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693A - 의류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693A
KR20210063693A KR1020190152124A KR20190152124A KR20210063693A KR 20210063693 A KR20210063693 A KR 20210063693A KR 1020190152124 A KR1020190152124 A KR 1020190152124A KR 20190152124 A KR20190152124 A KR 20190152124A KR 20210063693 A KR20210063693 A KR 2021006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unit
steam
pair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욱
박경민
송인방
안진영
이재복
이호진
주석호
표상연
함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693A/ko
Priority to PCT/KR2020/014580 priority patent/WO2021107411A1/ko
Publication of KR2021006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4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c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구겨진 주름을 제거하는 의류관리장치가 개시된다. 의류관리장치는, 수납공간을 가진 챔버와, 상기 수납공간에 의류를 매달 수 있도록 마련된 홀더와, 상기 의류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의류의 양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을 가지는 한 쌍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에 회전축이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의류에 접하는 외주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장치{Clothes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의류의 구겨진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은 생활 주름이나 비용 절감 측면에서, 주름 제거를 위해 세탁소에 의류 관리를 위탁하는 대신에 가정 내에 비치하여 자동으로 간단한 주름이나 먼지 등을 제거하는 의류관리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의류관리장치는 챔버 내에 의류를 수용한 상태에서 스팀(steam)을 챔버에 공급함으로써,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고도 스팀에 의해 의류의 구김을 개선한다. 또한, 의류관리장치는 스팀에 의해 의류에 붙은 미세한 먼지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의류관리장치는 소정 온도 이상의 열풍을 챔버에 공급함으로써, 의류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의 주름을 전체적으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류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의류관리장치는, 수납공간을 가진 챔버와, 상기 수납공간에 의류를 매달 수 있도록 마련된 홀더와, 상기 의류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의류의 양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을 가지는 한 쌍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에 회전축이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의류에 접하는 외주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수납공간 내외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스팀을 방출하는 제1스팀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컬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컬럼은 상기 제1스팀분사부에 물 또는 스팀이 통과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한 쌍의 가압부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판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밀착시키는 가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구동부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제1가압부이고, 상기 의류의 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접근 또는 이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승강 및 하강 가능한 제2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가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하로 연장하는 제2지지컬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는 각각, 가압본체와, 상기 가압본체에 지지되는 판상의 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는 각각, 스팀을 분사하는 제2스팀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판은 스팀을 방출하는 다수의 스팀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열판은 상기 가압본체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관리장치는 열, 스팀, 그리고 물리력을 의류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관리장치는 상의의 소매와 같은 특정 부위의 주름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관리장치의 도어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챔버(1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가압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2가압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열풍방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스팀발생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1가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가압부의 제1 및 제2가압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가압부의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가압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스팀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 및 제2가압판을 개폐하는 가압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4의 제2가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가압부를 분해하여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2가압부를 분해하여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가압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2가압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내측', '외측', '내면', '외면', '전방', '후방'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이나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는, 의류주름 제거장치, 다림질장치, 세탁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관리장치(1)의 도어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챔버(1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류관리장치(1)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진 박스 형상의 챔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0)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공간부(11)와 수납공간을 개방하도록 일면에 마련된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공간부(11)는 의류(C)를 매단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는 의류수납공간부(112), 의류수납공간부(112)의 하측에 격리된 스팀발생기 수용부(114), 및 의류수납공간부(112)의 상측에 마련된 전장품 수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수납공간부(112)는 의류를 수용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이다.
스팀발생기 수용부(114)는 내부에 스팀발생기(도 4의 90)를 설치하는 공간이다.
전장품 수용부(116)는 전장품, 예를 들면 전원부, 의류관리장치(1)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을 장착하는 공간이다.
의류수납공간부(112)는 스팀발생기 수용부(114)와의 분리하고 의류수납공간부(112)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재(1121) 및 의류수납공간부(112)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부재(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재(1121)는 상면, 즉 의류수납공간부(112)를 향하는 면에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125,112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125,1126)은 양측 벽면(1123, 1124)으로부터 소정 폭만큼 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125,1126)은 후술하는 판상의 바닥지지부(30)의 양측 모서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맞물릴 수 있다.
