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786A -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 Google Patents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786A
KR20190079786A KR1020170181751A KR20170181751A KR20190079786A KR 20190079786 A KR20190079786 A KR 20190079786A KR 1020170181751 A KR1020170181751 A KR 1020170181751A KR 20170181751 A KR20170181751 A KR 20170181751A KR 20190079786 A KR20190079786 A KR 20190079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ion
frame
vinyl
differential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873B1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8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4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power actu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을 덮고 있는 비닐을 천공하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견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물이 위치한 상기 비닐 부분을 천공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 선단에 위치하고 상기 작물 위치를 확인하는 작물 감지부, 상기 천공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발생부 및 상기 작물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발생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감지된 상기 작물 위치에 따라 상기 천공부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천공부가 상기 작물이 위치한 상기 비닐 부분을 천공하도록 조정하는 차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천공부에 제공될 때 상기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회전력은 상기 차동유닛 제어로 증속 또는 감속된다.

Description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Punching apparatus for vinyl using differential gear}
본 발명은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콩의 수량성을 올리려면 파종부터 수확까지의 생육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콩을 언제 심느냐에 따라 수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데 너무 이르면 저온에 의한 피해나 너무 웃자라 쓰러지는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너무 늦게 심으면 마디 수 확보가 어렵고 꼬투리 수가 부족하고 콩알의 작아져서 수량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파종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다수확재배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콩 종자가 흙 속에 묻히는 깊이는 수량성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므로 콩 종자가 묻히는 깊이는 5㎝가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콩 종자가 두둑 표면으로부터 2㎝ 이내로 얕게 묻힌 경우 토양수분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발아가 좋지 않으며 제초제를 뿌리게 되면 약에 영향을 받으므로 주의하여야 하고 조류에게 쉽게 노출되어 먹이가 되므로 피해가 발생한다.
콩 종자가 조류에 보이지 않도록 콩 종자가 묻힌 두둑을 비닐로 덮을 수 있다. 즉, 비닐피복재배를 통해 조류 접근을 차단하고, 잡초방제 및 토양수분이 증발되는 방지할 수 있다. 콩 비닐피복재배는 성숙기간이 길어지고 콩알이 크며 수량성이 증수되는 효과가 있다.
콩 종자가 초엽 상태가 되면 비닐피복을 천공해주어야 한다. 천공 시 초엽에 스트레스가 가해져서는 안되며 이웃한 초엽 간격에 맞추어 초엽이 위치한 비닐피복 부분을 정확하게 천공하여 초엽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등록특허 제10-0229046호 (1999.08.13.)
본 발명은 작물을 덮고 있는 비닐피복을 천공함에 있어 작물 위치를 정확하게 천공하고 천공 시 작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견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물이 위치한 상기 비닐 부분을 천공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 선단에 위치하고 상기 작물 위치를 확인하는 작물 감지부, 상기 천공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발생부 및 상기 작물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발생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감지된 상기 작물 위치에 따라 상기 천공부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천공부가 상기 작물이 위치한 상기 비닐 부분을 천공하도록 조정하는 차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천공부에 제공될 때 상기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회전력은 상기 차동유닛 제어로 증속 또는 감속된다.
상기 회전력 발생부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휠 및 상기 휠의 회전동력을 상기 차동유닛을 통해 상기 천공부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유닛은 상기 회전력 전달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동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있는 차동 케이스, 상기 차동 케이스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차동 케이스, 상기 차동 케이스 내부 일측에 배치된 제1 사이드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차동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제1 액슬축, 상기 차동 케이스 내부 타측에 배치된 제2 사이드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차동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제2 액슬축, 상기 제1 사이드 기어 및 상기 제2 사이드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치합되어 있고 상기 차동 케이스와 연결된 제1 차동 피니언, 상기 제1 차동 피니언과 마주하며 상기 제1 사이드 기어 및 상기 제2 사이드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치합되어 있고 상기 차동 케이스와 연결된 제2 차동 피니언 및 상기 제1 액슬축과 동력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물의 간격에 따라 회전력이 달라지는 비례 제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액슬축은 상기 천공부와 동력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선단이 상기 견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천공부와 상기 차동유닛이 배치된 설치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 후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천공부와 비닐이 덮고 있는 지면의 간격을 조절하는 천공 깊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설치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 장치와 연결되는 중앙프레임, 상기 중앙프레임 일측에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제1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중앙프레임 타측에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설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작물이 위치한 두둑의 폭에 따라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천공 깊이 조절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기설정된 지점이 상기 메인 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깊이 조절 프레임,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깊이 조절 프레임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조절레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깊이 조절 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휠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깊이 조절 프레임이 움직여 상기 휠의 위치가 달라지며, 상기 휠의 회전중심과 상기 천공부의 하면 간격이 멀어질수록 천공 깊이는 얕을 수 있다.
