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798A - 의류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798A
KR20230123798A KR1020220021026A KR20220021026A KR20230123798A KR 20230123798 A KR20230123798 A KR 20230123798A KR 1020220021026 A KR1020220021026 A KR 1020220021026A KR 20220021026 A KR20220021026 A KR 20220021026A KR 20230123798 A KR20230123798 A KR 2023012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shelf
management room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훈
박진숙
김명규
신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798A/ko
Priority to PCT/KR2023/000135 priority patent/WO2023158097A1/ko
Publication of KR2023012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관리실의 측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선반 프레임으로서, 지지부재에 지지될 수 있는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제2 사이드프레임과, 물품을 지지하도록 제1 사이드프레임과 제2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 프레임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선반 프레임은 관리실의 일측벽에 결합될 때,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상기 관리실 내에 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인 의류 관리실과,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관리기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고 강한 기류 또는 진동 등으로 기계력을 전달하여 의류의 미세먼지 및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의류관리기 내부에 구비된 압축부에 의류를 거치한 후 의류 일부분에 프레스를 가하는 방법으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 내에는 물품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선반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는데, 다양한 레이아웃의 형태로 배치 가능한 선반 프레임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일 측면은 관리실 내에 배치되는 선반 프레임의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이용 가능한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선반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배치시켜 의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관리실의 측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선반 프레임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될 수 있는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제2 사이드프레임과, 물품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이 상기 관리실의 일측벽에 결합될 때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상기 관리실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상태로 상기 관리실 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중 하나에 마련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실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부재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선반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위치 및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회전되는 수용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후크부재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후크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와이어바디와 상기 와이어바디와 연결되는 후크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 수용홈은 상기 후크 하우징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리실의 양측벽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지지바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선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커버 및 상기 의류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배치되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선반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제2 연결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이 상기 관리실 내에서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지지될 때,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과 상기 관리실 내에 마련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관리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선반 프레임으로서, 상기 관리실의 양측벽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제2 사이드프레임과, 물품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 프레임 및 상기 선반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의 내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의 전단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개방부 및 상기 선반 프레임이 의류를 수용하도록 상기 관리실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 가능하도록 상기 관리실 내의 상기 프레임 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관리실의 일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부재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걸림위치 및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회전된 수용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후크부재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후크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관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리실의 양측벽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지지바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관리실 내에 배치 가능한 선반 프레임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제2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물품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 프레임과,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의 측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선반 프레임을 상기 관리실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 및 의류를 상기 관리실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관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며상기 관리실의 양측벽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걸림부재 또는 상기 지지바와 결합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을 상기 관리실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반 프레임을 관리실 내에 다양하게 배치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의류가 선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관리실의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례에 따른 관리실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의류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례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후크부재가 걸림위치에 배치될 때의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후크부재가 수용위치에 배치될 때의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지지부재 및 걸림부재가 관리실의 좌측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선반 프레임이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10은 후크부재가 지지바에 의해 지지될 때의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후크부재가 제2 걸림부재에 의해 지지될 때의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이 제1 걸림부재에 의해 지지될 때의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후크부재가 걸림위치에 배치될 때의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후크부재가 수용위치에 배치될 때의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선반 프레임에 의류가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따른 선반 프레임의 개방부가 개폐되는 도면이다.
도 24는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개폐프레임이 개방부를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개폐프레임이 개방부를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도 29에 따른 후크부재가 걸림위치에 배치될 때의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은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선반 프레임이 지지바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6은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방" 및 "하방"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류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일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리실(30)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20)는 힌지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관리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의 전면은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0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관리실(30)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외부캐비닛 및 외부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캐비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관리실(30)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부재(6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바(6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장치(50)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의류(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내부캐비닛(12)에 마련되는 상면(12a), 하면(12b), 우측면(12c), 좌측면(12d) 및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캐비닛(12)은 상면(12a), 하면(12b), 우측면(12c), 좌측면(12d) 및 후면(12e)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1)은 관리실(30)의 좌우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11)은 내부캐비닛(12)의 우측면(12c) 또는 좌측면(12d)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프레임(미도시)은 관리실(30) 및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4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바(61)는 관리실(30)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바(61)는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재(60) 및 선반 프레임(100)을 거치할 수 있다.
