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534B1 - 의류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534B1
KR102407534B1 KR1020200169396A KR20200169396A KR102407534B1 KR 102407534 B1 KR102407534 B1 KR 102407534B1 KR 1020200169396 A KR1020200169396 A KR 1020200169396A KR 20200169396 A KR20200169396 A KR 20200169396A KR 102407534 B1 KR102407534 B1 KR 10240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anger
clothes
slid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동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6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의류 건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의류 건조 장치는, 기체를 압송하는 팬; 팬에 의해 압송된 기체가 이동하는 관로와,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관로의 기체가 의류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유닛을 포함하고, 통로유닛은, 의류가 걸리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중공행거; 관로의 기체가 중공행거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고정관; 및 중공행거의 이동과 연동하여 고정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팬을 끄지 않고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열풍에 의한 화상 발생이 차단되고, 수시로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건조시간이 단축되도록 이루어지는 의류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 장치{CLOTHES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은 의류를 신속하게 건조하도록 이루어지는 의류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창고(refrigerated warehouse)는 생선, 고기, 냉동식품 등을 보관하기 위해 보관창고 내부의 기온을 0℃ 이하로 유지해 놓은 창고로서, 냉동창고 작업자들은 한여름에도 방한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냉동창고 내부는 영하의 기온을 유지하고 있으나, 신체의 근력을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방한복 내에 쉽게 땀이 차기 때문에, 방한복의 방한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방한복을 주기적으로 건조해주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08043호(이하 '선행문헌')는 옷장형 건조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옷장형 건조기는, 캐비티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캐비티 내부에 공기를 흡토출하는 덕트와,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장치와,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캐비티에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장치와, 캐비티의 내부에 덕트의 토출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덕트의 열풍이 토출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토출공이 형성되는 건조용 행거와, 건조용 행거의 각 토출공에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건조용 행거의 토출공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의류에 분사되도록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는 옷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행문헌의 옷장형 건조기는, 장마철과 같이 습한 날씨에도 의류들이 눅눅해지거나 옷감의 손상 또는 곰팡이 발생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옷걸이를 통해 의류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열풍을 토출하여 의류 건조시 의류가 서로 밀리거나 붙더라도 의류가 고르게 건조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옷장형 건조기는, 송풍장치가 작동 중인 상태에서 건조용 행거에 걸린 옷걸이가 지속적으로 열풍을 분사하기 때문에, 반드시 송풍장치를 끄고 나서 옷걸이에 의류를 걸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송풍장치를 끄지 않으면, 사용자가 옷걸이에 의류를 거는 과정에서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냉동창고 작업자들은 각자 작업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방한복의 땀을 말려야 하는 타이밍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작업자가 저마다 송풍장치를 끄고 키며 옷걸이에 의류를 걸고 옷걸이에서 의류를 빼내는 행위가 반복되면, 방한복이 옷걸이에 걸려있는 시간 대비 실제 방한복에 열풍이 공급되는 시간의 비율은 무시하지 못할 수준으로 작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방한복을 건조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증가함과 더불어, 옷장형 건조기 한대당 건조할 수 있는 방한복의 개수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작업자가 저마다 송풍장치를 끄고 옷걸이에 의류를 걸고 옷걸이에서 의류를 빼내는 행위가 반복되면, 열풍이 토출되는 시간 감소에 의해 의류가 걸려있는 공간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질 수 없으므로, 방한복의 외부에 묻은 땀 등 액체의 건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08043호 (등록일: 2012.01.13)
본 발명의 목적은, 팬을 끄지 않고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열풍에 의한 화상 발생이 차단되고, 수시로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건조시간이 단축되도록 이루어지는 의류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체를 압송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압송된 기체가 이동하는 관로와,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관로의 기체가 상기 의류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유닛은, 상기 의류가 걸리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중공행거; 상기 관로의 기체가 상기 중공행거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고정관; 및 상기 중공행거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고정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우징에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행거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서로 내부가 연결되고, 기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행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관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개방된 일단부가 상기 관로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고정관이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관의 길이방향 양단부 사이에 기체가 배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와 반대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유출홀이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고정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구비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누름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누름부를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 쪽으로 밀면,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가 열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상기 누름부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행거는, 상기 슬라이더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관; 상기 의류가 걸리도록 상기 상부관의 하부에서 옆으로 연장되는 걸이관; 및 상기 상부관의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출홀은 상기 걸이관 및 상기 하부관에 각각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로에 상기 수납공간으로 기체를 배출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팬의 반대쪽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로는, 상기 팬의 배출구와 연결된 주관로; 상기 주관로와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간관로; 및 상기 중간관로로부터 아래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유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분기관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행거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분기관로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가 중공행거의 이동과 연동하여 고정관의 통로를 개폐함으로써, 팬을 끄지 않고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열풍에 의한 화상 발생이 차단되고, 수시로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건조시간이 단축되도록 이루어지는 의류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장치의 도어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건조 장치의 중공행거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류 건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의류 건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의류 건조 장치의 