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113A -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 Google Patents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113A
KR20190087113A KR1020180005505A KR20180005505A KR20190087113A KR 20190087113 A KR20190087113 A KR 20190087113A KR 1020180005505 A KR1020180005505 A KR 1020180005505A KR 20180005505 A KR20180005505 A KR 20180005505A KR 20190087113 A KR20190087113 A KR 2019008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duct
range hood
backflow
outlet
ventila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320B1 (ko
Inventor
이은택
조우진
백남월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최창호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3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은 레인지후드의 배기덕트 끝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그 일부분이 배출구로 이루어진 커버부; 상기 몸체부와 커버부 사이에 제공되는 그물망; 상기 커버부의 배출구 측에 형성되어 배출구로 실내공기가 배기될 때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판; 을 포함하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FLOWING BACKWARD PREVENTION CAP OF EXHAUST DUCT FOR RANGE HOOD}
본 발명은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공기는 거주자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먼지와 호흡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생성 및 조리용 가스기기의 사용에 따른 오염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건물의 내부는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밀폐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실내공기가 오염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호흡기질환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 배기덕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배기덕트의 끝단부에는 빗물이나 벌레 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기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캡이 설치된다.
환기캡은 배기덕트의 끝단부에 조립되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진다.
몸체부에는 그물망이 형성되거나 또는 그물망과 함께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커버부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배출구로 형성되어 배출구로 실내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환기캡은 외풍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레인지후드가 설치된 실내 측으로 외부 기류의 역류가 발생하거나, 그로 인한 배기 풍량 저하 및 외부 풍속이 증가하여 소음이 실내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와 함께 실내공기가 배기될 때 블레이드로 인하여 저항을 받게 되므로 공기의 배출량이 감소되어 환기효율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 불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주방의 배기덕트를 통한 원활하고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589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은 레인지후드의 배기덕트 끝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그 일부분이 배출구로 이루어진 커버부; 상기 몸체부와 커버부 사이에 제공되는 그물망; 상기 커버부의 배출구 측에 형성되어 배출구로 실내공기가 배기될 때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판; 을 포함하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을 제공한다.
상기 역류방지판은 커버부의 둘레면 원주율보다 작은 원주율로 이루어지고, 역류방지판은 커버부의 배출구가 마련된 구간에만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판의 양쪽 끝단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사면의 양쪽 끝단부와 배출구의 양쪽 끝단부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은 커버부의 배출구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때 역류방지판이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레인지후드 배기풍량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방에서 조리를 할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과 오염물질의 배출효율이 향상되어 주방의 환기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에 제공된 역류방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의 역류저감효과를 검증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대비되는 종래기술 환기캡의 외풍에 따른 레인지후드의 배기 풍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의 커버부가 투구 형으로 이루어잘 경우 역류저감효과를 검증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7과 대비되는 종래기술의 투구형 환기캡의 외풍에 따른 레인지후드의 배기 풍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에 제공된 역류방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은, 레인지후드의 배기덕트(미도시) 끝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2)와, 이 몸체부(2)의 일측에 형성되고 하부 일부분이 배출구(4)로 이루어진 커버부(6)와, 상기 몸체부(2)와 커버부(6) 사이에 제공되는 그물망(8)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는 내부가 공간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둘레에는 배기덕트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 돌기(10)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10)는 그 일부분이 몸체부(2)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몸체부(2)를 절개하고 일측으로 절곡하여 탄력성이 부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2)와 커버부(6) 및 그물망(8)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고정하여 일체화 시킬 수 있다.
커버부(6)는 몸체부(2)의 둘레면을 따라서 고정되는 측판(6a)과, 이 측판(6a)을 커버하는 커버판(6b)으로 구성되고, 측판(6a)의 일부분은 제거되어 이 부분이 배출구(4)로 형성된다.
