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228A -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228A
KR20240047228A KR1020220126610A KR20220126610A KR20240047228A KR 20240047228 A KR20240047228 A KR 20240047228A KR 1020220126610 A KR1020220126610 A KR 1020220126610A KR 20220126610 A KR20220126610 A KR 20220126610A KR 20240047228 A KR20240047228 A KR 20240047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ashing
washing water
vibration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박준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6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228A/ko
Priority to PCT/KR2023/012273 priority patent/WO2024075970A1/ko
Publication of KR2024004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의류 관리기는 기계실에 위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세척장치는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세척덕트로서, 세척수가 유입되는 덕트 입구를 포함하는 세척덕트를 포함하고, 세척수가 열교환기에 분사되도록 세척덕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한다. 세척장치는 세척덕트에 세척수를 유입시키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한다. 유체 진동기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고, 유체 진동기의 배출구는 세척덕트의 덕트입구와 연통되어 세척덕트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APPARATUS FOR WASHING HEAT EXCHANGER AND CLOTHES CAR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인 의류 관리실과,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기계실이 그 하부에 위치된다. 의류 관리실과 기계실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기계실에서는 의류 관리기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팬이 별도로 마련된다. 해당 팬에 의해 기계실에 마련된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교환 장치 등에 의해 스팀 혹은 온도가 높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포함하는 기류를 의류관리실로 분사하여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열교환 장치는 열교환기, 압축기 및 응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순서대로 통과하며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와 제일 먼저 접촉하게 되고, 공기의 이물질이 열교환기의 핀에 쌓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열교환기를 청소할 필요가 없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별도로 구비된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세척수가 공급되는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도 열교환기를 효과적으로 청소하는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세척장치에서 열교환기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속도가 증가되는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는,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세척덕트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덕트 입구를 포함하는 세척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세척덕트에 서로 분기되도록 마련되는 제1 세척수 유로와 제2 세척수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기에 분사되도록 상기 세척덕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구로서,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세척덕트에 상기 세척수를 유입시키는 유체 진동기로서,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에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유체 진동기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 진동기에 마련되는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덕트 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덕트 내부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1 진동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진동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진동덕트의 하류 측에서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류 측으로 리턴시키는 한 쌍의 제2 진동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덕트는 상기 유입구로 투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진동덕트의 내부에 접하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덕트는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진동덕트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제2 진동덕트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복수의 분사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돌출되는 중공의 분사 가이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덕트는 상기 덕트 입구 측에 마련되는 스플리터에 의해 서로 분기되는 제1 세척덕트와 제2 세척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척덕트와 상기 제2 세척덕트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척수 유로는 상기 제1 세척덕트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척수 유로는 상기 제2 세척덕트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세척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덕트는 상기 세척덕트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세척덕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에 의해 상기 세척덕트의 내부는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세척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분사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하측 부분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분사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상측 부분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기계실에 위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장치는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세척덕트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덕트 입구를 포함하는 세척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기에 분사되도록 상기 세척덕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세척덕트에 상기 세척수를 유입시키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기류 흡입구와 상기 제2 기류 흡입구는 상기 의류 관리실의 일면에 서로 상하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 흡입구는 상기 제2 기류 흡입구보다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생성된 기류의 일부를 흡입하고,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제3 기류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기류 흡입구에서 흡입된 기류를 배출하는 기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제1 기류 흡입구와 상기 제2 기류 흡입구와 상기 기류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의류 관리실과 상기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연통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덕트는 상기 상부팬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실은 상기 상부팬에서 상기 의류 관리실로 