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39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395B1
KR102565395B1 KR1020160147847A KR20160147847A KR102565395B1 KR 102565395 B1 KR102565395 B1 KR 102565395B1 KR 1020160147847 A KR1020160147847 A KR 1020160147847A KR 20160147847 A KR20160147847 A KR 20160147847A KR 102565395 B1 KR102565395 B1 KR 10256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ccommodating space
clothes
cabine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039A (ko
Inventor
정재덕
김명상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agitated containers in which the liquid and articles or material are plac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몸체를 형성하고, 수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적어도 일면에 제공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토출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워시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제1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고정할 수 있는 의류걸이부;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가 놓이며, 구동부에 의하여 진동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워시부에서 토출되는 에어 및 의류걸이부 또는 거치부의 진동을 통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함으로써, 의류에 이물이 잔존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용공간에서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이 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워시부에 제공되는 필터, 디퓨저, 살균모듈 등을 통하여 순환하는 공기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상태에 따라 알맞은 방법으로 의류를 리프레쉬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고, 의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처리되고,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등은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로 의류를 직접적으로 투입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되고, 걸이 등을 통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는 외부의 미세 먼지를 비롯하여 여러 병원균과 화학물질 등 각종 유해성 이물질들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투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는 각종 유해성 이물질들이 부착된 의류가 보관되거나, 각종 유해성 이물질들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서 잔존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유해성 이물질이 잔존하는 경우, 상기 유해성 이물질에 의하여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유해성 이물질이 부착된 의류를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 유해하며, 심지어 병원균에 감염되어 병을 얻게(앓게) 되는 등 위생문제를 유발시킨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9916호, “의류처리장치”를 살펴보면, 열풍에 의하여 의류에서 낙하하는 이물을 수집하는 집진장치를 개시합니다.
상기되는 종래기술에 의하면, 열풍에 의하여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은 중력에 의하여 낙하는 과정에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는 선반, 의류 등에 쌓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걸이 등에 의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상측에 배치될 수 있는 의류의 경우(자켓, 셔츠, 코트 등),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의하여 클리닝될 수 있으나, 상기 선반에 놓일 수 있는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은 종류의 경우, 의류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의하여 클리닝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9916호,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확실하게 털어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에서 털어내진 이물이 서로 다른 의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에서 털어내진 이물에 의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몸체 내부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의류와,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은 소형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을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 또는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이 서로 다른 수용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공간에는 의류걸이부가 제공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공간에는 상기 의류걸이부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가이드가 제공되어, 상기 의류걸이부에 걸려진 의류의 높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의류걸이부에 걸려진 의류에 진동을 가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은 소형의 의류가 거치되는 거치부가 제공되어, 소형의 의류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상기 거치부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구동부가 제공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소형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에는 다수의 홀이 구비되는 다공부가 제공되어, 상기 의류에서 털어내지는 이물이 상기 다공부를 통과하여 쉽게 하측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에어로 털어내기 위한 에어워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에어워시부는 제1팬을 구비하고, 제1배기구 및 제1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에 연속적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의류걸이부에 걸려진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또한, 제2에어워시부는 제2팬을 구비하고, 제2배기구 및 제2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에 연속적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거치부에 거치된 소형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기구 및 상기 제2배기구는 토출되는 에어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베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인에 의하여 상기 제1배기구 및 상기 제2배기구에서 토출되는 에어를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향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에어워시부는 상기 제1,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2수용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 히터 등을 포함하거나,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살균모듈, 필터 등을 포함하여, 상기 제1,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워시부로부터 토출되는 에어 및 의류걸이부 또는 걸치부의 진동에 의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함으로써, 의류로부터 이물을 확실하게 털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모두 털어냄으로써, 의류에 이물이 잔존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위생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구획하고,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로부터 이물을 털어냄으로써, 털어내진 이물이 서로 다른 의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 