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449A -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449A
KR20210079449A KR1020190170593A KR20190170593A KR20210079449A KR 20210079449 A KR20210079449 A KR 20210079449A KR 1020190170593 A KR1020190170593 A KR 1020190170593A KR 20190170593 A KR20190170593 A KR 20190170593A KR 20210079449 A KR20210079449 A KR 2021007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rea
driver
steering wheel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301B1 (ko
Inventor
홍정우
서태인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3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터치한 영역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운전자의 손의 터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과 대응되는 제 1 터치 영역, 상기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과 대응되는 제 2 터치 영역 및 상기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제 3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손바닥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 상기 제 3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엄지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영역이 동시에 감지되거나 상기 제 1 내지 제 3 터치 영역이 동시에 감지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 중 적어도 하나의 손이 상기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터치 영역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을 구분하고 파지 형태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실시예는 터치 기능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멀티미디어 장치, 공조 장치 등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USB, 스마트폰 등을 연결하여 원하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고, 차량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거나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조 장치를 통해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은 다양한 장치를 포함하며, 차량 내부에는 상기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입력 장치는 각각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버튼을 포함하며 차량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영역에 제공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운전 중에 장치 제어를 위해 버튼을 조작할 경우,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심한 경우 운전자의 시선이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다양한 기능을 포함함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하는 과정에 버튼을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멀티미디어 장치, 핸즈프리, 공조 장치, 차량의 시스템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장치가 배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입력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림(rim) 안쪽에 배치된다. 자세하게, 상기 입력 장치는 에어백, 경음기 등이 배치된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와 스티어링 휠의 림(rim)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제공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파지할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회전할 경우 상기 입력 장치 역시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여 위치가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회전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입력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스티어링 휠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운전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오른손 및 왼손을 구분하며 파지 여부 및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오른손 및 왼손에 각각 할당된 터치 명령 입력을 오차 없이 입력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안전하게 주행하면서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운전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오른손 및 왼손을 구분하며 파지 여부 및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오른손 및 왼손에 각각 할당된 터치 명령 입력을 오차 없이 입력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안전하게 주행하면서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터치한 영역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운전자의 손의 터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과 대응되는 제 1 터치 영역, 상기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과 대응되는 제 2 터치 영역 및 상기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제 3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손바닥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 상기 제 3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엄지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영역이 동시에 감지되거나 상기 제 1 내지 제 3 터치 영역이 동시에 감지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 중 적어도 하나의 손이 상기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터치 영역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을 구분하고 파지 형태를 판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오른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오른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내는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내는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이 회전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파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양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을 오른손 및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이 적용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 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은 제 1 및 제 2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방향은 도면의 x축 및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도면의 z축 방향으로 상기 x축 및 y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은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은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속, 수지 등의 재질을 기본 골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골조 외측에 합성 수지, 가죽 등을 포함하는 표피층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은 본체(100), 터치 감지부(3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지지하는 구조체로 중앙부(110), 림(rim)부(13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중심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0)에는 에어백, 경음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림부(13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중앙부(110)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110)와 이격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림부(130)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중앙부(110)와 상기 림부(130)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중앙부(110) 및 상기 림부(130)를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림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운전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상기 본체(100) 중 