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699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699B1
KR102326699B1 KR1020150029767A KR20150029767A KR102326699B1 KR 102326699 B1 KR102326699 B1 KR 102326699B1 KR 1020150029767 A KR1020150029767 A KR 1020150029767A KR 20150029767 A KR20150029767 A KR 20150029767A KR 102326699 B1 KR102326699 B1 KR 10232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um
balancer
water supp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966A (ko
Inventor
최가형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699B1/ko
Priority to US15/554,945 priority patent/US10612176B2/en
Priority to PCT/KR2016/002136 priority patent/WO2016140531A1/ko
Publication of KR2016010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16F15/16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having an inertia member, e.g.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물의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도어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내부로 물을 급수하여 상기 드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 및 상기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상기 밸런서는 상기 밸런서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공급되면 사이펀 현상에 의해 상기 밸런서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구비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된 터브(Tub)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세정하는 드럼(Drum)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이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드럼은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위치에 따라 동적균형(dynamic equribrium, dynamic balance)을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될 수 있다.
동적균형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원심력 또는 원심력이 만드는 모멘트가 회전축에 대해서 전부 0이 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강체(rigid body)의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면 동적균형이 유지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동적균형은 의류가 저장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할 경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의류의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드럼이 허용범위 내에서 진동하면서 회전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 Unbalance)는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상태로 이는 의류가 드럼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 발생한다.
언밸런스 상태의 드럼이 회전하면 드럼은 진동하고, 드럼의 진동은 터브나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낳는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드럼의 언밸런스를 해소시키기 위한 밸런싱유닛을 구비한 것이 있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밸런싱유닛들은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내부에 볼(ball)이나 액체가 구비된 볼밸런서나 유체밸런서였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볼밸런서나 유체밸런서는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의류에 의해 드럼의 회전궤적이 요동칠 때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의류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편으로 볼이나 유체가 이동함으로써 언밸런스를 제어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의 언밸런스 제어는 드럼의 진동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정상상태(steady state)에서는 유용한 반면 드럼의 진동이 과도상태(과도진동, transient vibration)에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밸런싱유닛은 언밸런스가 발생된 경우 언밸런스를 즉시 해소(언밸런스를 능동적으로 해소)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본 발명은 의류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은 언밸런스 상태에서 드럼을 일시 정지한 후에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언밸런스를 해소한 후 드럼의 밸런서에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언밸런스를 능동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드럼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드럼을 일시 정지한 후에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언밸런스를 능동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드럼을 일시 정지한 후에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는 밸런서를 드럼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물의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도어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내부로 물을 급수하여 상기 드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 및 상기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밸런서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공급되면 사이펀 현상에 의해 상기 밸런서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구비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밸런서는 상기 드럼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밸런서는 물이 저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분하는 격벽,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부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부면이 폐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면이 폐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내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메인격벽 및 상기 메인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의 쏠림현상을 방지하는 서브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브격벽의 높이는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높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밸런서가 정지한 상태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급수호스, 상기 급수호스에 의해 공급된 물의 양을 제어하는 급수밸브 및 상기 급수호스에 의해 공급된 물이 상기 밸런서 내부로 유동하도록 구비되는 급수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세탁수 급수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내부에 액체 또는 볼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드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액체 밸런서 또는 볼 밸런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의 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하부면과 수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밸런서 내부에 수용된 물을 중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일면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터브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홀더, 상기 터브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홀더, 상기 제1홀더 및 상기 제2홀더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의류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은 언밸런스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하는 것을 멈추지 않고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언밸런스를 해소한 후 드럼의 밸런서에 공급된 물을 배출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밸런서에 공급된 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언밸런스를 능동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드럼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드럼의 회전하는 도중에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언밸런스를 능동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에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는 밸런서를 드럼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센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상부밸런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하부밸런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발생되는 