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27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271A
KR20190131271A KR1020180055936A KR20180055936A KR20190131271A KR 20190131271 A KR20190131271 A KR 20190131271A KR 1020180055936 A KR1020180055936 A KR 1020180055936A KR 20180055936 A KR20180055936 A KR 20180055936A KR 20190131271 A KR20190131271 A KR 20190131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assage
chamber
duc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안승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1271A/ko
Publication of KR2019013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챔버; 상기 챔버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 상기 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급구;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챔버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1공급구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제1옷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옷걸이는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제1바디 제1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제1바디 제1암이 위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제1바디 제2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결합하면 상기 제1공급구에 연결되는 제1바디 제1유로; 상기 제1바디 제1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1바디 제2유로; 상기 제1바디에 제2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1바디 제3유로; 상기 제1바디 제2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바디 제1배출구; 상기 제1바디 제3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바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처리작업(세탁, 건조, 탈취, 주름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밴 냄새, 주름 등을 제거하는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등을 통해 의류와 드럼을 마찰시키면서 처리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세탁, 건조, 탈취 등에는 유리하지만 의류에 지속적인 마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의류에 생긴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건조챔버); 상기 챔버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 상기 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급구;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챔버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1공급구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제1옷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옷걸이는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제1바디 제1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제1바디 제1암이 위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제1바디 제2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결합하면 상기 제1공급구에 연결되는 제1바디 제1유로; 상기 제1바디 제1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1바디 제2유로; 상기 제1바디에 제2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1바디 제3유로; 상기 제1바디 제2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바디 제1배출구; 및 상기 제1바디 제3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바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제2공급구; 및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제2옷걸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옷걸이는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제2바디 제1암;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제2바디 제1암이 위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제2바디 제2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결합하면 상기 제2공급구에 연결되는 제2바디 제1유로; 상기 제2바디 제1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2바디 제2유로; 상기 제2바디 제2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2바디 제3유로; 상기 제2바디 제2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바디 제1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바디 제1배출구; 상기 제2바디 제3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바디 제2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바디 제2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비된 열교환부; 및 상기 공급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배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공급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1공급구를 연결하는 제1덕트;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2공급구를 연결하는 제2덕트; 상기 제1공급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2공급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센서; 상기 제2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제1옷걸이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무게센서,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1공급구에 결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 상기 제1옷걸이 주변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2옷걸이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무게센서,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2공급구에 결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 상기 제2옷걸이 주변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연결된 공급구만을 개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옷걸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옷걸이에 거치된 의류 내주면에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1살균부; 및 상기 제2옷걸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옷걸이에 거치된 의류 내주면에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구비된 살균부만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제1암, 상기 제1바디 제2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제1옷걸이를 