운전자의 손과 접하는 림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서로 다른 운전자의 터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운전자에 따라 다른 다양한 파지법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림부(130) 전체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다양한 운전자가 상기 림부(130)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도 운전자의 터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플렉서블(flexible)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표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표피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하나 또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정전 용량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운전자의 접촉에 의해 변화하는 정전 용량 값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감압식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운전자의 감압에 의해 검출되는 전극 좌표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여 절전 기능을 위해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도 1과 같이 제 1 영역(A1),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영역(A1), 상기 제 2 영역(A2) 및 상기 제 3 영역(A3) 각각의 양 끝단과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중심이 이루는 중심각은 120도일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다양한 운전자의 파지 형태, 파지 습관 등을 고려하여 분할된 제 1 내지 제 3 영역(A1, A2, A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손이 상기 제 1 영역(A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A2) 상에는 배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영역(A1)은 활성 모드(On mode)로 전환되어 터치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A2) 및 상기 제 3 영역(A3)은 비활성 모드(Off mode)로 전환되어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각각의 양 끝단과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중심이 이루는 중심각은 180도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가상의 수직선 및 수평선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 1 내지 제 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영역 각각의 양 끝단과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중심이 이루는 중심각은 90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운전자의 터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손이 접촉하지 않는 터치 영역을 비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제 1 터치 감지부 및 제 2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는 운전자와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는 운전자의 손바닥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는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과 접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는 운전자의 손바닥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접촉 시 손바닥이 접촉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차량의 전면 유리와 마주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운전자의 손가락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손가락과 접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운전자의 손가락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접촉 시 손가락이 접촉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림부(130)의 전체 둘레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이격된 독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운전자의 터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의 표면적은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의 표면적보다 클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림부(130)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림부(130)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림부(130)에서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가 배치된 영역의 중심각은 제 1 중심각(θ1)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가 배치된 영역의 중심각은 제 2 중심각(θ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각은 제 1 터치 감지부 및 제 2 터치 감지부 각각의 양 끝단과 상기 림부의 중심이 이루는 중심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중심각(θ1) 및 상기 제 2 중심각(θ2)의 합은 36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중심각(θ1)은 약 210도 내지 약 270도일 수 있고, 상기 제 2 중심각(θ2)은 약 90도 내지 약 150도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중심각(θ1)은 약 220도 내지 약 260도일 수 있고, 상기 제 2 중심각(θ2)은 약 100도 내지 약 140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중심각(θ1)이 약 210도 미만이고, 상기 제 2 중심각(θ2)이 약 150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300)를 통해 운전자의 손바닥 및 손가락을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상기 범위에서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 운전자의 손가락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나,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운전자의 손바닥을 감지하는 영역의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1000)과 다양한 방향으로 접하는 운전자의 손바닥을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와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이 접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어 운전자의 손가락을 오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중심각(θ1)이 약 270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 2 중심각(θ2)이 약 90도 미만인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300)를 통해 운전자의 손바닥 및 손가락을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상기 범위에서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 운전자의 손바닥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나,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운전자의 손가락을 감지하는 영역의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1000)과 다양한 방향으로 접하는 운전자의 손가락을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이 접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어 운전자의 손바닥을 오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는 다양한 운전자의 각기 다른 체형, 파지 각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중심각(θ1)은 약 230도 내지 250도이고, 상기 제 2 중심각(θ2)은 약 110도 내지 130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다양한 운전자의 손바닥 및 손가락과 대응되는 최적의 표면적 및 감지 각도를 가질 수 있어, 운전자의 손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신호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가 감지한 정전 용량 값의 변화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손의 접촉 상태, 터치 영역 등 운전자 손의 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가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림부(130)에 접촉한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구분할 수 있고, 손의 파지 상태, 파지 형태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에 의해 인가된 터치 신호를 바탕으로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운전하는 도중에 상기 터치 감지부(300)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제공된 상기 터치 입력을 바탕으로 공조 장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가 운전자의 손을 감지 및 