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125A -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125A
KR20190082125A KR1020180171598A KR20180171598A KR20190082125A KR 20190082125 A KR20190082125 A KR 20190082125A KR 1020180171598 A KR1020180171598 A KR 1020180171598A KR 20180171598 A KR20180171598 A KR 20180171598A KR 20190082125 A KR20190082125 A KR 20190082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care
medical
patient
information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인
최낙중
박창병
김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신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신라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9008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단계,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게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OVIDING HOTPITAL RECEPTION GUID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개의 진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에 대하여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최적의 진료 순서를 계산함으로써, 환자의 동선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환자들은 병원에 진료 대기 등록을 한 후 진료를 받을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그러나, 환자들이 몰리거나, 먼저 와서 대기하고 있는 환자 중에서 진료시간이 오래 걸리는 환자가 있을 경우, 대기 등록을 한 환자는 진료를 받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 동안 대기하여야 한다. 이 때, 환자는 어느 정도 대기하여야 하는지 알 수 없어 답답한 면이 있다.
환자가 인내할 수 있는 병원 외래 진료 대기시간과 관련하여, 중앙일보 2018년 1월 25일자 기사에 의하면, 2017년 기준으로 국민이 병ㆍ의원에서 외래 진료를 기다리며 앉아있던 평균 시간은 21분이며, 대부분의 환자는 대기시간 10분까지는 '적절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를 넘어가면 인내심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 기사에 의하면, 2017년 10~11월 전국 5000가구의 15세 이상 가구원 1만1098명에게 의료서비스를 받은 경험,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인식 등을 설문한 결과, 2017년 기준 외래ㆍ입원 등 의료서비스를 한 번이라도 이용한 비율은 68.6%였다.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의료기관을 찾는 발길도 잦아졌는데, 20대는 외래 진료를 받은 경우가 절반에 미치지 못한 49%였으나, 60대 이상 고령층은 90.7%로 집계되었다. 지역별로는 노인 비중이 높은 읍ㆍ면 주민(68.4%)이 동 단위 주민(67.7%)보다 의료서비스 이용이 많았다. 의료기관 방문 이유는 '가깝다'(40.7%)와 '익숙하다'(29%)가 주로 꼽혔다. 늘 이용하는 곳이나 이동하기 편한 곳으로 가는 것이다.
동 기사에 의하면, 진료 당일 외래 접수 후에 기다린 시간은 평균 20.8분으로 나타났다. 환자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병원(26.4분)이 의원(18.9분)보다 7분 이상 길었다. 특히 10분을 넘어간 후로는 '대기 시간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급감했다. 5~10분일 때는 73.9%가 괜찮다고 했지만, 10~15분은 45.8%로 절반 이하였다. 30분이 넘어가는 건 13.3%만 적절하다고 봤다.