도어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중공행거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의류 건조 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의류 건조 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의류 건조 장치의 도어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 건조 장치는, 팬을 끄지 않고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열풍에 의한 화상 발생이 차단되고, 수시로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건조시간이 단축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장치(10)의 도어(210)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건조 장치(10)의 중공행거(310)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류 건조 장치(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의류 건조 장치(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의류 건조 장치(10)의 도어(210)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중공행거(310)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의류 건조 장치(1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의류 건조 장치(1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의류 건조 장치(10)의 도어(210)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장치(1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장치(10)는, 젖은 의류(1)를 신속하게 건조하도록 이루어지며, 팬(100), 하우징(200), 통로유닛(300), 측정부(400), 조작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00)은 기체를 압송하는 구성이다. 팬(100)은 하우징(200)의 외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팬(100)은 원심팬(centrifugal fan)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팬(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팬(100)의 배출구(101) 안쪽에 히터(110)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110)는 전류를 통하여 열을 발생하는 열선(hot wir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팬(100)은 배출구(101)에서 열풍을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히터(11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통해 열풍의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팬(100)이 배출하는 열풍의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내부에 의류(1)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01)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하우징(200)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수납공간(201) 역시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수납공간(201)은 도어(2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 수납공간(201)을 기준으로 도어(210)에 의해 개폐되는 쪽(도 3 기준 왼쪽)을 앞쪽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쪽(도 3 기준 오른쪽)을 뒤쪽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도어(210)는 하우징(2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10)를 열면, 수납공간(201)은 하우징(200)의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2는 중공행거(310)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개방된 도어(210)의 일부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도어(210)는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창을 통해 수납공간(201)에서 건조되고 있는 의류(1)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후면에 복수의 배기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수납공간(201)의 기체는 배기홀(20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에 관로(220)가 형성된다. 관로(220)는 팬(100)에 의해 압송된 기체(열풍)가 수납공간(201)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관로(220)는 주관로(221), 중간관로(222) 및 분기관로(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관로(222)는 수납공간(201)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관로(221)는 팬(100)의 배출구(101)를 중간관로(222)에 연결한다. 주관로(221)는 하우징(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수납공간(201)의 상단에 구멍(도번 미표기)이 형성된다. 주관로(221)는 구멍을 통해 중간관로(222)에 연결된다.
주관로(221)에 구멍(도번 미표기)이 형성된다.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는 구멍을 통해 주관로(221)에 연결된다.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는 구멍 둘레를 따라 주관로(221)에 용접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로(223)는 중간관로(222)로부터 아래로 길게 연장된다. 분기관로(223)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통로유닛(300)은 분기관로(223)의 앞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건조 장치(10)는 복수의 의류(1)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다.
분기관로(223)마다 하부에 유출구(223H)가 형성된다. 유출구(223H)는 관로(220)의 열풍을 수납공간(201)으로 배출하는 출구를 형성한다.
유출구(223H)는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를 기준으로 팬(100)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가 열린 상태에서, 중간관로(222)의 열풍은 유출구(223H)보다 고정관(320)으로 쉽게 이동한다.
유출구(223H)는 복수의 배출홀(312H) 대비 작은 단면적을 형성한다. 따라서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가 열린 상태에서, 중간관로(222)의 열풍은 대부분 고정관(320)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로(223)에 개폐밸브(V)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에 슬라이더(311)의 슬라이드 이동을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V)는 슬라이더(311)의 슬라이드 이동과 연동하여 분기관로(223)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밸브(V)는 전자 밸브(solenoid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중공행거(310)를 수납공간(201)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개폐밸브(V)는 분기관로(223)의 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관로(220)의 열풍이 분기관로(223)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223H)를 통해 수납공간(201)으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중공행거(310)를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개폐밸브(V)는 분기관로(223)의 통로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관로(220)의 열풍이 분기관로(223)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관(320), 슬라이더(311) 및 행거(312)로 이동하여 배출홀(312H)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에 레일(230)이 형성된다. 레일(230)은 수납공간(201)의 상면에 결합된다. 레일(230)은 수납공간(201)의 전면을 향해 긴 형태를 형성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201)에 통로유닛(300)이 구비된다. 통로유닛(300)은 관로(220)의 열풍이 의류(1)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통로유닛(300)은 중공행거(310), 고정관(320) 및 밸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공행거(310) 및 고정관(320)은 내부에 열풍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행거(310)는 슬라이더(311) 및 행거(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더(311)는 전후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슬라이더(311)는 전후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더(311)는 내부에 열풍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1)의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는 커버(311C)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커버(311C)는 슬라이더(311)에 볼트체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1)의 상면에 러너(311R)가 결합된다. 러너(311R)는 레일(2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11)는 수납공간(201)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레일(230)과 러너(311R)는 시판되는 선형 레일(linear rail)의 레일(rail)과 러너(runner)로 구비될 수 있다. 러너(runner)는 볼 베어링 러너(Ball bearing runner) 또는 롤러 러너(roller runner)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1)의 후면에 고정관(320)이 통과하는 통과홀(도면 미표기)이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312)는 슬라이더(311)의 아래에 구비된다. 슬라이더(311)와 행거(312)는 서로 내부가 연결된다.