커버부(6)는 본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투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통형이나 투구형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커버부의 형상이 다르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6)는 환기캡을 설치하였을 때 측판(6a) 및 커버판(6b)으로 인하여 빗물이나 먼지 등이 배기덕트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배기덕트를 통하여 이동된 실내공기는 배출구(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4)는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측판(6a)을 1/3 정도 제거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측판(6a)의 1/3 정도의 면적으로 배출구(4)를 형성하면 배출구(4)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배출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8)은 배출구(4)를 통하여 외부에서 벌레 등이 몸체부(2)를 거쳐 배기덕트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물망(8)의 그물눈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환기캡은 몸체부(2) 및 커버부(6)는 본 실시 예에서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환기캡에는 배출구(4)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배기될 때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판(12)이 더 형성된다.
즉, 레인지후드의 배기덕트(미도시)를 따라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구(4)로 배기될 때 외풍의 영향으로 공기의 배출을 방해하여 배출량이 줄어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류방지판(12)이 제공된다.
이러한 역류방지판(12)은 커버부(6)의 둘레면인 측판(6a)의 둘레면 원주율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둘레면 원주율로 이루어져 커버부(6)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한다.
즉, 역류방지판(12)은 커버부(6)를 구성하는 커버판(6b)이 형성된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측판(6a)의 둘레면과 동일한 둘레면을 갖는 배출구(4)의 둘레 면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띄운 상태에서 그 내측 중심부 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역류방지판(12)은 커버부(6)의 배출구(4)가 형성된 구간에만 형성되어 배출구(4)로 배기되는 배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면서 배기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역류방지판(12)을 원주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형성하면 배출구(4)가 형성된 부분 이외에서는 배기의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배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배출구(4)가 형성된 구간에만 역류방지판(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역류방지판(12)의 양쪽 끝단부는 배출구(4)측에서 밀폐된 커버부(6)의 측판(6a)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14)으로 형성되는데, 이렇게 역류방지판(12)의 양쪽 끝단부를 경사면(14)으로 형성하면 직각으로 형성할 때에 비하여 몸체부(2)로부터 배출구(4) 측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흐르면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4)의 양쪽 끝단부와 배출구(4)의 끝단부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배출구(4) 측으로 실내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은, 도시되지 않은 레인지후드의 배기덕트 끝단부에 몸체부(2)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몸체부(2)를 배기덕트의 끝단부에 끼우면 걸림 돌기(10)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몸체부(2)가 배기덕트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설치된 환기캡은 몸체부(2)는 건물을 내측에 위치하고 건물의 벽면 외측으로 커버부(6)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배출구(4)는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로 설치하게 되는데, 따라서 비나 먼지 등은 커버부(6)에서 커버하여 배기덕트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또한 그물망(8)으로 인하여 벌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환기캡이 설치된 세대의 주방에서 조리를 할 때 레인지후드를 가동시키면 주방의 공기가 배기덕트를 따라서 이동하여 배출구(4)를 통하여 세대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환기캡의 배출구(4)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배기될 때 외풍이 발생하면 배출구(4)로 배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역류방지판(12)이 외풍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배출구4()로 배기가 이루어지면서 외부에서 바람이 불어 배출구(4)쪽으로 역풍이 불면, 역류방지판(12)이 이를 억제하여 배출구(4)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출량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이때 역류방지판(12)은 배출구(4)가 형성된 구간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구(4)로 배기되는 배기의 흐름은 원활하게 유지하면서 배기될 수 있고, 또한 역류방지판(12)의 양쪽 끝단부는 배출구(4)측에서 밀폐된 커버부(6)의 측판(6a)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14)으로 형성되어 몸체부(2)로부터 배출구(4) 측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흐르면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환기캡의 