한편, '외래대기시간 활용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고려대학교의료원 안암병원, 김용숙'에 의하면, 고객의 소리함을 통한 고객 불만족 사례 조사 결과, 진료대기지연에 대한 불만족이 36.6%로 조사되었으며, 진료대기지연에 대한 불만족 원인으로는 1) 고객이 예약시간에 진료 받을 수 있을지 알수 없는 점, 2) 진료시간 지연에 대한 직원의 안내가 없는 점, 3) 대기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점, 4) 대기장소 TV 위치가 부적절하고 방영 내용도 오락 위주인 점 등을 꼽았다. 즉, 환자는 진료시간이 지연되는 것 자체에도 불만족을 느끼지만, 얼마나 대기하여야 할지 예측할 수 없음으로 인한 자기통제감 부족으로 인해 불만족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10분 이내의 대기시간을 인내할 수 있으며,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상 대기시간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환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환자가 대기시간을 예상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적으로 기다림에 대한 불편함을 줄이거나, 환자의 이동 동선 등을 조절함으로써 실제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종합검진 등 복수개의 진료를 받기 위하여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의 경우, 대기시간이 가장 짧은 진료를 먼저 받음으로써 실제 대기시간을 줄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진료를 받는 환자에게 최소한의 대기시간을 가지는 진료 동선을 가이드하고, 환자가 가이드를 참고하여 진료 과목을 선택하였을 때 자동으로 해당 진료 과목을 접수함으로써, 환자의 실제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4080호 (2014.05.29.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개의 진료를 받기 위하여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에게 각 진료 과목의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개의 진료를 받기 위하여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에게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한 후,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환자에게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특정 진료 과목을 선택할 경우, 해당 진료 과목의 의료진 단말에게 해당 진료 과목의 선택 사실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진료 과목의 즉시 접수가 가능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진료를 마친 경우, 환자가 진료를 받고자 하였던 복수개의 진료에서 해당 진료 과목을 제거하고, 나머지 진료 과목의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최신의 정확한 진료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특정 진료 과목을 선택한 경우, 환자에게 해당 진료 과목의 진료실에 대한 도착 요구 시간을 전송하고, 해당 도착 요구 시간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 접수를 취소시킴으로써, 오지 않을 사람을 예상 대기시간 계산에서 배제시켜, 예상 대기시간 계산이 부정확해질 가능성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단계,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게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현황 정보는, 대기자 수 및 평균 진료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대기자 수 및 평균 진료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다음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선택된 진료 과목의 의료진 단말에게 사용자 단말의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 정보는, 환자의 이름 및 주민등록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진 단말에게 사용자 단말의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다음에, 의료진 단말로부터 환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게 선택된 진료 과목의 진료실에 대한 도착 요구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진 단말로부터 환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도착 요구 시간 내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진료 과목의 진료실에 대한 도착 사실을 수신하지 못하면, 의료진 단말에게 환자의 진료 접수에 대한 취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진 단말로부터 환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의료진 단말로부터 환자의 진료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서 선택되어 진료가 완료된 진료 과목을 제거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단계,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2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게 제2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인스트럭션,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인스트럭션,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사용자 단말에게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진료를 받기 위하여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에게 각 진료 과목의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진료를 받기 위하여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에게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한 후,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환자에게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가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특정 진료 과목을 선택할 경우, 해당 진료 과목의 의료진 단말에게 해당 진료 과목의 선택 사실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진료 과목의 즉시 접수가 가능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가 진료를 마친 경우, 환자가 진료를 받고자 하였던 복수개의 진료에서 해당 진료 과목을 제거하고, 나머지 진료 과목의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최신의 정확한 진료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가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특정 진료 과목을 선택한 경우, 환자에게 해당 진료 과목의 진료실에 대한 도착 요구 시간을 전송하고, 해당 도착 요구 시간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 접수를 취소시킴으로써, 오지 않을 사람을 예상 대기시간 계산에서 배제시켜, 예상 대기시간 계산이 부정확해질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진료 과목을 선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 따라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받고자 하는 환자에 대하여 각 진료에 대한 진료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은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받고자 하는 환자가 서버로부터 각 진료의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환자가 수신한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혈액 검사를 받을 것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 따라 도 4의 선택을 통해 혈액 검사를 받은 환자에 대하여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에 대한 진료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선택을 통해 혈액 검사를 받은 환자가 서버로부터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X-ray 검사를 받을 것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 따라 도 6의 선택을 통해 혈액 검사 및 X-ray 검사를 받은 환자에 대하여 초음파 검사에 대한 진료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선택을 통해 혈액 검사 및 X-ray 검사를 받은 환자가 서버로부터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초음파 검사를 받을 것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서 특정 진료 과목을 선택하여 진료를 받은 후 진료 가이드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단계/동작 외의 다른 구성/단계/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시스템은 병원의 서버(110), 사용자 단말(130) 및 의료진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 및 의료진 단말(120)은 정보를 출력하고 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탑 컴퓨터, 또는 데스트톱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등록된 환자의 사용자 단말(130)에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의료진 단말(120)로부터 진료 정보를 입력 받거나, 의료진 단말(120)에게 환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진료 가이드 정보는 특정 진료 과목에 대한 예상 대기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상 대기시간이란 환자가 해당 진료 과목에 대한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서버(110)는 각 진료 과목의 의료진 단말(120)로부터 각 진료 과목의 접수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각 진료 과목의 접수 환자 정보는 현재 해당 진료 과목의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 중인 하나 이상의 환자에 대하여, 각 환자의 진료 부위, 과거 진료 기록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진료 과목의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 중인 하나 이상의 환자에 대한 정보는 서버(110) 또는 서버(110)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큐(queue)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대기 중인 환자에 대한 큐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대기큐(queue)'라고 한다.
