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569A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569A
KR20190084569A KR1020180002481A KR20180002481A KR20190084569A KR 20190084569 A KR20190084569 A KR 20190084569A KR 1020180002481 A KR1020180002481 A KR 1020180002481A KR 20180002481 A KR20180002481 A KR 20180002481A KR 20190084569 A KR20190084569 A KR 20190084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lothes
main body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717B1 (ko
Inventor
채경렬
표상연
서자연
박주연
박정하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717B1/ko
Priority to EP18898677.2A priority patent/EP3705618B1/en
Priority to CN201880085661.5A priority patent/CN111566274B/zh
Priority to PCT/KR2018/010426 priority patent/WO2019135464A1/ko
Priority to US16/764,650 priority patent/US11473234B2/en
Publication of KR2019008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관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의류 관리실 내에 배치되어 상의가 걸리는 상의 걸이를 포함한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상의 걸이는 상의의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내부 토출구를 포함하며, 본체는 상의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외부 토출구를 포함하므로, 상의의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의 냄새를 제거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 및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의류 관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는 의류에 공기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의류 관리기는 의류에 송풍장치에서 발생한 공기나 열풍을 의류로 공급하여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과, 스팀 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에 형성된 주름을 펴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의의 내부 및 외부로 동시에 동시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의류 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의의 몸체측 뿐만 아니라 양팔측에도 공기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배치되어 상의가 걸리는 상의 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상의 걸이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공기를 전달받는 연결공과, 상기 상의의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내부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상의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외부 토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의 걸이는 공기를 상기 상의의 몸통측 내부로 안내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의 양측에 양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공기를 상기 상의의 양팔측 내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유로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후로 긴 직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관들과, 상기 복수의 토출관들 사이 및 상기 복수의 토출관들 양측에 마련된 복수의 외부 토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의 걸이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상의 걸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상의 걸이는 상기 토출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하며 상기 토출관에 설치 및 분리된다.
또한, 상기 상의 걸이는 그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제 1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관은 그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의 걸이 하측에 연결되는 하의 걸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의 걸이는 수평하게 연장되어 하의가 걸리는 하의 걸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의 걸이부는 상하좌우로 수평하게 이격 배치된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의 걸이는 상기 하의 걸이부에 연결되어 필터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배치되어 상의가 걸리는 상의 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상의 걸이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공기를 전달받는 연결공과, 상기 상의의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내부 토출구와, 공기를 상기 상의의 몸통측 내부로 안내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의 양측에 양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공기를 상기 상의의 양팔측 내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유로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옷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옷걸이는 상의가 걸리는 상의 걸이와, 상기 상의 걸이 하측에 연결되어 하의가 걸리는 하의 걸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상의의 내부 및 외부로 동시에 공기 및 스팀을 배출하므로, 상의의 외부뿐 만 아니라 상의의 내부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상의의 몸체측 뿐만 아니라 양팔측에도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상의의 양팔측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 적용된 옷걸이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 적용된 옷걸이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 있어서 옷걸이를 통해의 공기가 토출되는 동작을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 있어서 옷걸이를 통해의 공기가 토출되는 동작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류 관리기(1)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는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0a)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의류 관리실(10a)을 개폐하는 도어(20)와, 의류를 걸 수 있도록 의류 관리실(10a) 내에 배치되어 옷걸이(30)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 관리기(1)는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의류 관리실(10a)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40)와,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의류 관리실(10a)에 공급될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50)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 상에 명확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체(10)는 의류의 제습을 위한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의류 관리실(10a) 내에 의류를 배치한 상태에서 송풍장치(40)에서 발생한 공기를 의류 관리실(10a)에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먼지 및 냄새를 제거하고, 스팀 발생장치(50)에서 발생한 스팀을 의류 관리실(10a)에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는 외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1) 내에 배치되어 외부 하우징(11)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부 하우징(12)과,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2)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가 순환하도록 안내하는 덕트(13, 14)를 포함한다.
도어(20)는 그 일 측단이 본체(10)의 전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의류 관리실(10a)을 개폐한다.
도어(20)는 그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의류 관리기(1)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패널(21)을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21)은 의류 관리기(1)의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버튼(21a)들과, 의류 관리기(1)의 동작 상태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1b)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1)은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하로 긴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부 하우징(11)의 전면은 개방되어 내측에 내부 하우징(12), 송풍장치(40) 및 스팀 발생장치(50)가 수용된다.
