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886A -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886A
KR20200065886A KR1020180152791A KR20180152791A KR20200065886A KR 20200065886 A KR20200065886 A KR 20200065886A KR 1020180152791 A KR1020180152791 A KR 1020180152791A KR 20180152791 A KR20180152791 A KR 20180152791A KR 20200065886 A KR20200065886 A KR 20200065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chamber
output value
hanger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707B1 (ko
Inventor
홍종수
최준회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707B1/ko
Priority to PCT/KR2019/015734 priority patent/WO2020111616A1/ko
Priority to US17/309,428 priority patent/US20220034023A1/en
Publication of KR2020006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216/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챔버; 챔버의 상부에 마련되고 챔버의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상부팬; 챔버의 하부에 마련되고 챔버의 상부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하부팬; 하부팬을 회전시키는 제 1 모터;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 및 스팀 발생장치 및 제1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발생된 스팀을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제1구간에서 스팀 발생장치를 온(ON)시키고, 챔버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스팀이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제2구간에서 제1모터를 온(ON)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의 냄새를 제거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 관리는 송풍 장치에서 발생된 공기나 열풍을 의류에 공급하거나 스팀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스팀을 의류에 분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의류 관리기 내의 의류 부하량이나 의류의 재질을 안다면 송풍 장치나 스팀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최적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광센서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기 내의 의류 부하량을 추정하고 추정된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나 스팀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의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기 내의 의류의 재질을 추정하고 추정된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나 스팀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의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옷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장치; 상기 챔버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하고, 상기 의류의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신된 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는,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는, 스팀량 및 스팀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제1옷걸이 및 제2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제1옷걸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1광센서 및 상기 제2옷걸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2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제1옷걸이 및 제2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1옷걸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수광부 및 상기 제2옷걸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광부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수광부 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옷걸이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중 하나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챔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이 공급될 때 측정된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재질에 따라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의류의 재질을 각각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의류의 재질 중 민감도가 가장 높은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에 적용되는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풍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건조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풍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건조 행정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 시간에 관한 상기 건조 행정의 제1 종료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의 추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 행정의 제2 종료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종료 시간 및 상기 제2 종료 시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종료 시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의 내측 또는 상기 챔버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내의 냄새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탈취 행정에 적용되는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풍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탈취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풍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탈취 행정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냄새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제1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제2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건조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장치; 상기 챔버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고, 상기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이 공급될 때 측정된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제1옷걸이 및 제2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1옷걸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수광부 및 상기 제2옷걸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광부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고, 상기 제2수광부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과 상기 제2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 중 민감도가 가장 높은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제1옷걸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1무게 센서; 및 상기 제2옷걸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2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게 센서의 출력 값과 상기 제2무게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하고; 상기 의류의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및 상기 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고;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의류의 부하량 및 상기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 내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송풍 장치를 오프(off)시켜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 내의 냄새를 감지하고;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송풍 장치를 오프(off)시켜 탈취 행정을 종료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기 내의 의류 부하량을 추정하고 추정된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나 스팀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의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기 내의 의류의 재질을 추정하고 추정된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나 스팀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의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옷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광센서의 배치에 관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의류의 부하량에 따라 수광부에 수신되는 광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의류의 부하량에 따른 광센서의 출력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광센서의 출력 값 별로 저장되는 의류 부하량에 관한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 적용 가능한 광센서 배치의 다른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 적용 가능한 광센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가 광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의류의 재질에 따른 광센서의 출력 값의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의류 부하량과 의류 재질에 따른 제어 파라미터가 미리 저장된 테이블의 예시이다.
도 20은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1은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2는 행정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의류 부하량을 판단하는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의류 재질을 판단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습도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스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기준값, 미리 정해진 값, 미리 정해진 시간 등의 용어가 복수 회 사용되는 경우에, 복수 회 사용되는 동일한 용어가 모두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이 아니며, 이들이 동일한 값을 갖는지 여부는 해당 용어가 사용되는 각각의 문맥에 기초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의류 관리기(1)의 도어(20)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챔버(12a)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챔버(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와,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챔버(12a) 내부에 마련되는 옷걸이(30)를 포함한다.
도어(20)의 외측, 즉 의류 관리기(1)의 전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관리기(1)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71)와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 또는 의류 관리기(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71)는 가압에 의해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 형태 또는 터치에 의해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71)가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2)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에는 외부 프레임(11)과, 외부 프레임(11) 내에 배치되는 내부 프레임(12)과, 외부 프레임(11)과 내부 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가 순환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상부 덕트(13, 14)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12)은 챔버(12a)와 기계실(11b)을 분리할 수 있다. 기계실(11b)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열교환기(60)가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압축기(61), 열교환기(62, 63)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열교환기(62, 63)는 응축기(62)와 증발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실(11b)은 기계실(11b)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챔버(12a)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하부 송풍장치(131)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송풍장치(13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하부 모터(131b)와, 하부 모터(131b)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하부 팬(131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팬(131a)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의류 관리기(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팬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는 하부 팬(131a)이 하나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에 따라 복수의 하부 팬들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계실(11b)의 상면, 즉 챔버(12a)의 하면에는 제2 유입구(53), 제2 토출구(54) 및 스팀 배출구(15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입구(53)는 챔버(12a)의 하면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토출구(54) 및 스팀 배출구(184)는 챔버(12a)의 하면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입구(53), 제2 토출구(54) 및 스팀 배출구(154)의 배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기계실(11b)에는 하부 팬(131a)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하부 덕트(55, 56)가 배치될 수 있다. 챔버(12a) 내부의 공기는 제2 유입구(53)를 통해 제1 하부 덕트(55)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하부 덕트(55)의 일단은 제2 유입구(53)와 연결되고, 제1 하부 덕트(55)의 타단은 하부 송풍 장치(131)의 하부 팬(131a)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부 덕트(55)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 팬(131a)을 거쳐 제2 하부 덕트(56)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하부 덕트(56) 내부에는 열교환기(60)의 증발기(63)와 응축기(6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계실(11b)에는 열교환기(60)의 압축기(61)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압축기(61)는 회전 수 또는 압축용량 변경이 가능한 인버터 압축기(inverter compressor)일 수 있다. 인버터 압축기는 회전수 제어를 통해 압축 용량을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축기(62)의 발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증발기(63)는 제2 하부 덕트(56)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공기 중의 습기는 증발기(63)를 거치면서 응축되고, 응축된 물은 소정의 경로를 통해 배수통에 저장될 수 있다.