거치부재(60)는 지지바(61)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재(6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재(6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실(30)은 제1 배출구(31a) 및 제2 배출구(32a)와, 제1 유입구(31b) 및 제2 유입구(32b), 그리고 증기배출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구(31a)와 제1 유입구(31b)는 관리실(30)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31a)는 관리실(30)의 하면(12b)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입구(31b)는 관리실(30)의 하면(1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출구(31a)와 제1 유입구(3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배출구(33)는 관리실(30)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배출구(33)는 제1 배출구(31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출구(32a)는 관리실(30)의 상면(12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32b)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32a)와 제2 유입구(3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제2 배출구(32a)는 거치부재(60)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3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거치부재(6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51) 및 급수통(7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51)과 급수통(71)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51)은 열교환장치(50)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제1 스팀발생장치(7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급수통(71)의 물은 제1 스팀발생장치(7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51) 및 급수통(71)은 기계실(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호스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호스는 열교환장치(50) 또는 제1 스팀발생장치(70)에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는 필요에 따라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는 관리실(3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53), 응축기(54) 및 압축기(55)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의 증발기(5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55)를 거쳐, 응축기(5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증발기(53)와 응축기(54)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제1 팬(52)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53)와 응축기(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교환장치(50)는 증발기(53), 응축기(54) 및 제1 팬(52)을 연결하는 제1 덕트(56)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덕트(56)는 관리실(30)에 연결되어 관리실(30)과 제1 덕트(56) 사이를 순환하는 제1 유로(57)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덕트(56)는 관리실(30)의 제1 배출구(31a)와 제1 유입구(3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덕트(56)의 일단은 제1 배출구(31a)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제1 유입구(31b)에 연결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공기는 제1 유입구(31b)를 통해 제1 덕트(56)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 배출구(31a)를 통해 관리실(30)로 다시 배출시킬 수 있다.
제1 배출구(31a)는 관리실(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유입구(31b)는 관리실(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배출구(31a) 및 제1 유입구(31b)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덕트(56)는 제1 유입구(31b)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 배출구(31a)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52)는 제1 덕트(56) 상에 마련되어 관리실(30)의 공기를 제1 덕트(56)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에는 급수통(7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제1 스팀발생장치(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팀발생장치(70)는 급수통(7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발생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부(73)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7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관리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원활하게 분사하도록 끝부분이 노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관리실(3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관리실(30)은 관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제2 덕트(8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덕트(81)의 내부에는 제2 팬(82)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덕트(81)는 관리실(3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관리실(30)과 제2 덕트(81)를 순환하는 제2 유로(83)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팬(82)은 제2 유로(8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덕트(81)는 관리실(30)의 제2 유입구(32b)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덕트(81)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필터(8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84)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덕트(81)는 관리실(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커버(16)와 결합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관리실(30)의 상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 및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팬(8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팬(82)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팬(82)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덕트(81)는 관리실(30)의 제2 배출구(32a)와 제2 유입구(3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81)의 일단은 제2 배출구(32a)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관리실(30)의 제2 유입구(3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출구(32a)는 거치부재(6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 덕트(81)의 공기가 거치부재(6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덕트(8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팬(82)은 관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제2 유입구(32b)를 통해 유입하여, 제2 배출구(32a)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후면(12e)에는 필터(84)가 설치되기 위한 필터설치부(3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입구(32b)는 필터설치부(3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내부 공기는 제2 덕트(81)로 유입 시 제2 유입구(32b)의 필터(84)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제2 덕트(8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84)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필터(84)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송풍장치(80)를 통해 거치부재(60)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84)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미도시) 또는 탈취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의류 관리 시, 거치부재(6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관리실(30)은 제1 유로(57)와 제2 유로(83)을 따라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1)는 관리실(30)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는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 도 9 참조), 걸림부재(190, 190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12c) 또는 좌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는 제1 지지부재(170) 및 제2 지지부재(180) 그리고 제3 지지부재(180a, 180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190, 190a)는 제1 걸림부재(190) 및 제2 걸림부재(19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는 제1 걸림부재(190)와 결합되는 형상일 수 있고, 제2 지지부재(180) 및 제3 지지부재(180a, 180b)는 관리실(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는 모두 선반 프레임(10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80) 및 제3 지지부재(180a, 180b)는 서로 대칭인 구성일 수 있다.
관리실(30) 내부에는 제1 지지부재(170) 또는 제2 지지부재(180) 또는 제3 지지부재(180a, 180b)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관리실(30)의 일측에는 제1 지지부재(170) 및 제2 지지부재(180)이 마련될 수 있고, 관리실(30)의 타측에는 한 쌍의 제3 지지부재(180a, 180b)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지지부재(180)는 관리실(30)의 좌측면(12d)에 설치 가능할 수 있고, 제3 지지부재(180a, 180b)는 관리실(30)의 우측면(12c)에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 및 제2 지지부재(180)는 각각 제3 지지부재(180a, 180b)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부재(180a, 180b)는 제3 상측 지지부재(180a)와 제3 하측 지지부재(18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는 제3 상측 지지부재(180a)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지지부재(180)는 제3 하측 지지부재(180b)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실(30)의 측벽(11)에는 제1 지지부재(170), 제2 지지부재(180) 또는 제3 지지부재(180a, 180b)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선반 프레임(10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면 족하다.