내부 하우징(12)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이 의류 관리실(10a)을 형성하는 의류 관리부(12a)와, 의류 관리부(12a)의 전면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송풍장치(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부(12b)와, 의류 관리부(12a)의 전면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팀 발생장치(5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부(12c)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 하우징(12)은 의류 관리부(12a)의 내측 상면에 배치되어 공기를 옷걸이(30)의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관(12d)과, 토출관(12d)의 양측에 마련되어 옷걸이(30)에 걸린 상의의 양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외부 토출구(12e)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관(12d)은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관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토출관(12d)이 좌우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두 벌의 의류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토출관(12d)들 내부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12f)들을 통해 분할되어 격벽(12f)들에 의해 공기가 전후로 고르게 분산되어 배출된다.
외부 토출구(12e)는 두 토출관(12d)들의 사이 및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총 세 개가 마련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관(12d)에서 토출된 공기는 옷걸이(30)를 통해 상의의 내부로 전달되어 상의들의 내면에 붙은 먼지를 분리하거나, 상의의 내면에 배인 냄새를 제거한다. 또한, 외부 토출구(12e)들을 통해 토출된 공기는 두 옷걸이(30)에 걸려 있는 상의들의 외부 양 측면에 모두 접하여, 상의들의 외부에 붙은 먼지를 분리하거나, 상의의 외면에 배인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에서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실(10a)에 두 개의 토출관(12d)과 세 개의 외부 토출구(12e)가 마련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의류 관리기(1)가 하나의 토출관(12d)과 두 개의 외부 토출구(12e)를 포함하거나, 세 개 이상의 토출관(12d)과 네 개 이상의 외부 토출구(12e)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3 및덕트(13, 14)는 의류 관리실(10a) 내부의 공기를 송풍장치(40)로 안내하는 흡입 덕트(13)와, 송풍장치(40)에서 토출된 공기를 토출관(12d)과 외부 토출구(12e)로 분산 안내하는 토출 덕트(14)를 포함한다. 또한, 토출 덕트(14) 내에는 공기가 토출관으로 토출되기 이전에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15)가 배치된다.
흡입 덕트(13)는 그 하부가 의류 관리부(12a)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고 그 상단이 송풍장치(40)를 덮도록 설치된다. 토출 덕트(14)는 그 후단이 송풍장치(40)에 연결되고 그 전단부는 의류 관리부(12a)의 외측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토출관(12d) 및 외부 토출구(12e)와 연결된다.
한편, 의류 관리부(12a)의 후면에는 의류 관리실(10a)의 공기가 흡입 덕트(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12g)가 마련되며, 흡입구(12g)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12h)가 배치된다.
송풍장치(40)는 의류 관리부(12a)의 상부에 후방측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구동모터(41)와, 구동모터(41)에 의해 회전하는 두 개의 송풍팬(42)과, 두 송풍팬(42)을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팬 케이스(43)들을 포함한다.
구동모터(41)는 그 축이 양 측방으로 돌출되며, 축의 양단에는 두 송풍팬(42)이 설치되어 두 송풍팬(42)이 하나의 구동모터(41)에 의해 동시에 회전한다.
두 송풍팬(42)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각각 이루어진다.
팬 케이스(43)들은 양 측방에 흡입구(미도시)가 마련되고 전방측에 토출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양 측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방측으로 안내한다.
스팀 발생장치(50)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51)과,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물통(51)은 상술한 하부 커버부(12c)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팀 발생장치(50)에서 발생한 스팀은 송풍장치(40)에 전달되어 송풍장치(40)를 통해 의류 관리실(10a)로 공급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30)는 상의가 걸리는 상의 걸이(31)와, 상의 걸이(31)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의가 걸리는 하의 걸이(32)를 포함한다.
상의 걸이(31)는 하측으로 진행하며 증가하는 폭을 가져,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의류가 걸리는 상의 걸이부(31a)와, 상의 걸이부(31a)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술한 토출관(12d)과 연결되는 연결관부(31b)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관부(31b)의 상면은 토출관(12d)과 연결되어 토출관(12d)으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는 연결공(31c)을 형성하며, 상의 걸이부(31a)의 하면은 상의 걸이부(31a)에 걸린 상의의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내부 토출구(31d)를 포함한다. 또한 상의 걸이(3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마련되어 연결공(31c)을 통해 전달된 공기를 내부 토출구(31d)로 안내하는 유로(31e, 31f)들을 포함한다.
유로(31e, 31f)는 상의 걸이(31)에 걸린 상의의 몸체측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유로(31e)와, 제 1 유로(31e)의 양측에 양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의 걸이(31)에 걸린 상의의 양팔측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유로(31f)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기는 제 1 유로(31e) 및 제 2 유로(31f)들을 통해 공기는 상의의 몸체측 내부 뿐만 아니라 양팔측 내부로도 분산되므로, 상의의 몸체측 뿐만 아니라 양팔측 내부의 먼지, 냄새 및 주름도 제거할 수 있다.
