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930A -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930A
KR20190083930A KR1020180001959A KR20180001959A KR20190083930A KR 20190083930 A KR20190083930 A KR 20190083930A KR 1020180001959 A KR1020180001959 A KR 1020180001959A KR 20180001959 A KR20180001959 A KR 20180001959A KR 20190083930 A KR20190083930 A KR 20190083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input
sensor electrode
receiv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471B1 (ko
Inventor
석동희
권기덕
이종복
노희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471B1/ko
Priority to US16/199,694 priority patent/US11142233B2/en
Priority to CN201811425387.XA priority patent/CN110040148B/zh
Publication of KR2019008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1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detection at multiple resolutions, e.g. coarse and fine scanning; using detection within a limited area, e.g. object tracking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2Instrument input devices with reconfigurable control functions, e.g. reconfigurable men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4Tou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46Touch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2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steering whe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2017/9602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03K2217/960775Emitter-receiver or "fringe" type detection, i.e. one or more field emitting electrodes and corresponding one or more receiv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스티어링 휠은 휠 프레임,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형성되고,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센서 전극, 및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의 터치 영역을 기초로 차량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STEERING WHE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차량의 부가 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 스마트폰 사용 및 차량의 부가 기능 사용으로 인해 운전자의 주의력이 분산될 수 있다. 특히,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파지하지 않은 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파지하지 않은 경우, 차량의 방향 제어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심각한 교통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차량에는 주행 중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저감시키고,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스티어링 휠 상에 터치 입력부가 마련되었고,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차량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개시된 실시예는 스티어링 휠의 림을 터치 입력부로 사용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과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스티어링 휠은 휠 프레임, 레임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형성되고,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센서 전극, 및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의 터치 영역을 기초로 차량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휠은 센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 전극의 정전 용량 변화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운전자의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터치 영역의 주변에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터치 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프셋만큼 떨어진 영역을 조작용 터치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터치 영역으로부터 상반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오프셋만큼 떨어진 두 영역을 조작용 터치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입력의 수신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오프셋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입력의 수신 지점과 손바닥에 의한 터치 영역의 어느 한 지점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오프셋을 변경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는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고,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하고,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 중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아니한 조작용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비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베이스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센서 전극은, 베이스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에 도금 또는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휠 프레임은 림을 포함하고, 베이스는 림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는 복수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베이스는 각각 림의 서로 다른 영역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휠 프레임은 스포크를 포함하고, 스티어링 휠은 스포크에 배치되고, 센서 IC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은 센서 전극과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베이스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와, 인쇄회로기판과 접속하도록 마련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몸체부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전극은, 제 1 센서 전극과, 제 1 센서 전극과 중첩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 2 센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 전극과 제 2 센서 전극은 같은 레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제어방법은, 스티어링 휠은 휠 프레임 및 휠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베이스에 형성되고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센서 전극이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의 터치 영역을 기초로 차량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의 림을 터치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 마련된 스티어링 휠 상의 터치 입력부의 조작의 활용도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조작 명령의 입력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로서, 스티어링 휠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에서, 베이스 및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에서, 베이스 및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티어링 휠의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제스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학습을 통해 새롭게 설정된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로서, 스티어링 휠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은 휠 프레임(101)과, 휠 프레임(101)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결합되는 커넥터(120)와, 인쇄회로기판(130) 및 인쇄회로기판(130)에 실장되는 센서 IC(131)를 포함할 수 있다.