서버(110) 또는 서버(110)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진료 과목에 대한 대기큐(queue)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대기큐(queue)는 각 진료 과목에 대하여 대기 중인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로서, 대기큐에 있는 첫번째 환자가 진료실로 들어가면 대기큐에 있는 해당 환자의 정보가 삭제(dequeue)되고, 신규 접수 환자가 발생하면 신규 접수 환자의 정보가 대기큐에 삽입(enqueue)된다.
기본적으로 대기큐에서 삭제(dequeue)는 대기큐의 맨 앞에서 이루어지고, 대기큐에서 삽입(enqueue)은 대기큐의 맨 뒤에서 이루어진다. 다만, 대기 중인 환자 중 상태가 급격히 나빠진 환자가 있을 경우 대기큐의 첫번째 환자가 아니더라도 대기큐에서 먼저 삭제(dequeue)되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응급 환자가 진료실에 도착한 경우, 대기큐의 맨 뒤가 아닌 중간 또는 맨 앞으로 삽입(enqueue)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기큐에 있는 첫번째 환자가 진료실로 들어가면 대기큐에 있는 첫번째 환자 정보가 삭제(dequeue)되고, 신규 접수 환자가 발생하면 신규 접수 환자 정보가 대기큐의 맨 뒤에 삽입(enqueue)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대기큐는 배열, 스택,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기큐(queue)의 구조는 배열, 스택,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순서를 기억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서버(110)는 의료진 단말(120)로부터 진료가 개시된 환자 정보, 또는 진료가 완료된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어느 진료 과목의 의료진 단말(120)로부터 진료가 개시된 환자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환자를 대기큐에서 삭제하고 해당 환자를 진료 중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110)는 어느 진료 과목의 의료진 단말(120)로부터 진료가 완료된 환자 정보를 수신하면, 대기큐의 첫번째 환자를 대기큐에서 삭제하고 해당 환자를 진료 중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진료 과목을 선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진료를 받는 환자에게 최소한의 대기시간을 가지는 진료 동선을 가이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복수개의 진료는 환자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고, 또는 의료진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고, 또는 종합검진 등과 같이 복수개의 진료가 반드시 수반되는 부류의 진료의 경우에는 해당 진료를 선택하면 해당 진료에 수반되는 복수개의 진료가 자동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환자가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받고자 하는 경우, 환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직접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선택/입력할 수 있다. 진료 과목의 선택/입력이 완료되면, 환자의 기본 정보와, 환자가 직접 선택/입력한 진료 과목이 서버(110)로 전송된다. 환자의 기본 정보는 이름 및/또는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의료진이 환자가 받아야 하는 복수개의 진료 과목을 지정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과 의료진이 환자를 진료하다가 환자의 두통 원인이 내과 쪽이 아니라 이비인후과 또는 안과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환자에게 이비인후과 및 안과 진료를 모두 받아보기를 권유하면서, 환자의 동의를 받고 의료진 단말(120)을 이용하여 이비인후과 진료 및 안과 진료를 선택/입력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20)에 환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환자의 기본 정보도 같이 입력할 필요가 있다. 환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 과목의 선택/입력이 완료되면, 환자의 기본 정보와, 의료진이 선택/입력한 진료 과목이 서버(110)로 전송된다.