걸림부재(190, 190a)는 제1 지지부재(170)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걸림부재(190) 또는 관리실(30)의 측벽(11)에 설치될 수 있는 제2 걸림부재(190a)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1)는 관리실(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 프레임(100)은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의해 지지되도록 관리실(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100)이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의해 지지될 때 선반 프레임(100)의 상측에 모자나 기타 의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100)은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170) 또는 제2 지지부재(180) 및 타측에 마련되는 제3 지지부재(180a, 180b)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100)은 양측에 마련되는 제2 지지부재(180) 및 제3 하측 지지부재(18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반 프레임(100)은 양측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1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양측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170)도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마련될 수 있고, 서로 대칭인 구성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및 우측면(12d)에 제1 걸림부재(19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100)과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 및 걸림부재(190, 190a)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100)은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제2 사이드프레임(120)과, 연결프레임(130)과,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의 지지프레임(140)일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제2 사이드프레임(120)은 선반 프레임(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제2 사이드프레임(120)은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30)은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제2 사이드프레임(120)을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연결프레임(130)은 제1 사이드프레임(1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0)의 후방을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은 물품을 지지하도록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제2 사이드프레임(120)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프레임(1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0)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사이드프레임(1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0)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돌기홈(111, 112, 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홈(111, 112, 121, 122)은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제2 사이드프레임(12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전방 지지돌기홈(111, 12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홈(111, 112, 121, 122)은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제2 사이드프레임(120)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후방 지지돌기홈(112,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110)은 제1 사이드바디(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120)은 제2 사이드바디(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바디(113) 및 제2 사이드바디(123)는 연결프레임(130)의 양측에서부터 선반 프레임(110)의 전방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바디(113) 및 제2 사이드바디(123)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은 일단(141)이 전방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타단(142)이 후방 측에 마련되도록 연결프레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 각각의 사이에 개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일단(141)은 전단(141)일 수 있다.
반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일단(141)이 후방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타단(142)이 전방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개방부(150)가 관리실(30, 도 2 참조)의 후방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은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이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개방부(150)는 하나의 지지프레임(140)과 제1 사이드프레임(1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방부(150)는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전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개방부(150)는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일단(141)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개방부(150)의 위치는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후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일단(141)이 관리실(30)의 후방 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100)은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제2 사이드프레임(120) 및 연결프레임(130) 중 하나에 마련될 수 있는 후크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관리실(30, 도 2 참조) 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은 관리실(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이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선반 프레임(100)은 복수의 지지프레임(140)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관리실(30) 내에 지지될 수 있다.
개방부(150)가 선반 프레임(100)의 전방 측에 형성될 때 후크부재(160)는 제1 사이드프레임(110)의 후방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관리실(3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선반 프레임(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후크부재(160)가 프레임지지부(61, 190, 190a)에 결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일단(141)이 의류관리기(1, 도 2 참조)의 개구(10a) 측을 향할 수 있으므로, 의류 등을 선반 프레임(100)에 수납하기 용이할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프레임(110)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제1 사이드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사이드프레임(110), 제2 사이드프레임(120) 또는 연결프레임(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재(160)는 제1 사이드프레임(110), 제2 사이드프레임(120) 또는 연결프레임(130)에서부터 선반 프레임(100)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걸림부재(190, 190a)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걸림부재(190, 190a)와 결합 가능하도록 선반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걸림위치로부터 선반 프레임(100)의 내측을 향해 회전되는 수용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걸림위치 및 수용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사이드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후크부재(160)와 제1 사이드프레임(110)의 결합되는 부분에 실리콘(Silicon) 또는 고무(Rubber)와 같은 부재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는 걸림부재(190, 190a)와 결합되지 않을 때 후크부재(160)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후크부재(160)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후크부재(160)의 걸림위치 및 수용위치에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로킹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160)는 제1 사이드프레임(110)과 결합되는 회전결합부(161) 및 회전결합부(161)로부터 돌출되어 걸림부재(190, 190a)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후크돌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돌기(162)는 지지바(61)와 결합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100)은 후크부재(160)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후크 수용홈(115)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수용홈(115)은 지지돌기홈(111, 112, 121, 122)이 형성되는 선반 프레임(100)의 하방에 마련될 수 있다. 후크 수용홈(115)이 하방에 마련되는 이유는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의해 선반 프레임(100)이 지지될 때 선반 프레임(100)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다만, 후크 수용홈(115)이 선반 프레임(100)이 지지부재(170, 180, 180a, 1180b)에 의해 지지될 때 상측에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구조에 의하면 별도의 로킹 구조 없이도 후크부재(160)를 수용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선반 프레임(10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크부재(160)가 선반 프레임(100)에 마련되지 아니할 수 있다. 지지부재(170, 180)의 지지돌기(171, 172)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의 구성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즉, 선반 프레임(100)의 후크 수용홈(115)은 후크부재(160)가 수용되기 위한 홈이 아닐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70, 180)의 지지돌기(171, 172)는 복수 개가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부재(170, 18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후크 수용홈(115)에 삽입될 수 있다.
