25
CN111512619B (zh) 2021-10-22
EP3718293B1 (en) 2023-12-06
US11616255B2 (en)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874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EP3706401B1 (en)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battery status by using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2427206B1 (ko) 외부 액세서리 연결에 따른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17251A (ko) 수분 감지에 따라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1858A (ko) 전력 관리를 위한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34430A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상기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212156A1 (ko) 발열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020711A1 (ko) 불량을 예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90036184A (ko) 전자 장치에 장착된 외부 장치의 상태에 따라 무선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105988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를 진단하는 방법
KR20200143985A (ko) 이어 잭 내 삽입된 객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075706A1 (ko) 전력 관리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이상 상태를 회복하기 위한 방법
KR102632932B1 (ko) 커넥터에 대한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307743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WO2019112257A1 (ko) 배터리 교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94436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카메라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42670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77947A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32546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US11520380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firming whether submergence has occurred by using submergence sensing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O2020213869A1 (ko) 음향 진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KR2021010168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센서 운용 방법
CN115758364A (zh) 安全检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