상기 천공부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상기 바디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제1, 제2 링크, 일측이 상기 제1 링크 선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2 링크 선단과 연결된 제1 천공 프레임, 일측이 상기 제1 링크 후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2 링크 후단과 연결된 제2 천공 프레임 및, 상기 제1 천공 프레임과 상기 제2 천공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비닐을 천공할 수 있는 천공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회전력 발생부와 동력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회전 중심은 편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천공 프레임과 상기 제2 천공 프레임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에서 움직여 위치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천공부는, 상기 천공바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천공바가 상기 비닐을 천공할 때 상기 비닐을 누를 수 있는 누름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공바는, 상기 제1 천공 프레임과 연결된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비닐을 천공하는 천공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천공부재의 하부 외부둘레에는 천공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공영역은 상기 천공부재 하부 외부둘레가 상기 견인 장치의 주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천공영역을 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누름바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상기 천공부재를 감싸고 있고 있으며 내부 상면이 상기 천공부재 상면에 걸리며 상하 길이가 상기 천공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긴 누름몸체, 그리고 상기 누름몸체 하단 외부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비닐을 누를 수 있는 누름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 플랜지는 상기 천공부재보다 상기 비닐 표면에 먼저 접하여 상기 비닐 표면을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 장치 주행으로 휠에서 발생한 회전력(구동력)은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차동유닛에 입력되고, 입력된 회전력은 제1 차동 피니언, 제2 차동 피니언 및 제1 사이드 기어를 통해 비례 제어 모터와 연결된 제1 액슬축에 전달되고, 제1 차동 피니언, 제2 차동 피니언 및 제2 사이드 기어를 통해 천공부로 전달된다. 차동유닛의 제어로 천공부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제어되어 천공바가 비닐을 천공하는 간격이 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물 감지부가 작물을 감지하면 그 신호를 차동유닛에 전송하고, 차동유닛은 전송된 신호에 따라 천공부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어하여 천공부의 회전을 견인 장치의 주행 속도보다 빠르게 또는 견인 장치의 주행 속도보다 느리게 제어하여 천공바가 작물이 위치한 비닐 부분을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천공바가 차동유닛의 제어로 작물이 위치한 비닐을 정확하게 천공하므로 천공 시 작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동유닛은 비례 제어 모터를 통해 무단으로 천공부로 전달되는 회전 속도 조절만으로 여러 천공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물 감지부에서 감지된 위치에 맞추어 차동유닛이 회전 속도를 조절하므로 작물이 위치한 부분을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 깊이 조절부의 깊이 조절 프레임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여 휠의 회전 중심과 힌지 간격이 조절되며 회전 중심과 힌지 간격이 좁혀질수록 천공바는 지면에 더욱 깊숙하게 삽입되어 천공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휠의 회전력이 스프라켓, 체인을 통해 샤프트에 전달되므로 천공 깊이 조절과 관계없이 회전력이 차동유닛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둑의 폭에 따라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제2 사이드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여 휠이 고랑에 위치하도록 하여 휠에 의해 두둑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천공 프레임과 제2 천공 프레임은 제1 천공로드 내지 제4 천공로드 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어 그 위치를 미세조정 할 수 있다. 이에 두둑에 작물이 심겨진 위치에 따라 천공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바가 비닐에 접하기 전에 누름바가 미리 비닐을 누르고 있어 천공바가 팽팽해진 비닐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천공효율을 높이며, 천공바가 상승할 때 누름바가 천공바에 묻은 이물질을 밀어내어 이물이 천공바(55)에 묻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부재의 천공영역은 천공부재 하부 외부둘레가 견인 장치의 주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삼각형을 이룬다. 천공영역의 삼각형 형상에 의해 천공부재가 비닐을 천공하여 지면에 삽입 후 상승할 때 천공부재 하부가 비닐에 걸리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가 견인 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천공 깊이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2의 회전력 발생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2의 차동유닛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2의 천공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천공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11의 천공바와 누름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천공바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가 견인 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천공 깊이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2의 회전력 발생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2의 차동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2의 천공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천공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천공바와 누름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천공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100)는 경운기, 관리기와 같은 견인 장치에 장착되어 작물을 덮고 있는 비닐을 천공하는 것으로, 바디부(10), 작물 감지부(20), 회전력 발생부(30) 차동유닛(40) 및 천공부(50)를 포함하며 작물을 덮고 있는 비닐피복을 천공함에 있어 작물 위치를 정확하게 천공하고 천공 시 작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회전력 발생부(30)에서 천공부(50)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이웃한 작물의 간격에 따라 차동유닛(40) 제어로 증속 또는 감속된다. 이에 견인 장치의 주행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차동유닛(40)을 통한 회전력 증속, 감속으로 천공부(50)는 작물 감지부(20)가 감지한 작물이 위치한 비닐 부분을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작물은 콩(이하 식물이라 함)이 종자 상태에서 흙 속에 묻히어 초엽 상태로 자란 것으로 비닐피복(이하, 비닐이라 함)으로 덮여 있다.
