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085B1 - 인형체의 관절 구조 - Google Patents

인형체의 관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085B1
KR101834085B1 KR1020160116991A KR20160116991A KR101834085B1 KR 101834085 B1 KR101834085 B1 KR 101834085B1 KR 1020160116991 A KR1020160116991 A KR 1020160116991A KR 20160116991 A KR20160116991 A KR 20160116991A KR 101834085 B1 KR101834085 B1 KR 101834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hest
joint structure
angle
d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162A (ko
Inventor
즈토무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7004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8Mounting of parts within dolls, e.g. automatic eyes or parts for ani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외관 디자인의 매력 저감을 억제하면서 관절부의 가동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
인형 완구(2)의 흉부(20)를, 중앙 흉부 부품(22)과, 당해 흉부 중앙 부품(22)에 대하여 전후로 요동 가능한 좌방 흉부 부품(24) 및 우방 흉부 부품(26)으로 분할 구성한다. 좌방 흉부 부품(24) 및 우방 흉부 부품(26)은 각각 상완부(40)를 지지함과 함께, 그 단부가 중앙 흉부 부품(22)의 내측에 인입되어, 이어짐이 있는 외관을 형성한다. 상완부(40)를 전방을 향하게 함과 함께, 좌방 흉부 부품(24) 및 우방 흉부 부품(26)을 전방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인형 완구(2)에, 어깨를 앞으로 오므리면서 양팔을 정면으로 내뻗는 멋진 포즈를 재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형체의 관절 구조 {JOINT STRUCTURE FOR TOY BODY}
본 발명은 인형체의 관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부위별의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되며, 다양한 포즈를 취하게 하여 놀 수 있는 인형 완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어깨 등의 연결 부분을 연질재로 형성하고, 변형 또는 휨에 의하여 가동 영역을 확장한 인형 완구의 관절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3185443호 공보
그런데 인형 완구의 디자인 테마의 하나로서, 인간형 로봇의 디자인이 알려져 있다. 인간형 로봇으로서 디자인된 인형 완구에서는, 흉부나 복부, 요부 등 주요한 구간(軀幹)은 장갑에 덮인 직선적이고 기계적인 디자인의 것이 많으며, 종래 그들 구간 부품은 하나의 상자형 부품으로서 디자인되어 왔다. 그 때문에, 구간에 설치된 가동 부위의 가동에 부자유가 발생하기 쉬웠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히어로물의 TV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에서는, 가슴 앞에서 뻗은 양손을 맞잡듯이 하여 검이나 총을 취하는 포즈는 자주 등장하므로, 유저로서는 꼭 인형 완구로 그것을 재현하고 싶다고 바라는 바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흉부를 하나의 상자형체로서 디자인해 버리면, 견관절에 연결된 상완의 어깨 부분의 위치는 거의 고정이다. 그 때문에, 팔을 앞으로 크게 내미는 포즈를 취하게 하고자 하더라도, 어깨 부분의 위치는 그대로이고 팔만이 전방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소위 「앞으로 나란히」의 포즈로 되어 버리고 있었다. 또한 팔을 전방을 향하게 하여 주관절을 구부림으로써 양손을 맞잡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면 꼴사나운 "자세"로 되어 버려, 팔을 뻗는 본래의 "자세"로부터 동떨어져 있었다. 어찌 되었든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연질재를 사용한 관절 기구를 사용하면, 상기 "자세"가 실현되는 것은 아닐까도 생각된다. 그러나 연질재의 주름이나 휨이 보여 버리면, "자세" 자체는 가능하지만 외관 디자인의 본래의 매력이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휜 연질재가 복원되고자 하기 때문에 상기 "자세"를 유지할 수 없다.
상술한 "자세"의 문제는 일례이며, 다른 관절부에 있어서도 당해 관절부를 크게(또는 깊게) 구부리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외관 디자인의 매력 저감을 억제하면서 관절부의 가동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인형체의 관절 구조는, 인형체의 관절 구조이며, 구간을 구성하는 제1 부품{예를 들어 도 8의 흉부(20), 도 14의 복부(30)}과, 사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2 부품{예를 들어 도 8의 상완부(40), 도 14의 대퇴부(44)}과, 상기 구간의 일부 또는 상기 구간의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3 부품이며, 상기 제2 부품과 상기 제1 부품이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도록 회전한 경우에, 상기 제2 부품의 당해 회전에 맞춰 당해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3 부품{예를 들어 도 8의 흉부(20)의 좌방 흉부 부품(24) 및 우방 흉부 부품(26), 도 14 및 도 21의 대현수부(大懸垂部)(81), 좌전방 현수부(83), 우전방 현수부(8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3 부품은,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3 부품의 회전 시에 부분적으로 한쪽이 외측, 다른 쪽이 내측에 중첩되도록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부품이 상기 제1 부품 근처의 단부에, 회전 시에 상기 제1 부품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테이퍼면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부품을 각도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3의 좌완용 볼 스터드(243), 좌견 축(244)}은, 상기 제3 부품을 방향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3의 좌측 요동 축(226)}보다도 상기 구간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부품은 흉부 중앙용의 부품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팔용의 부품이며, 상기 제3 부품은 흉부 좌우에 위치하는 부품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부품이 상기 제2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의 볼 스터드(75)}은, 상기 제3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15의 대현수 가동 축(74))보다도 하방에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부품은, 당해 제3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15의 대현수 가동 축(74)}보다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갖고,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의 당해 제3 부품의 회전 시에, 상기 제3 부품의 당해 윗부분과 당해 아랫부분 중 한쪽이 상기 제1 부품의 외측에, 다른 쪽이 상기 제1 부품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예를 들어 도 16 내지 도 19).