판단하고,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오른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오른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내는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내는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에 앞서 각 도면의 (a)도면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의 정면도이고, (b)도면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의 후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운전자의 오른손 또는 왼손이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오른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운전자의 오른손은 상기 림부(130)의 일 영역을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운전자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제 1 영역(A1)을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의 오른손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오른손 손등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오른손 손바닥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오른손 손가락은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상기 운전자의 손에 의해 감지되는 터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1 터치 영역(TA1), 제 2 터치 영역(TA2) 및 제 3 터치 영역(T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은 운전자의 오른손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면적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과 접촉하는 다양한 운전자의 평균 손바닥 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운전자의 오른손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오른손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과 이격되며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의 제 1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상기 제 1 면적보다 작은 제 2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면적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과 접촉하는 다양한 운전자의 평균 손가락 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는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적어도 한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운전자의 오른손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과 이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는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상에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으로부터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의 연장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상기 제 1 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 2 면적과 유사한 제 3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면적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과 접촉하는 다양한 운전자의 평균 엄지 손가락 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림부(130)를 파지할 경우,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서로 이격된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서로 인접하거나 연결될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사용자의 파지 형태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사용자의 파지 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감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이 복수 개가 감지될 경우, 상기 복수의 제 2 터치 영역(TA2)은 도 3과 같이 서로 이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터치 영역(TA2)의 일부는 서로 이격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은 제 1 너비(d1)로 정의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너비(d1)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운전자 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선택되는 하나의 손가락 너비와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너비(d1)는 약 0.5cm 내지 약 2cm일 수 있다. 상기 제 1 너비(d1)가 약 0.5cm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너비(d1)가 너무 작아 후술할 제어부(500)가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운전자의 손가락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너비(d1)가 0.5cm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운전자의 손의 파지 형태, 예컨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을 파지하였는지,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하였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너비(d1)가 약 2cm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 1 너비(d1)가 너무 커 상기 제어부(500)가 손바닥과 손가락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운전자의 오른손, 왼손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오른손의 접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에서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오른손 손바닥이 접촉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제 1 면적을 가지는 제 1 터치 영역(TA1)이 감지될 경우, 현재 오른손 손바닥이 상기 림부(130)를 감싸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에서 상기 제 1 면적보다 작거나 큰 면적의 터치 영역이 감지될 경우, 현재 손바닥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손가락이 접촉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제 2 면적을 가지는 제 2 터치 영역(TA2)이 감지될 경우, 현재 오른손 손가락이 상기 림부(130)를 감싸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에서 1개의 제 2 터치 영역(TA2)이 감지될 경우, 상기 림부(130) 상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하나의 손가락이 배치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에서 서로 인접한 4개의 제 2 터치 영역(TA2)이 감지될 경우, 4개의 손가락(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이 접촉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면적보다 작거나 큰 면적의 터치 영역이 감지될 경우, 현재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감지부(300)에서 제 3 터치 영역(TA3)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엄지 손가락이 접촉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제 3 면적을 가지는 제 3 터치 영역(TA3)이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의 반시계 방향 영역에서 감지될 경우 현재 오른손 엄지 손가락이 상기 림부(130)를 감싸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에서 동시에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이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의 반시계 방향 영역에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현재 오른손 엄지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에서 상기 제 3 면적보다 작거나 큰 면적의 터치 영역이 감지될 경우, 오른손 엄지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의 파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TA1)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TA2)이 동시에 감지되거나, 상기 제 1 내지 제 3 터치 영역(TA1, TA2, TA3)이 동시에 감지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이 상기 림부(130)의 일 영역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운전자의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터치 영역(TA1, TA2, TA3)의 위치를 바탕으로 파지한 운전자의 손,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의 오른손 파지에 따라 형성되는 제 2 터치 영역(TA2)의 위치로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오른손이 도 2와 같이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할 