토출된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1 기류 흡입구와 상기 제2 기류 흡입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4 기류 흡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류 흡입구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류 흡입구는 상기 제1 기류 흡입구의 면적보다는 작고 상기 제2 기류 흡입구의 면적보다는 큰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통덕트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유체 진동기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 진동기에 마련되는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덕트 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덕트 내부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1 진동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제1 진동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진동덕트의 하류 측에서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류 측으로 리턴시키는 한 쌍의 제2 진동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덕트는 상기 유입구로 투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진동덕트의 내부에 접하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덕트는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진동덕트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제2 진동덕트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덕트는 서로 분기되도록 마련되는 제1 세척수 유로와 제2 세척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에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척덕트는 상기 덕트 입구 측에 마련되는 스플리터에 의해 서로 분기되는 제1 세척덕트와 제2 세척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척덕트와 상기 제2 세척덕트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척수 유로는 상기 제1 세척덕트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척수 유로는 상기 제2 세척덕트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척덕트는 상기 세척덕트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세척덕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에 의해 상기 세척덕트의 내부는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제2 세척수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복수의 분사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돌출되는 중공의 분사 가이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분사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하측 부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분사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상측 부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세척장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열교환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열교환기를 청소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세척수가 유체 진동기에 의해 세척덕트의 제1 세척수 유로와 제2 세척수 유로에 번갈아 세척수를 배출하여, 세척덕트에서 열교환기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최종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관리기를 X-X'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열교환기와 세척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세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세척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세척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덕트의 일부와 유체 진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가 유체 진동기와 세척덕트에서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세척수의 유동방향이 유체 진동기에 의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에서 유체 진동기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세척덕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제1 분사구가 제2 분사구보다 더 높은 속도를 갖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세척 장치에서 제2 분사구가 제1 분사구보다 더 높은 속도를 갖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변화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에서 유체 진동기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세척덕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등의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회전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 시계방향은 제1 방향,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반시계 방향은 제2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 통용될 수 있으나, 이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관리기를 X-X'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류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과,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행거(60)와,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50)가 구비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공기 배출구(200)가 형성되는 의류 관리실(11) 및 의류 관리실(11)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10)내부에 의류 관리실(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 관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힌지(21)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의류 관리실(11)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상면(12a)과, 하면(12b)과,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 마련되어 행거(60)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6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65)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65)는 의류를 거치하는 행거(6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행거는 옷걸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행거(6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행거(6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기계실 기류배출구(31a) 및 공기 배출구(200)와, 제1기류유입구(31b) 및 제2기류유입구(32b), 그리고 증기 배출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 기류배출구(31a)와 제1기류유입구(3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 기류배출구(31a)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유입구(3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2b)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 기류배출구(31a)와 제1기류유입구(3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3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33)는 기계실 기류배출구(3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유입구(32b)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와 제2기류유입구(3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 배출구(200)는 행거(60)와 연통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행거(60)로 전달되어 