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134A -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134A
KR20190084134A KR1020197019399A KR20197019399A KR20190084134A KR 20190084134 A KR20190084134 A KR 20190084134A KR 1020197019399 A KR1020197019399 A KR 1020197019399A KR 20197019399 A KR20197019399 A KR 20197019399A KR 20190084134 A KR20190084134 A KR 20190084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odorizers
adsorbent
chamber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260B1 (ko
Inventor
히로시 이마무라
아키오 가나모리
Original Assignee
칸켄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칸켄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칸켄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01D53/44Organic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의 탈취 장치는, 무기의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한 물리적 흡착재 그 자체를 입상 또는 괴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의 단위 용적당 악취 성분 흡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수단(46)이 흡착재(42)를 바로 가열하므로, 흡착재(42)에 흡착된 악취 성분이 낭비 없이 승온하여 흡착재(42)로부터 이탈되고, 냉각 회로(30)에서 추출한 재생 에어(CA)로 그 이탈된 악취 성분을 탈취기(16a,16b,16c…)에서 밀어냄으로써, 적은 에너지 소비량으로 흡착재(42)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고정식 탈취탑(18)이 적어도 3기 이상의 탈취기(16a,16b,16c…)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귀환 에어(CA)의 탈취, 흡착재(42)의 재생, 흡착재(42) 재생 후의 냉각과 같은 3개의 공정을, 종래의 로터리식의 것과 마찬가지로,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취 장치
본 발명은, 처리 대상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플론(flon)류, 벤젠, 클로로메탄 및 사이클로헥산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이나 그 밖의 유기 가스 등으로 이루어진 악취 성분을 당해 처리 대상 공기 중에서 제거하는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탈취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종래에는 하기의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02645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악취 성분인 유기 가스를 농축하는 장치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벌집 구조의 흡착 로터의 상류 측에 같이 벌집 구조의 습기 교환 로터를 배치하고, 그 습기 교환 로터를 통과함으로써 제습된 공기를 흡착 로터의 흡착 존 및 퍼지 존에 보낸다. 그리고, 퍼지 존을 투과한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다시 흡착 로터의 탈착 존에 보내어, 흡착 로터에 흡착되어 있는 유기 가스 즉 악취 성분을 이탈시킨다.
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피처리 공기(처리 대상 공기)의 습도가 높아도 피처리 공기가 흡착 로터로 들어가기 전에 습도를 내릴 수 있고, 흡착 로터의 악취 성분 흡착 능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02645호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종래의 유기 가스 농축 장치는, 흡착 로터나 습기 교환 로터가 항상 회전하는 소위 로터리식의 장치이고, 습기 교환 로터를 배치하여 흡착 로터의 악취 성분 흡착 능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흡착 로터와 그 흡착 로터를 흡착 존 및 퍼지 존으로 칸막이하기 위한 칸막이판과의 틈에서 생기는 리크를 완전하게 없앨 수는 없다. 이 때문에, 피처리 공기로부터의 악취 성분 제거 효율을 아무리 개선하였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그 값은 95% 정도가 한계이며, 이전에 비해 더 높은 환경 기준(한없이 100%에 가까운 제거 효율)이 요구되는 최근의 고객 니즈에 부응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하여, 이러한 장치에서 사용되는 흡착 로터는, 세라믹 섬유 등의 무기 섬유로 이루어진 페이퍼를 벌집 형상으로 가공한 구조체에, 합성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재를 담지시킨 것이다. 