가능하여, 의류의 종류에 따라서 수용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워시부에 제공될 수 있는 필터, 디퓨저, 살균모듈 등에 의하여, 각각의 수용공간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워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의류의 상태에 따라서 알맞은 리프레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서 A-A'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토출하여 상기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내거나, 털어내진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워시부(20, 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적어도 일면이 개구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은 개구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1)가 제공되는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을 전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13)과, 제2수용공간(1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13)과 상기 제2수용공간(15)은 구획부(14)에 의하여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4)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14)가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수용공간(13)과 상기 제2수용공간(15)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부(20, 21)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하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워시부(20, 21)는 상기 캐비닛(10)의 측면, 후면 중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이외의 면에 상기 에어워시부(20, 2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워시부(20, 21)는 상기 캐비닛(10)에 적어도 하나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워시부(20, 21)를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제공되는 에어워시부(20, 21)를 제1에어워시부(20)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면에 제공되는 에어워시부(20, 21)를 제2에어워시부(21)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부(20, 21)의 상세한 구성은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수용공간(13)은 상기 구획부(1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공간(13)에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걸이부(1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의류걸이부(131)는 상기 제1수용공간(13)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걸이부(131)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걸이부(13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가이드(132)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의류걸이부(131)는 상기 이동가이드(132)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걸이부(131)는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가이드(132)는 상기 의류걸이부(131)의 상하방향으로의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레일(Rail), 랙과 피니언, 다수의 기어,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13)과 상기 제1에어워시부(20)는 제1배기구(135)와 제1흡기구(136)를 통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구(135)와 상기 제1흡기구(136)는 상기 제1수용공간(13)이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구(135)와 상기 제1흡기구(136)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흡기구(136)에는 상기 제1흡기구(136)를 통과하여 상기 제1에어워시부(20)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배기구(135)는 상기 제1수용공간(1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흡기구(136)는 상기 제1수용공간(13)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1수용공간(13)에서 다방면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수용공간(15)은 상기 구획부(1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공간(15)에는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소형의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6)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6)는 구동부(17)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15)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7)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에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7)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을 정의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7)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을 정의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2수용공간(15)의 내부에서 다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7)에는 상기 거치부(16)를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는 레일(Rail), 랙과 피니언, 다수의 기어, 모터, 실린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16)는 상기 구동부(17)에 일부분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7)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6)는 상기 구동부(17)에 지지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15) 상에 배치되는 바스켓부(161)와, 상기 바스켓부(161)의 일부분에 제공되며 다수의 홀을 가지는 다공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은 소형의 의류는 상기 바스켓부(161) 및 상기 다공부(162)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바스켓부(161)는 적어도 일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부(161)의 개구된 일면으로 상기 소형의 의류가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스켓부(161)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부(161)의 저면에는 상기 다공부(16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62)는 상기 바스켓부(161)의 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62)는 다수의 홀을 가지며, 상기 소형의 의류에서 잔존하는 이물은 상기 다수의 홀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15)과 상기 제2에어워시부(21)는 제2배기구(155)와 제2흡기구(156)를 통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구(155)와 상기 제2흡기구(156)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이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구(155)와 상기 제2흡기구(156)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배기구(155)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흡기구(156)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2수용공간(15)에서 다방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구(155)는 상기 거치부(16)보다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배기구(155)는 상기 거치부(16)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16)에 놓인 소형의 의류를 향하는 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배기구(155)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베인(Va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구(156)는 상기 