행거(312)는 상부관(312A), 걸이관(312B) 및 하부관(31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관(312A), 걸이관(312B) 및 하부관(312C)은 내부에 열풍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부관(312A)은 슬라이더(311)에서 아래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상부관(312A)은 아래쪽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부관(312A)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관(312A)은 슬라이더(311)와 연결된 통로를 형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관(312A)의 상단부는 슬라이더(311)의 하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부관(312A)과 슬라이더(311)의 나사결합을 해제하고, 행거(312)를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다.
걸이관(312B)은 상부관(312A)의 하부에서 옆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걸이관(312B)은 옆쪽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걸이관(312B)은 옆쪽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걸이관(312B)은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걸이관(312B)은 상부관(312A)과 멀어질수록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걸이관(312B) 중 어느 하나는 상부관(312A)의 하부에서 도어(210) 쪽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걸이관(312B) 중 다른 하나는 상부관(312A)의 하부에서 도어(210)와 반대쪽으로 연장된다.
의류(1)는 걸이관(312B)을 통해 행거(312)에 걸릴 수 있다. 걸이관(312B)은 상부관(312A)과 연결된 통로를 형성한다. 걸이관(312B)에 기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홀(312H)이 형성된다. 다수의 배출홀(312H)은 걸이관(312B)의 측면 및 밑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관(312C)은 상부관(312A)의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하부관(312C)은 아래쪽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하부관(312C)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관(312C)은 상부관(312A)과 연결된 통로를 형성한다.
하부관(312C)에 기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홀(312H)이 형성된다. 다수의 배출홀(312H)은 하부관(312C)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312)는 연장관(312D)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장관(312D)은 하부관(312C)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장관(312D)은 아래쪽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연장관(312D)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관(312D)은 하부관(312C)과 연결된 통로를 형성한다.
연장관(312D)에 기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홀(312H)이 형성된다. 다수의 배출홀(312H)은 연장관(312D)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장관(312D)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롱패딩 등 길이가 긴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320)은 관로(220)의 기체가 중공행거(310)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고정관(320)은 레일(230)의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고정관(320)은 전후방향으로 긴 원통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관(320)은 내부에 열풍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고정관(320)은 후단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고정관(320)은 개방된 후단부가 관로(220)에 연결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주관로(221)에 구멍(도번 미표기)이 형성된다.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는 구멍을 통해 주관로(221)에 연결된다.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는 구멍 둘레를 따라 주관로(221)에 용접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1)의 후면에 고정관(320)이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11)가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와 반대쪽 즉, 수납공간(201)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고정관(320)의 앞쪽 일부만 슬라이더(31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1)가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 쪽 즉,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고정관(320)의 대부분이 슬라이더(31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슬라이더(311)는 고정관(320)을 수납공간(201)과 구획하는 경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수납공간(201)으로 누출되는 고정관(320)의 열에너지(열풍의 열에너지)가 최소화된다.
고정관(320)의 길이방향 양단부 사이에 열풍이 배출되는 복수의 유출홀(321)이 형성된다. 복수의 유출홀(321)은 고정관(320)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11)가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와 반대쪽 즉, 수납공간(201)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복수의 유출홀(321)은 슬라이더(311)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1)가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 쪽 즉,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복수의 유출홀(321)은 슬라이더(31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유출홀(321)은 상부관(312A)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복수의 유출홀(321)에서 배출된 열풍은 슬라이더(311)의 내면에 부딪히지 않고 상부관(312A) 안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출홀(321)에서 배출된 열풍에 의한 슬라이더(311)의 온도 상승(열풍의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33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과 연동하여 고정관(320)의 통로를 개폐하는 구성이다. 밸브(330)는 연결부(331), 누름부(332), 덮개부(333) 및 탄성부재(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331)는 고정관(320)의 길이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를 형성한다. 연결부(331)는 고정관(320)의 내부에 구비된다.