도 5를 더 참고하면, 바디부(10)는 메인 프레임(11), 설치 프레임(12) 및 천공 깊이 조절부(13)를 포함하며 경운기, 관리기와 같은 견인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100)의 기초 구조를 이룬다.
메인 프레임(11)은 중앙 프레임(111), 제1 사이드 프레임(112)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중앙 프레임(11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중앙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은 견인 장치(A)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중앙 프레임(111)은 견인 장치(A)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중앙 프레임(111)에는 견인 장치(A)의 주행방향으로 돌출된 견인 접속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견인 접속부(115)는 견인 장치(A)와 연결되어 있다. 중앙 프레임(111)의 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의 길이방향은 견인 장치(A)의 주행방향으로 중앙 프레임(1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은 중앙 프레임(111) 뒤쪽에 위치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1 사이드 프레임(112)의 일측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의 일측은 중앙 프레임(111)을 향해 구부러져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112)의 일측은 중앙 프레임(111)의 일측과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고,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의 일측은 중앙 프레임(111)의 타측과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은 중앙 프레임(111)과 슬라이드 결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의 간격은 두둑의 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중앙 프레임(111) 일측, 제2 사이드 프레임(113)과 중앙 프레임(111) 타측은 중첩되어 있으며 중첩된 부분을 고정수단(114)이 관통하여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이 중앙 프레임(11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설치 프레임(12)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 사이에 위치하여 중앙 프레임(111)과 연결되어 있다. 설치 프레임(12)은 중앙 프레임(111)과 연결된 연결바(121),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바(122) 및 제2 바(123)를 포함하며, 제1 바(122)와 제2 바(123)의 일측은 연결바(121)와 연결되어 있다.
도 6을 더 참고하면, 천공 깊이 조절부(13)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제2 사이드 프레임(113)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천공 깊이 조절부(13)는 동일하므로 이하, 제1 사이드 프레임(112)과 연결된 천공 깊이 조절부(13)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천공 깊이 조절부(13)는 깊이 조절 프레임(131), 그리고 조절레버(134)를 포함하며 천공부(50)가 비닐을 천공할 때 지면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한다.
깊이 조절 프레임(13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기설정된 지점이 제1 사이드 프레임(112)의 타측과 힌지(132) 연결되어 있다. 깊이 조절 프레임(131)은 힌지(132)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132)를 기준으로 깊이 조절 프레임(131) 상측은 제1 사이드 프레임(112)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하측은 비닐이 덮인 지면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깊이 조절 프레임(131)의 하단에는 회전력 발생부(30)의 휠(32)이 결합되어 있다. 휠(32)은 지면과 접해 있으며 견인 장치(A)의 주행으로 지면을 따라 회전하여 회전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힌지(132)와 휠(32)의 회전중심(32c)과 힌지(132)의 간격(G1)이 멀어질수록 천공부(50)와 지면의 간격(G2)이 멀어지므로 천공부(50)가 지면을 천공하는 깊이는 얇다. 이에 천공 깊이를 깊게 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132)와 회전중심이 근접되도록 하고, 천공 깊이를 얇게 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132)와 회전중심이 멀어지도록 한다.
조절레버(134)는 힌지블록(134b), 너트(134a), 스크류(134c) 및 레버(134d)를 포함하며 깊이 조절 프레임(131)을 회전시킨다.
제1 사이드 프레임(112)에는 상부로 돌출된 브래킷(133)이 설치되어 있으며 힌지블록(134b)은 브래킷(133)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힌지블록(134b)의 중앙은 관통되어 있다.
너트(134a)는 깊이 조절 프레임(131) 상단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바디부(1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힌지블록(134b)과 너트(134a)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같은 선상에 위치한다.
스크류(134c)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너트(134a)에 체결되어 선단이 힌지블록(134b)에 결합되어 있다. 힌지블록(134b)의 내부둘레와 힌지블록(134b)을 관통하는 스크류(134c) 부분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스크류(134c)와 힌지블록(134b)은 면접촉하고 있으며 너트(134a)와 스크류(134c)는 나사 결합되어 있다. 스크류(134c)는 힌지블록(134b)과 결합에 의해 이탈하지 않으며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너트(134a)는 스크류(134c) 회전 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류(134c)의 선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너트(134a)의 이동에 따라 깊이 조절 프레임(131)은 힌지(132)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너트(134a)가 스크류(134c) 선단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휠(32)의 회전중심과 힌지(132)의 간격(G1)이 좁혀져 천공부(50)와 지면의 간격이 좁혀진다. 이때 천공부(50)의 천공바(55)가 지면에 깊숙하게 삽입되므로 천공 깊이는 깊다. 반대로, 너트(134a)가 스크류(134c) 후단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휠(32)의 회전중심과 힌지(132)의 간격(G1)이 멀어져 천공부(50)와 지면의 간격(G2)이 멀어진다. 이때 천공부(50)의 천공바(55)가 지면에 얇게 삽입되므로 천공 깊이는 얇다.