언밸런서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상부밸런서 및 하부밸런서에 급수되는 물의 급수량 및 급수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9 및 도 10은 상부밸런서 및 하부밸런서에 구비되어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0), 터브(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의 회전축은 캐비닛(10)의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세탁물을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캐비닛개구부(12) 및 캐비닛개구부(12)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 또한 상면에 세탁물이 인입 또는 인출되게 하기 위하여 터브개구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 역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캐비닛개구부(12) 및 터브개구부(21)를 통하여 세탁물이 인입 또는 인출되게 하기 위한 드럼개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캐비닛(10)의 상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1)을 열어 순차대로 캐비닛개구부(12), 터브개구부(21) 및 드럼개구부(미도시)를 통하여 세탁물을 드럼(30)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70) 및 터브(20)로부터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70)는 일단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캐비닛(10)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타단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터브(20)로 공급하기 위해 터브(20)의 일측면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급수호스(71) 및 급수호스(71)에서 터브(20)로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급수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60)는 일단이 터브(20)로부터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터브(20)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타단이 터브(20)로부터 배수한 세탁수를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캐비닛(10)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수호스(61) 및 배수호스(61)에서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세탁수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배수밸브(63)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동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40)는 드럼(30)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동력부(4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드럼(30)에 전달하는 샤프트(41), 샤프트(4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자기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45), 스테이터(45)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샤프트(41)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47), 회전하는 샤프트(41)의 중력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베어링하우징(43)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40)는 드럼(30)의 일면에 직접 연결되게 구비되어 드럼(30)을 직접 구동하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ing)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41)는 캐비닛(10)의 하부면과 수직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동력부(40)는 의류처리장치의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BLDC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의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드럼(30)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드럼(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터브(20)로 전달될 수 있으며, 터브(20)로 전달된 진동은 다시 캐비닛(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터브(20)가 진동하면 좌우 또는 상하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캐비닛(10)과 간섭이 일어나 소음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0)의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50)는 캐비닛(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홀더(51), 터브(2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홀더(53), 제1홀더(51)와 제2홀더(53)를 연결하는 연결부(55) 및 연결부(55)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2홀더(53)와 연결부(5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5)는 연결부(55)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1홀더(51)에서 연결부(55)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고정부(551) 및 연결부(55)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홀더(53)에서 연결부(55)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부(55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0)의 회전 중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언밸런스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위하여 드럼(3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밸런서(31,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의 상부에는 상부밸런서(31), 드럼의 하부에는 하부밸런서(32)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볼밸런서 또는 유체밸런서는 드럼(30)내부에 저장된 의류가 요동치는 경우 그와 반대방향으로 수동적으로(passive) 볼 또는 유체가 이동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원리이다.
하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밸런서(31,32)는 정상상태(steady state) 뿐만 아니라 과도상태(transient state)에서 언밸런스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밸런서(31,32)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드럼(30) 또는 터브(20)의 진동상태를 감지하여 언밸런스를 발생시키는 위치를 파악한 후, 반대방향에 물을 급수하여 능동적으로(active)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능동 밸런서(31,32)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드럼(30)의 상부 및 하부에 능동 밸런서(31,32)를 제공하는 것은 재료비 및 생산의 효율성 측면에서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드럼(30)의 상부 또는 하부중 적어도 하나는 능동 밸런서(31,32)를 구비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기존의 볼밸런서 또는 유체밸런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럼(30)의 상부 및 하부 모두 전술한 능동 밸런서(31,32)를 구비하는 것이 언밸런스를 해소하는데 효율적이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모두 능동 밸런서(31,32)를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이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터브(20) 또는 드럼(30)의 진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센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80)는 터브(20)의 상면에 구비되어 터브(20)의 상면의 상하 진동을 감지하는 탑센서(81), 터브(20)의 상부 측면에 구비되어 터브(20)의 상부 측면의 좌우 진동을 감지하는 상부센서(83), 터브(20)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어 터브(20)의 하부 측면의 좌우 진동을 감지하는 하부센서(8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센서부(80)에 사용되는 센서는 광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탑센서(81), 상부센서(83) 및 하부센서(85)는 각각 터브(20)의 상면과 캐비닛(10)의 상면의 상하거리, 터브(20)의 상부 측면과 캐비닛(10)의 상부 측면과의 좌우거리, 터브(20)의 하부 측면과 캐비닛(10)의 하부 측면과의 좌우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삼각파(sinusoidal)형태의 프로파일(profile)을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80)의 각 센서에서 감지되는 프로파일(profile)을 모델링 하여 드럼(30)의 어느 부분에 언밸런스가 발생시키는 세탁물이 모여 있는지 판단을 하여 이를 상쇄 시키는 상부밸런서(31) 및 하부밸런서(32)의 위치에 물을 분사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센서부(8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터브(20)의 상부면으로부터 캐비닛(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Yc)를 측정하는 탑센서(8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0)의 상부 측면에 구비되어 터브(20)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캐비닛(10)의 상부 측면까지의 거리(Yt)를 측정하는 상부센서(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를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0)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어 터브(20)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캐비닛(10)의 하부 측면까지의 거리(Yb)를 측정하는 하부센서(85)를 포함할 수 있다.
