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164A -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164A
KR20130111164A KR1020120107504A KR20120107504A KR20130111164A KR 20130111164 A KR20130111164 A KR 20130111164A KR 1020120107504 A KR1020120107504 A KR 1020120107504A KR 20120107504 A KR20120107504 A KR 20120107504A KR 20130111164 A KR20130111164 A KR 20130111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exhaust duct
drying
dryer
clo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455B1 (ko
Inventor
박희범
유상오
이형우
강근
장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851,319 priority Critical patent/US9435587B2/en
Priority to CN201310111484.2A priority patent/CN103361950B/zh
Publication of KR2013011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건조기의 배기 막힘 정도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건조기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표시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 초기에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빠르게 검출하기 때문에 건조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높은 정확도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 구별이 가능하다. 또한, 건조기의 초기 설치 과정이나 대상물이 없는 조건에서도 건조기의 막힘 정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진단 알고리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건조기 설치 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진단하거나 사용자가 자가 진단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CLOTHING DRYER AND BLOCKAGE DET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 등의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기의 배기 막힘 정도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건조할 의류(이하, 대상물이라 한다)가 수용된 건조통(드럼)을 회전시키는 가운데 열풍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열풍)를 건조통 내부로 공급하여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건조기는 건조통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기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식 건조기와, 건조통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한 후 다시 건조통 내부로 순환시키는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열풍)를 배기덕트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린트(미세한 보푸라기)가 공기에 포함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린트가 배기덕트에 쌓이지 않도록 린트를 거를 수 있는 필터부재를 설치하여 린트가 배기덕트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기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배기덕트에 린트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건조 성능이 저하되며, 송풍팬의 소비 전력 증가나 소음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건조기를 설치할 때 그 설치 환경이 건조기 동작에 적합한가를 정확하게 인지할 필요가 있다. 이는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기의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외부 배기덕트가 막힌 경우, 건조기 본체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어도 외부 배기덕트의 막힘으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기는 대상물이 있는 건조 과정 중에 막힘 정도를 검출하며, 대상물이 없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거나 오차가 큰 단점이 있어 대상물이 없는 초기 건조기의 설치 시에 설치 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진단할 수 없다.
건조기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건조기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건조통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 히터의 온도에 따라 동작하여 히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서모스탯; 서모스탯이 적어도 2회 이상 동작하면, 서모스탯의 각 동작 시점에서의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온도센서는 건조통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이다.
서미스터는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유입시키는 열풍덕트에 설치된다.
제어부는 서미스터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시점으로 정한다.
동작 시점은 서모스탯의 동작에 따라 히터가 오프되는 제1동작 시점과, 서모스탯의 동작에 따라 히터가 오프된 후 온 되는 제2동작 시점을 포함한다.
제1동작 시점은 서미스터에 의해 검출된 건조통의 입구 온도(TB1)가 최고 값(TBmax)을 가지는 시점이고, 제2동작 시점은 서미스터에 의해 검출된 건조통의 입구 온도(TB2)가 최소 값(TBmin)을 가지는 시점이다.
또한, 제어부는 제1동작 시점의 최고 온도(TB1)와 제2동작 시점의 최저 온도(TB2)의 온도차(△T)를 계산하고, 제1동작 시점의 시간(t1)과 제2동작 시점의 시간(t2)의 시간차(△t)를 계산하며, 계산된 온도차(△T)와 시간차(△t)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온도차(△T)와 시간차(△t)를 가지고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는 테이블을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는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검출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단계별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는 LCD의 경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에 따라 텍스트로 경고 문구를 다르게 표시해 준다.
디스플레이부는 경고 문구에 강조 표현(색깔, 굵기, 기울기)을 하거나 경고 문구를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해 준다.
디스플레이부는 LED의 경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에 따라 막힘 아이콘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표시해 준다.
디스플레이부는 막힘 아이콘을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해 준다.
서모스탯은 히터의 측면 또는 근방에 설치되어 히터의 온도에 따라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안전장치이다.
배기덕트는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전방 배기덕트 및 후방 배기덕트와, 후방 배기덕트에 연결되어 배출된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외부 배기덕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과,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와,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구비한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에 있어서, 히터의 온도에 따라 서모스탯이 동작하였는가 판단하고; 서모스탯이 동작하면, 서모스탯의 동작 시점에서 건조통의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고; 서모스탯이 적어도 2회 이상 동작하였는가 판단하고; 서모스탯이 적어도 2회 이상 동작하면, 서모스탯의 각 동작 시점에서 측정된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온도차와 시간차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은, 건조통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온도센서는 건조통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이다.
건조통의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서미스터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건조통의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은, 제1동작 시점의 최고 온도(TB1)와 제2동작 시점의 최저 온도(TB2)의 온도차(△T)를 계산하고; 제1동작 시점의 시간(t1)과 제2동작 시점의 시간(t2)의 시간차(△t)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것은, 계산된 온도차(△T)와 시간차(△t)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은, 검출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단계별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건조기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건조통의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 건조통 내에 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 배기덕트의 막힘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부; 진단 모드를 선택한 경우, 히터를 동작시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건조통의 출구 온도를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검출된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온도센서는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어용 서미스터이다.
서미스터는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에 설치된다.
제어부는 건조통의 온도 변화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온도 변화량을 기준 변화량과 비교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한다.