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부품은 복부용의 부품{예를 들어 도 14의 복부(30)}이고, 상기 제2 부품은 다리부용의 부품{예를 들어 도 14의 대퇴부(44)}이며, 상기 제3 부품은 요부 외관용의 부품{예를 들어 도 14의 대현수부(81)}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부품은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며, 일 단부가 상기 제3 부품의 요동 축을 지지하고, 타 단부가 축 지지된 링크 부품{예를 들어 도 15의 대현수 링크(72)}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타 단부를 축 중심으로 하여 상기 링크 부품을 상하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제3 부품의 상기 요동 축을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2 부품을 회전시킨 경우에, 상기 링크 부품을 하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3 부품의 간섭 방지 공간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상반신 부분의 사시 외관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정면도이며, 좌방 흉부 부품의 정면측을 커트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정면에서 본 분해도이며, 좌방 흉부 부품의 정면측을 커트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인형 완구의 상면도.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며, 양 어깨를 후방으로 방향 변경한 경우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A 단면도이며, 양 어깨를 전방으로 방향 변경한 경우의 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방 흉부 부품 및 우방 흉부 부품을 움직이지 않고 팔을 앞으로 내민 포즈의 상면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방 흉부 부품 및 우방 흉부 부품을 움직여 팔을 앞으로 내민 포즈의 상면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상반신부의 정면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내부 구조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정면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방 흉부 부품 및 우방 흉부 부품을 움직이지 않고 팔을 앞으로 내민 포즈의 상면도.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방 흉부 부품 및 우방 흉부 부품을 움직여 팔을 앞으로 내민 포즈의 상면도.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요기부(腰基部)와 대퇴부와 대현수부의 연결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 분해도.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에 직립 자세를 취하게 하고 있는 상태의 요부 주위의 부품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간략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서 이어지는 천이도.
도 18은 도 17에서 이어지는 천이도.
도 19는 도 18에서 이어지는 천이도이며, 대퇴부를 앞으로 내밀고 복부를 접어 구부린 상태의 요부 주위의 부품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간략 단면도.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요부 주위의 부품을 발출하여 도시한 간략 사시도이며, 대퇴부를 움직였지만 대현수부를 움직이지 않는 경우의 요부 주위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요부 주위의 부품을 발출하여 도시한 간략 사시도이며, 대퇴부를 움직임에 따라 대현수부를 움직인 경우의 요부 주위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의 상반신 부분의 사시 외관도이다.
인형 완구(2)는 부위별의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한 완구이다. 도시예에서는, 인형 완구(2)의 헤드부(10)와, 흉부(20)와, 복부(30)와, 상완부(40)와, 배낭부(50)의 각 부품을 선택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부위의 부품(예를 들어 하완부나, 요부, 다리부 등)도 적절히 구비한다. 유저는, 이들 각 부품의 상대 방향이나 상대 자세를 임의로 변경하여, 인형 완구(2)의 포즈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즐길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흉부(20)는, 중앙 흉부 부품(22)과, 좌방 흉부 부품(24)과, 우방 흉부 부품(26)을 갖는다.
신체적으로는, 중앙 흉부 부품(22)은 구간을 구성하는 제1 부품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흉부(20)의 좌우 중앙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좌방 흉부 부품(24)과 우방 흉부 부품(26)은 구간의 일부 또는 구간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3 부품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우견 및 우폐부에 상당하는 우반체, 좌견 및 좌폐부에 상당하는 좌반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 흉부 부품(22)의 외면과, 좌방 흉부 부품(24)의 외면과, 우방 흉부 부품(26)의 외면으로, 흉부(20)로서의 일체적으로 이어진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2)의 정면도이며, 좌방 흉부 부품(24)의 정면측을 커트한 부분 단면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2)의 정면에서 본 분해도이며, 좌방 흉부 부품(24)의 정면측을 커트한 부분 단면도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인형 완구(2)의 상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중앙 흉부 부품(22)은 좌우 대칭 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부 부품(221)과 하부 부품(222)을 갖는다.
상부 부품(221)은 좌우와 하방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체이며, 흉부(20)의 상면·중앙 정면·중앙 배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에는, 헤드부(10)를 연결하는 볼 조인트(12)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인트부(223)를 갖는다.
하부 부품(222)은, 복부(30)와 연결되는 흉부(20)의 저면(224)과, 조인트부(223)와 연결하는 조인트 연결 기둥부(225)와, 좌방 흉부 부품(24)을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좌측 요동 축(226)과, 우방 흉부 부품(26)을 좌우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우측 요동 축(227)을 갖는다.
좌방 흉부 부품(24)과 우방 흉부 부품(26)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좌우 대칭형을 이루고 있다. 이후에서는 대표로 좌방 흉부 부품(24)에 대하여 설명하기 로 한다.