응축기(62)는 공기의 유로에서 증발기(63)보다 하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63)를 지나면서 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응축기(62)를 지나면서 가열된다. 증발기(63)와 응축기(62)를 통과한 공기는 온도가 높아지고, 습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제2 토출구(54)를 통해 챔버(12a)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60)는 제2 하부 덕트(56)에 배치된 응축기(62) 및 증발기(63)를 이용하여 하부 팬(131a)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 상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온 건조한 공기가 제2 토출구(54)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챔버(12a) 내부를 제습하고 의류를 건조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실(11b)에는 스팀 발생 장치(150)가 수용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150)는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스팀을 챔버(12a)에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주름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150)는 급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발생부(151)와, 생성된 스팀을 스팀 분사부(153)로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분사부(153)는 챔버(12a)의 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발생부(151)의 내부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150)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 공급관(152)를 통하여 스팀 분사부(153)로 이동하며, 스팀 배출구(154)를 통하여 챔버(12a)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스팀 배출구(154)는 챔버(12a)의 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토출구(5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송풍장치(132)는 챔버(12a)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상부 모터(미도시)와, 상부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상부 팬(132a)과, 한 쌍의 상부 팬(132a)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팬 케이스(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터는 그 축이 양 측방으로 돌출되며, 축의 양단에는 각각 상부 팬(132a)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상부 모터로 한 쌍의 상부 팬(132a))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팬(132a)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의류 관리기(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팬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는 상부 팬(132a)이 하나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에 따라 복수의 상부 팬들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쌍의 팬 케이스(132b)는 양 측방에 흡입구(미도시)가 마련되고 전방측에 토출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양 측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방측으로 안내한다.
챔버(12a)의 후면에는 챔버(12a) 내부의 공기가 상부 덕트(13, 14)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유입구(12d)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입구(12d)에는 필터 모듈(70)이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모듈(70)에는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필터와 냄새 입자를 분해하는 냄새 분해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챔버(12a)의 상면에는 상부 덕트(13, 14)의 공기가 챔버(12a)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 토출구(12f)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팬(132a)이 회전하면, 제1 유입구(12d)를 통해 챔버(12a) 내부의 공기가 제1 상부 덕트(13)로 유입될 수 있다. 챔버(12a) 내부의 공기가 제1 상부 덕트(13)로 유입될 때, 필터 모듈(70)의 먼지 필터에 의해 챔버(12a)의 내부 공기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고, 냄새 분해 필터에 의해 챔버(12a) 내부의 공기에 존재하는 냄새 입자가 분해될 수 있다.
제1 상부 덕트(13)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상부 덕트(13)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팬(132a)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부 팬(132a)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제2 상부 덕트(14)를 따라 이동하고, 챔버(12a)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1 토출구(12f)를 통해 챔버(12a)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제1 상부 덕트(13)는 그 하단이 챔버(12a)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고 그 상단이 상부 송풍 장치(132)를 덮도록 설치된다. 제2 상부덕트(14)는 그 후단이 상부 송풍 장치(132)에 연결되고 그 전단은 챔버(12a)의 외측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제1 토출구(12f)와 연결된다.
제1 토출구(12f)는 공기를 옷걸이(30)의 내부로 토출하는 제1 내부 토출구(미도시)와, 제1 내부 토출구(미도시)의 양측에 마련되어 옷걸이(30)에 거치된 의류의 양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외부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2a) 내에 옷걸이(30)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옷걸이(30)마다 제1토출구(12f)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옷걸이(30)마다 공기의 토출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2 상부 덕트(14) 내에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132c)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팬(132a)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히터(132c)를 통과함으로써, 제1 토출구(12f)를 통해 챔버(12a) 내부로 열풍이 유입될 수 있다. 도 2는 히터(132c)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류 관리기(1)는 히터(132c)를 대신하여 상부 팬(132a)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상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열교환기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광센서의 배치에 관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의류의 부하량에 따라 수광부에 수신되는 광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의류의 부하량에 따른 광센서의 출력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광센서의 출력 값 별로 저장되는 의류 부하량에 관한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광센서(110), 챔버(12a)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장치(130), 챔버(12a)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 장치(150),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하고, 의류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130) 및 스팀 발생 장치(150)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130) 및 스팀 발생 장치(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의류 관리기(1)의 동작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71) 및 의류 관리기(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챔버(12a) 내부에 건조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기(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송풍 장치(130), 스팀 발생 장치(150), 디스플레이부(172) 및 열교환기(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 또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130), 스팀 발생 장치(150), 디스플레이부(172) 및 열교환기(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에는 이들이 하나의 칩 상에 집적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는바, 의류 관리기(1)의 실시예에서는 메모리와 프로세서의 물리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광센서(110)는 챔버(12a)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의류의 부하량은 의류의 개수 또는 의류의 부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의 예시를 참조하면, 광센서(110)는 챔버(12a)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광부(111)와 챔버(12a)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발광부(111)에서 발신한 광을 수광부(112)가 수신하게 되는데, 발광부(111)와 수광부(112)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의 부하량에 따라 수광부(112)가 수신하는 광량이 달라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C), 더 구체적으로는 옷걸이(30)에 거치된 의류가 3벌인 경우, 2벌인 경우, 1벌인 경우 및 수용된 의류가 없는 경우(Empty)에 수광부(112)가 수신하는 광량이 각각 다르다. 수용된 의류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발광부(111)에서 수광부(112)로 향하는 광이 많이 차단되고, 수광부(112)로 입사되는 광량이 줄어들게 된다.