또한, 제어부는 건조기의 설치 시에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가 건조기의 막힘을 자가 진단하고자 할 때,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건조기는,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가 단계별로 판별되는 시점에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건조기는,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과,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와,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구비한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에 있어서, 건조통 내에 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 히터의 동작에 따라 건조통 내에 열풍을 공급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건조통의 출구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하고; 단계별로 판별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알려 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과,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와,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구비한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에 있어서, 건조기의 설치 시, 히터를 동작시켜 건조통 내에 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온도 변화량을 검출하고; 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온도 변화량을 정해진 기준 변화량과 비교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하고;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할 때마다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것이다.
제안된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에 의하면, 건조 동작 중에 건조기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표시하여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적절한 시기에 배기덕트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건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뿐 아니라, 송풍팬의 소비 전력 증가나 소음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 동작 초기에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빠르게 검출하기 때문에 건조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높은 정확도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 구별이 가능하다.
또한, 건조기의 초기 설치 과정이나 대상물이 없는 조건에서도 건조기의 막힘 정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진단 알고리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건조기 설치 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진단하거나 사용자가 자가 진단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의 막힘 진단 과정 중에 막힘 정도를 사용자가 직접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건조통 입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건조통 입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동작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을 진단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동작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을 진단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의류 등의 대상물이 건조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건조통(20)과, 건조통(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와, 건조통(20)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덕트(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상부를 덮는 탑커버(12)와, 캐비닛(1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3)과, 건조기(1)의 제어를 위한 각종 버튼과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컨트롤패널(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조통(2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대상물을 상승시켜 낙하시키도록 내면에 산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리프터(21)를 구비한다. 또, 본체(10)의 내측에는 건조통(20)의 전면 및 후면 개방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 및 후면 개방부를 덮도록 본체(10)의 전면부 내측과 후면부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전방 지지판(22)과 후방 지지판(24)이 설치된다.
본체(10)의 전면과 전방 지지판(22)에는 건조통(20)의 내부로 대상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투입구(19a)가 형성되고, 본체(10)의 전면에는 이러한 투입구(19a)를 개폐하는 도어(19)가 설치된다.
구동장치(30)는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의 동력을 건조통(20)에 전달하는 풀리(32)와 회전벨트(33)를 포함한다. 회전벨트(33)는 건조통(20)의 외면과 구동모터(31)의 축에 결합된 풀리(32)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열풍덕트(70)는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80)와, 가열부(80)와 건조통(20)을 연결시키는 열풍 공급부(40)를 포함한다.
열풍 공급부(40)는 후방 지지판(24)의 상부에 형성된 건조통 흡기구(24a)와 가열부(80)를 연결하여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흡입되어 가열된 공기를 건조통(2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열부(80)는 건조통(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고,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부(80)는 내부에 열을 발산시키는 히터(81)와, 히터(81)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서모스탯(82)을 포함한다.
히터(81)는 코일 히터가 주로 사용되며, 하나 이상의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히터는 전력 용량이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 전력 용량(100%)이 5.3kW인 경우, 하나의 히터는 전력 용량이 약 3.7kW(70%) 정도의 큰 용량을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히터는 전력 용량이 약 1.6kW(30%) 정도의 작은 용량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히터 용량은 70%:30%의 비율로 반드시 분할되는 것은 아니며, 최적의 분할 조건을 찾아 다양한 용량의 비율로 분할 가능함은 물론이다.
서모스탯(82)은 히터(81)의 측면 또는 근방에 설치되어 히터(81)의 온도에 기계적으로 동작하여 온/오프되는 안전장치이다. 서모스탯(82)은 히터(81)의 온도가 소정의 과열온도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히터(81)의 온도가 과열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오프 상태로 변하여 히터(81)에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건조통(20)의 전방 하부에는 배기덕트(50)가 연결되는데, 배기덕트(50)는 건조통(2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덕트(50)는 전방 지지판(22) 하부의 배기구(22b)와 건조통(20)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장치(60)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배기덕트(51)와, 송풍장치(60)의 출구와 캐비닛(11)의 후면부 외측이 연통하도록 캐비닛(11)의 하측에 설치된 후방 배기덕트(53)를 포함한다.
전방 배기덕트(51)에는 건조통(2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부재(55)가 설치된다.
전방 배기덕트(51)와 그 입구가 연결되는 송풍장치(60)는 공기의 순환을 위해 건조통(20)의 하부 전방에 설치된 송풍팬(61)과, 송풍팬(61)의 주위를 감싸며 전방 배기덕트(51) 및 후방 배기덕트(53)와 각각 연결되는 송풍케이스(63)를 포함한다.
또한, 배기구(22b)가 형성된 건조통(20)의 전면 하단에는 건조통(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대상물과 접촉하여 대상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 신호의 센싱 값을 측정하여 대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건조도 센서(90)가 설치된다. 건조도 센서(90)로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태의 터치 센서를 사용한다.
또한, 흡기구(24a)가 형성된 건조통(20)의 후면 상단측, 열풍 공급부(40)의 상부에는 건조통(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즉, 건조통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센서(95)가 설치된다.
