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116A -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 와이어링 하네스 - Google Patents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 와이어링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116A
KR20190085116A KR1020197018288A KR20197018288A KR20190085116A KR 20190085116 A KR20190085116 A KR 20190085116A KR 1020197018288 A KR1020197018288 A KR 1020197018288A KR 20197018288 A KR20197018288 A KR 20197018288A KR 20190085116 A KR20190085116 A KR 2019008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vy
corrugated tube
section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134B1 (ko
Inventor
반 엔곡 츄
Original Assignee
슐레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슐레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슐레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8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케이블(3-5)을 고정하기 위해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2)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주위에(around) 둘레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를 갖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 주위에 둘레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를 갖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20)를 서로 분리시키고,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은 각각의 제1 단부 섹션(8, 9)에서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인트 섹션(10),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2단부 섹션(14) 및/또는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제2단부 섹션(15)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16, 17), 및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이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함께 접힌 상태(Z2)로 되고,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접혀-개방된 상태(Z1)일 때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34), 상기 잠금 장치(34)는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20)를 포함하고,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반경 방향(R) 및 둘레 방향(U) 모두에 연동하는 상기 제1둘레방향의 튜브 리브(19)의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 와이어링 하네스
본 발명은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 물결모양의 튜브를 갖는 와이어링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물결모양의 튜브 또는 물결모양의 파이프는 특히 자동차 엔지니어링에서 케이블 및 전선의 보호 도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을 말단에 폐쇄된 물결모양의 튜브에 설치하기 위해, 케이블을 물결모양의 튜브에 당기거나 밀어 넣는다. 이러한 물결모양의 튜브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는 접혀 개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EP2035735B2에는 힌지 섹션에 의해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을 포함하여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를 개시하고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는 압출에 의해 생산되며, 세그먼트는 압출 후에 물결모양의 튜브 쉘 중 하나로부터 절단된다.
EP0114213B2에는 전기 설치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측 방향의 길이 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물결모양의 시스를 나타낸다. 물결모양의 시스는 한 번의 작업 단계에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이미 설치된 케이블을 감싸고 난 후 설치와 함께 한 번의 작업 단계로 대부분 기밀(gas-tight) 및 방수(water-tight) 방식으로 닫을 수 있다. 이것은 물결모양의 시스의 2개의 슬롯형 에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 장치 또는 스냅 잠금 장치가 길이 방향 슬롯을 따라 제공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US 6,938,645B2는 접혀 개방될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플렉시블 재료로 만들어진 힌지 영역을 갖는 물결모양의 튜브를 개시한다. 물결모양의 튜브는 또한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립(lip)을 포함한다.
US 6,034,329 A 는 접혀 개방될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며 힌지 영역뿐만 아니라 힌지 영역에 대향하는 래칭(latching) 장치를 갖는 물결모양의 튜브를 나타낸다. 래칭 장치에 의해, 슬롯형 물결모양의 튜브의 2개의 대향 절단 에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배경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물결모양의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해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가 제안된다. 물결모양의 튜브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주위에(around) 둘레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를 갖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 주위에 둘레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를 갖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를 서로 분리시키고,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각각의 제1 단부 섹션에서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인트 섹션,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제2단부 섹션 및/또는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제2단부 섹션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 및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이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함께 접힌 상태로 되고,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물결모양의 튜브가 접혀-개방된 상태일 때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이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함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상기 물 결모양의 튜브의 반경 방향 및 둘레 방향 모두에 연동하는 상기 제1둘레방향의 튜브 리브의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이 제공됨으로써, 물결모양의 튜브의 날카로운 모서리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물결모양의 튜브내로 삽입될 때 및 물결모양의 튜브와 같은 와이어링 하네스의 작동 중에 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래칭(latching) 장치가 물결모양의 튜브 쉘을 반경 방향뿐만 아니라 둘레 방향으로 래칭함으로써, 함께 접힌 물결모양의 튜브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또한 타이트한 반경 주위로 유도될 때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높은 작동 신뢰성이 달성될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는 물결모양의 파이프라고 할 수 있다. 조인트 섹션은 힌지 섹션이라고 할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의 함께 접힌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물결모양의 튜브의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하며,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진동의 경우에 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 전에 단부(end)된다.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에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가 없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상의 전면에 제공된다.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를 서로 분리하는 조인트 섹션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가 상기 조인트 섹셕의 영역에서 차단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조인트 섹션에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가 없음을 의미한다; 조인트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종 방향을 따라 리본 형태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스무스하다. 스무스한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이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를 갖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가 립 섹션까지 연장되지만 립 섹션 안으로는 연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물결모양의 튜브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무스한 리본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둘레 방향으로 스무스하게 연장되고 종 방향으로 스무스하게 연장되어 평평하거나 약간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이 종 방향 또는 둘레 방향으로 리브 또는 물결모양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물결모양 튜브의 대체안(alternative development)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스무스하지 않고 물결모양인 것이다. 이를 위해, 종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리브가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 사이에는 리브 밸리(rib valleys)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의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의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의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이 물결모양인 경우에도,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립 섹션까지 연장되지만 립 섹션 내로는 연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의 리브는 대응하는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의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종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를 가질 수 있다.
리브 밸리는 특히 각각의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 사이에 제공되어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가 리브 밸리와 번갈아 나타나도록 한다. 따라서 리브 밸리는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 사이에 배치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가 2개의 리브 밸리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종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에 위치된다. 각각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 및 각각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거리를 두고 배열되고 디스크 형상인 2개의 측 벽을 갖는다. 2개의 측 벽 사이에는 각각 2개의 측벽과 함께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를 형성하는 리브 크레스트가 제공된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웨이브 크레스트의 외경은 바람직하게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웨이브 크레스트의 내경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이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웨이브 크레스트의 외경은 특히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웨이브 크레스트의 내경보다 0.2 내지 1.5mm 작다. 이것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또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이 함께 접힌 상태에서 프리스트레스(prestressing)가 없거나 또는 적어도 약간의 프리스트레스만이 달성된다. 따라서 물결모양의 튜브 쉘이 함께 접을 때 및/또는 함께 접힌 상태로 있을 때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과도한 기계적 응력(mechanical stress)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수명이 길며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원 호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접힌 상태에서 서로 동축으로 바람직하게 위치된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대칭 축으로부터 물결모양의 튜브 쉘을 향해 외측으로 배치된다. 둘레 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할 수 있다. 함께 접힌 상태에서, 둘레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물결모양의 튜브 쉘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동되는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은 적어도 2개의 연결 파트너(이 경우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에 의해 서로 또는 뒤에서 결합한다.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과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다. 이러한 립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 상에 제공된다. 립 섹션은 특히 물결모양의 튜브 쉘에 연동되어 연결된다. 이는 특히 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 립 섹션이 하나의 구성요소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연동되는 연결의 경우, 연결 파트너는 원자 또는 분자력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연동되는 연결은 고정 장치 및/또는 연결 파트너를 파손해야만 분리할 수 있는 비 탈착식(non-detachable) 연결이다. 물결모양의 튜브는 공압출 공정, 특히 2개 성분 동시 압출 공정에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코루케이터(corrugator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결모양의 튜브는 원하는 길이로 절단될 수 있는 연속 제품으로 제조된다. 압출 직후, 물결모양의 튜브는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에 슬롯이 형성된다. 이것은 립 섹션을 분리하기 위해 립 섹션 사이에 커트 또는 슬롯이 도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결모양의 튜브는 접혀 개방된 상태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임의의 횟수로 가져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물결모양의 튜브는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는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 상에 형성된 제1포켓 섹션 및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상에 형성된 제2포켓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포켓 섹션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함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포켓 섹션에 유지된다.