휠 프레임(101)은 도넛 형상의 림(rim)과, 스티어링 휠(100)의 중심축과 휠 프레임(101)을 연결하는 스포크(spoke)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3개의 스포크가 마련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스포크의 개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림은 스티어링 휠(100)의 파지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림을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파지하여 스티어링 휠(100)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림 파지 여부로부터 스티어링 휠(100)의 파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00)은 센서 전극이 휠 프레임(101)의 림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티어링 휠(100)은 운전자가 림의 센서 전극을 터치하는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운전자의 센서 전극 터치 여부로부터,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100) 파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림의 센서 전극은 터치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는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마스킹층(mask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킹층은 베이스(110)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이 직접 노출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이용하여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LDS 공법은 비전도성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지지재를 형성하고, 지지재의 일부를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 시드를 노출시킨 후, 지지재를 금속화(Metalizing) 하여 지지재의 레이저 노출 부위에 도전성 구조를 형성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베이스(110)는 전극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홈은 베이스(110)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홈에 도금 또는 증착 공정을
휠 프레임(101)의 외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휠 프레임(101)의 림은 그 외면이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휠 프레임(101)의 림을 커버하도록 휠 프레임(101)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이 LDS 공법에 의해 형성되므로, 베이스(110)가 다각면이나 곡면에 결합되더라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휠 프레임(101)에 베이스(110) 및 커넥터(120)가 결합된 후, 스티어링 휠 커버(미도시)가 휠 프레임(101)을 커버하도록 휠 프레임(101)에 결합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커버(미도시)는 스티어링 휠(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커버의 재질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가죽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림의 상면 및 측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림의 상면은 운전자와 마주보는 면을 가리킬 수 있다.
베이스(110)는 림의 상면과 측면뿐만 아니라 후면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파지할 때, 스티어링 휠의 전면과 측면을 우선적으로 터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비용절감을 위해 림의 상면 및 측면 일부만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베이스(110)에 형성되는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커넥터(120)는 베이스(11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베이스(110)와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넥터(120)는 베이스(110)에 형성된 센서 전극(111 내지 114)과 인쇄회로기판(130)에 실장된 센서 IC(1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배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20)는 베이스(110)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121)와, 몸체부(121)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22)와, 연장부(122)의 일 단에 마련되어 인쇄회로기판(130)과 접속되는 접속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1)는 복수의 연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4)는 후술할 센서 전극의 끝단부(112, 114)와 솔더링에 의해 연결 및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24)와 센서 전극의 끝단부(112, 114)가 솔더링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커넥터(120)의 배선부(미도시)와 베이스(110)의 센서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122)는 휠 프레임(101)의 측면 및 후면을 거쳐 인쇄회로기판(130)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122)는 몸체부(121)와 인쇄회로기판(130)을 연결하기 위해 몸체부(1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22)의 위치는 제한이 없으나, 스포크(spoke, 102)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30)과의 거리가 줄어들도록 스포크(spoke, 102)와 가까운 몸체부(121)의 일 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20)는 연장부(122)의 일 단에 마련되는 접속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23)는 인쇄회로기판(130)에 마련되는 기판 접속부(132)와 접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속부(123)가 기판 접속부(132)와 연결되면, 커넥터(120)를 통해 베이스(110)와 인쇄회로기판(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부(123)는 기판 접속부(132)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접속부 및 기판 접속부 없이 직접 연장부(122)를 인쇄회로기판(130)에 솔더링 등을 통해 연결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130)은 센서 IC(131)와 기판 접속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IC(131)는 복수개의 센서 전극들(111 내지 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IC(131)는 운전자가 센서 전극(111 내지 114)으로 근접하거나 터치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기판 접속부(1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부(123)와 접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판 접속부(132)는 센서 IC(131)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은 커넥터(120)의 배선부(미도시) 및 접속부(123)를 통해 기판 접속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판 접속부(132)는 센서 IC(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은 센서 IC(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넥터는 베이스(11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배선부(미도시)는 센서 전극(111 내지 114)과 마찬가지로 LDS 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와 베이스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솔더링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배선부(미도시)는 센서 전극(111 내지 114)과 마찬가지로 마스킹층(masking layer, 미도시)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림(rim)은 대략 도넛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림(rim)은 안쪽 측면과 바깥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안쪽 측면은 스포크(spoke)와 연결되는 림(rim)의 일면을 가리킨다.