후크부재(160)의 구성 대신 선반 프레임(100)은, 제1 사이드프레임(1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지지부재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지지부재(170, 180)는 지지돌기(171, 172, 181, 182)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지지부재(170, 180)가 지지부재홈에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재(160)는 선반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선반 프레임(100)을 상하 방향으로 배치시킬 때에만 후크부재(160)가 선반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 및 걸림부재(190, 190a)의 구조 및 선반 프레임(100)과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과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 및 걸림부재(190, 190a)는 관리실(30)의 측벽(11, 도 2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 및 걸림부재(190, 190a)는 관리실(30)의 우측면(12c) 또는 좌측면(12d)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61, 190, 190a)는 걸림부재(190, 190a)와, 지지바(6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는 걸림부재(190, 190a)와 결합 가능한 제1 지지부재(170) 및 단일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2 지지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190, 190a)는 제1 지지부재(17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제1 걸림부재(190) 및 단일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2 걸림부재(19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 및 제2 지지부재(18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관리실(30)의 좌측면(12d)에 마련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우측면(12c)에는 한 쌍의 제3 지지부재(180a, 180b)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는 제2 지지부재(180) 보다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과 결합되는 제1 걸림부재(190)의 위치도 제2 지지부재(180) 보다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선반 프레임(100, 도 6 참조)가 제1 걸림부재(190)에 결합될 때 선반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의류 등이 관리실(30)의 바닥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제2 걸림부재(190a)는 제1 지지부재(170)의 상방에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지지부재(170)의 상방에 마련되는 제2 걸림부재(190a)는 선반 프레임(100)의 후크부재(160)를 거치시킬 수 있다. 제2 걸림부재(190a)는 제2 지지부재(180) 보다 상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는 관리실(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17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디(173)의 전방 및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171, 172)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돌기(171, 172)는 지지바디(173)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전방 지지돌기(171) 및 지지바디(173)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돌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는 제1 걸림부재(19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홈(175) 및 걸림부재홈(175)을 형성하는 걸림부재 결합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 결합부(174)는 지지돌기(171, 172) 사이에서 지지바디(17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걸림부재 결합부(174)는 걸림부재홈(175)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190)가 후크부재(160)와 결합되지 않을 때에는 걸림부재(190)는 걸림부재홈(175)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재(190)는 걸림부재 결합부(17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재(190)는 관리실(30)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및 걸림부재홈(175) 내에 수용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걸림부재(190)가 후크부재(160)과 결합되지 않을 때에는 걸림부재(190)를 걸림부재홈(175) 내로 이동시켜 관리실(30) 내에 의류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190)가 관리실(30)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 후크부재(160)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걸림부재(190, 190a)는 후크부재(160)가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 걸림부재(19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제2 걸림부재(190a)의 구성이 이에 대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걸림부재(190)는 걸림부재 결합부(174)와 결합되는 바디(19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93)의 일측은 걸림부재 결합부(174)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디(193)의 타측에는 후크부재(1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91) 및 후크부재(16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돌기(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80)는 제1 지지부재(170)의 구성과 달리, 단일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80)는 관리실(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183)와, 지지바디(183)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돌기(181)와, 지지바디(183)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돌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180a, 180b)는 제2 지지부재(180)의 지지바디(183), 전방돌기(181) 및 후방돌기(182)와 대응되도록 지지바디(183a, 183b), 전방돌기(181a, 181b) 및 후방돌기(182a, 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70)의 전방돌기(171)는 제1 사이드프레임(110)의 전방돌기홈(111)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지지부재(170)의 후방돌기(172)는 제1 사이드프레임(110)의 후방돌기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상측 지지부재(180a)의 전방돌기(181a)는 제2 사이드프레임(120)의 전방돌기홈(121, 도 4 참조)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상측 지지부재(180a)의 후방돌기(182a)는 제2 사이드프레임(120)의 후방돌기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180)의 전방돌기(181)는 제1 사이드프레임(11)의 전방돌기홈(111)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지지부재(180)의 후방돌기(182)는 제1 사이드프레임(110)의 후방돌기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하측 지지부재(180b)의 구성은 제3 상측 지지부재(180a)의 구성과 대응될 수 있따.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의 돌기(171, 172, 181, 182, 181a, 182a, 181b, 182b)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선반 프레임(100)도 돌기홈(111, 112, 121, 122)이 하나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선반 프레임(100)의 개방부(150)는 관리실(30)의 전방 측에 형성될 수 있고, 선반 프레임(100)의 연결프레임(130)은 관리실(30)의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관리실(30)의 좌측면(12d, 도 3 참조)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170) 및 타측벽에 배치되는 제3 상측 지지부재(180a)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 프레임(100)의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선반 프레임(100)은 관리실(30)의 측벽(11)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180) 및 제3 하측 지지부재(18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선반 프레임(100)이 관리실(30) 내에 다양하게 배치 가능한 모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실(30)의 내측에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선반 프레임(100)은 선반 프레임(100)의 상측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프레임(100)의 후크부재(160)가 지지바(61)와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반 프레임(100)이 관리실(30)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선반 프레임(100)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은 관리실(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선반 프레임(100)이 지지바(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에 의류(2)를 걸어두어, 거치부재(60)에 지지되기 어려운 의류(2)도 관리실(30) 내에 상하 방향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의류(2)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스카프나 넥타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개방부(150)가 관리실(30)의 전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의류(2)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을 