제1포켓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의 일부분이다. 각각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1포켓 섹션이 할당된다. 제2포켓 섹션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의 일부분이다. 각각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2포켓 섹션이 할당된다. 포켓 섹션은 포켓 클로서(pocket closures), 리시빙 포켓(receiving pockets), 맞물림 섹션(engagement sections), 포켓형 섹션(pocket-shaped sections), 리시빙 섹션(receiving sections), 또는 리시빙 기하 구조(receiving geometries)라고도 할 수 있다. 함께 접힌 상태에서, 제1포켓 섹션은 특히 제2포켓 섹션에 연동하여 결합한다. 포켓 섹션의 포켓형 기하형상에 의해,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리칭은 반경 방향 및 둘레 방향 모두에서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포켓 섹션은 전면 벽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2포켓 섹션은 또한 전면 벽을 포함하며,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상기 함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포켓 섹션의 상기 각각의 전면 벽은 상기 제2포켓 섹션의 상기 각각의 전면 벽에 대향하여 접하며, 상기 포켓 섹션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장된다.
각각의 제1포켓 섹션의 전면 벽은 특히 제2포켓 섹션에 대응하는 전면 벽에 접한다. 둘레 방향의 래칭에 의해, 물결모양의 튜브의 굴곡시에 의도하지 않은 개구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전면 벽은 반경 방향과 평행하게 또는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립 섹션은 제2포켓 섹션의 전면 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포켓 섹션은 리브 크레스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포켓 섹션은 또한 리브 크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상기 함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포켓 섹션의 상기 각각의 리브 크레스트는 상기 제2포켓 섹션의 상기 각각의 리브 크레스트에 대향하여 접하며, 상기 포켓 섹션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장된다.
포켓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의 일부분이다. 각각의 제1포켓 섹션에는 각각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의 측 벽이 할당되고 각각의 제2포켓 섹션에는 각각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의 측 벽이 할당된다. 상기 측 벽 사이에는 웨이브 크레스트가 있다. 반경 방향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하는 포켓 섹션은 포켓 섹션의 웨이브 크레스트가 서로 접해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포켓 섹션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종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측 벽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2포켓 섹션은 또한 종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상기 함께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포켓 섹션의 상기 각각의 측 벽은 상기 제2포켓 섹션의 상기 각각의 측 벽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포켓 섹션은 상기 종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장된다.
상기 측 벽은 동시에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 또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의 측벽이다. 물결모양의 튜브가 함께 접힌 상태로부터 접혀 개방된 상태로 될 때, 포켓 섹션의 각각의 측벽은 종 방향으로 서로 또는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제2포켓 섹션의 측 벽은 서로 멀어지도록 변형되고, 제1포켓 섹션의 측 벽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포켓 섹션의 클램핑(clamping)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작동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는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을 통해 관통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켓 섹션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상기 함께 접힌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와 맞물린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쐐기 또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리세스는 리브 밸리를 제외하고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를 반경 반향으로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는 여전히 리세스의 영역에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이것은 리세스의 영역에서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강화를 가져온다. 리세스는 선택적으로 리브 밸리를 제외하고 반경 방향으로 제1물결모양의 튜브를 관통할 수 있다. 제1포켓 섹션의 전면 벽은 바람직하게는 일 면에서 리세스와 경계를 이룬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제1둘레 각도를 갖고,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제2둘레 각도(α70)를 갖고, 및 상기 둘레 각도(α60, α70)는 180°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20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및 270° 사이 이다.
둘레 각도의 크기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각각의 둘레 각도 및 각각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개방 각도의 개방 각은 360°까지 가산(add)된다. 상기 개방 각도는 각각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제1 단부 섹션의 최외측 에지와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제2단부 섹션의 최외측 에지 또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립 섹션 사이의 각도로서 각각 규정된다. 개방 각도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개방 각도는 약간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각도는 95° 및 110° 사이의 크기를 갖는다. 각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횡단면은 원의 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이 각각 240°의 둘레 각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방 각도는 120°이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접힌 상태에서 오버랩 각도로 중첩된다. 오버랩 각도, 예를 들면 40° 내지 1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70°이다. 오버랩 각도는 특히 70°, 80°, 90°, 100°, 110°, 120°, 130°, 또는 140°와 같이 150° 미만일 수 있다. 오버랩 각도는 70° ± 10°, 80 ± 10°, 90° ± 10°, 100° ± 10°, 110 ± 10°, 120° ± 10°, 130° ± 10°, 또는 140° ± 10°일 수 있다. 또한 오버랩 각도는 150°보다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5°, 160°, 165°, 170°, 175°, 또는 180°일 수 있다. 오버랩 각도는, 예를 들어 155° ± 10°, 160° ± 10°, 165° ± 10°, 170° ± 10°, 175° ± 10°, 또는 180° ± 10°일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2)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버랩 각도는 160° 이상, 예를 들어 160° 내지 170°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내경보다 작은 제1개방을 포함하고,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내경보다 작은 제2개방을 포함한다.
개방(openings )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개방은 각각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제1단부 섹션의 최외측 에지와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제2단부 섹션의 최외측 에지 또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립 섹션 사이의 거리로서 각각 규정된다. 물결모양의 튜브가 접혀 개방된 상태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로 될 때, 제2개방은 넓어지고 및/또는 제1개방은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 내부에 배열되도록 제2개방을 통해 밀려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상기 내경(di24)는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내경(di30)보다 작다.