경우, 상기 제 1 너비(d1)를 가지는 제 2 터치 영역(TA2)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운전자의 오른손이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이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되면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를 통해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림부(130) 전체 영역 중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이 파지된 영역에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이 상기 제 1 영역(A1) 상에 있을 경우, 상기 제 1 영역(A1)에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는 상기 터치 명령 입력이 활성화되면 오른손 손가락, 손바닥으로 상기 터치 감지부(300)를 터치하거나 스와이프(swipe)하여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오른손에 할당된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운전자는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명령을 입력하여 AVN 장치의 온(On), 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고,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채널 변경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의 온도, 바람의 세기 등 다양한 장치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왼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운전자의 왼손은 상기 림부(130)의 일 영역을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운전자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제 2 영역(A2)을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의 왼손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왼손 손등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왼손 손바닥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왼손 손가락은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상기 운전자의 손에 의해 감지되는 터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 4 터치 영역(TA4), 제 5 터치 영역(TA5) 및 제 6 터치 영역(TA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은 운전자의 왼손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4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 면적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과 접촉하는 다양한 운전자의 평균 손바닥 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운전자의 왼손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왼손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과 이격되며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의 제 1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상기 제 4 면적보다 작은 제 5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5 면적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과 접촉하는 다양한 운전자의 평균 손가락 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는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적어도 한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6 터치 영역(TA6)은 운전자의 왼손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6 터치 영역(TA6)은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 및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과 이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6 터치 영역(TA6)은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터치 영역(TA3)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는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상에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6 터치 영역(TA6)은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으로부터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의 연장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6 터치 영역(TA6)은 상기 제 4 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 5 면적과 유사한 제 6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6 면적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과 접촉하는 다양한 운전자의 평균 엄지 손가락 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 및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림부(130)를 파지할 경우,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 및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서로 이격된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 및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서로 인접하거나 연결될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 및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사용자의 파지 형태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사용자의 파지 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감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이 복수 개가 감지될 경우, 상기 복수의 제 5 터치 영역(TA5)은 도 5과 같이 서로 이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5 터치 영역(TA5)의 일부는 서로 이격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은 제 2 너비(d2)로 정의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너비(d2)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운전자 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선택되는 하나의 손가락 너비와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너비(d2)는 약 0.5cm 내지 약 2cm일 수 있다. 상기 제 2 너비(d2)가 약 0.5cm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너비(d2)가 너무 작아 후술할 제어부(500)가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운전자의 손가락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너비(d2)가 0.5cm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운전자의 손의 파지 형태, 예컨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을 파지하였는지,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하였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너비(d2)가 약 2cm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 2 너비(d2)가 너무 커 상기 제어부(500)가 손바닥과 손가락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운전자의 오른손, 왼손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왼손의 접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에서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왼손 손바닥이 접촉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제 4 면적을 가지는 제 4 터치 영역(TA4)이 감지될 경우, 현재 왼손 손바닥이 상기 림부(130)를 감싸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에서 상기 제 4 면적보다 작거나 큰 면적의 터치 영역이 감지될 경우, 현재 손바닥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손가락이 접촉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제 5 면적을 가지는 제 5 터치 영역(TA5)이 감지될 경우, 현재 왼손 손가락이 상기 림부(130)를 감싸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에서 1개의 제 5 터치 영역(TA5)이 감지될 경우, 상기 림부(130) 상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하나의 손가락이 배치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에서 서로 인접한 4개의 제 5 터치 영역(TA5)이 감지될 경우, 4개의 손가락(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이 접촉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5 면적보다 작거나 큰 면적의 터치 영역이 감지될 경우, 현재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감지부(300)에서 제 6 터치 영역(TA6)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엄지 손가락이 