또한, 전방 배기덕트(51)의 일측에는 건조통(20)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 즉, 건조통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센서(97)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는 건조통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센서(95)와 건조통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센서(97)를 모두 설치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온도센서(95)와 제2온도센서(97) 중 하나를 설치하고, 건조통 입구 온도 또는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건조기의 막힘 정도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1)는 건조통(20)을 통과한 공기를 건조기(1)의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외부 배기덕트를 더 포함한다.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외부 배기덕트(57)는 본체(10)의 외부에 형성되며, 후방 배기덕트(53)에 연결된다. 외부 배기덕트(57)는 건조통(20)을 통과한 공기를 실외(외부 공간)로 안내하기 위해 건물 내벽(100)에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건조 동작 시, 건조통(20)을 통과한 공기(열풍)는 전방 배기덕트(51)와 후방 배기덕트(53)를 따라 안내되어 외부 배기덕트(5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린트가 열풍에 포함되어 외부 배기덕트(57)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린트가 외부로 배출되어 배기덕트(51, 53, 57)에 쌓이지 않도록 필터부재(55)에서 린트를 거르고 있으나, 건조기(1)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린트가 필터부재(55)에서 걸러지지 않고 배기덕트(51, 53, 57)에 쌓이게 된다.
배기덕트(51, 53, 57)에 린트가 쌓여 막히게 되면, 건조기(1)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건조 성능이 저하되고, 송풍팬(61)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며 소음도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기덕트(51, 53, 57)에 린트가 쌓여 막히게 되면,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여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건조기(1)의 초기 설치 과정이나 건조기(1)에 대상물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기(1)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여 설치 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진단하거나 사용자가 자가 진단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에서, 건조기(1)는 입력부(110), 제어부(112), 메모리(114), 구동부(116), 디스플레이부(118) 및 경보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건조 코스(예를 들어, Normal, Towels, Perm, Delicates 등)와 건조 시간, 동작명령 등의 운전정보를 제어부(112)에 입력하는 것으로, 컨트롤패널(14)에 배치된 각종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종 버튼 중에는 대상물을 넣지 않은 상태 즉, 건조기(1)의 초기 설치 시나 자가 진단(막힘 진단) 시에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판별하기 위한 진단 코스 버튼을 포함한다. 진단 코스 버튼은 린트 제거 버튼과 온도 제어 버튼을 동시에 일정시간(약, 5초) 이상 눌러 구현할 수 있는 막힘 진단을 위한 모드 진입 버튼이다.
또한, 입력부(110)에는 상기의 버튼 외에도 조그 다이얼 등을 구비하여 건조 상태(예를 들어, 반 건조, 완전 건조 등)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건조 코스의 운전율과 건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변경 버튼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10)는 키, 스위치,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름, 접촉, 압력, 회전 등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112)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건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서모스탯(82)의 동작 시점(온/오프 시점)에서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여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12)는 대상물을 넣은 건조 동작 중에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을 이용하여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판별한다. 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건조기(1)의 초기 설치 과정이나 대상물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도 건조기(1)의 막힘 정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건조기(1)의 설치 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진단하거나 사용자가 자가 진단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건조통 출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여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판별한다. 즉, 제어부(112)는 대상물을 넣지 않은 초기 설치 시나 자가 진단(막힘 진단) 시에 건조통 출구 온도와 시간을 이용하여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판별한다. 이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판별된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판별된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각 단계가 판별되는 시점에서 부저나 소리를 통해 경보해 준다.
메모리(114)는 건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건조기(1)의 동작 제어 중 사용되는 기준데이터, 건조기(1)가 건조 행정을 진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동작데이터, 건조기(1)가 건조 행정을 진행하도록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설정데이터 등과 같은 설정 정보와, 건조기(1)가 특정 동작을 수행한 횟수, 건조기(1)의 모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정보와, 건조기(1)의 오동작 시 오동작의 원인 또는 오동작 위치를 포함하는 고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동부(116)는 제어부(112)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건조기(1)의 동작에 관련된 구동모터(31), 히터(81) 등을 구동시킨다.
디스플레이부(118)는 컨트롤패널(14)에 마련되며, 제어부(112)의 표시 제어 신호에 따라 건조기(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터치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8)는 텍스트 표기가 가능한 LCD UI의 경우, 텍스트로 막힘 정도에 따라 경고 문구를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다르게 표시해 주며, 경고 문구에 강조 표현(색깔, 굵기, 기울기)을 하고, 막힘 정도에 따라 건조 이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막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8)는 LED UI의 경우, 막힘 아이콘을 이용하여 막힘 정도에 따라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점등 또는 점멸, 지속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 동작 이후에도 막힘 정도에 따라 일정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경보부(120)는 컨트롤패널(14)에 마련되며, 제어부(112)의 경보 제어 신호에 따라 건조기(1)의 막힘 정도가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판별되는 시점에서 부저나 소리를 경보하여 사용자가 막힘 정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건조통 입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서, 건조 행정이 시작되면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1온도센서(95)를 이용하여 건조통(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즉, 건조통 입구 온도를 검출한다. 배기덕트(51, 53, 57)에 린트가 쌓여 막힌 경우, 건조기(1)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히터(81)의 온도(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게 된다. 히터(81)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과열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히터(81)의 측면 또는 근방에 설치된 서모스탯(82)이 오프되어 히터(81)에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히터(81)의 과열을 방지한다. 이때, 제어부(112)는 서모스탯(82)이 오프되는 동작 시점(히터가 첫 번째 오프되는 시점; 이하, 제1동작 시점이라 한다)에서 제1온도센서(95)에 의해 검출된 건조통 입구 온도(TB1)와 시간(t1)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서모스탯(82)이 오프되어 히터(81)에 인가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히터(81)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히터(81)의 온도가 낮아져 과열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서모스탯(82)이 다시 온 되어 히터(81)에 상용전원이 인가됨으로써 히터(81)가 발열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어부(112)는 서모스탯(82)이 온 되는 동작 시점(히터가 첫 번째 오프된 후 온 되는 시점; 이하, 제2동작 시점이라 한다)에서 제1온도센서(95)에 의해 검출된 건조통 입구 온도(TB2)와 시간(t2)을 측정한다.