좌방 흉부 부품(24)은 우방과 하방으로 개구된 상자형체이며, 흉부 좌반체의 정면·측면·배면 및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하는 좌측 외장부(241)와, 좌측 요동 축(226)을 상하로 삽입 관통시키는 좌측 베어링(242)과, 좌측의 상완부(40)(제2 부품)를 볼 조인트 연결하기 위한 좌완용 볼 스터드(243)를 갖는다. 좌완용 볼 스터드(243)는 흉부 좌반체의 전후 중앙 상면을 형성하며, 좌측 외장부(241) 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좌견 축(244)에 의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즉, 인형 완구(2)는, 좌견 축(244)으로 좌완용 볼 스터드(243)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좌견을 올리는 포즈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완부(40)(제2 부품)를 각도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좌완용 볼 스터드(243), 좌견 축(244)}은, 좌방 흉부 부품(24)(제3 부품)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좌측 요동 축(226)}보다도 구간의 중심선 L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면에서 보면, 좌측 요동 축(226)은, 흉부(20)의 전후 중심선 L2에 대하여 흉부 배면에 가까운 위치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인형 완구(2)의 상반신에 있어서는, 좌측 요동 축(226)을 좌측 베어링(242)에 삽입하도록 하고, 좌방 흉부 부품(24)이 하부 부품(222)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하여, 우측 요동 축(227)을 우측 베어링에 삽입하도록 하고, 우방 흉부 부품(26)이 하부 부품(222)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또한 좌방 흉부 부품(24) 및 우방 흉부 부품(26) 상으로부터 상부 부품(221)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방 흉부 부품(24) 및 우방 흉부 부품(26)에 각각 상완부(40)가 부착되고, 조인트부(223)에 헤드부(10)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방 흉부 부품(24)의 우측 단부의 선단이 중앙 흉부 부품(22)의 좌방 개구부로부터 그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되고, 우방 흉부 부품(26)의 좌측 단부의 선단이 중앙 흉부 부품(22)의 우방 개구부로부터 그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된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며, 양 어깨를 후방으로 방향 변경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어깨를 뒤로 휘게 하여 가슴을 펴는 포즈를 취하게 할 수 있다.
즉, 구간을 구성하는 중앙 흉부 부품(22)의 후방면과 좌방 흉부 부품(24)의 후방면이 이루는 각도가 저감되도록, 좌측 요동 축(226)을 중심으로 하여 좌방 흉부 부품(24)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좌완용 볼 스터드(243)는 후방으로 회전하고, 흉부(20)의 정면은, 전방을 향하여 볼록함을 이루도록 대략 만곡된 듯이 변형되어, 마치 가슴을 펴는 듯한 포즈가 완성된다.
이때, 좌방 흉부 부품(24)의 전방측 또한 중앙 흉부 부품(22) 근처의 단부는, 방향을 바꿈에 따라 중앙 흉부 부품(22)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었던 부분이 인출되는 꼴로 되어, 좌방 흉부 부품(24)과 중앙 흉부 부품(22) 사이에 간극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흉부(20)로서의 이어진 외관을 적절히 유지한다. 마찬가지의 사항은 우방 흉부 부품(26)과 중앙 흉부 부품(22) 사이에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좌방 흉부 부품(24)의 중앙 흉부 부품(22) 근처의 단부와, 우방 흉부 부품(26)의 흉부 중앙 근처의 단부에는, 각각 테이퍼면 T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흉부 부품(22)에 대하여 방향을 변경할 때, 중앙 흉부 부품(22)과의 접촉을 회피함과 함께, 외면의 매끄러운 이어짐을 자아내고 있다. 또한 테이퍼면 T의 형상은 직선적인 구배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동 축(226, 227)을 중심으로 한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곡면으로 형성해도 되고, 중앙 흉부 부품(22)과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체적을 감소시킨 자유 곡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6은 도 2의 A-A 단면도이며, 양 어깨를 전방으로 방향 변경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어깨를 앞으로 오므리는 포즈를 취하게 할 수 있다.
즉, 구간을 구성하는 중앙 흉부 부품(22)의 전방면과 좌방 흉부 부품(24)의 전방면이 이루는 각도가 저감되도록, 좌측 요동 축(226)을 중심으로 하여 좌방 흉부 부품(24)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좌완용 볼 스터드(243)는 앞으로 회전하고, 흉부(20)의 정면의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되어, 마치 어깨를 앞으로 오므리는 듯한 포즈가 완성된다. 이때, 좌방 흉부 부품(24)의 전방측 중앙 흉부 부품(22) 근처의 단부는, 방향을 바꿈에 따라 중앙 흉부 부품(22)의 더 내측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마치 어깨를 앞으로 오므리는 듯한 포즈로 하고자 한 때, 좌방 흉부 부품(24)과 중앙 흉부 부품(22)으로 형성하는 흉부 전방의 체적이 작아져 상완부(4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완부(40)의 가동 범위를 확대하면서도 흉부(20)로서 이어진 외관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사항은 우방 흉부 부품(26)과 중앙 흉부 부품(22) 사이에도 말할 수 있다.