탑센서(81), 상부센서(83) 및 하부센서(85)는 광센서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탑센서(81)는 터브(20)의 상하 진동을 감지하며, 상부센서(83) 및 하부센서(85)는 터브(20)의 좌우 진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상부센서(83) 및 하부센서(85)는 터브(20)의 좌우 진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둘 중 하나만 구비되어도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데에 큰 지장이 없다.
다만, 드럼(30)의 내부에 세탁물이 대각으로 위치하여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경우, 예를 들어 드럼(30)의 우측상부에 세탁물이 위치하는 동시에 드럼(30)의 좌측하부에 세탁물이 위치하는 경우에도 언밸런스가 발생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소음 등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여 보다 정밀한 제어를 통해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터브(20)의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에 각각 상부센서(83) 및 하부센서(8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상부밸런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의 상부면에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중공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부밸런서(31)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에 의류가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상부밸런서(31)는 중앙에 개구부가 마련된 중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밸런서(31)는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하우징(311), 상부하우징(3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밸런서(3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격벽부(313), 상부하우징(311)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도록 구비되는 제1급수부(315) 및 언밸런스를 해소한 이후 상부하우징(31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311)은 상부밸런서(31)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1상부하우징(3111) 및 상부밸런서(3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2상부하우징(3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상부하우징(3111)의 단면은 상부밸런서(31)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상부하우징(3113)의 단면은 상부밸런서(31)의 하부면, 외주면 및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상부하우징(3113)의 상부면은 제1상부하우징(3111)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부밸런서(31)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를 마련하기 위함이며, 환언하면 제1상부하우징(3111)과 제2상부하우징(3113)의 상부면은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상부하우징(3111)과 제2상부하우징(3113)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밸런서(31)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되게 구비되기만 하면 족하다.
제1급수부(315)의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물을 상부하우징(311)의 내부로 급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 족하다.
제1배수부(317)는 제1상부하우징(3111)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격벽부(313)는 상부하우징(311)의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부하우징(311)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제1격벽부(313)가 상부하우징(311)의 내부가 8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제1격벽부(313)가 상부하우징(311)을 구획하는 공간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언밸런스를 해소하기만 하면 족하며 필요에 따라 제1격벽부(313)의 개수는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드럼(30)에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드럼(30)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세탁물의 반대방향에 물을 급수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방식이다.
언밸런스를 해소한 이후 상부하우징(311)의 내부에 급수된 물이 배수되지 않는다면 이로 인하여 제2의 언밸런스가 발생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소음 등을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드럼(30)이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언밸런스를 해소한 후 드럼(30)이 회전하는 상태 또는 다시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하우징(311)내부에 수용된 물이 배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언밸런스를 해소한 이후 지속적으로 물을 상부하우징(311)내부로 공급하여 소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급수되면 한번에 상부하우징(311)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사이펀(siphon) 현상을 유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배수부(317)은 외벽을 형성하는 제1외벽부(3171), 제1외벽부(3171)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벽을 형성하는 제1내벽부(31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311)내부에 물이 급수되어 소정높이(hp)에 도달한다면, 사이펀(siphon) 현상에 의해 상부하우징(311)내부에 수용된 물이 한번에 배수되는 효과가 있다.