접촉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제 6 면적을 가지는 제 6 터치 영역(TA6)이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의 시계 방향 영역에서 감지될 경우 현재 왼손 엄지 손가락이 상기 림부(130)를 감싸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6 터치 영역(TA6)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터치 영역(TA6)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에서 동시에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6 터치 영역(TA6)이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의 시계 방향 영역에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현재 왼손 엄지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에서 상기 제 6 면적보다 작거나 큰 면적의 터치 영역이 감지될 경우, 왼손 엄지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운전자의 왼손의 파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4 내지 제 6 터치 영역(TA4, TA5, TA6)의 위치를 바탕으로 파지한 운전자의 손,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4 터치 영역(TA4) 및 상기 제 5 터치 영역(TA5)이 동시에 감지되거나, 상기 제 4 내지 제 6 터치 영역(TA4, TA5, TA6)이 동시에 감지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왼손이 상기 림부(130)의 일 영역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운전자의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의 왼손 파지에 따라 형성되는 제 5 터치 영역(TA5)의 위치로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오른손이 도 4와 같이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할 경우, 상기 제 2 너비(d2)를 가지는 제 5 터치 영역(TA5)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운전자의 왼손이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되면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를 통해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림부(130) 전체 영역 중 상기 운전자의 왼손이 파지된 영역에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자의 왼손이 상기 제 2 영역(A2) 상에 있을 경우, 상기 제 2 영역(A2)에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는 상기 터치 명령 입력이 활성화되면 왼손 손가락, 손바닥으로 상기 터치 감지부(300)를 터치하거나 스와이프(swipe)하여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왼손에 할당된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운전자는 왼손 엄지 손가락으로 명령을 입력하여 AVN 장치의 온(On), 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고,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채널 변경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의 온도, 바람의 세기 등 다양한 장치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운전자의 손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경우에만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의 오른손(도 2) 및 왼손(도 4) 중 적어도 한 손이 상기 림부(130)의 일 영역을 파지한 경우에만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 중 적어도 한 손이 파지한 상태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 터치 명령 입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또는 정차 상태에서 운전자와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단순 접촉으로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오른손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의 단순 접촉으로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감지부(300)와 정전 용량 변화를 일으키는 물체와의 접촉으로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은 운전자가 적어도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주행 방향을 제어함과 동시에 차량 내부의 각종 장치, 차량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부(300)는 설정된 중심각에 의해 설정된 표면적을 가지는 제 1 터치 감지부 및 제 2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은 운전자가 상기 림부(130)를 파지할 경우 운전자의 터치 영역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운전자의 손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림부(130)를 파지하여 터치 신호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고, 상기 터치 감지부(300)를 통해 시선의 이동 및 분산 없이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120) 등에 배치되는 스위치, 버튼 등을 생략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안전한 상태에서만 상기 장치 제어를 위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고, 잘못된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이동 방향을 조향함과 동시에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것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에 대한 설명에 앞서 (a)도면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의 정면도이고, (b)도면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의 후면도이다.
또한, 도 6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스티어링 휠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을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차량의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도 6과 같이 오른손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100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은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제 1 영역(A1),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차량의 조향에 따라 오른손이 배치되는 영역은 변화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가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오른손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 오른손의 접촉 상태, 파지 여부 및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이 회전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오른손이 파지한 상태로 판단되면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이 제 1 영역(A1) 상에 있을 경우, 상기 제 1 영역(A1)에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조향에 의해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이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 상에 있을 경우, 상기 제 1 영역(A1) 및 상기 제 2 영역(A2)에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영역(A1) 및 상기 제 2 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커브길 주행 등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이 회전된 상태에서도 터치 명령 입력을 정확히 할 수 있고, 차량의 각종 장치, 예컨대 AVN 장치, 공조 장치 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양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대한 설명에 앞서 (a)도면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의 정면도이고, (b)도면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의 후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스티어링 휠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운전자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오른손은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제 1 영역(A1)을 파지할 수 있고, 왼손은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제 2 영역(A2)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 손등 및 왼손 손등 각각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 각각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오른손 및 왼손 손바닥은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와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오른손 및 왼손 손가락은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와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가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서로 