누름부(332)는 연결부(331)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누름부(332)는 연결부(331)의 전단부에서 앞쪽으로 돌출된다. 고정관(320)의 전단부에 구멍(도번 미표기)이 형성된다. 누름부(332)는 구멍을 통해 고정관(320)의 전단부를 관통하여 앞쪽으로 돌출된다.
덮개부(333)는 연결부(331)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덮개부(333)는 연결부(331)의 후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원판 형태를 형성한다. 덮개부(333)는 누름부(332)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를 덮거나 열게 된다.
탄성부재(334)는 고정관(3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연결부(331)를 누름부(332) 쪽으로 미는 구성이다. 탄성부재(334)는 압축스프링(compression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관(320)의 내면에 제1 돌출부(320P)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320P)는 연결부(331)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연결부(331)의 외면에 제2 돌출부(331P)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331P)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제2 돌출부(331P)는 제1 돌출부(320P)보다 연결부(331)의 앞쪽에 형성된다.
탄성부재(334)는 제1 돌출부(320P)와 제2 돌출부(331P) 사이에 탄성 압축된 상태로 개재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34)는 연결부(331)를 누름부(332) 쪽으로 미는 탄성 회복력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누름부(332)는 구멍을 통해 고정관(320)의 전단부를 관통하여 앞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11)가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와 반대쪽 즉, 수납공간(201)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커버(311C)는 누름부(332)로부터 앞쪽으로 최대로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부(333)는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를 덮는다. 따라서 관로(220)의 열풍이 고정관(3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분기관로(223)마다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223H)를 통해 수납공간(201)으로 배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1)가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 쪽 즉,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커버(311C)는 누름부(332)를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333)는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220)의 열풍이 고정관(3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400)는 수납공간(201)의 습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측정부(400)는 습도계(hygrometer)로 구비된다.
측정부(400)는 전기 저항 습도계, 열전대 및 서미스터를 이용한 습도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수납공간(201)으로 돌출된 전기 저항 습도계의 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측정부(400)의 측정값은 제어부(600)로 송신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측정부(400)의 측정값에 따라 팬(100) 및 히터(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하우징(200)의 외면에 조작부(500)가 설치된다. 조작부(500)는 입력버튼 및 출력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통해 특정 습도값(이하 '입력값')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측정값이 입력값보다 크면, 팬(100)의 속도 및 히터(110)의 공급 전류 중 하나 이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는 측정값이 입력값보다 작으면, 팬(100)의 속도 및 히터(110)의 공급 전류 중 하나 이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 장치(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210)를 열고 중공행거(310)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도 2 참조) 사용자는 배출홀(312H)이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더(311)를 잡고 중공행거(310)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행거(312)에 의류(1)를 건다.(도 4 참조)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중공행거(310)를 수납공간(201)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덮개부(333)는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를 덮는다.
따라서 관로(220)의 열풍이 고정관(3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분기관로(223)마다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223H)를 통해 수납공간(201)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열풍은 행거(312)의 배출홀(312H)에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행거(312)에 의류(1)를 걸 때 사용자의 손 등 신체 부위의 화상 위험이 차단된다.
사용자가 중공행거(310)를 수납공간(201)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복수의 유출홀(321)은 슬라이더(311)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330) 고장에 의해 덮개부(333)가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를 덮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행거(312)에 의류(1)를 걸 때 사용자의 손 등 신체 부위의 화상 위험이 차단된다.
이후 사용자는 중공행거(310)를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도어(210)를 닫는다.(도 3 참조) 사용자가 중공행거(310)를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커버(311C)는 누름부(332)를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333)는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220)의 열풍은 고정관(320), 슬라이더(311) 및 행거(312)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배출홀(312H)을 통해 배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1)가 고정관(320)의 개방된 후단부 쪽 즉, 수납공간(201)의 뒤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복수의 유출홀(321)은 슬라이더(31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유출홀(321)은 상부관(312A)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복수의 유출홀(321)에서 배출된 열풍은 슬라이더(311)의 내면에 부딪히지 않고 상부관(312A) 안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출홀(321)에서 배출된 열풍에 의한 슬라이더(311)의 온도 상승(열풍의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0)가 수납공간(201)을 폐쇄하면, 도어(210)는 슬라이더(311)의 앞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210)는 슬라이더(311)의 (수납공간(201)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210)가 수납공간(201)을 폐쇄한 상태에서, 고정관(320)의 개방된 일단부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측정부(400)는 수납공간(201)의 습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측정부(400)의 측정값은 제어부(600)로 송신된다.