이 때문에, 흡착 로터가 흡착한 악취 성분을 제거하여 흡착재를 재생할 때에는, 퍼지 존을 투과한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여 열풍을 만들고, 이러한 열풍으로 흡착재뿐만 아니라 벌집 성형 소재도 동시에 가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흡착재의 재생시에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즉, 런닝 코스트(running cost)의 저감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악취 성분, 특히 VOC나 그 외 유기계의 악취 성분의 제거 성능이 우수한 동시에, 런닝 코스트를 저감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 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를 통하여 그 내부 공간이 제1실(12) 및 제2실(14)로 구획된 탈취기(16a,16b,16c…)를, 적어도 3기 이상 구비한 고정식 탈취탑(18), 상류 단(端)이 귀환 에어 입구(20)에 접속되고, 하류 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된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로서, 그 도중에 설치된 처리팬(24)을 사용하여 탈취 대상 공간(DR)에서 배출된 귀환 에어(RA)를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공급하는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 상류 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되고, 하류 단이 탈취 에어 출구(26)에 접속된 탈취 에어 송급(送給) 유로(28)로서, 상기 중 어느 하나의 탈취기(16a,16b,16c…)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를 통과하여 탈취된 탈취 에어(DA)를 탈취 에어 출구(26)로 송급하는 탈취 에어 송급 유로(28), 일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된 냉각 회로(30)로서, 그 유로의 도중에 설치된 냉각 장치(32)에서 냉각시킨 에어를 냉각팬(34)에서 흡인하여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송급하여 순환시키는 냉각 회로(30), 상류 단이 상기의 냉각 회로(30)의 일단과 상기의 냉각 장치(32) 사이의 유로에 접속되고, 하류 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되고, 상기의 냉각 회로(30)를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재생 에어(CA)로서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송급하는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 및 상류 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되고, 하류 단이 재생 배기구(38)에 접속된 재생 에어 배출 유로(40)를 구비한다. 상기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는 무기의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하고, 공기 중의 악취 성분을 물리적으로 흡착하는 입상(粒狀) 또는 괴상(塊狀)의 흡착재(42)와, 그 흡착재(42)를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의 탈취기(16a,16b,16c…)의 내부 공간을 서로 기체의 통류가 가능한 2개의 실(12,14)로 구획하는 통기성의 케이싱(44)과, 그 케이싱(44) 내에 수납된 상기 흡착재(42) 중에 매설됨으로써 당해 흡착재(42)를 바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46)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냉각 회로(30)에서의 상기의 냉각팬(34)의 석션(suction) 측에는, 상기의 재생 에어(CA)로서 상기의 냉각 회로(30)에서 추출된 분량의 에어를 외기로부터 보급하기 위한 외기 도입 배관(50)이 접속된다. 상기의 재생 에어 배출 유로(40)에는, 재생 에어(CA) 중에 농축시킨 악취 성분을 분해시키기 위한 분해 장치(52)가 장착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다음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에 사용하는 흡착재로서, 무기의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한 물리적 흡착재 그 자체를 비표면적이 큰 입상 또는 괴상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의 단위 용적당 악취 성분 흡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가 접착제나 수지 패킹류 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흡착재를 가열하여 악취 성분 흡착력을 재생할 때의 가열 온도를 200℃ 내지 300℃ 정도까지 올릴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착재의 악취 흡착력 재생시에 당해 흡착재를 대강 200℃ 내지 300℃의 고온에서 가열함으로써, 흡착재가 흡착한 VOC나 그 외 유기계의 악취 성분을 그 흡착재로부터 신속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재의 악취 성분 흡착력을 재생할 때에는, 케이싱 내에 수납된 흡착재 중에 매설된 가열 수단이 흡착재만을 바로 가열하므로, 흡착재에 흡착된 악취 성분이 낭비 없이 승온되어 흡착재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 때문에, 냉각 회로에서 추출한 재생 에어로 그 이탈된 