가이드레일(1125,1126)과 벽면(1123, 1124) 사이의 간격에는 후술하는 제2지지컬럼(도 4의 70)이 설치될 수 있다.
천장부재(1122)는 후술하는 홀더(2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홀더(20)의 슬라이딩레일(22)에 맞물리는 슬라이딩가이드(1127)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1127)는 역 'T'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어(12)에는 수납공간을 향하는 면의 상측에 홀더(20)의 일측이 지지되고, 하측에 바닥지지부(30)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어(12)에 지지된 홀더(20)와 바닥지지부(30)가 각각 수납공간부(11)의 슬라이딩가이드(1127)와 가이드레일(1125,11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림으로써, 도어(12)는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도어(12)의 슬라이딩 개폐 구조는 하나의 예시로서 나타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홀더(20)와 슬라이딩가이드(1127)는 사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로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가압부(5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제2가압부(6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열풍방출부(8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스팀발생부(9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의류관리장치(1)는 의류(C)를 거치할 수 있는 홀더(20), 바닥지지부(30), 바닥지지부(30)에 세워진 한 쌍의 제1지지컬럼(40), 한 쌍의 제1지지컬럼(40)의 상부에 지지된 한 쌍의 제1가압부(50), 제2가압부(60), 제2가압부(60)를 지지하는 제2지지컬럼(70), 의류수납공간부(112) 내에 열풍을 방사하는 열풍방출부(80), 및 스팀발생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20)는 옷걸이(H)를 걸 수 있는 행거로서 챔버(10)의 수납공간(11) 내외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홀더(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슬라이딩레일(22) 및 옷걸이(H)를 걸 수 있도록 마련된 고리(2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22)은 역 'T'자형 단면의 슬라이딩가이드(1127)이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마련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는 의류수납공간(112)의 천장에 마련된 슬라이딩가이드(1127)이 슬라이딩레일(22)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20)는 도어(12)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공간부(112)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바닥지지부(30)는 판상으로 양 측면이 바닥부재(1121)의 상면에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125,1126)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바닥지지부(30)는 한 쌍의 제1가압부(50)를 지지하도록 한 쌍의 제1지지컬럼(40)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지지컬럼(40)은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의류의 어깨 넓이)으로 이격되게 바닥지지부(30)에 세워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지지컬럼(40)은 제1가압부(50)의 일측을 지지하는 메인컬럼(42) 및 메인컬럼(42)과 제1가압부(50)의 타측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서브컬럼(4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한 쌍의 지지컬럼(40)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팀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통로는 스팀발생부(90)로부터 발생된 스팀 또는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통과할 수 있다. 스팀통로를 통해 공급된 스팀은 한 쌍의 제1가압부(50)로 전달되어 의류(소매)에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한 쌍의 제1지지컬럼(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선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통로는 한 쌍의 제1가압부(50)의 전기부품에 사용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지지컬럼(40)은 상술한 스팀통로를 형성하는 제1튜브와 전선통로를 형성하는 제2튜브를 수용하여 통과하도록 중공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지지컬럼(40)은 상술한 스팀통로를 형성하는 플렉시블 제1튜브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가압부(50)는 예를 들면 상의(C)의 양 소매를 수용하여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가압부(50)는 각각 제1 및 제2가압판(5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가압판(51,52)은 서로 이격 또는 접근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가압부(50)는 각각 한 점을 향해 수렴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가압부(50) 각각의 단부는 서로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가압부(50)는 의류(C)의 몸통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가압부(50)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는 제1스탠딩바아(71)의 가압부지지바(713)가 승강 또는 하강 시에 통과하는 공간이다. 