배선부(미도시)는 림(rim)의 안쪽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00)을 파지할 때, 일반적으로 림(rim)의 안쪽 측면에는 운전자의 손가락 등이 닿지 않는다. 따라서, 림(rim)의 안쪽 측면은 대체로 운전자의 신체에 의한 훼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운전자의 신체가 닿지 않는 영역이므로 센서 전극이 마련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배선부(미도시)는 림(rim)의 안쪽 측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부에 손상이 생기면, 센서 전극과 센서 IC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어 센서 전극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다. 림(rim)의 안쪽 측면에 배선부가 마련되면, 림(rim)의 안쪽 측면에는 운전자의 신체가 일반적으로 닿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신체에 의해 배선부가 훼손될 가능성이 낮다. 또한, 운전자의 신체가 닿지 않아 운전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전극이 마련될 필요성이 적고, 이 영역에 배선부를 배치함으로써 다른 영역에 센서 전극을 보다 넓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10) 및 커넥터(1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및 커넥터(120)는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10)와 커넥터(12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센서 IC(131) 또한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0)은 복수의 센서 IC(131)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센서 IC(131)의 개수보다 작은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0)은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100)은 복수의 센서 IC(131)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될 수 있다.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된 경우, 연성인쇄회로기판(133)에 의해 제어부(140)와 인쇄회로기판(130)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 IC(131)와 함께 인쇄회로기판(1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스티어링 휠(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4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복수의 센서 IC(131)의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서(Processor)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내비게이션 장치, 음향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등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헤드 유닛(Head Unit)에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센서 IC(13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센서 IC(131)를 제어하는 중에 발행하는 제어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DSP 등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러한 프로세서는 논리 연산 및 산술 연산 등을 수행하는 연산 회로와, 연산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의 자세한 제어 과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에서, 베이스 및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복수개의 센서 전극들(111 내지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센싱 영역을 보정하도록 마련되는 그라운드 전극(115, 11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전극들(111 내지 114)이 각각 베이스(110)의 다른 영역에 마련됨으로써 운전자는 서로 다른 센싱 영역에서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은 베이스(110)를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 시드를 노출시킬 후, 이를 금속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 전극들(111 내지 114)은 소정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센서 전극들(111 내지 114)은 복수개의 제 1 센서 전극들(111, 112)과 복수개의 제 2 센서 전극들(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 전극(111, 112)과 제 2 센서 전극(113, 114)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센서 전극(111, 112)과 제 2 센서 전극(113, 114)은 같은 레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센서 전극(111, 112)과 제 2 센서 전극(113, 114)은 개수 대비 센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은 대략 삼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센서 전극(111, 112)과 제 2 센서 전극(113, 114)은 셀프 캐패시턴스(self capacitance)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셀프 캐패시턴스(self capacitance) 방식의 경우, 제 1 센서 전극(111, 112)과 제 2 센서 전극(113, 114)은 각각 독립적인 센서로 센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센서 전극은 센서 전극 표면과 운전자의 손가락 등 신체 부위 사이의 정전 용량 값을 측정하고, 운전자와 센서 전극이 가까워질수록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값이 증가한다.
제 1 센서 전극(111, 112)과 제 2 센서 전극(113, 114)은 상호 캐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센서 전극(111, 112)이 Tx전극이면 제 2 센서 전극(113, 114)은 Rx 전극일 수 있고, 제 1 센서 전극(111, 112)이 Rx 전극이면 제 2 센서 전극(113, 114)은 Tx 전극일 수 있다. 상호 캐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방식의 경우, 제 1 센서 전극(111, 112)과 제 2 센서 전극(113, 114)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 값을 측정하고, 운전자의 손가락 등 신체 부위가 센서 전극에 접근할수록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값은 감소한다.
제 1 센서 전극의 끝단부(112)와 제 2 센서 전극의 끝단부(114)는 각각 커넥터(120)의 연결부(124)와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라운드 전극(115, 116)은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센싱 영역을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수직 방향으로 보정할 수 있고, 노이즈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다.