악취 성분을 탈취기에서 밀어냄으로써, 적은 에너지 소비량으로 흡착재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식 탈취탑이 적어도 3기 이상의 탈취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귀환 에어의 탈취, 흡착재의 재생, 흡착재 재생 후의 냉각과 같은 3개의 공정을, 종래의 로터리식의 탈취 장치와 같이 엄청난 동력을 사용하여 흡착 로터 등을 회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에어의 유로나 가열 수단의 온·오프라는 전환 조작만으로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탈취기(16a,16b,16c…)의 내부 공간이 상기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로 높이 방향으로 이분(二分)되어, 상기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의 상측에 제1실(12)이 형성되고, 하측에 제2실(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재생 에어와 같이 탈취기 내에서 고온이 되는 기체는, 당해 탈취기의 하측으로부터 들어가 상측으로 빠지게 되고, 탈취 대상의 귀환 에어 냉각용 에어와 같이 상대적으로 저온이 되는 기체는, 탈취기의 상측으로부터 들어가 하측으로 빠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체의 통류가 원활하고 효율적이며, 런닝 코스트의 저감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의 상류 측에, 상기의 재생 에어(CA)를 가열하는 보조 가열 수단(36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흡착재 재생시의 가열 수단의 부하나 탈취 장치 토털에서의 에너지 코스트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탈취 장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고정식 탈취탑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전환한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탈취 장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 장치는, 처리 대상 공기(귀환 에어(RA)) 중의 VOC나 그 외 유기 가스 등으로 이루어진 악취 성분을 제거하여 청정화된 공기를 탈취 대상 공간(DR)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탈취 대상 공간(DR)으로서는, 예를 들면, VOC가 사용되는 인쇄 공장이나 도장(塗裝) 공장의 건물 안 공간, 또는 여러가지 악취가 발생하는 병원·간호 시설이나 음식점 등의 실내 공간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탈취 장치는 고정식 탈취탑(18),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 탈취 에어 송급 유로(28), 냉각 회로(30),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 및 재생 에어 배출 유로(40)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고정식 탈취탑(18)은,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를 통하여 탈취 대상 공간(DR)으로부터 되돌아오는 귀환 에어(RA)를 탈취하는 장치이고,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를 통하여 그 내부 공간이 제1실(12) 및 제2실(14)로 구획된(도시 실시형태에서는) 3기의 탈취기(16a,16b,16c)를 구비한다.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기의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하고, 공기 중의 악취 성분을 물리적으로 흡착하는 입상 또는 괴상의 흡착재(42)와, 그 흡착재(42)를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의 탈취기(16a,16b,16c)의 내부 공간을 서로 기체의 통류가 가능한 2개의 실(12,14)로 구획하는 통기성의 케이싱(44)과, 그 케이싱(44) 내에 수납된 상기 흡착재(42) 중에 매설됨으로써 당해 흡착재(42)를 바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46)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흡착재(42)를 형성하는 무기의 다공질 재료로서,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유기 용제 흡착 특성과 같은 악취 성분 흡착 특성이나, 취급성 등을 고려하면, 제올라이트가 특히 적합하다. 또한, 이 흡착재(42)는 무기의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하는, 즉 무기의 다공질 재료를 흡착재(42) 전체에 대하여 50질량%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이면 좋고, 전부를 무기의 다공질 재료로 구성하는 것 이외에도,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50질량% 미만의 활성탄 등 다른 흡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통기성의 케이싱(44)은, 예를 들면, 금속철망이나 내열성의 수지망, 또는 펀칭메탈이나 익스팬드메탈 등과 같이 통기성을 저해하지 않고,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료로 형성된다.