또한, 한 쌍의 제1가압부(50)가 전방으로 돌출 연장하는 것은 제1가압부재(61)의 승하강 시 통과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제1가압부(50)의 세부 구조 및 동작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가압부(6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서로 이격 또는 접근 가능한 제1 및 제2가압부재(6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가압부재(61,62)는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의류(C)에 밀착하면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제2가압부(60)의 세부 구조 및 동작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2지지컬럼(70)은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하는 제1스탠딩바아(71)와 제2가압부재(62)를 지지하는 제2스탠딩바아(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탠딩바아(71)는 'H'자 형상으로, 한 쌍의 수직바아(711), 한 쌍의 수직바아(711)의 사이를 가로로 연결하는 가로바아(712), 및 일단이 가로바아(7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가압부재(61)에 열결되는 가압부지지바(7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바아(712)는 한 쌍의 수직축 구동모터(714,715)에 의해 한 쌍의 수직바아(711)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로바아(712)의 승강 또는 하강은 가로바아(712)에 지지된 가압부지지바(713), 그리고 가압부지지바(713)에 지지된 제1가압부재(61)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가압부지지바(713)는 수평축 구동모터(716)에 의해 가로바아(712)로부터 제2가압부재(62)를 향해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2스탠딩바아(72)는 제2가압부재(62)를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단일의 수직바아(7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압부재(62)는 수직축 구동모터(717)에 의해 수직바아(721)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제2가압부재(62)는 구동모터(714,715)에 의해 동작하는 한 쌍의 제1가압부재(61)와 연동하여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열풍발생부(80)는 의류수납공간(112)의 천장에 마련될 수 있다. 열풍방출부(80)는 히터 및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열풍방출부(80)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순환팬에 의해 의류수납공간부(112)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열풍방출부(80)에서 방출된 가열 공기는 세탁에 의해, 또는 스프레이에 의해 분사된 수분에 의해, 또는 스팀에 의해 젖은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팀발생부(90)는 물통, 히터, 및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에서 공급된 수분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부(90)은 생성된 스팀을 배출하는 제1스팀관(91)과 제2스팀관(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팀관(91)과 제2스팀관(92)은 각각 제1가압부(50) 및 제2가압부(60)로 각각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한 쌍의 제1가압부(5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1가압부(50)의 제1 및 제2가압판(51,52)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1가압부(5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제1가압부(5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제1스팀분사부(54)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1 및 제2가압판(51,52)을 개폐하는 가압구동부(57)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1가압부(50)는 각각 의류(소매)를 수용하도록 개폐 가능한 제1 및 제2가압판(5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가압판(51,52)은 각각 의류(소매)의 어깨 측 단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경사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가압판(51,52)은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힌지핀(55)과 힌지공(56)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가압판(51,52)의 상대적 회전은 의류의 삽입 및 압착을 위해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가압판(51)은 제1가압본체(511), 제1가압본체(511)에 마련된 흡입부(512), 및 의류에 밀착하는 커버(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1가압본체(511)는 경사단부에서 메인컬럼(도 5의 42)과 결합될 수 있다. 제1가압본체(511)는 흡입부(512)를 설치하는 오목한 팬수용부(5111)를 포함하고 있다.