행거(6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 배출구(200)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미도시) 및 급수통(7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과 급수통(71)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은 급수통(71)의 측면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은 열 교환장치(50)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스팀발생장치(7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급수통(71)의 물이 스팀발생장치(7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70)는 급수통(7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부(73)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 및 급수통(71)은 기계실(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5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필요에 따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50)는 의류 관리실(11)의 내부로 온도가 높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50)는 냉매가 순환하는 열교환기(53), 응축기(54) 및 압축기(55)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50)의 열교환기(5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55)를 거쳐 응축기(5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배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53)와 응축기(54)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순환팬(52)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열교환기(53)와 응축기(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 교환장치(50)는 열교환기(53)와 응축기(54) 및 순환팬(52)을 연결하는 제1순환덕트(56)를 포함하고, 제1순환덕트(56)는 의류 관리실(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순환덕트(56)는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유입구(31b)와 기계실 기류배출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기류유입구(31b)를 통해 제1순환덕트(56)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기계실 기류배출구(31a)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다시 배출한다. 즉, 제1기류유입구(31b)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53)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53)의 전면에는 먼지나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행거(60)가 마련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송풍장치(9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순환덕트(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2순환덕트(82)를 순환하는 제2 순환유로(8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장치(90)는 제2순환유로(8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장치(9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94)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와 탑 커버(94) 사이에는 송풍장치(9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와 공기 배출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의 유입구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유입구(32b)와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제2순환덕트(82)의 유입구와 제2기류유입구(32b)는 동일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의 일단은 제2기류유입구(32b)에 의해 형성되고 제2순환유로(81)의 타단은 공기 배출구(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유로(81)는 제2순환덕트(82)와 송풍장치(90) 및 송풍장치(90)와 공기 배출구(200)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순환덕트(82)의 일단은 제2기류유입구(32b)에 의해 형성되고 제2순환유로(81)의 타단은 송풍장치(90)에 공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00)는 행거(60)와 연통되어 제2순환덕트(82)에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행거(60)로 전달되게 된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행거(6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2a)에 설치된 지지장치(65)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행거(60)는 상단의 에어공급구 즉, 공기 배출구(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의 내외측에 공급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어 공급구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82)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송풍장치(9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유입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 배출구(200)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열교환기와 세척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열교환기(53)는 핀(531)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53)는 냉매 덕트(532)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 덕트(532)의 내부에는 냉매가 흐를 수 있다. 열교환기(53)와 공기가 접촉하게 되면, 핀(531)을 통해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열교환이 이루어 지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열교환기(53)는 공기가 열교환기(53)의 전면에서 열교환기(53)와 접촉을 시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53)의 전면에는 의류 관리실(11)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 등이 쌓일 수 있다. 열교환기(53)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을 방치하는 경우 공기와 핀(531) 사이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세척장치(300)는 열교환기(53)의 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장치(300)는 유체 진동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장치(300)는 세척덕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장치(300)는 열교환기(53)의 전면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을 세척수를 분사하여 청소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세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세척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세척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세척장치(300)는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세척덕트(320)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덕트 입구(321)를 포함하는 세척덕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덕트(320)는 열교환기(53)의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열교환기(53)의 전면에 전체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척장치(300)는 세척덕트(320)에 서로 분기되도록 마련되는 제1 세척수 유로(322)와 제2 세척수 유로(32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덕트(320)는 덕트 입구(321) 측에 마련되는 스플리터(326)에 의해 서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세척덕트(320)는 제1 세척덕트(324)와 제2 세척덕트(3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세척수 유로(322)는 제1 세척덕트(32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세척수 유로(323)는 제2 