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55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559A
KR20170080559A KR1020170081808A KR20170081808A KR20170080559A KR 20170080559 A KR20170080559 A KR 20170080559A KR 1020170081808 A KR1020170081808 A KR 1020170081808A KR 20170081808 A KR20170081808 A KR 20170081808A KR 20170080559 A KR20170080559 A KR 20170080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clothes
support body
outle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호
예성민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0559A/ko
Publication of KR2017008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를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및 탈취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구김 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 상태가 아니라 드럼의 회전 시 드럼과 함께 회전되기 때문에 의류는 드럼 내부에서 구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구김 제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또는 의류의 착용 후 의류에 발생되는 구김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의류의 내부에서 의류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인장력 제공부를 상기 지지바디에 연결하며 상기 인장력 제공부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의류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공급부 방향으로 역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의류의 내주면을 서로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바디; 의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의류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디를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부에 결합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가 결합되는 유입구;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1배출구;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의류의 소매방향으로 배출하는 제2배출구 및 제3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더 바디; 상기 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배출구로 안내하는 관통홀; 상기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배출구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 상기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3배출구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의류의 내주면을 서로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바디; 상기 바디가 수용되며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수용부; 의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수용부와 의류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바디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바디수용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부에 결합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수용부에 구비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수용부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바디수용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물체에 상기 지지바디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또는 의류의 착용 후 의류에 발생되는 구김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부(1),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의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3), 상기 지지부(1)를 외부물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는 의류를 지지하되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 지지바디(11), 상기 공기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 상기 공기유로 내부의 공기가 지지바디(11)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13)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12)에는 지지바디(1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급부(3)가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부(3)는 유입구(12)에 구비되는 하우징(31),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33),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3)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데, 상기 전원공급부는 지지부(1)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는 지지부(1)의 외부에 구비된 전원과 상기 모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지지바디(11)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충전기와 지지바디(11)의 외부에 위치된 전력원을 연결하는 전력선(충전기에 전력을 공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3)가 작동하면 외기는 유입구(12) 및 상기 제1배출구(13)를 통해 의류의 내부로 공급되며, 의류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의류를 관통하거나, 소매 또는 의류의 하부에 위치된 의류의 개방면 등을 통해 의류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3)는 공기가 의류의 내부에서 의류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의류에 접힌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의류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된다.
공급부(3)가 의류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는 것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의 외부에서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의류의 내부에서 의류의 외부로 배출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소매부분에도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지바디(11)에는 의류의 소매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배출구(14) 및 제3배출부(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구(14)와 제3배출구(15)가 지지바디(1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경우, 상기 지지바디(11) 내부에는 공기를 각 배출구(13, 14, 15)로 안내하는 가이더(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19)는 지지바디(11) 내부에 구비되되 유입구(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더 바디(191), 상기 가이더 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197), 상기 가이더 바디(19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경사면(193) 및 제2경사면(1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는 관통홀(197)을 통해 제1배출구(13)로 공급되고, 유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제1경사면(193)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2배출구(14)로 공급되며, 유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제2경사면(195)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3배출구(15)로 공급될 것이다.
나아가, 의류에 이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팬(33)에 이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12)에는 제1필터(16)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에 이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배출구(14)에는 제2필터(17)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15)에는 제3필터(18)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젖은 의류(세탁이 완료된 의류 등)를 지지바디(11)에 거치시킨 뒤 공급부(3)를 작동시키면, 의류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가 건조될 뿐만 아니라 공급부(3)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가 접힌 부분없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의류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주름이 발생시키지 않고 의류를 건조할 수 있으므로 건조가 완료된 의류를 다림질하지 않아도 의류를 착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젖지 않은 의류나 착용한 의류에 발생한 주름을 제거하는데에도 유용하다. 