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300A - 인형 - Google Patents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300A
KR20190087300A KR1020190001592A KR20190001592A KR20190087300A KR 20190087300 A KR20190087300 A KR 20190087300A KR 1020190001592 A KR1020190001592 A KR 1020190001592A KR 20190001592 A KR20190001592 A KR 20190001592A KR 20190087300 A KR20190087300 A KR 20190087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rm
doll
piece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9372B1 (ko
Inventor
미츠요 오비츠
카즈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비츠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비츠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비츠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87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9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과제] 관절부 영역에 있어서 생기는 간극을 최대한 작게 함으로써 리얼리티가 높아 구매 의욕을 야기 가능한 인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상완(5)이 몸통체(1)측에 연결되고, 하완(23)은 서로 대향하는 2편의 축착편(29)을 가짐과 아울러, 팔꿈치부(35)와 회동 가능하게 축착되고, 팔꿈치부(35)는 하완(23)의 축착편(29, 29) 사이에 하단부(39a)가 수용되고, 2편의 축착편(29, 29)의 각각의 선단 영역을 수용하는 2개의 오목면(51, 51)을 갖고, 2편의 축착편(29, 29)과의 축착부는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고, 축착부의 중심 위치(59)로부터 축착편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a라고 하고, 축착부의 중심 위치(59)로부터 팔꿈치부(35)의 외주면(47)까지의 거리를 b라고 했을 때, a<b의 관계를 갖고, 팔꿈치부(35)의 하단부(39a)는 하완(23)을 회동시켰을 때에, 하완(23)의 축착편(29)과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G1)을 극소화하는 곡률 반경이 크고 완만한 곡면을 갖는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인형{DOLL}
본 발명은 몸통체에 다리부나 팔부 등의 봉형상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인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통체에 구비되는 봉형상 부재의 중간에 배치되는 관절 영역에 특징을 갖는 인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형」이란 몸통체와 다리부와 팔부와 머리부를 구비한 인형 전반에 한정하지 않고, 머리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소위 인형용 소체라고 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다리부나 팔부 등의 소요 개소가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인형이면 모두가 대상이 된다. 예를 들면, 인간의 남성·여성을 표현한 인형에 한정되지 않고, 동물이나 공상 속의 생물 또는 로봇이나 괴수 등의 인형이어도 좋다.
「몸통체」는 일반적으로는 인형의 팔부와 다리부와 머리부를 제외한 부분이 되지만 몸통체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개념으로 해도 좋다.
「봉형상 부재」는 몸통체에 장착되어 있는 팔부나 다리부를 본 명세서에서는 실시형태라고 하지만, 머리부여도 좋고, 동물이나 괴수의 꼬리, 또는 곤충의 촉각 등이어도 좋고, 또는 로봇의 안테나 등이어도 좋고, 몸통체에 봉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부재의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상완」이란 팔부가 부착된 위치(어깨 위치와의 연결 부위) 근처로부터 팔꿈치 위 근처까지를 말하며, 「하완」이란 팔꿈치 아래 근처로부터 손목 근처까지를 말하며, 「손부」는 손목 근처로부터 선단(손가락끝)까지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작금의 인형업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인간의 신체(나체) 형태를 충실하게 모사한 구성을 갖는 피규어라고 불리는 인형이, 특히 성인 남성이나 성인 여성 등의 대인의 수요자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성인 남성이나 성인 여성 등의 수요자는 인간의 외관 형태나 관절 등의 움직임을 충실하게 요구하고 있어, 그 수요자 니즈는 매우 높은 것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상완과 하완(전완) 사이에 관절부(연결 부재)를 배치하고, 상완과 관절부, 하완과 관절부를 각각 다른 축(2축)으로 연결하여 상완과 관절부 사이, 및 하완과 관절부 사이에서 이중의 가동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팔꿈치 영역에 있어서의 가동 범위를 크게 하고 있다. 즉, 소위 이중 관절이라고 불리는 관절 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인간의 움직임에 가까운 리얼한 가동을 재현하려고 하고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서는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에 인간과 같도록 팔꿈치가 외측으로 뾰족해지는 구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피규어 수요자층의 니즈는 멈출 줄을 모르고, 보다 리얼리티한 외관 형태나 움직임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한 팔꿈치 관절(이중 관절)의 경우, 팔꿈치를 구성하고 있는 관절부가 하완(전완)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홈에 감합하는 박육부와,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육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후육부의 외관 형상이 팔꿈치부를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팔꿈치부를 굽혔을 때에, 이 박육부가 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팔꿈치가 외측으로 뾰족해지는 구성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지만, 팔꿈치를 굽히는 동작을 취했을 때에, 박육부의 하단부와 하완(전완)의 개구홈 사이에 현저한 간극(큰 간극)이 생겨버린다. 즉, 특허문헌 1에서는 팔꿈치를 구성하는 관절부와 하완(전완)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처리에 대해서는 하등 배려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팔꿈치 영역에 있어서 간극이 현저하게 시인되어 버리면, 보다 리얼리티를 요구하는 수요자의 흥취를 저하시킬뿐만 아니라 수요자의 인형 구매 의욕을 해칠 우려를 갖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2005-3440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부 영역에 있어서 회동 작동 중에 발생하는 간극을 최대한 작게 함으로써 리얼리티가 높아 구매 의욕을 야기 가능한 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본 발명이 행한 기술적 수단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관절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적어도 제 2 부재와 관절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봉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가 몸통체측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인형으로서,