레버(134d)는 스크류(134c) 후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스크류(134c)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작업자의 조작으로 스크류(134c)가 회전하고, 스크류(134c)의 회전방향에 따라 너트(134a)가 스크류(134c) 선단 또는 후단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깊이 조절 프레임(131)이 힌지(13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휠(32)의 회전중심과 힌지(132) 사이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되어 천공부(50)의 천공바(55)와 지면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이에 천공바(55)와 지면의 간격에 따라 지면의 천공 깊이가 깊어지거나 얇아질 수 있다.
작물 감지부(20)는 메인 프레임(11) 하면에 위치하여 천공부(50) 전방에 배치되어 비닐에 덮인 작물을 감지한다(도 3 참조). 작물 감지부(20)는 감지된 작물을 열화상 이미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작물의 위치를 차동유닛(40)으로 전송하여 작물이 위치한 비닐부분을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작물 감지부(2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감지센서, 열화상 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를 더 참고하면, 회전력 발생부(30)는 휠(32) 및 회전력 전달부(33)를 포함하며 천공부(50)가 작동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차동유닛(40)은 회전력 발생부(30)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천공부(50)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어한다. 회전력 발생부(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차동유닛(40)은 설치 프레임(12) 상면에 위치한 설치대(31)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력 발생부(30)는 샤프트(333), 복수의 스프라켓(331a, 331b, 331c, 331d), 복수의 체인(332a, 332b, 332c) 및 벨트(135)를 포함한다.
샤프트(33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견인 장치(A)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측은 제1 사이드 프레임(112)에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설치대(31)에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333)에는 유니버셜 조인트(333a)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유니버셜 조인트(333a)는 샤프트(333)의 일측과 타측의 편각을 보안하여 샤프트(333) 회전과 회전력 전달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라켓(331a, 331b, 331c, 331d)은 복수로 형성되어 휠(32), 힌지(132), 샤프트(333)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힌지(132)와 연결된 스프라켓(331b)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웃한 스프라켓(331a, 331b, 331c, 331d)은 체인(332a, 332b, 332c)으로 연결되어 있다. 휠(32) 구동으로 휠 샤프트(333)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스프라켓(331a, 331b, 331c)과 체인(332a, 332b)을 통해 샤프트(333)에 전달되어 샤프트(333)가 회전할 수 있다. 휠(32) 작동으로 발생한 회전력이 복수의 스프라켓(331a, 331b, 331c)과 복수의 체인(332a, 332b)을 통해 샤프트(333)에 전달되므로 샤프트(333)는 휠(32) 구동에 맞춰 할 수 있다. 샤프트(333)의 타단에 위치한 스프라켓(331d)은 체인(332c)을 통해 차동유닛(40)과 동력 연결되어 있다.
벨트(135)는 차동유닛(40)과 천공부(50)를 동력 연결하여 천공부(5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휠(32)의 회전력을 천공부(50)에 전달한다.
견인 장치(A)의 주행으로 휠(32)이 지면을 따라 구르면서 회전력이 발생하고, 그 회전력이 체인, 스프라켓, 샤프트 및 벨트를 통해 천공부(50)에 제공되어 천공부(50)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견인 장치(A)의 주행에 맞추어 천공부(50)는 작동하여 작물을 덮고 있는 비닐 부분을 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차동유닛(40)의 제어로 견인 장치(A)의 주행 속도와 무관하게 작물 간격에 맞추어 천공부(50)의 작동을 제어하여 천공부(50)가 작물의 위치에 맞추어 비닐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차동유닛(40)은 차동 케이스(41), 제1 액슬축(42), 제1 사이드 기어, 제2 액슬축(43), 제2 사이드 기어(431), 제1 차동 피니언(44), 제2 차동 피니언(45) 및 비례 제어 모터(46)를 포함한다.
차동 케이스(41)는, 샤프트(333)와 평행하게 설치대(31) 위에 배치되어 있다. 차동 케이스(41)의 양단은 베어링 하우징으로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다. 차동 케이스(41)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샤프트(333)의 타단에 위치한 스프라켓(331d, 331e)과 체인(332c)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차동 케이스(41)는 휠(3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액슬축(42)은 차동 케이스(41) 일단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은 차동 케이스(41) 내부에 위치한다. 제1 사이드 기어(421)는 차동 케이스(41) 내부에 위치하여 제1 액슬축(42)과 결합되어 있다.