가열 수단(46)은, 케이싱(44) 내에 수납된 흡착재(42) 중에 매설되고, 그 흡착재(42)를 바로 가열할 수 있는 것, 더 구체적으로는, 흡착재(42) 그 자체 및/또는 흡착재(42)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바로 가열하여 흡착재(42)로부터 악취 성분을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라도 좋고, 전열 히터나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경우, 이 가열 수단(46)으로서, 알루미나관이나 석영관 등으로 이루어진 히터 파이프(46b) 중에 니크롬선 등의 발열체(46a)가 장전(裝塡)된 시즈히터를, 수평 방향으로 구불구불 구부러지게 하여 대략 평면 형상으로 매설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열 수단(46)을 사용하면,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의 전체를 신속하고도 컨트롤 용이하게 승온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서, 가열 수단(46)으로서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를 사용할 경우로서, 케이싱(44)을 금속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그 표면을 유리나 내열성의 수지 등으로 코팅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도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식 탈취탑(18)으로서, 3기의 탈취기(16a,16b,16c)를 구비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고정식 탈취탑(18)에 설치하는 탈취기(16a,16b,16c…)의 수는 3기 이상이면 좋고, 목적으로 하는 탈취 에어의 품질이나 필요량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식 탈취탑(18)에 설치하는 탈취기(16a,16b,16c)의 수를 도시 실시형태와 같이 3기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은 귀환 에어(RA)의 탈취, 흡착재(42)의 재생, 흡착재(42) 재생 후의 냉각과 같은 3개의 공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탈취 장치의 사이즈를 미니멈화할 수 있어 스페이스 효율이 우수한 것이 된다. 한편, 고정식 탈취탑(18)에 설치하는 탈취기(16a,16b,16c…)의 수를 4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탈취 에어의 공급량을 늘릴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취 운전하는 탈취기(16a,16b,16c…)를 전환할 때에 압력 변동이나 헌팅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식 탈취탑(18)을 구성하는 탈취기(16a,16b,16c…)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 공간이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로 높이 방향으로 이분 되어, 상측이 제1실(12), 하측이 제2실(14)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생 에어(CA)와 같이 탈취기(16a,16b,16c…) 내에서 고온이 되는 기체는, 당해 탈취기(16a,16b,16c…)의 하측으로부터 들어가 상측으로 빠지게 되고, 탈취 대상의 귀환 에어(RA)나 냉각용의 에어와 같은 상대적으로 저온이 되는 기체는, VOC 흡착기의 상측으로부터 들어가 하측으로 빠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체의 통류가 원활하고 효율적이며, 런닝 코스트의 저감으로도 이어진다.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는, 탈취 대상 공간(DR)으로부터 되돌아오는 귀환 에어(RA)를 고정식 탈취탑(18)으로 공급하는 유로이고, 상류 단이 귀환 에어 입구(20)에 접속된 관로(22A)를 갖는다. 이 관로(22A)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파이프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중에 복수(도시 실시형태에서는 3개)로 갈라져 나와 분기관(22A1,22A2,22A3…)이 되고, 그 하류 단이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된다. 또한, 관로(22A)의 도중에는, 탈취 대상 공간(DR)에서 배출된 귀환 에어(RA)를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을 향하여 송급하는 처리팬(24)이 설치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이 관로(22A) 내를 통류하는 귀환 에어(RA)를 냉각하여 노점(露点) 온도를 내리는 프레 냉각 장치(22c)가 설치된다.
또한,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의 관로(22A)가 분기된 각 분기관(22A1,22A2,22A3…)의 각각에는 밸브(23a,23b,23c…)가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밸브(23a,23b,23c…)를 개폐 조작함으로써 귀환 에어(RA)의 공급처가 전환된다.
탈취 에어 송급 유로(28)는, 어느 하나의 탈취기(16a,16b,16c)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를 통과하여 탈취된 탈취 에어(DA)를 탈취 에어 출구(26)로 송급하는 유로이고, 하류 단이 그 탈취 에어 출구(26)에 접속된 관로(28A)를 갖는다. 또한, 탈취 에어 출구(26)를 나온 탈취 에어(DA)는, 탈취 에어 배관(54) 및 탈취 에어덕트(56)를 통하여 탈취 대상 공간(DR)으로 공급된다. 상기의 관로(28A)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파이프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중에 복수(도시 실시형태에서는 3개)로 갈라져 나와 분기관(28A1,28A2,28A3…)이 되고, 그 상류 단이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된다. 또한, 관로(28A)의 도중에는 탈취 에어(DA) 중의 분진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중성능 필터(58)가 장착된다.
관로(28A)가 분기된 각 분기관(28A1,28A2,28A3…)의 각각에 밸브(29a,29b,29c…)가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밸브(29a,29b,29c…)를 개폐 조작함으로써 탈취 에어(DR)의 공급원이 전환된다.