거치부(16)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공부(162)의 하방에 상기 제2흡기구(15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기구(156)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흡기구(156)에는 상기 제2흡기구(156)를 통과하여 상기 제2에어워시부(21)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16)는 본 실시예와 같이 소형의 의류가 놓이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소형의 의류가 걸리도록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6)가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경우, 소형의 의류는 상기 고리 형상의 거치부(16)에 걸린 상태로 회전하거나, 진동하여 이물을 털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서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부(20, 21)는 제1에어워시부(20)와 제2에어워시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워시부(20)와 상기 제2에어워시부(21)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하면 중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측면, 배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워시부(20, 21)가 하나로 제공될 경우, 상기 제1수용공간(13)과 상기 제2수용공간(15)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하거나, 흡입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에어워시부(20)와 상기 제2에어워시부(21)가 각각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에어워시부(2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1에어챔버(201)와, 상기 제1에어챔버(201)를 유동하는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제1팬(20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챔버(201)와 상기 제1수용공간(13)은 상기 제1배기구(135)와 상기 제1흡기구(136)에 의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에어챔버(201)와 상기 제1수용공간(13)은 상기 제1배기구(135)에 의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흡기구(136)와 상기 제1에어챔버(201)는 제1덕트(13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덕트(137)는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챔버(201)의 내부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3)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살균모듈, 디퓨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팬(202)은 모터에 동력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1에어챔버(2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에어챔버(201)에서 상기 제1배기구(135)를 통과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3)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흡기구(136)를 통과하여, 상기 제1덕트(137)를 유동하고, 상기 제1에어챔버(201)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워시부(21)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2에어챔버(211)와, 상기 제2에어챔버(211)를 유동하는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제2팬(21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챔버(211)와 상기 제2수용공간(15)은 상기 제2배기구(155)와 상기 제2흡기구(156)에 의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에어챔버(211)와 상기 제2수용공간(15)은 상기 제2흡기구(156)에 의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배기구(155)와 상기 제2에어챔버(211)는 제2덕트(15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덕트(157)는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챔버(211)의 내부에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살균모듈, 디퓨저, 히터, 열교환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팬(212)은 모터에 동력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2에어챔버(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에어챔버(211)에서 상기 제2배기구(155)를 통과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15)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흡기구(156)를 통과하여, 상기 제2덕트(157)를 유동하고, 상기 제2에어챔버(211)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에어챔버(201) 및 상기 제2에어챔버(211) 각각에는 외부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연통공(20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203)은 제어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203)은 상기 제1수용공간(13) 또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의 공기의 상태가 나쁠 경우, 개방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제1수용공간(13) 또는 상기 제2수용공간(15)으로 유입하여 공기의 상태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제1수용공간(13), 제2수용공간(15) 중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에 의류가 투입될 경우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워시부(20)가 작동되면, 상기 제1배기구(135)를 통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3)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구(13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의류걸이부(1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구(135)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베인(Vane)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구(13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의류걸이부(131)에 걸려진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걸이부(13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걸이부(131)의 진동과 상기 제1배기구(135)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은 털어내져 상기 제1수용공간(13) 상에서 비산되거나, 상기 제1수용공간(13)의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13)에서 비산하는 이물 및 낙하하는 이물은 상기 제1흡기구(136)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구(136)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덕트(137)를 통과하여 상기 제1에어챔버(201)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용공간(13)에서 상기 제1흡기구(136)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은 필터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챔버(20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상기 제1배기구(135)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기구(135)와 상기 제1흡기구(136)를 통과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3)과 상기 제1에어워시부(20)를 유동하는 공기순환사이클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에어챔버(2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살균모듈, 디퓨저 등에 의하여 공기는 살균되거나, 향기 등이 포함되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에어챔버(2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히터, 열교환기를 통해서, 의류의 상태에 따라 열풍 또는 냉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워시부(21)가 작동되면, 상기 제2에어챔버(211)의 공기는 상기 제2덕트(157)를 따라 유동하고, 상기 제2배기구(155)를 