진동시키는 제1진동부; 및 상기 제2바디, 상기 제2바디 제1암, 상기 제2바디 제2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제2옷걸이를 진동시키는 제2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구비된 진동부만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 챔버 내부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물을 진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증기를 상기 공급덕트로 안내하는 수분공급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유로는 상기 제1공급구로 수증기를 안내하는 제1수분공급유로; 상기 제2공급구로 수증기를 안내하는 제2수분공급유로; 상기 제1수분공급유로를 개폐하는 제1수분공급유로 밸브; 및 상기 제2수분공급유로를 개폐하는 제2수분공급유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연통하는 수분공급유로만을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옷걸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감지부, 진동부, 살균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11, 건조챔버), 격벽(17)을 통해 상기 건조챔버(11)와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제2챔버(19, 기계실)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캐비닛의 전방면(12)을 개폐하는 도어(2)가 구비되는데, 상기 건조챔버(11)는 상기 전방면(12)에 구비된 투입구(111)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기계실(19)은 상기 전방면(12)에 구비된 기계실 투입구(191)를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상기 기계실 투입구(191)는 기계실 도어(19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건조챔버(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6, 7, 8), 상기 옷걸이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옷걸이(6, 7, 8)는 상기 덕트(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 내부에 형성된 공간(옷걸이에 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의류의 내부 공간)에 분사하는 것이 특징으로, 도 2는 상기 옷걸이가 제1옷걸이(6), 제2옷걸이(7), 및 제3옷걸이(8)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3개의 옷걸이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의 옷걸이만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4개 이상의 옷걸이를 구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옷걸이(6, 7, 8)가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옷걸이(6), 제2옷걸이(7), 및 제3옷걸이(8)는 상기 건조챔버(11)의 상부면(상기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된 면), 배면(상기 투입구를 마주보는 면),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옷걸이들(6, 7, 8)이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건조챔버(1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옷걸이(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장착부(116), 상기 제2옷걸이(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착부(117), 상기 제3옷걸이(8)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장착부(1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3)는 상기 건조챔버(11) 내부의 공기를 건조챔버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31), 상기 건조챔버(1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35),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31)는 상기 격벽(17)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112)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11) 내부의 공기를 건조챔버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건조챔버(11)를 형성하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 면(상부면, 배면, 및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5)는 상기 건조챔버(11)의 상부면, 양측면, 및 배면 중 상기 옷걸이들(6, 7, 8)이 고정되는 면을 통해 상기 건조챔버(11)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옷걸이들(6, 7, 8)이 건조챔버(11)의 상부면에 고정된 장착부들에 고정될 경우, 상기 공급덕트(35)는 상기 연결덕트(33)에 연결되는 덕트바디(35a), 상기 덕트바디(35a)와 상기 제1장착부(116)를 연결하는 제1덕트(351), 상기 덕트바디(35a)와 상기 제2장착부(117)를 연결하는 제2덕트(353), 및 상기 덕트바디(35a)와 상기 제3장착부(118)를 연결하는 제3덕트(3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51)는 상기 제1옷걸이(6)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덕트(353)는 상기 제2옷걸이(7)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3덕트(355)는 상기 제3옷걸이(8)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데, 각 옷걸이와 상기 각 덕트를 연통시키는 유로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덕트(3)를 따라 상기 건조챔버(11) 내부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3)에는 팬(59)이 구비된다. 상기 팬(59)은 상기 배기덕트(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591),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593)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팬(59)은 상기 연결덕트(33)나 상기 공급덕트(3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각 옷걸이들(6, 7, 8)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덕트(3)에는 열교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5)는 건조챔버(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가 히트펌프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5)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열교환부(5)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제공하는 냉매관(58), 상기 냉매관(58)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구(112)와 팬(59) 사이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51), 상기 냉매관(58)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와 팬(59) 사이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53), 냉매가 상기 냉매관(58)을 따라 순환할 수 있게 하는 압축기(55), 제2열교환기(5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기(5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와 제2열교환기(53)는 덕트(3)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55) 및 팽창기(57)는 상기 덕트(3)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축기(55) 및 팽창기(57)는 상기 기계실 도어(193)가 기계실 투입구(191)를 개방한 때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하다.