그라운드 전극의 끝단부(116)는 센서 전극의 끝단부(112, 114)와 마찬가지로 솔더링에 의해 커넥터(120)의 연결부(124)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에서, 베이스 및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복수개의 센서 전극들(211 내지 214)과 그라운드 전극(215, 21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전극(211 내지 214)의 형상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센서 전극(211, 212)과 제 2 센서 전극(213, 214)는 소정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 1 센서 전극(211, 212)과 제 2 센서 전극(213, 214)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전극(211 내지 214)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210)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노출된 금속 시드를 금속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센서 전극(211, 212)과 제 2 센서 전극(213, 214)은 각각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을 가지며, 돌출된 영역과 함몰된 영역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센서 전극의 끝단부(212)와 제 2 센서 전극의 끝단부(214)는 각각 커넥터(120)의 연결부(124)와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라운드 전극(215, 216)은 센서 전극(211 내지 214)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 전극(211 내지 214)의 센싱 영역을 센서 전극(211 내지 214)의 수직 방향으로 보정할 수 있고, 노이즈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다.
그라운드 전극의 끝단부(216)는 센서 전극의 끝단부(212, 214)와 마찬가지로 솔더링에 의해 커넥터(120)의 연결부(124)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제어부(140)가 센서 IC(131)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스티어링 휠의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제스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티어링 휠(100)은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110)에 마련된 복수개의 센서 전극들(111 내지 114)을 통해 차량의 클러스터 또는 AVN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정보에 관한 선택 명령, 클러스터 또는 AVN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그 밖의 차량의 내부 구성을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조작용 터치 영역은 이러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입력 영역을 나타낸다.
제어부(140)는 각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각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터치 영역을 기초로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각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미만이면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 신호에 대해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을 판단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및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을 판단하기 위한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서 판단된 경우, 터치 영역을 블롭 영역(a1)으로서 설정하고, 블롭 영역(a1)을 기준으로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을 설정하고,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은 블롭 영역(a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프셋(d)만큼 떨어진 두 일부 영역(a2, a3)이 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오프셋(d)은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운전자가 이전에 수동으로 입력한 값일 수 있고, 제어부(140)의 학습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제어부(140)가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을 활성화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100)의 내부 구성을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을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조작용 터치 영역(a2 또는 a3)의 어느 센서 전극(111 내지 114)에 터치 입력을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터치 조작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은 센서 IC(131)을 제어하여,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어부(141)는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해, 센서 전극(111 내지 114)에 전압을 공급하거나 공급된 전압을 차단하도록 센서 IC(13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U1)을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오른손(U1)의 손가락은 블롭 영역(a2)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에 놓인 상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2)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a1)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에 놓인 상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2)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블롭 영역(a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에 놓인 하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2)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블롭 영역(a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에 놓인 하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2)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운전자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U2)을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왼손(U2)의 손가락은 블롭 영역(a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에 놓인 하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3)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a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에 놓인 하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3)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블롭 영역(a1)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에 놓인 상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2)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조작용 터치 영역(a2, a3) 내 지점에 대한 학습을 통해 오프셋을 새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학습을 통해 새롭게 설정된 오프셋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이 어느 한 조작용 터치 영역(a2)에서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오프셋(d)의 설정값을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a1)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p)까지의 거리를 새로운 오프셋(d')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블롭 영역(a1)의 상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2)의 어느 한 지점(p)에서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a1)의 중심점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p)까지의 거리를 새로운 오프셋(d')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의 수신 지점에 따라 오프셋(d)이 확장되거나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작용 터치 영역(a2, a3) 또한 위치가 변경(a2, a3 -> a2', a3')될 수 있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이 여러 번 어느 한 조작용 터치 영역(a2)에서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오프셋(d)의 