세척덕트(325)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세척덕트(324)와 제2 세척덕트(325)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척장치(300)는 유체 진동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는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도관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척수가 유입구(311)에 유입되는 압력은 각 사용처의 수도관의 사정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는 덕트 입구(321)와 연통되어 세척덕트(320) 내부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진동기(310)는 제1 세척수 유로 (322)와 제2 세척수 유로(323)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는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고, 유입구(311)와 배출구(312)를 연통시키는 제1 진동덕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는 제1 진동덕트(313) 내에서 유동하는 세척수를 제1 진동덕트(313)의 배출구(312)와 인접한 제1 진동덕트(313)의 하류 측에서 유입구(311)와 인접한 제1 진동덕트(313)의 상류 측으로 리턴시키는 한 쌍의 제2 진동덕트(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덕트(314)에 의해 세척수가 제1 진동덕트(313)의 상류 측으로 리턴되는 과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세척덕트(320)와 유체 진동기(31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세척덕트(320)의 덕트 입구(321)와 유체 진동기(310)의 배출구(312)는 일체화 되는 구성으로 덕트 입구(321)와 배출구(312)는 동일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세척장치(300)는 복수의 분사구(324a, 325a)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척수가 열교환기(53)에 분사되도록 세척덕트(320)에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구(324a, 325a)로서, 제1 세척수 유로(322)와 연통되는 제1 분사구(324a)와 제2 세척수 유로(323)와 연통되는 제2 분사구(325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구(324a, 325a)는 세척덕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구(324a, 325a)는 복수의 분사구(324a, 325a)로부터 열교환기(53)를 향해 돌출되는 중공의 분사 가이드 (324b, 325b)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로 유입된 세척수가 세척덕트(320) 내부로 유입된 후 복수의 분사구(324a, 325a)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분사 가이드(324b, 325b)에 의해 세척수는 열교환기(53)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덕트의 일부와 유체 진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가 유체 진동기와 세척덕트에서 유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세척수의 유동방향이 유체 진동기에 의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세척수는 유입구(311)를 통해 유체 진동기(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란 입력된 유체를 진동시켜 유체 진동기(31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유체 진동기(310)의 구성과 유체 진동기(31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유체 진동기(310)에 의해 진동하여 배출방향이 변화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유체 진동기(31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세척수일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는 유입구(311)와 연통되어 제1 진동덕트(313)로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진동덕트 입구(317)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는 제1 진동덕트 입구(317)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덕트(313)는 유입구(311)로 투입된 세척수가 제1 진동덕트(313)의 내부에 접하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T)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덕트(313) 내에서 유동하는 세척수는 최종적으로 제1 진동덕트(313)에 마련되는 배출구(312)를 통해 세척덕트(32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세척장치(300)는 제1 진동덕트(313) 내에서 유동하는 세척수를 제1 진동덕트(313)의 배출구(312)와 인접한 제1 진동덕트(313)의 하류 측에서 유입구(311)와 인접한 제1 진동덕트(313)의 상류 측으로 리턴시키는 한 쌍의 제2 진동덕트(314a, 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덕트(314a, 314b)는 제1 진동덕트(313)의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진동덕트(313)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제1 진동덕트(313)의 상류측에 연결되어 제1 진동덕트(313)의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제2 진동덕트 배출부(316a, 3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덕트(314a, 314b)의 폭(D)은 제1 진동덕트(313)의 폭(C)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의 유입구(311)로 유입된 세척수는 유입구(311)와 연통되는 제1 진동덕트 입구(317)를 통해 제1 진동덕트(313)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진동덕트 입구(317)의 폭(B)은 유입구(311)의 폭(A)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311)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1 진동덕트(313)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311)로 유입된 세척수가 곧바로 제2 진동덕트(314a, 314b)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진동덕트 입구(317)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1 진동덕트(313)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진동덕트(313)의 일부가 가이드 곡면(T)을 포함하도록 마련된 탓에 제1 진동덕트(313) 내에서 유동하는 세척수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 진동덕트(313)의 일측에 접하는 모습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을 제1 진동유동(M1)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코안다 효과란, 절곡부나 곡면에 분사된 유동이 물체의 절곡부나 곡면을 따라 해당 절곡면이나 곡면에 밀착되어 흐르는 현상을 의미한다.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1 진동덕트(313)의 일측에서 접하며 유동하는 기류는 제1 진동덕트(313)의 배출구(312)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배출구(312) 측으로 유동하는 세척수는 배출구(312)를 거쳐 유체 진동기(3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출구(312) 측으로 유동하는 제1 진동유동(M1)은 제1 진동덕트(313)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제1 진동덕트(313)의 일측에 마련된 제2 진동덕트 입구(315)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진동덕트 입구(321)는 제1 진동덕트(313)의 하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312)의 폭은 제1 진동덕트(313) 폭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진동덕트(313)의 일측에서 유동하는 세척수의 일부가 제2 진동덕트(314)의 입구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진동덕트(314)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2 진동덕트(314)에서 유동하여 제2 진동덕트 배출부(316)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제2 진동덕트(314)에 의한 세척수의 리턴 현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2 진동덕트 배출부(316)는 제1 진동덕트 입구(317)측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리턴유동(N1)은 제2 진동덕트 배출부(316)에서 제1 진동덕트(313)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진동덕트 배출부(316)에서 배출되는 제1 리턴유동(N1)은 유입구(311)로 유입되어 제1 진동덕트(313)의 일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1 진동유동(M1)과 충돌할 수 있다.
