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416A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416A
KR20230166416A KR1020220066381A KR20220066381A KR20230166416A KR 20230166416 A KR20230166416 A KR 20230166416A KR 1020220066381 A KR1020220066381 A KR 1020220066381A KR 20220066381 A KR20220066381 A KR 20220066381A KR 20230166416 A KR20230166416 A KR 2023016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discharge
support
duc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김현주
박용필
신상호
윤권철
전경희
최정상
최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416A/ko
Priority to PCT/KR2023/004269 priority patent/WO2023234533A1/ko
Publication of KR2023016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에어 물리력을 의류에 전달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지지장치를 갖는 의류 관리기가 개시된다.
의류 관리기는 복수의 배출구가 마련되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의류 관리실 내부에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지지장치는, 의류 관리실 내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는 복수의 토출부가 마련되는 제1부재와, 제1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복수의 지지부는 복수의 토출부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토출부 사이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개시된 발명은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지지장치를 갖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인 의류 관리실과,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그 하부에 위치된다. 의류 관리실과 전장실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행거가 의류 관리실에 배치되고, 행거에 기류를 제공하여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에는 이러한 행거로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에어 토출구가 마련된다. 에어 토출구는 행거와 동일 라인에 위치하여 토출된 공기 유동이 대부분 의류 안감쪽으로 흐르게 되며, 겉감에 전달되는 물리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고리형 옷걸이를 제품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해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개선된 구조의 지지장치를 갖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에어 물리력을 의류에 전달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지지장치를 갖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고리형 옷걸이의 사용성을 개선한 지지장치를 갖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의류 관리기는, 복수의 배출구가 마련되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는 복수의 토출부가 마련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토출부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토출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토출부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된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복수의 배출구와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부는 상기 제1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된다.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중첩되지 않는다.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토출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개수 보다 한 개 많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배출구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개수 보다 한 개 많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행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행거는 상기 지지부재에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의류 관리실 내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안내되도록 마련되는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제1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토출구 방향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구는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가이드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노즐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복수의 구획벽과,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제1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벽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연결되는 공기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를 통해 제공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입홀과, 상기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행거 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배출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장치는 의류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더 포함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의류 관리실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공기가 가이드 되도록 마련되는 덕트;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행거; 상기 행거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는 복수의 토출부가 마련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행거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토출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된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복수의 배출구와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부는 상기 제1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된다.
상기 복수의 토출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개수 보다 한 개 많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배출구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개수 보다 한 개 많게 형성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선된 구조의 지지장치를 통해 겉감에 전달되는 에어 물리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리형 옷걸이의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상측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행거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장착된 행거의 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장착된 행거에 의류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노즐과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9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의류가 거치된 행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 은 도 9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장착된 행거와 행거에 거치된 의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옷걸이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옷걸이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상측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과,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행거(6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장치(50)가 구비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행거(6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행거(60)와 지지장치(3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의류 관리실(11)이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 캐비닛(10a)과 외부 캐비닛(10a)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캐비닛(1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참고)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1a)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11a)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 관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힌지(21)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의류 관리실(11)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상면(12a)과, 하면(12b)과, 좌측면(12c)과, 우측면(12d)과,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본체(10)의 내부 캐비닛(10b)에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개구(11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의류 관리실(11)의 개구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제1기류배출구(31a) 및 제2기류배출구(32a)와, 제1기류유입구(31b) 및 제2기류유입구(32b), 그리고 증기 배출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류배출구(31a)와 제1기류유입구(3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류배출구(31a)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유입구(3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배출구(31a)와 제1기류유입구(3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3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33)는 제1기류배출구(3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유입구(32b)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와 제2기류유입구(3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의류 관리실(11)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의류 관리실(11)의 행거(60)와 행거(6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된 지지장치(300)를 통해 의류로 전달될 수 있다.