다른 영역, 예컨대 운전자의 오른손이 배치된 제 1 영역(A1) 및 왼손이 배치된 제 2 영역(A2)에서 감지한 터치를 바탕으로 접촉 상태, 파지 여부 및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터치 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손의 접촉 상태, 파지 여부,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의 양손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되면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이 제 1 영역(A1) 상에 있고, 왼손이 제 2 영역(A2) 상에 있을 경우, 상기 제 1 영역(A1) 및 상기 제 2 영역(A2) 각각에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영역(A1)과 상기 제 2 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오른손 및 왼손과 각각 대응되는 터치 명령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오른손 및 왼손을 이용하여 다중 터치 명령 입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차량의 AVN 장치, 공조 장치 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운전자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고, 상기 림부(130)를 파지한 오른손 및 왼손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은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동일한 영역, 예컨대 상기 제 1 영역(A1), 상기 제 2 영역(A2) 및 상기 제 3 영역(A3) 중 선택되는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가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서로 동일한 영역, 예컨대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이 배치된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하나의 영역에서 감지한 터치를 바탕으로 손의 접촉 상태, 파지 여부 및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동일한 하나의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터치 영역(TA1, TA2, TA3, TA4, TA5, TA6)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손의 접촉 상태, 파지 여부,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의 양손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되면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 상에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이 모두 있을 경우, 상기 하나의 영역에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오른손 및 왼손과 각각 대응되는 터치 명령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오른손 및 왼손을 이용하여 다중 터치 명령 입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차량의 AVN 장치, 공조 장치 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을 오른손 및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 터치 감지부가 인식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세하게, 도 9 내지 도 12는 운전자의 오른손 또는 왼손이 상기 림부(130)의 일 영역을 파지하는 형태에 따른 터치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오른손 또는 왼손을 이용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상기 운전자 손바닥,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감지부(300)가 감지한 터치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오른손, 왼손을 구분할 수 있고, 손의 파지 형태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9와 같이 운전자의 손에 의해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1),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2, TA3)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3)이 상기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1)의 반시계 방향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너비(d1)를 가지며 연장하는 제 2 터치 영역(TA2)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 영역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고 있는 손이 오른손이며, 상기 오른손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운전자의 손에 의해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1),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2, TA3)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3)이 상기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1)의 시계 방향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너비(d1)를 가지며 연장하는 제 2 터치 영역(TA2)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안쪽 영역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고 있는 손이 오른손이며, 상기 오른손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손바닥 및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들(TA1, TA2, TA3)을 바탕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 중인 운전자의 오른손을 구분할 수 있고, 상기 제 1 너비(d1)를 가지는 제 2 터치 영역(TA2)의 위치를 바탕으로 오른손의 파지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운전자의 손에 의해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4),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5, TA6)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6)이 상기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4)의 시계 방향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너비(d2)를 가지며 연장하는 제 5 터치 영역(TA5)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 영역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고 있는 손이 왼손이며, 상기 왼손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운전자의 손에 의해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4),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5, TA6)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6)이 상기 손바닥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TA4)의 반시계 방향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너비(d2)를 가지며 연장하는 제 5 터치 영역(TA5)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안쪽 영역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고 있는 손이 왼손이며, 상기 왼손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손바닥 및 손가락과 대응되는 터치 영역들(TA4, TA5, TA6)을 바탕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 중인 운전자의 왼손을 구분할 수 있고, 상기 제 2 너비(d2)를 가지는 제 5 터치 영역(TA5)의 위치를 바탕으로 오른손의 파지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는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는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고, 터치 입력 시 오른손 및 왼손에 각각 할당된 터치 명령 입력을 오차 없이 입력하여 각종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이 차량에 적용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은 차량(1)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은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운전자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통해 상기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터치 감지부(300)를 통해 상기 차량(1)의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 중 적어도 하나의 손은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의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스와이프(swipe), 터치 등의 모션으로 차량의 각종 장치 예컨대 오디오, 네비게이션 등의 AVN 장치,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은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다양한 형태로 스티어링 휠(1000)을 파지하여도 오른손 및 왼손 각각에 할당된 터치 명령을 정확히 입력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은 운전자의 파지 위치에 따라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손바닥과 대응되는 제 1 터치 감지부 및 손가락과 