제2 액슬축(43)은 차동 케이스(41) 타단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은 차동 케이스(41) 내부에 위치한다. 제2 사이드 기어(431)는 차동 케이스(41) 내부에 위치하여 제1 사이드 기어(421)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제2 액슬축(43)과 결합되어 있다. 차동 케이스(41) 외부에 위치한 제2 액슬축(43)은 풀리와 벨트(135)를 통해 천공부(50)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제1 사이드 기어(421), 제2 사이드 기어(431), 제1 차동 피니언(44) 및 제2 차동 피니언(45)은 베벨기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차동 피니언(44)과 제2 차동 피니언(45)은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제1 사이드 기어(421)와 제2 사이드 기어(431) 사이에 위치하여 치합되어 있고 차동 케이스(41)와 연결되어 있다. 차동 케이스(41)의 회전력이 제1 차동 피니언(44), 제2 차동 피니언(45)을 통해 제2 사이드 기어(431)에 전달되어 제2 액슬축(43)이 회전되면서 풀리와 벨트를 통해 천공부(50)에 전달될 수 있다.
비례 제어 모터(46)는 설치대(31)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액슬축(42)과 동력 연결되어 있다. 비례 제어 모터(46)는 작물 감지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작물 감지부(20)의 전송 신호에 따라 정회전, 역회전 또는 회전 속도가 증감될 수 있다.
비례 제어 모터(46)는 제1 액슬축(42)에 차동 케이스(41)와 같은 속도 및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천공부(50)는 견인 장치(A)의 주행속도에 맞추어 비닐을 천공한다.
여기서, 비례 제어 모터(46)가 작물 감지부(20)의 신호에 따라 제1 액슬축(42)에 차동 케이스(41)의 회전방향과 다른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경우 제1 사이드 기어(421)와 치합된 제1 차동 피니언(44)과 제2 차동 피니언(45)이 회전하게 되며 제2 사이드 기어(431)에 회전력을 더하게 되어 제2 액슬축(43)의 회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제2 액슬축(43)의 회전 속도는 휠(32)에서 제공되는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비례 제어 모터(46)가 작물 감지부(20)의 신호에 따라 제1 액슬축(42)에 차동 케이스(41)의 회전방향과 같은방향으로 회전력을 더하면 제2 액슬축(43)의 회전력은 감속될 수 있다. 이에 제2 액슬축(43)의 회전 속도는 휠(32)에서 제공되는 회전 속도보다 너 느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례 제어 모터(46)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은 작물 감지부(20)가 감지한 이웃한 작물의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기설정된 간격을 기준으로 간격이 기설정된 간격보다 짧은 경우 작물 감지부(20)는 제2 액슬축(43)이 휠(32)의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비례 제어 모터(46)에 신호를 인가하고, 간격이 기설정된 간격보다 긴 경우 작물 감지부(20)는 제2 액슬축(43)이 휠(32)의 속도바다 느리게 회전할 수 있도록 비례 제어 모터(46)에 신호를 인가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더 참고하면, 천공부(50)는 설치 프레임(12) 하면에 배치되어 지면과 마주하며 회전력 발생부(30)의 회전력을 입력 받아 작물이 위치한 비닐 부분을 천공한다. 천공부(50)는 제1 링크(51), 제2 링크(52), 제1 천공 프레임(53), 제2 천공 프레임(54), 천공바(55) 및 누름바(56)를 포함한다.
제1 링크(51)와 제2 링크(52)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제1 링크(51)는 제1 바(122)에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제2 링크(52)는 제2 바(123)에 베어링 하우징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링크(51)에는 회전력 발생부(30)의 벨트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51)와 제2 링크(52)의 회전 중심은 이격되어 편심 상태를 위지 한다.
제1 링크(51)의 일단에는 제1 링크로드(511)가 제2 링크(5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링크(51) 타단에는 제2 링크로드(512)가 제2 링크(5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링크(52)의 일단에는 제3 링크로드(521)가 제1 링크(5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링크(52) 타단에는 제4 링크로드(522)가 제1 링크(5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링크로드(511) 내지 제4 링크로드(522)가 일 직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제3 링크로드(521)는 제1 링크로드(511)와 제2 링크로드(512) 사이에 위치하며, 제2 링크로드(512)는 제3 링크로드(521)와 제4 링크로드(522)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링크로드(511)와 제2 링크로드(512) 단부는 제2 링크(52)와 이격되어 있으며 제3 링크로드(521)와 제4 링크로드(522) 단부는 제1 링크(51)와 이격되어 있다.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은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다. 제1 천공 프레임(53)은 일단이 제1 링크로드(511)와 유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제3 링크로드(521)와 유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천공 프레임(54)은 제1 천공 프레임(53)과 이격되어 있으며 일단은 제2 링크로드(512)와 유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4 링크로드(522)와 유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의 가상의 회전중심(C1)은 제1 링크(51)와 제2 링크(52)의 회전중심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은 그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양단이 링크로드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축 회전하지 않고 상면과 하면이 바뀌지 않고 그대로 회전한다. 이에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의 하면은 항상 비닐이 위치한 지면을 향한다.
