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101A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101A
KR20240037101A KR1020220115944A KR20220115944A KR20240037101A KR 20240037101 A KR20240037101 A KR 20240037101A KR 1020220115944 A KR1020220115944 A KR 1020220115944A KR 20220115944 A KR20220115944 A KR 20220115944A KR 20240037101 A KR20240037101 A KR 20240037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flow
outlet
cloth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숙
김우진
서응렬
조황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101A/ko
Priority to PCT/KR2023/010836 priority patent/WO2024058407A1/ko
Publication of KR2024003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의류 관리기가 개시된다. 의류 관리기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 및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공기 배출구를 통해 의류 관리실 내부로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또한, 의류 관리실 내부에 위치하는 행거로서,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기류가 유입 및 배출되는 행거 유로를 형성하는 행거 바디를 포함하는 행거를 포함한다. 그리고 행거 유로상에 마련되도록 행거 바디에 부착되는 유체 진동기로서, 유체 진동기로 유입된 기류의 배출 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류를 이용하여 의류를 관리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인 의류 관리실과,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그 하부에 위치된다. 의류 관리실과 전장실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행거가 의류 관리실에 배치되고, 행거에 기류를 제공하여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의류에 효과적으로 기류를 분사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기류의 분사방향이 보다 넓어지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의류에 전체적으로 기류를 분사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의류 내부에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의류 내부에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의류 측면에 기류를 토출시킬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높은 분사 압력을 갖는 기류를 의류에 분사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 및 상기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위치하는 행거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는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된다. 상기 행거는 상기 기류가 상기 의류 관리실을 향해 배출되도록 상기 기류를 가이드 하는 행거 유로를 형성하는 행거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행거 유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행거 바디에 결합되는 유체 진동기로서, 상기 유체 진동기로 유입된 기류의 배출 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기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인렛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제1 덕트 입구 및 상기 제1 덕트 입구에 유입된 기류가 토출되는 제1 덕트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기류를 상기 제1 덕트의 상기 제1 덕트 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덕트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덕트 입구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의 폭은 상기 제1 덕트 입구의 폭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제1 덕트 입구로 유입된 기류가 상기 제1 덕트 하우징 내부에 접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 하우징의 일부는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피드백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상기 의류 관리실 측으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 덕트 출구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토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출구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토출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피드백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류가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로 유동하도록 상기 팬과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가이드 덕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기류가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팬과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와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덕트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행거 바디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 및 상기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의류 관리실 상부에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기류가 상기 공기 배출구로 유동하도록 상기 팬과 상기 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중공의 행거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는, 상기 기류가 상기 의류 관리실을 향해 배출되도록 상기 기류를 가이드 하는 행거 유로를 형성하는 행거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는 의류를 지지하도록 상기 행거 바디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행거 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행거 유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행거 바디에 결합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기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인렛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제1 덕트 입구 및 상기 제1 덕트 입구에 유입된 기류가 토출되는 제1 덕트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기류를 상기 제1 덕트의 상기 제1 덕트 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덕트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덕트 입구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유체 진동기로 유입된 기류의 배출 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배출구의 폭은 상기 제1 덕트 입구의 폭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 입구로 유입된 기류가 상기 제1 덕트 하우징 내부에 접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 하우징의 일부는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피드백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상기 의류 관리실 측으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 덕트 출구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토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출구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토출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피드백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가이드 덕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기류가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팬과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와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덕트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행거 바디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 및 상기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의류 관리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토출되는 기류를 형성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토출된 기류를 흡입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의 일면에 마련되는 기류 유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기류 유입구와 상기 팬을 연통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의류 관리실의 일면에 위치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순환 유로에서 유동하는 기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순환 유로 상에 배치되는 유입구 및 상기 기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인렛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제1 덕트 입구 및 상기 제1 덕트 입구에 유입된 기류를 상기 의류 관리실로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덕트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기류를 상기 제1 덕트의 상기 제1 덕트 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덕트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덕트 입구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유체 진동기로 유입된 기류의 배출 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된다.