상기 제1열교환기(5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매관(58)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기(51)를 통과하면서 증발하고,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51)를 통과하면서 응축(제습)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53)는 압축기(55)에서 배출된 냉매가 가진 열을 제1열교환기(51)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냉매는 상기 제2열교환기(53)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5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배기덕트(31)는 상기 건조챔버(11)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덕트(35)는 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건조챔버(11)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부(5)는 공급덕트의 덕트바디(35a)에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팬(59)은 상기 덕트바디(35a)와 배기덕트(3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열교환부는 전류가 공급되면 발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옷걸이(6)는 상기 제1장착부(1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바디(61), 상기 제1바디(61)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제1바디 제1암(62), 상기 제1바디 제1암(62)이 위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상기 제1바디(61)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제1바디 제2암(63), 상기 제1옷걸이(6) 내부에 구비되는 제1옷걸이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옷걸이 유로는 상기 제1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바디 제1유로(641), 상기 제1바디 제1암(62)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제1유로(641)에 연결된 제1바디 제2유로(642), 상기 제1바디 제2암(63)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제1유로(641)에 연결된 제1바디 제3유로(6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챔버(11)에는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덕트(351)에 연통하는 제1공급구(113)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장착부(116)에는 상기 제1공급구(113)와 상기 제1바디 제1유로의 유입구(641a, 제1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연통홀(116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바디(61)가 제1장착부(116)에 결합하면, 상기 제1덕트(351)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1공급구(113), 상기 제1연통홀(116a), 및 상기 제1바디 제1유로(641)을 통해 제1바디 제2유로(642) 및 제1바디 제3유로(643)로 공급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바디 제2유로(642)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1바디 제1암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바디 제1배출구(621)를 통해 제1옷걸이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1바디 제3유로(643)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1바디 제2암(6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바디 제2배출구(631)을 통해 제1옷걸이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1옷걸이(6)를 상기 제1장착부(116)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바디(61)에 구비된 제1체결슬롯(611), 상기 제1장착부(116)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슬롯에 삽입되는 제1체결돌기(116b)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돌기(116b)는 상기 제1장착부(116)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슬롯(611)은 상기 제1바디(61)의 높이방향을 따라 제1바디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제1슬롯(611a) 및 상기 제1슬롯의 일단에서 90도로 절곡된 제2슬롯(611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61)와 제1장착부(116)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체결돌기(116b) 및 제1체결슬롯(611)은 각각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옷걸이(7)와 제3옷걸이(8)는 제1옷걸이(6)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옷걸이(7)는 제2장착부(11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바디(71), 상기 제2바디의 일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제2바디 제1암(72) 및 제2바디 제2암(73), 상기 제2옷걸이 내부에 구비된 제2옷걸이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옷걸이 유로는 제2바디(71)에 구비되는 제2바디 제1유로(741), 상기 제2바디 제1암(72)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바디 제1유로(741)에 연결된 제2바디 제2유로(742), 상기 제2바디 제2암(73)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바디 제1유로(741)에 연결된 제2바디 제3유로(74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 제2유로(742)로 유입된 공기는 제2바디 제1암(72)을 관통하는 제2바디 제1배출구(721)를 통해 제2옷걸이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2바디 제3유로(74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바디 제2암(73)을 관통하는 제2바디 제2배출구(731)을 통해 제2옷걸이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옷걸이(7)는 제2바디(71)에 구비된 제2체결슬롯(711)과 제2장착부(117)에 구비된 제2체결돌기(117b)를 통해 건조챔버(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건조챔버(11)에는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덕트(352)에 연통하는 제2공급구(1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장착부(117)에는 상기 제2공급구(114)와 상기 제2바디 제1유로의 유입구(741a, 제2유입구)를 연결하는 제2연통홀(117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71)가 제2장착부(117)에 결합하면, 상기 제2덕트(353)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공급구(114), 상기 제2연통홀(117a), 및 상기 제2바디 제1유로(741)을 통해 제2바디 제2유로(742) 및 제2바디 제3유로(743)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제3옷걸이(8) 역시 제3바디(81), 제3바디 제1암(82), 제3바디 제2암(83), 제3옷걸이 유로로 구비되고, 상기 제3옷걸이 유로는 제3바디 제1유로(841), 제3바디 제2유로(842) 및 제3바디 제3유로(843)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옷걸이(8)는 제3바디에 구비된 제3체결슬롯(811) 및 제3장착부(118)에 구비된 제3체결돌기(118b)를 통해 건조챔버(11)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건조챔버(11)에는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3덕트(355)에 연통하는 제3공급구(115)가 구비되고, 상기 