양 어깨를 앞으로 오므리는 포즈를 취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2)는 더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포즈를 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령 종래의 인형 완구와 같이 흉부(20)가 하나의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중앙 흉부 부품(22)·좌방 흉부 부품(24)·우방 흉부 부품(26)과 같은 분할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양 어깨를 앞으로 오므릴 수 없으므로, 양팔을 앞(도 7의 하측)을 향하게 하더라도 소위 「앞으로 나란히」의 자세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흉부(20)가 중앙 흉부 부품(22)·좌방 흉부 부품(24)·우방 흉부 부품(26)의 분할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양 어깨를 앞으로 오므려 양팔을 앞을 향하게 하여, 마치 양팔을 뻗은 상태에서 가슴 앞에서 맞잡는 듯한 포즈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정면에 총을 겨누는 멋진 포즈 등을 재현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좌방 흉부 부품(24)이나 우방 흉부 부품(26)의 가동 축{좌측 요동 축(226), 우측 요동 축(227)}을, 좌우의 팔의 가동 축인 볼 스터드(243)와 구간의 중심(중심선 L1)과의 중간에 설치함으로써(도 3 참조), 중앙 흉부 부품(22)과 좌방 흉부 부품(24)과 우방 흉부 부품(26)을, 흉부로서 이어진 인상으로 상면에서 보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요동 축(226), 우측 요동 축(227)을, 흉부(20)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 L2에 대하여 배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한 점은(도 4 참조), 어깨를 전방으로 요동시킬 때의 좌방 흉부 부품(24) 및 우방 흉부 부품(26)의 각각의 중앙 흉부 부품(22) 근처의 단부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함으로써, 중앙 흉부 부품(22)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테이퍼면을 작게 하여, 중앙 흉부 부품(22)과 좌방 흉부 부품(24)과 우방 흉부 부품(26)을, 흉부로서 이어진 인상으로 상면에서 보는 것을 실현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2B)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상반신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인형 완구(2B)의 내부 구조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11은 인형 완구(2B)의 좌측면도이다.
인형 완구(2B)의 흉부(20)는, 중앙 흉부 부품(22B)과, 좌방 흉부 부품(24B)과, 우방 흉부 부품(26B)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중앙 흉부 부품(22B)은 좌우로 개구되는 대략 상자형체이며, 상부 부품(221B)과 하부 부품(222B)이 연결된다. 좌방 흉부 부품(24B) 및 우방 흉부 부품(26B)은, 중앙 흉부 부품(22B)의 좌우의 개구부를 각각 덮는 대략 주발형 또는 대략 접시형의 구조체이다. 즉, 좌방 흉부 부품(24B)의 우측 단부는 중앙 흉부 부품(22B)의 좌방 개구부의 외측을 덮고, 우방 흉부 부품(26B)의 좌측 단부는 중앙 흉부 부품(22B)의 우방 개구부의 외측을 덮고 있어, 흉부(20)로서의 일체적으로 이어진 외관을 구성하고 있다.
중앙 흉부 부품(22B)과 좌방 흉부 부품(24B) 및 우방 흉부 부품(26B)과의 연결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 조인트(27)에 의하여 실현된다. 또한 상완부(40)와 좌방 흉부 부품(24B) 및 우방 흉부 부품(26B)과의 연결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 조인트(28)에 의하여 실현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인형 완구(2B)의 어깨 및 팔의 자유도는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높아진다.
당연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2B)도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양 어깨를 앞으로 오므리는 포즈를 취하게 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가령 흉부(20B)가 하나의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중앙 흉부 부품(22B)·좌방 흉부 부품(24B)·우방 흉부 부품(26B)의 분할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은 일체 구성이라고 가정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어깨를 앞으로 오므릴 수 없으므로, 양팔을 앞(도 12의 하측)을 향하게 하더라도 소위 「앞으로 나란히」의 자세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흉부(20B)가 중앙 흉부 부품(22B)·좌방 흉부 부품(24B)·우방 흉부 부품(26B)의 분할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양 어깨를 앞으로 오므려 양팔을 앞을 향하게 하면, 마치 내민 양팔을 가슴 앞에 내뻗어 맞잡은 포즈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가슴 앞에서 검을 치켜든다는 멋진 포즈를 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흉부 부품(22B)과 좌방 흉부 부품(24B) 및 우방 흉부 부품(26B)과의 연결이 볼 조인트(27)에 의하여 실현되어 있으므로, 어깨는 앞뿐만 아니라 전방측 비스듬히 하방이나 전방측 비스듬히 상방, 머리 위 방향, 후방측 비스듬히 상방, 후방측 비스듬히 하방으로도 오므릴 수 있다. 그리고 중앙 흉부 부품(22)의 외면과 좌방 흉부 부품(24)의 외면과 우방 흉부 부품(26)의 외면으로, 흉부(20)로서의 일체적으로 이어진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하고,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형 완구(2C)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인형 완구(2C)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헤드부(10)·흉부(20)·복부(30)·요부(60)를 구비하며, 이들 중 인접하는 부품끼리는 볼 조인트에 의하여 상대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부(60)는, 요기부(70)와, 요기부(70)의 측면을 덮는 복수의 외장부(80)를 구비한다.
외장부(80)를, 요부(60)의 정면을 배꼽부에서 고간까지를 일체로 덮는 대현수부(81)와, 대현수부(81)의 상단부에 볼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대퇴 관절부의 전방을 덮는 좌전방 현수부(83) 및 우전방 현수부(84)와, 요부(60)의 좌우 측면을 덮는 좌측 현수부(85) 및 우측 현수부(86)와, 요부(60)의 후방을 덮는 엉덩이 현수부(87)(도 17 참조)를 구비한다. 좌측 현수부(85) 및 우측 현수부(86)는, 각각의 상단부에서 요기부(70)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횡축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하단부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5는, 요기부(70)와 대퇴부(44)와 대현수부(81)의 연결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 분해도이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를 투시로 도시함과 함께, 요기부(70)와 다른 현수부{좌측 현수부(85), 우측 현수부(86), 엉덩이 현수부(87)}의 연결 구조는 도시 생략하고 있다.
요기부(70)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상자체이며, 그 상단부에 복부(30)와 볼 조인트로 연결하기 위한 볼 스터드(71)를 갖는다.