또는, 환자가 종합검진 등과 같이 복수개의 진료가 반드시 수반되는 부류의 진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 해당 진료를 선택하면 해당 진료에 수반되는 복수개의 진료가 자동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종합검진을 선택/입력하면, 신체 계측,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대변 검사, 초음파 검사, 소화기 검사, 호흡기 검사, 순환기 검사, 시력 검사, 청력 검사, 구강 검사 등의 세부 진료 과목들이 자동으로 선택/입력되어, 환자의 기본 정보와, 환자가 직접 선택/입력한 진료 과목에 따른 세부 진료 과목들이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환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진료를 받고자 하는 진료 과목으로서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선택/입력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환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선택/입력하면, 서버(110)는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을 파악한 후,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환자는 서버(110)로부터 받은 진료 가이드 정보를 이용하여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 중 가장 빨리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과목을 먼저 선택하는 방식으로 동선을 줄이고, 대기시간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8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 따라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받고자 하는 환자에 대하여 각 진료에 대한 진료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환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선택/입력하면, 서버(110)는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을 파악한다.
서버(110)는 각 진료 과목의 대기 중인 환자 수, 평균 진료시간 등을 이용하여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예컨대 현재 특정 진료 과목의 진료실에서 진료 중인 환자가 1명이고, 해당 진료 과목의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 중인 환자가 4명일 때, 진료 중인 1명의 환자가 남은 진료를 받고, 대기 중인 4명의 환자가 모든 진료를 받을 때까지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이 해당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이 된다.
이하, 서버(110)가 복수개의 진료 과목 중 어느 하나의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상 대기시간은 현재 해당 진료 과목의 진료실에서 진료 중인 환자 정보, 해당 진료 과목의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 중인 환자의 수, 대기 중인 각 환자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10)는 다음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West는 예상 진료대기시간, Cavg는 한 환자당 평균 진료시간, N은 현재 대기 중인 환자의 수, Ccur은 현재 진료 중인 환자의 잔여 예상 진료시간을 의미한다.
Cavg는 해당 진료 과목의 한 환자당 평균 진료시간일 수 있다.
Ccur은 한 환자당 평균 진료시간에서 현재 진료 중인 환자의 진료 경과 시간을 빼는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이비인후과'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한다고 할 때, '이비인후과'의 한 환자당 평균 진료시간이 10분이고, 4명의 환자가 대기 중이며, 현재 1명의 환자가 3분째 진료 중이라면, '이비인후과'의 예상 대기시간은 10 × 4 + (10 - 3) = 47분이 된다.
다만, 실제로는 동일한 진료 과목이라도, 환자의 진료 부위, 환자의 진료이력 등에 따라서 각 환자의 진료시간을 다르게 예상하는 것이 예상 대기시간 계산의 정확도를 높이는 유용한 방법이 된다. 예를 들어 '이비인후과'의 한 환자당 평균 진료시간이 10분이라고 하더라도, 진료 부위가 '코'인 환자의 평균 진료시간은 12분이고, 진료 부위가 '목'인 환자의 평균 진료시간은 8분일 수 있다. 진료 부위가 '코'인 환자들 사이에서도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A 환자와 B 환자가 모두 코가 막히는 증상으로 진료를 받더라도, A 환자는 과거 진료이력을 봤을 때 시간이 많이 걸리는 진료를 자주 받아 평균 15분의 진료 시간이 소요된 반면, B 환자는 과거 진료이력을 봤을 때 경미한 증상에 대한 진료를 자주 받아 평균 10분의 진료 시간이 소요되었다면, 이와 같은 개인차를 반영하여 각 환자의 예상 진료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예상 대기시간 계산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이 된다.