이는 특히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또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이 물결모양의 튜브의 함께 접힌 상태에서 가압(prestressing)이 없거나 적어도 약간만 가압된 것을 달성한다. 따라서 물결모양의 튜브가 함께 접힐 때 및/또는 함께 접힌 상태로 있을 때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과도한 기계적 응력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수명이 길며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제1대칭 축을 갖고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제2대칭 축을 갖고, 상기 대칭 축은 상기 함께 접힌 상태에서 서로 동축에 배치된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바람직하게는 제1대칭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이 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1개구는 측 방향으로 제공된다.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바람직하게는 제2대칭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이 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2개구는 측 방향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의 "동축으로" 라는 용어는 대칭축이 서로 2mm까지의 거리에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 섹션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쉘에 연결된2개의 커넥션 섹션 및 상기 커넥션 섹션 사이에 배치되며, 단면이 원호형으로 만곡되고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만곡되는 1개의 디포메이션 섹션을 포함한다.
커넥션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점착제 결합에 의해 물결모양의 튜브 쉘에 연결되고, 디포메이션 섹션은 점착제 결합에 의해 커넥션 섹션에 연결된다. 따라서 조인트 섹션은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결 모양의 리본으로 설계된다. 물결모양의 튜브를 함께 접는 경우, 디포메이션 섹션만이 가역적으로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포메이션 섹션은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물결모양의 튜브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는 리브로서 설계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 섹션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쉘에 연결된 2개의 커넥션 섹션 및 상기 커넥션 섹션 사이에 비치된 1개의 디포메이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은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보다 얇은 벽을 갖고,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연장된다.
디포메이션 섹션은 특히 내부 공간의 외부에 배치된다. 조인트 섹션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조인트 섹션의 언더컷 및 슬롯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디포메이션 섹션이 제공된다. 슬롯은 특히 V-형이며 내부 공간에서 조인트 섹션으로 이전된다. 슬롯은 특히 만곡부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폐쇄된다. 만곡부(curved section)는 종 방향으로 리브 형상에서 연장된다. 커넥션 섹션, 디포메이션 섹션, 및 만곡부는 단일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즉,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는 그루브가 조인트 섹션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컷은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상에 제공되고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의 타겟 변형(targeted deformation)을 허용한다.
언더컷은 특히 얇은 벽을 갖는 디포메이션 섹션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디포메이션 섹션이 특히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언더컷은 조인트 섹션의 영역에 재료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디포메이션 섹션은 조인트 섹션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얇은 벽을 갖는다. 물결모양의 튜브의 제조 중에, 언더컷은 몰드로부터 강제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 조인트 섹션은 제1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상기 제1플라스틱 재료와 다른 제2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2개의 플라스틱 재료는, 예를 들어 화학적으로 다르다. 제2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실온에서 종래의 엘라스토머와 유사한 플라스틱이나 소성 변형되어 열이 가해질 때 열가소성 경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제조된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 조인트 섹션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로 생산된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 조인트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결정질인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가 상기 접혀-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함께 접힌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될 때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며,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회전 각도만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75° ± 20°이다. 회전축은 조인트 섹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결모양의 튜브의 내부 공간, 내부 공간의 외부, 또는 조인트 섹션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은 조인트 섹션의 외부 에지 섬유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의 대칭축의 2개의 커넥션 라인과 회전축 사이의 각도로서 정의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갖는 와이어링 하네스 및 접혀 개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이 고정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가 제공된다.
케이블은 라인이라고도 한다. 케이블 수는 임의적이다. 케이블은 동일하거나 다른 직경 및/또는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 또는 물결모양의 튜브는 자동차 기술의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와이어링 하네스, 또는 물결모양의 튜브는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케이블은 단상케이블, 다상케이블, 동축케이블 등과 같은 전기 케이블 또는 연료라인, 디젤라인, 등유라인, 유압라인 또는 공압라인과 같은 유체라인이 될 수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를 제조하기 위해, 케이블이 접혀 개방된 상태의 물결모양의 튜브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내로 제1개방을 통해 종 방향으로 직각으로 바람직하게 삽입된다. 이어서 물결모양의 튜브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을 조인트 섹션 주위로 선회시킴으로써 함께 접힌 상태로부터 접혀 개방된 상태로 유도된다. 이를 위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및/또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특히 탄성 변형되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 내부영역에 배열되어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이 적어도 섹션에서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주위로 연장된다.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및/또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추가적으로 가능한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또는 하기에서 설명한 특징 또는 실시예의 조합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또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하기에 설명된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또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종속항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된다.
도 1은 와이어링 하네스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를 위해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절단라인 V-V에 따라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에 따른 상세도 VII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4에 따른 상세도 VIII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6의 절단라인 IX- IX에 따라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상세도 X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4에 따른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4에 따라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4에 따라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를 위해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14에 따라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상세도 XVI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를 위해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상세도 XVIII를 도시한다.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동일함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은 와이어링 하네스(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와이어링 하네스(1)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와이어링 하네스(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1내지 도3을 동시에 참조한다.
와이어링 하네스(1)는 접힐 수 있거나, 함께 접히거나, 또는 개방되어 접힐 수 있는 일부가 도 1내지 3에서 참조번호로 제공된 복수의 케이블(3-5)을 고정하도록 설계된 물결모양의 튜브(2)를 포함한다. 케이블(3-5)는 라인이라고도 한다. 케이블(3-5)의 수는 임의적이다. 케이블(3-5)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직경 및/또는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2)와 함께 케이블(3-5)은 와이어링 하네스(1)를 형성한다. 와이어링 하네스(1), 또는 물결모양의 튜브(2)는 자동차 기술의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와이어링 하네스(1), 또는 물결모양의 튜브(2)는 임의의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3-5)는 단상 케이블, 다상 케이블, 동축 케이블 등과 같은 전기 케이블 또는 연료 라인, 디젤 라인, 등유 라인, 유압 라인 또는 공압 라인과 같은 유체 라인일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2)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결모양의 튜브(2)는 물결모양의 파이프라고도 하며 물결모양의 파이프가 될 수도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2)는 종 방향(L)을 갖는다. 케이블(3-5)는 종 방향(L)으로 연장된다. 물결모양의 튜브(2)는 도 4에 도시된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함께 접힌 상태(Z2)로 유도될 수 있다. 접혀 개방된 물결모양의 튜브(2)는 도 4에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5는 도 4의 절단라인 V-V에 따른 물결모양의 튜브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함께 접힌 상태(Z2)의 물결모양의 튜브(2)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따른 상세도 VII및 VIII를 도시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8을 동시에 참조한다.