제1 진동유동(M1)은 제1 리턴유동(N1)과의 충돌에 의해 그 흐름이 제1 진동덕트(313)의 일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1 진동유동(M1)에서 제1 진동덕트(313)의 타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2 진동유동(M2)으로 바뀔 수 있다.
제2 진동덕트(314)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진동기(310)의 제1 진동덕트(313)의 타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2 진동유동(M2)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도록 나머지 제2 진동덕트(314)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진동유동(M2)의 경우에도 제2 진동덕트(314)에 의한 리턴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제2 리턴유동(N2)은 제2 진동덕트 배출부(316)에서 배출되어 제1 진동덕트(313)의 타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2 진동유동(M2)와 충돌할 수 있다.
제2 진동유동(M2)는 제2 리턴유동(N2)과의 충돌에 의해 그 흐름이 제1 진동덕트(313)의 타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2 진동유동(M2)에서 제1 진동덕트(313)의 일면과 접하도록 유동하는 제1 진동유동(M1)으로 다시 바뀔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에 의해, 유체 진동기(310)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흐름은 제1 진동덕트(313) 내에서 제1 진동유동(M1)과 제2 진동유동(M2)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변화는 주기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진동기(3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유체 진동기(3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방향이 변화함에 따라, 제1 세척수 유로(322)에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과 제2 세척수 유로(323)에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 또한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척수가 제1 진동유동(M1)의 형태로 유동하는 경우, 세척수는 세척덕트(320)의 덕트 입구(321)를 지나 제1 세척수 유로(322)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턴유동(N1)에 의해 세척수가 제2 진동유동(M2)의 형태로 유동하게 되는 경우, 세척수는 세척덕트(320)의 덕트 입구(321)를 지나 제2 세척수 유로(323)에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진동기(310)에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낮거나,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이 적은 경우여도, 유입되는 세척수의 대부분이 제1 세척수 유로(322) 혹은 제2 세척수 유로(323) 중 하나에 공급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복수의 분사구(324a, 325a)를 통해 열교환기(53)에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과 높은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에서 유체 진동기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세척덕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제1 분사구가 제2 분사구보다 더 높은 속도를 갖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세척 장치에서 제2 분사구가 제1 분사구보다 더 높은 속도를 갖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변화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세척덕트(320)에 마련되는 스플리터(326)에 의해 세척장치(300)는 제1 세척수 유로(322)와 제2 세척수 유로(3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리터(326)는 세척덕트(320)의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덕트(3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스플리터(326)는 유체 진동기(310)에 의해 배출되는 제1 진동유동(M1) 혹은 제2 진동유동(M2)이 제1 세척수 유로(322) 혹은 제2 세척수 유로(323)에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세척덕트(320)의 덕트 입구(321)와 가까운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세척수가 제1 진동유동(M1)의 형태로 유동할 때, 제1 세척수 유로(322)에 세척수가 대부분 공급되어 제1 분사구(324a)에서 높은 속도를 가진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제1 분사구(324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열교환기(53)의 전면 하측(L) 부분에 높은 속도를 가진 세척수(M)를 분사할 수 있다.
이후 세척수가 제2 진동유동(M2)의 형태로 유동하게 되면, 제2 세척수 유로(323)에 세척수가 대부분 공급되어 제2 분사구(325a)에서 높은 속도를 가진 세척수(M)가 분사될 수 있다. 제2 분사구(32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열교환기(53)의 전면 상측(U) 부분에 높은 속도를 가진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처럼, 열교환기(53)의 전면 상측(U) 및 열교환기(53)의 전면 하측(L)에 높은 속도의 세척수를 번갈아 분사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낮거나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이 부족한 경우라도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열교환기(53)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에서 유체 진동기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세척덕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세척덕트(420)는 세척덕트(420)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세척덕트(4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격벽(426)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부 격벽(426)은 세척덕트(420)의 내부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므로 외부에서는 세척덕트(420)의 내부가 구획되었는지 알지 못할 수 있다.
내부 격벽(426)에 의해 세척덕트(420)의 내부는 제1 세척수 유로(422)와 제2 세척수 유로(423)로 구획될 수 있다.