흡입부(512)는 적어도 하나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513)는 수용된 의류(소매)에 가압 접촉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편평한 제1가압면(5131)을 가질 수 있다. 커버(513)는 흡입부(512)가 흡입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거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제2가압판(52)은 제2가압본체(521), 및 제2가압본체(521)에 마련된 한 쌍의 롤러(5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가압본체(521)는 제1가압판(51)의 제1가압면을 향하는 제2가압면(5213)을 가질 수 있다. 제2가압본체(521)는 한 쌍의 롤러(522)가 설치되도록 제2가압면(5213)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롤러수용부(521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롤러수용부(5211)에는 롤러(522)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5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압본체(521)는 내부에 한 쌍의 롤러(522)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모터(521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214)는 롤러(522)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축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한 쌍의 롤러(522)는 각각 일단부에 모터(5214)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롤러지지부(52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522)는 제2가압본체(521)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한 쌍의 롤러(52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촉하는 의류(C)가 제2가압판(52)의 양 측면으로 당겨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스팀분사부(54)는 제1가압판(51)의 경사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스팀분사부(54)는 스팀발생부(90)에서 생성하여 메인컬럼(42)을 통해 전달한 스팀을 분사하는 다수의 제1분사노즐(541)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스팀분사부(54)는 스팀발생부(90)에서 스팀을 생성하는 대신에, 전달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제1스팀분사부(54)는 제1가압판(51)의 경사단부에 마련되는 대신에 길이방향의 모서리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압구동부(57)는 제1가압판(51)에 마련된 전자석(571)과 제2가압판(52)에 마련된 영구자석(57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571)과 영구자석(572)은 제1 및 제2가압판(51, 52)가 결합되는 단부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구동부(57)는 전자석(571)의 극성 변화에 따라 영구자석(572)에 접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가압판(51, 52)은 각각 개방상태에서 의류를 넣고 폐쇄상태에서 의류를 압착할 수 있다.
변형실시예로서, 가압구동부(57)는 전자석(571)과 영구자석(572) 대신에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가압판(51, 52)을 개폐할 수 있다.
도 15는 도 4의 제2가압부(6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 및 17은 각각 제2가압부(60)를 분해하여 좌측 및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2가압부(60)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면, 제2가압부(6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가압부재(6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부재(61)는 제2가압부재(62)를 향해 접근 또는 이격 동작 및 승하강 동작할 수 있다. 제1가압부재(61)는 길이가 의류 몸통 정면의 폭보다 같거나 작다. 이는 제1가압부재(61)의 승하강 동작 시에 의류 양측 어깨에 마련된 한 쌍의 제1가압부(도 4의 50)에 방해 받지 않기 위함이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제1가압부재(61)는 제1열판(611), 제1열판지지부(612), 제2스팀분사부(613) 및 제1지지본체(6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판(611)은 길이방향을 따라 스팀을 배출하는 다수의 제1스팀배출공(6111) 및 상측이 후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6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판지지부(612)는 전면에 제1열판(611)이 결합되는 제1열판지지면(도 17의 6121), 제1스팀배출공(6111)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1열판지지면(도 17의 6121)에 마련된 제1스팀통과공(도 17의 6122), 후방에 제2스팀분사부(613)를 수용하는 제1스팀분사부 수용부(6123), 및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제1힌지로드(6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판(611)이 지지된 열판지지부(612)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힌지로드(6124)가 제1지지본체(6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열판지지부(612)는 탄성체,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전 시에 전면(의류를 향한 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열판지지부(612)의 탄성 회전은 제1가압부재(61)가 승하강 시에 단추 등의 장애물을 유연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제2스팀분사부(613)는 제1스팀통과공(6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다수의 제2분사노즐(6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6131)에 공급되는 스팀은 스팀발생부(도 8의 90)에서 발생되어 전달될 수 있다.
제1지지본체(614)는 전면에 다수의 제1노즐수용공(도 17의 6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본체(614)는 제2스팀분사부(613)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1열판지지부(612)가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제1노즐수용공(6141)은 스팀발생부(도 8의 90)에서 발생되어 전달된 스팀이 통과하는 통로에 연통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가압부재(62)는 승하강 동작할 수 있다. 제2가압부재(62)는 의류 몸통 후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가압부재(62)는 승하강 시에 장애물이 없으므로 제1가압부재(61)보다 길게 설계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가압부재(62)는 제2열판(621), 제2열판지지부(622), 제3스팀분사부(도 17의 623) 및 제2지지본체(6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열판(621)은 길이방향을 따라 스팀을 배출하는 다수의 제2스팀배출공(6211) 및 상측이 후방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6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열판지지부(622)는 전면에 제2열판(621)이 결합되는 제2열판지지면(6221), 제2스팀배출공(6211)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열판지지면(6221)에 마련된 제2스팀통과공(6222), 후방에 제3스팀분사부(623)를 수용하는 제2스팀분사부 수용부(도 17의 6223), 및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제2힌지로드(도 17의 6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열판(621)이 지지된 열판지지부(622)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힌지로드(도 17의 6224)가 제2지지본체(6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2열판지지부(612)는 탄성체,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에 의해 회전 시에 전면(의류를 향한 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열판지지부(622)의 탄성 회전은 제2가압부재(62)가 승하강 시에 단추 등의 장애물을 유연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제3스팀분사부(623)는 제2스팀통과공(6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다수의 제3분사노즐(도 17의 6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분사노즐(도 17의 6231)에 공급되는 스팀은 스팀발생부(도 8의 90)에서 발생되어 전달될 수 있다.