도 4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구비된 하부밸런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의 상부면에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중공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부밸런서(3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부(40)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상부에서 투입하는 탑로딩(Top loading)타입의 의류처리장치이기 때문에 드럼(30)은 드럼개구부(미도시)의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 드럼(30)의 하부면에 동력부(40)가 구비되어야 하고, 동력부(40)와 하부밸런서(32)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밸런서(32)는 중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부밸런서(32)는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하우징(321), 하부하우징(3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밸런서(32)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격벽부(323), 하부하우징(321)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도록 구비되는 제2급수부(325) 및 언밸런스를 해소한 이후 하부하우징(32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321)은 하부밸런서(32)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1하부하우징(3211) 및 하부밸런서(32)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2하부하우징(32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하부하우징(3211)의 단면은 하부밸런서(32)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하부하우징(3213)의 단면은 하부밸런서(32)의 하부면, 외주면 및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상부하우징(3113)의 상부면은 제1상부하우징(3111)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하부밸런서(32)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를 마련하기 위함이며, 환언하면 제1하부하우징(3211)과 제2하부하우징(3213)의 상부면은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하부하우징(3211)과 제2하부하우징(3213)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밸런서(32)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되게 구비되기만 하면 족하다.
제2급수부(325)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드럼(30)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드럼(30)의 회전을 정지시키지 않고 물을 하부하우징(321)의 내부로 급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 족하다.
제2배수부(317)는 제1하부하우징(3211)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드럼(30)에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드럼(30)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세탁물의 반대방향에 물을 급수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방식이다.
언밸런스를 해소한 이후 하부하우징(321)의 내부에 급수된 물이 배수되지 않는다면 이로 인하여 제2의 언밸런스가 발생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소음 등을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드럼(30)이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언밸런스를 해소한 후 드럼(30)이 회전하는 상태 또는 다시 정지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321)내부에 수용된 물이 배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언밸런스를 해소한 이후 지속적으로 물을 하부하우징(321)내부로 공급하여 소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급수되면 한번에 하부하우징(321)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사이펀(siphon) 현상을 유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배수부(327)은 외벽을 형성하는 제2외벽부(3271), 제2외벽부(3271)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벽을 형성하는 제2내벽부(32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21)내부에 물이 급수되어 소정높이에 도달한다면, 사이펀(siphon) 현상에 의해 하부하우징(321)내부에 수용된 물이 한번에 배수되는 효과가 있다.