광센서(110)의 출력 값은 수광부(112)가 수신한 광량에 비례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의 개수에 따라 광센서(110)의 출력 값(Lux)이 달라지게 된다.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 별로 그에 대응되는 의류 부하량을 미리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제1기준값 이상이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가 없는 것으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제2기준값 미만 제3기준값 이상이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가 1벌인 것으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제4기준값 미만 제5기준값 이상이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가 2벌인 것으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제6기준값 미만이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가 3벌인 것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1기준값은 제2기준값보다 크고, 제3기준값은 제4기준값보다 크며, 제5기준값은 제6기준값보다 크다. 또한, 제1기준값 이상인 구간은 제1구간으로, 제2기준값 미만 제3기준값 이상인 구간은 제2구간으로, 제4기준값 미만 제5기준값 이상인 구간은 제3구간으로, 제6기준값 미만인 구간은 제4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제1구간 내지 제4구간 중 어느 구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포함된 구간에 대응되는 부하량을 현재 의류 관리기(1)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특정 기준 값에 도달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의류의 부하량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1기준값에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도달하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가 없는 것으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2기준값에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도달하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가 1벌인 것으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4기준값에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도달하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가 2벌인 것으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6기준값에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도달하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가 3벌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기준값에 도달한다는 의미는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지는 않는 경우를 의미하고, 제1기준값, 제2기준값, 제4기준값 및 제6기준값은 앞서 설명한 구간을 정의하는 기준값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의류 부하량은 챔버(12a)에 의류가 투입된 이후에 판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20)가 의류 부하량을 판단하는 시점은, 의류 관리기(1)의 전원이 온(On)되는 시점 또는 그 이후, 도어(20)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는 시점 또는 그 이후, 및 의류 관리 코스가 선택되거나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 또는 그 이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일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의류가 투입된 이후에 의류 관리기(1)의 전원이 온(On)될 수도 있고, 의류 관리기(1)의 전원이 온(On)된 이후에 의류가 투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전원의 온(On) 또는 도어(20)의 개방/폐쇄에 따라 의류 부하량의 판단을 복수 회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원이 온(On)되었을 때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부하량을 1차적으로 판단하고, 전원의 온(On) 이후에 도어(20)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되면 의류가 투입되거나 반출된 것으로 보고 도어(20)의 폐쇄 이후에 측정된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부하량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전원의 온(On)과 의류 관리 코스의 선택 사이에 도어(20)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되지 않으면 의류의 투입이나 반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고 1차적으로 결정한 의류 부하량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전원이 온(On)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도어(20)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의류 부하량을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도어(20)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더라도 의류 부하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류 부하량을 판단한 이후라도 도어(20)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되면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부하량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어(20)의 개방 및 폐쇄와 상관없이 의류 관리 코스가 선택되고 동작 명령이 입력된 이후에 측정된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부하량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 적용 가능한 광센서 배치의 다른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도 4에서는 발광부(111)가 챔버(12a)의 상부에, 수광부(112)가 챔버(12a)의 하부에 배치되는 예시를 예로 들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에서는 도 8의 예시와 같이, 발광부(111)가 챔버(12a)의 하부에, 수광부(112)가 챔버(12a)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9 및 도 10의 예시와 같이, 복수의 옷걸이(30a, 30b, 30c)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수광부(112a, 112b, 112c)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광부(111)가 챔버(12a)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도 9), 수광부(112a, 112b, 112c)가 챔버(12a)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도 10).
제1옷걸이(30a)에 대응되는 제1수광부(112a)는 제1옷걸이(30a)에 거치된 의류에 의해 광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옷걸이(30b)에 대응되는 제2수광부(112b)는 제2옷걸이(30b)에 거치된 의류에 의해 광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옷걸이(30c)에 대응되는 제3수광부(112c)는 제3옷걸이(30c)에 거치된 의류에 의해 광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1 및 도 12의 예시와 같이, 복수의 옷걸이(30a, 30b, 30c)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발광부(111a, 111b, 111c) 및 복수의 수광부(112a, 112b, 112c)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광부(111a, 111b, 111c)가 챔버(12a)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도 11), 수광부(112a, 112b, 112c)가 챔버(12a)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도 12).
제어부(120)는 제1수광부(112a)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1옷걸이(30a)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제2수광부(112b)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2옷걸이(30b)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3수광부(112c)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3옷걸이(30c)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112)를 옷걸이 별로 각각 마련하면 각각의 옷걸이(30a, 30b, 30c)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 적용 가능한 광센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광센서(110)의 발광부(111)와 수광부(11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었다. 도 13의 예시에 따르면, 발광부(111)가 수광부(112)가 같은 방향에 배치되고 수광부(112)는 발광부(111)에서 조사되고 옷걸이(30)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을 수신할 수 있다.
광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필름(31)을 옷걸이(30)에 부착할 수 있다. 특히, 의류가 옷걸이(30)에 거치되었을 때에는 의류에 의해 반사 필름(31)이 가려지도록, 의류가 거치되는 부분에 반사 필름(31)을 부착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옷걸이(30)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옷걸이(30)에 의류가 거치되지 않았을 때와 거치되었을 때를 구분하는 기준 값을 미리 저장하고,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기준 값 미만이면 의류가 거치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10)는 챔버(12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옷걸이(30)에 부착된 반사 필름(31)에 대응되는 위치, 즉 반사 필름(31)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 필름(31)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옷걸이(30a, 30b, 30c)마다 그에 대응되는 광센서(110a, 110b, 110c)를 각각 배치하여 각각의 옷걸이(30a, 30b, 30c)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광센서(110a)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1옷걸이(30a)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제2광센서(110b)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2옷걸이(30b)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3광센서(110c)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3옷걸이(30c)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판단된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130)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송풍 장치(130)의 제어 파라미터를 송풍 파라미터라 지칭할 수도 있다.
송풍 파라미터는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의류 부하량이 클수록 풍량과 송풍 시간을 크게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송풍 시간은 의류 관리 코스에 따라 정해진 값으로 고정하고, 풍량만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풍량 또는 송풍 시간에 따라 송풍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결정된 풍량 및 송풍 시간에 따라 상부 송풍 장치(132)의 상부 모터 또는 하부 송풍 장치(131)의 하부 모터(131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행되는 행정에 따라 제어부(120)가 열교환기(6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60)를 동작시켜 제습 또는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압축기(61)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스팀 발생 장치(150)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스팀 발생 장치(150)의 제어 파라미터를 스팀 파라미터라 지칭할 수도 있다.
스팀 파라미터는 스팀량 및 스팀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스팀량 및 스팀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의류 부하량이 클수록 스팀량 및 스팀 발생 시간을 크게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스팀 발생 시간은 의류 관리 코스에 따라 정해진 값으로 고정하고, 스팀량만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에 따라 송풍 및 스팀 발생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의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의류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와 관련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가 광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 내지 도 18은 의류의 재질에 따른 광센서의 출력 값의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의류 관리기(1) 내에 의류가 수용된 이후에, 제어부(120)는 상부 송풍 장치(132)를 제어하여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바람은 챔버(12a)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발생된 바람은 제1토출구(12f)를 통해 옷걸이(30) 의 내부 및 옷걸이(30)에 거치된 의류의 양측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부 송풍 장치(132)를 통해 챔버(12a)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C)에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러한 의류(C)의 움직임은 그 재질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바, 부드럽고 가벼운 재질의 의류는 바람에 의한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크고 단단하고 무거운 재질의 의류는 바람에 의한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클수록 부드럽거나 가벼운 재질의 의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의류의 재질 별로 그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미리 저장하고,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을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의 재질을 부드러운 정도에 따라 소프트(soft) 재질, 중간(medium) 재질 및 단단한(hard) 재질, 세 종류로 구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Δt) 동안 측정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ΔQ)이 제1기준값(Rs) 이상이면 의류의 재질을 소프트 재질로 판단할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Δt) 동안 측정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ΔQ)이 제1기준값(Rs) 미만, 제2기준값(Rh) 이상이면 의류의 재질을 중간 재질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Δt) 동안 측정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ΔQ)이 제2기준값(Rh) 미만이면 의류의 재질을 단단한 재질로 판단할 수 있다.