향해 삽입될 때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프레임(100)의 후크부재(160)가 제2 걸림부재(190a)와 결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과 마찬가지로, 선반 프레임(100)이 관리실(30)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며 개방부(150)가 관리실(30)의 전방 측에 형성되게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지지바(61)에 충분한 개수의 거치부재(60)가 거치되는 경우에도 선반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여분의 의류(2) 등을 관리실(30) 내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프레임(100)은 제1 걸림부재(190)와 결합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후크부재(160)는 걸림위치에 배치되고, 제1 걸림부재(190)는 관리실(30)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부재(190)의 안착홈(191, 도 8 참조)에 후크돌기(162, 도 6 참조)가 안착될 수 있고, 후크돌기(162)는 걸림돌기(19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사이드프레임(110)이 제2 사이드프레임(120)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개방부(150)를 통해 의류(2) 등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도록 삽입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200)은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100)의 구성과 달리 와이어(Wir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반 프레임(200)은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제1 사이드프레임(2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 프레임(200)은 제1 사이드프레임(2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220)의 후방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230)은 두 개의 와이어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230)은 제1 연결프레임(231) 및 제2 연결프레임(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231)과 제2 연결프레임(232)는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격 공간을 통해 제1 사이드프레임(210)의 후방과 제2 사이드프레임(220)의 후방이 벤딩되면서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210)은 내측에 홈(211)을 형성하도록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는 와이어바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210)은 와이어바디(212)에 연결되는 후크 하우징(270)을 포함할 수 잇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후크 하우징(270)이 제2 사이드프레임(220)에 포함될 수 있다.
홈(21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의 전방 지지돌기(171, 181, 181a, 181b) 및 후방 지지돌기(172, 182, 182a, 182b)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바디(212)는 홈(211)에 삽입된 지지돌기(171, 172, 181, 182, 181a, 182a, 181b, 182b)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210)의 전단(210a)과 달리 후단(210b)과 인접한 부분은 제1 연결프레임(231) 및 제2 연결프레임(23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벤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프레임(231) 및 제2 연결프레임(232)은 제1 사이드프레임(210)의 후단(210b)과 인접한 부분을 가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제1 사이드프레임(210)의 구성과 대응되도록 제2 사이드프레임(220)의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200)은 제1 사이드프레임(210)과 제2 사이드프레임(220)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도면에서 제1 사이드프레임(2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22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방향은 연결프레임(230)의 연장 방향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240)은 내측에 홈을 형성하도록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240)은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전단(241)에 인접하게 개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240)의 전단(241)은 상측으로 벤딩될 수 있고, 후단(242)은 제1 연결프레임(231) 및 제2 연결프레임(23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240)의 상측에 물품을 지지할 때 물품이 전방 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240)의 후단(242)은 연결프레임(230)과 결합되어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선반 프레임(200)은 제1 사이드프레임(210)의 와이어바디(212)와 연결되는 후크 하우징(270) 및 후크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260)는 제1 걸림부재(190)와 제2 걸림부재(190a) 또는 지지바(61)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거치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디에도 결합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2 참조).
후크 하우징(270)은 제1 사이드프레임(210)의 와이어바디(212)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 하우징(270)은 제1 사이드프레임(210)의 와이어바디(212)에 비해서 선반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 하우징(270)은 후크부재(260)와 후크부재(260)를 수용할 수 있는 후크 수용홈(2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선반 프레임(200)이 와이어 형상일 때에도 회전 가능한 후크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배열로 관리실(30, 도 2 참조) 내에 선반 프레임(200)을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 내지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후크부재(260)는 후크 수용홈(275) 내에 수용되는 수용위치와 걸림부재(190, 190a, 도 9 참조)와 결합되는 걸림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후크부재(260)가 걸림부재(190, 190a)와 결합되는 걸림위치에 배치될 때 후크부재(260)는 선반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크부재(260)가 수용위치에 배치될 때 후크부재(260)는 후크 하우징(27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후크부재(260)가 걸림위치에 배치될 때, 후크부재(260)는 지지바(61, 도 3 참조)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후크부재(260)는 후크 하우징(27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후크부재(260)는 후크 하우징(270)에 결합되는 회전결합부(261) 및 회전결합부(261)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돌기(26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돌기(262)의 연장방향은 연결프레임(230)이 배치되는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재(2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사이드프레임(210), 제2 사이드프레임(220) 또는 연결프레임(230)과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형태일 수 있다. 후크부재(260)는 제1 사이드프레임(210), 제2 사이드프레임(220) 또는 연결프레임(230)에 결합된 후크 하우징(270)으로부터 선반 프레임(200)의 외측을 향해 돌출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되는 구조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100)의 구성과 유사하도록 선반 프레임(200)의 후크 수용홈(275)은 선반 프레임(200)이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 도 9 참조)에 의해 지지될 때 하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300)의 구성 중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100)과 대응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300)의 제1 사이드프레임(310) 측에 배치되는 후크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사이드프레임(320) 측에 형성되는 클램프(37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370)는 선반 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2)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370)는 제2 사이드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24, 326)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370)는 의류(2)를 제2 사이드프레임(320)에 고정시키도록 제2 사이드프레임(320)에 배치되는 결합플레이트(325, 32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24, 326)는 제1 커버(324) 및 제2 커버(3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324)는 제2 커버(326)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커버(324) 및 제2 커버(326)는 서로 제2 사이드프레임(320)의 일방 또는 타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버(324)의 크기는 제2 사이드프레임(320)의 사이드바디(323)에 대응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커버(324)는 사이드바디(323)의 일면(323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버(324)와 사이드바디(323)가 결합되는 부분은 선반 프레임(300)의 일측일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이라 함은 후크부재(360)가 마련될 수 있는 선반 프레임(300)의 타측과 반대인 부분일 수 있다.