제3장착부(118)에는 상기 제3공급구(115)와 상기 제3바디 제1유로의 유입구(841a, 제3유입구)를 연결하는 제3연통홀(118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3바디(81)가 제3장착부(118)에 결합하면, 상기 제3덕트(355)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3공급구(115), 상기 제3연통홀(118a), 및 상기 제3바디 제1유로(841)을 통해 제3바디 제2유로(842) 및 제3바디 제3유로(843)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제3바디 제2유로(842) 및 제3바디 제3유로(843)로 공급된 공기는 제3바디 제1암과 제3바디 제2암을 관통하는 제3바디 제1관통홀(821) 및 제3바디 제2관통홀(831)을 통해 제3옷걸이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팬(59)의 작동 중 상기 열교환부(5)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각 옷걸이(6, 7, 8)에 거치된 의류의 내부 공간으로 가열되지 않은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외측 표면에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의류의 내측 표면(옷걸이에 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의류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적은 양의 공기로 의류를 건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건조챔버(1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들에 비해 적은 양의 에너지로 의류를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각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젖은 의류를 건조할 경유 건조 중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옷걸이(6, 7, 8) 중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공급구들(113, 114, 115)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371, 373, 375), 각 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911, 912, 913), 상기 감지부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어부(C)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공급구(113)의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밸브(371), 상기 제2공급구(114)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밸브(373), 상기 제3공급구(115)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3밸브(3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371)는 상기 제1덕트(351)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구(113)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장착부(116)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홀(611a)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밸브(373)는 상기 제2덕트(353), 상기 제2공급구(114), 및 제2연통홀(117a)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밸브(375)는 상기 제3덕트(355), 상기 제3공급구(115), 및 제3연통홀(118a)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옷걸이(6)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911), 상기 제2옷걸이(7)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912), 상기 제3옷걸이(8)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9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911, 912, 913)은 각 옷걸이(6, 7, 8)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무게센서, 각 옷걸이가 상기 각 공급구(113, 114, 115)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 각 옷걸이 주변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센서들이 무게센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무게센서는 각 옷걸이의 무게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 장착부(116, 117, 118)에 구비된 각 체결돌기(116b, 117b, 118b)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각 무게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각 옷걸이의 무게)를 각 옷걸이의 기준무게(옷이 거치되지 않은 각 옷걸이의 무게)와 비교함으로써 어느 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센서들이 접촉감지센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접촉감지센서는 각 옷걸이가 각 장착부(116, 117, 118)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장착부(116, 117, 118)의 원주면, 또는 상기 건조챔버(11)의 상부면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이 조도센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각 옷걸이의 제1암(62, 72, 82)이나 제2암(63, 73, 83), 두 암의 연결지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도센서는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내부공간으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둘 다 옷걸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중 어느 하나는 옷걸이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건조챔버(1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가 둘 다 옷걸이에 고정될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수광부가 수신한 빛의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크면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빛의 세기가 기준 값 이하이면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각 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면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이 의류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광부가 빛을 방출하는 경우에 비해,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된 상태에서 발광부가 빛을 방출할 때 수광부가 수신하는 빛의 세기가 더 클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중 어느 하나는 옷걸이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건조챔버(11)를 형성하는 일면에 고정될 경우, 제어부는 빛의 세기가 기준 값 이하이면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빛의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크면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면 의류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할 것이므로, 수광부가 수신하는 빛의 세기는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된 경우보다 의류가 옷걸이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가 더 클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제1센서(911), 제2센서(912), 및 제3센서(913)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만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371), 