즉, 진료 과목 별 평균적인 진료 시간을 이용하여 예상 진료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지만, 각 환자의 진료 부위 및/또는 과거 진료이력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현재 진료 중인 환자 및 대기 중인 환자의 진료 부위 및/또는 과거 진료이력 등을 이용하여 좀 더 정확하게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도 3은 환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선택/입력하였을 때, 서버(110)가 각 진료 과목에 대한 진료 상황을 분석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초음파 검사의 대기 환자 수는 2명이고, 초음파 검사의 평균 진료시간은 20분이며, 현재 초음파 검사 중인 환자의 진료 경과 시간은 18분이다. 이 경우,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은 20 × 2 + (20 - 18) = 42분이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진료 과목의 한 환자당 평균 진료시간, 현재 대기 중인 환자의 수 및 현재 진료 중인 환자의 잔여 예상 진료시간만을 고려하여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였으나, 예상 대기시간 계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재 진료 중인 환자 및 대기 중인 환자의 진료 부위 및/또는 과거 진료이력 등을 추가로 고려하여 좀 더 정확하게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기로 한다.
X-ray 검사의 대기 환자 수는 4명이고, X-ray 검사의 평균 진료시간은 5분이며, 현재 X-ray 검사 중인 환자의 진료 경과 시간은 0분이다. 이 경우, 'X-ray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은 5 × 4 + (5 - 0) = 25분이 된다.
혈액 검사의 대기 환자 수는 3명이고, 혈액 검사의 평균 진료시간은 2분이며, 현재 혈액 검사 중인 환자의 진료 경과 시간은 1분이다. 이 경우, '혈액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은 2 × 3 + (2 - 1) = 7분이 된다.
환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선택/입력하면, 서버(110)는 이상과 같이 계산한 각 진료 별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환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수신한 진료 가이드를 보고 진료 과목을 선택한다. 예컨대 환자는 예상 대기시간이 가장 짧은 혈액 검사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예상 대기시간이 가장 짧은 진료 과목을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환자 스스로의 선택에 따라 진료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은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받고자 하는 환자가 서버로부터 각 진료의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환자가 수신한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혈액 검사를 받을 것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환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를 선택/입력하면, 서버(110)는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을 파악한다.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은 서버(11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40)에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불러온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을 이용하여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한다.
서버(110)는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환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진료 가이드 정보를 확인하고, 진료를 받고자 하는 진료 과목을 선택한다. 도 4는 환자가 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및 혈액 검사 중에서 혈액 검사를 선택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혈액 검사의 선택을 수신하면, 혈액 검사를 담당하는 의료진 단말(120)에게 환자 정보를 전송한다.
의료진은 수신된 환자 정보를 보고 해당 환자의 혈액 검사를 접수할 수 있다. 또는 의료진이 직접 해당 환자의 혈액 검사를 접수하지 않더라도, 의료진 단말(120)이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해당 환자의 혈액 검사를 접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20)은 해당 환자의 혈액 검사를 접수한 후, 해당 환자의 혈액 검사가 접수되었음을 서버(110)에게 통지한다.