설정값을 터치 입력이 수신된 복수개의 지점들(p1-p4)의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a1)의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된 복수개의 지점들(p1-p4)의 중심점(pc)까지의 거리를 새로운 오프셋(d')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블롭 영역(a1)의 상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a2)의 복수개의 지점들(p1-p4)에서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a1)의 중심점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된 복수개의 지점들(p1-p4)의 중심점(pc)까지의 거리를 새로운 오프셋(d')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롭게 설정된 오프셋(d')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다음 번 제어부(140)가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조작용 터치 영역(a2, a3)의 위치가 변경(a2, a3 -> a2', a3')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00)의 오른편에서 터치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기술되었으나,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00)의 왼편에서 왼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블롭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에 놓인 상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에 놓인 하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반대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00)의 왼편에서 오른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블롭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에 놓인 하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에 놓인 상단의 조작용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100)의 어느 위치에서든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한편,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는 비활성화되었던 나머지 조작용 터치 영역 또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시간(예를 들어, 10초) 이상 블롭 영역에서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즉, 손바닥의 파지가 없는 경우), 조작용 터치 영역을 모두 비활성화한다. 그리고, 다시 터치 입력부(12b)가 수신한 운전자의 새로운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터치 입력이 수신된 터치 입력부(12b)의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블롭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스티어링 휠(1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스티어링 휠(100)의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기술되는 스티어링 휠(100)의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도 8b와 관련하여 전술한 스티어링 휠(10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시동이 켜진 후(1110), 센서 IC(131)가 적어도 어느 한 센서 전극(111 내지 114)에의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1111), 제어부(140)가 감지된 터치 입력이 운전자의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112).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은 적어도 어느 한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정전 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운전자의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어부(140)가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개수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제어부(140)는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서 판단하고, 기준 개수 미만이면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이 운전자의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터치 입력 신호에 대해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거나, 고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이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서 판단되면(1112의 "예"), 감지된 터치 영역을 블롭 영역으로서 설정한다(1113). 그러나,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이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서 판단되지 아니하면(1112의 "아니오"), 차량의 시동이 꺼지기 전까지(1121의 "아니오") 운전자의 터치 입력(1111)을 수신하고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1112)을 수행한다.
감지된 터치 영역을 블롭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111 내지 114)이 이루는 터치 영역을 블롭 영역으로서 설정하거나,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111 내지 114)과 그 주변 센서 전극(111 내지 114)들을 블롭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설정된 블롭 영역을 기준으로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시킨다(1114).
조작용 터치 영역은 블록 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프셋만큼 떨어진 하나 이상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블롭 영역으로부터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오프셋만큼 떨어진 두 영역을 조작용 터치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오프셋은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운전자가 이전에 수동으로 입력한 값일 수 있고, 제어부(140)의 학습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제어부(140)가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하면 운전자는 조작용 터치 영역에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AVN 또는 클러스터 등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 내에서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15).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조작용 터치 영역이 복수개 설정된 경우, 터치 입력이 수행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운전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1115의 "예"),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오프셋을 변경하고(즉, 오프셋 학습),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이 설정된 경우, 터치 입력이 수행된 조작용 터치 영역 외 터치 입력이 수행되지 아니한 나머지 조작용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시킨다(1116). 오프셋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a 및 도 8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40)는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 내에서 계속적으로 터치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의 활성화를 유지시키나, 제 1 기준 시간 동안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즉, 터치 입력이 없는 상태로 제 1 기준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1117의 "예"), 비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하고(1119), 이에 따라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이 모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비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하는 것(1119)은 제 1 기준 시간보다 큰 값을 갖는 제 2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 내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로(1115의 "아니오") 제 2 기준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1117의 "예", 1118의 "예"), 제어부(140)는 더 이상 센서 전극(111 내지 114)에 터치 입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한다(1120).