일례에 따르면, 보다 넓은 방향으로 분사되는 기류를 의류에 공급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유체 진동기가 행거 유로상에 마련되어 의류 내부로 배출방향이 변화하는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유체 진동기가 전후 측 방향으로 변화하는 기류를 의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유체 진동기가 좌우 측 방향으로 변화하는 기류를 의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유체 진동기가 의류 관리실의 일면에 마련되어 의류 외부에 효과적으로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유체 진동기를 통과하여 높은 분사 압력을 갖는 기류를 의류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탑 커버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의 제1 덕트 하우징 내부에 접하며 유동하는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기류가 제2 덕트에 의해 피드백된 기류에 의해 유동방향이 변화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가 행거 바디에 장착된 경우의 의류 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유체 진동기에서 토출된 기류가 의류 관리실로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유체 진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가 행거 바디에 장착된 경우의 의류 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가 행거 바디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가 내부 케이스에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유체 진동기가 배치된 의류 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등의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회전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 시계방향은 제1 방향,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반시계 방향은 제2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 통용될 수 있으나, 이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류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과,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행거(60)와,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50)가 구비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공기 배출구(200)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11) 및 의류 관리실(11)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10)내부에 의류 관리실(11)이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 관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힌지(21)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의류 관리실(11)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상면(12a)과, 하면(12b)과,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개구(11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의류 관리실(11)의 개구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 케이스(30a) 및 외부 케이스(30a)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30b)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고). 내부 케이스(30b)는 의류 관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 마련되어 행거(6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6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65)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65)는 의류를 거치하는 행거(6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행거는 옷걸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행거(6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행거(6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행거(60)의 구조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의류 관리실(11)은 기계실 기류배출구(31a) 및 공기 배출구(200)와, 제1기류유입구(31b) 및 제2기류유입구(32b), 그리고 증기 배출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 기류배출구(31a)와 제1기류유입구(3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 기류배출구(31a)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유입구(3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 기류배출구(31a)와 제1기류유입구(3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3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33)는 기계실 기류배출구(3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유입구(32b)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와 제2기류유입구(3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 배출구(200)는 행거(60)와 연통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행거(60)로 전달되어 행거(6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 배출구(200)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72) 및 급수통(7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72)과 급수통(71)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72)은 열 교환장치(50)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스팀발생장치(7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급수통(71)의 물이 스팀발생장치(7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70)는 급수통(7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부(73)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72) 및 급수통(71)은 기계실(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5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필요에 따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잇다. 열 교환장치(5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5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53), 응축기(54) 및 압축기(55)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50)의 증발기(5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55)를 거쳐 응축기(5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배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즉, 증발기(53)와 응축기(54)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순환팬(52)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53)와 응축기(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 교환장치(50)는 증발기(53)와 응축기(54) 및 순환팬(52)을 연결하는 제1순환덕트(56)를 포함하고, 제1순환덕트(56)는 의류 관리실(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순환덕트(56)는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유입구(31b)와 기계실 기류배출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기류유입구(31b)를 통해 제1순환덕트(56)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기계실 기류배출구(31a)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다시 배출한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행거(60)가 마련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송풍장치(9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순환덕트(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2순환덕트(82)를 순환하는 제22(8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유로(8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순환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장치(9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94)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와 탑 커버(94) 사이에는 송풍장치(9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와 공기 배출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의 유입구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와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제2순환덕트(82)의 유입구와 제2기류유입구(32b)는 동일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의 일단은 제2기류유입구(32b)에 의해 형성되고 제2순환유로(81)의 타단은 공기 배출구(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제2순환덕트(82)와 송풍장치(90) 및 송풍장치(90)와 공기 배출구(200)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순환덕트(82)의 일단은 제2기류유입구(32b)에 의해 형성되고 제2순환유로(81)의 타단은 송풍장치(90)에 공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행거(60)와 연통되어 제2순환덕트(82)에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행거(60)로 전달되게 된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된 지지장치(65)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행거(60)는 상단의 에어공급구 즉, 공기 배출구(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의 내외측에 공급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어 공급구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 배출구(200)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탑 커버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의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순환덕트(82) 및 제2순환유로(81)를 따라 순환시키도록 마련된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덕트(82)로 유입된 공기가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94)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덕트(82)와 탑 커버(9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 커버(94)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탑 커버(94)는 의류 관리실(11) 상부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탑 커버(94)는 제2순환유로(81)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탑 커버(94)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94)의 전면은 개구(94a)되어 후술하는 덕트 브라켓(99) 및 가이드 덕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탑 커버(94)의 전방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 배출구(200)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93)와, 모터(93)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91)을 포함할 수 있다. 