제2기류배출구(32a)는 본체(10)의 상면(12a)에 한 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기류배출구는 본체의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72) 및 급수통(7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72)과 급수통(71)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72)은 열교환장치(50)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스팀발생장치(7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급수통(71)의 물이 스팀발생장치(7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70)는 급수통(7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부(73)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72) 및 급수통(71)은 기계실(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필요에 따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잇다. 열교환장치(5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53), 응축기(54) 및 압축기(55)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50)의 증발기(5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55)를 거쳐 응축기(5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배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즉, 증발기(53)와 응축기(54)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순환팬(52)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53)와 응축기(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교환장치(50)는 증발기(53)와 응축기(54) 및 순환팬(52)을 연결하는 제1순환덕트(56)를 포함하고, 제1순환덕트(56)는 의류 관리실(11)에 연결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1순환덕트(56) 사이를 순환하는 제1순환유로(5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순환덕트(56)는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유입구(31b)와 제1기류배출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기류유입구(31b)를 통해 제1순환덕트(56)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기류배출구(31a)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다시 배출한다.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순환덕트(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1)는 의류 관리실(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2순환덕트(81)를 순환하는 제2순환유로(8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유로(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와 제2기류배출구(32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의 입구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와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제2순환덕트(82)의 입구와 제2기류유입구(32b)는 동일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장치(9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94)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와 탑 커버(94) 사이에는 송풍장치(9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덕트(82)로 유입된 공기가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94)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덕트(82)와 탑 커버(9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제2기류배출구(32a)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 커버(94)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탑 커버(94)는 의류 관리실(11) 상부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탑 커버(94)는 제2순환유로(8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0)는 탑 커버(94)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94)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구(94a)가 형성되고, 개구(94a)에는 덕트(10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덕트는 두 개가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덕트는 송풍장치 및/또는 의류 관리기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덕트(100)는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어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93)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팬(91b)과, 적어도 하나의 팬(91a,91b)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하우징(9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90,90a,90b)는 제1팬(91a)과, 제1팬(91a)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팬(92a)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1팬(91a)과 제2팬(92a)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9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1팬(91a)을 수용하기 위한 제1팬하우징(92a)과, 제2팬(92a)을 수용하기 위한 제2팬하우징(9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하우징(92a)은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배출구(9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팬하우징(92b)은 공기가 배출되록 마련되는 제2배출구(95b)를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92)은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99)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에는 팬하우징(92)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95a)와 제2배출구(95b)에 대응되는 개구(99a,99b)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99a,99b)는 제1배출구(95a)와 제2배출구(95b)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은 제1배출구(95a)에 대응되는 제1개구(99a)와 제2배출구(95b)에 대응되는 제2개구(99b)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브라켓(99)의 제1개구(99a)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배출구(95a)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덕트 브라켓(99)의 제1개구(99a)는 공기가 제1팬하우징(92a)의 제1배출구(95a)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측으로 이동하게 마련된다. 덕트 브라켓(99)의 제2개구(99b)는 제2팬하우징(92b)의 제2배출구(95b)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덕트 브라켓(99)의 제2개구(99b)는 공기가 제2팬하우징(92b)의 제2배출구(95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로 이동하게 마련된다.
의류 관리기(1)는 송풍장치(90)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는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본체(10)의 상면(12a)에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제2순환덕트(82)와 송풍장치(90) 및 송풍장치(90)와 제2기류배출구(32a)를 연결하는 덕트(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덕트(100)는 제2순환유로(8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제2순환유로(8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팬하우징(94)을 커버하는 탑 커버(94)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탑 커버(94)의 개구(94a)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덕트 브라켓(99)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송풍장치(90)를 커버하는 팬하우징(92)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덕트는 탑 커버와 별도로 마련되어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덕트는 탑커버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덕트(100)는 제1덕트(100)와 제2덕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100)는 제1팬하우징(92a)의 제1배출구(95a)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100)는 제2팬하우징(92b)의 제2배출구(95b)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100)는 덕트 브라켓(99)의 제1개구(99a)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100)는 덕트 브라켓(99)의 제2개구(99b)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의 일 단은 덕트 브라켓(99)의 제1개구(99a)에 연결될 수 있다. 