의류의 재질을 세 종류로 구분한 것은 일 예시에 불과하고, 두 종류 또는 네 종류 이상의 재질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예시에서는 상부 송풍 장치(132)를 통해 바람을 공급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하부 송풍 장치(131)를 함께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따라 의류의 재질을 실크, 면, 울, 모,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헤어(모피와 같은 동물의 헤어) 등과 같이 더 상세하게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의류 재질의 상세한 구분을 위해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의류의 재질 별로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 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패턴과 측정된 출력 값의 변화 패턴을 비교하여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의류의 재질에 따른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 패턴은 실험, 통계 또는 학습 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학습 데이터 또는 변화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이 반영된 학습 데이터 또는 변화 패턴을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재질 판단에 사용되는 광센서(110)의 구성과 배치는 전술한 예시들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11)와 수광부(112)를 하나씩 마련할 수도 있고, 전술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11)는 하나 마련하고 수광부(112a, 112b, 112c)는 복수의 옷걸이(30a, 30b, 30c)마다 각각 마련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11a, 111b, 111c)와 수광부(112a, 112b, 112c)를 복수의 옷걸이(30a, 30b, 30c)마다 각각 마련할 수도 있다.
수광부(112a, 112b, 112c)가 옷걸이(30a, 30b, 30c)마다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옷걸이(30a, 30b, 30c)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개별적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송풍 장치(130)를 제어하여 챔버(12a)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고, 제1수광부(112a)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1옷걸이(30a)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수광부(112b)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2옷걸이(30b)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으며, 제3수광부(112c)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3옷걸이(30c)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11)와 수광부(112)가 각각 하나씩만 마련된 경우에는 옷걸이(30a, 30b, 30c)마다 송풍 시점을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옷걸이(30a, 30b, 30c)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상부 송풍 장치(132)를 제어하여 제1옷걸이(30a)의 제1토출구(112f)를 통해 바람을 공급하고, 바람이 공급된 시점 이후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측정된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1옷걸이(30a)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제1옷걸이(30a)에 대한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20)는 제1옷걸이(30a)로의 송풍을 중지하고, 상부 송풍 장치(132)를 제어하여 제2옷걸이(30b)의 제1토출구(112f)를 통해 바람을 공급한다. 바람이 공급된 시점 이후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측정된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2옷걸이(30b)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제2옷걸이(30b)에 대한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20)는 제2옷걸이(30b)로의 송풍을 중지하고, 상부 송풍 장치(132)를 제어하여 제3옷걸이(30c)의 제1토출구(112f)를 통해 바람을 공급한다. 바람이 공급된 시점 이후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측정된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3옷걸이(30c)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수광부(112a, 112b, 112c)가 옷걸이(30a, 30b, 30c)마다 마련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옷걸이(30a, 30b, 30c)에 동시에 송풍을 해도 무방하고, 옷걸이(30a, 30b, 30c)마다 송풍 시점을 다르게 제어하여 의류 재질 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의류의 부하량에 관계 없이 복수의 옷걸이(30a, 30b, 30c)에 동시에 바람을 공급하거나, 순차적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도 있으나, 의류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대상이 될 옷걸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가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30)에만 선택적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30)에 대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게 센서(180, 도 18 참조)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의류 재질 판단을 위한 송풍은 의류 관리 코스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수행될 의류 관리 코스의 최초 행정에 송풍이 포함된 경우에는 의류 관리 코스의 시작 이후에 송풍을 수행하면서 의류의 재질 판단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류의 재질 판단 시에 수행되는 송풍에는 기본값으로 설정된 송풍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의류의 재질 판단이 완료되고 의류의 재질에 따른 송풍 파라미터가 결정된 이후에는 결정된 송풍 파라미터를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130)의 제어 파라미터 및 스팀 발생 장치(150)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의 재질 별로 먼지 제거, 주름 제거, 냄새 제거, 살균 등과 같은 의류 관리가 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 파라미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의 재질이 부드러울수록 풍량, 송풍 시간, 스팀량 또는 스팀 발생 시간을 적게 결정할 수 있고, 의류의 재질이 단단할수록 풍량, 송풍 시간, 스팀량 또는 스팀 발생 시간을 크게 결정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가 복수 개이고, 복수의 의류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경우, 제어부(120)는 복수의 의류 중 가장 민감한 재질의 의류를 기준으로 송풍 장치(130) 또는 스팀 발생 장치(150)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의류 재질의 민감도에 따른 순위를 미리 저장하고,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된 의류의 재질 중 민감도가 가장 높은 재질을 기준으로 송풍 장치(130) 또는 스팀 발생 장치(150)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의 재질 중 실크의 민감도가 가장 높게 저장된 경우에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에 실크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120)는 실크를 기준으로 송풍 장치(130)의 제어 파라미터 또는 스팀 발생 장치(150)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의류 재질에 대한 단단한 정도와 민감도를 개별적으로 저장하고, 단단한 정도가 가장 높은 재질을 기준으로 송풍 장치(130)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민감도가 가장 높은 재질을 기준으로 스팀 발생 장치(150)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어부(120)가 의류 부하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의류 부하량과 의류의 재질을 모두 고려하여 송풍 장치(130) 및 스팀 발생 장치(150)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9는 의류 부하량과 의류 재질에 따른 제어 파라미터가 미리 저장된 테이블의 예시이다.
제어부(120)는 도 19의 예시와 같이, 의류 부하량과 의류 재질 별로 그에 대응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하고,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판단된 의류 부하량 및 의류 재질에 대응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획득할 수 있다.