천공바(55a, 55b)는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누름바(56a, 56b)는 천공바(55a, 55b)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이 회전 시 하면이 항상 지면을 향하므로 천공바(55a, 55b) 또한 항상 지면을 향한다.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에 각각 결합된 천공바(55)와 누름바(56a, 56b)는 같으므로 제1 천공 프레임(53)에 결합된 천공바(5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천공바(55a)는 연결부재(551) 및 천공부재(552)를 포함한다. 연결부재(551)와 천공부재(55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재(551)는 제1 천공 프레임(53)의 하면과 연결되어 있다. 천공부재(552)의 외부둘레 지름은 연결부재(551)의 외부둘레 지름보다 크다. 천공부재(552)는 비닐을 천공하며 내부가 하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비닐을 뚫을 수 있는 천공날을 갖는 천공영역(552a)이 형성되어 있다. 천공영역(552a)은 천공부재(552) 하부 외부둘레가 견인 장치(A)의 주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삼각형을 이룬다. 천공영역(552a)의 삼각형 형상에 의해 천공부재(552)가 비닐을 천공하여 지면에 삽입 후 상승할 때 천공부재(552) 하부가 비닐에 걸리지 않는다.
누름바(56a)는 누름몸체(561) 및 누름 플랜지(562)를 포함한다. 누름바(56a)는 기설정된 중량을 가지며 천공바(55a)에 결합되어 천공바(55a)가 비늘을 천공할 때 비닐 주변을 눌러준다.
누름몸체(561)는 천공부재(552) 외부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누름몸체(561) 내부둘레와 천공부재(552) 외부둘레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연결부재(551)는 누름몸체(561) 상면을 관통하고 있으며 누름몸체(561) 내부 상면은 연결부재(551)와 천공부재(552)의 지름 차이로 발생한 단턱이 걸려 있다. 누름몸체(561)의 상하 길이는 천공부재(552)의 상하 길이보다 길다. 이에 누름몸체(561)의 내부 상면이 단턱에 걸친 상태를 유지하면 천공부재(552)는 누름몸체(561) 내부에 위치한다.
누름 플랜지(562)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누름몸체(561) 하단 외부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누름 플랜지(562)는 천공부재(552) 보다 비닐에 먼저 접하여 천공부재(552)가 천공할 비닐 주변을 누르므로 비닐을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천공부재(552)가 비닐을 천공할 때 비닐은 밀리지 않고 천공될 수 있다.
회전 중심이 편심된 제1 링크(51)와 제2 링크(52)의 회전에 의해 제1 천공 프레임(53)에 결합된 천공바(55a)와 제2 천공 프레임(54)에 결합된 천공바(55b)는 순차적으로 비닐을 천공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천공부(50)에 제공되는 회전력이 휠(32)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설치대(31)에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고 모터는 차동 케이스(41)와 동력 연결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견인 접속부(115)를 이용하여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100)를 견인 장치(A)와 연결한다. 휠(32)은 지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은 전후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천공바(55)와 누름바(56) 또한 전후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천공바(55)는 누름바(56)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견인 장치(A) 주행으로 휠(32)은 지면을 따라 구른다. 휠(32)이 구르면서 발생한 회전력은 회전력 발생부(30) 및 차동유닛(40)을 통해 천공부(50)에 전달되며 천공부(50)는 회전한다. 즉, 회전력이 제1 링크(51)에 전달되면 제1 링크(51)와 축 회전하며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을 통해 연결된 제2 링크(52) 또한 축 회전한다. 이때 견인 장치(A)의 주행방향 전방에 위치한 제1 천공 프레임(53)이 지면을 향하고 제2 천공 프레임(54)은 상부로 이동한다. 도면 [도 13] a),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천공 프레임(53)이 지면을 향할 때 누름바(56)의 누름 플랜지(562)가 비닐에 먼저 접하여 비닐을 누르며 천공바(55)의 천공부재(552)는 누름 플랜지(562)가 누르고 있는 비닐을 천공한다. 견인 장치(A)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제1 천공 프레임(53)과 제2 천공 프레임(54)이 지면과 순차적으로 마주하게 되면서 천공바(55)는 순차적으로 비닐을 천공하게 된다.