물결모양의 튜브(2)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을 포함한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은 원 호형으로, 특히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예를 들어 각각 원의 2/3의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은 측면 슬롯을 갖는 관형이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은 각각의 중심축 또는 대칭축(M6, M7)을 가지며, 이들에 회전 대칭으로 분리된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은 또한 물결모양의 튜브 섹션으로 불릴 수 있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각각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1단부 섹션(8) 및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제1단부 섹션(9)에서 조인트 섹션(10)을 이용하여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조인트 섹션(10)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조인트 섹션(10)은 특히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Z2)로 또는 그 반대로 유도될 때 변형된다.
조인트 섹션(10)은 또한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조인트 섹션(10)은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로서 디자인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섹션(10)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1단부 섹션(8)에 연결된 커넥션 섹션(11)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제1단부 섹션(9)에 연결된 제2커넥션 섹션(12)을 포함한다. 커넥션 섹션(11, 12)는 종 방향(L)으로 연장된다.
커넥션 섹션(11, 12) 사이에는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Z2) 또는 그 반대로 탄성 변형되는 디포메이션 섹션(13)이 제공된다. 디포메이션 섹션(13)은 곡선 형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포메이션 섹션(13)은 종 방향(L)으로 연장되고 물결모양의 튜브(2)의 내부 공간(I) 내로 돌출하는 리브로서 설계된다. 조인트 섹션(10)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에 점착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연동되는 연결의 경우, 연결 파트너는 원자 또는 분자력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연동되는 연결은 고정 장치 및/또는 연결 파트너를 파손해야만 분리할 수 있는 비 탈착식(non-detachable) 연결이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 및 조인트 섹션(10)은 특히 일체형이거나 하나의 피스(piece), 특히 재료의 하나의 피스로 설계된다. 이것은 조인트 섹션(10)이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 및 조인트 섹션(10)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 제조된다. 물결모양의 튜브(2)는 바람직하게는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제1 단부 섹션(8, 9)에 대향하여 배치된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제2 단부 섹션(14, 15)에는 립 섹션(16, 17)이 각각 제공된다. 특히, 제1립 섹션(16)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2단부 섹션(14)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2립 섹션(17)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제2단부 섹션(15)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립 섹션(16, 17)의 2개의 제2 단부 섹션(14, 15)상에 제공될 수 있거나, 이러한 립 섹션(16, 17)은 2 개의 제2단부 섹션(14, 15) 중 단지 하나에만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모양의 튜브(2)의 접혀 개방된 상태(Z1)에서는 립 섹션(16, 17) 사이에 갭 또는 슬롯(18)이 형성되어 있다.
립 섹션(16, 17)은 스무스하다. 립 섹션(16, 17)은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과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다. 립 섹션(16, 17)은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제조된다. 립 섹션(16, 17)은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상으로 압출된다. 이 압출 공정에서, 특히 2개의 성분 동시 압출 공정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립 섹션(16, 17)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립 섹션(16, 17) 또는 립 섹션(16, 17) 중 하나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립 섹션(16, 17)은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들이 접혀 개방된 물결모양의 튜브(2)에 삽입될 때의 케이블(3-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무스한 립 섹션(16, 17)은 또한 케이블(3-5)의 손상도 방지한다. 물결모양의 튜브(2)의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1립 섹션(16)은 물결모양의 튜브(2)의 내부 공간(I)에 배치된다. 제1립 섹션(16)의 재료의 부드러움으로 인해, 제1립 섹션(16)과의 접촉에 의한 케이블(3-5)의 진동 및 떨림의 경우, 즉 와이어링 하네스(1)의 작동 중의 손상이 배제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링 하네스(1)의 작동 신뢰성 및 수명을 증가시킨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웨이브 또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웨이브 또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를 포함한다. 물결모양의 리브(19, 20)는 종 방향(L)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조인트 섹션(10)은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20)가 없다. 이것은 조인트 섹션(10)이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를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로부터 분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20)는 조인트 섹션(10)에 의해 차단된다. 립 섹션(16, 17)은 스무스하기 때문에,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20)가 없다. 립 섹션(16, 17)은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20)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는 종 방향(L)에서 보았을 때 원통 벽을 형성하는 리브 크레스트(21)와 리브 크레스트(21)가 그 사이에 바채된 2개의 디스크 형 측 벽(22, 23)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측 벽(22, 23)이 리브 크레스트(21)을 측 방향으로 경계지어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제1물결모양의 리브(19) 사이에는 각각 제1웨이브 밸리 또는 제1리브 밸리(24)가 배치되어 있다. 반대로,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는 2개의 제1리브 밸리(24)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제1리브 밸리(24)는 내부 공간(I)을 향한 원통한 내 벽(25)과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외부에 제공되는 리브 형 둘레 돌출부(26)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6)는 선택적이다. 돌출부(26)는 재료 축적 역할을 하며 종 방향(L)에서 보았을 때 내 벽(25)이 평평하거나 평면이다. 결과적으로, 내 벽(25)이 케이블(3-5)의 손상될 수 있는 뷸균일 또는 함몰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진동 시 내 벽(25)의 내부에 위치한 케이블(3-5)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26)를 갖는 제1리브 밸리(24)의 기하 구조는 "울트라 플랫 웨이브"(UFW)로 불릴 수 있다.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와 유사하게 설계된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종 방향(L)에서 보았을 때 원통형 리브 크레스트(27)와 리브 크레스트(27)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디스크 형 측 벽(28, 29)을 포함한다. 2개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 사이에는 제2웨이브 밸리 또는 제2 리브 밸리(30)가 배열된다. 특히, 제2리브 밸리(30)는 항상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와 교대한다. 각각의 제2리브 밸리(30)는 내부 공간(I)을 향하는 원통형 내 벽(31)과, 각각의 제2리브 밸리(30)상의 외부에 제공되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에 제공된 돌출부(26)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돌출부(32)를 포함한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각각 제1리브 밸리(24)의 내경(di24) 및 돌출부(26)에서 측정된 외경(da24)를 가지며, 상기 외경(da24)은 재료 두께(t24)만큼 내경(di24)보다 크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또한 각각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의 제1리브 크레스트(21)상에 내경(di19) 및 외경(da19)을 가지며, 상기 외경(da19)은 재료 두께(t19)만큼 내경(di19)보다 크다. 재료 두께(t19, t24)는 예를 들어, 0.1 내지 0.7mm일 수 있다. 