테이블에 저장되는 제어 파라미터는 해당 부하량과 재질의 의류에 대한 구김 제거, 먼지 제거, 냄새 제거 등의 의류 관리가 최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파라미터로서, 실험, 통계 또는 학습 등에 의해 획득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의 만족도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학습 데이터 또는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의 테이블은 송풍 파라미터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스팀 파라미터에 대한 것일 수도 있으며, 송풍 파라미터 및 스팀 파라미터 각각에 대해 별도의 테이블이 저장될 수도 있다.
동일한 부하량, 동일한 재질의 의류라도 의류 관리 코스를 구성하는 행정 별로 최적의 의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제어 파라미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의류 관리 코스를 구성하는 행정 별로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을 각각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의류 관리 코스 중 표준 코스를 구성하는 스팀 행정에 대한 스팀 파라미터 테이블, 클리닝 행정에 대한 송풍 파라미터 테이블, 건조에 대한 송풍 파라미터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가 의류 부하량과 의류 재질에 따른 제어 파라미터를 반드시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의류 부하량과 의류 재질을 변수로 하는 함수의 형태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130) 및 스팀 발생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옷걸이(30)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센서(180)는 복수의 옷걸이(30a, 30b, 30c)마다 각각 배치되어 각각의 옷걸이(30a, 30b, 30c)의 무게를 개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옷걸이(30a)에 배치된 제1무게센서(180a)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1옷걸이(30a)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무게센서(180a)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제1옷걸이(30a)에 의류가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제1옷걸이(30a)의 무게와 동일할 수도 있고, 그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2옷걸이(30b)에 배치된 제2무게센서(180b)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2옷걸이(30b)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무게센서(180b)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제2옷걸이(30b)에 의류가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제2옷걸이(30b)의 무게와 동일할 수도 있고, 그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3옷걸이(30c)에 배치된 제3무게센서(180c)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제3옷걸이(30c)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무게센서(180c)의 출력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제3옷걸이(30c)에 의류가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제3옷걸이(30c)의 무게와 동일할 수도 있고, 그보다 클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각각의 무게센서(180a, 180b, 180c)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 부하량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파라미터 및 스팀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 부하량에 따라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동작은 앞서 설명한 예시와 동일하다.
한편, 제어부(120)는 무게센서(18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의 거치 여부뿐만 아니라, 거치된 의류의 무게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의류의 전체 부하량 뿐만 아니라, 무게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의 전체 부하량이 2벌인 경우, 전체 의류의 무게가 5kg인 경우와 10kg인 경우에 대해 송풍 파라미터 또는 스팀 파라미터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송풍 장치(130) 또는 스팀 발생 장치(150)에 대한 좀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광센서(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류 재질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판단한 의류 재질과 무게 센서(180)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판단한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파라미터 및 스팀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코스를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의류 관리 코스는 스팀, 클리닝, 건조 등의 다양한 행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관리기(1)는 표준 코스, 살균 코스, 미세먼지 제거 코스 등의 의류 관리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의류 관리 코스는 사용자가 입력부(171)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도 있고, 의류 관리기(1)가 자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의류 관리기(1)가 의류 관리 코스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의류 관리 코스의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의류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 장치(130)와 스팀 발생 장치(150)는 의류 관리 코스를 구성하는 여러 행정 중 송풍과 스팀 발생이 포함되는 행정에서 동작할 수 있다. 스팀 행정에는 스팀 발생이 포함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의류 부하량 및 의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스팀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송풍 파라미터에 따라 스팀 발생 장치(150)를 제어함으로써 스팀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행정과 건조 행정에는 모두 송풍이 포함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의류 부하량 및 의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클리닝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와 건조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송풍 파라미터에 따라 송풍 장치(130)를 제어함으로써 클리닝 행정과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행정을 지칭하는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동작이 포함된 행정은 그 명칭이 다르더라도 본 발명에서의 스팀 행정에 대응될 수 있고, 송풍 장치(130)를 동작시켜 바람을 공급함으로써 먼지 제거와 탈취를 수행하는 동작이 포함된 행정은 그 명칭이 다르더라도 본 발명에서의 클리닝 행정에 대응될 수 있으며, 송풍 장치(130)와 함께 히터(132c)와 열교환기(60)를 동작시켜 의류의 건조와 제습을 수행하는 행정은 그 명칭이 다르더라도 본 발명에서의 건조 행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의류 관리기(1)가 스팀 → 클리닝 → 건조의 세 단계 행정으로 구성되는 표준 코스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표준 코스를 시작하기 전,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송풍 장치(130)를 동작시켜 챔버(12a)에 바람을 공급하고,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한다.
제어부(120)는 의류의 부하량과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스팀 행정에 적용될 스팀 파라미터, 클리닝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 및 건조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도 20의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스팀 행정에서, 제어부(120)는 결정된 스팀 파라미터에 따라 스팀 발생 장치(150)를 제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스팀은 챔버(12a)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의류에 부착된 냄새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클리닝 행정에서, 제어부(120)는 클리닝 행정에 대해 결정된 송풍 파라미터에 따라 하부 송풍 장치(131)와 상부 송풍 장치(132)를 제어하여 챔버(12a) 내부에 바람을 공급할 수 있고, 챔버(12a) 내부에 공급된 바람은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챔버(12a) 내의 공기 중에는 의류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하는 먼지가 포함될 수 있고, 챔버(12a) 내의 공기는 송풍 장치(130)에 의해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제1상부 덕트(13)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상부 덕트(13) 상에 마련된 먼지 필터는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이로써, 챔버(12a) 내의 먼지를 제거하여 의류에서 분리된 먼지가 다시 의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버(12a) 내의 공기 중에는 의류로부터 분리된 냄새 입자가 포함될 수 있고, 제1상부 덕트(13) 상에 마련된 냄새 분해 필터는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 입자를 빛 에너지(UV)로 분해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 관리기(1) 내에 남아있는 냄새 입자까지 제거하여 악취가 다시 의류에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에 대해 결정된 송풍 파라미터에 따라 하부 송풍 장치(131) 및 상부 송풍 장치(13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히터(132c)와 열교환기(60)를 함께 동작시켜 챔버(12a)에 열풍을 공급하고 챔버(12a) 내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공기의 제습 및 의류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건조 행정에서도 의류에 부착된 먼지의 분리, 필터에 의한 먼지의 포집 및 냄새의 제거가 일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의류 관리 코스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의 부하량 및 재질에 기초하여 각각의 행정에 적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에서 수행하는 의류 관리 코스는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한 행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표준 코스의 행정 구성 역시 예시에 불과하고, 의류 관리기(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예시와 다르게 행정의 순서가 바뀌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행정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 행정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은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2는 행정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챔버(12a)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 광센서(110)는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 및 의류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습도 센서(191)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1)가 무게 센서(18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무게 센서(180)는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하는데 사용되고, 광센서(110)는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습도 센서(191)는 도어(20) 내측의 하부, 챔버(12a)의 하면 또는 제2유입구(53)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습도 센서의 위치는 반드시 챔버(12a)의 하면 또는 제2 유입구 근처에 위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습도 센서(191)는 스팀 행정이 종료된 이후부터 감지를 시작하여 건조 행정이 종료될 때까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감지를 지속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의류 관리기(1)의 전원이 온(On)된 이후부터 감지를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스팀 행정이 종료된 이후, 건조 행정이 시작되기 이전에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에 적용되는 풍량 및 송풍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부하량 또는 의류 재질을 판단한 경우, 스팀 행정 및 클리닝 행정에 적용될 스팀 파라미터와 송풍 파라미터는 의류 부하량 또는 의류 재질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건조 행정에 적용될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건조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에도 의류 부하량 또는 의류 재질을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과 함께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건조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는 의류 부하량 또는 의류 재질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후술하는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제어할 때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송풍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결정된 송풍 시간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종료 시점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2)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풍량 및 송풍 시간에 따라 송풍 장치(130)를 제어하여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이 점점 작아지다가 그 변화량이 0이 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 되면 송풍 장치(130)를 오프시켜 건조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0이 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 되면 건조 행정을 예측보다 일찍 종료할 수 있고, 예측된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에 도달한 이후에도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0이 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건조 행정을 연장할 수 있다. 즉, 건조 시간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실제 챔버(12a) 내의 습도 값에 따라 탄력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의류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의류가 덜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은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챔버(12a)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센서(192)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도 있고, 특정 가스의 농도를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센서일 수도 있다.