제2밸브(383), 제3밸브(375)를 제어하면,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의류 건조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각 옷걸이에 구비되어 의류를 살균하는 살균부(95), 각 옷걸이를 진동시킴으로써 의류를 진동시키는 진동부(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부(95)는 제1옷걸이에 구비되는 제1살균부(951), 제2옷걸이에 구비되는 제2살균부(952), 제3옷걸이에 구비되는 제3살균부(9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살균부(951, 952, 953)는 상기 각 옷걸이의 제1암(62, 72, 82)이나 제2암(63, 73, 83), 두 암의 연결지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살균부(951, 952, 953)는 각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내부공간으로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센서(911), 제2센서(912), 및 제3센서(913)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구비된 살균부(951, 952, 953)만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부(94)는 제1옷걸이(6)를 진동시키는 제1진동부(941), 제2옷걸이(7)를 진동시키는 제2진동부(942), 제3옷걸이(8)를 진동시키는 제3진동부(94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진동부(941, 942, 943)는 각 옷걸이의 바디(61, 71, 81), 제1암(62, 72, 82), 및 제2암(63, 73, 83)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편심모터(eccentric 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각 진동부(941, 942, 943)가 제1암(62, 72, 82)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진동부가 옷걸이의 무게중심이 아닌 지점에 위치하면, 옷걸이에 불규칙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에 진동을 전달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센서(911), 제2센서(912), 및 제3센서(913)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구비된 진동부(941, 942, 943)만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건조챔버(11)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97)가 공급하는 수분은 가열된 수증기(스팀, steam)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mist)를 의미한다. 스팀은 물을 끓는점 이상 가열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고, 미스트는 물을 진동시킴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수분공급부(97)가 미스트를 건조챔버(11) 내부가 아닌 의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수분공급부(97)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971), 상기 저장부(971) 내부의 물을 진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진동자(972), 상기 저장부(971) 내부의 수증기를 상기 공급덕트(35)로 안내하는 수분공급유로(9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971)는 캐비닛(1)에 구비된 수분공급부 장착부(97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 장착부(973)는 기계실(19)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1)과 건조챔버(11)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건조챔버(11)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자(972)는 물에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유발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유로(975)는 상기 제1공급구(113)로 수증기를 안내하는 제1수분공급유로(975a), 상기 제2공급구(114)로 수증기를 안내하는 제2수분공급유로(975b), 상기 제3공급구(115)로 수증기를 안내하는 제3수분공급유로(975c)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분공급유로(975a)는 제1수분공급유로 밸브(977a)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2수분공급유로(975b)는 제2수분공급유로 밸브(977b)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제3수분공급유로(975c)는 제3수분공급유로 밸브(977c)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C)는 상기 제1센서(911), 제2센서(912), 및 제3센서(913)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만 수분이 공급되도록 각 수분공급유로 밸브(977a, 977b, 977c)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5)와 함께 상기 수분공급부(97)를 작동시키면, 의류에 공급된 수분이 열교환부가 제공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증발하면서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입자를 제거할 것이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분공급부(97)를 통해 의류에 공급된 수분이 증발할 때 의류에 형성된 구김도 제거되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발생한 구김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건조챔버 111: 투입구
112: 배출구 113: 제1공급구 116: 제1장착부
114: 제2공급구 117: 제2장착부 115: 제3공급구
118: 제3장착부 17: 격벽 19: 기계실
191: 기계실 투입구 193: 기계실 도어 2: 도어
3: 덕트 31: 배기덕트 33: 연결덕트
35: 공급덕트 35a: 덕트바디 351: 제1덕트
353: 제2덕트 355: 제3덕트 371: 제1밸브
373: 제2밸브 375: 제3밸브 5: 열교환부
59: 팬 6: 제1옷걸이 61: 제1바디
611: 체결슬롯 62: 제1바디 제1암 621: 제1바디 제1배출구
63: 제1바디 제2암 631: 제1바디 제2배출구 641: 제1바디 제1유로
641a: 제1유입구 642: 제1바디 제2유로 643: 제1바디 제3유로
7: 제2옷걸이 8: 제3옷걸이 911: 제1센서
912: 제2센서 913: 제3센서 94: 진동부
95: 살균부 97: 수분공급부 971: 저장부
972: 진동자 973: 장착부 975: 수분공급유로

Claims (14)

  1.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
    상기 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급구;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챔버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1공급구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제1옷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옷걸이는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제1바디 제1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제1바디 제1암이 위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제1바디 제2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결합하면 상기 제1공급구에 연결되는 제1바디 제1유로;
    상기 제1바디 제1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1바디 제2유로;
    상기 제1바디에 제2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1바디 제3유로;
    상기 제1바디 제2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바디 제1배출구;