통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15)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구(15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거치부(16)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구(155)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베인(Vane)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구(15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거치부(16)에 놓인 소형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16)는 상기 구동부(17)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6)의 진동과 상기 제1배기구(135)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은 털어내져 상기 제2수용공간(15) 상에서 비산되거나, 상기 거치부(16)의 다공부(162)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15)에서 비산하는 이물 및 낙하하는 이물은 상기 제2흡기구(156)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구(156)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에어챔버(211)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수용공간(15)에서 상기 제2흡기구(156)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은 필터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챔버(21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상기 제2배기구(155)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배기구(155)와 상기 제2흡기구(156)를 통과하여 상기 제2수용공간(15)과 상기 제2에어워시부(21)를 유동하는 공기순환사이클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에어챔버(2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살균모듈, 디퓨저 등에 의하여 공기는 살균되거나, 향기 등이 포함되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에어챔버(2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히터, 열교환기를 통해서, 의류의 상태에 따라 열풍 또는 냉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의류는 이물이 제거된 상태로 유지 보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쾌적한 의류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의류에서 이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의류가 보관됨으로써, 의류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1 도어 13 제1수용공간
14 구획부 15 제2수용공간
16 거치부 17 구동부
20 제1에어워시부 21 제2에어워시부

Claims (11)

  1. 몸체를 형성하고, 수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제1수용공간의 공기를 제1흡기구로 흡입하여 제1배기구로 배출하는 제1에어워시부;
    상기 제2수용공간의 공기를 제2흡기구로 흡입하여 제2배기구로 배출하는 제2에어워시부;
    상기 제1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가 걸리는 의류걸이부;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가 놓이며, 구동부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에 놓인 의류는, 상기 제2에어워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구동부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이 제거되고,
    상기 제2에어워시부의 제2배기구는, 상기 거치부에 놓인 의류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구동부에 지지되며, 적어도 일면이 개구되는 바스켓부; 및
    상기 바스켓부의 저면 일부분에 제공되며, 다수의 홀을 구비하는 다공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거치부를 회전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걸이부는,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 또는 진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기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베인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에어워시부는,
    상기 제1,2흡기구로 흡입되어 상기 제1,2배기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공간을 형성하는 제1,2에어챔버; 및
    상기 제1,2에어챔버에 배치되며, 상기 제1,2흡기구로 흡입되어 상기 제1,2배기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2팬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흡기구는, 상기 제1,2배기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흡기구는, 상기 제1,2수용공간으로부터 이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용공간과 상기 제1,2에어챔버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매립되는 제1,2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워시부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에어워시부는 상기 캐비닛의 하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은 상기 제1수용공간의 하방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47847A 2016-11-08 2016-11-08 의류처리장치 KR10256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47A KR102565395B1 (ko) 2016-11-08 2016-11-0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47A KR102565395B1 (ko) 2016-11-08 2016-11-0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39A KR20180051039A (ko) 2018-05-16
KR102565395B1 true KR102565395B1 (ko) 2023-08-09

Family

ID=6245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847A KR102565395B1 (ko) 2016-11-08 2016-11-0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3868A (zh) * 2018-10-26 2018-12-18 杨懿 一种智能多功能晾晒装置
WO2023080634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82B1 (ko) * 2003-07-21 201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20110067887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672281B1 (ko) 2010-03-03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30015240A (ko) * 2011-08-02 2013-02-13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류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39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393B1 (ko) 의류 처리 장치
US7707858B2 (en) Washing machine and lint removing apparatus thereof
KR102520717B1 (ko) 의류 관리기
CN104018327B (zh) 衣物处理设备
EP4088640A1 (en) Shoe care device
JP2527135B2 (ja) 織物等処理方法とその装置
US11535974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omprising a recirculation module
KR201901412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1359A (ko) 의류관리장치
KR2019013940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5395B1 (ko) 의류처리장치
CN116065371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KR101113884B1 (ko) 의류처리장치
CN115812115A (zh) 衣物处理装置
US2022038095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047759B2 (ja) 洗濯機
KR20200003957A (ko) 의류처리장치
JP3619203B2 (ja) 乾燥装置
JP2016129535A (ja) 布材処理装置
EP40953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13939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7897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CN116065372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JP2001120894A (ja) 洗濯物の乾燥仕上げ方法および装置
KR2022013819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