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977A -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977A
KR20190081977A KR1020170184873A KR20170184873A KR20190081977A KR 20190081977 A KR20190081977 A KR 20190081977A KR 1020170184873 A KR1020170184873 A KR 1020170184873A KR 20170184873 A KR20170184873 A KR 20170184873A KR 20190081977 A KR20190081977 A KR 2019008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wire
cutting
cu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269B1 (ko
Inventor
천동진
이성혁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8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2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선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쉴드선을 각각 설정된 길이로 절단되도록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로서,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절단되는 상기 쉴드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 하측의 작업대의 상면에 구비되어 절단되어야 할 복수의 상기 쉴드선이 공급되어 설정된 길이로 상기 쉴드선 각각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절단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CUTTING DEVICE FOR SHIELD WIRE AND CUTTING METHOD FOR SHIELD WIRE USING IT}
본 발명은 쉴드선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쉴드선의 절단되어야 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품질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쉴드선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립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외면에 피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복을 벗기고 조립에 알맞은 길이가 되도록 절단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고 결선하는 작업에 있어서,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당하며, 케이블을 절단하는 작업시에는 일일이 각각의 케이블이 절단되어야 하는 길이를 별도의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에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절단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칼을 이용하였는데, 이 경우 케이블의 피복에 칼이 삽입되는 깊이가 일정하지 않아 피복을 제거하는 도중 피복 내부의 전선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그리고, 케이블의 굵기가 굵어질수록 작업자가 직접 칼을 이용하여 피복을 제거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겨울철에는 피복 제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케이블 피복 절단 장치는 일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U자형 가이드(12)가 형성되는 바디(10) 및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컷터(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상기 컷터(20)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푸시홀(14)이 형성되어 상기 컷터(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피복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케이블을 가이드(12)에 사이에 삽입하는 깊이는 절단하고자 하는 피복의 길이만큼 삽입하게 된다.
그 후, 푸시홀(14)을 통하여 컷터(20)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컷터(20)가 피복의 일부를 절단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을 회전시킴으로써 피복 전체가 절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한 손으로 케이블을 잡고 다른 손으로 바디(10)를 잡고 당기면 피복이 벗겨지면서 피복의 절단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복 절단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12)의 일측이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도중 케이블이 상기 가이드(12)에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피복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작업자가 상기 컷터(20)를 직접 가압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절단되어야 하는 케이블의 피복 길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줄자를 이용하여 길이를 측정한 후에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해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요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고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절단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쉴드선의 절단되어야 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품질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쉴드선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는, 주선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쉴드선을 각각 설정된 길이로 절단되도록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로서,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절단되는 상기 쉴드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 하측의 작업대의 상면에 구비되어 절단되어야 할 복수의 상기 쉴드선이 공급되어 설정된 길이로 상기 쉴드선 각각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절단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쉴드선의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에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쉴드선이 절단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절단부를 상기 레일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 