또한 요기부(70)의 전방 상부에는 대현수 링크(72)가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대현수 링크(72)의 후방 조인트는, 링크 가동 축(73)에 의하여 요기부(70)에 대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대현수 링크(72)의 전방 조인트는, 대현수부(81)의 이면의 상하 중간부에 설치된 베어링부(82)에서 대현수 가동 축(74)으로 연결되어, 대현수부(81)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요기부(70)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대퇴부(44)와 볼 조인트로 연결하기 위한 볼 스터드(75)를 갖는 대퇴 링크(76)가 연결되어 있다.
대퇴 링크(76)의 전방 조인트는 링크 가동 축(73)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대퇴 링크(76)의 후방 조인트는, 요기부(70)에 형성된 원호형의 가이드 홈(77)에 끼워 맞춰져 있다. 즉, 대퇴 링크(76)는, 링크 가동 축(73)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 조인트부를 요기부(70)의 좌우 측면의 가이드 홈(77)을 따라 상하로 요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보면, 복부(30)(제1 부품)에 대하여 대퇴부(44)(제2 부품)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볼 스터드(75)}은, 대현수부(81)(제3 부품)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대현수 가동 축(74)}보다도 하방에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서 보면, 대퇴부(44)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볼 스터드(75)}은, 대현수부(81)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대현수 가동 축(74)}보다도 후방에 있으며, 구간의 중심{볼 스터드(71)}에 더 가까운 전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인형 완구(2C)를, 직립 자세로부터 한쪽 무릎을 세우고 앉는 자세이고 또한 몸을 앞으로 굽힌 자세로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요부(60) 주위의 부품이 취할 수 있는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상대 위치 관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의 부품은 투시로 도시하고, 또한 일부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6은, 인형 완구(2C)에 직립 자세를 취하게 하고 있는 상태의 요부(60) 주위의 부품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간략 단면도이다.
복부(30)는, 내부 공간에, 볼 스터드(71)와 연결하는 소켓부(31)를 내부에 가짐과 함께, 전방측 하단부에는, 대현수부(81)의 상단부를 삽입 가능한 개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직립 자세에 있어서의 대현수부(81)는 거의 상하로 선 자세로 있으며, 그 상단부는 복부(30)의 전방면과 근접한 위치에 있어 개구부(32)를 덮어 가리고 있다. 그 때문에, 인형 완구(2C)를 정면에서 보면 개구부(32)의 존재는 눈에 띄지 않아, 흉부(20) → 복부(30) → 요부(60)로 큰 절결이 없이 이어진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직립 자세에 있어서는, 요부(60)의 가로 주위도 외장부(80)에 의하여 큰 절결이 없이 이어진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도 14 참조).
여기서, 인형 완구(2C)에, 한쪽 무릎을 세우고 앉는 포즈를 취하게 하기 위해서는, 대퇴부(44)(도 16 내지 도 19에서는 투시 상태로 도시)를 앞을 향하게 하여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으며, 요부(60) 주위의 부품은 도 17 → 도 18 → 도 19와 같이 천이한다. 즉, 대퇴 링크(76)는, 링크 가동 축(73)을 회전축으로 하여 요동되고 볼 스터드(75)가 요기부(70)의 전방측 하단부까지 내려진다. 그와 함께, 대퇴부(44)는 전방면을 위로 향하게 하듯이 옆으로 넘어진 자세로 된다.
그리고 인형 완구(2C)에, 몸을 앞으로 굽히게 하기 위해서는, 대퇴 링크(76)와 대퇴부(44)의 방향의 변경에 병행하여, 대현수부(81)의 각도를 바꾸면서 복부(30)를, 요부(60)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저감되도록 방향을 바꾼다. 즉, 복부(30)를 전방을 향하게 하여 쓰러뜨린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자세에 있어서의 대현수 링크(72)에서는, 전방 조인트는 링크 가동 축(73)이나 볼 스터드(75)보다 상방에 있다. 이로부터 몸을 앞으로 굽히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7 →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현수 링크(72)를, 링크 가동 축(7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 조인트를 내리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대현수 링크(72)의 요동 축이 내려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대현수부(81)의 요동 축이 복부(30)로부터 이격된다. 이것에 의하여, 복부(30)(제1 부품)와 대현수부(81)(제3 부품)의 간섭 방지 공간 Sp(도 18 참조)가 확대된다.
그로부터, 도 18 →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현수부(81)의 상단부를 복부(30)의 개구부(32)를 향하여 경사지게 한다. 그에 수반하여 복부(30)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대현수부(81)의 상단부를 복부(30)의 내부 공간에 삽입시킨다. 이 결과, 복부(30)를 크게 굽히게 하면서, 정면에서 보면 복부(30)로부터 요부(60)에 걸쳐 큰 절결이 없이 이어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현수부(81)의 상단부에는 테이퍼면 T가 형성되어 있어(도 15, 도 16 참조), 대현수부(81)의 방향을 변경할 때 복부(30)의 개구부(32)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효과를 낳는다.
그리고 이러한 대현수부(81)의 요동 위치의 이동과 방향의 변경은, 요부(60)의 가로 주위의 외관에 대해서도 큰 절결이 없이 이어진 외관을 형성하는 효과를 초래한다.
도 20과 도 21은, 요부(60) 주위의 부품을 발출하여 도시한 간략 사시도이다.