냉각 회로(30)는,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의 가열 수단(46)을 작동시켜 흡착재(42)의 악취 성분 흡착 능력을 재생시킨 것을, 그 악취 성분 흡착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탈취기(16a,16b,16c)가 사용 가능한 온도까지 냉각하기 위한 회로로, 관로(30A)를 갖는다. 이 관로(30A)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파이프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이 분기되어 분기관(30A1,30A2,30A3…)이 되고,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된다. 또한, 그 타단도 분기되어 분기관(30Aa,30Ab,30Ac…)이 되고,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된다.
이 냉각 회로(30)의 관로(30A)에는 냉각 회로(30) 내의 에어를 순회시키는 냉각팬(34)이 장착되어 있고, 이 냉각팬(34)의 석션 측의 관로(30A)에는 관로(30A) 내의 에어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32)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그 냉각 장치(32)에서 냉각된 에어가 냉각팬(34)에서 흡인되게 되어 있다. 또한, 냉각 장치(32)로서는, 예를 들면, 칠러수를 통류시킨 냉각 코일로 에어를 냉각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관로(30A)가 분기된 각 분기관(30A1,30A2,30A3…)의 각각에 밸브(31a,3lb,31c…)가 장착되고, 또한, 각 분기관(30Aa,30Ab,30Ac…)의 각각에 밸브(33a,33b,33c…)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들 밸브(31a,3lb,31c… 및 33a,33b,33c…)를 개폐 조작함으로써 냉각 회로(30)에서 냉각하는 탈취기(16a,16b,16c)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팬(34)의 석션 측의 관로(30A)에서의 분기점으로부터 당해 냉각팬(34)의 석션까지의 사이에는, 외기 입구(48)에서 도출된 외기 도입 배관(50)의 하류 단이 접속된다. 여기서, 외기 도입 배관(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생 에어(CA)로서 냉각 회로(30)에서 추출된 분량의 에어를 외기로부터 보급하기 위한 배관이고,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파이프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이 외기 도입 배관(50) 위에는, 필요에 따라 외기를 냉각하기 위한 보조 냉각 장치(50a)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50b는 프레 필터, 부호 50c는 중성능 필터이며, 이들은 협동하여 외기 도입 배관(50)으로 도입하는 외기 중의 분진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는, 그 상류 단이 냉각 회로(30)의 일단과 상기 냉각 장치(32) 사이의 유로, 더 구체적으로는 관로(30A)에서의 냉각 장치(32)의 상류 측에 접속된 관로(36A)를 갖는다. 이 관로(36A)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파이프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류 측이 분기되어 분기관(36A1,36A2,36A3…)이 되고,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된다. 또한, 각 분기관(36A1,36A2,36A3…)의 각각에는 밸브(37a,37b,37c…)가 장착된다. 이 때문에, 이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는, 냉각 회로(30)를 순환하는 에어의 일부를 재생 에어(CA)로서 상기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송급할 수 있다.
또한, 이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의 관로(36A) 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의 재생 에어(CA)를 가열하는 보조 가열 수단(36a)이 설치된다. 이 보조 가열 수단(36a)은 탈취 장치가 설치되는 현장의 에너지 사정에 따라 그 열원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탈취 장치의 설치 현장에서, 열원으로서 포화증기를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1의 예와 같이, 보조 가열 수단(36a)으로서 증기 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착재(42) 재생시의 가열 수단(46)의 부하나 탈취 장치 토털에서의 에너지 코스트를 경감시킬 수 있다.