유체 진동기(410)에 의해 세척수가 제1 진동유동(M1) 형태로 유동하는 경우, 유체 진동기(410)로 유입된 세척수의 대부분이 제1 세척수 유로(422)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제1 세척수 유로(422) 내부로 유동한 세척수는 제1 분사구(422a)에서 분사되어, 제1 분사구(422a)로부터 돌출되는 분사 가이드(422b)를 통해 열교환기(53)에 분사될 수 있다.
이후 세척수가 제2 진동유동(M2) 형태로 유동하는 경우, 세척수의 대부분은 제2 세척수 유로(423)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세척수 유로(423) 내부로 유동한 세척수는 제2 분사구(423a)에서 분사되어, 제2 분사구(423a)로부터 돌출되는 분사 가이드(423b)를 통해 열교환기(53)에 분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1: 의류 관리실
12a: 상면
12b: 하면
12e: 후면
20: 도어
31a: 기계실 기류배출구
31b: 기계실 기류 유입구
40: 기계실
50: 열 교환장치
52: 순환팬
53: 열교환기
54: 응축기
55: 압축기
56: 제1 순환덕트
57: 제1 순환유로
61: 행거 바디
62: 행거 레그
63: 행거 유로
65: 지지장치
70: 스팀발생장치
71: 급수통
72: 배수통
73: 스팀분사부
74: 스팀공급관
81: 제2 순환유로
82: 제2 순환덕트
83: 필터부재
90: 송풍장치
91: 팬
92: 팬 하우징
94: 탑 커버
95: 토출구
100: 가이드 덕트
140: 덕트 유로
200: 공기 배출구
300: 세척장치
310: 유체 진동기
311: 유입구
312: 배출구
313: 제1 진동덕트
314: 제2 진동덕트
315: 제2 진동덕트 입구
316: 제2 진동덕트 배출부
317: 제1 진동덕트 입구
320: 세척덕트
321: 덕트 입구
322: 제1 세척수 유로
323: 제2 세척수 유로
324: 제1 세척덕트
324a: 제1 분사구
324b: 분사 가이드
325: 제2 세척덕트
325a: 제2 분사구
325b: 분사 가이드
326: 스플리터
400: 세척장치
410: 유체 진동기
420: 세척덕트
422: 제1 세척수 유로
422a: 제1 분사구
422b: 분사 가이드
423: 제2 세척수 유로
423a: 제2 분사구
423b: 분사 가이드
424: 세척덕트
426: 내부 격벽
531: 핀
532: 냉매 덕트
A: 유입구 폭
B: 제1 진동덕트 입구 폭
C: 제1 진동덕트 폭
D: 제2 진동덕트 폭
T: 가이드 곡면
F: 제1 진동덕트 입구 각
M1: 제1 진동유동
M2: 제2 진동유동
N1: 제1 리턴유동
N2: 제2 리턴유동
M: 제1 분사
m: 제2 분사
U: 열교환기의 전면 상측
L: 열교환기의 전면 하측

Claims (20)

  1.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로서,
    상기 세척장치는,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세척덕트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덕트 입구를 포함하는 세척덕트;
    상기 세척덕트에 서로 분기되도록 마련되는 제1 세척수 유로와 제2 세척수 유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기에 분사되도록 상기 세척덕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구로서,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사구; 및
    상기 세척덕트에 상기 세척수를 유입시키는 유체 진동기로서,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에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진동기310는,
    상기 유체 진동기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 진동기에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덕트 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덕트 내부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1 진동덕트; 및
    상기 제1 진동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진동덕트의 하류 측에서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류 측으로 리턴시키는 한 쌍의 제2 진동덕트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덕트는 상기 유입구로 투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진동덕트의 내부에 접하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을 포함하는 세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덕트는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진동덕트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제2 진동덕트 배출부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복수의 분사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돌출되는 중공의 분사 가이드를 각각 포함하는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덕트는 상기 덕트 입구 측에 마련되는 스플리터에 의해 서로 분기되는 제1 세척덕트와 제2 세척덕트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덕트와 상기 제2 세척덕트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세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수 유로는 상기 제1 세척덕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세척수 유로는 상기 제2 세척덕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세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세척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덕트는 상기 세척덕트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세척덕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는 세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에 의해 상기 세척덕트의 내부는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로 구획되는 세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세척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척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분사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하측 부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분사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분사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상측 부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세척장치.