가령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대현수부(81)의 요동 위치{대현수 링크(72)의 전방 조인트; 대현수 가동 축(74)(도 15 참조)}를 바꿀 수 없는 구성이라고 가정하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형 완구(2C)에, 한쪽 무릎을 세우고 앉는 포즈를 취하게 하기 위하여 우측의 대퇴부(44)를 전방으로 치켜든 경우에는, 우전방 현수부(84)도 치켜들려지게 되는데, 대현수부(81)는 직립 자세의 위치인 채로 되어 우측 서혜부에 큰 외관의 절결부(9)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현수부(81)를 전방으로 치켜들면서 눕힐 수 있으므로, 우전방 현수부(84) → 대현수부(81) → 좌전방 현수부(83)의 가로 주위에 있어서 큰 절결이 없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어, 외관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실시 형태에 관한 인형 완구의 관절 구조에 의하면, 제2 부품{예를 들어 도 8의 상완부(40), 도 14의 대퇴부(44)}을, 제1 부품{예를 들어 도 8의 흉부(20), 도 14의 복부(30)}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도록 움직일 때, 제3 부품{예를 들어 도 8의 흉부(20)의 좌방 흉부 부품(24) 및 우방 흉부 부품(26), 도 14 및 도 21의 대현수부(81), 좌전방 현수부(83), 우전방 현수부(84)}을 제2 부품의 움직임에 맞춰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품을 중앙 흉부, 제2 부품을 팔부, 제3 부품을 좌우 흉부로 하고, 인형 완구에, 가슴 앞에서 양손을 맞잡듯이 팔을 내뻗는 포즈를 취하게 하고자 한 경우, 팔의 움직임에 맞춰 좌우 흉부(흉부의 좌우부)를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이면 하나의 상자형으로서 구성되어 있었던 구간(이 예에서는 흉부 전체)을 제1 부품과 제3 부품으로 분할 구성하고, 제2 부품의 움직임에 맞춰 제3 부품도 움직임으로써, 관절부의 가동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외견상으로는, 제3 부품이 제1 부품과 제2 부품 사이를 중개함으로써, 제1 부품 ~ 제3 부품 ~ 제2 부품으로 이어지는, 단절감(외견의 큰 절결)이 없는 이어진 외관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의 매력 저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3 부품은,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3 부품의 회전 시에 부분적으로 한쪽이 외측, 다른 쪽이 내측에 중첩되도록 구성하고 있음으로써, 제1 부품과 제3 부품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외견상의 단절감이 적은, 이어짐이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3 부품이 상기 제1 부품 근처의 단부에, 회전 시에 상기 제1 부품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테이퍼면을 갖고 있으므로, 제1 부품과 제3 부품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하더라도 확실히 양 부품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면이 제1 부품의 외면과 제3 부품의 외면의 각도의 차이를 적당히 완충하여, 제1 부품이나 제3 부품이 직선적인 디자인이더라도 양 부품의 외관의 이어짐을 더 매끄럽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부품을 각도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3의 좌완용 볼 스터드(243), 좌견 축(244)}은, 상기 제3 부품을 방향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3의 좌측 요동 축(226)}보다도 상기 구간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부품의 측방에 제2 부품을 배치하는 구성이더라도, 제2 부품이 제1 부품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보다도 완만한 각도로 제1 부품과 각도를 이루는 제3 부품을 제1 부품과 제2 부품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형 완구 전체로서의 포즈를 본 때, 제1 부품의 외면 ~ 제3 부품의 외면 ~ 제2 부품의 외면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외면의 각도 변화가 더 매끄러워져 아름답게 보이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품은 흉부 중앙용의 부품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팔용의 부품이며, 상기 제3 부품은 흉부 좌우에 위치하는 부품이고, 이와 같이, 흉부를 중앙과 좌우의 적어도 3개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어깨를 앞으로 오므리는 것이 가능해져, 가슴 앞에 양팔을 뻗은 상태에서 양손을 맞잡듯이 하여 검이나 총을 취한다는 등의 멋진 포즈를 인형 완구로 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3 부품이 상기 제2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있으므로, 제2 부품의 지지 구조를 제3 부품에 겸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의 볼 스터드(75)}은, 상기 제3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15의 대현수 가동 축(74)}보다도 하방에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부품의 하방에 제2 부품을 배치하는 구성이더라도, 제2 부품이 제1 부품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보다도 완만한 각도로 제1 부품과 각도를 이루는 제3 부품을 제1 부품과 제2 부품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형 완구 전체로서의 포즈를 본 때, 제1 부품의 외면 ~ 제3 부품의 외면 ~ 제2 부품의 외면으로 이어지는 외면의 각도 변화가 더 매끄러워져 아름답게 보이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3 부품은, 당해 제3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예를 들어 도 15의 대현수 가동 축(74)}보다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갖고,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의 당해 제3 부품의 회전 시에, 상기 제3 부품의 당해 윗부분과 당해 아랫부분 중 한쪽이 상기 제1 부품의 외측에, 다른 쪽이 상기 제1 부품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예를 들어 도 16 내지 도 19), 제1 부품과 제3 부품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외견상 단절감이 적어 연속감이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품은 복부용의 부품{예를 들어 도 14의 복부(30)}이고, 상기 제2 부품은 다리부용의 부품{예를 들어 도 14의 대퇴부(44)}이며, 상기 제3 부품은 요부 외관용의 부품{예를 들어 도 14의 대현수부(81)}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제2 부품인 바의 다리부의 위치 변경에 따라 제3 부품인 요부 외관용 부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한쪽 무릎을 세우고 않는 포즈를 취하게 함에 따라, 허리 주위의 외관용 부품을 적당한 위치로 변경하여, 자연스럽고 보기 좋은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3 부품은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며, 일 단부가 상기 제3 부품의 요동 축을 지지하고, 타 단부가 축 지지된 링크 부품{예를 들어 도 15의 대현수 링크(72)}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타 단부를 축 중심으로 하여 상기 링크 부품을 상하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제3 부품의 상기 요동 축을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3 부품{예를 들어 도 14의 대현수부(81)}의 요동 축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제3 부품의 변경 가능한 자세나 위치를 확장하여, 인형 완구의 다양한 포즈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2 부품을 회전시킨 경우에, 상기 링크 부품을 하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3 부품의 간섭 방지 공간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 부품의 회전에 수반하여 링크 부품이 하방으로 요동함으로써, 제3 부품 전체가 제1 부품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섭 방지 공간이 확대된다. 