제2지지본체(624)는 전면에 다수의 제2노즐수용공(6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본체(624)는 제3스팀분사부(623)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2열판지지부(622)가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제2노즐수용공(6241)은 스팀발생부(도 8의 90)에서 발생되어 전달된 스팀이 통과하는 통로에 연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는 이격된 한 쌍의 롤러를 양측 소매뿐만 아니라 몸통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롤러는 몸통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는 의류의 몸통(상의) 내 또는 바지의 사이에 삽입되는 승하강 가능한 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의 상의 주름을 제거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옷걸이(H)에 걸린 상의를 슬라이드 방식의 도어(12) 상단의 홀더(20)에 걸고, 양쪽 팔 소매 부분을 한 쌍의 제1가압부(50)에 넣는다.
이후, 제1가압부(50)의 흡입부(도 11의 512)를 흡기 모드로 동작시켜 소매 부분이 한 쌍의 제1가압부(5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한 쌍의 제1가압부(50)를 덮어 양쪽 팔 소매 부분을 고정시키고 도어(12)를 닫는다.
도 19는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제2가압부(60)의 제2가압부재(62)가 가압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의류관리장치(1)를 동작시키면, 가압부지지바(도 6의 713)의 단부에 마련된 제1가압부재(61)는 수평축 구동모터(도 6의 716)에 의해 제2가압부재(62)를 향해 후퇴 위치에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압부(50)는 내부의 한 쌍의 롤러(도 10의 522)가 서로 반대 방향, 즉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운데 부분의 상의의 팔 소매를 가로 방향으로 밀어내주어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압판(51)과 제2가압판(52)은 가압구동부(도 13의 57)에 의해 서로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팔 소매의 양 끝 라인에 칼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가압부(60)는 챔버(11) 내에서 상의의 몸통에 스팀발생부(90)를 동작시켜 스팀을 분사하면서, 적절한 압력으로 상의의 몸통을 가압한 상태로 상승, 하강을 반복하며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상의의 몸통을 사이에 둔 제2가압부(60)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제1 및 제2열판(611, 621)은 도 17과 같이 탄성적으로 유연하게 회전 동작하면서 단추 부분과 같은 장애물에 걸리는 문제 없이 작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열풍방출부(도 7의 80)를 통해 열풍이 챔버(11) 내에 순환하면서 상의를 건조시키면서 배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의 하의 주름을 제거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옷걸이(H)에 걸린 하의(바지 또는 치마)를 슬라이드 방식의 도어(12) 상단의 홀더(20)에 겹쳐서 걸고, 도어(12)를 닫고 의류관리장치(1)를 동작시킨다. 의류관리장치(1)를 동작시키면, 가압부지지바(713)의 단부에 마련된 제1가압부재(61)는 수평축 구동모터(716)에 의해 제2가압부재(62)를 향해 후퇴 위치에서 가압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2가압부(60)는 챔버(11) 내에서 하의에 스팀발생부(도 8의 90)를 동작시켜 스팀을 분사하면서, 하의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승, 하강을 반복하며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하의를 사이에 둔 제2가압부(60)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제1 및 제2열판(611,621)은 도 17과 같이 탄성적으로 유연하게 회전 동작하면서 두께가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바지몸통과 다리부분을 유연하게 통과하면서 작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열풍방출부(도 7의 80)를 통해 열풍이 챔버(11) 내에 순환하면서 상의를 건조시키면서 배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의류관리장치
10: 챔버
11: 수납공간부
112: 의류수납공간부
1121: 바닥부재
1122: 천장부재
1123,1124: 측면부재
1125,1126: 가이드레일
1127: 슬라이딩 가이드
114: 스팀발생부 수용부
116: 전장품 수용부
12: 도어
20: 홀더
22: 슬라이딩레일
30: 바닥부
40: 제1지지컬럼
42: 메인컬럼
42: 서브컬럼
50: 제1가압부
51,52: 제 1 및 제2가압판
522: 롤러
60: 제2가압부
61,62: 제1 및 제2가압부재
70: 제2지지컬럼
80: 열풍방출부
90: 스팀발생부

Claims (14)

  1. 의류관리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을 가진 챔버와;
    상기 수납공간에 의류를 매달 수 있도록 마련된 홀더와;