재생 에어 배출 유로(40)는 탈취기(16a,16b,16c…)에 공급된 재생 에어(CA)를 통하여,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의 흡착재(42)로 농축시켜서 이탈시킨 악취 성분을 분해시킨 후에 외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악취 성분을 동반한 재생 에어(CA)가 통류하는 관로(40A)를 갖는다. 이 관로(40A)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파이프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류 측이 분기되어 분기관(40A1,40A2,40A3…)이 되고,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된다. 또한, 각 분기관(40A1,40A2,40A3…)의 각각에는 밸브(41a,4lb,41c…)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 관로(40A)의 하류 단은 재생 배기구(38)에 접속되고, 그 하류 단과 관로(40A)의 분기점 사이에는, 악취 성분을 분해하기 위한 분해 장치(52)가 장착된다. 여기서, 이 분해 장치(52)는 악취 성분을 무취이며 무해한 상태로 분해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분해 방법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연소법, 오존 산화법, 촉매 분해법, 플라즈마 분해법 및 광 촉매 분해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60은, 탈취 대상 공간(DR)에 공급한 탈취 에어(DA)가 다시 악취 성분을 띠어 귀환 에어(RA)가 된 것이 모아지는 귀환 에어덕트이며, 부호 62는, 귀환 에어덕트(60) 내로 보내지는 귀환 에어(RA)를 귀환 에어 입구(20)로 송급하는 귀환 에어 배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탈취 장치를 사용하여 탈취 대상 공간(DR)에 악취가 제거된 탈취 에어(DA)를 공급할 때에는, 각 탈취기(16a,16b,16c…) 중 적어도 1기에서 탈취 에어(DA)의 생성을 행하고, 적어도 1기에서 내부의 흡착재(42)의 재생을 행하고, 적어도 1기에서 탈취 에어(DA) 생성 준비를 위한 냉각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1 및 2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탈취 장치에서는, 하단의 탈취기(16c)에서 탈취 에어(DA)의 생성을 행하는 동시에, 중단의 탈취기(16b)에서 흡착재(42)의 재생을 행하고, 상단의 탈취기(16a)에서 탈취 에어(DA) 생성 준비를 위한 냉각을 행하고 있다.
하단의 탈취기(16c)의 악취 성분 흡착 능력이 한계에 달하면, 목적으로 하는 악취 제거 레벨의 탈취 에어(DA)를 얻기 위해서 탈취기(16a,16b,16c)의 전환이 필요하게 된다. 그 전환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3이다. 즉, 도 1의 상태에 있는 탈취 장치에 대하여,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의 밸브(23c)를 폐(閉) 조작하는 동시에 밸브(23a)를 개(開) 조작한다. 또한, 탈취 에어 송급 유로(28)의 밸브(29c)를 폐 조작하는 동시에 밸브(29a)를 개 조작한다. 또한, 탈취기(16b)의 가열 수단(46)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탈취기(16c)의 가열 수단(46)을 작동시켜,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의 밸브(37b), 재생 에어 배출 유로(40)의 밸브(4lb) 및 냉각 회로(30)의 밸브(31a와 33a)를 폐 조작하는 동시에,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의 밸브(37c), 재생 에어 배출 유로(40)의 밸브(41c) 및 냉각 회로(30)의 밸브(3lb와 33b)를 개 조작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단의 탈취기(16a)에서 탈취 에어(DA)의 생성이 행하여지는 동시에, 중단의 탈취기(16b)에서 탈취 에어(DA) 생성 준비를 위한 냉각이 행하여지고, 하단의 탈취기(16c)에서 가열 수단(46)이 작동하여 흡착재(42)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이하, 이러한 각 밸브의 전환 조작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탈취기(16a,16b,16c)의 동작 전환이 순서대로 행하여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탈취 장치에서는, 고정식 탈취탑(18)을 3기의 탈취기(16a,16b,16c)로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고정식 탈취탑(18)을 4기 이상의 탈취기(16a,16b,16c…)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성되는 탈취 에어(DA)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각종 에어 통류 경로 전환시에서의 유로 내의 압력 변동이나 그에 따른 헌팅 등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10: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 12: 제1실, 14: 제2실, 16a·16b·16c: 탈취기, 18: 고정식 탈취탑, 20: 귀환 에어 입구, 22: 귀환 에어 공급 유로, 24: 처리팬, 26: 탈취 에어 출구, 28: 탈취 에어 송급 유로, 30: 냉각 회로, 32: 냉각 장치, 34: 냉각팬, 36: 재생 에어 송급 유로, 36a: 보조 가열 수단, 38: 재생 배기구, 40: 재생 에어 배출 유로, 42: 흡착재, 44: 케이싱, 46: 가열 수단, 48:외기 입구, 50: 외기 도입 배관, 50a: 보조 냉각 장치, 52: 분해 장치, DA: 탈취 에어, DR: 탈취 대상 공간, RA: 귀환 에어, CA: 재생 에어.