    상기 제1바디 제3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바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제2공급구; 및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제2옷걸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옷걸이는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제2바디 제1암;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제2바디 제1암이 위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제2바디 제2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결합하면 상기 제2공급구에 연결되는 제2바디 제1유로;
    상기 제2바디 제1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2바디 제2유로;
    상기 제2바디 제2암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 제1유로에 연결된 제2바디 제3유로;
    상기 제2바디 제2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바디 제1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바디 제1배출구;
    상기 제2바디 제3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바디 제2암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바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비된 열교환부; 및
    상기 공급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배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공급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1공급구를 연결하는 제1덕트;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2공급구를 연결하는 제2덕트;
    상기 제1공급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2공급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센서;
    상기 제2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연결된 공급구만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옷걸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옷걸이에 거치된 의류 내주면에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1살균부; 및
    상기 제2옷걸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옷걸이에 거치된 의류 내주면에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구비된 살균부만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제1암, 상기 제1바디 제2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제1옷걸이를 진동시키는 제1진동부;
    상기 제2바디, 상기 제2바디 제1암, 상기 제2바디 제2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제2옷걸이를 진동시키는 제2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구비된 진동부만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물을 진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증기를 상기 공급덕트로 안내하는 수분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유로는
    상기 제1공급구로 수증기를 안내하는 제1수분공급유로;
    상기 제2공급구로 수증기를 안내하는 제2수분공급유로;
    상기 제1수분공급유로를 개폐하는 제1수분공급유로 밸브; 및
    상기 제2수분공급유로를 개폐하는 제2수분공급유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에 연통하는 수분공급유로만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55936A 2018-05-16 2018-05-16 의류처리장치 KR20190131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36A KR20190131271A (ko) 2018-05-16 2018-05-16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36A KR20190131271A (ko) 2018-05-16 2018-05-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71A true KR20190131271A (ko) 2019-11-26

Family

ID=6873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936A KR20190131271A (ko) 2018-05-16 2018-05-1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12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941B1 (ko) * 2020-03-20 2021-06-02 정홍범 구조 개선된 행거형 스팀다리미
IT202000011731A1 (it) * 2020-05-20 2021-11-20 Sasso Alessandro Appendiabiti perfezionato ed armadio per l’alloggiamento di detti appendiabiti perfezionati
KR20220041254A (ko) * 2020-09-23 2022-04-01 오토앤 주식회사 차량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의류 관리시스템
KR102407534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의류 건조 장치
KR20220099248A (ko) * 2021-01-06 2022-07-13 (주)대영프로파일 의류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941B1 (ko) * 2020-03-20 2021-06-02 정홍범 구조 개선된 행거형 스팀다리미
IT202000011731A1 (it) * 2020-05-20 2021-11-20 Sasso Alessandro Appendiabiti perfezionato ed armadio per l’alloggiamento di detti appendiabiti perfezionati
KR20220041254A (ko) * 2020-09-23 2022-04-01 오토앤 주식회사 차량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의류 관리시스템
KR102407534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의류 건조 장치
KR20220099248A (ko) * 2021-01-06 2022-07-13 (주)대영프로파일 의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1271A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11265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54903B1 (ko) 의류처리장치
US1194619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US93534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moving hanger bar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KR101819511B1 (ko) 다중 의류처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20090105083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10508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016917A (ko) 건조기
KR2020002818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110407A (ko) 의류 건조기
US2022030718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12467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761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83051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96907A1 (e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vapor and/or mist and/or aerosol generator
KR101397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31272A (ko) 의류처리장치
RU277217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257844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