재료 두께(t24)는 재료 두께(t19)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제2리브 밸리(30)에 각각 내경(di30) 및 외경(da30)을 가지며, 외경(da30)은 내경(di30)보다 재료 두께(t30)만큼 크다. 재료 두께(t30)는 재료 두께(t24)에 해당할 수 있다.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또한 각각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의 제2웨이프 크레스트(27)상에 내경(di20) 및 외경(da20)을 가지며, 외경(da20)은 재료 두께(t20)만큼 내경(di20)보다 크다. 재료 두께(t20, t30)은 예를 들어, 0.1 내지 0.7mm일 수 있다. 재료 두께(t30)은 재료 두께(t2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 두께(t20)은 재료 두께(t19)에 해당할 수 있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직경(da24, di24, da19, 또는 di19)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에 대응하는 직경(da30, di30, da20, 또는 di20)보다 각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외경(da19)이 제2물결모양의 외경(da20)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외경(da19)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외경(da20)보다 0.2 내지 1.5mm 작을 수 있다. di19, da24, 및 di24의 직경 및 해당 직경 di20, da30, 및 di30에도 각각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외경(da19)은 20mm이고, 외경(da20)은 21.2mm이다.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Z2)로 될 때,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고정되어,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가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에 안착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경(da19)은 내경(di20)에 대응하고 외경(da24)은 내경(di30)에 대응하거나 또는 단지 외경(di30)에 대응하거나 또는 단지 약간 크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또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이 물결모양의 튜브(20)의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가압이 없거나 적어도 약간의 가압된다. 따라서, 물결모양의 튜브(2)가 함께 접힐 때 및/또는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과도한 기계적 응력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수명이 길며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제1개방 각(α6)을 갖고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제2개방 각(α7)을 갖는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1개방 각(α6)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제2개방 각(α7)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방 각(α6, α7)은 약간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각(α6, α7)은 각각 95° 내지 110° 사이의 크기를 갖는다. 개방 각(α6, α7)은 제1단부 섹션(8, 9)의 최외각 에지와 제2단부 섹션(14, 15)의 최외각 에지 또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립 섹션(16, 17) 사이의 각도로서 각각 규정된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내경(di24)보다 작은 제1개방(A6)을 더 포함한다.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내경(di30)보다 작은 제2개방(A7)을 갖는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은 상이한 직경(di24, di30)을 가지나 동일한 개방 각도(α6, α7)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2개방(A7)은 제1개방(A6)보다 적어도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개방(A6, A7)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1개방 각도(α6) 및 제1둘레 각도(α60)는 360°까지 가산된다.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제2개방 각도(α7) 및 제2둘레 각도(α70)는 360°까지 가산된다. 둘레 각도(α60, α70)의 크기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 각도(α60, α70)은 각각 250° 내지 265°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2)가 도 4에 도시된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도6에 도시된 함께 접힌 상태(Z2)로 이동될 때,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물결모양의 튜브(2)가 함께 접힐 때, 제2개방(A7)은 넓어지고 제1개방(A6)은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또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도6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립 섹션(16, 17)의 최외측 에지 사이의 각도로서 정의되는 오버랩 각도(β)에서 중첩된다. 오버랩 각도(β)는, 예를 들면, 40° 내지 190°, 바람직하게는50° 내지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70°이다. 오버랩 각도(β)는 특히 150°미만, 예를 들어, 70°, 80°, 90°, 100°, 110°, 120°, 130°, 또는 140°일 수 있다. 오버랩 각도(β)는 70° ± 10°, 80 ± 10°, 90° ± 10°, 100° ± 10°, 110 ± 10°, 120° ± 10°, 130° ± 10°, 또는 140° ± 10°일 수 있다. 또한 오버랩 각도(β)는150°보다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155°, 160°, 165°, 170°, 175°, 또는 180°일 수 있다. 오버랩 각도(β)는, 예를 들어, 155° ± 10°, 160° ± 10°, 165° ± 10°, 170° ± 10°, 175° ± 10°, 또는 180° ± 10°일 수 있다. 물결모양의 튜브(2)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버랩 각도(β)는160°이상, 예를 들면 160° 내지 170°이다.
또한 도6에 도시된 함께 접힌 상태(Z2)의 물결모양의 튜브(2)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대칭 축(M6, M7)으로부터 유래된 반경 방향(R)을 가지며, 물결모양의 튜브 쉘(5, 7)을 향해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께 접힌 상태(Z2)의 물결모양의 튜브(2)는 또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둘레 방향(U)을 갖는다. 둘레 방향(U)은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또한 종 방향(L)으로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를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그루브 형 리세스(33)를 포함한다. 이 리세스(33)에 있어서,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함께 접힌 상태(Z2)로 맞물린다. 리세스(33)는 바람직하게는 리브 밸리(24)의 깊이를 제외하고는 반경 방향(R)으로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를 관통하지 않는다.
또한, 물결모양의 튜브(2)는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반경 방향(R)을 가지며,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대칭 축(M6, M7)으로부터 유리된,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을 향해 함께 접힌 상태(Z2)에 있는 다른 하나의
도 9는 도 6의 절단라인 IX- IX에 따른 물결모양의 튜브(2)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도 9에 따른 상세도 X를 도시한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모양의 튜브(2)의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Z2)로 이동될 때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을 서로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34)를 더 포함한다. 잠금 장치(34)는 리세스(33)뿐만 아니라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34)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수단은 물결모양의 튜브(2)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지 않도록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서로 연동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이 서로 또는 뒤에서 결합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연동되는 연결이 성립된다.
물결모양의 튜브의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에 연동되게 결합되며, 특히 반경 방향® 및 물결모양의 튜브(2)의 둘레 방향(U) 모두에서 맞물려 결합한다. 반경 방향(R)에서,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가 연동하여 맞물림으로써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가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내에 배열된다. 이 과정에서, 측 벽(22, 23)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의 측벽 (28, 29)사이에 배치된다.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접혀 개방된 상태(Z1)에서 함께 접힌 상태(Z2)로 될 때, 측 벽(22, 23) 및/또는 측 벽(28, 29)은 프로세스 중 종 방향(L) 및 탄성 변형에서 넓혀 지거나 압축된다.