한편, 견인 장치(A)을 따라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100)가 이동할 때 작물 감지부(20)는 비닐 속에 위치한 작물을 감지하며 작물 유무 및 이웃한 작물의 간격을 차동유닛(40)에 전송한다. 차동유닛(40)은 전송된 신호에 따라 천공부(50)에 전달되는 동력 즉, 회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속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웃한 작물의 간격이 비교적 짧은 경우 천공바(55)가 비닐을 천공하는 간격이 짧아질 수 있도록 회전력을 더하며, 작물의 간격이 비교적 떨어져 있는 경우 천공바(55)가 비닐을 천공하는 간격이 멀어질 수 있도록 회전력을 감소시킨다. 차동유닛(40)의 회전력 제어로 천공부(50)는 작물의 위치에 맞추어 비닐을 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견인 장치 1: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10: 바디부 11: 메인 프레임
111: 중앙 프레임 112: 제1 사이드 프레임
113: 제2 사이드 프레임 114: 고정수단
115: 견인 접속부 12: 설치 프레임
121: 연결바 122: 제1 바
123: 제2 바 13: 천공 깊이 조절부
131: 깊이 조절 프레임 132: 힌지
133: 브래킷 134: 조절레버
134a: 너트 134b: 힌지블록
134c: 스크류 134d: 레버
20: 작물 감지부 30: 회전력 발생부
31: 설치대 32: 휠
32c: 회전중심 33: 회전력 전달부
331a, 331b, 331c, 331d: 스프라켓
332a, 332b, 332c: 체인 333: 샤프트
333a: 유니버셜 조인트 134: 풀리
135: 벨트 40: 차동유닛
41: 차동 케이스 42: 제1 액슬축
421: 제1 사이드 기어 43: 제2 액슬축
431: 제2 사이드 기어 44: 제1 차동 피니언
45: 제2 차동 피니언 46: 비례 제어 모터
50: 천공부 51: 제1 링크
511: 제1 링크로드 512: 제2 링크로드
52: 제2 링크 521: 제3 링크로드
522: 제4 링크로드 53: 제1 천공 프레임
54: 제2 천공 프레임 55a, 55b: 천공바
551: 연결부재 552: 천공부재
552a: 천공영역 56a, 56b: 누름바
561: 누름몸체 562: 누름 플랜지
G1: 간격

Claims (10)

  1. 작물을 덮고 있는 비닐을 천공하는 것으로,
    견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물이 위치한 상기 비닐 부분을 천공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 선단에 위치하여 상기 작물을 감지하는 작물 감지부,
    상기 천공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발생부 및
    상기 작물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발생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감지된 상기 작물 위치에 따라 상기 천공부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천공부가 상기 작물이 위치한 상기 비닐 부분을 천공하도록 조정하는 차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천공부에 제공될 때 상기 작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회전력은 상기 차동유닛 제어로 증속 또는 감속되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력 발생부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휠, 그리고
    상기 휠의 회전동력을 상기 차동유닛을 통해 상기 천공부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유닛은 상기 회전력 전달부 상에 배치되어 있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차동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있는 차동 케이스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차동 케이스,
    상기 차동 케이스 내부 일측에 배치된 제1 사이드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차동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제1 액슬축,
    상기 차동 케이스 내부 타측에 배치된 제2 사이드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차동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제2 액슬축,
    상기 제1 사이드 기어 및 상기 제2 사이드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치합되어 있고 상기 차동 케이스와 연결된 제1 차동 피니언,
    상기 제1 차동 피니언과 마주하며 상기 제1 사이드 기어 및 상기 제2 사이드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치합되어 있고 상기 차동 케이스와 연결된 제2 차동 피니언 및
    상기 제1 액슬축과 동력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물의 간격에 따라 회전력이 달라지는 비례 제어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액슬축은 상기 천공부와 동력연결되어 있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바디부는,
    선단이 상기 견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천공부와 상기 차동유닛이 배치된 설치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 후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천공부와 비닐이 덮고 있는 지면의 간격을 조절하는 천공 깊이 조절부
    를 포함하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설치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견이부와 연결되는 중앙프레임,
    상기 중앙프레임 일측에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제1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중앙프레임 타측에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제2 사이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설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작물이 위치한 두둑의 폭에 따라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천공 깊이 조절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기설정된 지점이 상기 메인 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깊이 조절 프레임,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깊이 조절 프레임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조절레버
    를 포함하며,