환언하자면, 제2배수부(327)는 하부하우징(321)내부에 수용된 물을 중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격벽부(323)는 하부하우징(321)의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어 하부하우징(321)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격벽부(323)는 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하우징(321)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a)에서는 제2격벽부(323)가 하부하우징(321)의 내부가 8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제2격벽부(323)가 하부하우징(321)을 구획하는 공간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언밸런스를 해소하기만 하면 족하며 필요에 따라 제2격벽부(323)의 개수는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하부밸런서(32)에 구비된 제2격벽부(323)를 설명한다. 도 6에는 하부밸런서(32)의 제2격벽부(323)의 구조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상부밸런서(3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격벽부(323)은 하부하우징(321)의 내부를 복수개로 구획하는 제2메인격벽(3231) 및 구획된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2서브격벽(3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격벽부(323)가 제2메인격벽(3231)만을 구비한 경우에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발생되는 언밸런스를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드럼(30)이 회전하기 때문에 하부하우징(321)내부에 수용된 물은 자체의 관성력(inertia)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하여 언밸런스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밸런서(31) 및 하부밸런서(32)는 제2메인격벽(3231)의 사이에 높이를 달리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2서브격벽(323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서브격벽(3233)은 드럼(30)의 회전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부하우징(311) 또는 하부하우징(32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관성력(inertia)에 의한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언밸런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도 6에서는 제2메인격벽(3231)이 하나 구비되고, 제2서브격벽(3233)이 네 개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네 개의 제2서브격벽(3233)은 순차적으로 높이가 B5, B4, B3, B2로 높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메인격벽(3231)은 가장 높은 B1의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제2서브격벽(3233)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메인격벽(3231)은 하부하우징(321)을 구획하도록 구비되어야 하지만, 제2서브격벽(32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2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하부하우징(321)을 구획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즉, 하부하우징(32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은 복수개의 제2서브격벽(3233)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서브격벽(3233)의 하부면의 길이는 제2메인격벽(3231)의 하부면의 길이보다 A만큼 짧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메인격벽(3231)과 제2서브격벽(3233)의 하부면의 길이 차이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발생되는 언밸런서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발생되는 언밸런서에 대응하여 언밸런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상부밸런서(31) 또는 하부밸런서(32)에 급수되는 물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방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언밸런스는 드럼(30)이 회전하는 동안 드럼(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를 뜻하는데, 이는 드럼(30)의 내부의 세탁물이 편중된 상태로 드럼(30)이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편중된 위치를 파악하여 드럼(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대방향에 물을 분사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하는데, 세탁물이 자체의 질량을 가지고 있고, 드럼(30)과 함께 회전운동을 하기 때문에 1차 제어를 하는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inertia)에 의한 관성오차(ε1)가 발생한다.
따라서 1차 제어에 따른 관성오차(ε1)를 극복하기 위하여, 2차 제어에서는 1차 제어에 따른 관성오차(ε1)를 보상하기 위하여 1차 제어값을 반영하여 다시 제어를 한다.
도 7(b)와 같이 1차 제어에서 발생한 관성오차(ε1)를 반영하여 다시 2차 제어를 하여도 역기전력오차(ε2)가 발생한다.
역기전력이라 함은, 전동기의 전기자 코일 또는 변압기의 1차코일 속에 전원의 기전력과 반대 방향으로 생긴 기전력을 의미한다.
즉, 2차제어에서 관성오차(ε1)를 보상하기 위하여 반대방향으로 제어를 하였으나 역기전력에 의한 역기전력오차(ε2)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보다 정밀한 제어를 위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3차 제어는 2차 제어에서 발생한 역기전력오차(ε2)를 반영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를 포함하면, 잔여오차(ε3)가 발생 할 수 있는데, 이 잔여오차(ε3)가 기 설정된 허용오차(mε)의 범위 안에 포함되면 언밸런스를 효율적으로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상부밸런서 및 하부밸런서에 급수되는 물의 급수량 및 급수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부센서(83) 및 하부센서(85)에서 각각 상부거리(YT) 및 하부거리(YB)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S10), 거리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상부거리(YT)와 하부거리(YB)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측정비교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비교단계(S20)에서 상부거리(YT)와 하부거리(YB)의 프로파일(profile)이 동일하다면 드럼(30)내부의 세탁물은 드럼(30)의 상부에만 혹은 드럼(30)의 하부에만 편중되어 있는 상태이며 드럼(30)의 전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각으로 편중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부밸런서(31) 또는 하부밸런서(32) 둘 중 하나에만 물을 공급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밸런서(32)에만 급수하는 제어방법만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상부밸런서(31)에만 급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비교단계(S20)에서 상부거리(YT)와 하부거리(YB)의 프로파일(profile)이 동일하다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부거리(YB)의 프로파일(profile)에서 하부거리(YB)의 진폭을 측정하는 하부진폭측정단계(S30), 하부거리(YB)의 위상을 측정하는 하부위상측정단계(S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진폭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하부거리(YB)의 진폭으로 하부밸런서(32)의 급수량을 결정하는 하부급수량결정단계(S31) 및 하부거리(YB)의 위상으로 하부밸런서의 급수위치를 결정하는 제1하부급수위치결정단계(S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부급수량결정단계(S31) 및 제1하부급수위치결정단계(S41)에서 결정된 급수량 및 급수위치를 기반으로 하부밸런서(32)에 물을 급수하는 제1하부밸런서급수단계(S50)로 언밸런스를 해소할 수 있다.