일측의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는 절단되어야 하는 상기 쉴드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줄자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는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여 내부로 공급된 상기 쉴드선을 절단시키는 커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쉴드선의 절단을 위하여 상기 쉴드선이 상기 절단부의 내부로 공급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쉴드선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쉴드선 그립부는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쉴드선을 그립하는 한 쌍의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쉴드선이 상기 절단부로 공급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쉴드선 그립부의 전방 일측에는 상기 쉴드선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감지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 상면의 상기 검사부 하측에는 상기 주선을 그립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주선을 그립하는 한 쌍의 지그로 이루어지는 주선 그립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주선 그립부의 후방에는 상기 주선의 단부와 복수의 쉴드선의 일부 영역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절단부로 공급되는 상기 주선과 상기 쉴드선의 경계 영역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쉴드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카메라와, 상기 검사카메라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쉴드선 측으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은, 절단길이와 쉴드선 색상으로 이루어진 선재 정보 및 차종명을 입력하여 정보 목록을 등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보 목록에서 차종명을 선택하여 차종 및 상기 선재 정보를 업로드하는 제2단계와; 주선과 쉴드선을 공급하고 상기 주선과 쉴드선이 각각 주선 그립부와 쉴드선 그립부에 그립되도록 고정시키는 제3단계와; 검사부에서 상기 선재 정보를 검사하여 합격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절단부가 동작하여 설정된 길이로 복수의 상기 실드선이 각각 절단되도록 하는 제5단계와; 상기 주선 그립부와 쉴드선 그립부가 해제 동작되어 절단이 완료된 주선과 쉴드선을 이탈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복수의 쉴드선의 절단되어야 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품질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쉴드선을 절단하는 공정을 기계화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 공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쉴드선 절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쉴드선을 절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쉴드선 절단장치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의 검사부에 의한 검사동작시 표시부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쉴드선을 절단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쉴드선을 절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는, 주선(2)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쉴드선(1)을 각각 설정된 길이로 절단되도록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로서,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0)와; 상기 표시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절단되는 상기 쉴드선(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부(200)와; 상기 검사부(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절단되어야 할 복수의 상기 쉴드선(1)이 공급되어 설정된 길이로 상기 쉴드선(1) 각각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절단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는 주선(2)의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쉴드선(1)이 절단되는 길이가 상이하게 자동으로 다단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쉴드선(1)이 절단되는 길이가 상이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 행정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 4개의 단계가 있고 흡입, 압축, 폭발, 배기 순으로 엔진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상하 운동을 한다.
엔진의 행정은 연료와 산소를 압축 후 폭발을 하는데 이때 폭발을 위해 실린더에 장착된 점화플러그에서 불꽃을 튕겨서 점화시키게 되며, 자동차의 엔진에 실린더는 보통 4개로 구성 되어있으며 점화플러그는 실린더 1개당 1개씩 적용된다.
엔진의 크랭크축(회전축) 기준으로 1번~4번 실린더로 명칭하면, 1번~4번 실린더의 행정 순서는 모두 상이하며, 따라서 점화플러그의 점화 또한 순서가 모두 다르다.
따라서, 4개의 점화플러그는 개별로 제어해야 되며, 개별로 제어하기 위해 연결된 제품이 와이어링 하네스이다. 그리고, 이 부위를 이그지션 코일단이라고 하며, 이 부위는 쉴드선(1)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이그지션 코일단에 사용된 쉴드선은 주선(2) 속에 4개의 전선이 있으며, 4개의 전선 또한 개별로 외피에 둘러 쌓여 있고 이를 코어(core)선이라 한다.
앞서 말한 4개의 점화플러그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쉴드선의 코어선이 개별적 연결이 필요하며, 점화플러그의 위치가 모두 상이하므로 코어선의 길이 또한 모두 상이하다.
그러므로, 이그지션 코일단의 쉴드선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쉴드선의 코어선 길이가 모두 상이하게 절단되어야 하며, 이 작업을 상기한 다단절단이라고 하는 것이다.
표시부(100)는 쉴드선 절단장치를 구성하는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작업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부(100)는 복수의 쉴드선(1)으로 구성되는 주선(2)이 사용되어 조립되는 차종명과 절단부(300) 측으로 공급되어 절단되는 선재명을 입력하도록 한다.
선재명을 입력시에는 절단부(300) 측으로 각각 공급된 복수의 쉴드선(1)의 색상과 색상별로 공급된 쉴드선(1)의 길이도 함께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쉴드선(1)의 색상과 색상별로 공급된 쉴드선(1)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에 터치스크린 상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후속 공정이 진행된다.