서버(110)는 의료진 단말(120)로부터 혈액 검사 접수 사실을 통지 받으면 혈액 검사를 하는 진료실에 도착하여야 할 시간(이하, '도착 요구 시간'이라 함)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현 시점에서 '혈액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이 7분인 경우, 그로부터 2분 빨리 도착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시간이 오후 3시이고, '혈액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이 7분이면, 늦어도 3시 5분까지는 혈액 검사를 하는 진료실에 도착할 것을 환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10)는 '도착 요구 시간'으로서 3시 5분을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진료실에 도착하였으면 진료실 도착 사실을 서버(11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실내 측위 등의 방법으로 진료실에 도착한 사실을 확인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30)을 진료실에 있는 장치에 태그하는 방식으로 진료실에 도착한 사실을 확인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도착 요구 시간까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진료실 도착 사실을 통지받지 못하면 의료진 단말(120)에게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환자의 진료 접수를 취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예상 대기시간 계산시 해당 진료 과목의 대기큐에 있는 환자의 수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편의를 위하여 환자가 진료실에 도착하지 않아도 진료 과목 선택만으로도 즉시 해당 진료 과목의 진료를 접수하고 해당 환자 정보를 대기큐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해당 환자가 도착 요구 시간까지 진료실에 도착하지 않고 언제 도착할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해당 환자의 정보가 해당 진료 과목의 대기큐에 남아 있다면, 해당 진료 과목에 대한 예상 진료시간 계산이 부정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착 요구 시간까지 진료실에 도착하지 않은 환자의 진료 접수를 취소함으로써, 다른 환자들이 겪을 수 있는 불편들을 해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 따라 도 4의 선택을 통해 혈액 검사를 받은 환자에 대하여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에 대한 진료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환자가 혈액 검사를 모두 받으면, 의료진 단말(120) 또는 사용자 단말(130)은 해당 환자가 혈액 검사를 받았음을 서버(110)에게 통지한다. 환자가 혈액 검사를 받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30)에 표시되는 진료 과목 중에서 '혈액 검사 항목'은 사라진다.
환자가 혈액 검사를 받았음을 서버(110)에게 통지하면 서버(110)는 나머지 진료 과목인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을 파악한다. 도 3의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나간 상태이므로,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 각각에 새로운 대기 환자가 생겼을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상황으로 인하여 예상 대기시간이 변경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10)는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진료 상황을 새롭게 파악하는 것이다.
서버(110)는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 각각에 대기 중인 환자 수, 평균 진료시간 등을 이용하여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초음파 검사의 대기 환자 수는 1명이고, 초음파 검사의 평균 진료시간은 20분이며, 현재 초음파 검사 중인 환자의 진료 경과 시간은 10분이다. 이 경우,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은 20 × 1 + (20 - 10) = 30분이 된다.
X-ray 검사의 대기 환자 수는 2명이고, X-ray 검사의 평균 진료시간은 5분이며, 현재 X-ray 검사 중인 환자의 진료 경과 시간은 3분이다. 이 경우, 'X-ray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은 5 × 2 + (5 - 3) = 12분이 된다.
서버(110)는 이상과 같이 계산한 각 진료 별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환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수신한 진료 가이드를 보고 진료 과목을 선택한다. 예컨대 환자는 예상 대기시간이 가장 짧은 X-ray 검사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예상 대기시간이 가장 짧은 진료 과목을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환자 스스로의 선택에 따라 진료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선택을 통해 혈액 검사를 받은 환자가 서버로부터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X-ray 검사를 받을 것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환자가 혈액 검사를 완료하면, 서버(110)는 나머지 진료 과목인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을 파악한다.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은 서버(11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40)에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불러온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 각각의 진료 상황을 이용하여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한다.
서버(110)는 각 진료 과목의 예상 대기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환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진료 가이드 정보를 확인하고, 진료를 받고자 하는 진료 과목을 선택한다. 도 5는 환자가 초음파 검사 및 X-ray 검사 중에서 X-ray 검사를 선택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X-ray 검사의 선택을 수신하면, X-ray 검사를 담당하는 의료진 단말(120)에게 환자 정보를 전송한다.
의료진은 수신된 환자 정보를 보고 해당 환자의 X-ray 검사를 접수할 수 있다. 또는 의료진이 직접 해당 환자의 X-ray 검사를 접수하지 않더라도, 의료진 단말(120)이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해당 환자의 X-ray 검사를 접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20)은 해당 환자의 X-ray 검사를 접수한 후, 해당 환자의 X-ray 검사가 접수되었음을 서버(110)에게 통지한다.