당해 예시에서, 광센서(110)는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 및 의류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센서(192)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1)가 무게 센서(18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무게 센서(180)는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하는데 사용되고, 광센서(110)는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스 센서(192)는 도어(20) 내측의 하부, 챔버(12a)의 하면 또는 제2유입구(53)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센서의 위치는 반드시 챔버(12a)의 하면 또는 제2 유입구 근처에 위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의류에 베인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는 의류로부터 냄새 입자를 분리하고, 분리된 냄새 입자를 냄새 분해 필터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의류로부터 냄새 입자를 분리하는 것은 스팀 행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분리된 냄새 입자를 분해하는 것은 송풍 장치(130)의 송풍에 의해 제1상부 덕트(13)에 유입된 공기 중의 냄새 입자를 냄새 분해 필터가 분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팀 행정, 클리닝 행정 및 건조 행정으로 이루어지는 표준 코스를 기준으로 했을 때, 냄새 입자의 분해를 통한 탈취는 클리닝 행정 중에 수행되는 송풍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건조 행정 중에 수행되는 송풍에 의해서도 탈취가 일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 행정, 클리닝 행정 및 건조 행정으로 이루어지는 표준 코스는 의류 관리기(1)에서 수행 가능한 의류 관리 코스의 일 예시에 불과하고, 클리닝 행정이나 건조 행정과 별도로 탈취 행정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예시에서는 송풍 장치(130)를 동작시켜 챔버(12a) 내의 공기를 냄새 분해 필터에 유입시키는 행정을 탈취 행정이라 하기로 한다. 코스의 설계에 따라 또는 코스의 행정을 구분하는 방식에 따라, 탈취 행정이 클리닝 행정 또는 건조 행정과 동시에 이루어지거나(실질적으로 탈취 행정과 클리닝 행정 또는 건조 행정이 동일한 경우) 탈취 행정과 클리닝 행정 또는 건조 행정이 별도로 진행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탈취 행정에 적용되는 풍량 및 송풍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의류의 부하량 또는 의류의 재질을 함께 고려할 수도 있고, 의류 관리기(1)에 전술한 습도 센서(191)가 포함되고 탈취 행정과 건조 행정이 동일한 경우라면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도 함께 고려하여 풍량 및 송풍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탈취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는 의류 부하량 또는 의류 재질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후술하는 탈취 행정의 종료 시점을 제어할 때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도 22의 예시와 같이, 예측된 종료 시점을 디스플레이부(172)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탈취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탈취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이 점점 작아지다가 그 변화량이 0이 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 되면 송풍 장치(130)를 오프시켜 탈취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된 종료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0이 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 되면 탈취 행정이 예측보다 일찍 종료될 수 있고, 예측된 종료 시점에 도달한 이후에도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0이 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탈취 행정을 더 진행할 수 있다. 즉, 탈취 시간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실제 챔버(12a) 내의 가스 레벨에 따라 탄력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의류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탈취가 덜 이루어진 상태에서 코스가 종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탈취 행정과 건조 행정이 동일한 경우에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과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모두 0이 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 되는 경우에 탈취 행정을 종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대한 기준값과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대한 기준값은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의류 관리기(1)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23에 관한 설명은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의류 부하량을 판단하는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의류 관리기(1)의 전원이 온(On) 되고(310의 예), 도어(20)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되면(311의 예), 의류의 투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부하량을 판단할 수 있다(313).
광센서(110)는 의류 관리기(1)의 전원이 온(On)된 이후에 감지를 시작하여 의류 부하량이 판단될 때까지 감지를 지속할 수 있다. 광센서(110)의 배치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 4 내지 도 14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다.