만약, 측정비교단계(S20)에서 상부거리(YT)와 하부거리(YB)의 프로파일(profile)이 동일하지 않다면, 드럼(30)의 전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각으로 편중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밸런서(31) 및 하부밸런서(32) 둘 모두에 물을 공급하여야 언밸런스를 해소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하부밸런서급수단계(S50)에서와 달리 상부밸런서(31) 및 하부밸런서(32) 모두 물을 급수하여야 하며, 상부밸런서(31)와 하부밸런서(32)는 모두 드럼(30)의 상부 및 하부에 드럼(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이 둘의 시스템은 커플(couple)되어 있어 단순히 상부거리(YT) 및 하부거리(YB)의 프로파일(profile)의 진폭 및 위상에 따라 물을 급수하여 언밸런스를 해소할 수 없다.
환언하자면, 상부밸런서(31)의 제어에 사용된 상부거리(YT)의 프로파일(profile)의 위상이 하부밸런서(32)의 제어에 다시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측정비교단계(S20)에서 상부거리(YT)와 하부거리(YB)의 프로파일(profile)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부거리(YT)의 진폭을 측정하는 상부진폭측정단계(S60), 측정된 상부진폭으로 상부밸런서(31)의 급수량을 결정하는 상부급수량결정단계(S61), 상부거리(YT)의 위상을 측정하는 상부위상측정단계(S70), 측정된 상부위상으로 상부밸런서(31)의 급수위치를 결정하는 상부급수위치결정단계(S71), 상부급수량결정단계(S61) 및 상부급수위치결정단계(S71)에서 결정된 급수량 및 급수위치에 물을 급수하는 상부밸런서 급수단계(S80)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진폭을 측정하는 하부진폭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하부진폭으로 하부밸런서의 급수량을 결정하는 하부밸런서 급수량결정단계(S31), 하부위상을 측정하는 하부위상측정단계(S40)에서 측정된 하부위상과 상부위상을 측정하는 상부위상측정단계(S70)에서 측정된 상부위상의 위상차를 연산하는 위상차연산단계(S90), 위상차연산단계(S90)에서 연산된 상부위상과 하부위상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하부밸런서의 급수위치를 결정하는 제2하부급수위치결정단계(S91) 및 전술한 하부급수량결정단계(S31) 및 제2하부급수위치결정단계(S91)에서 결정된 급수량 및 급수위치에 물을 급수하는 제2하부밸런서급수단계(S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상부밸런서 및 하부밸런서에 구비되어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밸런서(31)에 물을 급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1급수부(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급수부(315)는 드럼(3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밸런서(31)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수단인 제1급수호스(3153), 제1급수호스(3153)에서 급수된 물을 상부하우징(311)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제1급수가이더(3151) 및 제1급수호스(3153)에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1급수밸브(3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급수부(315)에서 급수된 물은 상부하우징(311)내부로 이동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제1상부하우징(3111)과 제2상부하우징(3113)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형성하는 유로를 통하여 상부하우징(311)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1급수부(315)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7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급수부(70)에서 분지된 분지관(미도시)에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하부밸런서(32)에 물을 급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2급수부(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급수부(325)는 드럼(30)이 정지된 상태에서 하부밸런서(32)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수단인 제2급수호스(3253), 제2급수호스(3253)에서 급수된 물을 하부하우징(321)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제2급수가이더(3251) 및 제2급수호스(3253)에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2급수밸브(3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급수부(325)에서 급수된 물은 하부하우징(321)내부로 이동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제1하부하우징(3211)과 제2하부하우징(3213)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형성하는 유로를 통하여 하부하우징(321)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캐비닛 10 도어 11 터브 20
드럼 30 상부밸런서 31 하부밸런서 32
동력부 40 진동부 50 배수부 60
급수부 70 센서부 80 상부하우징 311
제1격벽부 313 제1급수부 315 제1배수부 317
하부하우징 321 제2격벽부 323 제2급수부 325
제2배수부 327

Claims (15)

  1. 세탁물의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한 도어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내부로 물을 급수하여 상기 드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 및
    상기 밸런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밸런서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공급되면 사이펀 현상에 의해 상기 각 공간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구비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는,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급수호스;
    상기 급수호스에 의해 공급된 물의 양을 제어하는 급수밸브; 및
    상기 급수호스에 의해 공급된 물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밸런서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급수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서 발생된 언밸런스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상기 드럼이 정지된 후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물을 공급함으로써 언밸런스를 해소하고,