서버(110)는 의료진 단말(120)로부터 X-ray 검사 접수 사실을 통지 받으면 X-ray 검사를 하는 진료실에 도착하여야 할 시간, 곧, 도착 요구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30)은 진료실에 도착하였으면 진료실 도착 사실을 서버(11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서버(110)는 도착 요구 시간까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진료실 도착 사실을 통지 받지 못하면 의료진 단말(120)에게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환자의 진료 접수를 취소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 따라 도 6의 선택을 통해 혈액 검사 및 X-ray 검사를 받은 환자에 대하여 초음파 검사에 대한 진료 상황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환자가 X-ray 검사를 모두 받으면, 의료진 단말(120) 또는 사용자 단말(130)은 해당 환자가 X-ray 검사를 받았음을 서버(110)에게 통지한다. 환자가 혈액 검사와 X-ray 검사를 받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30)에 표시되는 진료 과목 중에서 '혈액 검사 항목' 및 'X-ray 검사 항목'은 사라진다.
도 5의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나간 상태이므로, 초음파 검사에 새로운 대기 환자가 생겼을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상황으로 인하여 예상 대기시간이 변경되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환자가 X-ray 검사를 받았음을 서버(110)에게 통지하면 서버(110)는 나머지 진료 과목인 초음파 검사의 진료 상황을 파악한다.
서버(110)는 초음파 검사를 받기 위해 에 대기 중인 환자 수, 평균 진료시간 등을 이용하여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초음파 검사의 대기 환자 수는 1명이고, 초음파 검사의 평균 진료시간은 20분이며, 현재 초음파 검사 중인 환자의 진료 경과 시간은 19분이다. 이 경우,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은 20 × 1 + (20 - 19) = 21분이 된다.
서버(110)는 이상과 같이 계산한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환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수신한 진료 가이드를 보고 진료 과목을 선택한다. 남은 진료 과목이 초음파 검사 하나 뿐이므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초음파 검사를 접수할 용도로 초음파 검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선택을 통해 혈액 검사 및 X-ray 검사를 받은 환자가 서버로부터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료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초음파 검사를 받을 것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환자가 혈액 검사 및 X-ray 검사를 완료하면, 서버(110)는 나머지 진료 과목인 초음파 검사의 진료 상황을 파악한다.
초음파 검사의 진료 상황은 서버(11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40)에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불러온 초음파 검사의 진료 상황을 이용하여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한다.
서버(110)는 초음파 검사의 예상 대기시간을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환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진료 가이드 정보를 확인하고, 초음파 검사를 선택한다. 진료 과목에 초음파 검사만이 남아 있어서 다른 진료 과목을 선택할 여지는 없으나, 선택하는 시점에 접수가 진행되므로, 환자가 직접 초음파 검사의 접수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초음파 검사의 선택을 수신하면, 초음파 검사를 담당하는 의료진 단말(120)에게 환자 정보를 전송한다.
의료진은 수신된 환자 정보를 보고 해당 환자의 초음파 검사를 접수할 수 있다. 또는 의료진이 직접 해당 환자의 초음파 검사를 접수하지 않더라도, 의료진 단말(120)이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해당 환자의 초음파 검사를 접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20)은 해당 환자의 초음파 검사를 접수한 후, 해당 환자의 초음파 검사가 접수되었음을 서버(110)에게 통지한다.