상기 제 2 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2편의 축착편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절부와 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착(軸着)되고, 상기 2편의 축착편 사이에는 각각 오목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 2 부재의 축착편 사이에 하단부가 수용되고, 상기 2편의 축착편의 각각의 선단 영역을 수용하는 2개의 오목부를 갖고, 상기 2편의 축착편과의 축착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착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축착편의 선단부까지의 거리를 a라고 하고, 상기 축착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관절부 본체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를 b라고 했을 때, a<b의 관계를 갖고,
상기 관절부의 하단부는 곡률 반경이 크고 완만한 곡면을 갖는 광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곡면은 상기 제 2 부재를 축중심으로 해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 2 부재의 오목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에 형성된 최심부의 대략 궤적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으로 한 것이다.
제 2 본 발명은 제 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착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최심부까지의 거리를 c, 상기 축착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관절부의 하단부의 곡면까지의 거리를 d라고 했을 때, c≒d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으로 한 것이다.
제 3 본 발명은 제 1 본 발명 또는 제 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 부재는 인형의 팔부이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완, 상기 제 2 부재는 하완, 상기 관절부는 팔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관절부 영역에 있어서 회동 작동 중에 발생하는 간극을 최대한 작게 함으로써 리얼리티가 높아 구매 의욕을 야기 가능한 인형을 제공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형의 실시형태이며, 봉형상 부재인 팔부가 똑바로 뻗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인형의 상반신 부분의 개략을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제 2 부재인 하완을 전방을 향해서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서 더욱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서 더욱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봉형상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봉형상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봉형상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인형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지나지 않고, 하등 이것들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간의 신체를 표현한 인형 소체를 상정하고, 인형 소체의 몸통체로부터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팔부가 봉형상 부재(3)이고, 상완(5)이 제 1 부재, 하완(전완)(23)이 제 2 부재, 그리고 상완(제 1 부재)(5)과 하완(제 2 부재)(23) 사이에 배치되는 관절부(35)가 팔꿈치부로서 기능하고 있는 본 발명 인형의 실시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형은 봉형상 부재(3)의 구성에 특징 부분을 갖고, 기타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주지의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봉형상 부재(팔부)에 대해서 상술하고, 기타 구성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완(본 실시형태의 제 1 부재)(5)은 상단(7)과 하단(9)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부(11)를 가진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7)측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좌우의 측면(13, 15)의 하단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2편의 돌출편(17, 17)을 돌출시키고, 2편의 돌출편(17, 17) 사이에 관절부(35)의 일부(상단부(37a))가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돌출편(17, 17)은 원호형상의 선단 영역을 갖고 있다.
또한, 돌출편(17)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전면(19)측과 후면(21)측의 상단은 각각 하단 방향을 향해서 오목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19a, 21a)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관절부(35)의 가동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즉, 인간의 팔꿈치부(관절부)는 후방으로 굽히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전방으로는 굽히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면(19)측의 가동 영역(우묵하게 들어간 영역(19a))의 쪽을, 후면(21)측의 가동 영역(우묵하게 들어간 영역(21a))과 비교해서 크게 형성하여 이것을 표현하고 있다.
관통 구멍부(11)의 상단측은 몸통체(1)측에 연결되어 있는 어깨부(2)의 하단의 돌출 환봉부(2a)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 감합하는 제 1 구멍부(11a)로서 기능한다.
관통 구멍부(11)의 하단측은 관절부(35)의 상단의 연결부(61)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 감합하는 제 2 구멍부(11b)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7)과 하단(9)에 걸쳐 연통하는 관통 구멍부(11)를 구비한 실시의 일례로 설명하지만, 어깨부(2)를 연결하는 제 1 구멍부(11a)와, 관절부(35)를 연결하는 제 2 구멍부(11b)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이 연통하고 있지 않는 형태여도 좋다.