덕트(100)의 타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에 연결될 수 있다. 덕트(100)는 덕트 브라켓(99)의 제1개구(99a) 및/또는 제2개구(99b)에 연결되는 덕트 유입구(110a, 120a)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에 연결되는 덕트 배출구(110b, 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덕트(100)와 제2연결덕트(100)는 각각 덕트 유입구(110a,120a)와 덕트 배출구(110b,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의 본체(10)는 송풍장치(90)를 통과한 공기를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균일하게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노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덕트(100)는 덕트유입구(110a,120a)와 덕트배출구(110b,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유입구(110a,120a)는 덕트(100)의 일단에 마련되고 덕트배출구(110b,120b)는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덕트유입구(110a,120a)를 통해 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배출구(110b,120b)를 통해 덕트(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덕트유입구(110a,120a)를 통해 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배출구(110b,120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배출될 수 있다. 덕트배출구(110b,120b)는 복수개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의 가이드노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 내부에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를 구획하여 가이드유로(200a,??,200f)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는 덕트(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노즐은 덕트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노즐은 덕트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유로(200a,??,200f)는 덕트(100)의 덕트배출구(110b,120b)측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00a,??,200f)는 덕트(100)의 덕트배출구(110b,120b) 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노즐(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의 덕트배출구(110b,120b)측에 결합되어 가이드 유로(200a,??,200f)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제2기류배출구(32a)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가 제2기류배출구(32a)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 내부에 배치되어 송풍장치(90)에 의해 전달되는 공기를 제2기류배출구(32a)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균일하게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의 덕트배출구(110b,120b)를 균일하게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복수의 배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제2기류배출구(32a)에 대응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노즐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바디(210)는 복수의 배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복수의 배출구(220)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구획벽(2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바디(210)는 복수의 구획벽(250)과 함께 복수의 배출구(220)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의류 관리실(11)이 개방되는 제1방향(X)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구획벽(2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구획벽(250)은 제1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구획벽(250)은 복수의 배출구(22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구획벽(25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구(220)는 의류 관리기(1) 본체(10)에 형성되는 제2기류배출구(32a)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제1배출구(221), 제2배출구(222), 제3배출구(223), 제4배출구(224), 제5배출구(225), 제6배출구(2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는 제1덕트(100)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221), 제2배출구(222), 제3배출구(2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는 제2덕트(100)에 형성되는 제4배출구(224), 제5배출구(225), 제6배출구(2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복수의 배출구(220)에 제1방향(X)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이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24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240)는 복수의 배출구(220)에 각각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이드(240)는 제1배출구(221)에 제1방향(X)으로 세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240)는 제2배출구(222)에 제1방향(X)으로 세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240)는 제3배출구(223)에 제1방향(X)으로 세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240)는 제4배출구(224)에 제1방향(X)으로 세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240)는 제5배출구(225)에 제1방향(X)으로 세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240)는 제6배출구(226)에 제1방향(X)으로 세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배출구(32a)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덕트(100)의 가이드유로(200a,…,200f)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의류 관리실(11)로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복수의 배출구(220)로 덕트(100)의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곡면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260)는 가이드노즐바디(210)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곡면부(260)는 덕트(100)의 덕트유입구(110a,120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복수의 배출구(220)로 안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는 공기를 의류 관리실(11)의 서로 다른 위치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복수의 토출부(311)가 마련되고, 행거(60)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의 본체(10)는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되어 행거(6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는 본체(10)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는 덕트(100)와 의류 관리실(1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는 본체(10)의 상면(12a)에 형성된 제2기류배출구(32a)와 덕트(1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는 덕트(100)의 덕트배출구(110b,120b) 즉, 가이드노즐(200)과 본체(10)의 제2기류배출구(32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는 제2기류배출구(32a)에 대응되거나 제2기류배출구(32a)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제2기류배출구(32a)의 크기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는 본체(10) 상면(12a)의 외측에 제2기류배출구(32a)를 커버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12a) 외측에는 지지장치(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장치 결합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 결합부(14)는 본체(10)의 상면(12a)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장치 결합부(14)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 결합부(14)는 본체(10)의 상면(12a)에 형성된 제2기류배출구(32a)의 둘레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복수의 토출부(311)가 마련되는 제1부재(310)와, 제1부재(310)의 하측에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제1부재(310)에는 본체(10)의 지지장치 결합부(14)에 대응되는 본체 결합부(316)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본체 결합부(316)는 본체(10)의 지지장치 