간섭 방지 공간의 확대는, 제1 부품과 간섭시키지 않는 위치로 제3 부품을 변경하는 여지의 확대이며, 제1 부품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의 제3 부품의 방향을 변경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인형 완구 전체로서 보면, 제1 부품에 대한 제3 부품이 이루는 각도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한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생략·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완구의 예로서 인형 완구를 들었지만, 인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물, 조류, 곤충, 갑각류 등 체구로부터 가동 부위가 돌출되도록 연결한 구성체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가동 부위의 예로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팔이나 다리를 들었지만, 목이나 포신, 뿔, 촉각, 센서 등 완구의 디자인에 따라 적절히 호칭을 바꿀 수 있다.
2, 2B, 2C: 인형 완구
9: 단절부
10: 헤드부
12: 볼 조인트
20, 20B: 흉부
22, 22B: 중앙 흉부 부품
226: 좌측 요동 축
227: 우측 요동 축
24, 24B: 좌방 흉부 부품
241: 좌측 외장부
242: 좌측 베어링
243: 좌완용 볼 스터드
244: 좌견 축
26, 26B: 우방 흉부 부품
30: 복부
31: 소켓부
32: 개구부
40: 상완부
44: 대퇴부
60: 요부
70: 요기부
71: 볼 스터드
72: 대현수 링크
73: 링크 가동 축
74: 대현수 가동 축
75: 볼 스터드
76: 대퇴 링크
77: 가이드 홈
80: 외장부
81: 대현수부
82: 베어링부
83: 좌전방 현수부
84: 우전방 현수부
L1: 중심선
L2: 중심선
Sp: 간섭 방지 공간
T: 테이퍼면

Claims (11)

  1. 인형체의 관절 구조이며,
    구간을 구성하는 제1 부품과,
    사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2 부품과,
    상기 구간의 일부 또는 상기 구간의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3 부품이며, 상기 제2 부품과 상기 제1 부품이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도록 회전한 경우에, 상기 제2 부품의 당해 회전에 맞춰 당해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3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품은 흉부 중앙용의 부품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팔용의 부품이며,
    상기 제3 부품은 상기 제1 부품의 좌방 혹은 우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부품을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흉부의 정면의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인형체의 관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3 부품은,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3 부품의 회전 시에 부분적으로 한쪽이 외측, 다른 쪽이 내측에 중첩되도록 구성된,
    인형체의 관절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품은 상기 제1 부품 근처의 단부에, 회전 시에 상기 제1 부품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테이퍼면을 갖는,
    인형체의 관절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부품을 각도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은, 상기 제3 부품을 방향 변경하기 위한 가동 축보다도 상기 구간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구성된,
    인형체의 관절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품이 상기 제2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인형체의 관절 구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면에서 보아, 상기 제2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은, 상기 제3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보다도 하방에 설치되어 구성된,
    인형체의 관절 구조.
  7. 인형체의 관절 구조이며,
    구간을 구성하는 제1 부품과,
    사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2 부품과,
    상기 구간의 일부 또는 상기 구간의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3 부품이며, 상기 제2 부품과 상기 제1 부품이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도록 회전한 경우에, 상기 제2 부품의 당해 회전에 맞춰 당해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3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부품은, 당해 제3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동 축보다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갖고,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의 당해 제3 부품의 회전 시에, 상기 제3 부품의 당해 윗부분과 당해 아랫부분 중 한쪽이 상기 제1 부품의 외측에, 다른 쪽이 상기 제1 부품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된,
    인형체의 관절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복부용의 부품이고,
    상기 제2 부품은 다리부용의 부품이며,
    상기 제3 부품은 요부 외관용의 부품인,
    인형체의 관절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품은 상기 제1 부품에 대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며,
    일 단부가 상기 제3 부품의 요동 축을 지지하고, 타 단부가 축 지지된 링크 부품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타 단부를 축 중심으로 하여 상기 링크 부품을 상하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제3 부품의 상기 요동 축이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인형체의 관절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루는 각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2 부품을 회전시킨 경우에, 상기 링크 부품을 하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3 부품의 간섭 방지 공간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 인형체의 관절 구조.