팬(91)은 팬 하우징(92)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팬 하우징(92)은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99)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에는 팬 하우징(92)에 형성되는 토출구(95)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99a, 99b)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99a, 99b)에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가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2순환덕트(82)에 유입된 공기를 공기 배출구(200)로 이동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송풍장치(90)는 제1팬(91a)과 제1팬(91a)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팬(91b)과, 제1팬(91a)과 제2팬(91b)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9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93)는 제1팬(91a)과 제2팬(9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1팬(91a)과 제2팬(91b)을 수용하기 위한 팬 하우징(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92)은 의류 관리실(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팬 하우징(92)은 제1팬(91a)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1팬하우징(92a)과 제2팬(91b)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팬하우징(9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하우징(92a)은 내부에 제1팬(91a)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팬하우징(92a)은 전면에 제1토출구(9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팬하우징(92b)은 내부에 제2팬(91b)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팬하우징(92b)은 전면에 제2토출구(95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팬하우징(92a)과 제2팬하우징(92b)은 의류 관리실(11) 상면(12a)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99)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에는 제1토출구(95a) 및 제2토출구(95b)에 연결되는 제1개구(99a)와 제2개구(99b)가 마련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의 제1개구(99a)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토출구(95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1토출구(95a)로 토출되어 이동하는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의 공기 배출구(200)로 이동하게 한다. 덕트 브라켓(99)의 제2개구(99b)는 제2팬하우징(92b)의 제2토출구(95b)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2토출구(95b)로 토출되어 이동하는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의 공기 배출구(200)로 이동하게 한다.
의류 관리기(1)는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를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안내하도록 송풍장치(90)와 의류 관리실(11)의 공기 배출구(200)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덕트(100)는 팬(91)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복수의 공기 배출구(200)로 유동하도록 팬(91)과 복수의 공기 배출구(200)를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의 본체(10)는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를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 유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유로(140)는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100)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제2순환유로(81)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덕트 브라켓(99)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송풍장치(90)를 커버하는 팬 하우징(92)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덕트 유로(140)는 제2순환유로(8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유로(140)는 제2순환유로(81)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유로(140)는 가이드 덕트(100)에 의해 가이드 덕트(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 덕트(100)에 의해 가이드 덕트 유로(140)를 따라 공기 배출구(200)을 거쳐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의류 관리실(11)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하는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와,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각각의 공기 배출구(200)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덕트 배출구(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입구(이하, 가이드 덕트 유입구 110)와,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의류 관리실(11)로 이동하도록 토출되는 복수의 출구(이하, 가이드 덕트 배출구 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의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는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는 팬(9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는 가이드 덕트(100)의 외관을 이루는 가이드 덕트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120)는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된 각각의 공기 배출구(200)와 연통되는 각각의 행거(60)를 통해 전달되도록, 각각의 행거(6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덕트 하우징(130)은 각각의 공기 배출구(200)에 각각 공기를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120)를 갖도록 분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00)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덕트 유로(140)는 제2순환유로(81)의 일부로 팬 하우징(92)의 토출구(95)에 의해 형성되고 가이드 덕트 배출구(120)이 연결된 공기 배출구(200)를 통해 행거(60)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 덕트(1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를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 배출구(200)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 덕트(100)는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송풍장치(90)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되어,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덕트 하우징(130)은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와 가이드 덕트 배출구(120)를 연통시키도록 하는 가이드 덕트 절곡부(S)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는 제1팬하우징(92a)과 의류 관리실(11)의 공기 배출구(20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배출구(120)는 제2팬하우징(92b)과 의류 관리실(11)의 공기 배출구(20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유입구(110)와 가이드 덕트 배출구(120)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200)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장착되는 복수의 행거(60)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된 지지장치(65)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장치(65)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66)은 행거(60)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구(200)는 지지 브라켓(66)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을 직접 관통시켜 마련되는 관통공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의 제1 덕트 하우징 내부에 접하며 유동하는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기류가 제2 덕트에 의해 피드백된 기류에 의해 유동방향이 변화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는 유체 진동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00)란 입력된 유체를 진동시켜 유체 진동기(30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장치이다.