한편, 제1동작 시점은 제1온도센서(95)에 의해 검출된 건조통 입구 온도(TB1)의 온도 변화 기울기가 (+)에서 (-)로 바뀌는 시점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12)는 제1동작 시점을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건조통 입구 온도(TB1)의 온도 변화율(일정시간 당 변화하는 온도 변화량; 배기덕트의 막힘을 검출할 수 있는 인자)이 기준 변화율(배기덕트의 막힘을 검출할 수 있는 기준 온도 변화율)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건조통 입구 온도(TB1)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건조통 입구 온도(TB1)의 온도 변화 기울기가 (+)에서 (-)로 바뀌는 시점을 제1동작 시점으로 정한다. 이때의 건조통 입구 온도(TB1)는 최고 값(TBmax)을 갖는다.
또한, 제2동작 시점은 제1온도센서(95)에 의해 검출된 건조통 입구 온도(TB2)의 온도 변화 기울기가 (-)에서 (+)로 바뀌는 시점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12)는 제2동작 시점을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건조통 입구 온도(TB2)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건조통 입구 온도(TB2)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건조통 입구 온도(TB2)의 온도 변화 기울기가 (-)에서 (+)로 바뀌는 시점을 제2동작 시점으로 정한다. 이때의 건조통 입구 온도(TB2)는 최소 값(TBmin)을 갖는다.
제1동작 시점과 제2동작 시점을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로 정하는 이유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을 보다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배기덕트(51, 53, 57)가 50% 이상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 행정을 진행할 경우에는 건조통 입구 온도(TB)가 급격하게 변하지 않으므로 건조통 입구의 온도 변화율은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반면, 배기덕트(51, 53, 57)가 50% 이상 막힌 상태에서 건조 행정을 진행할 경우, 건조통 입구 온도(TB)가 급격하게 변하므로 건조통 입구의 온도 변화율은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게 된다.
제1동작 시점과 제2동작 시점이 정해지면, 제어부(112)는 제1동작 시점의 최고 온도(TB1)와 제2동작 시점의 최저 온도(TB2)의 차이(△T = TB1 - TB2; 이하, 온도차라 한다)를 계산하고, 제1동작 시점의 시간(t1)과 제2동작 시점의 시간(t2)의 차이(△t = t2 - t1; 이하, 시간차라 한다)를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온도차(△T)와 시간차(△t)를 이용하여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단계별로 표시한다.
물론, 제어부(112)에는 온도차(△T)와 시간차(△t)를 가지고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산출하기 위한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고, 건조 행정의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의 동작 과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건조통 입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동작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제어 알고리즘은 대상물을 넣은 건조 동작 중에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을 이용하여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판별하는 것이다.
도 6에서, 사용자가 건조통(20)의 내부에 건조할 대상물을 넣고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코스(복수 개의 건조코스에는 Normal, Towels, Perm, Delicates 등이 있다)를 선택하면(200),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 정보가 입력부(110)를 통해 제어부(112)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코스 정보에 따라 건조 행정을 진행하기 시작하는데, 먼저 동작 명령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202).
단계 202의 판단 결과,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2)는 구동부(116)를 통해 구동모터(31)와 히터(81)를 동작시켜 건조 행정을 시작한다(204).
건조 행정이 시작되면, 구동모터(31)의 동작에 따라 건조통(20)이 회전하여 건조통(20) 내부의 대상물을 회전시키고, 구동모터(31)의 동작에 따라 송풍팬(61)도 연동하여 회전하므로 건조기(1)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히터(81)는 건조기(1)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열풍덕트(70)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열풍덕트(7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열풍)는 열풍 공급부(40)를 통해 건조통(20)의 내부로 유입되고, 건조통(20)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건조통(20)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회전하는 대상물에 접촉되어 대상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 동작을 통해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건조 동작 시, 건조통(20)을 통과한 공기(열풍)는 전방 배기덕트(51)와 후방 배기덕트(53)를 따라 안내되어 외부 배기덕트(5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린트가 열풍에 포함되어 배출된다. 이때에 배출되는 린트는 전방 배기덕트(51)에 설치된 필터부재(55)에서 걸러져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건조기(1)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부재(55)에서 걸러지지 않은 린트가 외부로 배출되어 배기덕트(51, 53, 57)에 쌓이게 된다.