    상기 언밸런스의 해소 이후에 상기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을 추가 급수하여 사이펀 형상에 의해 상기 배수부를 통하여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는 상기 드럼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부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부면이 폐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면이 폐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내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메인격벽; 및
    상기 메인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의 쏠림현상을 방지하는 서브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격벽의 높이는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높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호스는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세탁수 급수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내부에 액체 또는 볼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드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액체 밸런서 또는 볼 밸런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은 상기 캐비닛의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하부면과 수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밸런서 내부에 수용된 물을 중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및
    상기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일면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홀더;
    상기 터브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홀더;
    상기 제1홀더 및 상기 제2홀더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029767A 2015-03-03 2015-03-03 의류처리장치 KR10232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767A KR102326699B1 (ko) 2015-03-03 2015-03-03 의류처리장치
US15/554,945 US10612176B2 (en) 2015-03-03 2016-03-03 Clothing treatment device
PCT/KR2016/002136 WO2016140531A1 (ko) 2015-03-03 2016-03-0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767A KR102326699B1 (ko) 2015-03-03 2015-03-0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66A KR20160106966A (ko) 2016-09-13
KR102326699B1 true KR102326699B1 (ko) 2021-11-16

Family

ID=5684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767A KR102326699B1 (ko) 2015-03-03 2015-03-0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12176B2 (ko)
KR (1) KR102326699B1 (ko)
WO (1) WO2016140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619674U (zh) * 2016-12-01 2018-07-1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内桶底平衡环结构
CN107488983B (zh) * 2017-09-27 2022-04-26 天津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自调节式平衡环及洗衣机
KR102627707B1 (ko) * 2018-11-30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826895B (zh) * 2019-04-19 2021-11-23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转动平衡装置及衣物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57030Y (zh) * 1998-12-04 2000-01-05 魏明哲 离心力自动平衡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285B1 (ko) * 1998-04-15 2001-08-07 구자홍 세탁기의밸런서
KR20010010616A (ko) * 1999-07-21 2001-02-15 전주범 샤워급수와 밸런싱 기능을 갖는 세탁기 급수장치
KR20050050262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밸런싱 장치
KR20130080222A (ko) * 2012-01-04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9695538B2 (en) * 2012-03-12 2017-07-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Balance ring and fastener guide for a washing machine
US9150994B2 (en) * 2012-05-22 2015-10-06 General Electric Company Balance ring with features to control fluid distribution
AU2013272445B2 (en) * 2012-06-05 2016-03-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57030Y (zh) * 1998-12-04 2000-01-05 魏明哲 离心力自动平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66A (ko) 2016-09-13
US10612176B2 (en) 2020-04-07
US20180087207A1 (en) 2018-03-29
WO2016140531A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805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32845B1 (ko) 의류처리장치
US9624616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326699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0207316A (ja) 洗濯機
KR102306752B1 (ko) 의류처리장치
US10920355B2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230562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117997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4892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4827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49912A (ko)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10003493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