제1 커버(324)는 사이드바디(323)과 결합되는 제1 회전결합부(324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커버(324)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회전결합부(324a)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340)을 향하는 타측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2 커버(326)은 사이드바디(32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326)은 제1 커버(324)와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으며, 제1 커버(324)는 사이드바디(323)의 제1면(323a)에 결합되고, 제2 커버(326)는 사이드바디(323)의 제2면(323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326)는 사이드바디(32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커버(326)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제2 회전결합부(326a)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326)가 제2 회전결합부(326a)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하부는 제1 회전결합부(324a)와 인접한 일측일 수 있다.
제2 커버(326)는 제2 회전결합부(326a)의 일측이 고정되어 제1 사이드프레임(310)을 바라보는 타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커버(324)와 달리, 제2 커버(326)의 하측은 개구(328)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325, 327)는, 사이드바디(323)의 제1면(323a)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플레이트(325) 및 제2면(323b)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플레이트(32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325, 327)는 사이드바디(323)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결합플레이트(325)는 제1면(323a)와 인접한 제1 커버(324)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플레이트(327)는 제2면(323b)와 인접한 제2 커버(326)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의 제1 커버(324)의 일면 또는 제2 커버(326)의 일면은 각각 사이드바디(323)에 인접한 면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결합플레이트(325)는 제1 커버(324) 및 사이드바디(323)의 제1면(323a)에 모두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플레이트(327)는 제2 커버(326) 및 사이드바디(323)의 제2면(323b)에 모두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의류(2)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340)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때의 선반 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340)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때에는 후크부재(360)가 선반 프레임(300)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324)의 하부는 제1 회전결합부(324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324)의 하부는 개방되지 않을 수 있고, 상부만 개방될 수 있다.
의류(2)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340)에 걸쳐서 선반 프레임(30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커버(324)가 개방되는 부분에 제1 개구부(324h)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개구부(324h)에 의류(2)의 일단(2a)이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제1 커버(324)가 제1 회전결합부(324a)에 의해 다시 폐쇄되면서 사이드바디(323)의 제1면(323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회전결합부(324a)가 다시 폐쇄되어 의류(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회전결합부(324a)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회전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1 회전결합부(324a)에 로킹 구조나 자석 등이 구비되어, 제1 커버(324)가 폐쇄될 때 그 위치가 고정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바디(323)의 제1면(323a)에 결합되며 사이드바디(323)보다 작은 형상인 제1 결합플레이트(325)는 의류(2)를 제2 사이드프레임(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의류(2)의 일단(2a)을 제2 사이드프레임(320)에 고정시킴으로써 주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후 제2 커버(326)가 개방되는 제2 개구부(326h)에 의류(2)의 타단(2b)이 삽입될 수 있다. 의류(2)의 타단(2b)은 제2 커버(326)의 하측에 마련되는 개구(328)에 삽입되어 제2 커버(326)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후 제2 커버(326)가 제2 회전결합부(326a)에 의해 다시 폐쇄되면서 제2 커버(326)는 사이드바디(323)의 제2면(323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결합부(326a)에도 제1 회전결합부(324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 또는 로킹 구조 내지 자석 등이 구비되어 제2 커버(326)가 폐쇄되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바디(323)의 제2면(323b)에 결합되는 제2 결합플레이트(327)는 의류(2)를 제2면(323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의류(2)의 일단(2a) 및 타단(2b)에 인접한 부분이 제2 사이드프레임(320)에 고정되어 의류(2)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크부재(360)가 선반 프레임(300)의 일측에 마련되고 클램프(370)가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여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4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400)은 제1 사이드프레임(410)이 관리실(30)의 우측면(12c, 도 9 참조)에 배치되는 제3 지지부재(180a, 180b)의 하나의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420)은 관리실(30)의 좌측면(12d)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170) 또는 제2 지지부재(1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410)에 인접하게 후크부재(460)가 마련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400)은 제1 사이드프레임(410)과 제2 사이드프레임(420)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430, 47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430, 470)은 제1 연결프레임(430) 및 제2 연결프레임(4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프레임(43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연결프레임(47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430)과 제2 연결프레임(47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일단(441)은 제1 연결프레임(430)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442)은 제2 연결프레임(47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일측은 제1 연결프레임(430)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제2 연결프레임(470)에 연결될 수 있다.