도 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는 리세스(33)를 향하는 전면 벽(35)을 포함한다. 전면 벽(35)은 각각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의 측벽(22, 23) 및 리브 크레스트(21)와 함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의 제1포켓형 섹션 또는 제1포켓 섹션(36)을 형성한다. 제1포켓 섹션(36)은 또한 리시빙 구조 또는 리시빙 포켓으로 불릴 수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또한 유사하게 측벽(28, 29) 및 각각의 리브 크레스트(27)와 함께 제2포켓형 섹션 또는 제2포켓 섹션(38)을 형성하는 전면 벽(37)을 포함한다. 물결모양의 튜브(2)의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의 전면 벽(35)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의 전면 벽(37)에 접한다. 전면 벽(35, 37)에 의해,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 사이의 둘레 방향(U)에서 연동되는 연결이 실현될 수 있다. 이는 포켓 섹션(36, 38)이 전면 벽(35, 36)에 의해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이 반경 방향(R)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물결모양의 튜브(2)의 기능은 이하 도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도 13은 다시 물결모양의 튜브(2)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케이블(3-5)은 접혀 개방된 상태(Z1)에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2)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3-5)은 제1개방(A6)을 통해 종 방향(L)에 직각으로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을 조인트 섹션(10)을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물결모양의 튜브(2)의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Z2)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또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제1립 섹션(16)은 내부 공간(I)으로 돌출한다. 립 섹션(16, 17)이 부드러운 재료로 제조됨으로써, 예를 들어 진동의 경우 케이블(3-5)의 손상을 방지한다.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Z2)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회전축(D)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다. 회전축(D)은 대칭축(M6, M7)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을 선회시킬 때,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회전 각도(γ)만큼 서로에 대해 선회한다. 회전 각도(γ)는 바람직하게는 75° ± 20°이다. 회전 축(D)은 조인트 섹션(10)의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 공간(I)의 외부 또는 조인트 섹션(10)에서 직접적으로 물결모양의 튜브(2)의 내부 공간(I)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축(D)은 조인트 섹션(10)의 외측 에지 섬유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각도(γ)는 바람직하게는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대칭축(M6, M7)의 2개의 연결 라인과 회전축(D) 사이의 각도로서 정의된다.
잠금 장치(34)에 의해,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은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서로 잠긴다.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물결모양의 튜브(2)의 반경 방향(R) 및 둘레 방향(U) 모두에서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에 연동되어 결합한다. 반경 방향(R)에서의 연동된 결합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의 측 벽(22, 23)이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의 측 벽(28, 29) 사이에 함께 접힌 상태(Z2)로 배열된다는 점에서 반경 방향(R)에서의 연동되어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1포켓 섹션(36)은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제2포켓 섹션(38) 내에 유지된다.
둘레 방향(U)에서의 연동된 결합(interlocking engagement)은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의 제1포켓 섹션(36) 및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의 제2포켓 섹션(38)이 각각 전면 벽(35, 37)을 갖는 점에서 가능해진다. 둘레 방향(U)으로 래치(latch)하기 위해,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의 제1포켓 섹션(36)의 전면 벽(35)은 각각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의 제2포켓 섹션(38)의 전면 벽(37)의 안쪽에 대향하여 접한다. 따라서 잠금 장치(34)에 의해, 물결모양의 튜브(2)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물결모양의 튜브(2)의 예기치 않은 개방은 특히 물결모양의 튜브(2)의 예리한 굴곡의 경우에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작동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도 14 내지 16에는 물결모양의 튜브(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물결모양의 튜브(2)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물결모양의 튜브(2)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및 도 16은 도 15에 따른 상세도 XVI 를 도시한다. 이하, 도 14 내지 16을 동시에 참조한다.
도 14 내지 16에 따른 물결모양의 튜브(2)의 실시예는 도 1내지 13에 따른 물결모양의 튜브(2)의 실시예와 다르며, 조인트 섹션(10)의 대안적인 설계에 의해서만 다르다. 물결모양의 튜브(2)의 2개의 실시예의 기능은 동일하다. 조인트 섹션(10)은 2개의 연결 섹션(11, 12)을 포함하며, 그 사이에 디포메이션 섹션(13)이 제공된다.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접혀 개방된 상태(Z1)로부터 함께 접힌 상태(Z2)로 이동될 때, 디포메이션 섹션(13)만이 탄성 변형되도록, 디포메이션 섹션(13)은 조인트 섹션(10)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매우 얇은 벽을 갖는다. 디포메이션 섹션(13)에는 언더컷(39)이 형성되며, 언더컷은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제조될 때 몰드로부터 강제적으로 제거된다.
조인트 섹션(10)은 종 방향(L)으로 연장되는 슬롯(40)을 더 포함한다. 디포메이션 섹션(13)은 언더컷(39)과 슬롯(40) 사이에 제공된다. 슬롯(40)은 V-형이며, 반경 방향(R)의 내부 공간(I)으로부터 조인트 섹션(10)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롯(40)은 만곡 섹션(41)에 의해 반경 방향(R)으로 폐쇄되어 있다. 섹션(41)은 종 방향(L)에서 리브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섹션(11, 12), 디포메이션 섹션(13), 및 섹션(41)은 단일 재료로 제조된다. 외측, 즉 내부 공간(I)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종 방향(L)으로 연장하는 그루브(42)는 또한 조인트 섹션(10)상에 제공된다.
도 17 및 18에는 물결모양의 튜브(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물결모양의 튜브(2)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8은 도 17에 따른 상세도 XVIII를 도시한다. 이하, 도 17 및 18을 동시에 참조한다.