다만, 조작용 터치 영역이 비활성화되더라도, 터치 입력부(12b)는 차량의 시동이 꺼지기 전까지(1121의 "아니오") 여전히 운전자의 터치 입력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1111), 전술한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을 재감지함으로써(1112) 제어부(140)는 블록 영역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스티어링 휠
101 : 휠 프레임
110 : 베이스
111, 112, 113, 114 : 센서 전극
115, 116 : 그라운드 전극
120 : 커넥터
130 : 인쇄회로기판
131 : 센서 IC

Claims (20)

  1. 휠 프레임;
    상기 휠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센서 전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의 터치 영역을 기초로 차량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 전극의 정전 용량 변화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IC를 더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상기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터치 영역의 주변에 상기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스티어링 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터치 영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오프셋만큼 떨어진 영역을 상기 조작용 터치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스티어링 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이 수신된 터치 영역으로부터 상반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오프셋만큼 떨어진 두 영역을 상기 조작용 터치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스티어링 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입력의 수신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을 변경하는 스티어링 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수신 지점과 상기 손바닥에 의한 터치 영역의 어느 한 지점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을 변경하는 스티어링 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는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 중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아니한 조작용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하는 스티어링 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작용 터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비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활성화하는 스티어링 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활성화된 조작용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하는 스티어링 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전극은, 상기 베이스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에 도금 또는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프레임은 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림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복수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는 각각 상기 림의 서로 다른 영역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프레임은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IC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전극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속하도록 마련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전극은,
    제 1 센서 전극과,
    상기 제 1 센서 전극과 중첩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 2 센서 전극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전극과 상기 제 2 센서 전극은 같은 레이어 상에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
  20. 스티어링 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휠 프레임 및 상기 휠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센서 전극이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센서 전극의 터치 영역을 기초로 차량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용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의 제어방법.
KR1020180001959A 2018-01-05 2018-01-05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 KR10250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59A KR102504471B1 (ko) 2018-01-05 2018-01-05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
US16/199,694 US11142233B2 (en) 2018-01-05 2018-11-26 Steering whe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811425387.XA CN110040148B (zh) 2018-01-05 2018-11-27 方向盘及用于控制方向盘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59A KR102504471B1 (ko) 2018-01-05 2018-01-05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930A true KR20190083930A (ko) 2019-07-15
KR102504471B1 KR102504471B1 (ko) 2023-02-28

Family

ID=6714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959A KR102504471B1 (ko) 2018-01-05 2018-01-05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42233B2 (ko)
KR (1) KR102504471B1 (ko)
CN (1) CN1100401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975B1 (ko) * 2019-12-19 2021-04-2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8201B2 (en) * 2016-08-30 2020-01-07 Tactual Labs Co. Toroidal sensor
KR102534668B1 (ko) * 2018-01-05 202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IT201800010761A1 (it) 2018-12-04 2020-06-04 Irca Spa Sensore per volante
LU101450B1 (en) * 2019-10-18 2021-04-20 Iee Sa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Hand Grasp with a Two-Zone Sensor in the Steering Wheel
DE102019119860A1 (de) * 2019-07-23 2021-01-28 ZF Automotive Safety Germany GmbH Lenkvorrichtungssensor, messsystem, bediensystem und lenkvorrichtung
US20210061355A1 (en) * 2019-08-28 2021-03-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easurement device
TWI736090B (zh) * 2019-12-30 2021-08-1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方向盤裝置、汽車及基於方向盤裝置的汽車控制方法
JP7402749B2 (ja) * 2020-06-01 2023-12-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静電センサ、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370471B2 (en) * 2020-08-17 2022-06-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eering wheel having proximity sensor inputs
DE102021110299A1 (de) * 2021-04-22 2022-10-27 Preh Gmbh Lenkrad mit adaptiv kapazitiver Berührerkennung, zugehörige Anordnung und Kraftfahrzeug