실제로 선재된 쉴드선(1)의 색상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합격”이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그리고, “합격”이라는 문자가 표시된 경우에만 절단부(300)에 의한 쉴드선(1)의 절단 작업이 시작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쉴드선(1)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을 다시 실시하여 재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검사부(200)는 피복이 벗겨진 주선(2)과 복수의 쉴드선(1)의 경계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어 주선(2) 및 복수의 쉴드선(1)을 비추어 표시부(100)를 구성하는 화면상에 선택적으로 주선(2) 및 쉴드선(1)의 상태가 나타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검사부(200)는 절단부(300)로 공급되는 상기 주선(2)과 상기 쉴드선(1)의 경계 영역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쉴드선(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카메라(210)와, 검사카메라(210)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쉴드선(1) 측으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2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검사카메라(210)와 쉴드선(2) 사이의 거리는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표시부(100)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영상의 범위 및 선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명(220)은 쉴드선(1)이 배치된 하방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된 링형상의 커버에 수용된 상태로 검사카메라(210)와는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조명(220)에서 발산되는 빛이 직접적으로 검사카메라(210)에 비춰짐으로 인하여 화면이 뿌옇게 흐려짐을 방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절단부(300)는 설정된 길이로 쉴드선(1)을 실질적으로 절단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작업대의 상면에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절단부(300)는 쉴드선(1)의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310)에 레일(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쉴드선(1)이 절단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절단하고자 하는 실드선(1)의 개수에 대응하여 일대일로 절단부(300) 및 레일(310)이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쉴드선(1)을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에 따라 각각 절단부(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이한 길이로 쉴드선(1)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절단부(300)의 일측에는 절단부(300)를 레일(310)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레버(320)가 구비됨으로써, 고정레버(320)에 의하여 절단부(30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절단부(300)에 의하여 절단되는 쉴드선(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일(310)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절단부(300)에 의하여 쉴드선(1)의 절단 작업을 수행시에 이웃하는 절단부(300)와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레일(310) 일측의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는 절단되어야 하는 쉴드선(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줄자(301)가 설치됨으로써 줄자(301)에 인쇄된 눈금을 이용하여 절단부(300)가 레일(310) 상에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쉴드선(1)의 절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절단부(300)는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330)와, 에어실린더(330)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여 내부로 공급된 쉴드선(1)을 절단시키는 커팅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실린더(330)는 공압에 의하여 피스톤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가 이동되도록 하고, 로드의 단부에는 커팅부재(340)가 고정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커팅부재(340)가 이동되도록 하여 쉴드선(1)을 절단시키게 된다.
커팅부재(340)는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며 단부에는 쉴드선(1)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커팅부재(340)는 에어실린더(330)를 구성하는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로드의 움직임에 의하여 쉴드선(1)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절단부(300)는 쉴드선(1)의 절단을 위하여 쉴드선(1)이 절단부(300)의 내부로 공급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쉴드선 그립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쉴드선 그립부(350)는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351)와, 에어실린더(351)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쉴드선(1)을 그립하는 한 쌍의 지그(3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쉴드선 그립부(350)도 절단부(300)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에어실린더(351)를 구성하는 로드의 단부에 어느 하나의 지그(352)가 고정되어 상기 로드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지그(352) 사이로 공급된 쉴드선(1)을 그립할 수 있도록 한다.
쉴드선(1)이 절단부(300)로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쉴드선 그립부(350)의 전방 일측에는 쉴드선(1)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감지센서(360)가 부착됨으로써 감지센서(360)가 쉴드선(1)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쉴드선 그립부(350)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쉴드선(1)을 절단부(3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작업대 상면의 상기 검사부(200) 하측에는 주선(2)을 그립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371)와, 에어실린더(371)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주선(2)을 그립하는 한 쌍의 지그(372)로 이루어지는 주선 그립부(370)가 구비됨으로써 주선(2)을 작업대에 상면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주선(2) 및 쉴드선(1)이 배치되는 높이와 절단부(30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하여 주선(2) 및 쉴드선(1)이 작업대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도록 주선 그립부(370)의 후방에는 주선(2)의 단부와 복수의 쉴드선(1)의 일부 영역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부재(3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를 구비한 쉴드선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쉴드선을 절단하는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표시부(100)의 초기 화면상에 차종명을 입력하고 쉴드선(1)이 절단되어야 하는 길이를 쉴드선(1)의 색상별로 입력한 후에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차종명에 따른 복수의 정보 목록을 등록한다.
그리고, 등록된 정보 목록에서 원하는 차종명을 선택한 후에 닫기 버튼을 눌러 절단 작업 대상이 되는 쉴드선(1)에 대한 정보가 업로드되도록 하여 절단 작업의 선행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선행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입력된 쉴드선(1)의 절단 길이와 동일한 정도로 절단부(300)가 레일(31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 후에 고정레버(320)를 이용하여 절단부(300)가 레일(310)의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고, 절단 대상이 되는 복수의 쉴드선(1)이 복수의 절단부(300)에 각각 선재되도록 배치한 후에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절단 작업이 시작된다.