배기덕트(51, 53, 57)에 린트가 쌓이게 되면, 배기덕트(51, 53, 57)가 점차 조금씩 막히게 되어 건조기(1)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시점이 발생한다.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으로 인한 공기 흐름의 방해는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고, 송풍팬(61)의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며 소음도 증가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뿐만 아니라,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으로 인한 건조기(1)의 과열로 화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기덕트(51, 53, 57)에 린트가 쌓여 막히는 시점을 검출하기 위해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1온도센서(95)를 이용하여 건조통(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즉, 건조통 입구 온도를 검출한다.
배기덕트(51, 53, 57)에 린트가 쌓여 막힌 경우, 건조기(1)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히터(81)의 온도(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히터(81)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과열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히터(81)의 측면 또는 근방에 설치된 서모스탯(82)이 오프되어 히터(81)에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히터(81)의 과열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서모스탯(82)이 오프되는 제1동작 시점(히터가 첫 번째 오프되는 시점)인가를 판단하여(206), 제1동작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동작 시점에서의 건조통 입구 온도(TB1)와 시간(t1)을 측정한다(208).
제어부(112)는 건조통 입구 온도(TB1)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건조통 입구 온도(TB1)의 온도 변화 기울기가 (+)에서 (-)로 바뀌는 시점을 제1동작 시점으로 정한다. 이때의 건조통 입구 온도(TB1)는 최고 값(TBmax)을 갖는다.
한편, 히터(81)가 첫 번째 오프되는 시점 즉, 건조통 입구 온도(TB1)의 온도 변화 기울기가 (+)에서 (-)로 바뀌는 시점은 서모스탯(82)이 오프되는 기계적 제어 외에도 제어부(112)의 제어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12)의 제어 조건은 건조통(20) 내부 공기의 온도 변화량 또는 습도 변화량에 따라 히터(81)의 동작을 온/오프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으로 인한 히터(81)의 오프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으로 인하여 서모스탯(82)이 기계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히터(81)가 첫 번째 오프되는 시점인가 또는 정상 제어 조건에 따라 히터(81)가 첫 번째 오프되는 시점인가를 판단하여 제1동작 시점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서모스탯(82)이 오프되어 히터(81)에 인가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히터(81)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히터(81)의 온도가 낮아져 과열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서모스탯(82)이 다시 온 되어 히터(81)에 상용전원이 인가됨으로써 히터(81)가 발열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서모스탯(82)이 온 되는 제2동작 시점(히터가 첫 번째 오프된 후 온 되는 시점)인가를 판단하여(210), 제2동작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동작 시점에서의 건조통 입구 온도(TB2)와 시간(t2)을 측정한다(212).
제어부(112)는 건조통 입구 온도(TB2)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건조통 입구 온도(TB2)의 온도 변화 기울기가 (-)에서 (+)로 바뀌는 시점을 제2동작 시점으로 정한다. 이때의 건조통 입구 온도(TB2)는 최소 값(TBmin)을 갖는다.
제1동작 시점과 제2동작 시점이 정해지면, 제어부(112)는 제1동작 시점의 최고 온도(TB1)와 제2동작 시점의 최저 온도(TB2)의 온도차(△T = TB1 - TB2)를 계산하고, 제1동작 시점의 시간(t1)과 제2동작 시점의 시간(t2)의 시간차(△t = t2 - t1)를 계산한다(214).
이어서, 제어부(112)는 계산된 온도차(△T)와 시간차(△t)를 이용하여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검출한다(216). 이를 위해 제어부(112)에는 온도차(△T)와 시간차(△t)를 가지고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막힘 판별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막힘 판별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별(Level 3 ~ Level 0)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을 진단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 동작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덕트의 막힘을 진단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의 제어 알고리즘은 대상물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 즉, 건조기(1)의 초기 설치 시나 자가 진단 시에 건조통 출구 온도와 시간을 이용하여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Level 3, Level 2, Level 1, Level 0)로 판별하는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사용자(또는 설치자)가 컨트롤패널(14)에 마련된 진단 코스 버튼을 선택하면(300), 진단 코스 버튼의 선택 정보가 입력부(110)를 통해 제어부(112)에 입력된다. 진단 코스 버튼은 린트 제거 버튼과 온도 제어 버튼을 동시에 일정시간(약, 5초) 이상 눌러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별도의 버튼을 마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진단 코스 정보에 따라 구동부(116)를 통해 구동모터(31)와 히터(81)를 동작시킨다(302).
구동모터(31)가 동작되면, 대상물을 넣지 않은 건조통(20)과 송풍팬(61)이 회전하므로 건조기(1)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히터(81)는 건조기(1)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열풍덕트(70)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열풍덕트(7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열풍)는 열풍 공급부(40)를 통해 건조통(20)의 내부로 유입되고, 건조통(20)을 통과한 공기(열풍)는 전방 배기덕트(51)와 후방 배기덕트(53)를 따라 안내되어 외부 배기덕트(5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배기덕트(51, 53, 57)가 막혀 있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통(20)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 즉, 건조통 출구 온도가 변화한다. 이때 건조통 출구 온도의 변화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진단 코스가 진행되는 동안 건조통(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즉,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판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31)와 히터(81)를 모두 동작시켜 건조통(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히터(81)만을 동작시켜도 건조통(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어부(112)는 구동모터(31)와 히터(81)를 동작시키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정해진 제1시간(tA1; 약, 30초 이내)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304).