또한, 도어(20)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되지 않더라도(311의 아니오),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312의 예),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부하량을 판단할 수 있다(313). 이 경우, 의류 관리기(1)의 전원이 온(On) 되기 전에 의류가 투입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의류 관리기(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의류 부하량 판단 시점은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챔버(12a)에 수용된 의류의 개수에 따라 광센서(110)의 출력 값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의류 부하량을 미리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고,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대응되어 저장된 의류 부하량을 현재 의류 관리기(1)에 수용된 의류 부하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판단된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파라미터 및 스팀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314). 송풍 파라미터는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스팀 파라미터는 스팀량 및 스팀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의류 부하량의 판단 전 또는 의류 부하량의 판단 후에, 의류 관리 코스가 선택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선택된 의류 관리 코스에 기초하여 송풍 파라미터 또는 스팀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의류 관리 코스에 스팀 행정과 송풍 행정이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송풍 파라미터와 스팀 파라미터를 모두 결정할 수 있고, 선택된 의류 관리 코스에 스팀 행정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송풍 파라미터만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송풍 장치(130) 및 스팀 발생 장치(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315).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의류 재질을 판단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송풍 장치(130)를 제어하여 챔버(12a) 내에 바람을 공급한다(320). 선택된 의류 관리 코스의 최초 행정이 송풍 행정인 경우에는, 송풍이 의류 관리 코스의 최초 행정 수행 중에 이루어질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의류 관리 코스의 수행 전에 의류 재질 판단을 위한 별도의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12a) 내에 바람이 공급되면, 옷걸이(30)에 거치된 의류에는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고, 의류의 움직임에 따라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의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321).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클수록 부드럽거나 가벼운 재질의 의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의류의 재질 별로 그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미리 저장하고, 광센서(110)의 출력 값의 변화량을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의류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의류 재질을 판단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16 내지 도 18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한편, 광센서(110)는 의류 관리기(1)의 전원이 온(On)된 이후에 감지를 시작하여 의류 재질이 판단될 때까지 감지를 지속할 수도 있고, 챔버(12a) 내에 송풍이 시작된 이후에 감지를 시작할 수도 있다. 광센서(110)의 배치 및 동작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 4 내지 도 12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다.
의류 재질에 기초하여 송풍 파라미터 및 스팀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322), 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송풍 장치(130) 및 스팀 발생 장치(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323).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20)는 선택된 의류 관리 코스에 기초하여 송풍 파라미터 또는 스팀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의류 관리 코스에 스팀 행정과 송풍 행정이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송풍 파라미터와 스팀 파라미터를 모두 결정할 수 있고, 선택된 의류 관리 코스에 스팀 행정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송풍 파라미터만 결정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 내에 수용된 의류가 복수 개이고, 복수의 의류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경우, 제어부(120)는 복수의 의류 중 가장 민감한 재질의 의류를 기준으로 송풍 파라미터 또는 스팀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앞서 의류 관리기(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의류 부하량의 판단과 의류 재질의 판단을 모두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챔버(12a) 내에 바람을 공급하기 전에 전술한 도 22의 예시에 따라 의류 부하량을 판단하고, 챔버(12a) 내에 바람을 공급한 이후에 전술한 도 23의 예시에 따라 의류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송풍 파라미터 또는 스팀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의류 부하량과 의류 재질을 모두 고려할 수 있다. 의류 부하량과 의류 재질에 기초하여 송풍 파라미터 또는 스팀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동작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도 2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이 의류 부하량의 판단과 의류 재질의 판단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도 4 내지 도 12의 예시에 따른 광센서(110)를 이용하여 의류 부하량과 의류 재질을 모두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술한 도 4 내지 도 12의 예시에 따른 광센서(110)를 이용하여 의류 재질을 판단하고, 전술한 도 20의 예시에 따른 무게 센서(180)를 이용하여 의류 부하량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습도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이 스팀 행정과 건조 행정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코스에 적용되는 경우에, 스팀 행정이 종료된 이후, 건조 행정이 시작되기 이전에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한다(330). 습도 센서(191)는 스팀 행정이 종료된 이후부터 감지를 시작하여 건조 행정이 종료될 때까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감지를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의류 부하량이나 의류 재질을 함께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송풍 시간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종료 시간을 디스플레이부(172)에 표시할 수 있다(331).
제어부(120)는 결정된 송풍 파라미터에 따라 송풍 장치(130)를 제어하여(332)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이 점점 작아지다가 그 변화량이 0이 되면(333의 예), 종료 예측 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건조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334). 이로써, 행정 수행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는, 변화량이 0이 아니더라도 기준값 미만이 되면 송풍 장치(130)를 오프(off)시켜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0이 되지 않으면(333의 아니오), 종료 예측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건조 행정을 지속하여 의류가 덜 건조된 상태로 행정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을 수집하면서, 출력 값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관리기는, 건조 행정이 시작될 때 예측한 종료 시점이 건조 행정이 진행 중에 다시 예측한 종료 시점과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고, 종료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이 스팀 행정과 건조 행정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코스에 적용되는 경우, 스팀 행정이 종료된 이후, 건조 행정이 시작되기 이전에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한다(340). 습도 센서(191)는 스팀 행정이 종료된 이후부터 감지를 시작하여 건조 행정이 종료될 때까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감지를 지속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의류 부하량이나 의류 재질을 함께 고려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송풍 시간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의 제1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제1 종료 시간을 디스플레이부(172)에 표시할 수 있다(341).
제어부(120)는 결정된 송풍 파라미터에 따라 송풍 장치(130)를 제어하여(342)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을 다시 결정할 수 있다(343).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광센서 출력 값을 수집하고, 출력 값의 변화 추이를 관찰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미리 정해진 시간(Δt) 동안 측정된 출력 값의 변화량(ΔQ)를 판단하고, 변화량(ΔQ)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Δt) 이후 변화량(ΔQ)이 0이 될 수 있는 종료 시간(이하 제2 종료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2 종료 시간과 제1 종료 시간의 차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1 종료 시간은 도 22와 같이, 15분으로 예측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20)는 변화량의 추이에 기초하여 제2 종료 시간을 20분으로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2 종료 시간과 제1 종료 시간의 차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344).
만약 제2 종료 시간과 제1 종료 시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이 진행 중에 제2 종료 시간을 표시한다(345). 이를 통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사용자에게 변경된 건조 행정의 종료 예측 시간을 보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킨다.
만약 제2 종료 시간과 제1 종료 시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으면(344의 아니오),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값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이 점점 작아지다가 그 변화량이 0이 되면(346의 예),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347).
또한,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0이 되지 않으면(333의 아니오), 종료 예측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건조 행정을 지속하여 의류가 덜 건조된 상태로 행정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종료 시간을 새로이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기준값은,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스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이 탈취 행정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코스에 적용되는 경우에, 탈취 행정이 시작되기 이전에 제어부(120)는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탈취 행정에 적용될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한다(350). 가스 센서(192)는 탈취 행정이 시작되기 이전부터 감지를 시작하여 탈취 행정이 종료될 때까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감지를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의류 부하량이나 의류 재질을 함께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송풍 시간에 기초하여 탈취 행정의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종료 시간을 디스플레이부(172)에 표시할 수 있다(351).