결합부(14)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제1부재(31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부재(310)는 판 형상의 제1부재바디(312)와, 제1부재바디(312)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부(311)는 복수의 배출구(220)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부(311)는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부(311)는 제1배출구(221)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토출부(311a), 제2배출구(222)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토출부(311b), 제3배출구(223)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3토출부(311c), 제4배출구(224)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4토출부(311d), 제5배출구(225)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5토출부(311e), 제6배출구(226)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6토출부(311f)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제1부재(310)는 복수의 토출부(311)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317)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구획부(317)는 복수의 토출부(311)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획부(317)는 가이드노즐(200)의 구획벽(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는 지지장치(300)의 제1부재(31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배출구(221)의 공기는 제1토출부(311a)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출구(222)의 공기는 제2토출부(311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3배출구(223)의 공기는 제3토출부(311c)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4배출구(224)의 공기는 제4토출부(311d)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5배출구(225)의 공기는 제5토출부(311e)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6배출구(226)의 공기는 제6토출부(311f)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부재(310)의 복수의 토출부(311)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13)는 각각의 토출부(311)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13)는 제1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13)는 제2방향(Y)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블레이드는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블레이드는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교차되는 격자 형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제1부재(310)에는 제2부재(3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고정부(3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314)는 제1부재바디(312)의 양측에 대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제2부재(320)는 제1부재(3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는 행거(60)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3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부재바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바디(322)에는 제1부재(310)와의 결합을 위한 제2고정부(3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고정부(324)는 제2부재바디(322)의 양측 단부에 마련될 있다. 제2고정부(324)는 제1고정부(314)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는 제1부재(310)의 복수의 토출부(311)와 중첩되는 않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는 제1부재(310)의 복수의 토출부(311)와 엇갈린 위치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는 복수의 토출부(311)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토출부(311)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부(321)는 제1토출부(311a)와 제2토출부(311b) 사이에 위치되는 제1지지부(321a), 제2토출부(311b)와 제3토출부(311c) 사이에 위치되는 제2지지부(321b), 제3토출부(311c)와 제4토출부(311d) 사이에 위치되는 제3지지부(321c), 제4토출부(311d)와 제5토출부(311e) 사이에 위치되는 제4지지부(321d), 제5토출부(311e)와 제6토출부(311f) 사이에 위치되는 제5지지부(321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는 행거(60)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는 행거(60)가 복수의 지지부(321)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3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브라켓(350)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제2부재(320)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로(340)를 더 포함하고, 공기 유로(340)는 공기 유입홀(341)과 공기 배출홀(34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입홀(341)은 제2부재바디(322)의 상면에 형성되고, 공기 배출홀(342)은 제2부재바디(32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홀(341)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배출홀(34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부재(320)의 공기 유로(340)는 공기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부재(320)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340)는 제1부재(310)의 복수의 토출부(3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제2부재(320)에 거치된 행거(60)와 행거(60)에 걸린 의류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의 공기 유로(340)를 통해 공기는 복수의 지지부(321)에 결합된 행거(60)로 전달될 수 있다. 행거(60)는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순환덕트(8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배출구(220)와 제1부재(310)의 복수의 토출부(311)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행거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장착된 행거의 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 본체(1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 마련되어 행거(6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는 의류 관리실(11)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토출부(311)가 배치되는 제1부재(310)와, 제1부재(3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된 지지장치(300)의 제2부재(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행거(60)는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관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행거 바디(61)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6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행거 바디(61)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행거(60)는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에어 공급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구(62)는 행거 바디(6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행거(60)는 에어 공급구(6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에어 유출구(6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유출구(63)는 행거 바디(6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공급구(62)를 통해 행거(6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에어 유출구(63)를 통해 행거(60)에 걸린 의류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행거(60)는 지지장치(300)의 제2부재(320)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부(3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행거 결합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행거 결합부(65)는 행거 바디(61)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행거 결합부(65)는 행거 바디(61)의 상부에 제1방향(X)으로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결합부(65)는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에 행거(6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 결합부(65)는 