하완(본 실시형태의 제 2 부재, 전완이라고도 불림)(23)은 상방 영역(23a)보다 조금 날씬한 하방 영역(23b)으로 한 대략 원통형상의 외관 형태를 갖고, 좌우의 측면(25, 27)의 상단측에 서로 대향하는 2편의 축착편(29, 29)을 돌출시키고, 축착편(29)은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축착편(29, 29)에는 수평 방향에서 동축형상으로 하완측 축구멍(29a, 29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축착편(29)은 원호형상의 선단 영역을 갖고 있다.
또한, 축착편(29)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전면(31)측과 후면(33)측의 상단은 각각 오목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31a, 33a)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관절부(35)의 가동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간의 팔꿈치부(관절부)는 후방으로 굽히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전방으로는 굽히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면(37)측의 가동 영역(우묵하게 들어간 영역(31a))의 쪽을, 후면(33)측의 가동 영역(우묵하게 들어간 영역(33a))과 비교해서 크게 형성하여 이것을 표현하고 있다.
팔꿈치부(본 실시형태의 관절부)(35)는 상완(제 1 부재)(5)의 하단(9)을 향해서 원호형상으로 돌출하는 상단부(37a)와, 하완(제 2 부재)(23)의 상단을 향해서 원호형상으로 돌출하는 하단부(39a)를 갖고, 상단부(37a)를 포함하는 상방 영역(37)은 전체적으로 둥근 후육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39a)를 포함하는 하방 영역(39)은 상방 영역(37)과 비교해서 전체적으로 평탄한 박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내지 도 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완(5)의 하단(9)측의 제 2 구멍부(11b)에 삽입 감합되는 연결부(61)가 상단부(37a)에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팔꿈치부(관절부)(35)는 좌우 2분할 구성으로 한 관절부 본체(41, 41)와, 각각의 관절부 본체(41, 41)의 상단측의 내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또한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61)로 구성되어 있다(도 7).
연결부(61)는 제 2 구멍부(11b)에 삽입 감합 가능한 환봉형상의 연결부 본체(63)와, 연결부 본체(63)의 기단측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원판형상의 기부(65)로 구성되어 있고, 기부(65)에는 좌우의 평면에 걸쳐 관통하는 기부측 축구멍(67)과, 좌우의 평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6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69)는 상완(5)의 제 2 구멍부(11b)에 연결부 본체(63)를 삽입 감합하여 셋팅했을 때에 기부측 축구멍(67)보다 하방이고 또한 후방 근처에 돌출되어 있다(도 5 및 도 7).
관절부 본체(41)는 좌우에 2분할 구성된 각각의 상단측의 내면에는 연결부(61)의 기부(6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하는 오목부(43, 43)가 형성되어 있고, 일방의 오목부(43)의 중심에는 타방의 오목부(43)의 감합 구멍부(43a)에 삽입되는 봉형상으로 돌출된 감합부(43b)가 설치되어 있다(도 7).
따라서, 관절부 본체(41)는 이 감합부(43b)가 연결부(61)의 기부(65)에 형성되어 있는 기부측 축구멍(6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오목부(43)에는 기부(65)의 가이드 돌기(69)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드 홈부(45)가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5 및 도 7). 가이드 돌기(69)와 슬라이드 홈부(45)는 하완(23)을 회동시킬 때의 관절부(35)의 가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슬라이드 홈부(45)는 상완(5)과 하완(23)을 똑바로 한 상태(도 1의 상태)일 때의 기부(65)의 가이드 돌기(69)가 접촉하는 위치가 제 1 홈단부(45a)이고, 이 제 1 홈단부(45a)를 기점으로 해서 상방을 향해서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기부측 축구멍(67)과 나란한 위치에 제 2 홈단부(45b)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슬라이드 홈부(45)는 기부(65)와 같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절부 본체(41)는 상단부(37a)와 하단부(39a)를 연결하는 외측의 둘레면(외주면)(47)이 외측을 향해서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돌출되고, 내측의 둘레면(내주면)(49)이 외측을 향해서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하방 영역(39)의 좌우의 양측면은 하완(23)의 상단측에 위치하는 2편의 축착편(29, 29)의 각각의 선단 영역(29b, 29b)을 수용하는 오목부(51, 51)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5 및 도 7).