제어부(120)는 결정된 송풍 파라미터에 따라 송풍 장치(130)를 제어하여(352) 탈취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탈취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탈취 행정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이 점점 작아지다가 그 변화량이 0이 되면(353의 예), 종료 예측 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탈취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354). 이로써, 행정 수행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는, 변화량이 0이 아니더라도 기준값 미만이 되면 송풍 장치(130)를 오프시켜 탈취 행정을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0)는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0이 되지 않으면(353의 아니오), 종료 예측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탈취 행정을 지속하여 탈취가 덜 이루어진 상태로 행정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의류 관리기(1)가 습도 센서(191)와 가스 센서(192)를 모두 포함하고 탈취 행정과 건조 행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과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을 모두 고려하여 송풍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습도 센서(191)의 출력 값의 변화량과 가스 센서(192)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모두 0이 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 되는 경우에 탈취 행정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의류 관리기
110: 광센서
120: 제어부
130: 송풍 장치
150: 스팀 발생 장치
180: 무게 센서
191: 습도 센서
192: 가스 센서

Claims (37)

  1. 의류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장치;
    상기 챔버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하고, 상기 의류의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신된 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개수를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는,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는,
    스팀량 및 스팀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제1옷걸이 및 제2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제1옷걸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1광센서 및 상기 제2옷걸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2광센서;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제1옷걸이 및 제2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1옷걸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수광부 및 상기 제2옷걸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수광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광부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수광부 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옷걸이에 의류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옷걸이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필름이 부착되는 의류 관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중 하나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의류 관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이 공급될 때 측정된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재질에 따라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의류의 재질을 각각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의류의 재질 중 민감도가 가장 높은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의류 관리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에 적용되는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의류 관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풍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의류 관리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풍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건조 행정을 연장하는 의류 관리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 시간에 관한 상기 건조 행정의 제1 종료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의 추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 행정의 제2 종료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종료 시간 및 상기 제2 종료 시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종료 시간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의 내측 또는 상기 챔버의 하부에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냄새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탈취 행정에 적용되는 풍량 및 송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의류 관리기.
  23.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송풍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탈취 행정을 종료하는 의류 관리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풍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탈취 행정을 연장하는 의류 관리기.
  26. 제 16 항에 있어서,
    냄새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제1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제2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의류 관리기.
  27. 의류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장치;
    상기 챔버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고, 상기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이 공급될 때 측정된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29. 27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제1옷걸이 및 제2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1옷걸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수광부 및 상기 제2옷걸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수광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광부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고, 상기 제2수광부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과 상기 제2옷걸이에 거치된 의류의 재질 중 민감도가 가장 높은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의류 관리기.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옷걸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1무게 센서; 및
    상기 제2옷걸이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2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게 센서의 출력 값과 상기 제2무게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33. 광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부하량을 판단하고;
    상기 의류의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및 상기 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고;
    상기 광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에 수용된 의류의 재질(texture)을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의류의 부하량 및 상기 의류의 재질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 내의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습도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송풍 장치를 오프(off)시켜 건조 행정을 종료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37. 제 33 항에 있어서,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 내의 냄새를 감지하고;
    상기 가스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량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송풍 장치를 오프(off)시켜 탈취 행정을 종료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KR1020180152791A 2018-11-30 2018-11-30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2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91A KR102627707B1 (ko) 2018-11-30 2018-11-30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15734 WO2020111616A1 (ko) 2018-11-30 2019-11-18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US17/309,428 US20220034023A1 (en) 2018-11-30 2019-11-18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91A KR102627707B1 (ko) 2018-11-30 2018-11-30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86A true KR20200065886A (ko) 2020-06-09
KR102627707B1 KR102627707B1 (ko) 2024-01-23

Family

ID=7085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791A KR102627707B1 (ko) 2018-11-30 2018-11-30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34023A1 (ko)
KR (1) KR102627707B1 (ko)
WO (1) WO202011161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787A (ko) 2020-10-06 2020-11-25 주식회사 디알텍 의류 관리기의 송풍 유닛 검사 방법
KR102407534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의류 건조 장치
WO2022260451A1 (ko) * 2021-06-10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312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7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3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101972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4101971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3126A1 (en) * 2021-02-26 2022-09-01 Heida L. Thurlow Interactive valet
CN115110291B (zh) * 2021-03-19 2023-11-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物护理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317A (ko) * 2004-05-27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수단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00803A (ko) * 2008-03-21 200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2013240497A (ja) * 2012-05-22 2013-12-05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JP2014217496A (ja) * 2013-05-07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20170137503A (ko) * 2016-06-03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45323A (ko) * 2016-10-25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8102355A (ja) * 2016-12-22 2018-07-05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ランドリ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528B2 (ja) * 1996-03-27 2005-10-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101435809B1 (ko) * 2007-11-16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10100768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포량감지장치
US8387274B2 (en) * 2010-07-16 2013-03-05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airflow in laundry dryer having variable air inlet
US9469934B2 (en) * 2013-02-11 2016-10-18 Mohammed Salah Mohammed Alrefaei Automated clothing steamer
KR102284360B1 (ko) * 2014-10-02 202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26699B1 (ko) * 2015-03-03 2021-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149288A (zh) * 2016-09-08 2016-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洗衣方法和装置
KR102367886B1 (ko) * 2017-04-14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620273B1 (ko) * 2018-02-22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317A (ko) * 2004-05-27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수단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00803A (ko) * 2008-03-21 200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2013240497A (ja) * 2012-05-22 2013-12-05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JP2014217496A (ja) * 2013-05-07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20170137503A (ko) * 2016-06-03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45323A (ko) * 2016-10-25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8102355A (ja) * 2016-12-22 2018-07-05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ランドリ機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787A (ko) 2020-10-06 2020-11-25 주식회사 디알텍 의류 관리기의 송풍 유닛 검사 방법
KR102407534B1 (ko) * 2020-12-07 2022-06-10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의류 건조 장치
WO2022260451A1 (ko) * 2021-06-10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312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7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49313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101972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4101971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707B1 (ko) 2024-01-23
WO2020111616A1 (ko) 2020-06-04
US20220034023A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707B1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913160B2 (en) Controlled moisture removal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12639200B (zh) 衣物护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276815B1 (ko) 페데스탈 건조기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US8187387B2 (en)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cleaning operation thereof
US7992320B2 (en) Clogging detection method for dryer
KR10230675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080313923A1 (en) Clogging degree deciding method for dryer
US20080282568A1 (en) Dryer
US20210017690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08800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KR101414624B1 (ko)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24552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90844B1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20130111164A (ko)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KR100783229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US20240118027A1 (en)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06824A (ko) 의류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5875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5875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90088A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