즉, 건조가 완료된 의류나 착용한바 있는 의류를 지지바디(11)에 거치시킨 뒤 분무기 등으로 의류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부(3)를 작동시킨다면 상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는 옷장이나 벽과 같은 외부물체에 상기 지지부(1)를 거치시키는 수단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의류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 제공부(7)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부(1),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의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3), 상기 지지부(1)를 외부물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5), 상기 지지부(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1)에서 분리되면 의류에 고정될 수 있는 인장력 제공부(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력 제공부(7)는 의류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의 내주면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바디(71), 상기 바디(71)를 의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71)는 의류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의류의 내부에 잔류하도록 함으로써 의류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바디(71)는 공급부(3)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디(71)에 반사되어 상기 공급부(3) 방향으로 역류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71)는 의류의 하부에 위치된 개방면의 적어도 일부영역을 폐쇄 가능한 보드(board)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73)는 연결부(75)를 통해 상기 바디(7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바디(71)에 와이어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75)는 탄성력이 큰 와이어(고무재질 와이어 등)로 구비될 수도 있고, 탄성력이 작은 와이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부(75)가 탄성력이 작은 와이어로 구비될 경우, 상기 바디(71)에는 고정부(73)와 바디(71)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한 길이조절부(7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71)는 착탈부(9)를 통해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한데, 상기 착탈부(9)는 지지바디(11)와 바디(7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91), 지지바디(11)와 바디(7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부(91)에 결합하는 제2착탈부(93)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착탈부(9)는 상기 지지바디(11)와 바디(71)를 연결하는 와이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바디(71)는 신축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지지바디(11)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신축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71)와 지지바디(11)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의류의 크기에 상관없이 의류에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상태에 있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사용자는 의류를 거치시킨다. 즉, 사용자는 의류의 어깨 부분이 지지바디(11)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의류를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바디(71)를 지지바디(11)에서 분리시키며, 지지바디(11)에서 분리된 바디(71)를 의류의 하부에 위치된 개방면에 위치시킨다. 상기 바디(71)가 의류의 하부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고정부(73)를 통해 의류를 바디(71)에 고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3)가 작동하면, 공기는 제1필터(16)를 통해 공기유로(111)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유로(111)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1배출구(13)를 통해 의류의 몸통(B)부분으로 배출되고, 공기유로(111)로 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2필터(17) 및 제3필터를 통해 의류의 각 소매(S)로 배출된다.
제1배출구(13)를 통해 의류의 몸통(B)부분으로 유입된 공기는 바디(71)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공급부(3)가 위치된 방향으로 역류할 것이다. 의류의 몸통(B) 부분에 일정량의 공기가 갇힌 상태가 유지되면, 의류의 몸통(B)에 인장력이 발생하므로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구비된 바디(71)는 의류의 몸통(B)을 곧게 펴주는 무게 추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공급부(3)를 통해 의류의 몸통(B)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바디(71)의 무게 추 기능이 강화될 것이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의류의 각 소매(S)에 발생된 구김은 각 소매(S)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발하는 인장력에 의해 제거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공급부(3) 역시 전력공급부(8)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상기 전원공급부는 지지부(1)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는 지지부(1)의 외부에 구비된 전원과 상기 모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8)는 상기 지지바디(11)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충전기와 지지바디(11)의 외부에 위치된 전력원을 연결하는 전력선(충전기에 전력을 공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에 착탈 가능한 인장력 제공부(7)가 도 3에 구비된 인장력 제공부와 구별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 역시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부(1),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의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3), 상기 지지부(1)를 외부물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5), 상기 지지부(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1)에서 분리되면 의류에 고정될 수 있는 인장력 제공부(7)를 포함한다.
상기 인장력 제공부(7)는 의류의 내주면을 서로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바디(71), 상기 바디(7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한 바디수용부(72), 상기 바디수용부(72)를 의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74, 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71)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의 내주면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바디(71)에는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의류의 폭이 커 바디(71)의 길이만으로 의류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 바디(71)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71)의 마주보는 양단에서 각각 인출 가능한 제1연장부(711) 및 제2연장부(713)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연장부는 바디(71)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바디수용부(72)는 상기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 바디(721), 상기 수용부 바디(721)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71)가 수용되는 수용홈(7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723)의 길이(X1)는 상기 바디(71)와 상기 지지바디(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71)의 너비(X2)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의류의 형상이나 길이에 따라 바디(71)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형상이 특이한 의류나 길이가 긴 의류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수용부(72)의 일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바디수용부(72)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74) 및 상기 바디수용부(72)의 타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바디수용부(72)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7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74) 및 상기 제2고정부(76)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74)는 축(743)을 통해 바디수용부(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판(741), 상기 고정판(741)을 상기 바디수용부(7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착탈부는 상기 지지바디(11)와 상기 바디수용부(7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91), 상기 지지바디(11)와 상기 바디수용부(72)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부(91)에 결합되는 제2착탈부(93)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도 6의 상태에 있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사용자는 의류를 거치시킨다. 즉, 사용자는 의류의 어깨 부분이 지지바디(11)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의류를 위치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상기 바디수용부(72)를 지지바디(11)에서 분리시키며, 지지바디(11)에서 분리된 바디수용부(72)를 의류의 하부에 위치된 개방면에 위치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수용부(72)가 의류의 하부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74, 76)를 통해 의류를 바디수용부(72)에 고정한다.