대응되는 제 2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š, 상기 제 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제 2 터치 감지부는 설정된 중심각 및 설정된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감지부(300)는 운전자의 손바닥 및 손가락 감지를 위한 최적의 표면적, 감지 각도를 가질 수 있어, 손바닥 및 손가락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운전자의 접촉에 의해 감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들(TA1, TA2, TA3, TA4, TA5, TA6)과 상기 제 1 및 제 2 너비(d1, d2)를 갖는 제 2 및 제 5 터치 영역(TA2, TA5)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손의 접촉 상태, 파지 여부, 오른손과 왼손 구분, 파지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명령 입력이 활성화될 경우, 오른손 및 왼손에 각각 할당된 터치 명령 입력을 오차 없이 입력할 수 있어 각종 장치를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시선이 이동하거나 분산되지 않고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1000) 상에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버튼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상기 스티어링 휠(1000)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00)은 운전자가 파지한 안전한 상태에서만 터치 명령 입력이 활성화되어 안전하게 주행하면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주행 또는 정차 상태에서 운전자와 상기 터치 감지부(300)의 단순 접촉으로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터치한 영역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한 터치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운전자의 손의 터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과 대응되는 제 1 터치 영역;
    상기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과 대응되는 제 2 터치 영역; 및
    상기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제 3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손바닥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 상기 제 3 터치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엄지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영역이 동시에 감지되거나 상기 제 1 내지 제 3 터치 영역이 동시에 감지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 중 적어도 하나의 손이 상기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터치 영역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파지한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을 구분하고 파지 형태를 판단하는 스티어링 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rim)부 전체 영역 상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터치 영역이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반시계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바깥쪽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하는 스티어링 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터치 영역이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시계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바깥쪽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운전자의 왼손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하는 스티어링 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오른손 및 왼손 중 적어도 하나의 손이 파지한 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파지한 손과 대응되는 상기 터치 감지부의 일 영역의 터치 명령 입력을 활성화하는 스티어링 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명령 입력이 활성화될 경우, 상기 운전자는 터치, 스와이프(swipe) 동작으로 상기 파지한 손에 할당된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 스티어링 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의 일 영역에 터치 명령 입력이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영역을 제외한 상기 터치 감지부의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하는 스티어링 휠.
KR1020190170593A 2019-12-19 2019-12-19 스티어링 휠 KR10232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93A KR102329301B1 (ko) 2019-12-19 2019-12-19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93A KR102329301B1 (ko) 2019-12-19 2019-12-19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449A true KR20210079449A (ko) 2021-06-30
KR102329301B1 KR102329301B1 (ko) 2021-11-23

Family

ID=7660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593A KR102329301B1 (ko) 2019-12-19 2019-12-19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3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813A (ko) * 2012-11-27 2014-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WO2017168555A1 (ja) * 2016-03-29 2017-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80093295A (ko) * 2017-02-13 2018-08-22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스티어링 휠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KR20190010107A (ko) * 2017-07-21 2019-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62118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임프레시보코리아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파지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813A (ko) * 2012-11-27 2014-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WO2017168555A1 (ja) * 2016-03-29 2017-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80093295A (ko) * 2017-02-13 2018-08-22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스티어링 휠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KR20190010107A (ko) * 2017-07-21 2019-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62118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임프레시보코리아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파지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301B1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7446B (zh) 用于在基于力的触摸屏中锁定与所检测触摸位置相关联的输入区域的系统和方法
US9267809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arget device in vehicle, and steering wheel
KR10177680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5798160B2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157565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92652A1 (en) Vehicle operating device
JP5640486B2 (ja) 情報表示装置
JP2008197934A (ja) 操作者判別方法
US20150253950A1 (en) Manipulating device
CN108170264A (zh) 车辆用户输入控制系统和方法
JP5637492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装置
US20190047605A1 (en) Steering wheel with bifacial transparent touch-sensitive wall
KR102329301B1 (ko) 스티어링 휠
US20160154488A1 (en) Integrated controller system for vehicle
JP5939225B2 (ja) 静電容量式スイッチ
WO2018170689A1 (zh) 汽车转向盘及车载电子设备交互控制方法
KR10172254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6217535B2 (ja) 車両用入力装置
JP2023527587A (ja) 接触感応式操作面を備えた操作装置
KR20190118724A (ko) 터치 방식의 조향휠 제스쳐 인식 장치
US20210001914A1 (en) Vehicle input device
KR102002842B1 (ko) 감응형 터치 노브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1975B1 (ko) 스티어링 휠
KR20140148207A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JP6824129B2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