그리고, 절단 작업은 절단하고자 하는 실드선(1)의 개수에 대응하여 일대일로 구비된 절단부(300) 및 레일(310)에 의하여 복수의 쉴드선(1)을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에 따라 각각 절단부(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이한 길이로 쉴드선(1)을 절단하게 된다.
절단 작업이 시작되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선 그립부(370)가 동작하여 주선(2)을 작업대의 상면 일측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b)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360)에서 쉴드선(1)이 절단부(300)의 내부로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후에 쉴드선(1)이 절단부(300)에 선재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쉴드선 그립부(350)가 동작하여 공급된 쉴드선(1)을 그립하여 절단부(30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 후, 도 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의 일측에 구비된 스타트 스위치(3)를 누르게 되면 검사부(200)에 의하여 복수의 절단부(300)에 각각 그립된 쉴드선(1)의 색상이 올바르게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되고, 올바르게 배치된 경우에는 표시부(100)에 “합격”이라는 문자가 표시되고 절단부(300)의 에어실린더(330)가 동작하여 커팅부재(340)를 작동시킴으로써 커팅부재(340)의 내부에 배치된 쉴드선(1)의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복수의 절단부(300)에 각각 그립된 쉴드선(1)의 색상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부(100)에 “불합격”이라는 문자가 표시되어 불량하게 선재된 쉴드선(1)의 색상이 올바르게 재안착되도록 하여 표시부(100)에 “합격”이라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쉴드선(1)의 절단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쉴드선 그립부(350)의 에어실린더(351)에 가압되는 공압이 해제되어 지그(352)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과 동시에 주선 그립부(370)도 해제 동작됨으로써 절단부(300)로부터 절단이 완료된 쉴드선(1)을 이탈시켜 쉴드선 절단 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는, 복수의 쉴드선의 절단되어야 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품질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쉴드선을 절단하는 공정을 기계화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 공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쉴드선 2 : 주선
100 : 표시부 200 : 검사부
210 : 검사카메라 220 : 조명
300 : 절단부 301 : 줄자
310 : 레일 320 : 고정레버
330 : 에어실린더 340 : 커팅부재
350 : 쉴드선 그립부 351 : 에어실린더
352 : 지그 360 : 감지센서
370 : 주선 그립부 380 : 받침부재

Claims (13)

  1. 주선(2)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쉴드선(1)을 각각 설정된 길이로 절단되도록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로서,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0)와;
    상기 표시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절단되는 상기 쉴드선(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부(200)와;
    상기 검사부(200) 하측의 작업대의 상면에 구비되어 절단되어야 할 복수의 상기 쉴드선(1)이 공급되어 설정된 길이로 상기 쉴드선(1) 각각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절단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쉴드선(1)의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310)에 상기 레일(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쉴드선(1)이 절단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절단부(300)를 상기 레일(310)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레버(3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10)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10) 일측의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는 절단되어야 하는 상기 쉴드선(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줄자(30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0)는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330)와, 상기 에어실린더(330)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여 내부로 공급된 상기 쉴드선(1)을 절단시키는 커팅부재(34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쉴드선(1)의 절단을 위하여 상기 쉴드선(1)이 상기 절단부(300)의 내부로 공급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쉴드선 그립부(35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선 그립부(350)는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351)와, 상기 에어실린더(351)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쉴드선(1)을 그립하는 한 쌍의 지그(35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선(1)이 상기 절단부(300)로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쉴드선 그립부(350)의 전방 일측에는 상기 쉴드선(1)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감지센서(36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상면의 상기 검사부(200) 하측에는 상기 주선(2)을 그립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371)와, 