유체 진동기(300)는 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311) 및 기류가 배출되는 배출구(312)를 포함하는 인렛 노즐 (31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311)를 통해 유체 진동기(300)의 인렛 노즐 (310)로 유입된 기류는 배출구(312)를 통해 인렛 노즐 (3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00)은 배출구(312)와 연통되어 배출구(312)에서 배출된 기류가 유입되는 제1 덕트 입구(321) 및 제1 덕트 입구(321)에 유입된 기류가 토출되는 제1 덕트 출구(322)를 포함하는 제1 덕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312)를 통해 인렛 노즐 (3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312)와 연통되는 제1 덕트(320)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구(312)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1 덕트(320)의 제1 덕트 입구(321)로 유입되어 제1 덕트(32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제1 덕트(320)는 외관을 이루는 제1 덕트 하우징(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부는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부는 제1 덕트 절곡부(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320)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최종적으로 제1 덕트(320)에 마련되는 제1 덕트 출구(32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덕트 출구(322)의 양단에는 제1 덕트 출구(322)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 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토출 가이드(324a, 324b)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덕트 출구(322)로 토출되는 기류는 한 쌍의 토출 가이드(324a, 324b)에 의해 가이드 되어 유체 진동기(300) 외부로 토출되어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00)는 제1 덕트(320) 내에서 유동하는 기류를 제1 덕트(320)의 제1 덕트 출구(322)와 인접한 제1 덕트(320)의 하류측에서 제1 덕트 입구(321)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 유로(334)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덕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덕트(330)는 제1 덕트(320)를 기준으로 유체 진동기(300)에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덕트(330) 폭은 제1 덕트(320) 폭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체 진동기(300) 내에서 유체가 진동하게 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핀다.
유입구(311)로 유입된 기류는 인렛 노즐(310)에서 유동하여 배출구(312)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배출구(312)와 연통된 제1 덕트(320)의 제1 덕트 입구(321)로 기류는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덕트 입구(321)의 폭은 배출구(312) 폭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312)로 배출된 기류는 제1 덕트(32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312)에서 배출된 기류가 곧바로 제2 덕트 출구(332)에 유입되어 제2 덕트(330) 내에서 유동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덕트 입구(32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덕트(32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덕트(320)의 외관을 이루는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부는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부가 절곡되어 마련된 탓에 제1 덕트(320)에서 유동하는 기류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측에 접하는 모습으로 유동할 수 있다(제1 진동유동(M1) 참조). 여기서 코안다 효과란, 절곡부에 분사된 유동이 물체의 절곡부를 따라 해당 절곡면에 밀착되어 흐르는 현상을 의미한다.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측에서 접하며 유동하는 기류는 제1 덕트(320)의 제1 덕트 출구(322)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 덕트 출구(322) 측으로 유동하는 기류는 제1 덕트 출구(322)와 토출구(325)를 거쳐 유체 진동기(3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덕트 출구(322) 측으로 유동하는 제1 진동유동(M1)은 제1 덕트(320)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측에 마련된 제2 덕트 입구(331)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덕트 입구(331)는 제1 덕트(320)의 하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덕트 출구(322) 폭은 제1 덕트(320) 폭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측에서 유동하는 기류의 일부가 제2 덕트(330)의 입구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덕트(330)로 유입된 기류는 제2 덕트(330) 하우징을 통해 제2 덕트 출구(332)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제1 피드백유동(N1) 참조). 이를, 제2 덕트(330)에 의한 기류의 피드백 현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2 덕트 출구(332)는 제1 덕트 입구(321) 측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피드백유동(N1)는 제2 덕트 출구(332)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덕트 출구(332)에서 배출되는 제1 피드백유동(N1)은 인렛 노즐(310)의 배출구(312)에서 배출되어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1 진동유동(M1)과 충돌할 수 있다.
제1 진동유동(M1)은 제1 피드백유동(N1)과의 충돌에 의해 그 흐름이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1 진동유동(M1)에서 제1 덕트 하우징(323)의 타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2 진동유동(M2)으로 바뀔 수 있다.
제2 덕트(330)는 제1 덕트(320)를 기준으로 유체 진동기(300)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체 진동기(300)의 제1 덕트 하우징(323)의 타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2 진동유동(M2)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2 진동유동(M2)의 경우에도 제2 덕트(330)(340)에 의한 피드백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제2 피드백유동(N2)는 제2 덕트 출구(332)에서 배출되어 제1 덕트 하우징(323)의 타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2 진동유동(M2)와 충돌할 수 있다.