Claims (3)

  1.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를 통하여 그 내부 공간이 제1실(12) 및 제2실(14)로 구획된 탈취기(16a,16b,16c…)를, 적어도 3기 이상 구비한 고정식 탈취탑(18),
    상류 단이 귀환 에어 입구(20)에 접속되고, 하류 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된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로서, 그 도중에 설치된 처리팬(24)을 사용하여 탈취 대상 공간(DR)에서 배출된 귀환 에어(RA)를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공급하는 귀환 에어 공급 유로(22),
    상류 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되고, 하류 단이 탈취 에어 출구(26)에 접속된 탈취 에어 송급 유로(28)로서, 상기 중 어느 하나의 탈취기(16a,16b,16c…)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를 통과하여 탈취된 탈취 에어(DA)를 탈취 에어 출구(26)로 송급하는 탈취 에어 송급 유로(28),
    일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된 냉각 회로(30)로서, 그 유로의 도중에 설치된 냉각 장치(32)에서 냉각시킨 에어를 냉각팬(34)에서 흡인하여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송급하여 순환시키는 냉각 회로(30),
    상류 단이 상기의 냉각 회로(30)의 일단과 상기의 냉각 장치(32) 사이의 유로에 접속되고, 하류 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에 접속되고, 상기의 냉각 회로(30)를 순환하는 에어의 일부를 재생 에어(CA)로서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2실(14)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송급하는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 및
    상류 단이 상기의 각 탈취기(16a,16b,16c…)의 제1실(12)에 접속되고, 하류 단이 재생 배기구(38)에 접속된 재생 에어 배출 유로(40)를 구비하는 탈취 장치로서,
    상기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는 무기의 다공질 재료를 주체로 하고, 공기 중의 악취 성분을 물리적으로 흡착하는 입상 또는 괴상의 흡착재(42)와, 그 흡착재(42)를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의 탈취기(16a,16b,16c…)의 내부 공간을 서로 기체의 통류가 가능한 2개의 실(12,14)로 구획하는 통기성의 케이싱(44)과, 그 케이싱(44) 내에 수납된 상기 흡착재(42) 중에 매설됨으로써 당해 흡착재(42)를 바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46)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냉각 회로(30)에서의 상기의 냉각팬(34)의 석션 측에는, 상기의 재생 에어(CA)로서 상기의 냉각 회로(30)에서 추출된 분량의 에어를 외기로부터 보급하기 위한 외기 도입 배관(50)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의 재생 에어 배출 유로(40)에는, 재생 에어(CA) 중에 농축시킨 악취 성분을 분해시키기 위한 분해 장치(5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16a,16b,16c…)는, 그 내부 공간이 상기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로 높이 방향으로 이분되어, 상기의 악취 성분 흡착 구조체(10)의 상측에 제1실(12)이 형성되고, 하측에 제2실(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재생 에어 송급 유로(36)의 상류 측에, 상기의 재생 에어(CA)를 가열하는 보조 가열 수단(36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KR1020197019399A 2016-12-08 2016-12-08 탈취 장치 KR102011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05087 WO2018104986A1 (ja) 2016-12-08 2016-12-08 脱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134A true KR20190084134A (ko) 2019-07-15
KR102011260B1 KR102011260B1 (ko) 2019-08-16

Family

ID=6249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399A KR102011260B1 (ko) 2016-12-08 2016-12-08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45403B2 (ko)
KR (1) KR102011260B1 (ko)
CN (1) CN110035815A (ko)
TW (1) TWI723238B (ko)
WO (1) WO2018104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6885B2 (ja) * 2019-12-06 2023-10-0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ガス分離装置およびガス分離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705B1 (ko) * 1986-09-26 1990-09-17 미쯔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방향족 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KR20000037957A (ko) * 1998-12-03 2000-07-05 오희균 치조골 증대 장치