제2부재(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행거 결합부(65)는 리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행거 결합부(65)에는 제2부재(3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고정부(3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314)는 행거(60)가 제2부재(320)의 각각의 지지부(321)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314)는 행거 바디(61)의 전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314)는 행거 결합부(65)의 상단에 한쌍이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부재(320)의 제2부재바디(322)에는 행거(6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350)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제2부재바디(322)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복수의 토출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제1부재(310)의 복수의 토출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행거(60)가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제2부재바디(322)의 상면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브라켓바디(35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바디(351)는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바디(351)는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브라켓바디(351)는 복수의 토출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브라켓바디(351)는 내측에 개구(35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바디(351)의 개구(352)는 제2부재(320)의 공기 유로(34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바디(351)의 개구(352)는 제2부재(320)의 공기유입홀(341)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바디(351)의 개구(352)와 제2부재(320)의 공기유입홀(341)을 통해 공기 유로(340)를 통해 공기배출홀(342)로 배출되어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0)은 브라켓바디(351)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고정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부(324)는 행거(60)의 제1고정부(314)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고정부(324)는 브라켓바디(351)의 후단으로부터 제1방향(X)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고정부(324)는 행거(60)의 제1고정부(314)에 대응되도록 좌우 두 개가 한쌍으로 마련되어 행거(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장착된 행거에 의류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노즐과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 은 도 9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의류가 거치된 행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2 는 도 11 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3 은 도 9에 도시된 지지장치에 장착된 행거와 행거에 거치된 의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400)는 행거(60)에 지지되어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된 지지장치(300)에 거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제1부재(310)는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복수의 토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복수의 토출부(311)는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A1)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부(311)와 복수의 배출구(22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영역(A1)은 의류 관리실(11)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장치(300)의 제1부재(310)에 마련되는 복수의 토출부(311)는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노즐(200)은 덕트(100)의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의 서로 다른 위치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유로(200a,…,200f)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유로(200a,…,200f)는 가이드노즐(200)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유로(200a,…,200f)는 제1배출구(221)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유로(200a)와, 제2배출구(222)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유로(200b), 제3배출구(223)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가이드유로(200c), 제4배출구(224)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4가이드유로(200d), 제5배출구(225)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5가이드유로(200e), 제6배출구(226)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6가이드유로(200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유로(200a), 제2가이드유로(200b), 제3가이드유로(200c), 제4가이드유로(200d), 제5가이드유로(200e), 그리고 제6가이드유로(200f)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는 의류 관리실(11)의 서로 다른 위치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유로(200a,…,200f)는 덕트(100)를 통해 공기가 의류 관리실(11)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유로(200a,…,200f)의 개수는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유로는 각각의 덕트로부터 3개가 분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덕트의 가이드 유로 및 배출구는 의류 관리기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유로(200a,…,200f)를 통해 복수의 배출구(220)로 안내되는 공기는 지지장치(30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의류(400)가 지지된 행거(60)는 지지장치(300)의 제2부재(320)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부(32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제2부재(32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321)는 복수의 토출부(311)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영역(A2)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321)는 복수의 토출부(311)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토출부(3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321)와 복수의 토출부(311)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321)의 개수는 복수의 토출부(311)의 개수 보다 한 개 적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부(311)의 개수는 복수의 지지부(321)의 개수 보다 한 개 더 많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의 제2부재(320)에 지지되는 행거(60)는 복수의 토출부(311)에 엇갈리는 위치에 위치되어, 복수의 토출부(3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행거(60)거 거치된 의류(400)의 안감(410)과 겉감(420)에 모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노즐(200)의 복수의 배출구(220)와 대응되는 제1영역(A1)에 위치되는 복수의 토출부(311)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제공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행거(60)에 거치된 의류(400)의 겉감(42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토출부(311)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제공되는 공기 중 다른 일부는 행거(60)의 에어 공급구(62) 및 제2부재(320)의 공기 유로(340)를 통해 의류(400)의 안감(410)에 전달될 수 있다.