단계 304의 판단 결과, 제1시간(tA1)이 경과하면 제어부(112)는 제2온도센서(97)를 이용하여 제1시간(tA1)이 경과하는 시점의 건조통 출구 온도(TA1)를 검출한다(306).
이후, 제어부(112)는 시간을 계속 카운트하여 정해진 제2시간(tA2; 약, 60초 이내)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308).
단계 308의 판단 결과, 제2시간(tA2)이 경과하면 제어부(112)는 제2온도센서(97)를 이용하여 제2시간(tA2)이 경과하는 시점의 건조통 출구 온도(TA2)를 검출한다(310).
제1시간(tA1)이 경과하는 시점의 건조통 출구 온도(TA1)와 제2시간(tA2)이 경과하는 시점의 건조통 출구 온도(TA2)이 검출되면, 제어부(112)는 제1시간(tA1)이 경과하는 시점의 건조통 출구 온도(TA1)와 제2시간(tA2)이 경과하는 시점의 건조통 출구 온도(TA2)의 초기 온도 상승률{△TA = (TA2 - TA1)/(tA2 - tA1)}을 계산한다(312).
이어서, 제어부(112)는 계산된 초기 온도 상승률(△TA)이 정해진 기준 온도 상승률(△TAs;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가 아주 심하여 청소가 반드시 필요한 구간의 초기 온도 상승률, 약 1도 이내)보다 큰가를 판단한다(314).
단계 314의 판단 결과, 초기 온도 상승률(△TA)이 기준 온도 상승률(△TAs)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95% 이상인 3단계(Level 3)라고 판별하고(316),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부(120)를 통해 부저나 소리를 경보한다(318).
이때,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3단계(Level 3)라고 판별되기까지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후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3단계(Level 3)라고 최종 판별되면,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3단계(Level 3)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표시하고,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314의 판단 결과, 초기 온도 상승률(△TA)이 기준 온도 상승률(△TAs)보다 크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아주 심한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고,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계속하기 위해 제3시간(약, 140초 이내)이 경과하기까지 제2온도센서(97)를 이용하여 건조통 출구 온도(TA)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2)는 제3시간(약, 140초 이내)이 경과하기까지 검출된 건조통 출구 온도(TA)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최대 온도(TA3)를 검출한다(320).
따라서, 제어부(112)는 검출된 건조통 출구 최대 온도(TA3)가 정해진 기준 최대 온도(TAmax; 배기덕트의 막힘으로 인하여 서모스탯이 기계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히터가 첫 번째 오프되는 시점의 최대 온도) 이하인가를 판단한다(322).
단계 322의 판단 결과, 건조통 출구 최대 온도(TA3)가 기준 최대 온도(TAmax) 이하이면, 제어부(112)는 건조통 출구 최대 온도(TA3)와 기준 최대 온도(TAmax)의 최대 온도차(△TAmax = TAmax - TA3)를 계산한다(324).
이어서, 제어부(112)는 최대 온도차(△TAmax)가 정해진 기준 온도차(△TAmaxs;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가 심하여 점검이 필요한 구간의 기준 온도차, 약 2도 이내)보다 큰가를 판단한다(326).
단계 326의 판단 결과, 최대 온도차(△TAmax)가 기준 온도차(△TAmaxs)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심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제3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328).
단계 328의 판단 결과, 제3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제어부(112)는 단계 320로 피드백하여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 328의 판단 결과, 제3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85% 이상인 2단계(Level 2)라고 판별하고(330),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부(120)를 통해 부저나 소리를 경보한다(332).
이때,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2단계(Level 2)라고 판별되기까지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후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2단계(Level 2)라고 최종 판별되면,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2단계(Level 2)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표시하고,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종료한다.
또한, 단계 322의 판단 결과, 건조통 출구 최대 온도(TA3)가 기준 최대 온도(TAmax) 이하가 아니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심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단계 328로 진행하여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 326의 판단 결과, 계산된 온도차(△TAmax)가 기준 온도차(△TAmaxs)보다 크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심한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고,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계속하기 위해 제4시간(약, 160초 이내)이 경과하기까지 제2온도센서(97)를 이용하여 건조통 출구 온도(TA)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2)는 제4시간(약, 160초 이내)이 경과하기까지 검출된 건조통 출구 온도(TA)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최소 온도(TA4)를 검출한다(334).
따라서, 제어부(112)는 검출된 건조통 출구 최소 온도(TA4)가 정해진 기준 최소 온도(TAmin; 히터가 첫 번째 오프된 후 서모스탯이 다시 온 되어 히터가 온 되는 시점의 최소 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한다(336).
단계 336의 판단 결과, 건조통 출구 최소 온도(TA4)가 기준 최소 온도(TAmin) 이상이면, 제어부(112)는 건조통 출구 최소 온도(TA4)와 기준 최소 온도(TAmin)의 최소 온도차(△TAmin = TA4 - TAmin)를 계산한다(338).
이어서, 제어부(112)는 최소 온도차(△TAmin)가 정해진 기준 온도차(△TAmins;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가 심하진 않으나 필터부재의 청소가 필요한 구간의 기준 온도차, 약 2도 이내)보다 큰가를 판단한다(340).