JP2002102645A (ja) 2000-10-04 2002-04-09 Seibu Giken Co Ltd 有機ガス濃縮装置
KR20060101361A (ko) * 2003-06-11 2006-09-2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터
KR20070008296A (ko) * 2005-07-13 200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주입 장치의 이온 소스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117A (ja) * 1993-04-27 1994-11-08 Ebara Corp 溶剤回収方法
JP2008018302A (ja) * 2006-07-11 2008-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溶剤濃縮装置
JP2008062174A (ja) * 2006-09-07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溶剤除去システム
TWM386483U (en) * 2010-01-13 2010-08-11 Harnkie Ind Co Ltd Adsorptive dryer capable of reducing regenerated discharge-gas
CN101912714B (zh) * 2010-08-16 2013-07-24 大拇指环保科技集团(福建)有限公司 一种大风量低浓度有机废气两步法回收装置及回收方法
CN202778225U (zh) * 2012-08-27 2013-03-13 厦门立基机械工业有限公司 内热式无耗气加热再生之吸附式干燥机
CN203750387U (zh) * 2014-04-02 2014-08-06 上海石大机电有限公司 三塔型热泵节能吸附式干燥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705B1 (ko) * 1986-09-26 1990-09-17 미쯔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방향족 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KR20000037957A (ko) * 1998-12-03 2000-07-05 오희균 치조골 증대 장치
JP2002102645A (ja) 2000-10-04 2002-04-09 Seibu Giken Co Ltd 有機ガス濃縮装置
KR20060101361A (ko) * 2003-06-11 2006-09-2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터
KR20070008296A (ko) * 2005-07-13 200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주입 장치의 이온 소스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04986A1 (ja) 2019-07-04
TWI723238B (zh) 2021-04-01
WO2018104986A1 (ja) 2018-06-14
JP6545403B2 (ja) 2019-07-17
TW201831843A (zh) 2018-09-01
CN110035815A (zh) 2019-07-19
KR102011260B1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4806B1 (en) Fuel cleaning for gas fired engines
US75376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charging and dehumidifying air in a cooking area
WO2009002295A1 (en) Purification of a fluid using ozone with an adsorbent and/or a particle filter
CN109477649B (zh) 用于管理封闭环境中的空气条件的空气处理系统
JP4972987B2 (ja) ガス処理装置
JP2012166128A5 (ko)
KR102011260B1 (ko) 탈취 장치
KR101929418B1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식품 조리과정의 악취 제거 장치
KR100550517B1 (ko) 활성탄섬유를 이용한 먼지 및 악취 동시 제거장치
KR102506391B1 (ko) 유해가스 정화장치
WO2018167832A1 (ja) 脱臭装置
JP2002165869A (ja) フィルター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WO2002051454A1 (ja) 汚染空気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5290782B2 (ja) 循環型換気システムにおける空気中汚染物質除去装置
KR102127618B1 (ko) 제습 장치
JP3929719B2 (ja) 脱臭装置および脱臭方法
KR102388946B1 (ko)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1937966B1 (ko) 건식 탈취기
JP2006239116A (ja) Voc除去システム
JPH11347334A (ja) 脱臭ユニットおよび脱臭装置
JP3549574B2 (ja) 脱臭装置
KR20240052003A (ko) 가스 흡착 시스템
JP2023059419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吸着剤再生方法
TWI324673B (ko)
JP2002107070A (ja) 流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