행거(60)가 거치되는 제2부재(320)의 복수의 지지부(321)가 복수의 토출부(311)와 중첩되지 않고 엇갈리는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행거(60)에 거치되는 의류(400)의 안감(410)과 겉감(420)에 직접적으로 공기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 에어 물리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4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옷걸이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옷걸이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장치(300A)는 의류 관리실(11)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제1영역(A1)에 복수의 토출부(311)가 배치되는 제1부재(310A)와, 제1부재(310A)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부재(320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A)의 제1부재(310A)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A)는 제1부재(310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A)는 옷걸이(60A)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320A)의 복수의 지지부(321A)는 제1부재(310A)의 복수의 토출부(311)와 중첩되는 않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부재(320A)의 복수의 지지부(321A)는 제1부재(310A)의 복수의 토출부(311)와 엇갈린 위치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A)의 복수의 지지부(321A)는 복수의 토출부(311)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토출부(311)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부재(310A)의 복수의 토출부(311)는 세 개가 한 쌍으로 여섯개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A)의 복수의 지지부(321A)는 복수의 토출부(311)의 개수 보다 한 개 적은 다섯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A)의 복수의 지지부(321A)는 제1지지부(321Aa), 제2지지부(321Ab), 제3지지부(321Ac), 제4지지부(321Ad), 제5지지부(321A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320A)의 복수의 지지부(321A)에는 일반적인 철사 또는 플라스틱 선형의 옷걸이(60A)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홈(323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323A)은 지지부(321A)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선형의 옷걸이(60A)는 제2부재(320A)의 제2영역(A2)에 위치한 복수의 지지부(321A)의 중심에 형성된 지지홈(323A)에 걸림되어 제1영역(A1)에 위치한 복수의 토출부(31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의류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장치(100B)의 제2부재(320B)는 제1부재(310B)의 저면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100B)는 제1부재(310B)와 제1부재(310B)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부재(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B)의 제1부재(310B)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B)의 제1부재(310B)는 복수의 토출부(3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부(311B)는 제1부재(310B)의 제2방향(Y)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부(311B)는 제1토출부(311Ba), 제2토출부(311Bb), 제3토출부(311Bc), 제4토출부(311Bd), 제5토출부(311Be), 제6토출부(311Bf)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B)의 복수의 토출부(311B)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의류 관리기(1)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B)는 제1부재(310B)의 복수의 토출부(311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부재(320B)는 제1부재(310B)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부재(310B)의 복수의 토출부(311B) 사이에는 각각 복수의 구획부(317)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구획부(317)는 복수의 토출부(311B)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구획부(317)는 제1토출부(311Ba)와 제2토출부(311Bb) 사이에 마련되는 제1구획부(317Ba), 제2토출부(311Bb)와 제3토출부(311Bc) 사이에 마련되는 제2구획부(317Bb), 제3토출부(311Bc)와 제4토출부(311Bd) 사이에 마련되는 제3구획부(317Bc), 제4토출부(311Bd)와 제5토출부(311Be) 사이에 마련되는 제4구획부(317Bd), 제5토출부(311Be)와 제6토출부(311Bf) 사이에 마련되는 제6구획부(317B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320B)는 각각의 구획부(317B)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B)는 각각의 구획부(317B)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B)는 복수의 토출부(311B)와 엇갈리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부재(320B)는 복수의 토출부(311B)
제2부재(320B)는 좌우 한쌍으로 마련되는 브라켓(323Ba,323Bb)과, 브라켓(323Ba,323Bb)을 연결하는 지지봉(324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봉(324B)은 의류(400)가 거치되는 옷걸이(60B)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A)의 지지봉(324B)에는 일반적인 철사 또는 플라스틱 선형의 옷걸이(60B)가 안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선형의 옷걸이(60B)는 제2부재(320B)의 제2영역(A2)에 위치한 지지봉(324B)에 걸림되어 제1영역(A1)에 위치한 복수의 토출부(311B)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의류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C) 본체(10C)는 의류 관리실(11C)의 내부에 마련되어 행거(60C)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300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C)는 의류 관리실(11C)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토출부(311C)가 배치되는 제1부재(310C)와, 제1부재(310C)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2부재(320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300C)는 의류 관리기(1C)의 의류 관리실(11C)에 장착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C)은 본체(10C) 내부에 마련되는 상면(12Ca)과, 하면(12Cb)과, 좌측면(12Cc)과, 우측면(12Cd)과, 후면(12C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C)은 본체(10C)의 내부 캐비닛(10Cb)에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C)는 지지장치(300C)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장치 설치부(400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 설치부(400C)는 의류 관리실(11C)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장치 설치부(400C)는 지지장치(300C)의 제2부재(320C)를 설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 설치부(400C)는 본체(10C)의 내부 캐비닛(10Cb)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 설치부(400C)는 본체(10C)의 좌측면(12Cc)과 우측면(12Cd)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 설치부(400C)는 좌측면(12Cc)과 우측면(12Cd)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 설치부(400C)는 상측이 개구된 홈(410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장치 설치부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장치 설치부는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장치 설치부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장치 설치부(400C)는 제1부재(310C)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부재(320C)가 위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C)의 제2부재(320C)는 지지장치 설치부(400c)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C)의 제2부재(320C)는 행거(60C)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장치(300C)의 제1부재(310C)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부재(310C)는 복수의 배출구(220C)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토출부(311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부(311C)는 제1배출구(221)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토출부(311Ca), 제2배출구(222)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토출부(311Cb), 제3배출구(223)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3토출부(311Cc), 제4배출구(224)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4토출부(311Cd), 제5배출구(225)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5토출부(311Ce), 제6배출구(226)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6토출부(311C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320C)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320C)는 행거(60C)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320C)의 양 단부는 지지장치 설치부(400C)에 결합될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C)의 복수의 지지부(321C)는 제1부재(310C)의 복수의 토출부(311C)와 중첩되는 않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부재(320C)의 