후크부재(460)가 걸림부재(190, 190a) 또는 지지바(61)에 의해 지지될 때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프레임(43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2 참조). 이때, 제2 연결프레임(47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프레임(470)은 제1 사이드프레임(4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4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일단(441)이 제1 연결프레임(430)과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타단(442)은 제1 연결프레임(43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일단(441)은 제1 연결프레임(430)에 고정되고, 제1 연결프레임(430)의 이동에 의해 타단(442)은 이동될 수 있다. 타단(442)은 제2 연결프레임(470)과 결합 가능할 수 있다.
타단(442)이 제2 연결프레임(470)과 결합될 때 개방부(450)는 폐쇄되고, 타단(442)이 제2 연결프레임(470)과 분리될 때 개방부(450)는 개방될 수 있다. 타단(442)이 제2 연결프레임(47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이 삽입 가능한 지지프레임 홈(471)이 제2 연결프레임(470)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 홈(471)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 홈(471)은 선반 프레임(400)이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 도 9 참조)에 의해 지지될 때,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440)이 지지프레임 홈(471)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프레임(430)이 제1 사이드프레임(4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420)에 결합되는 부분에 고무 부재와 같은 구성이 부가되어 미세한 힘으로는 제1 연결프레임(4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의해 선반 프레임(400)이 지지될 때에는 물품이 전방 측으로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지지바(61) 또는 걸림부재(190, 190a)에 의해 선반 프레임이 지지될 때에도 의류 등을 개방부(450)를 통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24 내지 도 26를 참조하여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50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54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개방부(55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프레임(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52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 프레임(50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0), 제2 사이드프레임(520) 및 연결프레임(530)에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540) 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안착프레임(543, 544)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프레임(543, 544)은 개폐프레임(570)이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프레임(543, 544)은, 제1 사이드프레임(5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520)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1 안착프레임(544) 및 연결프레임(530)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2 안착프레임(543)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프레임(543, 544)은 제1 사이드프레임(510), 제2 사이드프레임(520) 및 연결프레임(5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54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0), 제2 사이드프레임(520) 및 연결프레임(5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540)과 안착프레임(543, 544)은 높이가 대응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520)와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5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은 개방부(550)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개방부(550)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프레임(570)이 제1 사이드프레임(5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520)와 결합되는 부분은 제1 사이드프레임(510)의 전방 지지돌기홈(511) 및 후방 지지돌기홈(5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54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의 일단(571)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540)보다 전방에 배치될 때 개폐프레임(570)은 개방부(550)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이 회전되어 제2 안착프레임(543)에 안착될 때 개폐프레임(570)은 개방부(55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이 폐쇄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개폐프레임(570)은 제1 안착프레임(544)의 전방 일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이 개방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개폐프레임(570)은 제1 안착프레임(544)의 후방 일부 및 제2 안착프레임(543)에 의해 지지될 때일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이 폐쇄위치에 배치될 때 개폐프레임(570)의 일단(571)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540)의 일단(54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540)의 일단(541) 보다 제1 사이드프레임(510)의 전단(510a) 및 제2 사이드프레임(520)의 전단(520a)이 더 돌출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570)이 폐쇄위치에 배치될 때에는 개폐프레임(570)의 일단(571)에 비해 제1 사이드프레임(5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520)의 전단(510a, 520a)의 전방 측이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선반 프레임(500)이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의해 지지될 때를 기준으로 개폐프레임(570)의 이동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선반 프레임(500)이 걸림부재(190, 190a) 또는 지지바(61)에 의해 지지될 때의 개폐프레임(570)이 이동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2 참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개방부(550)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거나 의류를 삽입하기 용이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6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60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64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개방부(650)를 개폐하는 개폐프레임(670)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프레임(670)은 연결프레임(63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개폐바디(671)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640)이 삽입 가능한 삽입홀(672)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프레임(670)은 제1 사이드프레임(6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620)에 형성된 가이드홈(621)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640)이 삽입홀(672)에 삽입된 채로 개폐프레임(670)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670)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640)의 전단(641) 측으로 이동되면 개폐프레임(670)은 개방부(650)가 폐쇄되는 폐쇄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670)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640)의 후단(642) 측으로 이동되면 개폐프레임(670)은 개방부(650)가 개방되는 개방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7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700)은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100)과 달리, 후크부재(760)가 슬라이딩 되는 구성일 수 있다.