제2 진동유동(M2)는 제2 피드백유동(N2)과의 충돌에 의해 그 흐름이 제1 덕트 하우징(323)의 타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2 진동유동(M2)에서 제1 덕트 하우징(323)의 일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1 진동유동(M1)으로 다시 바뀔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에 의해, 유체 진동기(300) 내부로 인입되는 기류의 흐름은 제1 덕트(320) 내에서 제1 진동유동(M1)과 제2 진동유동(M2)으로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진동기(300)에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가 행거 바디에 장착된 경우의 의류 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유체 진동기에서 토출된 기류가 의류 관리실로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기류 가이드를 통해 공기 배출구(200)로 유동하는 기류는 행거(60)에 공급될 수 있다.
행거(60)는 행거 바디(61)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60)는 행거 바디(61)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행거 레그(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행거 레그(62)는 행거 바디(6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행거 바디(61)는 중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행거 바디(61)는 행거 바디(61) 내부의 행거 유로(6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200)를 통해 행거(60)에 유입된 기류는 행거 유로(63)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00)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행거 유로(63) 상에서 유동하는 기류는 최종적으로 의류 관리실(11)의 하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00)는 행거 바디(61)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진동기(300)는 행거 유로(63) 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00)는 유입구(311)가 공기 배출구(200)와 마주보는 형태로 행거 유로(63)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200)를 통해 행거(60)로 유입된 기류는 유체진동기의 유입구(311)를 통해 유체진동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00)는 한 쌍의 제2 덕트(330)가 제1 덕트(32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덕트(330)은 제1 덕트(320)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333, 34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333, 343)은 각각 피드백 유로(334, 344)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진동기(300) 내부에서 유동하는 기류는 유체 진동기(300)의 토출구(325)를 통해 전후 측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유동방향이 변화하도록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진동기(300)는 행거(60)에 걸린 의류에 전후 측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유동방향이 변화하는 기류를 토출할 수 있어, 단순히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방향으로 기류를 토출하는 경우에 비해 효과적으로 의류에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유체 진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체 진동기(400)의 제1 덕트 출구(422)의 양단에는 회전 부재(426a, 426b)가 마련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400)의 한 쌍의 토출 가이드(424a, 424b)는 회전 부재(426a, 426b)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토출 가이드(424a, 424b)는 회전 부재(426a, 4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 가이드(424a, 424b)가 회전함에 따라 토출각(G)이 변화할 수 있다. 토출각(G)이 변화함에 따라 한 쌍의 토출 가이드(324a, 324b)에 의해 유체 진동기(400) 외부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행거(60)에 걸리는 의류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적절히 토출각(G)을 조절하여 의류에 전체적으로 기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가 행거 바디에 장착된 경우의 의류 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행거 레그(62)는 행거 바디(6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500)는 행거 바디(61)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진동기(500)는 행거 유로(63)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500)는 제2 덕트(530)가 제1 덕트(52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덕트(330, 340)는 제1 덕트(32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333, 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333, 343)은 각각 피드백 유로(334, 344)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행거 레그(6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체 진동기(500)의 제2 덕트(530)는 좌우 방향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진동기(500)는 전후 측 방향으로 걸려있는 의류에 좌우 방향으로의 기류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진동기(500)는 의류를 효과적으로 부풀리도록 기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가 행거 바디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유체 진동기(600)는 행거 바디(61)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행거 바디(61)에서 유체 진동기(600)가 분리된 경우, 공기 배출구(200)로 배출되어 행거 유로(63) 상에서 유동하는 기류는 의류 관리실(11) 하면(12a)을 향해 행거(6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면에는 행거 레그(62)가 행거 바디(61)로부터 제1 덕트(620)를 기준으로 전후 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유체 진동기(600)의 제2 덕트(630)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유체 진동기(600)의 제2 덕트(630)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경우에도 분리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진동기가 내부 케이스에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유체 진동기가 배치된 의류 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유체 진동기(700)는 내부 케이스(30a)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진동기(700)는 내부 케이스(30a)에 마련되는 의류 관리실(11)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700)는 제2기류유입구(이하, 기류 유입구(32b))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91)에 의해 토출된 기류는 가이드 덕트(100)를 통해 공기 배출구(200)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로 유동한 기류는 행거 유로(63) 상에서 유동할 수 있고, 