  14.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기계실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로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세척덕트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덕트 입구를 포함하는 세척덕트,
    상기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기에 분사되도록 상기 세척덕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구 및
    상기 세척덕트에 상기 세척수를 유입시키는 유체 진동기로서,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체 진동기를 포함하는 세척장치; 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유체 진동기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 진동기에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덕트 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덕트 내부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1 진동덕트; 및
    상기 제1 진동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기 배출구와 인접한 상기 제1 진동덕트의 하류 측에서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류 측으로 리턴시키는 한 쌍의 제2 진동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덕트는 상기 유입구로 투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진동덕트의 내부에 접하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덕트는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진동덕트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상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진동덕트의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제2 진동덕트 배출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덕트는 서로 분기되도록 마련되는 제1 세척수 유로와 제2 세척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진동기는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에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덕트는 상기 덕트 입구 측에 마련되는 스플리터에 의해 서로 분기되는 제1 세척덕트와 제2 세척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척덕트와 상기 제2 세척덕트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수 유로는 상기 제1 세척덕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세척수 유로는 상기 제2 세척덕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의류 관리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덕트는 상기 세척덕트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세척덕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벽에 의해 상기 세척덕트의 내부는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로 구획되는 의류 관리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제1 세척수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분사구와 상기 제2 세척수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돌출되는 중공의 분사 가이드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분사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하측 부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분사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분사 가이드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상측 부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의류 관리기.
KR1020220126610A 2022-10-04 2022-10-04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KR20240047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610A KR20240047228A (ko) 2022-10-04 2022-10-04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PCT/KR2023/012273 WO2024075970A1 (ko) 2022-10-04 2023-08-18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610A KR20240047228A (ko) 2022-10-04 2022-10-04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228A true KR20240047228A (ko) 2024-04-12

Family

ID=9060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610A KR20240047228A (ko) 2022-10-04 2022-10-04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7228A (ko)
WO (1) WO20240759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812A2 (en) * 2007-09-04 2009-03-12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101806241B1 (ko) * 2011-03-29 2017-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1342471B1 (ko) * 2013-07-10 2013-12-17 세명에너지(주) 폐수 열 교환기의 증발관 슬러지 제거장치
JP6656735B2 (ja) * 2014-12-25 2020-03-04 日本ビニロン株式会社 ウォッシャーノズル
KR20210052079A (ko) * 2019-10-31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5970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9493B (zh) 衣物处理装置
US7707858B2 (en) Washing machine and lint removing apparatus thereof
JP4624465B2 (ja) 洗浄効率が改善されたトンネル式洗浄システム
CN102471986B (zh) 用于干燥衣物的设备
KR10230034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82275B1 (ko) 의류 처리장치
EP3725939B1 (en) Home appliance with a liquid guiding device
EP366696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20246960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CN112714811A (zh) 衣物护理装置
CN103348053A (zh) 用于干燥衣物的设备
EA022602B1 (ru) Диффузор для очистки детали, загрязненной ворсом
CN102293620A (zh) 具有干燥管的家用电器
KR102627701B1 (ko) 의류 관리기
KR10253247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CN114703643A (zh) 一种冷凝组件及衣物处理设备
KR100399328B1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2493164B1 (ko) 식기세척기
KR20240047228A (ko)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KR101481596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80052960A (ko) 의류처리장치
AU2019200880A1 (en) Dishwasher
KR101825449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15349A (ko) 의류관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