후크부재(76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선반 프레임(700)의 사이드프레임(710, 720) 또는 연결프레임(73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지 아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부재(760)는 사이드프레임(710, 720) 또는 연결프레임(730)으로부터 선반 프레임(700)의 외측을 향해 슬라이딩 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크부재(760)가 걸림위치에 배치될 때 후크부재(760)는 선반 프레임(700)의 외측을 향해 슬라이딩 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후크부재(760)을 가이드하도록 제1 사이드프레임(710)의 후크부재 수용홈(715)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재 수용홈(715)의 슬라이딩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거나 별도의 로킹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크부재(760)는 제2 사이드프레임(720)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홈은 제2 사이드프레임(720)에 마련될 수 있고, 후크부재(760)가 연결프레임(730)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홈 또한 연결프레임(73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800)은 일례에 따른 후크부재(160)와 달리, 결합바(86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바(860)는 걸림부재(190, 190a) 또는 지지바(61)와 결합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부재(190, 190a)의 안착홈(191, 191a)에 결합바(860)가 지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100)의 다양한 배치에 대응되도록 선반 프레임(800)은 관리실(3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선반 프레임(800)의 연결프레임(830)이 관리실(3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때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840)도 관리실(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바(860)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61)에 마련되는 후크부재(62)와 결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선반 프레임(800)은 후크부재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로서 결합바(8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61)는 후크부재(62)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바(61)의 후크부재(62)에 결합바(860)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후크부재의 구성이 선반 프레임(800)에 마련되지 아니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170, 180, 180a, 180b)에 마련되어 결합바(860)와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9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선반 프레임(900)은 일례에 따른 선반 프레임(100)과 달리, 후크부재(960)가 연결프레임(930)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940)은 제1 사이드프레임(9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920)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연결프레임(930)의 연장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940)은 연결프레임(930)보다 전방에 마련되어 제1 사이드프레임(910) 및 제2 사이드프레임(9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후크부재(960)가 일례에 따른 후크부재(160)와 마찬가지로 걸림위치 와 수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프레임(9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크부재(960)는 연결프레임(930)과 결합되는 회전결합부(961) 및 회전결합부(961)로부터 돌출되는 후크돌기(96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960)가 걸림위치에 배치될 때 제1 사이드프레임(910) 또는 제2 사이드프레임(920)이 전방 측에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관리기
10: 본체
20: 도어
61: 지지바
60: 거치부재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선반 프레임
170, 180, 180a, 180b: 지지부재
190, 190a: 걸림부재

Claims (20)

  1.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관리실의 측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선반 프레임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될 수 있는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제2 사이드프레임과, 물품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이 상기 관리실의 일측벽에 결합될 때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상기 관리실 내에 지지될 수 있는 의류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상태로 상기 관리실 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중 하나에 마련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부재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에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선반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위치 및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회전되는 수용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후크부재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후크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와이어바디와 상기 와이어바디와 연결되는 후크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 수용홈은 상기 후크 하우징에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류관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리실의 양측벽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지지바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선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커버 및 상기 의류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배치되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의류관리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 연결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제2 연결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연결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류관리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이 상기 관리실 내에서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지지될 때,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의류관리기.
  16.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과 상기 관리실 내에 마련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관리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선반 프레임으로서, 상기 관리실의 양측벽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제2 사이드프레임과, 물품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 프레임; 및
    상기 선반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의 내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의 전단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개방부 및 상기 선반 프레임이 의류를 수용하도록 상기 관리실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 가능하도록 상기 관리실 내의 상기 프레임 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관리실의 일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부재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걸림위치 및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선반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회전된 수용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후크부재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후크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관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리실의 양측벽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지지바와 결합 가능한 의류관리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20. 의류를 수용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관리실 내에 배치 가능한 선반 프레임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제2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물품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반 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리실의 측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선반 프레임을 상기 관리실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재; 및
    의류를 상기 관리실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관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며상기 관리실의 양측벽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바; 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상기 걸림부재 또는 상기 지지바와 결합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을 상기 관리실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KR1020220021026A 2022-02-17 2022-02-17 의류관리기 KR20230123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26A KR20230123798A (ko) 2022-02-17 2022-02-17 의류관리기
PCT/KR2023/000135 WO2023158097A1 (ko) 2022-02-17 2023-01-04 의류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26A KR20230123798A (ko) 2022-02-17 2022-02-17 의류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98A true KR20230123798A (ko) 2023-08-24

Family

ID=8757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26A KR20230123798A (ko) 2022-02-17 2022-02-17 의류관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3798A (ko)
WO (1) WO20231580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586A (ja) * 1994-03-18 1995-10-09 S A T:Kk 折り畳みフック
KR101581784B1 (ko) * 2015-04-08 2015-12-31 송주현 반접이식 옷걸이
KR20210043229A (ko) * 2019-10-11 2021-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KR102254903B1 (ko) * 2019-10-28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63693A (ko) * 2019-11-25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장치
EP4123082A4 (en) * 2020-03-18 2024-03-06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097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14811B (zh) 衣物护理装置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US11866881B2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20230151535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313070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00080962A (ko) 의류 관리기
KR20200021358A (ko) 의류관리기
KR20230123798A (ko) 의류관리기
US11441259B2 (en) Clothes care device
KR20190068428A (ko) 의류 처리 장치
US20230083469A1 (en) Clothes holder and clothes care device comprising same
US20230138890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146198A (ko) 의류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US20230313436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40024689A (ko) 의류관리기
KR20240037101A (ko) 의류 관리기
KR20210049389A (ko) 주름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KR20230063855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816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63854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