이후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토출된 기류 중 일부는 기류 유입구(32b)를 통해 제2순환덕트(8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 내부로 유입된 기류는 제2순환유로(이하, 순환 유로(81)) 상에서 유동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700)는 일부가 순환 유로(81)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진동기(700)의 유입구(711)는 순환 유로(8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유로(81) 상에서 유동하는 기류의 일부는 유입구(711)를 통해 유체 진동기(7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700)의 토출구(725)는 의류 관리실(11)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진동기(700)의 유입구(711)를 통해 유입된 기류는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주기적으로 방향이 변화하는 기류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로 토출되는 기류는 행거(60)에 걸린 의류의 측면에 기류를 분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의 측면에 주기적으로 방향이 변화하는 기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의 외부에 효과적으로 기류를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 관리기
10: 본체
11: 의류 관리실
11a: 개구
12a: 상면
12b: 하면
12e: 후면
20: 도어
21: 힌지
30a: 외부 케이스
30b: 내부 케이스
31a: 기계실 기류배출구
31b: 기계실 기류유입구
32b: 기류 유입구
33: 증기 배출구
50: 열 교환장치
52: 순환팬
53: 증발기
54: 응축기
55: 압축기
56: 제1 순환 덕트
60: 행거
61: 행거 바디
62: 행거 레그
63: 행거 유로
65: 지지장치
66: 지지 브라켓
70: 스팀발생장치
71: 급수통
72: 배수통
73: 스팀분사부
74: 스팀공급관
81: 순환 유로
82: 제2순환덕트
83: 필터부재
90: 송풍장치
91: 팬
91a: 제1팬
91b: 제2팬
92a: 제1팬하우징
92b: 제2팬하우징
93: 모터
94: 탑 커버
94a: 개구
95a: 제1토출구
95b: 제2토출구
99: 덕트 브라켓
99a: 제1개구
99b: 제2개구
100: 가이드 덕트
110: 가이드 덕트 유입구
120: 가이드 덕트 배출구
130: 가이드 덕트 하우징
140: 가이드 덕트 유로
200: 공기 배출구
300: 유체 진동기
310: 인렛 노즐
311: 유입구
312: 배출구
320: 제1 덕트
321: 제1 덕트 입구
322: 제1 덕트 출구
323: 제1 덕트 하우징
324a, 324b: 토출 가이드
325: 토출구
330: 제2 덕트
331: 제2 덕트 입구
332: 제2 덕트 출구
333: 제2 덕트 하우징
334: 피드백 유로
340: 제2 덕트
341: 제2 덕트 입구
342: 제2 덕트 출구
343: 제2 덕트 하우징
344: 피드백 유로
400: 유체 진동기
422: 제1 덕트 출구
424a, 424b: 토출 가이드
426a, 426b: 회전 부재
500: 유체 진동기
520: 제1 덕트
530: 제2 덕트
600: 유체 진동기
620: 제1 덕트
630: 제2 덕트
700: 유체 진동기
A: 배출구 폭
B: 제1 덕트 입구 폭
C: 제1 덕트 폭
D: 제2 덕트 폭
E: 제1 덕트 출구 폭
F: 제1 덕트 입구 각
G: 토출각
S: 가이드 덕트 절곡부
T: 제1 덕트 절곡부
M1: 제1 진동유동
N1: 제1 피드백유동
M2: 제2 진동유동
N2: 제2 피드백유동

Claims (20)

  1.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 및 상기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시키는 팬;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위치하는 행거로서,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기류가 상기 의류 관리실을 향해 배출되도록 상기 기류를 가이드하는 행거 유로를 형성하는 행거 바디를 포함하는 행거; 및
    상기 행거 유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행거 바디에 결합되는 유체 진동기로서, 상기 유체 진동기로 유입된 기류의 배출 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기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인렛 노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제1 덕트 입구 및 상기 제1 덕트 입구에 유입된 기류가 토출되는 제1 덕트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1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기류를 상기 제1 덕트의 상기 제1 덕트 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덕트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덕트 입구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폭은 상기 제1 덕트 입구의 폭보다 좁게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 입구로 유입된 기류가 상기 제1 덕트 하우징 내부에 접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 하우징의 일부는 절곡되어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의류 관리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상기 의류 관리실 측으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 덕트 출구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토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출구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토출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의류 관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로 마련되고,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류가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로 유동하도록 상기 팬과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가이드 덕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기류가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팬과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 유입구 및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와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덕트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2. 제5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행거 바디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3.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 및 상기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 상부에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시키는 팬;
    상기 기류가 상기 공기 배출구로 유동하도록 상기 팬과 상기 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가이드 덕트; 및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중공의 행거; 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는,
    상기 기류가 상기 의류 관리실을 향해 배출되도록 상기 기류를 가이드 하는 행거 유로를 형성하는 행거 바디; 및