도 17 및 18에 따른 물결모양의 튜브(2)의 실시예는 도 1내지 13에 따른 물결모양의 튜브(2)의 실시예와는 립 섹션(16, 17)의 대안적인 설계에 의해서만 다르다. 도 17 및 도 18에 따른 물결모양의 튜브(2)에서, 립 섹션(16, 17)은 스무스하지 않고 물결모양이다. 제1립 섹션(16)은 종 방향(L)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전면 측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리브(43)를 포함한다. 제2립 섹션(17)은 전면 측에서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대응되는 리브(44)를 포함한다. 제1립 섹션(16)의 리브(43) 사이에는 리브(43)가 항상 리브 밸리(45)와 교대하도록 리브 밸리(45)가 설치되어 있다. 제2립 섹션(17)의 리브(44) 사이에는 리브(44)가 항상 리브 밸리(46)와 교대하도록 리브 밸리(46)가 배치되어 있다. 도 17 및 18에 따른 물결모양의 튜브(2)는 또한, 도 14 내지 16에 도시된 조인트 섹션(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나,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1 와이어링 하네스
2 물결모양의 튜브
3 케이블
4 케이블
5 케이블
6 물결모양의 튜브 쉘
7 물결모양의 튜브 쉘
8 단부 섹션
9 단부 섹션
10 조인트 섹션
11 커넥션 섹션
12 커넥션 섹션
13 디포메이션 섹션
14 단부 섹션
15 단부 섹션
16 립 섹션
17 립 섹션
18 슬롯
19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
20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
21 리브 크레스트
22 측 벽
23 측 벽
24 리브 밸리
25 내 벽
26 돌출부
27 리브 크레스트
28 측 벽
29 측 벽
30 리브 밸리
31 내 벽
32 돌출부
33 리세스
34 잠금 장치
35 전면 벽
36 포켓 섹션
37 전면 벽
38 포켓 섹션
39 언더컷
40 슬롯
41 섹션
42 그루브
43 리브
44 리브
45 리브 밸리
46 리브 밸리
A6 개방
A7 개방
D 회전 축
da19 외경
di19 내경
da20 외경
di20 내경
da24 외경
di24 내경
da30 외경
di30 내경
I 내부 공간
L 종 방향
M6 대칭 축
M7 대칭 축
R 반경 방향
t19 재료 두께
t20 재료 두께
t24 재료 두께
t30 재료 두께
U 둘레 방향
Z1 상태
Z2 상태
α6 개방 각도
α7 개방 각도
α60 둘레 각도
α70 둘레 각도
β 오버랩 각도
γ 회전 각도

Claims (15)

  1.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 주위에(around) 둘레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를 갖는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 주위에 둘레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를 갖는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의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20)를 서로 분리시키고,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은 각각의 제1 단부 섹션(8, 9)에서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인트 섹션(10),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제2단부 섹션(14) 및/또는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제2단부 섹션(15)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립 섹션(16, 17), 및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이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의 함께 접힌 상태(Z2)로 되고,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물결모양의 튜브(2)가 접혀-개방된 상태(Z1)일 때 상기 2개의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34),
    상기 잠금 장치(34)는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20)를 포함하고,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는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반경 방향(R) 및 둘레 방향(U) 모두에 연동하는 상기 제1둘레방향의 튜브 리브(19)의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블(3-5)을 고정하기 위해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34)는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 상에 형성된 제1포켓 섹션(36) 및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리브(20)상에 형성된 제2포켓 섹션(38)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포켓 섹션(36)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상기 제2포켓 섹션(38)에 유지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포켓 섹션(36)은 전면 벽(35)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2포켓 섹션(38)은 또한 전면 벽(37)을 포함하며,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상기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상기 제1포켓 섹션(36)의 상기 각각의 전면 벽(35)은 상기 제2포켓 섹션(38)의 상기 각각의 전면 벽(37)에 대향하여 접하며, 상기 포켓 섹션(36, 38)은 상기 둘레 방향(U)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포켓 섹션(36)은 리브 크레스트(21)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포켓 섹션(38)은 또한 리브 크레스트(27)를 포함하며,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상기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상기 제1포켓 섹션(36)의 상기 각각의 리브 크레스트(21)는 상기 제2포켓 섹션(38)의 상기 각각의 리브 크레스트(27)에 대향하여 접하며, 상기 포켓 섹션(36, 38)은 상기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포켓 섹션(36)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종 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측 벽(22, 23)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2포켓 섹션(38)은 또한 종 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측벽(28, 29)을 포함하며,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상기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상기 제1포켓 섹션(36)의 상기 각각의 측 벽(22, 23)은 상기 제2포켓 섹션(38)의 상기 각각의 측 벽(28, 29)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포켓 섹션(36, 38)은 상기 종 방향(L)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34)는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종 방향(L)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리브(19)을 통해 관통하는 리세스(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켓 섹션(38)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상기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상기 리세스(33)와 맞물리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제1둘레 각도(α60)를 갖고,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제2둘레 각도(α70)를 갖고, 및
    상기 둘레 각도(α60, α70)는 180°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20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및 27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및 270° 사이인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내경(di24)보다 작은 제1개방(A6)을 포함하고,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은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내경(di30)보다 작은 제2개방(A7)을 포함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의 상기 내경(di24)는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의 내경(di30)보다 작은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은 제1대칭 축(M6)을 갖고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제2대칭 축(M7)을 갖고, 상기 대칭 축(M6, M7)은 상기 함께 접힌 상태(Z2)에서 서로 동축 (coaxially)에 배치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섹션(10)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에 연결된2개의 커넥션 섹션(11, 12) 및 상기 커넥션 섹션(11, 12) 사이에 배치되며, 단면이 원호형으로 만곡되고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내부 공간(I)을 향하여 만곡되는 1개의 디포메이션 섹션(13)을 포함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섹션(10)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 쉘(6, 7)에 연결된2개의 커넥션 섹션(11, 12) 및 상기 커넥션 섹션(11, 12) 사이에 비치된 1개의 디포메이션 섹션(13)을 포함하고,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13)은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11, 12) 보다 얇은 벽을 갖고,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13)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의 내부 공간(I)으로부터 연장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언더컷(39)은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13)상에 제공되고 상기 디포메이션 섹션(13)의 타겟 변형(targeted deformation)을 허용하는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상기 물결모양의 튜브(2)가 상기 접혀-개방된 상태(Z1)에서 상기 함께 접힌 상태(Z2)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될 때 회전 축(D)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며, 상기 제1물결모양의 튜브 쉘(6) 및 상기 제2물결모양의 튜브 쉘(7)은 회전 각도(γ) 만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한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15.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5)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5)이 고정되어 제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2)를 갖는
    와이어링 하네스(1)

KR1020197018288A 2016-11-29 2017-11-03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 와이어링 하네스 KR102374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3040.5A DE102016123040A1 (de) 2016-11-29 2016-11-29 Aufklappbarer Wellschlauch und Kabelbaum