  11. 삭제
KR1020160116991A 2015-10-22 2016-09-12 인형체의 관절 구조 KR101834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7775 2015-10-22
JP2015207775A JP6126185B2 (ja) 2015-10-22 2015-10-22 人形体の関節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162A KR20170047162A (ko) 2017-05-04
KR101834085B1 true KR101834085B1 (ko) 2018-03-02

Family

ID=5866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991A KR101834085B1 (ko) 2015-10-22 2016-09-12 인형체의 관절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6185B2 (ko)
KR (1) KR101834085B1 (ko)
CN (2) CN106861199B (ko)
TW (1) TWI6129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3051B1 (ja) * 2017-06-28 2018-03-28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玩具
KR101913539B1 (ko) 2018-03-23 2018-10-30 주식회사 블리츠웨이 흉부 움직임이 가능한 피규어
JP7129217B2 (ja) * 2018-05-25 2022-09-0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人形の腰部関節構造及び人形
JP6796110B2 (ja) * 2018-06-29 2020-12-02 株式会社バンダイ 腕構造及び人型玩具
JP6731029B2 (ja) * 2018-11-16 2020-07-29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型玩具
JP6774541B1 (ja) * 2019-08-07 2020-10-28 株式会社バンダイ 関節構造及び人形体
JP7465188B2 (ja) * 2019-08-07 2024-04-10 株式会社バンダイ 可動構造及び人形体
JP6774540B1 (ja) * 2019-08-07 2020-10-28 株式会社バンダイ 関節構造及び人形体
JP6810781B1 (ja) * 2019-10-11 2021-01-06 株式会社バンダイ 可動構造及び組立玩具
JP6997275B1 (ja) * 2020-09-30 2022-01-17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の関節構造
JP7069288B1 (ja) * 2020-12-28 2022-05-17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及び回動機構
JP7044912B1 (ja) * 2021-01-27 2022-03-30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部品、及び人形玩具
JP7254878B1 (ja) * 2021-11-08 2023-04-10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及び可動構造体
JP7098040B1 (ja) * 2021-12-09 2022-07-08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及び関節構造
JP7178071B1 (ja) 2022-02-12 2022-11-25 株式会社トイズスピリッツ フィギュア
JP7194852B1 (ja) 2022-05-10 2022-12-22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玩具、及び関節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931B2 (ja) 1992-06-02 2001-06-04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R)−(−)−4−シアノ−3−ヒドロキシ酪酸t−ブチル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671048B2 (ja) 2003-09-12 2005-07-13 バタフライ・ストローク・株式會社 紙製人形
JP2007267879A (ja) * 2006-03-30 2007-10-18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人形玩具
JP2011041855A (ja) * 2010-12-01 2011-03-03 Daisu Project:Kk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560A (en) * 1991-08-26 1993-01-05 Wetherell Joseph J Dancing doll
CN2203623Y (zh) * 1993-11-19 1995-07-19 徐崇生 人体玩偶
US6089950A (en) * 1998-06-01 2000-07-18 C. J. Associates, Ltd. Toy figure with articulating joints
JP4278747B2 (ja) * 1998-12-07 2009-06-17 株式会社メディコム・トイ 合成樹脂製人形の肩部の関節構造
US20060281387A1 (en) * 2005-06-13 2006-12-14 Andrea Mcmahan Method and articles for providing education related to human diversity and aquatic wildlife preservation
CN101406757A (zh) * 2007-10-12 2009-04-15 鹏智科技(深圳)有限公司 人形互动玩具
JP5027903B2 (ja) * 2010-05-12 2012-09-19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の関節構造
JP5476441B1 (ja) * 2012-10-05 2014-04-23 株式会社バンダイ 人形体の手首の関節構造、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CN103770116B (zh) * 2014-01-13 2016-08-17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十七自由度人形机器人
CN203861915U (zh) * 2014-05-28 2014-10-08 厦门康硕健身器材有限公司 仿真玩偶的身体关节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931B2 (ja) 1992-06-02 2001-06-04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R)−(−)−4−シアノ−3−ヒドロキシ酪酸t−ブチル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671048B2 (ja) 2003-09-12 2005-07-13 バタフライ・ストローク・株式會社 紙製人形
JP2007267879A (ja) * 2006-03-30 2007-10-18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人形玩具
JP2011041855A (ja) * 2010-12-01 2011-03-03 Daisu Project:Kk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43175A (zh) 2020-02-04
JP2017077429A (ja) 2017-04-27
TWI612995B (zh) 2018-02-01
KR20170047162A (ko) 2017-05-04
TW201714654A (zh) 2017-05-01
CN110743175B (zh) 2021-11-30
CN106861199A (zh) 2017-06-20
JP6126185B2 (ja) 2017-05-10
CN106861199B (zh)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085B1 (ko) 인형체의 관절 구조
JP5645624B2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JP5331987B2 (ja) 人形の関節構造及び人形構成機構
KR101780600B1 (ko) 인형체의 견관절 구조
JP5221466B2 (ja) 人体模型
JP6162270B1 (ja) 人型玩具
JP6692318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2024040248A (ja) 人型玩具
JP3196196U (ja) 人形
JP7037596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5221790B2 (ja) 人体模型の腕部構造
JP6920391B2 (ja) 人型玩具
JP2023021401A (ja) 模型部品、及び関節構造
JP2022174216A (ja) 人形体、股関節部、及び回動機構
JP2019063339A (ja) 人形の関節構造
JP2012011032A (ja) 変形ロボット玩具
JP7337212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2023069868A (ja) 人形体、及び可動構造体
KR200409484Y1 (ko) 삼중 관절 구조를 갖는 모형 인형
JP7143472B1 (ja) 人形型玩具、及び模型の連結部材
JP7137175B2 (ja) 人形の関節構造
JP2023086012A (ja) 人形体、及び関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