    의류를 지지하도록 상기 행거 바디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행거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유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행거 바디에 결합되는 유체 진동기로서,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기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인렛 노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제1 덕트 입구 및 상기 제1 덕트 입구에 유입된 기류가 토출되는 제1 덕트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1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기류를 상기 제1 덕트의 상기 제1 덕트 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덕트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덕트 입구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덕트; 를 포함하여 유체 진동기로 유입된 기류의 배출 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폭은 상기 제1 덕트 입구의 폭보다 좁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덕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 입구로 유입된 기류가 상기 제1 덕트 하우징 내부에 접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 하우징의 일부는 절곡되어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의류 관리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덕트 출구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상기 의류 관리실 측으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 덕트 출구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토출 가이드 및
    상기 제1 덕트 출구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토출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덕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의류 관리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가이드 덕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기류가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팬과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 유입구 및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와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덕트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덕트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덕트 배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9. 제15항, 제16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행거 바디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20.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 및 상기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토출되는 기류를 형성시키는 팬;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토출된 기류를 흡입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의 일면에 마련되는 기류 유입구;
    상기 기류 유입구와 상기 팬을 연통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 유로; 및
    상기 의류 관리실의 일면에 위치되는 유체 진동기로서,
    상기 순환 유로에서 유동하는 기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순환 유로 상에 배치되는 유입구 및 상기 기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인렛 노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상기 기류가 유입되는 제1 덕트 입구 및 상기 제1 덕트 입구에 유입된 기류를 상기 의류 관리실로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덕트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1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기류를 상기 제1 덕트의 상기 제1 덕트 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덕트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덕트 입구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덕트; 를 포함하여 상기 유체 진동기로 유입된 기류의 배출 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체진동기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KR1020220115944A 2022-09-14 2022-09-14 의류 관리기 KR20240037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944A KR20240037101A (ko) 2022-09-14 2022-09-14 의류 관리기
PCT/KR2023/010836 WO2024058407A1 (ko) 2022-09-14 2023-07-26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944A KR20240037101A (ko) 2022-09-14 2022-09-14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101A true KR20240037101A (ko) 2024-03-21

Family

ID=9027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944A KR20240037101A (ko) 2022-09-14 2022-09-14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7101A (ko)
WO (1) WO20240584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23B1 (ko) * 2012-03-15 2013-07-26 신동아전자(주) 유체진동을 이용한 유량계
KR101600788B1 (ko) * 2014-10-29 2016-03-08 양준식 의복 리프레쉬 장치
JP6656735B2 (ja) * 2014-12-25 2020-03-04 日本ビニロン株式会社 ウォッシャーノズル
KR102665019B1 (ko) * 2018-11-20 202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장치
KR20210011699A (ko) * 2019-07-23 2021-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407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14811B (zh) 衣物护理装置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11473234B2 (en)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KR102665019B1 (ko) 의류관리장치
US20230151535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00080962A (ko) 의류 관리기
KR20200021358A (ko) 의류관리기
KR20240037101A (ko) 의류 관리기
KR20180052960A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02510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US11441259B2 (en) Clothes care device
KR20230006967A (ko) 의류 관리기
US20230138890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166416A (ko) 의류 관리기
US20230083469A1 (en)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device comprising same
KR2019013126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28143A (ko) 의류 관리기
KR10263322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46198A (ko) 의류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KR20240067731A (ko) 신발 관리기
KR20240047228A (ko)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KR20230063855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