서버(110)는 의료진 단말(120)로부터 초음파 검사 접수 사실을 통지 받으면 초음파 검사를 하는 진료실에 도착하여야 할 시간, 곧, 도착 요구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30)은 진료실에 도착하였으면 진료실 도착 사실을 서버(11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서버(110)는 도착 요구 시간까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진료실 도착 사실을 통지 받지 못하면 의료진 단말(120)에게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환자의 진료 접수를 취소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S910),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단계(S920),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S930),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에 대한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940),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950),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S960), 선택된 진료 과목의 의료진 단말에게 사용자 단말의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970) 및 의료진 단말로부터 환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9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일련의 과정은 도 1 내지 8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서 특정 진료 과목을 선택하여 진료를 받은 후 진료 가이드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에서 특정 진료 과목을 선택하여 진료를 받은 후 진료 가이드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의료진 단말로부터 환자의 진료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10),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서 선택되어 진료가 완료된 진료 과목을 제거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S1020),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단계(S1030),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업데이트된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S1040),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에 대한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2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50) 및 사용자 단말에게 제2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일련의 과정은 도 1 내지 8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프로세서(1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1120),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비일시적으로 저장된 스토리지(1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네트워크에서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1130)에 로드되어, 프로세서(1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인스트럭션,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인스트럭션,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사용자 단말에게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인스트럭션의 기능 및 동작은 전술한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과 대동소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명세서의 각 순서도의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생략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등 본 명세서의 각 순서도의 각 단계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 및 상기 제2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CD-ROM, DVD 등),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USB, SSD) 등과 같은 비-일시적인 기록매체(non-transitory medium)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 대한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현황 정보는, 대기자 수 및 평균 진료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자 수 및 상기 평균 진료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선택된 진료 과목의 의료진 단말에게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는, 상기 환자의 이름 및 주민등록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에게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의료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선택된 진료 과목의 진료실에 대한 도착 요구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도착 요구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진료 과목의 진료실에 대한 도착 사실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의료진 단말에게 상기 환자의 진료 접수에 대한 취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진료 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의료진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의 진료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서 상기 선택되어 진료가 완료된 진료 과목을 제거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진료 과목 각각의 업데이트된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2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2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개의 진료 과목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쿼리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진료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복수개의 진료 과목 각각의 예상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진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진료 가이드 제공 장치.
KR1020180171598A 2017-12-29 2018-12-28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82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69 2017-12-29
KR20170184269 2017-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125A true KR20190082125A (ko) 2019-07-09

Family

ID=6726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598A KR20190082125A (ko) 2017-12-29 2018-12-28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41B1 (ko) * 2021-07-15 2022-04-08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80B1 (ko) 2012-08-22 2014-06-09 공낙현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이용자에게 대기순번을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80B1 (ko) 2012-08-22 2014-06-09 공낙현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이용자에게 대기순번을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41B1 (ko) * 2021-07-15 2022-04-08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3286899A1 (ko) * 2021-07-15 2023-01-19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2124A (ko) 예상 진료대기시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TW201820251A (zh) 候診排程系統
JP2002312473A (ja) 健康診断システム
JP5901486B2 (ja) 診療予約受付装置
US2023027482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real-time feedback for patient wait time
JP2019003361A (ja) 席管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ロボット
JP5978476B2 (ja) 診療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7388356B2 (ja) 医療用情報処理システム、医療用情報処理装置、および医療用情報処理方法
KR20190082125A (ko) 진료 상황에 따른 진료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16110332A (ja) 端末装置、予約支援プログラム及び予約支援方法
JP2009086766A (ja) 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診療依頼管理装置及び方法
JP6491884B2 (ja) 待ち時間短縮システム、待ち時間短縮方法及び待ち時間短縮プログラム
JP2013210864A (ja) 予約順序管理装置、携帯端末装置、予約順序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予約順序管理方法
US202003811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equipment resource allocation
KR101565101B1 (ko) 진료 안내 방법
JP2007279859A (ja) 施設運用の管理システム
EP3618714A1 (en) X-ray system for guided operation
JP6133681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98335B2 (ja) 検査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CN113744897A (zh) 网络问诊方法、计算机装置和存储介质
KR20220026378A (ko) 심리 상담사 추천 시스템 및 심리 상담사 추천 방법
US20160086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real-time updates on status of appointments or tokens
JP2017037579A (ja) 予約支援方法、予約支援プログラム、及び予約支援装置
JP5116781B2 (ja) 予約設定方法及び予約設定装置
JP7432308B2 (ja) 判定システム及び判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