복수의 지지부(321C)는 제1부재(310C)의 복수의 토출부(311C)와 엇갈린 위치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재(320C)의 복수의 지지부(321C)는 복수의 토출부(311C)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토출부(311C)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부(321C)는 제1토출부(311Ca)와 제2토출부(311Cb) 사이에 위치되는 제1지지부(321Ca), 제2토출부(311Cb)와 제3토출부(311Cc) 사이에 위치되는 제2지지부(321Cb), 제3토출부(311Cc)와 제4토출부(311Cd) 사이에 위치되는 제3지지부(321Cc), 제4토출부(311Cd)와 제5토출부(311Ce) 사이에 위치되는 제4지지부(321Cd), 제5토출부(311Ce)와 제6토출부(311Cf) 사이에 위치되는 제5지지부(321C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320C)의 복수의 지지부(321C)는 행거(60C)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장치(300C)의 제2부재(320C)에 지지되는 행거(60C)는 복수의 토출부(311C)에 엇갈리는 위치에 위치되어, 복수의 토출부(311C)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행거(60C)거 거치된 의류(400)의 안감(410)과 겉감(420)에 모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행거(60C)가 거치되는 제2부재(320C)의 복수의 지지부(321C)가 복수의 토출부(311C)와 중첩되지 않고 엇갈리는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행거(60C)에 거치되는 의류(400)의 안감(410)과 겉감(420)에 직접적으로 공기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어 에어 물리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 관리기 10: 본체
20 : 도어 60 : 행거
100 : 덕트 200 : 가이드 노즐
220,221,222,223,224,225,226 : 배출구
300 : 지지장치 310 : 제1부재
311,311a,311b,311c,311d,311e,311f : 토출부
320 : 제2부재
321,321a,321b,321c,321d,321e : 지지부

Claims (20)

  1. 복수의 배출구가 마련되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는 복수의 토출부가 마련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토출부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토출부 사이에 위치되는 의류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토출부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는 의류 관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복수의 배출구와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부는 상기 제1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되는 의류 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중첩되지 않는 의류 관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의류 관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개수 보다 한 개 많게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구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개수 보다 한 개 많게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행거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지지부재에 일체로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일체로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의류 관리실 내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안내되도록 마련되는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제1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 관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토출구 방향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구는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가이드 노즐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노즐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복수의 구획벽과,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제1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벽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의류 관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제2부재의 상기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의류 관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연결되는 공기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를 통해 제공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유입홀과, 상기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행거 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배출홀 사이에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의류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7.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의류 관리실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공기가 가이드 되도록 마련되는 덕트;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행거;
    상기 행거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는 복수의 토출부가 마련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행거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토출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는 의류 관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복수의 배출구와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부는 상기 제1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되는 의류 관리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개수 보다 한 개 많게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구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개수 보다 한 개 많게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KR1020220066381A 2022-05-30 2022-05-30 의류 관리기 KR20230166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81A KR20230166416A (ko) 2022-05-30 2022-05-30 의류 관리기
PCT/KR2023/004269 WO2023234533A1 (ko) 2022-05-30 2023-03-30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81A KR20230166416A (ko) 2022-05-30 2022-05-30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416A true KR20230166416A (ko) 2023-12-07

Family

ID=8902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381A KR20230166416A (ko) 2022-05-30 2022-05-30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6416A (ko)
WO (1) WO20232345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6372B2 (ja) * 2009-03-27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浴室暖房乾燥機
KR102613477B1 (ko) * 2017-09-26 2023-12-13 코웨이 주식회사 복수의 외기 유입부를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627701B1 (ko) * 2018-08-20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KR20200080962A (ko) * 2018-12-27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CN214089081U (zh) * 2020-12-09 2021-08-31 浙江康鸟服饰有限公司 一种用于西服上衣整烫悬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533A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961B1 (ko) 의류 관리기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KR102627701B1 (ko) 의류 관리기
BRPI1103958A2 (pt) mÁquina para tratamento em roupas para lavar
KR102665019B1 (ko) 의류관리장치
CN106661815B (zh) 热泵式衣物干燥机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230151535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080962A (ko) 의류 관리기
KR20230166416A (ko) 의류 관리기
US11441259B2 (en) Clothes care device
KR20230006967A (ko) 의류 관리기
KR20240037101A (ko) 의류 관리기
KR20240067731A (ko) 신발 관리기
KR102633220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138890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40148230A1 (en) Shoe care apparatus
KR202300816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