역류저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거주세대와 유사하게 레인지후드 및 환기캡을 설치한 후, 외풍을 발생시켜 환기캡의 역류저감 효과 성능을 평가한 그래프로서, 외풍 각도별(수평/수직/45도) 및 레인지후드의 배기 풍량별(1단/3단)로 측정한 결과, 도 6의 기존제품(커버부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 대비하여 레인지후드 배기 풍량이 16%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7과 같이 커버부가 투구 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 경우 도 8의 기존제품과 대비하여 레인지후드 배기 풍량이 25%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캡은 기존의 환기캡과 대비하여 레인지후드 배기 풍량이 16~25%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외풍에 따른 역류 억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몸체부
4: 배출구
6: 커버부
8: 그물망
10: 걸림 돌기
12: 역류방지판
14: 경사면

Claims (5)

  1. 레인지후드의 배기덕트 끝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그 일부분이 배출구로 이루어진 커버부;
    상기 몸체부와 커버부 사이에 제공되는 그물망;
    상기 커버부의 배출구 측에 형성되어 배출구로 실내공기가 배기될 때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판;
    을 포함하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판은 커버부의 둘레면 원주율보다 작은 원주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판은 커버부의 배출구가 마련된 구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판의 양쪽 끝단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양쪽 끝단부와 배출구의 끝단부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KR1020180005505A 2018-01-16 2018-01-16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KR10201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05A KR102012320B1 (ko) 2018-01-16 2018-01-16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05A KR102012320B1 (ko) 2018-01-16 2018-01-16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13A true KR20190087113A (ko) 2019-07-24
KR102012320B1 KR102012320B1 (ko) 2019-08-20

Family

ID=6748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505A KR102012320B1 (ko) 2018-01-16 2018-01-16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3531A (zh) * 2021-01-27 2021-06-0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95U (ja) * 1993-09-24 1995-04-21 利春 高橋 換気口
JPH10232038A (ja) * 1997-02-20 1998-09-02 Akiyama Seisakusho:Kk ベントキャップ
JP2003090572A (ja) * 2001-07-09 2003-03-28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屋外フード
JP2009138991A (ja) * 2007-12-05 2009-06-25 Panasonic Corp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KR20170025899A (ko) 2015-08-31 2017-03-08 임종갑 환기용 후드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95U (ja) * 1993-09-24 1995-04-21 利春 高橋 換気口
JPH10232038A (ja) * 1997-02-20 1998-09-02 Akiyama Seisakusho:Kk ベントキャップ
JP2003090572A (ja) * 2001-07-09 2003-03-28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屋外フード
JP2009138991A (ja) * 2007-12-05 2009-06-25 Panasonic Corp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KR20170025899A (ko) 2015-08-31 2017-03-08 임종갑 환기용 후드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3531A (zh) * 2021-01-27 2021-06-0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
CN112923531B (zh) * 2021-01-27 2022-08-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320B1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1630B2 (ja) 換気グリル
JP4811052B2 (ja) 外壁端末換気口
KR20190087113A (ko)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170143041A (ko) 무동력 실내기류 배기장치
KR101783547B1 (ko)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
KR102588279B1 (ko) 방향성이 개선된 환기용 후드캡
WO2011096186A1 (ja) 外壁端末換気口
KR20200061471A (ko) 직배기용 환기캡
JP5476217B2 (ja) レンジフード
JP2005265266A (ja) 吹出しグリル
KR102067180B1 (ko) 역풍방지용 후드캡
TWM446302U (zh) 防風型通氣罩
KR20220135517A (ko) 창문형 환기 공기청정기
KR200491399Y1 (ko) 다기능 역풍 빗물 방지캡
JP2006145161A (ja) 換気口カバー
KR101035950B1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JP2008175428A (ja) 空気調和機
CN210694551U (zh) 一种机柜用的迷宫式通风装置
JP4202236B2 (ja) 空気調和機の吸気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200266773Y1 (ko) 몰딩형 환기장치
KR102608237B1 (ko) 손쉬운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환기구 후드캡
US11181297B2 (en) Vent assembly for a ventilation system
CN212390497U (zh) 空调器的消毒杀菌模块和空调器
CN212511623U (zh) 用于室内空间的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