의류가 바디수용부(72)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바디수용부(72)에 결합된 상기 바디(71)의 위치를 조정한 뒤 제1연장부(711)와 제2연장부(713)를 바디(71)에서 인출하여 의류의 몸통(B)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3)가 작동하면, 공기는 제1필터(16)를 통해 공기유로(111)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유로(111)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1배출구(13)를 통해 의류의 몸통(B)부분으로 배출되고, 공기유로(111)로 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2필터(17) 및 제3필터(18)를 통해 의류의 각 소매(S)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인장력 제공부(7)는 의류의 몸통(B)을 곧게 펴주는 무게 추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공급부(3)를 통해 공기가 의류의 몸통(B)에 공급되면 의류에 흡수된 수분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구김이 제거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구비된 바디(71), 바디수용부(72) 및 연장부(711, 713) 등은 의류의 몸통(B) 내부에 일정량의 공기를 가두는 역할도 수행할 것이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의류의 각 소매(S)에 발생된 구김은 각 소매(S)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발하는 인장력에 의해 제거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공급부(3) 역시 전력공급부(8)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상기 전원공급부는 지지부(1)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는 지지부(1)의 외부에 구비된 전원과 상기 모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8)는 상기 지지바디(11)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지지바디(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충전기와 지지바디(11)의 외부에 위치된 전력원을 연결하는 전력선(충전기에 전력을 공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지지부 11: 지지바디
111: 공기유로 12: 유입구 13: 제1배출구
14: 제2배출구 15: 제3배출구 16: 제1필터
17: 제2필터 18: 제3필터 19: 가이더
191: 가이더 바디 193: 제1경사면 195: 제2경사면
197: 관통홀 3: 공급부 5: 체결부
7: 인장력 제공부 71: 바디 711: 제1연장부
713: 제2연장부 72: 바디수용부 74: 제1고정부
741: 고정판 743: 축 76: 제2고정부
9: 착탈부

Claims (17)

  1.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의 내부로 팬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지지바디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 제공부;
    상기 지지바디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거치된 의류의 하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상기 지지바디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지지바디의 내면을 따라 상기 거치된 의류의 각각의 소매 방향으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 및 제3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제공부를 상기 지지바디에 연결하며 상기 인장력 제공부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의류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공급부 방향으로 역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의류의 내주면을 서로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바디;
    의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의류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를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부에 결합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가 결합되는 유입구;
    상기 제1배출구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더 바디;
    상기 가이더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배출구로 안내하는 관통홀;
    상기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배출구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
    상기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3배출구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의류의 내주면을 서로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바디;
    상기 바디가 수용되며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수용부;
    의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디수용부와 의류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제공부는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바디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바디수용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부에 결합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수용부에 구비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물체에 상기 지지바디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구 및 상기 제3배출구에는 각각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81808A 2017-06-28 2017-06-28 의류처리장치 KR20170080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808A KR20170080559A (ko) 2017-06-28 2017-06-2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808A KR20170080559A (ko) 2017-06-28 2017-06-28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313A Division KR20160086087A (ko) 2015-01-09 2015-01-09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171A Division KR101960318B1 (ko) 2018-03-28 2018-03-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559A true KR20170080559A (ko) 2017-07-10

Family

ID=5935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808A KR20170080559A (ko) 2017-06-28 2017-06-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05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6274A (zh) * 2018-01-08 2020-08-21 三星电子株式会社 衣物管理器
WO2021133043A1 (en) * 2019-12-27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ing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6274A (zh) * 2018-01-08 2020-08-21 三星电子株式会社 衣物管理器
US11473234B2 (en) 2018-01-08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CN111566274B (zh) * 2018-01-08 2023-03-21 三星电子株式会社 衣物管理装置
WO2021133043A1 (en) * 2019-12-27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649581B2 (en) 2019-12-27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219B2 (en) Washing machine
CN111936690B (zh) 衣物处理装置
KR20190116095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0831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13765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0559A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92723A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TWI540234B (zh) Drum washing machine
KR20160098154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05322A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2016002879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SE542270C2 (en) Washing machine having flexible washing compartment
EP3433407B1 (en) Washing machine with drawers and flexible washing compartment
US11408117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960318B1 (ko) 의류처리장치
EP3564430B1 (en) Ironing device
KR2016008608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860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0201492Y1 (ko) 자동타월세탁장치
US20150128656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4059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192253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 세탁장치
CN216006348U (zh) 一种内筒、筒部装及衣物处理设备
CN214245012U (zh) 衣物烘干设备
CN211772120U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