하의 걸이(3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의가 걸리는 하의 걸이부(32a)와, 하의 걸이부(32a)의 하측에 마련되어 각종 기능성 필터(33)가 설치되는 필터 수용부(32b)와, 하의 걸이부(32a)의 상측에 마련되어 하의 걸이가 상부 걸이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32c)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의 걸이(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의 걸이(31)의 하측에 연결되므로 하의 걸이부(32a)에 걸린 하의는 상의 걸이부(31a)에 걸린 상의의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유로(31f)를 통해 상의의 내측으로 토출된 공기가 상의의 몸체측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하의 걸이부(32a)에 걸린 하의도 통과하므로, 하의의 먼지, 냄새 및 주름도 제거한다.
하의 걸이부(32a)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좌우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의가 하의 걸이부(32a)에 걸린 상태에서 두 개의 와이어들 사이의 공간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 역할을 수행한다.
필터 수용부(32b)는 하의 걸이부(32a)의 하측에 연결되며, 하의 걸이부(32a)와 마찬가지로 와이어들에 의해 형성된다. 필터 수용부(32b)에는 냄새 제거제나 방향제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33)들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옷걸이(30)는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옷걸이(3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의류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옷걸이(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부(31b)의 상단에 마련된 제 1 가이드레일(31g)을 포함하며, 본체(10)는 토출관(12d)의 하단에 마련되어 제 1 가이드레일(31g)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12i)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레일(31g)은 연결관부(31b) 상단의 내부 양측 및 전방측에 마련되며, 제 2 가이드레일(12i)은 제 1 가이드레일(31g)과 대응하도록 토출관(12d) 하단의 양측면 및 전방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옷걸이(3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옷걸이(30)는 토출관(12d)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사용자가 옷걸이(3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의류를 옷걸이(30)에 걸 수 있다.
또한, 의류가 걸린 옷걸이(30)를 제 1 가이드레일(31g)이 제 2 가이드레일(12i)에 끼워지도록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옷걸이(30)의 연결관부(31b)가 다시 토출관(12d)과 연결되어 옷걸이(30)가 토출관(12d)을 통해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옷걸이(30)에 옷을 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옷걸이(30)는 제 1 가이드레일(31g) 및 제 2 가이드레일(12i)을 통해 의류 관리실(10a)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옷걸이는 자석 등을 통해 의류 관리실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옷걸이는 의류 관리실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의류 관리기 10: 본체
11: 외부 하우징 12: 내부 하우징
13, 14: 덕트 15: 히터
20: 도어 30: 옷걸이
31: 상의 걸이 32: 하의 걸이
33: 필터 40: 송풍장치
50: 스팀 발생장치

Claims (14)

  1. 의류 관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배치되어 상의가 걸리는 상의 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상의 걸이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공기를 전달받는 연결공과, 상기 상의의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내부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상의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외부 토출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 걸이는 공기를 상기 상의의 몸통측 내부로 안내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의 양측에 양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공기를 상기 상의의 양팔측 내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유로들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후로 긴 직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관들과,
    상기 복수의 토출관들 사이 및 상기 복수의 토출관들 양측에 마련된 복수의 외부 토출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4. 제 1 항에 있이서,
    상기 상의 걸이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의류 관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의 걸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상의 걸이는 상기 토출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하며 상기 토출관에 설치 및 분리되는 의류 관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 걸이는 그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제 1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관은 그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 걸이 하측에 연결되는 하의 걸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의 걸이는 수평하게 연장되어 하의가 걸리는 하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 걸이부는 상하좌우로 수평하게 이격 배치된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 걸이는 상기 하의 걸이부에 연결되어 필터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0. 의류 관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배치되어 상의가 걸리는 상의 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상의 걸이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공기를 전달받는 연결공과, 상기 상의의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내부 토출구와, 공기를 상기 상의의 몸통측 내부로 안내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의 양측에 양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공기를 상기 상의의 양팔측 내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유로들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의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외부 토출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2. 의류 관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옷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옷걸이는 상의가 걸리는 상의 걸이와, 상기 상의 걸이 하측에 연결되어 하의가 걸리는 하의 걸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의 걸이에 연결되는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옷걸이는 상기 토출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의류 관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그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제 1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관은 그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KR1020180002481A 2018-01-08 2018-01-08 의류 관리기 KR10252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81A KR102520717B1 (ko) 2018-01-08 2018-01-08 의류 관리기