단계 340의 판단 결과, 최소 온도차(△TAmin)가 기준 온도차(△TAmins)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심하진 않으나 필터부재(55)의 청소가 필요한 영역이라고 판단하고, 제4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348).
단계 348의 판단 결과, 제4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제어부(112)는 단계 334로 피드백하여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 348의 판단 결과, 제4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75% 이상인 1단계(Level 1)라고 판별하고(350),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부(120)를 통해 부저나 소리를 경보한다(346).
이때,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1단계(Level 1)라고 판별되기까지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후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1단계(Level 1)라고 최종 판별되면,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1단계(Level 1)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표시하고,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종료한다.
또한, 단계 336의 판단 결과, 건조통 출구 최소 온도(TA4)가 기준 최소 온도(TAmin)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심하진 않으나 필터부재(55)의 청소가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단계 348로 진행하여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 340의 판단 결과, 최소 온도차(△TAmin)가 기준 온도차(△TAmins)보다 크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양호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제5시간(약, 180초)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342).
단계 342의 판단 결과, 제5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제어부(112)는 단계 334로 피드백하여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 342의 판단 결과, 제5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60% 이상인 0단계(Level 0)라고 판별하고(344),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부(120)를 통해 부저나 소리를 경보한다(346).
이때, 제어부(112)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0단계(Level 0)라고 판별되기까지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후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0단계(Level 0)라고 최종 판별되면,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0단계(Level 0)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표시하고,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진단 과정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95% 이상인 3단계(Level 3)이다. 3단계(Level 3)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아주 심하여 청소가 반드시 필요한 구간이다.
도 9의 (B)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85% 이상인 2단계(Level 2)이다. 2단계(Level 2)는 필터부재(55)의 청소가 필요한 영역이나 막힘 정도가 심한 경우이다. 2단계(Level 2)의 경우에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점검을 필요로 하는 구간이다.
도 9의 (C)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75% 이상인 1단계(Level 1)이다. 1단계(Level 1)는 2단계(Level 2)와 마찬가지로 필터부재(55)의 청소가 필요한 영역이나 막힘 정도가 덜 심한 경우이다. 필터부재(55)의 청소 이후에도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1단계(Level 1)로 계속 검출되는 경우에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점검을 필요로 하는 구간이다.
도 9의 (D)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60% 이상인 0단계(Level 0)이다. 0단계(Level 0)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가 양호한 영역으로, 필터부재(55)의 확인 정도만 필요로 하는 구간이다.
그리고, 제어부(112)는 도 9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별로 판별된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단계별(Level 3 ~ Level 0)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단계별(Level 3 ~ Level 0)로 표시되는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에 따라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Level 3 ~ Level 0)로 표시하는 방법은, LCD 또는 LED에 따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8)가 텍스트 표기가 가능한 LCD UI의 경우에는, 텍스트로 막힘 정도에 따라 경고 문구를 다르게 표시해 주며, 경고 문구에 강조 표현(색깔, 굵기, 기울기)을 하고, 막힘 정도에 따라 건조 이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기하여 사용자에게 막힘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8)가 LED UI의 경우에는, 막힘 아이콘을 이용하여 막힘 정도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 지속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 이후에도 막힘 정도에 따라 일정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 디스플레이부(118)가 텍스트 표기가 가능한 LCD인 경우, 굵은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배기덕트(51, 53, 57)의 막힘 정도를 메시지 문구로 표시해준다.
1 : 건조기 14 : 컨트롤패널
20 : 건조통 31 : 구동모터
51, 53, 57 : 배기덕트 61 : 송풍팬
81 : 히터 82 : 서모스탯
95 : 제1온도센서 97 : 제2온도센서
110 : 입력부 112 : 제어부
116 : 구동부 118 : 디스플레이부
120 : 경보부

Claims (37)

  1.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
    상기 히터의 온도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히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서모스탯;
    상기 서모스탯이 적어도 2회 이상 동작하면, 상기 서모스탯의 각 동작 시점에서의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건조통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인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미스터는 상기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유입시키는 열풍덕트에 설치되는 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미스터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시점으로 정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점은 상기 서모스탯의 동작에 따라 상기 히터가 오프되는 제1동작 시점과, 상기 서모스탯의 동작에 따라 상기 히터가 오프된 후 온 되는 제2동작 시점을 포함하는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 시점은 상기 서미스터에 의해 검출된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TB1)가 최고 값(TBmax)을 가지는 시점인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점은 상기 서미스터에 의해 검출된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TB2)가 최소 값(TBmin)을 가지는 시점인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작 시점의 최고 온도(TB1)와 상기 제2동작 시점의 최저 온도(TB2)의 온도차(△T)를 계산하고, 상기 제1동작 시점의 시간(t1)과 제2동작 시점의 시간(t2)의 시간차(△t)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온도차(△T)와 시간차(△t)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차(△T)와 시간차(△t)를 가지고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는 테이블을 저장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검출하는 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단계별로 표시하는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의 경우,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에 따라 텍스트로 경고 문구를 다르게 표시해 주는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경고 문구에 강조 표현(색깔, 굵기, 기울기)을 하거나 상기 경고 문구를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해 주는 건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ED의 경우,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에 따라 막힘 아이콘을 점등 또는 점멸시켜 표시해 주는 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막힘 아이콘을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해 주는 건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모스탯은 상기 히터의 측면 또는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온도에 따라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안전장치인 건조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전방 배기덕트 및 후방 배기덕트와, 상기 후방 배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된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외부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건조기.