    상기 깊이 조절 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휠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깊이 조절 프레임이 움직여 상기 휠의 위치가 달라지며, 상기 휠의 회전중심과 상기 힌지 간격이 멀어질수록 천공 깊이는 얕은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천공부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상기 바디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제1, 제2 링크,
    일측이 상기 제1 링크 선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2 링크 선단과 연결된 제1 천공 프레임,
    일측이 상기 제1 링크 후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2 링크 후단과 연결된 제2 천공 프레임 및
    상기 제1 천공 프레임과 상기 제2 천공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비닐을 천공할 수 있는 천공바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회전력 발생부와 동력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회전 중심은 편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천공 프레임과 상기 제2 천공 프레임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에서 움직여 위치 조절 가능한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천공바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천공바가 상기 비닐을 천공할 때 상기 비닐을 누를 수 있는 누름바
    를 더 포함하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천공바는,
    상기 제1 천공 프레임과 연결된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비닐을 천공하는 천공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부재의 하부에는 천공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공영역은 상기 천공부재 하부 일부분이 상기 견인 장치의 주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천공영역을 삼각형을 이루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누름바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상기 천공부재를 감싸고 있고 있으며 내부 상면이 상기 천공부재 상면에 걸리며 상하 길이가 상기 천공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긴 누름몸체, 그리고
    상기 누름몸체 하단 외부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비닐을 누를 수 있는 누름 플랜지
    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플랜지는 상기 천공부재보다 상기 비닐 표면에 먼저 접하여 상기 비닐 표면을 누르는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KR1020170181751A 2017-12-28 2017-12-28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KR10204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751A KR102046873B1 (ko) 2017-12-28 2017-12-28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751A KR102046873B1 (ko) 2017-12-28 2017-12-28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786A true KR20190079786A (ko) 2019-07-08
KR102046873B1 KR102046873B1 (ko) 2019-11-20

Family

ID=6725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751A KR102046873B1 (ko) 2017-12-28 2017-12-28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2753A (zh) * 2022-03-01 2022-04-29 宁夏洪栋农业机械有限公司 水稻多功能穴播一体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8091A (ja) * 1997-08-26 1999-03-02 Aida Eng Ltd サーボモータ駆動プレス機械
KR100229046B1 (ko) 1997-02-03 1999-11-01 장세하 경운기 트레일러장치용 곡물종자파종기
KR20000045684A (ko) * 1998-12-30 2000-07-25 김재동 감자 파종기
KR101686325B1 (ko) * 2015-05-20 2016-12-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 멀칭 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046B1 (ko) 1997-02-03 1999-11-01 장세하 경운기 트레일러장치용 곡물종자파종기
JPH1158091A (ja) * 1997-08-26 1999-03-02 Aida Eng Ltd サーボモータ駆動プレス機械
KR20000045684A (ko) * 1998-12-30 2000-07-25 김재동 감자 파종기
KR101686325B1 (ko) * 2015-05-20 2016-12-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 멀칭 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2753A (zh) * 2022-03-01 2022-04-29 宁夏洪栋农业机械有限公司 水稻多功能穴播一体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873B1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009B1 (ko) 독립구동형 비닐커팅유닛이 구비된 비닐일관파종기
RU2283556C1 (ru) Агрегат для укладки перфорированной пленки на гряду заданного профиля
KR20190079786A (ko) 차동 장치를 이용한 비닐 천공 장치
JP2006325535A (ja) マルチ開孔型落花生播種装置
CN108551949B (zh) 一种覆膜覆土打孔机
US5673757A (en) Ground opening device
JP2717437B2 (ja) 穴播き式施肥播種機
EP0376956A1 (en) SYSTEM FOR LIFTING COVER SHEETS FOR AGRICULTURAL USE.
KR101987454B1 (ko) 센서 융합 기술을 이용한 비닐 멀칭의 하부 작물을 인식하는 천공시스템장치
KR101693499B1 (ko) 고설재배용 작물뿌리 파쇄장치
JP6193821B2 (ja) 作業機
JP2020103160A (ja) 水田作業機
KR101825945B1 (ko) 농업용 비닐피복장치
KR20160149081A (ko) 시드 시트 피복장치
CN219146306U (zh) 一种马铃薯旱作覆膜种植打孔装置
KR102345260B1 (ko) 자주식 마늘 파종기
JPH1042631A (ja) 農作業機の土壌硬度検出装置
CN211020279U (zh) 一种高安全性且低噪音的铺膜机
JPH0391402A (ja) 深耕装置
KR102251064B1 (ko) 복합형 정밀파종기 및 그 제어방법
JP2791714B2 (ja) 農産物収穫装置
JPS5939850Y2 (ja) サブソイラを併用する高畦成畦施肥作業機
JPH0223802A (ja) センタドライブ型ロータリ耕耘装置における部分深耕機構
KR20210008580A (ko) 정식기
JP2002186322A (ja) 野菜収穫機の高さ検出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