제어부(600)는 측정값이 입력값보다 크면, 팬(100)의 속도 및 히터(110)의 공급 전류 중 하나 이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600)는 측정값이 입력값보다 작으면, 팬(100)의 속도 및 히터(110)의 공급 전류 중 하나 이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가 중공행거의 이동과 연동하여 고정관의 통로를 개폐함으로써, 팬을 끄지 않고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열풍에 의한 화상 발생이 차단되고, 수시로 행거에 의류를 걸거나 행거로부터 의류를 빼내더라도 건조시간이 단축되도록 이루어지는 의류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건조 장치
100 : 팬
101 : 배출구 110 : 히터
200 : 하우징
210 : 도어 230 : 레일
220 : 관로 201 : 수납공간
221 : 주관로 202 : 배기홀
222 : 중간관로
223 : 분기관로
223H : 유출구
300 : 통로유닛
310 : 중공행거 320 : 고정관
311 : 슬라이더 321 : 유출홀
1 : 의류 320P : 제1 돌출부
311R : 러너 330 : 밸브
311C : 커버 331 : 연결부
312 : 행거 331P : 제2 돌출부
312A : 상부관 332 : 누름부
312B : 걸이관 333 : 덮개부
312C : 하부관 334 : 탄성부재
312H : 배출홀
400 : 측정부
500 : 조작부
600 : 제어부

Claims (10)

  1. 기체를 압송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압송된 기체가 이동하는 관로와,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과, 레일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관로의 기체가 상기 의류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유닛은,
    상기 의류가 걸리고,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중공행거;
    상기 관로의 기체가 상기 중공행거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고정관; 및
    상기 중공행거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고정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행거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서로 내부가 연결되고, 기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행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관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개방된 일단부가 상기 관로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고정관이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관의 길이방향 양단부 사이에 기체가 배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와 반대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유출홀이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고정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구비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누름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누름부를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 쪽으로 밀면,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상기 누름부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슬라이더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관;
    상기 의류가 걸리도록 상기 상부관의 하부에서 옆으로 연장되는 걸이관; 및
    상기 상부관의 하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출홀은 상기 걸이관 및 상기 하부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에 상기 수납공간으로 기체를 배출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고정관의 개방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팬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상기 팬의 배출구와 연결된 주관로;
    상기 주관로와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간관로; 및
    상기 중간관로로부터 아래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유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분기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행거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분기관로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 장치.
KR1020200169396A 2020-12-07 2020-12-07 의류 건조 장치 KR10240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96A KR102407534B1 (ko) 2020-12-07 2020-12-07 의류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96A KR102407534B1 (ko) 2020-12-07 2020-12-07 의류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534B1 true KR102407534B1 (ko) 2022-06-10

Family

ID=8198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396A KR102407534B1 (ko) 2020-12-07 2020-12-07 의류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5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43B1 (ko)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KR20190084569A (ko) * 2018-01-08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KR20190131271A (ko) * 2018-05-16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065886A (ko) * 2018-11-30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43B1 (ko)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KR20190084569A (ko) * 2018-01-08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KR20190131271A (ko) * 2018-05-16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065886A (ko) * 2018-11-30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414B2 (en) Drying drawer and method of drying
US3417481A (en) Attachment for dryers or the like
KR102489268B1 (ko) 의류처리장치
US3793744A (en) Device for drying shoes
KR101108043B1 (ko) 옷장형 건조기
US5842287A (en) Towel warmer
US20020133969A1 (en) Air-flow dryer and method
TW200716818A (en) Automatic clothes dryer
KR102407534B1 (ko) 의류 건조 장치
KR100388004B1 (ko) 의류 건조기
KR102132154B1 (ko) 방수천 커버의 교환과 세탁이 용이한 의류 관리기
KR10102033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5995A (ko) 에어 스피드 건조대
US6766591B1 (en) Garment drying apparatus
US2742710A (en) Twin tumbler for drying fabrics
KR20010036313A (ko) 의류 청결 보관장치
JP3762582B2 (ja) 静止型乾燥機
US4744160A (en) Fabric pressing machine using superheated steam
KR101151900B1 (ko) 환경 시험용 챔버
KR102327459B1 (ko)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 시스템
KR20150061152A (ko) 의류 건조기의 구조
AU691496B2 (en) Device for eliminating humidity particularly from laundry
JPH04317699A (ja) 衣類のしわ取り乾燥機
JP5898366B1 (ja) ダニ殺し兼乾燥機
JPH04100967A (ja) 染上り見本布の連続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