각각의 오목부(51, 51) 내에는 좌우 양측면에 걸쳐 관통한 소정 지름의 제 1 축구멍(53)과 제 2 축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구멍(53)과 하완측 축구멍(29a)과 제 2 축구멍(55)에 걸쳐 동축 상에 축착하는 환봉형상의 제 1 축부(57)가 끼워넣어짐으로써 하완(제 2 부재)(23)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면 중 59는 축착부의 중심 위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완(23)을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전면(31)측의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31a)이 관절부 본체(41)의 내측의 둘레면(내주면(49))에 접촉하여 그 회동이 제한(제한)된 후(도 3의 상태가 된 후), 관절부 본체(41)를 전방을 향해서 회동시킴으로써 하완(23)이 더욱 회동한다.
그리고, 도 3의 상태에서 감합부(43b)를 축으로 해서 관절부 본체(41)가 전방을 향해서 회동하고, 이것에 따라 하완(23)이 전방을 향해서 더욱 회동한다(도 4). 그리고, 슬라이드 홈부(45)의 제 2 홈단부(45b)에 가이드 돌기(69)가 접촉함으로써 회동 동작은 제어(제한)된다(도 4). 또한, 이 동작과는 반대로, 하완(23)을 후방을 향해서 회동시켜 팔부(봉형상 부재)(3)를 똑바로 한 상태로 하는 경우, 가이드 돌기(69)가 슬라이드 홈부(45)의 제 1 홈단부(45a)에 접촉하고, 그것 이상의 회동이 제어(제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착부의 중심 위치(59)로부터 축착편(29)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a라고 하고, 축착부의 중심 위치(59)로부터 관절부 본체(41)의 외주면(47)까지의 거리를 b라고 했을 때, a<b의 관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5).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완(23)의 상단측의 축착편(29)은 하완(23)을 회동시키는 동작을 했을 때, 회동시의 어느 경우라도 관절부 본체(41)의 외주면(47)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인간의 팔꿈치부에서는 있을 수 없는 돌출 부분이 나타내어지는 일도 없어 팔꿈치부 외관의 리얼리티를 향상할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본 실시형태의 관절부 본체(41)는 원호 형상의 상단부(37a)에 대하여 원호형상의 하단부(39a)의 쪽이 곡률 반경이 크고 완만한 곡면을 갖는 광폭으로 형성되고(도 1 내지 도 5), 하단부(39a)의 곡면은 하완(23)을 제 1 축부(57)의 축중심(축착부 중심 위치)(59)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하완(23)의 축착편(29, 29)끼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33a)의 최심부(33b)의 대략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4의 회동 상태를 참조). 즉, 하완(23)의 축착부의 중심 위치(59)로부터 오목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33a)의 최심부(33b)까지의 거리를 c, 축착부의 중심 위치(59)로부터 관절부(35)(관절부 본체(41))의 하단부(39a)의 곡면까지의 거리를 d라고 했을 때, 거리 c와 거리 d가 대략 같거나, 또는 거리 c의 쪽이 거리 d보다 다소 긴 관계(c≒d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태(팔부(3)를 똑바로 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서 회동을 개시하고, 도 2에 나타내는 상태, 즉 하완(23)의 최 심부(33b)가 적어도 하단부(39a)의 가장 돌출되어 있는 영역(39b)을 통과할 때까지는 최심부(33b)의 대략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하단부(39a)의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단부(39a)를 형성함으로써 하완(23)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나가는 동작 중에 있어서, 하완(23)의 축착편(29) 사이, 즉 후면(33)측의 가동 영역(우묵하게 들어간 영역(33a))의 최심부(33b)로부터 곡률 반경이 크고 완만한 곡면을 갖는 광폭형상의 하단부(39a)의 외주면(39b)이 이간되지 않기 때문에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33a)의 최심부(33b) 사이에 생기는 간극(G1)이 극소가 된다(도 2). 이것에 의해, 보다 리얼리티를 요구하는 수요자의 흥취가 향상되어 수요자의 인형 구매 의욕을 야기시키게 된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형의 팔꿈치부의 관절 구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인형의 무릎부의 관절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 관절부를 갖는 봉형상 부재가 몸통체에 구비되어 있는 인형이라면, 인형·괴수형 등 인형의 종류를 불문하고 모든 인형에 이용 가능하다.