  18.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구비한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온도에 따라 서모스탯이 동작하였는가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이 동작하면, 상기 서모스탯의 동작 시점에서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서모스탯이 적어도 2회 이상 동작하였는가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이 적어도 2회 이상 동작하면, 상기 서모스탯의 각 동작 시점에서 측정된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온도차와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건조통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인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서미스터의 온도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는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모스탯의 동작 시점은 상기 서모스탯의 동작에 따라 상기 히터가 오프되는 제1동작 시점과, 상기 서모스탯의 동작에 따라 상기 히터가 오프된 후 온 되는 제2동작 시점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 시점은 상기 서미스터에 의해 검출된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TB1)가 최고 값(TBmax)을 가지는 시점인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시점은 상기 서미스터에 의해 검출된 상기 건조통의 입구 온도(TB2)가 최소 값(TBmin)을 가지는 시점인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 입구 온도와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은,
    상기 제1동작 시점의 최고 온도(TB1)와 상기 제2동작 시점의 최저 온도(TB2)의 온도차(△T)를 계산하고;
    상기 제1동작 시점의 시간(t1)과 제2동작 시점의 시간(t2)의 시간차(△t)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계산된 온도차(△T)와 시간차(△t)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검출하는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단계별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27.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의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
    상기 건조통 내에 상기 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부;
    상기 진단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히터를 동작시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건조통의 출구 온도를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어용 서미스터인 건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서미스터는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에 설치되는 건조기.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통의 온도 변화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온도 변화량을 기준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하는 건조기.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기의 설치 시에 상기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건조기.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건조기의 막힘을 자가 진단하고자 할 때, 상기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건조기.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가 단계별로 판별되는 시점에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35.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구비한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 내에 상기 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히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건조통 내에 열풍을 공급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건조통의 출구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건조통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하고;
    상기 단계별로 판별된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알려 주는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의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인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37. 대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통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구비한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설치 시, 상기 히터를 동작시켜 상기 건조통 내에 상기 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온도 변화량을 검출하고;
    상기 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온도 변화량을 정해진 기준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하고;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 정도를 단계별로 판별할 때마다 상기 배기덕트의 막힘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건조기의 막힘 검출 방법.
KR1020120107504A 2012-03-30 2012-09-26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KR102012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51,319 US9435587B2 (en) 2012-03-30 2013-03-27 Clothing dryer and blockage detection method thereof
CN201310111484.2A CN103361950B (zh) 2012-03-30 2013-04-01 烘干机及其堵塞检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3220 2012-03-30
KR1020120033220 2012-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164A true KR20130111164A (ko) 2013-10-10
KR102012455B1 KR102012455B1 (ko) 2019-08-21

Family

ID=4963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504A KR102012455B1 (ko) 2012-03-30 2012-09-26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4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6544B2 (en) 2015-03-09 2020-04-21 Lg Electronics Inc. Drying machine
KR102179135B1 (ko) * 2020-04-08 2020-11-16 김선 세탁조의 오염 정도를 알리는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조의 오염 정도를 알리는 방법
WO2022119181A1 (ko) * 2020-12-01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132B1 (ko) * 2006-10-02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필터 막힘 감지 제어 방법
US20080078100A1 (en) * 2006-09-06 2008-04-03 Ju-Hyun Kim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WO2009077301A1 (en) * 2007-12-17 2009-06-25 Arcelik Anonim Sirketi A dry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8100A1 (en) * 2006-09-06 2008-04-03 Ju-Hyun Kim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100751132B1 (ko) * 2006-10-02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필터 막힘 감지 제어 방법
WO2009077301A1 (en) * 2007-12-17 2009-06-25 Arcelik Anonim Sirketi A dry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6544B2 (en) 2015-03-09 2020-04-21 Lg Electronics Inc. Drying machine
KR102179135B1 (ko) * 2020-04-08 2020-11-16 김선 세탁조의 오염 정도를 알리는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조의 오염 정도를 알리는 방법
WO2021206332A1 (ko) * 2020-04-08 2021-10-14 김선 세탁조의 오염 정도를 알리는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조의 오염 정도를 알리는 방법
WO2022119181A1 (ko) * 2020-12-01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455B1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5587B2 (en) Clothing dryer and blockage detection method thereof
US7926201B2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US10087570B2 (en) Intelligent electronic system for previously sensing the dryness condition of a textile clothes load in an automatic electronic clothes dryer machine
US79754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dryer
US8387272B2 (en)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EP1657351A2 (en) Drying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s with drying functions/drying machines
US20080148597A1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KR100844608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KR100844617B1 (ko) 건조기의 안전 장치
US6996920B2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lothes dryer
KR20140120980A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51864B1 (ko) 자동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059200A1 (en) Dry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12455B1 (ko)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EP1236824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7313874B2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854683B2 (ja) 洗濯乾燥機
KR100962315B1 (ko) 건조장치
KR100819594B1 (ko) 건조기의 안전 장치
KR100844618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KR100783229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KR100565244B1 (ko) 의류건조기의 건조 부하량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0819595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KR101565405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38149B1 (ko) 건조기 및 그 히터 에러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