EP18898677.2A EP3705618B1 (en) 2018-01-08 2018-09-06 Clothes manager
CN201880085661.5A CN111566274B (zh) 2018-01-08 2018-09-06 衣物管理装置
PCT/KR2018/010426 WO2019135464A1 (ko) 2018-01-08 2018-09-06 의류 관리기
US16/764,650 US11473234B2 (en) 2018-01-08 2018-09-06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81A KR102520717B1 (ko) 2018-01-08 2018-01-08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69A true KR20190084569A (ko) 2019-07-17
KR102520717B1 KR102520717B1 (ko) 2023-04-11

Family

ID=6714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81A KR102520717B1 (ko) 2018-01-08 2018-01-08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3234B2 (ko)
EP (1) EP3705618B1 (ko)
KR (1) KR102520717B1 (ko)
CN (1) CN111566274B (ko)
WO (1) WO201913546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9260A (zh) * 2019-08-11 2019-10-22 合肥品冠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吹风功能的衣架及其衣物护理机
WO2021118313A1 (ko) * 2019-12-12 2021-06-17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수납 시스템
WO2021133043A1 (en) * 2019-12-27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407534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의류 건조 장치
WO2022193654A1 (zh) * 2021-03-19 2022-09-2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架及衣物护理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3274A1 (en) * 2018-08-05 2020-02-13 Laundrysucks.Io Inc. Laundry apparatus
CN115110278A (zh) * 2021-03-19 2022-09-2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CN115110288B (zh) * 2021-03-19 2023-10-3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物护理机
CN115726179A (zh) * 2021-08-31 2023-03-0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通风衣架及衣物护理设备
KR20230105748A (ko) * 2022-01-04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211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20110035030A (ko) * 2009-09-29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30094923A (ko) * 2012-02-17 2013-08-27 유상필 의류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8107A (en) 1972-05-15 1976-03-17 Hoover Ltd Drying machines
JPH10298A (ja) 1996-06-18 1998-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仕上げ装置
JP3230188B2 (ja) * 1999-09-01 2001-11-19 坂口電熱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101108043B1 (ko) *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KR200435956Y1 (ko) * 2006-09-29 2007-03-23 최현규 의류 건조기 겸용 옷걸이
EP3779026A1 (en) * 2010-03-03 2021-02-1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49941B1 (ko) * 2011-11-23 2018-04-19 코웨이 주식회사 옷걸이형 의류 살균 탈취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312024B1 (ko) * 2012-03-06 2013-09-26 (주)에이치엔씨 의류 관리기
KR102300033B1 (ko) 2014-07-03 202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80559A (ko) 2017-06-28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211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20110035030A (ko) * 2009-09-29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30094923A (ko) * 2012-02-17 2013-08-27 유상필 의류 건조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9260A (zh) * 2019-08-11 2019-10-22 合肥品冠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吹风功能的衣架及其衣物护理机
WO2021118313A1 (ko) * 2019-12-12 2021-06-17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114829694A (zh) * 2019-12-12 2022-07-29 科唯怡株式会社 多功能收纳系统
CN114829694B (zh) * 2019-12-12 2023-11-24 科唯怡株式会社 多功能收纳系统
WO2021133043A1 (en) * 2019-12-27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649581B2 (en) 2019-12-27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407534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의류 건조 장치
WO2022193654A1 (zh) * 2021-03-19 2022-09-2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架及衣物护理机
CN115110290A (zh) * 2021-03-19 2022-09-2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架及衣物护理机
CN115110290B (zh) * 2021-03-19 2023-12-2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架及衣物护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70236A1 (en) 2020-11-26
CN111566274B (zh) 2023-03-21
CN111566274A (zh) 2020-08-21
WO2019135464A1 (ko) 2019-07-11
EP3705618A4 (en) 2020-12-30
EP3705618A1 (en) 2020-09-09
KR102520717B1 (ko) 2023-04-11
US11473234B2 (en) 2022-10-18
EP3705618B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569A (ko) 의류 관리기
EP4088640A1 (en) Shoe care device
EP4290005A2 (en) Clothes care apparatus
US8038963B1 (en) Garment bag
US20210310180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370123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00021359A (ko) 의류관리장치
KR101999533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82720A (ko) 의류 처리 장치
CN116065371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KR20200080962A (ko) 의류 관리기
KR20210030825A (ko) 옷장형 의류 관리 장치 및 옷 관리 방법
KR10199953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565395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712596A (zh) 衣物处理装置
KR102625459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35394A (ko) 복수의 외기 유입부를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190131272A (ko) 의류처리장치
WO2023106567A1 (ko)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200004169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190036241A (ko) 건조기
KR20230006967A (ko) 의류 관리기
KR20240028143A (ko) 의류 관리기
CN116065372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KR20240037101A (ko) 의류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