상기 에어실린더(371)와 연결되어 폭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주선(2)을 그립하는 한 쌍의 지그(372)로 이루어지는 주선 그립부(3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선 그립부(370)의 후방에는 상기 주선(2)의 단부와 복수의 쉴드선(1)의 일부 영역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부재(3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200)는 상기 절단부(300)로 공급되는 상기 주선(2)과 상기 쉴드선(1)의 경계 영역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쉴드선(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카메라(210)와, 상기 검사카메라(210)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상기 쉴드선(1) 측으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22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
  13.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쉴드선 절단장치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으로서,
    절단길이와 쉴드선 색상으로 이루어진 선재 정보 및 차종명을 입력하여 정보 목록을 등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보 목록에서 차종명을 선택하여 차종 및 상기 선재 정보를 업로드하는 제2단계와;
    주선과 쉴드선을 공급하고 상기 주선과 쉴드선이 각각 주선 그립부와 쉴드선 그립부에 그립되도록 고정시키는 제3단계와;
    검사부에서 상기 선재 정보를 검사하여 합격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절단부가 동작하여 설정된 길이로 복수의 상기 쉴드선이 각각 절단되도록 하는 제5단계와;
    상기 주선 그립부와 쉴드선 그립부가 해제 동작되어 절단이 완료된 주선과 쉴드선을 이탈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선 절단장치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KR1020170184873A 2017-12-29 2017-12-29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KR10205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73A KR102053269B1 (ko) 2017-12-29 2017-12-29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873A KR102053269B1 (ko) 2017-12-29 2017-12-29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731A Division KR102127155B1 (ko) 2019-11-14 2019-11-14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977A true KR20190081977A (ko) 2019-07-09
KR102053269B1 KR102053269B1 (ko) 2019-12-06

Family

ID=6726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873A KR102053269B1 (ko) 2017-12-29 2017-12-29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2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110A (ja) * 1996-10-22 1998-09-02 Denshi Insatsu Kikaku:Kk 電線長計算装置及び電線加工システム
JP3603275B2 (ja) * 2000-11-21 2004-12-22 酒井興産株式会社 廃棄多心電線の解体方法及び装置
KR100848189B1 (ko) * 2007-07-23 2008-07-23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KR20140063112A (ko) * 2012-11-16 2014-05-27 오성전장주식회사 코어보호용 케이블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110A (ja) * 1996-10-22 1998-09-02 Denshi Insatsu Kikaku:Kk 電線長計算装置及び電線加工システム
JP3603275B2 (ja) * 2000-11-21 2004-12-22 酒井興産株式会社 廃棄多心電線の解体方法及び装置
KR100848189B1 (ko) * 2007-07-23 2008-07-23 함원상 연성 다심 케이블의 연결부 성형장치 및 방법
KR20140063112A (ko) * 2012-11-16 2014-05-27 오성전장주식회사 코어보호용 케이블탈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269B1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30138A (ja) ケーブルをまっすぐにするための矯正装置
JP6784488B2 (ja) ケーブル加工装置
JPH07102683B2 (ja) データ収集、制御および測定値の表示用装置
JPH07324213A (ja) 被截断材料を加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90081977A (ko)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WO2013141416A1 (ko) 차량용 케이블의 검사장치
US4890382A (en) Apparatus for use in assembling electrical connectors
KR102127155B1 (ko) 쉴드선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쉴드선 절단방법
KR200428768Y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의 조립시스템
US11652328B2 (en) Terminal crimping device
JP2019164991A (ja) 複数の電線を加工するための機器及び方法
CN113000729B (zh) 燃烧试验专用整直裁线机
US9151796B2 (en) Automatic test equipment and a testing method thereof
CN111916261B (zh) 线束的制造装置
CN210789907U (zh) 一种用于保险丝盒的压装检验设备
CN211785922U (zh) 一种ccd精准对位式fpc检测治具
CN112383659A (zh) 一种测试平台及测试方法
CN218693409U (zh) 一种高稳定性线缆切割装置
JP2002238125A (ja) 電線用部品移動装置及び移動方法
CN217717292U (zh) 一种驾驶室线束检测设备
JP2021079823A (ja) タイヤ劣化状況計測器およびその保持用治具およびタイヤ劣化状況計測装置
JPH05217652A (ja) 自動配線装置
CN213072805U (zh) 一种测试平台
CN219551433U (zh) 一种继电器保护装置的垫片和外观检测装置
CN215219502U (zh) 一种双工位车载中控自动测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