1 몸통체 3 봉형상 부재(팔부)
5 상완(제 1 부재) 23 하완(제 2 부재)
33b 최심부 35 팔꿈치부(관절부)
39a 하단부 41 관절부 본체
47 외주면 61 연결부
G1 간극

Claims (3)

  1.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관절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적어도 제 2 부재와 관절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봉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가 몸통체측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인형으로서,
    상기 제 2 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2편의 축착편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절부와 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착되고, 상기 2편의 축착편 사이에는 각각 오목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 2 부재의 축착편 사이에 하단부가 수용되고, 상기 2편의 축착편의 각각의 선단 영역을 수용하는 2개의 오목부를 갖고, 상기 2편의 축착편과의 축착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착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축착편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a라고 하고, 상기 축착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관절부 본체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를 b라고 했을 때, a<b의 관계를 갖고,
    상기 관절부의 하단부는 곡률 반경이 크고 완만한 곡면을 갖는 광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곡면은 상기 제 2 부재를 축 중심으로 해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제 2 부재의 오목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영역에 형성된 최심부의 대략 궤적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착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최심부까지의 거리를 c, 상기 축착부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관절부의 하단부의 곡면까지의 거리를 d라고 했을 때, c≒d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 부재는 인형의 팔부이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완, 상기 제 2 부재는 하완, 상기 관절부는 팔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KR1020190001592A 2018-01-15 2019-01-07 인형 KR102699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3957 2018-01-15
JP2018003957A JP6990915B2 (ja) 2018-01-15 2018-01-15 人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300A true KR20190087300A (ko) 2019-07-24
KR102699372B1 KR102699372B1 (ko) 2024-08-28

Family

ID=6739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592A KR102699372B1 (ko) 2018-01-15 2019-01-07 인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90915B2 (ko)
KR (1) KR102699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5258B2 (ja) * 2019-12-24 2022-11-18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の腕部および人形体
CN113117346A (zh) * 2020-01-15 2021-07-16 霹雳国际多媒体股份有限公司 人形关节结构
JP7038236B1 (ja) * 2021-01-29 2022-03-17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部品、人形玩具、及び、カバー部材
JP7098040B1 (ja) 2021-12-09 2022-07-08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及び関節構造
JP7460840B1 (ja) 2023-09-26 2024-04-02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玩具、及び構造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400A (ja) 2003-07-15 2005-02-10 Takara Co Ltd 人形玩具の肘関節構造
JP2008228897A (ja) * 2007-03-19 2008-10-02 Obitsu Seisakusho:Kk 人形の関節
JP2009050940A (ja) * 2007-08-24 2009-03-12 Nsk Ltd リンク機構及び脚車輪型ロボット
JP3185950U (ja) * 2013-06-28 2013-09-12 有限会社ダイスプロジェクト 人形玩具の2段階関節部材及び人形玩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6971B2 (ja) * 2004-12-03 2010-11-24 株式会社ボークス 人形の脚部構造及び該脚部構造を備える人形
US20170014727A1 (en) * 2015-07-17 2017-01-19 T-Fun Company Limited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400A (ja) 2003-07-15 2005-02-10 Takara Co Ltd 人形玩具の肘関節構造
JP2008228897A (ja) * 2007-03-19 2008-10-02 Obitsu Seisakusho:Kk 人形の関節
JP2009050940A (ja) * 2007-08-24 2009-03-12 Nsk Ltd リンク機構及び脚車輪型ロボット
JP3185950U (ja) * 2013-06-28 2013-09-12 有限会社ダイスプロジェクト 人形玩具の2段階関節部材及び人形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9372B1 (ko) 2024-08-28
JP2019122505A (ja) 2019-07-25
JP6990915B2 (ja)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300A (ko) 인형
JP4268197B2 (ja) 人形の関節
US3628282A (en) Articulated fashion doll
JP3341213B2 (ja) 人形玩具
KR101834085B1 (ko) 인형체의 관절 구조
KR101780600B1 (ko) 인형체의 견관절 구조
US7077717B2 (en) Doll with angled and jointed torso
CN112691391B (zh) 人形玩具
JP6774541B1 (ja) 関節構造及び人形体
JP7465188B2 (ja) 可動構造及び人形体
CN111957054B (zh) 人形玩具
JP2021061957A (ja) 可動構造及び組立玩具
US3938277A (en) Articulated toy figure
US20150375127A1 (en) Doll figure
JP2004344190A (ja) 形態変形玩具
JP2018117706A (ja) 人形の首関節構造
JP2019063339A (ja) 人形の関節構造
JP2022174216A5 (ko)
JP2019202074A (ja) 人形の腰部関節構造及び人形
JP7137175B2 (ja) 人形の関節構造
KR200480996Y1 (ko) 구체관절인형
US3611626A (en) Animated doll
JP2019202073A (ja) 人形の関節構造及び人形
KR20200030247A (ko) 자석을 구비한 조인트 구조체
JP6951727B2 (ja) 人形用の関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