DE102016123040.5 2016-11-29
PCT/EP2017/078228 WO2018099686A1 (de) 2016-11-29 2017-11-03 Aufklappbarer wellschlauch und kabelba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116A true KR20190085116A (ko) 2019-07-17
KR102374134B1 KR102374134B1 (ko) 2022-04-05

Family

ID=6038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288A KR102374134B1 (ko) 2016-11-29 2017-11-03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 와이어링 하네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01626B2 (ko)
EP (1) EP3549216B1 (ko)
JP (1) JP6838156B2 (ko)
KR (1) KR102374134B1 (ko)
CN (1) CN110100361B (ko)
BR (1) BR112019010996B1 (ko)
DE (1) DE102016123040A1 (ko)
RU (1) RU2728805C9 (ko)
WO (1) WO20180996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742B1 (ko) * 2019-11-20 2021-01-29 (주)베스탑에프에이 복합 하네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2078B4 (de) * 2018-12-13 2022-11-24 Delfingen Fr-Anteuil S.A. Wellschlauch
IL273316B (en) * 2020-03-15 2021-02-28 Tevel Aerobotics Tech Ltd Device and method for picking fruit
JP7239546B2 (ja) 2020-11-30 2023-03-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用外装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6559A2 (en) * 1996-09-03 1998-03-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rrugated tube and an automatic wire-loading device therefor
JPH10136531A (ja) * 1996-09-03 1998-05-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
US20090140105A1 (en) * 2006-07-05 2009-06-04 Christophe Baverel Ringed Tubular Sheath and Device for Making Such a Sheath
EP2182599A1 (de) * 2008-10-30 2010-05-05 Schlemmer Gmbh Wellrohr aus Kunststoff, insbesondere zum Ummanteln elektrischer Leitungen
JP2014075936A (ja) * 2012-10-05 2014-04-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5097464A (ja) * 2013-10-10 2015-05-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ならびに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99128A1 (ja) * 2013-12-27 2015-07-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配管構造、リブ付きコルゲート管
JP2015162955A (ja) * 2014-02-27 2015-09-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電線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6594A1 (de) 1982-12-16 1984-06-20 Hegler, Wilhelm, 8730 Bad Kissingen Huellwellrohr
EP0860921B1 (en) * 1997-02-21 2001-07-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rrugated tube
NZ516297A (en) 1999-06-30 2003-10-31 Moo Won Byun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for cables
US6311734B1 (en) * 1999-11-12 2001-11-06 Alsons Corporation Showerhead security cover
MXPA03009495A (es) 2001-04-25 2004-02-12 Sofanou Sa ENVOLTURA PROTECTORA, QUE TIENE UNA TIRA LONGITUDINAL HECHA DE MATERIAL FLEXIBLE,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JP4264050B2 (ja) * 2004-11-10 2009-05-13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配管材の保護管
FR2935555B1 (fr) * 2008-09-03 2010-10-08 Delfingen Fr Anteuil S A Gaine tubulaire annelee a protection contre l'abrasion et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JP5798775B2 (ja) * 2011-04-04 2015-10-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
JP5691995B2 (ja) * 2011-10-20 2015-04-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付ワイヤーハーネス
GB2504189B (en) * 2012-05-24 2015-02-25 Schlumberger Holdings Pressure balanced coiled tubing cable and connection
CN203067901U (zh) * 2012-12-31 2013-07-17 西安航天远征流体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分段式超细长金属波纹管
JP2015037333A (ja) * 2013-08-12 2015-02-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
RU141815U1 (ru) 2013-08-22 2014-06-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иэлектрические кабельные системы" Муфта для гофрированных труб
DE102014108757A1 (de) * 2014-06-23 2015-12-24 Schlemmer Gmbh Wellrohr aus Kunststoff zum Ummanteln von Leitung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Wellrohr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6559A2 (en) * 1996-09-03 1998-03-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rrugated tube and an automatic wire-loading device therefor
JPH10136531A (ja) * 1996-09-03 1998-05-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
US20090140105A1 (en) * 2006-07-05 2009-06-04 Christophe Baverel Ringed Tubular Sheath and Device for Making Such a Sheath
JP2009542180A (ja) * 2006-07-05 2009-11-26 デルファンジャン エフエール−アントゥイユ エス.アー. 環状で管状のシースとその製造装置
EP2182599A1 (de) * 2008-10-30 2010-05-05 Schlemmer Gmbh Wellrohr aus Kunststoff, insbesondere zum Ummanteln elektrischer Leitungen
JP2014075936A (ja) * 2012-10-05 2014-04-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5097464A (ja) * 2013-10-10 2015-05-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ならびに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99128A1 (ja) * 2013-12-27 2015-07-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配管構造、リブ付きコルゲート管
JP2015162955A (ja) * 2014-02-27 2015-09-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電線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742B1 (ko) * 2019-11-20 2021-01-29 (주)베스탑에프에이 복합 하네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1626B2 (en) 2021-08-24
EP3549216B1 (de) 2022-04-20
JP6838156B2 (ja) 2021-03-03
JP2020515208A (ja) 2020-05-21
US20190312417A1 (en) 2019-10-10
DE102016123040A1 (de) 2018-05-30
WO2018099686A1 (de) 2018-06-07
EP3549216A1 (de) 2019-10-09
RU2728805C1 (ru) 2020-08-03
BR112019010996A2 (pt) 2019-10-15
KR102374134B1 (ko) 2022-04-05
RU2728805C9 (ru) 2020-10-22
CN110100361A (zh) 2019-08-06
BR112019010996B1 (pt) 2024-01-23
CN110100361B (zh)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134B1 (ko) 접혀 개방될 수 있는 물결모양의 튜브 및 와이어링 하네스
US9759360B2 (en) Openable corrugated hose, cable har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penable corrugated hose of this kind
US4944976A (en) Semi-rigid plastic jacket with interlocking longitudinal seam
CN109155509B (zh) 接收装置和线缆束
US11221094B2 (en) Corrugated tube
EP3703208A1 (en) Electric wire tube, electric wire tube connection structure, bell block,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 wire tubes,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 wire tube and bell block, tube joint, and ring member
US11708925B2 (en) Electrical conduit,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al conduit, bell block,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it,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it and bell block, pipe coupling, ring member, double-wall electrical conduit, and connection structure and conduit line for double-wall electrical conduit
PL193457B1 (pl) Sposób wytwarzania rury falistej i rura falista
KR102285043B1 (ko) 복합 튜브
JP5765254B2 (ja) グロメット
JP4579093B2 (ja) 管路構造
JP6715097B2 (ja) 地中埋設管の接続構造
JP6699865B2 (ja) コルゲート管
JP7477398B2 (ja) ホース用継手の締付ホルダー、ホース用継手のニップルおよびホース用継手
US20220163156A1 (en) Pipe joint insert device, pipe joint assembly, and methods of forming same
CN210141400U (zh) 多密封锁扣承插接口
JP6373542B1 (ja) 電線管用リング部材、雄型嵌合部のリング部材取り付け部への電線管用リング部材の取付け構造、リング部材の使用方法および電線管への電線管用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
JP2017225249A (ja) ワイヤハーネスの曲げ角度規制材
JPH11190475A (ja) 合成樹脂製波付管及びその継手部構造
KR20180043906A (ko) 지중케이블용 파형관
JP2009168213A (ja) 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