CN113834994A (zh) * 2021-10-27 2021-12-24 均胜均安汽车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离手检测方向盘的模拟触摸装置
CN115140148A (zh) * 2022-06-24 2022-10-04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触控式方向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3182B2 (ja) * 2002-05-29 2008-07-09 ヨンス チョー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表面に柄を自動転写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156107A1 (en) * 2011-08-11 2014-06-05 JVC Kenwood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arget device in vehicle, and steering wheel
WO2015186295A1 (ja) * 2014-06-06 2015-1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静電式把持検出装置
JP2017149247A (ja) * 2016-02-24 2017-08-31 日立金属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用スイッチ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7183296A1 (ja) * 2016-04-18 2017-10-26 タカタ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3628A1 (en) * 2004-08-12 2006-02-16 Landon Duval Steering wheel vapor collection and sensing system using a chemical element
WO2006064073A1 (es) * 2004-12-16 2006-06-22 Martin Alvarez, Juan Carlos Dispositivo para prevenir accidentes en caso de adormecimiento o desatencion del conductor de un vehículo
US8198996B2 (en) * 2009-09-08 2012-06-12 Adam Simon Golomb Integrated vehicle turn signal system and apparatus
US20120271500A1 (en) * 2011-04-20 2012-10-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driver to input a vehicle control instruction into an autonomous vehicle controller
US9159221B1 (en) * 2012-05-25 2015-10-13 George Stantchev Steering wheel with remote control capabilities
KR101484207B1 (ko) * 2013-03-15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탑재기기의 조작 장치
JP5784061B2 (ja) * 2013-03-27 2015-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入力プログラム
KR101491284B1 (ko) * 2013-07-25 2015-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도 변경 및 압력 수신이 가능한 스티어링 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180812B2 (en) * 2014-02-04 2015-11-10 Bobby Ray Colvin, Sr. Steering wheel cover with driver alert system
JP6482760B2 (ja) * 2014-02-07 2019-03-13 株式会社フジクラ 静電容量センサ及びステアリング並びに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WO2016079904A1 (ja) * 2014-11-19 2016-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FR3023528A1 (fr) * 2014-12-09 2016-01-15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interaction pour ajuster un parametre depuis le volant d'un vehicule
CN107207029A (zh) * 2015-02-10 2017-09-26 大陆汽车有限公司 智能汽车方向盘安全系统
KR101668248B1 (ko) * 2015-05-12 2016-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입력 장치 및 차량
US10293783B2 (en) * 2016-05-19 2019-05-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river detection steering wheel
KR102333631B1 (ko) * 2017-07-21 2021-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534668B1 (ko) * 2018-01-05 202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US11260772B2 (en) * 2019-10-30 2022-03-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at detect and remedy battery health condi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3182B2 (ja) * 2002-05-29 2008-07-09 ヨンス チョー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表面に柄を自動転写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156107A1 (en) * 2011-08-11 2014-06-05 JVC Kenwood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arget device in vehicle, and steering wheel
WO2015186295A1 (ja) * 2014-06-06 2015-1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静電式把持検出装置
JP2017149247A (ja) * 2016-02-24 2017-08-31 日立金属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用スイッチ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7183296A1 (ja) * 2016-04-18 2017-10-26 タカタ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975B1 (ko) * 2019-12-19 2021-04-2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40148B (zh) 2023-09-12
US20190210630A1 (en) 2019-07-11
US11142233B2 (en) 2021-10-12
KR102504471B1 (ko) 2023-02-28
CN110040148A (zh)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3930A (ko)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
KR102534668B1 (ko) 스티어링 휠
US10241579B2 (en) Force based touch interface with integrated multi-sensory feedback
KR102333631B1 (ko)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573727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99260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in-vehicle devices using steering wheel
KR10179699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6192384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097735A1 (en) Changing the detection range of a touch sensor
US10365772B2 (en) Touch detection apparatus and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JP614450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6622264B2 (ja) 車載機器操作支援システム
US10336361B2 (en) Vehicle accessory control circuit
CN116507996A (zh) 基于力触摸显示器锁定触摸位置相关输入区的系统及方法
JP6692041B2 (ja) 入力装置
JP2013033309A (ja) タッチパネル入力操作装置
KR20220042904A (ko) 스티어링 휠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04412A (ko)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7474A (ko) 근접센서
US11507219B2 (en) Touch panel apparatus
US20230136017A1 (en) Motion gesture sens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unit manipulation system having same
KR101856932B1 (ko) 무선충전 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5887114B2 (ja) タッチ式センサ
KR20210079449A (ko) 스티어링 휠
KR20190083927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