    상기 의류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의류의 양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을 가지는 한 쌍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에 회전축이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의류에 접하는 외주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수납공간 내외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의류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스팀을 방출하는 제1스팀분사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컬럼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컬럼은 상기 제1스팀분사부에 물 또는 스팀이 통과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한 쌍의 가압부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판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밀착시키는 가압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동부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제1가압부이고,
    상기 의류의 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접근 또는 이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승강 및 하강 가능한 제2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가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하로 연장하는 제2지지컬럼을 더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는 각각,
    가압본체와;
    상기 가압본체에 지지되는 판상의 열판을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는 각각,
    스팀을 분사하는 제2스팀분사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은 스팀을 방출하는 다수의 스팀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의류관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은 상기 가압본체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의류관리장치.
KR1020190152124A 2019-11-25 2019-11-25 의류관리장치 KR20210063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124A KR20210063693A (ko) 2019-11-25 2019-11-25 의류관리장치
PCT/KR2020/014580 WO2021107411A1 (ko) 2019-11-25 2020-10-23 의류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124A KR20210063693A (ko) 2019-11-25 2019-11-25 의류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693A true KR20210063693A (ko) 2021-06-02

Family

ID=7612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124A KR20210063693A (ko) 2019-11-25 2019-11-25 의류관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63693A (ko)
WO (1) WO2021107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1871B (zh) * 2022-01-19 2023-11-11 國立臺灣科技大學 織物處理裝置
KR20230123798A (ko) * 2022-02-17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9811A (ko) * 2011-03-28 2012-10-09 이경동 바지프레스기의 가압장치
KR101595725B1 (ko) * 2015-07-30 2016-02-19 김종란 다기능 의류 세탁 관리장치
KR102599103B1 (ko) * 2016-11-11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83740A (ko) * 2017-01-13 201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052976B1 (ko) * 2019-02-08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411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1763B2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KR10249652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806786B2 (en) Steamer head for a garment steamer
WO2010021504A2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EP298164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6012461A (zh) 一种熨烫装置
WO2017018777A1 (ko) 다기능 의류 세탁 관리장치
KR20210063693A (ko) 의류관리장치
CN104294529A (zh) 衣物处理设备
CN102264974A (zh) 织物处理设备
CN102282309A (zh) 衣物处理设备
EP2586899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10099914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004744A (zh) 一种高效衣物熨烫机
KR20180083740A (ko) 의류 처리 장치
WO2020175963A1 (ko) 의류 처리장치
CN107780146B (zh) 一种具有护衣装置的洗衣机
WO2020175964A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459111B1 (ko) 행거형 자동 스팀다림장치
US11078622B2 (en) Conveying device and fabric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10021167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CN116670354A (zh) 衣物处理设备
KR20080076659A (ko) 차량용 매트의 세척장치
CN112030501B (zh) 自动熨烫机
WO2020175959A1 (ko)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